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712A -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712A
KR20150130712A KR1020140057640A KR20140057640A KR20150130712A KR 20150130712 A KR20150130712 A KR 20150130712A KR 1020140057640 A KR1020140057640 A KR 1020140057640A KR 20140057640 A KR20140057640 A KR 20140057640A KR 20150130712 A KR20150130712 A KR 20150130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oor
door opening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선
Original Assignee
김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선 filed Critical 김경선
Priority to KR102014005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712A/en
Publication of KR2015013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enabling various processes for security done by a user by referring to a monitoring state of an entrance provided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trance opening device is combined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entrance opening device provides a 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after taking the image through a camera when a change at entrance, satisfying service condition is sensed, and a service is performed based on entranc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application to be linked with the entrance opening device, and the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entrance opening devic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window by automatically executing the application based on an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entrance opening device. Also, the entrance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entrance opening device.

Description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문 상태감시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 출입문의 감시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안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oor control system which can provide door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to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so that a user can easily perform various security processes according to a monitoring state of a door at home or at a remote place To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출입문 개폐장치로서는 금속 열쇠를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 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계식 도어 락은 자물쇠의 개폐수단인 금속열쇠의 분실 및 복제 문제로 인하여 보안성이 취약하였다.As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 mechanical door lock which uses a metal key to open and close a door has been mainly used. However, the above-mentioned mechanical door lock has a poor security due to the loss and duplication of the metal key which is a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ck.

이에, 현재에는 상기한 기계식 도어락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전자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락, 비밀번호를 키 입력하여 개폐하는 도어 락, 음성 인식이나 지문 인식 등을 이용환 도어 락 등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mechanical door lock,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a key,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key by inputting a password, and a door lock for voice recognition and fingerprint recognition have been developed .

그러나, 상기한 도어 락은 단순히 출입문의 개폐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핵가족화 및 맞벌이 가족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집 침입 등의 지능화된 사회범죄에는 아직도 도어락의 보안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door lock merely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Especially, security of the door lock is still a problem in the intelligent social crime such as the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e of the dual-income family, to be.

[관련문헌정보][Rela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1.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특허출원번호 : 10-2004-0014414)1. Method for checking door lock and access history information storing access history informatio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14414)

2.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도어 락 (실용신안출원번호 : 20-2004-0015849)2. User-identifiable door lock (utility model application number: 20-2004-001584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출입문 상태감시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 출입문의 감시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안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door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to pre-registered user terminals so that a user can easily perform various security processe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state of a door at home or at a remote pla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telligent digital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은 출입문 개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출입문 앞을 촬영한 후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근거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하여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oupl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detecting a door state change satisfying a service condition A camera is driven to capture a front door, and then a photographed state monitoring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door access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And an application (AP) for interlocking wit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utomatically executes an application (AP) based on an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o display a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In addition to the display output box, Ryeokdoen the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은 출입문 개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를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단말로 알람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카메라를 구동하는 출입문 앞을 촬영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근거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하여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 제공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being coupl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a change in a door state satisfying a service condition; and providing alarm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a change in the door state satisfying a service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AP) based on an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t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rough a display window , A door selected by the user at the user terminal A fourth step of providing door information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door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도 자신의 사용자단말을 통해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 출입문의 감시상태에 따른 다양한 보안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보안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perform various security processes according to a monitoring state of a door at home or at a remote place through his or her own user terminal at home or at a remote place,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a specific place do.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표시창(230)을 통해 제공되는 출력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functionally separated.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1 functionally separate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put screen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230 shown in FIG.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shown in FIG. 1.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은 출입문 개폐장치(100)가 통신망(1)을 통해 사용자단말(20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coupled with a user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

여기서, 상기 통신망(1)은 유선망 또는 무선망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Ethernet이나, WiFi, LAN, 3G/4G 등의 통신망이 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 may be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and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Ethernet, WiFi, LAN, or 3G / 4G.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앞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초인종이 눌려지는 등의 출입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출입문 앞을 촬영한 후 그 상태감시 영상을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태감시 영상은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 door, and when a change in door state such as an operation in front of the door is detected,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or a buzzer is pressed, And provides the status monitoring image to the pre-registered user terminal 200. Here, the status monitoring image may include voi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등록된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에 대응되도록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출입문 앞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Als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open / close a do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200,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r to perform a voice communication with a person in front of the door.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기본적으로 통신망(1)을 통한 통신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태감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을 구비한 각종 형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 PC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various types of terminals having a display window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as well as a status monitoring imag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a smart TV, a PC, or the like.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출입문 개폐장치(100)와 연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어플리케이션(AP)의 실행을 통해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근거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하고, 이후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n application AP for interlocking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 through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P, do.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automatically executes an application (AP) based on the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and then displays the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And provides the door control device 100 with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display output box.

한편, 도2는 도1에 도시된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functionally separated.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제1 정보입력부(110)와, 센서부(120), 카메라(130), 도어개폐구동부(140), 스피커(150), 마이크(160), 제1 통신접속부(170), 제1 데이터메모리(180), 제1 제어부(190) 및 제1 전원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camera 130, a door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140, a speaker 150, a microphone 160, A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170, a first data memory 180, a first control unit 190, and a first power supply unit 101. [

여기서, 상기 제1 전원부(101)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각 장치로 동작 전원(Vcc)를 제공한다.Here, the first power source unit 101 is constituted by a battery, and supplies the operation power source Vcc to each of the devices.

또한, 상기 제1 정보입력부(110)는 출입문 관련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한 것으로, 키패드와, 초인종, RFID 통신모듈, NFC 통신모듈 , USIM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10 may be a keypad, a buzzer, an RFID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 USIM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출입문 앞에 물체,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와, 출입문의 충격상태를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n object in front of a doorway, more specifically,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other party, and 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state of the doorway.

또한, 상기 카메라(130)는 출입문 앞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화각이 160°이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130 is for capturing an image in front of a doorway, and may be constituted by a camera having an angle of view of 160 °, for example.

또한, 상기 도어개폐구동부(140)는 출입문을 기계적으로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rive unit 140 is for mechanically opening or closing the door,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general,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스피커(15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경보음을 출력한다.Also, the speaker 150 outputs a user's voice or alarm sound.

또한, 상기 마이크(160)는 출입문 앞의 사람, 즉 상대방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Also, the microphone 160 is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person in front of the door, that i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또한, 상기 제1 통신접속부(170)는 사용자단말(20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예컨대, WiFi모듈, LAN 모듈, 3G/4G 모듈, 이더넷 모듈 등이 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70 may be a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a WiFi module, a LAN module, a 3G / 4G module, an Ethernet module,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메모리(180)는 서비스를 제공할 가입자의 단말정보와, 비밀번호, 서비스 조건, 서비스 내용, 서비스 내용별 우선순위정보 등이 저장되는 설정정보저장부와,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정보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 조건은 제1 정보입력부(110)의 초인종이 입력되거나, 키패드를 통해 수 회 이상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거나,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출입문 앞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또는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내용은 출입문의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메모리(180)는 내부 SD카드 또는 USB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data memory 180 includes a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subscriber to provide a service, password, service condition, service content, priority information by service content, And an imag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display unit. Here, the service condition may be a service condition such as a buzzer of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10, a wrong password input several times through the keypad, an operation in front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unit 120, It may be the cas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service may be information such as performing a voice call with a partner of a door, opening a door, 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Also, the first data memory 180 may be composed of an internal SD card or USB.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90)는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서비스 조건정보, 예컨대 제1 정보입력부(110)의 초인종이 입력되거나, 키패드를 통해 수 회 이상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거나,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출입문 앞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또는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메모리(180)에 등록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서비스 절차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제어부(190)는 서비스 조건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접속부(17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단말(200)로 알람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130)를 구동하여 출입문 앞의 상태를 촬영하여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또한,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근거로 스피커(160) 및 마이크(170)를 통해 출입문 앞의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제공하거나, 도어개폐구동부(140)를 통해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스피커(16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Also, the first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as a whole. That is, the first control unit 190 may receive preset service cond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buzzer of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10, a wrong password inputted several times through the keypad, or the like through the sensor unit 120 When an operation in front of a door is detected or an impact is applied to a door, a service procedure is performed according to contents of the service registered in the first data memory 180. For example, when the service condition information is satisfied, the first controller 190 provides the alarm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register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70, And provides the photographed 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0064]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voice call with a person in front of the door through the speaker 160 and the microphone 170 based on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through the door opening / Or generates an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9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원격지의 외부 메모리, 예컨대 웹 하드나 클라우드 등에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90 may store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in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web hard or a cloud.

한편, 도3은 도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2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0)은 제2 통신접속부(210)와, 제2 정보입력부(220), 표시창(230), 정보출력부(240), 제2 데이터메모리(250), 제2 제어부(260) 및, 제2 전원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10, a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220, a display window 230, an information output unit 240, a second data memory 250, A second control unit 26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270.

상기 제2 통신접속부(210)는 출입문 개폐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예컨대, WiFi모듈, LAN 모듈, 3G/4G 모듈, 이더넷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10 may be, for example, a WiFi module, a LAN module, a 3G / 4G module, an Ethernet module, or the like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상기 제2 정보입력부(220)는 출입문 제어관련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키패드, 마이크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창(230)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220 may be a key pad, a microphone, or the like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door control. The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220 may be formed as a touch pad on the display window 230.

상기 표시창(230)은 상기 출입문 제어 관련 각종 화면정보를 표시출력한다.도4는 표시창(23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동영상(231)과, 통화버튼(232), 출입문 열림 버튼(233), 출입문 닫힘 버튼(234), 녹화 중지 버튼(235), 음 소거 버튼(236), 경보음 온/오프 버튼(237), 긴급연락버튼(238), 녹화영상 보기 버튼(239)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시창(230)의 일측에는 통신망 연결상태와 상태감시 영상 저장상태 및 환경설정/등록 버튼이 표시출력될 수 있다.The display window 230 displays various kinds of scre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oor control. FIG. 4 illustrates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30.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nitoring video 231, An emergency button 238, an emergency stop button 238, an emergency stop button 232, a door opening button 233, a door closing button 234, a recording stop button 235, a mute button 236,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view button 239. In addition,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tatus, a status monitoring video storage status, and a configuration / registration button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window 230.

상기 정보출력부(240)는 출입문 제어 관련 각종 정보를 음성 또는 기록지형태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정보출력부(240)를 USB 등의 외장 메모리와 결합하여 외부장치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결합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outpu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door control in the form of voice or recording pap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may include a coupling port for coupling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40 with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USB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제2 데이터메모리(250)는 출입문 제어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포함하는 출입문 제어관련 정보를 저장한다.The second data memory 250 stores door control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door control related application and a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통신접속부(210)를 통해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알람정보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230)을 통해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창(23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서비스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내용 버튼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태감시 영상을 확인하여, 출입문의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112 긴급 연락을 취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alarm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10 while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and installed, the second control unit 260 automatically executes the application, A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30 as shown in FIG. 4, and a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service items displayed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230 And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utton. In other words, the state monitoring image is checked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with a partner of a door, opening a do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making emergency call 112.

상기 제2 전원부(270)는 상기 각 장치로 동작 전원(Vcc)를 공급한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70 supplies the operation power Vcc to each of the devices.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함과 더불어,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장치(100)에 서비스 환경 설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환경 설정 정보의 등록은 출입문 개폐장치(100)의 제1 정보입력부(110)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출입문 개폐장치(100)에 서비스 제공받을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정보, 예컨대 휴대단말번호와, 비밀번호, 긴급통화 메시지, 긴급통화시 전송화면, 경보음 종류, 서비스 조건, 서비스 종류, 서비스 내용 등을 등록한다.First, the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registers various information for setting the service environment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installed in the entrance door.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of the ser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10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or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That is, the user inputs user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number, a password, an emergency call message, an emergency call transmission screen, an alarm sound type, a service condition, And so on.

상기한 상태에서,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기 등록된 서비스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감시한다(ST1). 즉,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초인종이 입력되는지, 수 회 이상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는지, 출입문 앞에서 동작이 감지되는지 또는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는지를 감시한다.In the above state,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monitors whether the pre-registered service condition is satisfied (ST1). That is,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monitors whether a buzzer is input, a password is mistakenly inputted more than several times, an operation is detected in front of a door, or an impact is applied to a door.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ST1 단계에서 서비스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함과 더불어(ST2), 카메라(130)를 구동하여 출입문 앞을 촬영한다(ST3).  If the service condition is satisfied in step ST1,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T2), and drives the camera 130 to photograph the entrance door (ST3).

한편, 사용자단말(200)는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정보를 근거로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ST4), 응답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 제공한다(ST5).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200 automatically executes the installed application based on the alar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ST4) and provides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ST5 ).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응답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T6). 이때,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제1 데이터메모리(180)에 저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등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알람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통신망(1)을 통해 웹 하드나 클라우드 등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상태가 원활하게 되는 경우, 즉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상태 불량으로 전송되지 못하고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감시 영상을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provides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information (ST6). If the respons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status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to the first data memory 180 ). ≪ / RTI >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e registered,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sequentially transmits alarm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riority, if the respons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status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 It can b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web hard or a cloud.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is smooth, that is,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 can not be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state defective, And provides the stored 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예컨대 도4와 같은 형태로 표시출력한다(ST7). 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status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through a display window,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ST7).

사용자는 원격지 또는 댁내에서 자신의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출입문 밖의 상황을 확인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출입문 개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상태감시 영상을 확인하여, 출입문 앞의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200)는 선택된 서비스 버튼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어정보를 출입문 개폐장 치(100)로 제공한다(ST8).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긴급서비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경찰서 등의 긴급기관과의 긴급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200)는 긴급기관으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긴급상황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상황메시지는 사용자의 주소정보와 연락처정보 및 상태감시 영상 캡쳐 화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confirms the situation outside the door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t the remote site or the premises, selects the corresponding service control item, and provides the selected door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service butt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checking a status monitoring image, performing a voice call with a partner in front of a door, opening a door, 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Provides service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rvice button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100 (ST8). At this time, when the emergency service button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n emergency call service with an emergency agency such as a police station.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mergency message pre-registered by a user as an emergency agency. Here, the emergency message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user, contact information, and status monitor image capture screen information.

한편,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과 통신하여 출입문 앞의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ST9).On the other h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to provide a service such as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with a party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a door, or outputting an alarm sound (ST9).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앞의 상태감시 영상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실시하였으나, 제3 자가 댁내에 침입하는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댁내에 댁내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댁내 카메라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긴급상황 서비스 선택시 자동으로 댁내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성되고, 촬영된 댁내 상태감시 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댁내 카메라는 WiFi 웹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ate monitoring image in front of the door is provid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to the user termin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arrange a home-use camera in the house in consideration of a situation where a third party intrudes into the house . At this time, the home-use camera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home state when the emergency servic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the home-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Here, the home camera may be configured as a WiFi web camera.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미리 등록한 사용자단말을 통해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 출입문 앞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in front of the door at home or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and selectively perform various control processes corresponding thereto.

100 : 출입문 개폐장치, 200 : 사용자단말,
110 : 제1 정보입력부, 120 : 센서부,
130 : 카메라, 140 : 도어개폐구동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
170 : 제1 통신접속부, 180 : 제1 데이터메모리,
190 : 제1 제어부, 101 : 제1 전원부,
210 : 제2 통신접속부, 220 : 제2 정보입력부,
230 : 표시창, 240 : 정보출력부,
250 : 제2 데이터메모리, 260 : 제2 제어부,
270 : 제2 전원부,
1 : 통신망.
100: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200: user terminal,
110: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120: sensor unit,
130: camera, 140: door opening and closing door,
150: speaker, 160: microphone,
170: first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80: first data memory,
190: first control section, 101: first power source section,
210: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20: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230: display window, 240: information output section,
250: second data memory, 260: second control section,
270: second power supply unit,
1: Network.

Claims (21)

출입문 개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출입문 앞을 촬영한 후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근거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하여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drives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entrance door when a change in the door state satisfying the service condition is detected, and provides the taken 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o perform a service corresponding thereto,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pplication (AP) for interlocking with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an application (AP) based on an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d output the surveillance image through the display window and to provide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와 사용자단말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초인종이 입력되는지, 수 회 이상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는지, 출입문 앞에서 동작이 감지되는지 또는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drive the camera when at least one service condition is satisfied, that is, a buzzer is input, a password is mistakenly inputted more than several times, an operation is detected in front of a door, or an impact is applied to a door The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알람정보에 대해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해당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provide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when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with respect to alarm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알람정보에 대한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내부 또는 원격지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store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 an internal or remote memory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alarm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사용자단말을 적어도 둘 이상 등록함과 더불어, 각 사용자단말에 대한 우선순위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우선순위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알람정보에 대한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차 우선순위의 사용자단말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registers at least two user terminals, registers prior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terminal, and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alarm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priority ord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o send alarm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of a prior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출입문 앞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하는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provide a service of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with a person in front of the door based on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opening or closing a door,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긴급통화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perform an emergency call service based on door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n appl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긴급상황 메시지를 해당 긴급처리기관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emergency process message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to the emergency processing facil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메시지는 주소정보와 연락처정보 및 상태감시 영상 캡쳐 화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mergency message comprises address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status monitor image capture scree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댁내에 구비되는 댁내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댁내 카메라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긴급상황 서비스 선택시 자동으로 댁내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댁내 상태감시 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house camera provided at the premises whe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Wherein the home-use camera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home state when the emergency servic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the taken home-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출입문 개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를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 출입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단말로 알람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카메라를 구동하는 출입문 앞을 촬영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알람신호를 근거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AP)을 실행하여 출입문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태감시 영상을 표시창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로 제공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 A control method for a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in which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step of monitoring a change in a door state satisfying a service condition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 second step of providing alarm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change in the door state satisfying the service condition is detected in the first step and capturing an entrance door for driving the camera,
A third step of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AP) on the basis of the alarm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t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tate monitoring image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rough the display window,
A fourth step of providing door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a user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t the user terminal,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초인종이 입력되는지, 수 회 이상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는지, 출입문 앞에서 동작이 감지되는지 또는 출입문에 충격이 가해지는지의 출입문 상태 변화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in the first step,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monitors a change in door state of whether a buzzer is input, a password is mistakenly inputted several times or more, an operation is detected in front of a door, or an impact is applied to a door, Method of controlling door acces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알람정보에 대해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해당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provides the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or the alarm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third step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알람정보에 대한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태감시 영상을 내부 또는 원격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stores a state monitor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 an internal or remote memory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alarm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사용자단말을 적어도 둘 이상 등록함과 더불어, 각 사용자단말에 대한 우선순위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우선순위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알람정보에 대한 응답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차 우선순위의 사용자단말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registers at least two user terminals, registers prior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terminal, and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alarm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priority ord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of a priority or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출입문 앞 상대자와 음성통화를 수행하거나,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하는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fifth step,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may provide a service, such as performing a voice call with a person in front of the door based on the door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opening or closing a door,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Said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출입문 제어정보를 근거로 긴급기관과 긴급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ser terminal performs an emergency call with an emergency institution based on door control information selected and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n application in the fourth step.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긴급상황 메시지를 해당 긴급기관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user terminal provides an emergency message pre-registered by a user to a corresponding emergency agenc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메시지는 주소정보와 연락처정보 및 상태감시 영상 캡쳐 화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emergency message comprises address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status monitor image capture screen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은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댁내에 댁내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댁내 카메라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긴급상황 서비스 선택시 자동으로 댁내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댁내 상태감시 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house camera installed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Wherein the home-use camera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home state when the emergency servic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the taken home-state monitor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KR1020140057640A 2014-05-14 2014-05-14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1307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40A KR20150130712A (en) 2014-05-14 2014-05-14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40A KR20150130712A (en) 2014-05-14 2014-05-14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12A true KR20150130712A (en) 2015-11-24

Family

ID=5484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40A KR20150130712A (en) 2014-05-14 2014-05-14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712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55A (en)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20190138638A (en) * 2017-04-10 2019-12-13 인벤티오 아게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and face recognition
KR20200048418A (en) * 2018-10-30 2020-05-08 문창훈 Smart door lock
KR20210025909A (en) * 2019-08-28 2021-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210069256A (en) * 2019-12-03 2021-06-11 (주)네모 The managerial system of front door or its managerial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55A (en)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20190138638A (en) * 2017-04-10 2019-12-13 인벤티오 아게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and face recognition
KR20200048418A (en) * 2018-10-30 2020-05-08 문창훈 Smart door lock
KR20210025909A (en) * 2019-08-28 2021-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210069256A (en) * 2019-12-03 2021-06-11 (주)네모 The managerial system of front door or its manageria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20210110686A1 (en)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US8120459B2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US8675071B1 (en)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US10540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US10282927B1 (en) Access control provisioning
CN103926890A (en) Intelligent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4597883A (en) Intelligent indoor hom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150130712A (en) Intelligent Digital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276292B2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CN104104910A (en) Terminal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live sharing and intelligent monitoring and method thereof
CN103955968A (en) Compound security attendance device and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CN104620290A (en) Security arrangement and method therfor
KR101680746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KR20100009883U (en) Remote security system for coming and out applied door lock
US10965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 television into a connected-home monitoring system
JP2014236697A (en)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for gateway
JP2008306534A (en) Apparatus control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ntrol device
CN104168452A (en) Monito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50137539A (en)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7945341A (en) Intelligent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1064168B1 (en) Video monitoring by peep hole device
KR101668342B1 (en) monitering apparatus for inside of a safe
KR101818495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202652537U (en) Security host with multiple communication backup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