KR20150131599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599A
KR20150131599A KR1020140058499A KR20140058499A KR20150131599A KR 20150131599 A KR20150131599 A KR 20150131599A KR 1020140058499 A KR1020140058499 A KR 1020140058499A KR 20140058499 A KR20140058499 A KR 20140058499A KR 20150131599 A KR20150131599 A KR 20150131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coffee
roaster
smart terminal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조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준 filed Critical 조영준
Priority to KR102014005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599A/en
Publication of KR2015013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5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A system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ffee roaster having a roasting control module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ster, an exhaust wind velocity of the roaster, and a cracking sound by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ensors mounted therein; a smart terminal device for checking roasting progress of the coffee roaster and managing a roasting schedule throug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and a roasting management server which stores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coffee bean, green bean inventory information, and roasting- or cupping-related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alize the system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which can: check and manage roasting progress of a roaster through a smart terminal (user-specific tablet); manage a green bean inventory and a roasting schedule through a web (for example: a roasting management server); and manage a cupping record about the roasted coffee beans, by mount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to a conventional coffee roaster. In addition, the system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monitor roasting work of a coffee roaster by using the user-specific tablet, and thus reduces purchasing costs for a high-performance coffee roaster and attached equipment thereof, and effectively shortens roasting processes.

Description

커피 로스팅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커피 로스팅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적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커피 로스팅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ffee roas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to achieve optimal roasting.

한 알의 생두(Green Bean)가 마시는 커피음료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배전(이하, '로스팅(roasting)이라 한다'), 분쇄(그라인딩(grinding)), 추출(brewing) 등 3가지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 중에서도 로스팅은 컵 서비스 이전의 마지막 단계이자 커피의 고유한 향미가 생성되는 핵심 공정이다.In order to be made into a coffee beverage by a green bean, it must undergo three processes: distribu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asting), grinding (grinding), and extraction (brewing). Among these, roasting is the key step in the creation of the unique flavor of coffee, the last step before cup service.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키고 화학 변화를 일으켜 맛과 향을 끌어내는 작업으로서, '시간과 온도에 의존하는 공정(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이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불쾌한 향미의 생두가 진한 갈색의 고소한 원두로 탈바꿈되면서 비로소 원두커피로 재탄생된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생두에는 6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asting is a 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 that expands tissue and causes chemical changes to extract flavor and aroma. After roasting, the unpleasant flavor of the beans is transformed into a dark brown bean, which is then reborn as coffee beans. Roasting process, and it is known that more than 600 different chemicals are produced in soybean.

커피나무의 열매(Cherry) 안에는 두 개의 씨앗이 있는데 이를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 없고 그저 딱딱한 씨앗에 불과하다.There are two seeds in the coffee tree, Cherry, which is called Green Bean. There is no taste in the raw state, it is just a hard seed.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여러 성분(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을 조화롭게 표현한다. 음용 가능한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종자,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숙련된 로스터(Roaster; 커피 볶는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Roasting expands the tissue to the maximum by applying heat to the beans to harmonize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beans (moisture, fat, fiber, carbohydrate, caffeine, organic acid, tannin, etc.). In order to make coffee that can be consumed,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beans such as harvest time, moisture content, density, seeds, processing methods of the green beans, and the efforts of skilled roasters are necessary.

생두는 일반적으로 220~230℃의 온도에서 30분 정도 볶는 로스팅 과정을 통해서 700~850가지의 향미를 낼 수 있는 성분을 가진 원두(Coffee Bean)가 된다. 로스팅의 방법에는 전통적인 가정식 방법인 팬 로스팅(Pan Roasting)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드럼 로스팅(Drum Roasting), 주로 인스턴트 커피 제조용으로 쓰이는 열풍 로스팅(Hot Air Roasting)이 있다. 상업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드럼 로스팅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4단계(예: 생두 투입 - 건조 - 1차 크랙 - 2차 크랙)로 이루어진다.Generally roasted at a temperature of 220 ~ 230 ℃ for about 30 minutes, it becomes a coffee bean with a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700 ~ 850 kinds of flavor. There are two traditional methods of roasting: pan roasting, which is a traditional method, and drum roasting, which is most widely used, and hot air roasting, which is mainly used for making instant coffee. The most common commercial drum roasting process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steps (eg, green onion - dry - primary crack - secondary crack).

첫 번째 단계로, 생두 투입은 로스팅의 초기 단계로 가열된 드럼에 선별한 생두를 투입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생두의 색은 밝은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점차 변화된다. As a first step, green bean seeding is the initial step of roasting, in which green beans are put into a heated drum. At this stage, the color of green beans gradually changes from bright green to yellowish green.

두 번째 단계로, 건조단계(Drying Phase)는 생두를 황록색을 거쳐 노란색으로 변화시키며, 생두의 풋내를 고소한 빵 굽는 향으로 바꾸게 된다. 이 단계에서, 생두가 열을 흡수(흡열반응)하면서 70~90% 가까운 수분이 소실되고, 드럼의 온도가 서서히 증가한다. 댐퍼(Damper; 배기 송풍 조절기)를 통해 드럼 내부의 열량과 기압공급이 균일하도록(화력은 통상 210℃를 넘지 않도록 하고 댐퍼를 닫거나 30-50% 개방하고 드럼 회전속도를 40-50회 정도로 유지한다.As a second step, the Drying Phase changes the green beans from yellow to yellow, and changes the flavor of the green beans to a delicately baked flavor. At this stage, 70 to 90% of moisture disappears while the green bean absorbs heat (endothermic reac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drum gradually increases. Make sure that the amount of heat and pressu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um is uniform through the damper (damper) (the thermal power is usually not higher than 210 ° C, the damper is closed or opened 30-50%, and the drum rotation speed is maintained at about 40-50 times .

세 번째 단계로 1차 크랙(1st Crack)은 시나몬 로스팅(Cinamon Roasting) 단계라고도 하며, 열을 가하여 생두의 탄수화물을 산화시키게 된다. 이 단계에서 생두의 센터 컷(Center Cut)이 탁탁 갈라지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이 단계에서, 원두의 표면은 보다 팽창되고 색은 갈색에 가까우며 표면도 매끈해진다. In the third step, the 1st crack is also called Cinamon Roasting stage, and the heat is applied to oxidize the carbohydrate of green beans. At this stage, the center cut of the green bean can be heard crackling. At this stage, the surface of the bean becomes more swollen, the color is brownish and the surface is smooth.

네 번째 단계로, 2차 크랙(2nd Crack)은 풀 시티 로스팅(Full City Roasting) 단계라고 하며 원두의 고유한 향이 발산되는 지점으로 로스팅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1차 크랙 이후 원두 내부의 오일 성분이 원두의 표면으로 올라오게 되며, 원두는 점차 갈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바뀌고 표면을 1차 크랙 때 보다 더 팽창시킨다. 이 단계에서, 원두는 가열로 인한 캐러멜 화로 신맛 보다는 단맛을 띄게 된다. In the fourth step, the 2nd crack is called Full City Roasting,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roasting process where the unique fragrance of the bean diffuses. After the first crack, the oil component inside the bean comes up to the surface of the bean, and the bean gradually changes from brown to dark brown and the surface expands more than the first crack. At this stage, the beans are more sweet than the sour taste due to the caramelization caused by heating.

한편 로스팅 기기(Roasting Machine)의 종류는, 직화식 드럼로스터, 간접열풍식(컨벡션식) 드럼로스터, 열풍식 커피로스터(fluid bed coffee roaster)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roasting machines include a direct type drum roaster, a indirect hot air type (convection type) drum roaster, and a fluid bed coffee roaster.

12~13세기 아랍에서는 찰흙이나 돌로 만든 그릇에 생두를 올린 후 불 위에서 로스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1650년경 원통형의 로스터가 출현하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드럼형 로스팅 기기가 등장하였으나, 20세기 후반에는 드럼을 이용하지 않고 뜨거운 열풍의 흐름으로 커피를 움직이며 볶게 하는 열풍식 커피 로스터가 개발되고 상업화되어 이런 큰 열풍 로스터는 인스턴트커피를 만드는 대형 커피제조업체에서 대량으로 커피를 볶을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커피로스터가 되었다.It is known that in the 12th and 13th century Arabs roasted on the fire after putting the green beans in a bowl made of clay or stone. A cylindrical roaster appeared around 1650. By the 19th century, the most commonly used drum-type roasting machine appeared,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 hot-winded coffee The roster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nd this big frenzy roaster has become a very efficient coffee roaster that can be roasted in large quantities by large coffee makers who make instant coffee.

1980년경부터 미국에서는 고객들이 숍에서 직접 볶은 신선한 커피를 마시고 원두를 구입해가고 할 수 있는 비즈니스 형태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다. 그래서 소형 커피숍 전용 커피로스터들이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기존의 상업용 드럼식 커피로스터를 크기를 축소시킨 형대로 만든 것이었다.Since 1980, in the United States, customers are starting to see the business form that they can buy coffee and drink freshly roasted coffee at the shop. Therefore, coffee roasters for small coffee shops were developed, but most of them were made by reducing the size of conventional commercial drum roasters.

이 기계들은 한번에 소량(1kg 이하)의 원두를 로스팅할 수 없어 개인이나 소형 커피숍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연기, 분진, 냄새 등이 연통을 통해 그대로 배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커피를 볶는 동안 열과 공기의 배출양 조절, 원두 색깔 맞추기의 작업을 숙련된 기술자(로스터)가 지켜보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많이 들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se machines were not suitable for individuals or small coffee shops because they could not roast a small amount of beans (1kg or less) at a time. They had the problem of discharging smoke, dust, and smell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Roaster) had to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in the work of adjusting the color of the beans and the coloring of the beans.

종래, 네델란드의 GIESEN 社에서 생산되는 로스터 전용의 모니터링 및 로스팅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예: GIESEN COFFEE ROASTER PROFILE SYSTEM)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기준 시가가 600만원~1,000만원에 달하며, 12kg급 이상의 공장형 커피 로스터에 탑재되는 커피 로스터 프로파일 시스템의 경우 약 1억을 넘는 고가 장비로서 대규모의 공장형 커피 로스팅을 위해 개발되어, 개인이나 소형의 영세 커피숍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Conventional monitoring and roasting profile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GIESEN COFFEE ROASTER PROFILE SYSTEM), which is produced by GIESEN in the Netherlands, has been developed, but the standard price is 6 million ~ 10 million Yuan, The coffee roaster profile system installed on the roaster has a drawback that it is developed for large-scale factory coffee roasting as high-priced equipment of more than about 100 million, and is not suitable for an individual or a small-sized coffee shop.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커피 로스터에 로스팅 제어모듈을 장착하여, 스마트 단말기기(전용 태블릿)를 통해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 및 관리하는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in which a roasting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 an existing coffee roaster to check and manage the roasting status of the roaster 100 through a smart terminal device (dedicated tabl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서버를 통해 생두 재고관리와 로스팅 스케줄을 관리하고,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that manages stock and roasting schedules through a web server and manages the scrap of roasted coffee beans.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은, 기존의 커피 로스터에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장착하여, 스마트 단말기기(전용 태블릿)를 통해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 및 관리하고, 웹(예: 로스팅 관리 서버(300))을 통해 생두 재고관리와 로스팅 스케줄을 관리하고,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may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offee roaster to check and manage the roasting status of the roaster 100 through a smart terminal device (dedicated tablet) )) To manage the stocking and roasting schedule, and to manage the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for the roasted coffee beans.

본 발명은 전용 태블릿으로 바로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작업을 모니터할 수 있어, 고성능의 커피 로스터(100)와 그 부속장비의 구매비용을 절약하고, 로스팅 작업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단축시켰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roasting opera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directly with the dedicated tablet, saving the purchase cost of the high performance coffee roaster 100 and its accessories, and effectively shortening the roasting working proces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제어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커피 로스팅 서비스 절차에 관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로스팅 스케쥴 및 생두 관리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로스팅절차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단말기기의 커핑정보 관리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oast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coffee roasting service procedure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asting schedule and a bonnet management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asting procedure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pping information management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소정의 센서들을 내장하여 로스터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로스터 배기 풍속, 그리고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로스팅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커피 로스터와,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을 통해 커피 로스터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하고 로스팅 스케쥴을 관리하는 스마트 단말기기와, 원두 종류별 로스팅 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생두 재고정보, 로스팅이나 커핑(cupping)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로스팅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ffee roaster having a built-in predetermined sensors and having a roasting control module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ster, a roaster exhaust wind speed, and a crack sound; and a roasting control module for checking the roasting condition of the coffee roaster throug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A smart terminal for managing a roasting schedule, and a roasting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for each bean type, raw stock and stock information, and roasting or cupping related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는 생두의 재고와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cupping)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mart terminal device records and manages cupping information on the stock of roasted beans and roasted beans.

바람직하게,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은, 커피 로스터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커피 로스터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부와, 커피 로스터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풍속향 검출부와,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무선통신으로, 각 검출부의 검출신호를 스마트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각 검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oasting control module comprises: a temperatur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coffee roaster; a humidit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outside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detection units to a smart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s to th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etector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풍속향 검출부는 풍속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배기청소를 위한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wind speed direction detecting unit generate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exhaust cleaning when the wind speed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방법은 스마트 단말기기의 커피로스팅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coffee roast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ffee roasting control of a smart terminal machine,

사용자로부터 로스팅할 원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자동 또는 수동 로스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자동 로스팅이 선택된 경우,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를 로스팅 관리 서버측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커피 로스터의 로스팅 제어모듈 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제어정보에 따라 커피 로스터가 로스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동 로스팅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에 따라 커피 로스터가 로스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동 로스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이 로스터의 각종 로스팅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동 로스팅이 완료되면, 스마트 단말기기가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의 로스팅 데이터를 로스팅 관리서버 측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로스팅 관리서버가 상기 전달된 로스팅 데이터를 커핑기록과 함께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bean to be roasted from a user; inputting a user's selection for automatic or manual roasting; requesting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for optimal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when automatic roasting is selected; Transmitting the reques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asting control module of the coffee roaster when the requested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performing roasting by the coffee roaster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s selection is manual roast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detects and stores various roasting data of the roaster while the manual roasting is in progress. When the manual roasting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roasting data of the roasting control module to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side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transferred roasting data together with the recording of the capping by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로스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은, 커피 로스터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커피 로스터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커피 로스터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과정과,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로스팅 수행과정에서 검출되는 상기 각 검출 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storing the roasting data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temperature of the coffee roaster; detecting the outside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measuring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part in the coffee roaster; Detecting a crack sound generated due to rapid expansion of the bean curd; and storing the detected detection data detected in the roasting process in a memor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정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measur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은, 커피 로스터(100), 스마트 단말기기(200), 로스팅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ffee roaster 100, a smart terminal 200, and a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상기 커피 로스터(100)는 커피 원두를 볶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조작패널(미도시), 가열부(미도시), 로스팅부(미도시), 냉각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ffee roaster 100 is a device for roasting a coffee bean and generally comprises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a heating part (not shown), a roasting part (not shown) and a cooling part (not shown) And a control module (110).

상기 가열부는 일반적으로 원두를 볶는 열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연소용 버너 또는 전기히터로 이루어진다.The heating unit is generally a component for providing a heat source for roasting a bean, and is composed of a burner for burning or an electric heater.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가열부로부터의 발생되는 화염(flame)을 챔버(chamber)로 제공하여 그 내부에 수용된 커피 원두를 건조하고 적절한 온도로 볶아 1, 2차 크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oasting unit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flame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to a chamber, drying the coffee beans contained therein, and roasting the coffee bean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perform primary and secondary cracks.

상기 냉각부는 일반적으로, 로스터(10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볶아진 원두를 일정 시간동안 식혀 냉각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oling unit is generally provided outside the roaster 100 and is a component for cooling the roasted bean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a cooling process.

상기 조작패널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위한 각종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통해, 로스팅을 위한 제어정보들(예: 원두 투입량에 따른 건조, 로스팅, 그리고 냉각을 위한 온도, 시간 등)을 입력한다.The operation panel is a component including various input buttons for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panel, the user inputs control information for roasting (e.g., temperature, time, etc. for drying, roasting, and cool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bean input).

조작패널이 외부와 통신(예: 유선 또는 무선통신)가능한 별도의 제어 칩셋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통해 로스팅 관리 서버(300)로부터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예: 원두 투입량에 따른 건조, 로스팅, 그리고 냉각을 위한 온도, 시간 등)를 수신(입력)받을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panel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chipse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e.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transmits optimum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time, etc. for drying, roasting, and cooling according to temperature).

상기 조작패널의 제어 칩셋이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적용가능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그리고, 유선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직렬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IrDA) communication,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operation panel.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When wired communication is supported, a serial communication port can be provided.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센서들을 내장하여 로스터(100)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로스터 배기 풍속, 그리고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통해, 커피 로스터(100)의 각종 로스팅 상황이 검출된다. 본 발명의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스마트 단말기기(200)와 연동되어 다양한 종류의 커피 로스터에 범용으로 적용 가능하며, 로스터(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is a componen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roaster 100, the wind speed of the roaster exhaust, and a crack sound by incorporating predetermined sensors. Throug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various roasting conditions of the coffee roaster 100 are detected.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offee roasters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aster 100. [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통해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하고, 사용자의 로스팅 스케쥴을 관리한다.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 제어모듈(110)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로스터(100)의 로스팅 시간 및 온도를 체크할 수 있고, 로스팅 제어모듈(110)의 검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로스팅 절차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The smart terminal 200 checks the roasting condi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throug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and manages the roasting schedule of the user. 6, the smart terminal 200 can check the roasting time and temperature of the roaster 100 in real time in cooperation wit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Informa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asting procedure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로스팅이 완료된 후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커핑 데이터를 해당 로스팅과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국제표준의 커핑폼이 적용된 커핑관리 툴(tool)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커핑정보 관리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커핑(Cupping)이란 커피의 샘플을 세는 단위인 컵(Cup)을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원두커피와 같이 에스프레소 머신 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쇄한 커피를 뜨거운 물에 타 스푼을 이용해 커피 본연의 맛을 보는 작업이다.After the roasting is completed, the smart terminal 200 stores and manages the capping data inputted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roasting. As shown in FIG. 7, the smart terminal 200 enables an objective quality control by utilizing a capping management tool to which an international standard capping form is applied.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pping information management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upping is a term derived from the meaning of identifying cups, which is a unit for counting coffee samples. Cupping is the term used to identify coffee cups that do not use an espresso machine, such as coffee beans, It is the work of seeing the taste of the coffee with a spoon in the water.

일반적으로, 커핑을 통해 평가되는 항목에는 프래그런스(Fragrance), 프래그런스(Fragrance), 플레이버(Flavor), 산미(Acidity), 바디(Body), 에프터 테이스트(Aftertaste) 등이 있다. In general, items to be evaluated through the use of the curling include Fragrance, Fragrance, Flavor, Acidity, Body, Aftertaste, and the like.

상기 프래그런스(Fragrance, 방향)는 분쇄된 커피가 실온에서 내는 향기이다. 상기 아로마(Aroma, 습향)는 뜨거운 물과 커피가 만났을 때 뜨거운 증기와 섞여 나오는 향기이다. 상기 플레이버(Flavor, 향미(香味))는 커피의 전체적인 맛과 향을 뜻한다. 상기 산미(Acidity, 산미(酸味))는 커피의 달콤한 신맛을 뜻한다. 상기 바디(Body, 묵직함)는 커피가 입안에 있을 때의 밀도와 점도를 뜻한다. 상기 에프터테이스트(Aftertaste, 후미(後味))는 커피를 마시거나 뱉은 다음 입안에 남는 맛을 뜻한다.The fragrance (fragrance) is the aroma of the ground coffee at room temperature. Aroma (Aroma) is a scent mixed with hot steam when hot water and coffee meet. The flavor (Flavor) refers to the overall taste and aroma of coffee. The acidity refers to the sweet acidity of coffee. The body (body) refers to the density and viscosity when coffee is in the mouth. The aftertaste (aftertaste) refers to the taste remaining in the mouth after drinking or spitting coffee.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스팅된 원두의 지속성있는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커피가 가진 향과 맛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미국 스페셜티 커피 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의 커핑 폼(일종의 평가 항목들)을 활용하여 향(Fragrance, Aroma), 풍미(Flavor), 후미(Aftertaste), 산미(Acidity), 묵직함(Body), 균일성(Uniformity), 밸런스(Balance), 단맛(Sweetness), 깔끔함(Clean Cup), 결점(Taint, Fault) 등을 사용자가 관능으로 분석(관능검사)하여 채점 및 기록할 수 있는 기능(툴(tool))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ffee cup of the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which is capable of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flavor and taste of coffee to enable continuous quality control of roasted coffee beans Aroma, Flavor, Aftertaste, Acidity, Body, Uniformity, Balance, Sweetness, etc. by utilizing a kind of evaluation items) (Tool) that allows the user to perform sensory analysis (sensory test), scoring, and recording of a user's taste, clean cup, and defect (Taint, Fault)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두의 재고와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cupping)정보를 기록 및 관리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로스팅 스케쥴 및 생두 관리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The smart terminal 200 also records and manages the stock of green beans and cupping information about the roasted beans as shown i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asting schedule and a bonnet management scree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로스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 로스팅 체크, 원두 재고관리, 로스팅 스케줄 관리, 커핑 기록관리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앱(app)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서버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App store)'라 한다)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서비스 앱(app)은, 이용자가 미리 다운로드하여 단말기기(200)에 인스톨(install)한다.The smart terminal 200 is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ice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ice application ') capable of providing a user using a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ervice related to real time roasting check, bean inventory management, roasting schedule management, app) ") in the memory. In the case of a service app, a user can download and install it from a specific server or an application sto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store"). The service application (app) is downloaded by the user in advance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상기 로스팅 관리서버(300)는 원두 종류별 로스팅 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생두 재고정보, 로스팅이나 커핑(cupping)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로스팅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사용자는 자신만의 로스팅 정보와 커핑(cupping)관련 정보들을 기록/관리할 수 있고, 서버(300)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들과 최적의 로스팅 데이터를 공유하고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다양한 원두에 관한 로스팅 정보를 접할 수 있다.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stores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raw stock, and roasting or cupping-relat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for each bean type. A user connected to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can record / manage his / her own roasting information and cupping related information, share optimal roasting data with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server 300, You can update the information to get roasting information about various bean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제어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oast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로스터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로스터 배기 풍속, 그리고 크랙(crack)음을 검출하거나, 상기 로스팅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로스팅 제어정보를 상기 조작패널에 전달하여, 커피 로스터(100)에서 최적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oaster, the wind speed of the roaster exhaust, and the crack sound, or transmits the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to the operation panel So that optimum roasting is performed in the coffee roaster 100.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검출부(110a), 습도 검출부(110b), 풍속향 검출부(110c), 사운드 검출부(110d), 메모리(110m), 통신부(110n), 제어부(110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includes a temperature detecting unit 110a, a humidity detecting unit 110b, a wind direction detecting unit 110c, a sound detecting unit 110d, a memory 110m, a communication unit 110n, And a control unit 110w.

상기 온도 검출부(110a)는 커피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 검출부(110a)는, 제어부(110w)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이어폰 플러그 형태의 구현된 2개 혹은 그 이상의 온도탐침 프로브를 포함한다. 각 온도탐침 프로브는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일측에 장착된다.The temperature detector 110a detects the inside and outside temperatures of the coffee roaster 100. The temperature detecting unit 110a includes two or more temperature probe probes implemented in the form of earphone plugs coupled to the control unit 110w. Each temperature probe probe is mount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ster 100.

상기 습도 검출부(110b)는 커피 로스터(100)의 외부 습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로스터(100) 주변의 습도 검출은 커피 로스팅 시 로스터(100) 주변환경(예: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화력 상승 타이밍과 배기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요구된다.The humidity detector 110b detects the external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100. The humidity detection around the roaster 100 is required to adjust the fire power rise timing and the exhaust tim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for exampl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roaster 100 when roasting the coffee.

상기 풍속향 검출부(110c)는 커피 로스터(100)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한다. 풍속향 검출부(110c)는 풍속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배기부 청소를 위한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킨다.The wind speed direction detecting section 110c measures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section in the coffee roaster 100 and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The wind speed direction detecting unit 110c generate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cleaning the exhaust unit when the wind speed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로스팅 작업은 온도와 습도, 그리고 배기 타이밍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지는 예민한 작업이므로, 매번 동일한 맛과 향의 커피를 생산하기 위해 커피 로스터(100)의 배기부 청소는 매우 중요하고 수시로 이루어져야 한다.Since the roasting operation is a sensitive operation that changes the taste and flavor of coffee according to temperature, humidity, and exhaust timing, cleaning of the exhaust por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is very important and should be done from time to time to produce coffee of the same taste and flavor every time.

상기 사운드 검출부(110d)는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한다.The sound detection unit 110d detects a crack sound generated by the rapid expansion of the bean curd.

원두가 로스터(100)에 투입된 후, 로스팅 과정에서 원두의 온도가 상승하고 원두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압력으로 소리를 내며 원두가 터지기 시작하는데, 이를 1차 크랙이라 하며 1차 크랙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커피의 향과 맛이 가장 많이 발현된다. After the beans are introduced into the roaster 100, the temperature of the beans rise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nd the beans start to burst due to the pressure of carbon dioxide generated in the beans. This is called the primary crack, and at the time of the primary crack , And coffee aroma and flavor are most expressed.

상기 사운드 검출부(110d)는 1차 크랙이 이루어지는 시점의 크랙(crack) 음을 검출한다. 사운드 검출부(110d)는 원두가 터지면서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의 주파수 대역을 감지함으로써, 1차 크랙의 발생시점이 검출되는 것이다.The sound detection unit 110d detects a crack sound at the time of primary cracking. The sound detection unit 110d senses the frequency band of the crack sound generated when the bean is blown, thereby detecting the occurrence time of the primary crack.

상기 메모리(110m)는, 커피 로스터(100)가 로스팅(예: 수동 로스팅)을 진행하는 동안 로스터(100) 내부에서 검출되는 각종 로스팅 데이터 즉, 각 검출부(110a, 110b, 110c, 110d)에서 검출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memory 110m stores various roasting data detected in the roaster 100 while the coffee roaster 100 is roasting (e.g., manual roasting), that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portions 110a, 110b, 110c, and 110d Information.

상기 통신부(110n)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n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200. [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n)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가능하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용가능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그리고, 유선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직렬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t this time,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are applicable as the loc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icable. When wired communication is supported, a serial communication port can be provided.

상기 제어부(110w)는 무선통신으로, 각 검출부(110a, 110b, 110c, 110d)의 검출신호를 스마트 단말기기(200)로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각 검출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10w communicate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detectors 110a, 110b, 110c, and 110d to the smart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detector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smart terminal.

제어부(110w)는 상기 풍속향 검출부(110c)로부터 소정의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배기부 청소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스마트 단말기기(200)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로스터(100)의 배기부에 낀 이물질을 제거(청소)하도록 한다.When receiving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wind direction detecting unit 110c, the control unit 110w transmits a message instructing cleaning of the exhaust unit to the smart terminal 200, Remove (clean) the foreign object.

제어부(110w)는 상기 사운드 검출부(110d)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예: 원두의 크랙(crack)음)를 검출하면, 해당 시점을 1차 크랙의 발생시점으로 기록한다.When the sound detection unit 110d detects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crack sound of a bean curd), the control unit 110w records the time point as a generation time of the primary crack.

제어부(110w)는 상기 로스터(100)의 조작패널이 외부와 통신(예: 유선 및 무선통신)가능한 별도의 제어 칩셋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로스팅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예: 원두 투입량에 따른 건조, 로스팅, 그리고 냉각을 위한 온도, 시간 등)를 상기 조작패널에 전달하여, 커피 로스터(100)에서 최적의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panel of the roaster 100 includes a separate control chipse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e.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10w transmits the optimal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E.g., temperature, time for drying, roasting, and cool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bean sprouts, etc.) to the operation panel so that optimal roasting is performed in the coffee roaster 100.

도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mart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except for components specifically configured for mobile use.

도3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rom a functional viewpoint.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ing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memory 260,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nd a power supply unit 290,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와 무선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통신 또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와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위치한 네트웍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모듈(2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2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es one or more component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where the smart terminal 200 is located .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5 .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14)은 상기 커피 로스터(10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적용가능한 근거리 통신기술로는 상기 로스터(100)의 통신부(110n)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피 로스터(100)와의 유선통신을 위해, 직렬통신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214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ffee roaster 100.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unit 110n of the roaster 100, . F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coffee roaster 100, a serial communication port may be provided.

상기 센싱부(240)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스마트 단말기기의 방위, 스마트 단말기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스마트 단말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슬라이드 형태인 경우 기기(200)의 슬라이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 (2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2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smart terminal 200 such as the location of the smart terminal 2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smart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0. For example, when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is in the form of a slide, the slide state of the device 200 can be sen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2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2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270)는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스마트 단말기기 (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가 스마트 단말기기(2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2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smart terminal 200, The smart commander 200 may transmit the various command signals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상기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51, an audio output module 252, an alarm unit 253,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앱(app)의 각종 관리 UI화면 또는 GUI화면들(예: 실시간 로스팅 화면, 원두 재고관리 화면, 로스팅 스케줄 관리화면, 커핑 기록관리 화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mart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all is displayed. As shown in FIGS. 5 and 6, various management UI screens or GUI screens (for example, real time roasting screen, bean stock management screen, roasting schedule management screen, .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2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2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For example, in the smart terminal 2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1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251 and a touch sensor 260. The display unit 251 is a touch screen in which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상기 음향출력 모듈(2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252)은 스마트 단말기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lso, the sound output module 2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the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알람부(253)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 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The alarm unit 2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smart terminal 200 of an event occurrence.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a call signa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key signal input, a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2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for example, by vibration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2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253.

상기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로스팅 체크, 원두 재고관리, 로스팅 스케줄 관리, 커핑 기록관리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앱(app)을 저장한다.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In addition, the service app (app) tha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real-time roasting check, bean inventory management, roasting schedule management,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 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2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2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storing the memory 260 on the Internet.

상기 제어부(280)는 기기(200)의 각 구성요소(210, 320, 230, 240, 250, 260, 270, 290)와 연동하여,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 in conjunction with the respective components 210, 320, 230, 240, 250, 260, 270 and 290 of the device 200.

상기 제어부(28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가능하며, 제어부(280)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예: 서비스 앱(app))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앱(app, 280)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스마트 단말기기(200)에 인스톨(install)한다.The control unit 280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an application (e.g., a service application) implemented in software by the control unit 280 may be provided from an application purchase place such as an Android market or an application store, Download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pp) 280 in advance and installs it in the smart terminal 200. [

제어부(280)는 상기 서비스 앱(app)의 처리 정보와 관리 화면들(예: 실시간 로스팅 화면, 원두 재고관리 화면, 로스팅 스케줄 관리화면, 커핑 기록관리 화면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280 displays processing information and management screens of the service app (for example, a real time roasting screen, a bean stock management screen, a roasting schedule management screen, a cupping record management screen, and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Display.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의 커피 로스팅 서비스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예시에 따른 커피 로스터(100)는 외부와 통신(예: 유선 또는 무선통신)가능한 별도의 제어 칩셋을 구비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최적의 로스팅을 수행한다.4 is a flow chart of a coffee roasting service procedure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roas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has a separate control chipse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e.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performs optimal roasting.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우선, 사용자로부터, 원두의 종류, 투입되는 원두의 양, 결과물(로스팅된 원두)의 맛과 향과 같은 로스팅할 원두관련 정보를 입력받는다. (S10)As shown in FIG. 4, the smart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cquires, from a user, information about a kind of bean to be roasted, such as taste and flavor of the resultant (roasted beans) Input information. (S10)

그리고, 로스팅 방법(예: 자동 또는 수동 로스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S20)Then, the user's selection of the roasting method (e.g., automatic or manual roasting) is input. (S20)

우선, 사용자가 자동 로스팅을 선택한 경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상기 로스팅 관리 서버(300)측으로, 상기 입력된 원두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를 요청한다. (S30)First, when the user selects automatic roasting, the smart terminal 200 transmits the inputted bean related information to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and requests optimal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S30)

이후, 로스팅 관리 서버(300)가 상기 요청된 정보(예: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를 보내오면, 그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를 커피 로스터(100)의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로 전달한다. (S40~S50)When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sends the requested information (for example, optimal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the roasting management module 300 transmits the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of the coffee roaster 100. (S40 to S50)

그리고, 커피 로스터(100)는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로 전달된 로스팅 제어정보에 따라 최적의 로스팅을 수행한다. (S60) Then, the roaster control module 110 transmits the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aster 100, (S60)

만일, 상기 과정(S20)에서, 사용자가 수동 로스팅을 선택한 경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상기 커피 로스터(100)측으로, 상기 입력된 원두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로스팅 수행을 요청한다. If the user selects manual roasting in step S20, the smart terminal 200 transmits the inputted bean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ffee roaster 100 and requests roasting.

그러면, 커피 로스터(100)는 조작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설정 값(예: 원두 투입량에 따른 건조, 로스팅, 냉각을 위한 온도 및 시간 등의 설정값)에 따라 로스팅을 수행한다. (S70)Then, the coffee roaster 100 performs roasting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panel (for example, set values such as temperature and time for drying, roasting, cool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bean sprouts). (S70)

그리고, 상기 수동 로스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커피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고, 커피 로스터(100)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고, 커피 로스터(100)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한다. 또한,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한다. 그리고, 로스팅 수행과정에서 검출되는 이들 검출 데이터를 메모리(110m)에 저장한다. (S80)During the manual roast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detects the inside and outside temperatures of the coffee roaster 100, detects the external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100, And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is detected. Further, a crack sound generated by the rapid expansion of the bean is detected. The detection data detected in the roasting process is stored in the memory 110m. (S80)

이후, 상기 수동 로스팅이 완료되면,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의 메모리(110m)에 저장된 검출 데이터들은 스마트 단말기기(200)로 전달되고,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된 로스팅 제어모듈(110)의 검출 데이터들(로스팅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S90 ~S 100) 또한, 상기 전달된 검출 데이터들(로스팅 데이터들)을 로스팅 관리서버(300) 측으로 전달한다. (S110)When the manual roasting is completed, the detec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110m of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200, and the smart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6, , And displays the detection data (roasting data) of the transferred roasting control module 110. (S90 to S100). Further, the transmitted detection data (roast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side. (S110)

그리고, 상기 검출 데이터들(로스팅 데이터들)을 수신한 로스팅 관리서버(300)는 이들 로스팅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새로운 데이터인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로스팅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커핑기록과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 (S120 ~ S130)Upon receiving the detection data (roaming data),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roasting data is new dat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sting data is new data,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Storage and management. (S120 to S130)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 예들이 제어부(110w, 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s 110w and 280 themselve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소(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부(110w, 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a storage (not shown)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s 110w and 28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기존의 커피 로스터에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장착하여, 스마트 단말기기(전용 태블릿)를 통해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 및 관리하고, 웹(예: 로스팅 관리 서버(300))을 통해 생두 재고관리와 로스팅 스케줄을 관리하고,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may b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offee roaster to check and manage the roasting status of the roaster 100 through a smart terminal device (dedicated tablet) )) To manage the stocking and roasting schedule, and to manage the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for the roasted coffee beans.

본 발명은 전용 태블릿으로 바로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작업을 모니터할 수 있어, 고성능의 커피 로스터(100)와 그 부속장비의 구매비용을 절약하고, 로스팅 작업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단축시켰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roasting opera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directly with the dedicated tablet, saving the purchase cost of the high performance coffee roaster 100 and its accessories, and effectively shortening the roasting working proces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커피 로스터 110 : 로스팅 제어모듈
110a : 온도 검출부 110b : 습도 검출부
110c : 풍속향 검출부 110d : 사운드 검출부
110m : 메모리 110n : 통신부
110w : 제어부 200 : 스마트 단말기기
300 : 로스팅 관리 서버
100: Coffee roaster 110: Roasting control module
110a: Temperature detection unit 110b: Humidity detection unit
110c: wind velocity direction detecting section 110d: sound detecting section
110m: memory 110n:
110w: control section 200: smart terminal device
300: Roasting management server

Claims (12)

소정의 센서들을 내장하여 로스터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로스터 배기 풍속, 그리고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로스팅 제어모듈(110)을 구비하는 커피 로스터(100)와,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을 통해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하고 로스팅 스케쥴을 관리하는 스마트 단말기기(200)와,
원두 종류별 로스팅 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생두 재고정보, 로스팅이나 커핑(cupping)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로스팅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
A roaster control module 110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ster, the wind speed of the roaster exhaust, and a crack sound by incorporating predetermined sensors,
A smart terminal 200 for checking the roasting condi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through the roasting control module and managing the roasting schedule,
And a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for storing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raw stock and stock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asting type control module for each bean type, and roasting or cupping relat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생두의 재고와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cupping)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
The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terminal device (200)
And records and manages cupping information on the stock of green beans and roasted coffee b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커피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10a)와,
커피 로스터(100)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부(110b)와,
커피 로스터(100)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풍속향 검출부(110c)와,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110d)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n)와,
무선통신으로, 각 검출부(110a, 110b, 110c, 110d)의 검출신호를 스마트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각 검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0w)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A temperature detector 110a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ffee roaster 100,
A humidity detector 110b for detecting the external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100,
An airstream direction detecting section 110c for measuring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section in the coffee roaster 100 and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A sound detection unit 110d for detecting a crack sound generated by a sudden expansion of the bean,
A communication unit 110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And a control unit 110w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detect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to the smar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the respective detection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Coffee roasting control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향 검출부(110c)는
풍속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배기청소를 위한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시스템.
The wind direc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exhaust cleaning when the wind speed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스마트 단말기기의 커피로스팅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로스팅할 원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자동 또는 수동 로스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자동 로스팅이 선택된 경우, 최적의 로스팅 제어정보를 로스팅 관리 서버(300)측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제어모듈(110)측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제어정보에 따라 커피 로스터(100)가 로스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동 로스팅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에 따라 커피 로스터가 로스팅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동 로스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이 로스터(100)의 각종 로스팅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동 로스팅이 완료되면, 스마트 단말기기(200)가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의 로스팅 데이터를 로스팅 관리서버(300) 측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로스팅 관리서버가 상기 전달된 로스팅 데이터를 커핑기록과 함께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of a smart terminal machine,
Receiving information of a bean to be roasted from a user,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for automatic or manual roasting;
When the automatic roasting is selected, requesting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side for optimum roasting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requested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transmitting the reques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of the coffee roaster 100,
Performing roasting of the coffee roaster (100) according to the delivered control information,
A step of roasting a coffee roaster according to a set value inputted by a user when the user's selection is manual roasting;
Detecting and storing various roasting data of the roaster (100) by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during the manual roasting,
When the manual roasting is completed, the smart terminal 200 transmits the roasting data of the roasting control module to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Wherein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stores and manages the transferred roasting data together with the cupping reco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센서들을 내장하여 로스터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로스터 배기 풍속, 그리고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Wherein a predetermined sensor is incorporated to detec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roaster, the wind speed of the roaster exhaust, and a crack s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을 통해 커피 로스터(100)의 로스팅 상황을 체크하고 로스팅 스케쥴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mart terminal (200)
Wherein the roasting control module checks the roasting condition of the coffee roaster (100) and manages the roasting sche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관리 서버(300)는,
원두 종류별 로스팅 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생두 재고정보, 로스팅이나 커핑(cupping)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asting management server (300)
Wherein the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raw stock and stock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ast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bean kinds, and roasting or cupping-related information are sto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200)는,
생두의 재고와 로스팅한 원두에 대한 커핑(cupping)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mart terminal (200)
And recording and managing cupping information on the stock of green beans and the roasted coffee bea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은,
커피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커피 로스터(100)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커피 로스터(100)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과정과,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로스팅 수행과정에서 검출되는 상기 각 검출 데이터들을 메모리(110m)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storing the roasting data comprises:
Det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temperatures of the coffee roaster (100)
Detecting the external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100)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by measuring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part in the coffee roaster (100)
A process of detecting a crack sound generated by a sudden expansion of the bean,
And storing the detected data detected in the roasting process in the memory (110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제어모듈(110)은,
커피 로스터(100)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110a)와,
커피 로스터(100)의 외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부(110b)와,
커피 로스터(100) 내 배기부의 풍속을 측정하여 댐퍼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풍속향 검출부(110c)와,
원두의 급격한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크랙(crack)음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110d)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n)와,
무선통신으로, 각 검출부(110a, 110b, 110c, 110d)의 검출신호를 스마트 단말기기로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각 검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0w)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asting control module (110)
A temperature detector 110a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ffee roaster 100,
A humidity detector 110b for detecting the external humidity of the coffee roaster 100,
An airstream direction detecting section 110c for measuring the wind speed of the exhaust section in the coffee roaster 100 and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amper,
A sound detection unit 110d for detecting a crack sound generated by a sudden expansion of the bean,
A communication unit 110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And a control unit 110w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detect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to the smart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the respective detection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Of coffee roast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향 검출부(110c)는
풍속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배기청소를 위한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팅 제어방법.
The wind direc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And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exhaust cleaning is generated when the wind speed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KR1020140058499A 2014-05-15 2014-05-1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KR201501315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99A KR20150131599A (en) 2014-05-15 2014-05-1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99A KR20150131599A (en) 2014-05-15 2014-05-1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99A true KR20150131599A (en) 2015-11-25

Family

ID=5484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99A KR20150131599A (en) 2014-05-15 2014-05-1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599A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1788B1 (en) * 2017-02-28 2018-01-17 山本 裕之 Method for predicting coffee bean occurrence time, apparatus for predicting coffee bean occurrence, coffee bean detection method, coffee bea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roasted coffee beans
WO2018021081A1 (en)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Green coffee bea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green coffee beans
KR20180052360A (en)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s relating brewing beer of beer mak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of provding the contents
KR101852376B1 (en) * 2017-11-16 2018-06-04 정화엠큐디(주) Coffee bean roasting method utilizing microwave heat
KR101973179B1 (en) * 2018-11-05 2019-04-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Grain roasting device and method
KR101971999B1 (en) * 2018-11-02 2019-08-16 유대현 Modular smart coffee laster
KR20190103555A (en) * 2018-02-27 2019-09-05 유삼석 Coffee roasting system
CN110292184A (en) * 2018-03-21 2019-10-01 西北农林科技大学 Fruits and vegetables radio frequency-negative pressure combination drying device
KR102035745B1 (en) * 2018-11-26 2019-10-23 유대현 Deep learning based roasting sharing system using Smart Roaster
KR20200044762A (en) * 2016-11-10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s relating brewing beer of beer mak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of provding the contents
KR20210020713A (en) * 2019-08-16 2021-02-24 채춘욱 Coffee Roaster System
KR20210076719A (en) * 2019-12-16 2021-06-24 서주은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US11344053B2 (en) 2017-11-16 2022-05-31 Jiyonson Co., Ltd. Assisting apparatus for bean roasting and bean roasting apparatus
WO2022253488A1 (en) * 2021-05-31 2022-12-0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2513387B1 (en) * 2022-01-26 2023-03-23 (주)비로소 Rosting system for coffee bea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021081A1 (en) * 2016-07-29 2019-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green beans, and terminal device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green beans
WO2018021081A1 (en)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Green coffee bea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green coffee beans
EP3491939A4 (en) * 2016-07-29 2019-07-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reen coffee bea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green coffee beans
KR20180052360A (en)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s relating brewing beer of beer mak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of provding the contents
US11537257B2 (en) 2016-11-10 2022-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beverage-making of a beverage-mak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US10852900B2 (en) 2016-11-10 2020-12-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beverage-making of a beverage-mak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KR20200044762A (en) * 2016-11-10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contents relating brewing beer of beer mak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method of provding the contents
WO2018159164A1 (en) * 2017-02-28 2018-09-07 山本 裕之 Coffee bean cracking occurrence schedule prediction method, coffee bean cracking occurrence schedule prediction device, coffee bean cracking detection method, coffee bean cracking detection device, and roasted coffee bean production method
JP6261788B1 (en) * 2017-02-28 2018-01-17 山本 裕之 Method for predicting coffee bean occurrence time, apparatus for predicting coffee bean occurrence, coffee bean detection method, coffee bea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roasted coffee beans
WO2018159165A1 (en) * 2017-02-28 2018-09-07 山本 裕之 Coffee bean cracking occurrence schedule prediction method, coffee bean cracking occurrence schedule prediction device, coffee bean cracking detection method, coffee bean cracking detection device, and roasted coffee bean production method
KR101852376B1 (en) * 2017-11-16 2018-06-04 정화엠큐디(주) Coffee bean roasting method utilizing microwave heat
US11344053B2 (en) 2017-11-16 2022-05-31 Jiyonson Co., Ltd. Assisting apparatus for bean roasting and bean roasting apparatus
WO2019098506A1 (en) * 2017-11-16 2019-05-23 정화엠큐디(주) Method of roasting raw coffee beans using microwave heating
KR20190103555A (en) * 2018-02-27 2019-09-05 유삼석 Coffee roasting system
CN110292184A (en) * 2018-03-21 2019-10-01 西北农林科技大学 Fruits and vegetables radio frequency-negative pressure combination drying device
KR101971999B1 (en) * 2018-11-02 2019-08-16 유대현 Modular smart coffee laster
KR101973179B1 (en) * 2018-11-05 2019-04-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Grain roasting device and method
KR102035745B1 (en) * 2018-11-26 2019-10-23 유대현 Deep learning based roasting sharing system using Smart Roaster
KR20210020713A (en) * 2019-08-16 2021-02-24 채춘욱 Coffee Roaster System
KR20210076719A (en) * 2019-12-16 2021-06-24 서주은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WO2022253488A1 (en) * 2021-05-31 2022-12-0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2513387B1 (en) * 2022-01-26 2023-03-23 (주)비로소 Rosting system for coffee be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159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ffee roasting
US11869332B2 (en) Remote cooking systems and methods
JP5789646B2 (en) Coffee maker and method and apparatus by the network
US9439530B2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CN109480313B (en) Coffee roast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ffee roasting machine
KR101511870B1 (en) System and method of real-time measuring acid value of frying oil and providing measurement information thereof
EP3214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ffee bean roasting
KR20170028973A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WO2015182067A1 (en) Cooking recipe supply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1761701B2 (en) Refrigerator inventory device
CN107456084A (en) A kind of intelligent infuse tea system, Intelligent teacup and its control method
CN108458376A (en) Food identifies heating means, micro-wave oven, control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a
CN105578351B (en) The method for playing music and intelligent sound box system of intelligent sound box system
EP3809925B1 (en)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whole grains such as whole grain rice
WO202001152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CN107783432A (en)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cooking equipment
Xu et al. Smart coffee roaster design with connected devices
KR20160126223A (en) Device for display a roasting state of meat
TW201542104A (en) Coffee bean ba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8245028B (en) Method for displaying cooking information, system for displaying cooking information and cooking device
CN109953634B (en) Cooking method,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lian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632271A1 (en)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whole grains such as whole grain rice
JP2007264816A (en) Sales information analysis program, sales information analysis server device, vending machine system and sales information analysis method
TWM501111U (en) Baking research assisting system and signal detector used by the same
TWI761021B (en) Bean-roasting control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