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391A -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391A
KR20150128391A KR1020140055728A KR20140055728A KR20150128391A KR 20150128391 A KR20150128391 A KR 20150128391A KR 1020140055728 A KR1020140055728 A KR 1020140055728A KR 20140055728 A KR20140055728 A KR 20140055728A KR 20150128391 A KR20150128391 A KR 2015012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y
data
time
mobile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태영
이준형
유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탐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탐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탐생
Priority to KR102014005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391A/en
Priority to PCT/KR2015/004487 priority patent/WO2015170863A1/en
Publication of KR2015012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nd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The method assures the time for enabling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resist temptation such as various kinds of push alarms and games, and to completely concentrate on study, checks practical study time for each specific target, provides statistical data for the study time, provides data on comparison with other users, and share the study data between study groups to motivate students to study harder. To this end,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using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study start step of having the user input study start information and starting to measure the study time; a lock screen setting step of setting a lock screen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blocking step of blocking the push alarms; a study terminating step of having the user input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and terminating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a study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at least one among the measured study time, the study start time and the study termination ti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study disturbing elements of a smartphone, and simultaneously measures and analyzes the study time for each specific target to make the smartphone practically help the study.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및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 Desc / Clms Page number 1 >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푸시알람과 게임 등의 유혹에서 벗어나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한편, 특정 목표별 실질적인 공부시간을 파악하고,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데이터를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간 공부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and moreov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time for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concentrate on studying, Providing study data to grasp practical study time per specific goal, to provide statistical data on study time, to provide comparison data with other users, to share learning data among study groups and to inspire users' motivation to learn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수능 고득점, 자격증 취득, 고시 합격 등의 명확한 목표를 위해 공부하는 학습자들은 최근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겪고 있다. 대한민국의 전 국민의 절반가량이 스마트폰을 쓰는 가운데,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의 2011년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10명 중 적어도 2명 가량이 스마트폰 중독 상태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 이용자는 모바일 메신저와 게임, 뉴스 검색 등을 하는 데 하루 평균 4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조사된다고 보고되는 실정이다.Learners who study for clear goals such as high school scores, certification, and passing examinations are experiencing a new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About half of all Koreans are using smartphones, according to a 2011 survey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t least two out of ten teenagers were found to be addicted to smartphones. It is reported that smartphone users spend an average of 4 hours per day on mobile messenger, games, and news search.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사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발표한 "2012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10~49세 스마트폰 이용자 1만68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사에서 성인(만 20~4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9.1%로 집계된 반면, 청소년(만 10~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18.4%로 10대들의 중독률이 가장 높았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가장 높다는 사실은, 스마트폰에 의해 청소년들의 집중력이 가장 많이 와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Smartphone addictio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aily use of the smartphone is hindered by overuse. According to the "2012 Internet Addiction Survey" released by the Ministry of the Future Creation Sci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on 10,683 smartphone users aged 10 to 49, the rat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ults (aged 20 to 49) 9.1%, while 18.4% of teenagers (10 ~ 19 years old) had the highest rate of addiction. The fact that adolescents have the highest rate of addiction to smartphones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of adolescents is most affected by smartphones.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한가지 문제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비단 스마트폰에 중독된 정도가 아니라도 충분히 발생될 수 있는 문제이다. 이러한 사실은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다. 즉 스마트폰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인식이 발생된지는 오래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다시 종래에 이용되던 피처폰(feature phone)으로 회귀하는 사용자도 발생되고 있다.Smartphones prevent users from concentrating on one problem at all. This is a problem that can occur enough not to be addicted to smartphones. This fact is publicly known to most smartphone users.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realized that the smartphone would interfere with my study. In recent years, some users have returned to the conventional feature phone.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의 포기가 과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첫째로 스마트폰 사용의 포기는 정보 접근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특히나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수험생에 있어서,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거나, 학습에 도움되는 각종 콘텐츠를 필요할 때 바로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수험생들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둘째로 불가피하게 스마트폰의 사용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정 사용기간을 들 수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구매는 2년이라는 약정 사용기간을 수반한다.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abandonment of the use of smart phones will solve these problems. First, abandonment of smartphone usage means loss of access to information. Particularly for candidates who need to use limited time efficiently, they can be taken away from competition with other candidates if they can not take Internet lectures anytime and anywhere, Secondly, it can be inevitable that the use of smartphones can not be avoided. For example, the contract term is used worldwide, and smartphone purchases are accompanied by a two-year contract term.

결국 수험생 등의 학습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해도 집중력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도 위에 언급된 문제가 발생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In the end, learners such as examinees have a problem of concentration loss even when using a smartphone and fall into the dilemma of having the above problems without using a smartphon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9744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스케줄 관리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특허문헌에서는 사용자에게 일일학습일지를 네트워크 상에 업로드할 것을 강제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교사와 같은 제3자가 사용자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기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본 특허문헌에 따른 발명에 의하더라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문제점을 여전히 해소할 수 없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49744 proposes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a network. In this patent document, a method is proposed in which a user, such as a user or a teacher, facilitates managing a user's learning schedule by forcing a user to upload a daily learning journal onto a network. However, even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patent document can not solve the problem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5275에서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수강생 단말기와 학원 단말기를 연결하고, 수강생의 특정 교재별 학습량, 학습 정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산출하는 등의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0955275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집중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개시되지 않았고, 등록특허 10-0955275에 따른 발명에 의하더라도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공부에 방해가 되는 것은 여전하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5275 provide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such as connecting a learner terminal and a learner terminal using a network and measuring learning amount and learning degree of a learner by a specific teaching material and calculating it as data.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0-955275 does not disclose a problem to solve the problem of concentration loss caused b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ev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10-0955275, It is still a hindrance to study.

위에 언급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정보 접근력을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력 방해, 집중력 와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나아가 스마트폰이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dilemma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o use a smartphone to maintain information accessibility, but also to solve problems of concentration and disturbance caused by the smartphone, and furthermore, An appli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so as to be able to be used, and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공부시작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잠금화면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푸시알람과 게임 등의 유혹에서 벗어나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한편, 특정 목표별 실질적인 공부시간을 수집하여 파악하고,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데이터를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간 공부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lock screen by blocking a network at the start of a study so that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free from temptation of various push alarms and games,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for collecting and acquiring study hours, providing statistical data on study hours, providing comparison data with other users, and sharing research study data among study groups to encourage users' motivation to learn, and And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목적은,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tudy start step in which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nd measurement of a study time starts; A lock screen control step wherein the screen is controlled such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interruption step in which the push alarm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is blocked; A study termination step of inputting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erminating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And a study data storing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the study time, the study start time, and the study end time is stored as study data.

또한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상기 공부데이터 송신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공부데이터를 수신하는 공부데이터 수신단계;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수신된 공부데이터를 시간별, 목표 시험별, 지역별, 학교별, 생년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분석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수신하는 분석데이터 수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oviding the study data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via the wireless network after the study data storage step; A study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study data from the server; An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analyzing the received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at least one of time, target test, region, school, year of birth, grade, and study time; An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nalysis data generated by th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 analysis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analysis data transmitted.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 수신단계 이후에, 수신된 상기 분석데이터와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분석데이터 비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alysis data comparison step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nd comparing and displa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data received and the stored study data of the user after the analysis data reception step.

또한 상기 공부시작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공부시간을 측정하려는 특정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목표에 대한 합격자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합격자 데이터 수신단계; 및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합격자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합격자 데이터 비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goal setting step of setting a specific goal for the user to measure the study time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 wherein, after the step of storing the study data, the acceptor data for the specific goal stored in the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 acceptor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n accepter data; And a passer data comparison step of calculating and comparing and displa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data of the user and the received passer data.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복수 사용자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시간별, 목표 시험별, 생년별, 지역별, 학교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된 분석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서 제공받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한 분석데이터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항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분석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alysis data analyzed based on at least one of time, target test, birth year, region, school, grade and study time based on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A mobile terminal provided by a serv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An input unit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analysis data reques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put unit to the server and controlling the analysis da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study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rough the transceiv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nalysis data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tudy data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A starting study phase; A lock screen control step wherein the screen is controlled such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interruption step in which the push alarm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is blocked; A study termination step of inputting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erminating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And a study data storage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the study time, the study start time, and the study end time is stored as study data;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 Media can be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공부 방해요소를 차단하는 동시에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이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출원인의 사회적 성공에 의해 추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3년 11월 25일 베타 서비스를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store)에 업로드 한 이후, 출시 3개월 만에 교육 어플리케이션 부문 1위를 차지하였고, 출원일 현재 20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가 실시된 바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martphone from learning by interrupting the study interruption factor of the smartphone and measuring and analyzing the study time per specific target. This effect can be attributed to the applicant's social suc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d the first place in educational application category within three months after the beta service was uploaded to Google Play (https://play.google.com/store) on November 25, 2013, More than 200,000 downloads have been made.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공부데이터, 분석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공부 의욕이 고취되고, 구동력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tivation of the user is inspired by the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공되는 해당 사용자의 공부데이터, 타 사용자의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에 의해 개인 사용자와 그룹의 자기반성과 경쟁심이 유발되는 효과가 있다.Third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has self-reflection and competition of an individual user and a group by the provided study data of the user, study data of another user, or analysis data.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생님이나 학부모가 관리 범위 내의 학생들에 대한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학생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Fourth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acher or the parents can receive the study data and the analysis data for the students within the management range, the management of the student can be facilitated.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공부시간을 평가하여 사용자가 학습의 결과가 아닌, 학습의 과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과정에 충실하게 되어 공부할 때 결과에 집착하여 집중력이 저감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과에 따른 무력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Fif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valuate the study time so that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of the learning. According to this, the user becomes faithful to the process and is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result when studying, so that the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and the powerlessness due to the result can be prevent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이동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단계별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공부데이터 분석방법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 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초기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히스토리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일간통계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주간통계 화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월간통계 화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공부시작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1 is a simplifi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of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of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ep-by-step function of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 server and a method for analyzing study data of a mobile terminal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for study group data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 study group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alysis data provided for a study group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ily statistics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ekly statistic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thly statistic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llustrates a study start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공부데이터 제공방법How to provide study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크게 설정단계(S10), 공부시간 측정단계(S20), 공부시간 종료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앱"이라는 줄임말로 병기될 수 있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tting step (S10), a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and a study time end step (S30). Hereinafter, an applic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app"

설정단계(S10)는 공부시간 측정을 위한 준비 단계이다. 설정단계(S1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00), 환경설정 및 목표설정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단계이다. 환경설정단계에서는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동안의 전화, 문자 또는 인터넷 차단여부, 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허용 어플리케이션), 공부 목표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날짜가 변경되는 시간을 사용자가 주로 공부를 끝내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목표설정단계에서는 자격증, 취업, 고시, 유학, 외국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의 대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목표를 설정한 후에, 과목, 구체적 범위 등의 소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공부시간의 측정은 대목표, 소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측정될 수도 있고, 소목표에 대해서만 공부시간을 측정하여 대목표에 대한 공부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The setting step S10 is a preparing step for the study time measurement. The setting step S10 may include an application installing step, an application executing step S100, an environment setting and a goal setting step S120. The application installing step is a step of downloading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execution step (S100) is a step of executing the installed application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In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or not to block the telephone, text or internet while measuring the study time, the blocking exception application (permitted application), and the target time for studying.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date is changed can be set as a time at which the user mainly finishes the study. At the goal setting stage, major goals such as qualifications, employment, notice, study abroad, foreign langu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be set. Also, after setting a large goal, you can set small goals such as subject and specific scope.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may be measur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large target and the small target, and the study time for the large target may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study time only for the small goal.

공부시간 측정단계(S20)는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공부시간 측정단계(S20)는 공부시작정보 입력단계(S200),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 차단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시작정보입력단계(S200)는 사용자가 특정 목표별로 공부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기에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면,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된다.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동시에 잠금화면이 표시되고, 푸시알람이 차단될 수 있다. 푸시알람의 차단은 비행기모드의 설정으로 전화, 문자 및 인터넷 모두가 차단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전화 및 문자는 허용하고 인터넷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차단하는 방식 이외에도 단순히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tudying time measuring step S20 is a step of measuring the studying time per specific target. The studying time measuring step S20 may include a start study information input step S200, a screen lock and a push alarm interception step S220. The study start information input step (S200) is a step for the user to start the study time measurement for each specific goal. When the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starts. At the same time that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starts,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and the push alarm can be interrupted.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by setting the airplane mode to block all of the telephone, text and the Internet, and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telephone and the text are permitted and only the Internet is blocked. In addition,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like manner that is not simp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lock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공부시간 측정단계(S20)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허용 어플리케이션은 잠금화면 내에 아이콘이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공부시간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 내에는 측정되는 공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공부시간은 하루의 총 공부시간 및 현재 공부시간 측정 중인 목표에 대해 공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execution can be stopped except for the permitted application. The allowable application may display icons separately in the lock screen. The execution of the permissive application can be set so as not to affect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In addition, the study time to be measured can be displayed in the lock screen. The displayed study time may be the total study time of the day and the study time of the goal being measured.

또한 공부시간 측정단계(S20)에서는 잠금화면에서 공부시간의 측정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일시정지된 잠금화면의 상태에서는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목표를 변경할 수 있다. 목표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목표에 대한 공부시간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In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can be temporarily stopped on the lock screen. In the state of the paused lock screen, the goal of measuring the study time can be changed. If you change the goal, you can start to measure the study time for the changed goal.

공부시간 종료단계(S30)에서는 측정되는 공부시간을 종료하고, 측정된 공부시간을 표시하고, 측정된 공부시간을 토대로 각 목표별 공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공부시간 종료단계(S30)는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 공부데이터 저장단계(S320),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 공부데이터 수신단계(S340), 공부데이터 분석 및 분석데이터 생성단계(S350), 분석데이터 송신단계(S360), 분석데이터 표시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udy time end step S30, the study time measured is displayed, the measured study time is displayed, and the study data for each goal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measured study time. The study termination step S30 includes inputting the studying end information S300, storing the study data S320, providing the study data S330, receiving the study data S340, S350, an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S360, and an analysis data display step S370.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는 사용자가 공부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 특정 목표의 공부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기에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면,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된다. 동시에 화면 잠금이 해제되고, 푸시알람 차단 또한 해제될 수 있다. 공부종료정보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뒤로가기 또는 취소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단말기의 중력센서에서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설정단계(S10)에서 사용자가 목표시간을 설정하였고, 설정한 목표시간이 도달한 경우 등의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nput step S300 is a step of terminating the study time measurement of the specific goal that the user has started to measure the study time. When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is ende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lock is released, and push alarm interception can also be released. When the user inputs the backward or cancel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if the user detects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ravity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sets the target time in the setting step (S10) When the target time has been reached, or the like.

공부데이터 저장단계(S320)에서는 특정 목표에 대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공부시간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이동단말기(110) 또는 서버(13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1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서버 없이 개인의 이동단말기에서만 구현이 가능하고, 도 2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정보교환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In the study data storage step S320, the study data on the user's study time measured for the specific goal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10 or the server 130. [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FIG. 1 can be implemented only in an individual mobile terminal without a server,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FIG. 2 can be implemented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 server and a mobile terminal.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는 저장된 사용자의 공부데이터를 이동단말기(110)에서 서버(13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공부데이터 수신단계(S340)는 이동단말기의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공부데이터를 서버의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생성되는 공부데이터에는 공부시간 총량,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 특정 목표별 공부시작시각, 특정 목표별 공부종료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는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동기화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신규 공부데이터 또는 신규 분석데이터를 확인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을 제공하고 실시간을 공부데이터, 분석데이터가 동기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의 성공/실패 여부도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The study data providing step S33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tudy data of the stored user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to the server 130. [ The study data reception step S340 is a step of receiving the study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The study data to be generated may include a total amount of study time, a study time per specific goal, a study start time by a specific goal, a study end time by a specific goal, and the like. The study data providing step S330 may be implemented by synchronizing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The server can be configured to check login information, identify new study data or new analysis data that is no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synchronize real-time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Also, the success / failure of synchroniza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공부데이터 분석 및 분석데이터 생성단계(S350)는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공부데이터의 분석방법에서는 시간별, 목표 시험별, 사용자의 성적별로 공부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데이터는 시간별, 목표 시험별, 사용자의 성적별로 분석되는 공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데이터 송신단계(S3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분석데이터를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이동단말기의 무선통신부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분석데이터 표시단계(S370)는 서버에서 송신받은 분석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이다.The study data analysis and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350) is a step of analyzing the study data to generate analysis data. In the method of analyzing study data, study data can be analyzed by time, target test, user's score, and analysis data can include study data analyzed by time, target test, and user's score. The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S36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analysis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analysis data display step S370 is a step of displaying the analysi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의해 집중력을 방해받거나 집중력이 와해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공부시간과 연속적 집중 시간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던 스마트폰이 비로소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에 대해 기재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disturb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urbed by the concentration by the smartphone, So that an effect that substantially helps the learning of the us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while substantially not helping learning can substantially help learning. Hereinafter, a system in which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using such a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Study data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이동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10), 무선 네트워크(120, 통신망),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로 구성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4 and 5,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a wireless network 120, a communication network 130, a database 130, ).

이동단말기(110)는 휴대형(PORTABLE)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마다 적어도 하나를 소유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기능을 변경 및 확장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통신기기로서,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컴퓨터(TABLIT PC), 노트북(LAPTOP COMPUTER) 등이 있다. 이들 이동단말기(110)는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상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동단말기(110)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또는 노트북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즉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카메라, 음성인식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obile terminal 110 is implemented as a portable type so as to have at least one user for each user. The mobile terminal 110 is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hanging and expanding its functions through an application. Typically,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computer, , And a laptop (LAPTOP COMPUTER). The mobile terminal 110 can not only access a wireless Internet through various web browsers but also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desired by a user on the Internet. When the mobile terminal 110 i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the mobile terminal 110 may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that is, a terminal of a wireless network,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voice recognition may be added.

이동단말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센서(111), 입력부(112), 저장부(113), 표시부(114), 프로그램 실행부(115), 무선통신부(116), 기기 제어부(117)로 구성될 수 있다.4,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a gravity sensor 111, an input unit 112, a storage unit 113, a display unit 114, a program execution unit 115,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117).

중력센서(111)에서는 이동단말기(110)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 주기로 측정하여 기기제어부(117)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중력센서(111)에서 제공하는 움직임 정보는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에서 공부종료정보 중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12)는 터치스크린, 음성인식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저장부(113)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110) 내의 저장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부(114)는 터치스크린, 음성출력부 등의 출력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부(115)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이 해당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6)는 서버(13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해당 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6)는 근거리 통신 기능, 특히 NFC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제어부(117)는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와 같은 구성이 해당될 수 있다.The gravity sensor 111 may measur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in real time or at a specific time period and provide it to the device controller 117. The mo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avity sensor 111 may be used as one of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n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nput step S300. The input unit 112 may include a touch screen, a voice recognition unit, a keyboard, The device may be applicable. The storage unit 113 may mean a storage unit in the mobile terminal 110 capable of storing application or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14 may correspond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n audio output unit. The program execution unit 115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server 130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may further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in particular, an NFC function. The device control unit 117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PU that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110 as a whole.

무선 네트워크(120, 통신망)는 이동단말기(110)와 원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서버(130) 간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게 된다. 무선 네트워크(120)의 일실시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망, WCDMA(Wideband CDMA), LTE망, 4G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무선 네트워크(120)는 구현되는 망의 특성에 따라서 기지국 또는 노드 B, 기지국 제어기 또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교환기(M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120 (communication network) is responsi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remote server 130. In 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network 120,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a WCDMA (Wideband CDMA), an LTE network, a 4G network, or the like can be implemen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reless network 120 may include a base station or a node B, a base station controller or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 exchange center (MSC),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to be implemented.

서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31), 공부데이터 분석부(132), 공부데이터 추출부(133), 서버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1)는 이동단말기(110)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고, 공부데이터 분석부(132)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며, 공부데이터 추출부(133)는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이동단말기(110)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공부데이터 중 유의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134)는 서버(13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The server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 a study data analysis unit 132, a study data extraction unit 133, and a server control unit 134, as shown in FIG. The communication unit 131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e study data analysis unit 132 analyzes the stud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40 to generate analysis data And the study data extracting unit 133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significan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tudy data existing in the database 140 or the mobile terminal 110. The server control unit 134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As shown in FIG.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공부데이터, 공부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분석데이터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에는 공부시간 총량,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 특정 목표별 공부시작시각, 특정 목표별 공부종료시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외부에 위치할 경우 서버(130)와 연동하여 데이터 및 정보 수신시 이를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database 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analysis data analyzed by the study data analysis unit, and the like. The study data may include a total amount of study time, a study time per specific goal, a study start time by a specific goal, a study end time by a specific goal, and the like. The database 14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server 130. And may be set to store data and information when the data and information are received in cooperation with the server 130 when they are located outside.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는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6),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입력부(112),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115),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13),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사용자가 감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표시부(114), 이동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중력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terminal having an application us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130, an input unit 112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a program executing unit 115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 display unit 114 for providing a user with a sense of learning data or analysis data, and a gravity sensor 111 for provid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have.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바 중 어느 하나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각 단계에 의해 수행되도록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includes a program readable on a computer system so as to be executed by each step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ny one of the above- Is recorde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기능의 실시예를 기재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functions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단계별 기능(1) Step func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단계별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단계(S10)에서는 환경설정과 목표설정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환경설정에서는 네트워크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 허용 어플리케이션(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기능, 날짜 변경 및 시각 선택 기능, 공부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목표설정에는 목표의 추가 및 수정, 목표별 사진 입력 및 수정, 목표의 순서 또는 중요도 조정, 목표의 삭제 기능 등이 구비될 수 있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 step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setting step S10, environment setting and target setting can be set. The environment setting may include a function for setting whether or not to block the network, a function for setting an allowed application (blocking exception application), a function for changing date and time, a function for setting a target time for study, and the like. The goal setting may include adding and modifying a target, inputting and modifying a photograph for each target, adjusting the sequence or importance of a target, and deleting a target.

공부시간측정단계(S20)에서는 화면잠금, 푸시알람 차단,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 시간측정, 허용 어플리케이션(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이 가능하다.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의 차단은 비행기모드의 설정으로 전화, 문자 및 인터넷 모두가 차단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전화 및 문자는 허용하고 인터넷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차단하는 방식 이외에도 단순히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 차단은 공부시간측정 중에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the studying time measuring step S20, screen locking, push alarm interception, execution application monitoring, time measurement, permission application (blocking exception application) execution, and the like are possible. The screen lock and the push alarm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hone, the character and the Internet are all blocked by the setting of the airplane mode, and the phone and the character are permitted and the Internet is blocked only. In addition,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like manner that is not simp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lock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screen lock and push alarm interception can be sustained during study time measurements.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을 잠그는 등의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는 공부시간측정 중에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execution application monitoring, when an application other than the permitted application is executed,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blocked by, for example, locking the screen. Also, the running application monitoring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during the study time measurement.

시간 측정에서는 공부시간 측정을 일시중지하거나 재개할 수 있고, 공부시간측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목표를 전환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In the time measurement, the study time measurement can be paused or resumed, and the study time measurement can be terminated.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target while measuring the study time can also be included.

허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을 잠금화면 내에 아이콘이 노출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클릭시 공부데이터 환경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공부시간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ermitted application execu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exposing the icon within the locked ap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study data environment setting when the icon is clicked, and the execution of the permitted application can be configured so as not to affect the study time measurement.

공부시간종료단계(S30)에서는 공부시간측정 종료, 공부데이터 저장, 서버와 동기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부시간측정 종료에서는 사용자의 뒤로가기 버튼 또는 종료 버튼의 입력이 공부종료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중력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이동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공부종료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공부 목표시간이 달성된 경우에 자동으로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공부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목표시간을 달성할 때까지 푸시알람 차단을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studying time end step S30,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studying time measurement, store the study data, and synchronize with the server. At the termination of the study time measurement, the input of the user's back button or the end button may become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Als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through the gravity sensor may be termination study information. Also, the ending study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input when the predetermined study target time is achieved.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udy target tim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push alarm can not be canceled until the target time is reached.

공부데이터의 저장에는, 목표별 공부시간의 총량이 저장될 수도 있고, 목표별 공부시작시각과 종료시각 등이 저장될 수 있다.In the storage of the study data, the total amount of the study time for each goal may be stored, and the study start time and end time for each goal may be stored.

서버와의 동기화에는, 서버에서 로그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로그인이 확인된 경우, 이동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공부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되지 않은 공부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신규 공부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에서 요청한 서버에서 제공되는 신규 분석데이터를 이동단말기가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the server can confirm the login, and if the login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udy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he study data that has not been uploaded to the server, and the new study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receive new analysis data provided by the server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2) 공부데이터 분석방법 및 분석데이터 활용방법(2) Study data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data utilization method

공부데이터의 분석기능 및 분석데이터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공부데이터 분석방법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에서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단말기와 동기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공부데이터가 요구되지 않는 분석데이터의 경우에는 이동단말기 내에서 자체적으로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분석데이터를 요청하기 전, 또는 요청한 후에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 server and a method for analyzing study data of a mobile terminal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rver may analyze the study data and synchronize with the mobile terminal. In the case of analysis data for which no study data of another user is required, th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itself.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the user before or after requesting the analysis data.

서버에서는 복수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송신된 공부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공부데이터 추출부에서 유의적인 공부데이터를 추출하여 공부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또는 저장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시간대별, 일간, 주간, 월간, 연간으로 구분되는 공부데이터의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대목표별, 생년별, 지역별, 전체 사용자, 학교별 등의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목표 상세정보는 초등학생 여부, 중학생 여부, 고등학생 여부, 외국어 시험, 자격증 시험, 취업 준비, 고시 준비, 유학 준비 등의 사용자가 설정한 큰 목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상세정보는 국가와 지역코드(대한민국의 교육청 수는 16개이다.)로 구분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학교별 상세정보는 학교별로 별도의 학교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공부량 상위 1%, 5% 단위별 평균 공부량 등의 공부량 분류, 성적분류 등의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시간정보, 상세정보,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erver receives the study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s of a plurality of users and stores the study data in the database. The study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study data from the study data extracting unit, and analyzes the analysis data based on the study data extracted or stored in the study data analyzing unit. Can be generated. Such analysis data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of study data classified by time, day, week, month, and year. In addition, the analysis data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major goals, year of birth, regions, all users, schools, and the like. Major target details can mean a large set of goals set by the user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foreign language tests, certification exams, job preparation, preparation for examination, and preparation for studying abroad. In addition, the detailed information by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e country and the area code (the number of the education offices in Korea is 16). In addition, school-specific information can be assigned a separate school code for each school. The analysis data may include the study amount and the sexuality information such as the study amount classification such as the average study amount per 5% of the upper part of the study amount, the grade classification,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analysis data to the use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ime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study amount and gradation information.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성공사례 데이터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성공사례 데이터는 대목표에 대한 합격자의 공부데이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공사례 데이터 또한 위에 언급된 시간정보, 상세정보,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목표에 대한 합격자 등은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 내에서 멘토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된 멘토는 사용자에게 1:1 질의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also include additional success case data. The success case data can mean the study data of the successful candidate for the large goal. Such successful case data can also provide customized analysis data to the use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ime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study amount, and sexual information. Successful candidates for major goals can be registered as mentors in the study data provision system. Registered mentors can provide a 1: 1 query response to the user.

이동단말기(110)에서는 서버에서 분석데이터를 제공받아 자신의 공부데이터와 분석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표시될 수 있다. 서버와 동기화되면 분석데이터가 이동단말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고, 다운로드된 분석데이터와 사용자의 공부데이터와의 차이가 계산될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 상에서 비교통계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10 may receive analysis data from the server and compare and analyze the analysis data with its study data. The analysis data can be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wnloaded analysis data and the user's study data can be calculated, and the comparison statistics can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서버와 동기화 기능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확인될 수 있고,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사이에서 공부데이터와 분석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동기화되는 데이터에는 성공사례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분석데이터 다운로드 기능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교용 분석데이터 또는 성공사례 데이터가 서버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차이 계산 기능에서는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성공사례 데이터의 차이가 계산될 수 있다. 비교통계 구현 기능에서는 그래프, 시간 텍스트 등을 활용하여 비교통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멘토와의 1:1 질의응답 답변 정보, 비교통계 해석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the synchronization function with the server, the login of the user can be confirmed, and the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The data to be synchronized can also include success case data. In the analysis data download function, the analysis data or success case data for comparis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the difference calculation function, the difference between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and success case data can be calculated. The comparison statistic implementation function can implement comparative statistics using graphs, time texts, etc., and can provide 1: 1 query response information with the mentor,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information.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는 개인, 학부모, 선생님 등에게 특정 기간 동안의 상세 통계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통계데이터는 가정, 학교 등에서 직접 인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A4사이즈의 출력 가능한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Such analyzed data can be provided to individual, parents, teachers, etc. as detailed statistical data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Such detailed statistical data can be converted into A4-size printabl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directly printed at homes, schools, and the like.

(3)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3) How to provide study data on study groups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과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 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스터디 그룹에도 이용될 수 있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for study group data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alysis data provided for a study group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the study group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s shown in FIGS. 8, 9 and 10,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a study grou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스터디그룹의 생성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스터디그룹의 생성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디 그룹 생성단계, 스터디 그룹 개시단계, 가입신청 접수 및 허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되는 스터디 그룹의 정보는 D-day, 그룹명 및 소개, 모집인원, 일일 목표 공부시간 및 수행량, 공개/비공개 여부, 시작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되는 스터디 그룹 검색창에서 생성날짜 정보와 위의 정보에 포함된 단어로 검색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가 게시된 특정 스터디 그룹을 발견하고 가입신청을 하는 경우, 스터디 그룹의 그룹장이 가입을 승인 또는 거절할 수 있으며, 모집인원이 모두 찬 경우에는 스터디 그룹의 신청이 불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thod of generating a study group. The method of creating a study group may include a study group creation step, a study group start step, a subscription application reception and approval step as shown in FIG. The information of the study group to be created may include D-day, group name and introduction, recruitment number, study time and performance of daily goal, availability / non-disclosure, start dat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search by the generation date information and the words included in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study group search window implemented in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user finds a specific study group posted and requests to join the study group, the group leader of the study group can approve or reject the subscription, and if the subscription number is full, the study group can not be applied.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9에서는 스터디 그룹 내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터디 그룹에 인증할 특정 목표를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를 스터디 그룹으로 초대할 수 있으며, 그룹장은 특정 사용자를 강제로 퇴장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룹원 간의 공부량 경쟁을 위하여 그룹원의 인증 목표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고, 일일공부량을 그룹원별로 출력할 수 있으며, 랭킹을 매길 수 있다. 특히 공부량 1위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전 그룹원에게 푸시알람을 제공하여 그룹원 전체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서버와의 동기화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원의 출석체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for the study group is shown in Fig. 9, and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in the study group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goal to authenticate to the study group, invite another user to the study group, and the group member can forcibly release the specific user. In addition, to compete for study among group members, study data on the group's certification goals can be collected, daily work can be output for each group member, and ranking can be done. Especially, when the first place of study is changed, a push alarm is provided to all group members, so that the motivation of the group members can be inspired. Al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ttendance check of the group member by using the synchronization function with the serv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스터디 그룹의 그룹 게시판을 별도로 운영하여, 게시물 업로드, 댓글 쓰기, 사진 첨부, 동영상 첨부, 자신의 공부데이터 첨부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룹 게시판은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을 기반으로 한 토론의 장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bulletin board of the study group can be separately operated to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uploading posts, writing comments, attaching pictures, attaching videos, and attaching study data to oneself. Group bulletin boards can be a forum for discussion based on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10에서는 특정 스터디 그룹과 다른 스터디 그룹간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원 평균 공부량의 순위를 스터디 그룹간 계산할 수 있고, 그룹내 최고 공부량을 각각의 스터디 그룹끼리 비교할 수 있으며, 출석률 순위 또는 출석인원 순위를 각각의 스터디 그룹끼리 비교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다른 스터디 그룹을 선정하여 스터디 그룹간 1:1 경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다른 스터디 그룹을 검색하고, 1:1 배틀을 신청한 후, 배틀 기간을 설정하고 상품을 설정하며, 상대 스터디 그룹이 승인하는 경우에는 배틀이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틀 기간 내에는 상대 스터디 그룹의 상세 공부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배틀 기간 종료시 최종 승리 스터디 그룹이 확정되고, 승리 스터디 그룹은 기설정된 상품을 수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to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for the study group, FIG. 10 shows the contents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between the specific study group and another study group. As shown in FIG. 1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ank of the average group of the studying amounts among the study groups, to compare the highest studying amounts in the group with each study group, to compare the attendance rate ranking or the attendance number ranking among the study groups have. In particular, one study group can be selected from one study group and one study competi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other study group is searched, a 1: 1 battle is requested, a battle period is set and a product is set, The battle can be configured to begin. The detailed study data of the partner study group can be confirmed within the battle period, the final win study group is confirmed at the end of the battle period, and the win study group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predetermined prize.

(4) 개인 공부데이터 비교통계 제공(공부의 질 관련 데이터)(4) Providing comparative statistics on individual study data (data on quality of stud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개인의 공부데이터에 대한 총체적인 비교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서버와의 동기화 없이도 가능한 비교통계이다. 단순히 일간, 주간, 월간, 연간 공부데이터 비교통계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공부의 연속성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하여 특정 기간 동안 공부의 질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한가지 과목을 10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와 10가지 과목을 1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것은 공부의 질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공부방법에 대한 유도 및 집중력 있는 공부에 대해 곧바로 보상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verall comparative statistics on individual study data. This is a possible comparison without synchronizing with the server. In addition to providing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study data comparison statistics, you can assess the quality of your study over a specific period of time by adding points to the continuity of study. The reason for studying one subject for 10 consecutive hours and 10 consecutive subjects for 1 hour is that the quality of study is different, so it can induce correct study method and give immediate compensation for concentration study .

예를 들면 공부의 질을 1시간에 1점 내지 100점으로 평가하고, 오랫동안 한가지 과목을 공부한 경우의 공부의 질이 높다고 가정한다. 즉, 이러한 공부의 질은 등비수열 등으로 1시간의 점수가 평가될 수 있다. 2를 공비로 하는 등비수열을 이용하여 1시간에 한가지 과목을 1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1점, 2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3점, 3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7점, 4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13점, 5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21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한 과목을 5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에는 1점(1시간째)+3점(2시간째)+7점(3시간째)+13점(4시간째)+21점(5시간째)이므로 45점으로 평가된다. 한시간에 한 과목씩 5시간을 공부한 경우에는 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이므로 5점으로 평가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공부의 질 데이터를 토대로 집중력 있는 공부 방법으로 유도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quality of study is evaluated from 1 point to 100 points per hour, and the quality of study is high when one subject is studied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such study can be evaluated by a one-hour score based on an isomorphism sequence and the like. 2, 1 point for 1 hour, 1 point for 1 hour, 3 points for continuous study for 2 hours, 7 points for continuous study for 3 hours, 4 points If you study continuously for a period of time, you can set it to 13 points. If you study continuously for 5 hours, you can set it to 21 points. That is, when one subject is studied continuously for 5 hours, 1 point (1 hour) +3 point (2 hours) +7 points (3 hours) +13 points (4 hours) +21 points Time), it is evaluated as 45 points. (1 hour) +1 point (1 hour) +1 point (1 hour) +1 point (1 hour) 1 hour (1 hour) ), It is evaluated as 5 points. The user can be guided to a concentrated study method based on the quality data of such study.

(5) 실시 화면(5) Execution scre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실시 화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after execut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기 화면과 관련하여,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초기 화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초기 화면에는 당일 공부시간(1), 특정 목표 공부시간(2), 목표설정(3), 시작버튼(4), 목표명(6) 등이 표시될 수 있다.11 is an initi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11 can b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the day's study time (1), the specific target study time (2), the goal setting (3), the start button (4), the target name (6)

히스토리 화면과 관련하여,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히스토리 화면이다. 히스토리 화면에는 공부 내역이 연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12 is a history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udy history can be displayed continuously on the history screen.

일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일간통계 화면이다. 일간통계 화면에는 하루 중 몇%에 어떤 공부를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13 is a daily statistics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ily statistics screen, graphs can be displayed on how many percent of the day you studied.

주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주간통계 화면이다. 주간통계 화면에는 주간 중에 어떤 공부를 얼마나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14 is a weekly statistic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ekly statistics screen, graphs of how much studying during the week can be displayed.

월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월간통계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월간통계 화면에는 각 주별로 어떤 공부를 얼마나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15 is a view illustrating a monthly statistical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the monthly statistics screen, graphs of how much studying and how much each week is can be displayed.

공부시작 화면과 관련하여,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된 이동단말기의 공부시작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공부시작 화면에는 당일 공부시간(1), 특정목표 공부시간(2), 정지 버튼(5), 목표명(6), 허용 어플리케이션(7)이 표시될 수 있다. 공부시작 화면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잠금화면을 풀게되면 공부시간이 중지될 수 있으나, 표시된 허용 어플리케이션(7)의 실행은 공부시간에 영향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re is shown a study start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y study time 1, a specific target study time 2, a stop button 5, a target name 6, and an allowable application 7 can be displayed on the study start screen. The study start screen may be set as a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When the lock screen is released, the study time may be stopped, but the execution of the displayed permitted application 7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affect the study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당일 공부시간
2: 특정 목표 공부시간
3: 목표설정
4: 시작버튼
5: 정지버튼
6: 목표명
7: 허용 어플리케이션
110: 이동단말기
111: 중력센서
112: 입력부
113: 저장부
114: 표시부
115: 프로그램 실행부
116: 무선 통신부
117: 기기제어부
120: 무선 네트워크
130: 서버
131: 통신부
132: 공부데이터 분석부
133: 관광행동패턴 추출부
134: 서버 제어부
140: 데이터베이스
1: Study time on the day
2: Specific goal study time
3: Goal setting
4: Start button
5: Stop button
6: Target name
7: Permitted Application
110: mobile terminal
111: Gravity sensor
112:
113:
114:
115: Program execution unit
116:
117:
120: Wireless network
130: Server
131:
132: Study data analysis section
133: Tourist behavior pattern extracting unit
134:
140: Database

Claims (6)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A study start step in which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nd measurement of a study time is started;
A lock screen control step wherein the screen is controlled such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interruption step in which the push alarm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is blocked;
A study termination step of inputting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erminating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And
A study data storage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the study time, the study start time, and the study end time is stored as study dat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상기 공부데이터 송신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공부데이터를 수신하는 공부데이터 수신단계;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수신된 공부데이터를 시간별, 목표 시험별, 지역별, 학교별, 생년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분석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수신하는 분석데이터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ring the study data,
Providing study data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study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study data from the server;
An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analyzing the received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at least one of time, target test, region, school, year of birth, grade, and study time;
An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nalysis data generated by th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 analysis data reception step of receiving the analysis data transmitt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데이터 수신단계 이후에,
수신된 상기 분석데이터와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분석데이터 비교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analysis data reception step,
An analysis data comparison step of calculating and comparing and displa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data received and the stored study data of the us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시작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공부시간을 측정하려는 특정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설정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목표에 대한 합격자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합격자 데이터 수신단계; 및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합격자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합격자 데이터 비교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
A goal setting step of setting a specific goal that the user wants to measure the study time;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step of storing the study data,
An acceptor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cceptor data for the specific target stored in the server; And
A passer data comparison step of calculating and comparing and displa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data of the user and the received passer dat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복수 사용자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시간별, 목표 시험별, 생년별, 지역별, 학교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된 분석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서 제공받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한 분석데이터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항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분석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nalysis data analyzed by at least one of time, target test, year of birth, region, school, grade, and study time based on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wireless network ,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server;
An input unit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a user; And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receive analytical da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study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nalysis data received via the display unit;
To the mobile terminal.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를 포함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tudy data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A study start step in which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nd measurement of a study time is started;
A lock screen control step wherein the screen is controlled such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interruption step in which the push alarm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is blocked;
A study termination step of inputting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and terminating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And
A study data storage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the study time, the study start time, and the study end time is stored as study data;
A method for provid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055728A 2014-05-09 2014-05-09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2839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28A KR20150128391A (en) 2014-05-09 2014-05-09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PCT/KR2015/004487 WO2015170863A1 (en) 2014-05-09 2015-05-06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28A KR20150128391A (en) 2014-05-09 2014-05-09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84A Division KR20150088759A (en) 2015-04-03 2015-04-03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91A true KR20150128391A (en) 2015-11-18

Family

ID=5439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728A KR20150128391A (en) 2014-05-09 2014-05-09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28391A (en)
WO (1) WO2015170863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0304A (en) * 2015-12-14 2016-05-04 苏州天平先进数字科技有限公司 Community mode and system based on user interests in screen locking APP (Application)
KR102001212B1 (en) * 2018-01-25 2019-07-18 심현보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type study managment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imer
JP2019139686A (en) * 2018-02-15 2019-08-22 Kddi株式会社 Learning management devic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nd learning management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5545A1 (en) * 2003-12-05 2005-06-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unsolicited traffic destin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046762B1 (en) * 2008-12-30 2011-07-06 메가스터디(주) Learning Plan-type Lecture System
KR101291333B1 (en) * 2011-06-10 2013-07-30 (주) 프라이스톤스 learning system based on game dynamic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455907B1 (en)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Smart phone based online study consult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0304A (en) * 2015-12-14 2016-05-04 苏州天平先进数字科技有限公司 Community mode and system based on user interests in screen locking APP (Application)
KR102001212B1 (en) * 2018-01-25 2019-07-18 심현보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type study managment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imer
JP2019139686A (en) * 2018-02-15 2019-08-22 Kddi株式会社 Learning management devic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nd learning management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0863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8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ure Time using Distance Sensor and Camera
KR20150128391A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101709455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101763538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101682233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20180045991A (en) A providing method of a total spending time for studying to mentor client using smartphone while measuring study time
KR20180045988A (en) A providing method of a daily ranking of a total time spending for studying using smartphone related to age or grade
KR20190045767A (en) Seating and leaving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using distance sensor
KR20190045771A (en) Study room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fies student study attitude and instructs room administrator
KR20190045774A (en) A method of providing study statistics that collects study attitude data using Lee sensor and provides statistical data through text message
KR101687152B1 (en) Block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vpn
KR20150088759A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101746348B1 (en) Providing method for study group
KR101746349B1 (en) Providing method for study group
KR101746350B1 (en) Providing method for study group
KR101709454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101709453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101763537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KR101663953B1 (en) Providing method for study group,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50042166A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of study using mobile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45985A (en) A providing method of a daily ranking of a total time spending for studying using smartphone
KR20180045986A (en) A providing method of a weekly ranking of a total time spending for studying using smartphone
KR20180045992A (en) A providing method of a total spending time for studying to mentor client using smartphone while measuring study time
KR20180045990A (en) A providing method of a monthly ranking of a total time spending for studying using smartphone related to age or grade
KR20180045989A (en) A providing method of a weekly ranking of a total time spending for studying using smartphone related to age or gr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5

Effective date: 20151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12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5

Effective date: 201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