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330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330A
KR20150128330A KR1020140055560A KR20140055560A KR20150128330A KR 20150128330 A KR20150128330 A KR 20150128330A KR 1020140055560 A KR1020140055560 A KR 1020140055560A KR 20140055560 A KR20140055560 A KR 20140055560A KR 20150128330 A KR20150128330 A KR 20150128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essage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기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05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330A/en
Publication of KR2015012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door lock. The system comprises: a digital door lock; a power unit for converting external common power into direct current (DC) power of a certain level,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a web serv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essage on an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ransmitting the stored message to a mobile device of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Description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문 도어에는 여러 가지의 시건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시건장치는 열쇠형, 홍체인식형, 지문인식형, 전자식이나 기계식의 번호키형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최근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시건장치 가운데 하나는 디지털도어락이다. Generally, various door locking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door of a building. Such a keying device may be a key type, an iris recognition type, a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or an electronic or mechanical number key typ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locking devices in recent years is a digital door lock.

그래서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관한 실용신안문헌 1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이 문헌의 기술은 배터리를 사용하되, 하나의 배터리 커버로 실내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와 해정버튼을 모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내기 본체를 바라보았을 때 디자인 측면에서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 커버의 들뜸 현상과 같은 결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technology of the utility model document 1 related to the digital door lock has been proposed. The technology of this document uses a battery to cover and protect both the battery compartmen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and the detachment button with a single battery cover It is possible to have a simple feeling on the side of the design when the indoor unit body is view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s such as lifting of the battery cover.

그러나 실용신안문헌 1은 디지털도어락에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를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utility model document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because the power supplied to the digital door lock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첫째, 컨트롤러를 구동하는데 대략 DC 1.5V 배터리(1차 건전지)를 사용하고, 대략 4 ~ 6개월이면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해야한다.First, use a DC 1.5V battery (primary battery) to drive the controller, and periodically replace the battery approximately four to six months.

둘째, 전원소비가 많은 네트워크모듈의 탑재가 불가능하여,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한 다양한 보안/안전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다.Second, since it is impossible to mount a network module with a large power consumption, it is im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curity / security services through the network module.

실용신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20-0465832호 공보(2013. 03. 06. 등록)Utility Model Document 1: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65832 (Registered on Mar. 03, 20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지털도어락에 전원소비가 많은 네트워크모듈 탑재가 가능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보안/안전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mounting various network modules with high power consumption in a digital door lock,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은 디지털도어락과, 외부의 상용전원을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웹서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door lock system including: a digital door lock; a power source for converting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transmits the stored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또한,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쇼크(Shock) 발생과 고전압 발생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댁내에 센서모듈의 데이터 중 이상징후를 감지한 경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a case where a shock of the digital door lock is generated, a high voltage is generated, and an abnormality in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is detected in the house where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상용전원에 포함된 리플성분을 제거한 후, 전파정류 및 평활하여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제 1 정류기와, 상기 제 1 정류기의 출력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에 의해 스위칭 구동되어 발생 되는 상기 제 1 정류기의 출력전압에 상응된 발진 주파수를 무선전송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무선전송된 상기 발진 주파수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 수신기로 수신되는 발진 주파수가 갖는 전압을 반파정류하는 제 2 정류기 및 상기 제 2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정전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first rectifier that removes rippl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rectifies and smoothing the full wave rectified and converted into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and an on / A first switch for switching the output of the first rectifier to an output voltage of the first rectifier and a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the output of the first rectifier; A second rectifier for half-wave rectifying the voltage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and a constant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driving power of the digital door lock by receiving an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rectifier.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제어 방법은 인증 정보를 기설정하여 디지털도어락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입력되는 인증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관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입력되는 인증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인증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인증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관한 신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웹서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oor lock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initializing a digital door lock by se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digital door lock;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signal related to a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digital door lock, if the input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Generating an event message, which is a message relating to the content of the abnormal state, and transmitting the event message to the web serve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ignal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또한, 상기 웹서버부는 수신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모바일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 server unit may parse the received event message, store the received event message in a database, and transmit the stored message to a mobile device having 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디지털도어락의 외부에 설치된 상용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디지털도어락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전원 전송부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털도어락에 전원소비가 많은 네트워크모듈 탑재가 가능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보안/안전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The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wireless power supply unit for wirelessly supply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install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to a digital door lock as a driving power, A variety of security / security services may be possibl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무선전원 전송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of FIG. 2;
4 is a flowchart of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선전원 전송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network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supply unit of FIG. 2.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장치는 무선전원 전송부(10), 내측 도어락부(30), 외측 도어락부(50), 제어부(70) 및 웹서버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내측 도어락부(30), 외측 도어락부(50) 등 디지털도어락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내측 도어락부(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1 to 3, the digital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power supply unit 10, an inner door lock unit 30, an outer door lock unit 50, a controller 70, and a web server unit 90). Here,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such as the inner door lock unit 30 and the outer door lock unit 50. Also, the controller 7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door lock portion 30, for example.

상기 무선전원 전송부(10)는 디지털도어락의 외부에 설치된 상용전원 즉 AC 전원을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반영구적으로 디지털도어락에 구동용 전원 즉 DC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무선전원 전송부(10)는 기존기술의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대신 무선전송을 통해 배터리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디지털도어락의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10 converts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that is, the AC power, into a DC power of a certain level to semi-permanently supply the driving power or DC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That is, 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10 supplies power to each module of the digital door lock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by radio transmission instead of the battery of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여기서, 상기 무선전원 전송부(10)는 예를 들어 무접점 전원(CPS; contactless power supply)으로써, 제 1 정류기(110), 스위칭소자(130), 무선 송신기(150), 무선 수신기(170), 제 2 정류기(190) 및 정전압기(210)를 포함하며,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내 또는 도어 주변의 벽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전원 전송부(10)에 입력되는 AC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아파트 세대기(wall-pad)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0 may include a first rectifier 110, a switching device 130, a wireless transmitter 150, a wireless receiver 170, and the like, for example, a contactless power supply (CPS) The second rectifier 190, and the constant voltage device 21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provid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or on the wall side of the door. The AC power input to 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10 may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or may be supplied from an apartment wall-pad.

상기 제 1 정류기(110)는 상기 입력되는 AC 전원에 포함된 리플성분을 제거한 후, 전파정류 및 평활하여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130)는 제 1 정류기(110)의 출력을 온/오프(On/Off)시킨다.The first rectifier 110 removes the ripple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AC power, and then rectifies and smoothing the full-wave, converts the DC power into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rectified DC power. The switching element 130 turns on / off the output of the first rectifier 110.

상기 무선 송신기(150)는 상기 스위칭소자(130)에 의해 스위칭 구동되어 발생 되는 제 1 정류기(110)의 출력전압에 상응된 발진 주파수를 무선전송한다.The radio transmitter 150 wirelessly transmits an oscillation frequency correspon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first rectifier 110 generated by switching-driven by the switching device 130.

상기 무선 수신기(170)는 무선 송신기(150)로부터 무선전송된 발진 주파수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신기(150)와 상기 무선 수신기(170)는 각각의 코일/코아로 이루어진 하나의 트랜스로써, 1차측 코일/코아가 상기 무선 송신기(150)에 대응되며, 2차측 코일/코아는 상기 무선 수신기(170)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선 수신기(170)는 무선 송신기(150)와 밀착된 위치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무선 송신기(150)로부터 무선전송된 발진 주파수를 수신한다.The wireless receiver 170 receives the wirelessly transmitted oscillation frequency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150. Here, the radio transmitter 150 and the radio receiver 170 are one transformer of each coil / core, wherein the primary coil / core corresponds to the radio transmitter 150 and the secondary coil / And corresponds to the wireless receiver 170. That is, the radio receiver 170 is disposed facing the radio transmitter 150 at a position close to the radio transmitter 150, and receives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150.

상기 제 2 정류기(190)는 상기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유기된 전압 즉, 무선 수신기(170)로 수신되는 발진 주파수가 갖는 전압을 반파정류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기(210)는 상기 제 2 정류기(190)의 출력전압을 공급받아 디지털도어락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정전압 즉 DC 4V ~ DC 6V의 DC 전원을 생성한다.The second rectifier 190 half-wave rectifies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that is, the voltage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170. The constant voltage generator 210 generates a DC voltage of DC 4V to DC 6V, which is a constant voltage required to drive the digital door lock by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rectifier 190.

상기 내측 도어락부(30)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PSU; power supply unit)(310), 연동모듈(330), 잠금 모듈(350), 통신모듈(370) 및 이벤트모듈(390)을 포함한다.The inner door lock unit 3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PSU) 310, an interlocking module 330, a lock module 350, a communication module 370, and an event module 390.

상기 PSU(310)는 무선전원 전송부(10)로부터 DC 전원을 입력받아 디지털도어락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모듈(330)은 외측 도어락부(50)와 연동하여 외측 도어락부(50)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데이터로 변환 및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IC 칩을 내장하는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출입 조건정보, 출입 비밀번호,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PSU 310 receives DC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10 and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The interlock module 330 interlocks with the outer door lock part 50 and conver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er door lock part 50 into data and outputs the data.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ccess condition information, access password,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etc. stored in a smart card containing an IC chip.

상기 잠금 모듈(350)은 연동모듈(330)을 통하여 외측 도어락부(50)와 연동 되어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모듈(330)은 외측 도어락부(50)의 인증에 대한 정보가 연동모듈(350)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모듈(350)은 버튼(button)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The locking module 350 is interlocked with the outer door lock portion 50 through the interlocking module 330 to lock and unlock the door. For example, the locking module 330 can lock and unlock the door by receiving the data converted through the interlocking module 350 with information about the authentication of the outer door lock part 50. [ Here, the locking module 350 may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button or the like.

상기 통신모듈(370)은 출입문에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댁내에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댁내에 설치된 센서모듈 및 인터넷망에 접속된 웹서버부(9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댁내에 설치된 센서모듈은 주방 위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 그리고 창문에 부착되어 설치된 인체감지 센서(PIR 센서; Passive Infrared Sensor)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70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hous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web server unit 90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house where a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at a door.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Wi-Fi (Wireless Fidelity). The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house may be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a kitchen, and a passive infrared sensor (PIR sensor) installed on a window.

상기 이벤트모듈(390)은 디지털도어락의 쇼크(Shock) 발생과 고전압(high voltage) 발생 및 통신모듈(370)을 통해 수집한 상기 댁내에 설치된 센서모듈의 데이터 중 제어부(70)에 의해 이상징후를 감지한 경우 즉 제어부(70)로부터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그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 메시지는 제어부(70)의 제어하에 통신모듈(370)을 통하여 웹서버부(90)로 전송한다.The event module 390 detects an abnormal symptom by the controller 70 among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house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70 and the generation of a shock and high voltage of the digital door lock The control unit 70 generates an event message, which is a message about the contents of the abnormal state. At this time, the even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unit 9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

상기 외측 도어락부(50)는 인증모듈(510) 및 출력모듈(530)을 포함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수행을 위해 인증모듈(510)을 통해서 출입자가 제공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The outer door lock unit 50 includes an authentication module 510 and an output module 530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a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51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상기 인증모듈(510)은 소정 형태를 갖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스마트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 형태, 숫자 키(numeric key), 터치 기반 키패드, RFID리더기, 적외선 감지기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기반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출입자가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부위를 터치하여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인증 정보는 연동모듈(330)을 통하여 제어부(70)의 출입제어 기능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RFID리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출입자가 상기 RFID리더기에 카드키(RF-CARD)를 체크 하여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51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form and includes a slot type in which a smart card is inserted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numeric key, a touch-based keypad, an RFID reader, . ≪ / RTI > For example, when the touch-based keypad is used, a user touch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ccess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ler 70 through the interlocking module 330 do. In addition, when the RFID reader is used, a user can check the card reader (RF-CARD) and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출력부(530)는 제어부(70)에서 수행되는 입력된 인증 정보의 정당성 여부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 상황을 음향의 재생, 빛의 점멸 등으로 출입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53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530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whether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70 is valid or not, to the passenger through sound reproduction, flashing of light, or the like. The output unit 530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and /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상기 웹서버부(90)는 수신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 저장된 메시지를 제어부(17)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모바일기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기기는 휴대폰일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부(90)는 SMS(Short Message Services)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The web server unit 90 parses the received event message and stores the parsed message in a database. The web server unit 90 transmits the stored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registered 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may be a cellular 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us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Long Term Evolution (LTE) The server unit 90 may transmit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이때, 상기 웹서버부(9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폰의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웹서버부(90)와 연결된 웹사이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웹서버부(90)에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receiving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unit 90 can confirm the received message. In addition, the user may access a web sit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unit 9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the message stored in the web server unit 90. [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측 도어락부(30)를 이용하여 출입 비밀번호 등 인증 정보를 기설정하는 등 디지털도어락을 초기화한다(S100).4 is a flowchart of a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first, the digital door lock is initialized by initializ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ccess password using the inner door lock unit 30 (S100).

이렇게 초기화(S100)한 뒤, 인증 정보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S200),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300). 여기서, 상기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는 예를 들어 디지털도어락의 쇼크 발생과 고전압 발생 및 통신모듈(370)을 통해 수집한 댁내에 설치된 센서모듈의 데이터 중 제어부(70)에 의해 이상징후를 감지한 경우일 수 있다. After the initialization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S2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gnal regarding the abnormal state is inputted (S300). Here, when the abnormality state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70 among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house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70, for example, when a shock and a high voltage are generated in the digital door lock, Lt; / RTI >

그 후, 상기 인증 정보 입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Yes)에는 입력된 인증 정보와 기 설정된 인증 정보와의 상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10).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 입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No)에는 다시 인증 정보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pu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S2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pu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N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again.

그 다음,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가 기설정된 인증 정보와 상호 일치하는 경우(Yes)에는 정상적인 사용자의 입출입으로 판단하여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S230). 여기서,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가 기설정된 인증 정보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No)에는 다시 인증 정보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 output of the normal user is unlocked (S230). Here, i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No), it is determined wheth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again.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판단결과,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Yes)에는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S310). 여기서, 상기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No)에는 다시 비정상적 상태에 관한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that there is a signal input regarding the abnormal state (Yes), an event message, which is a message about the contents of the abnormal state, is generated (S310).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ignal input regarding the abnormal state (No),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ignal relating to the abnormal state is input again.

그 다음, 상기 생성된 이벤트 메시지를 통신모듈(370)을 통하여 웹서버부(90)로 전송한다(S330). 이때, 상기 웹서버부(90)는 수신하여 입력된 이벤트모듈(39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파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 저장된 메시지를 제어부(17)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휴대폰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Then, the generated even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unit 9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70 (S330). At this time, the web server unit 90 parses the message generated by the received event module 390 and stores the message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stored message to the mobile phone of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troller 17, Lt; / RTI >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디지털도어락의 외부에 설치된 상용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디지털도어락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전원 전송부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털도어락에 전원소비가 많은 네트워크모듈 탑재가 가능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보안/안전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 a wireless power supply unit for wirelessly supplying commercial power provid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to the digital door lock as driving power, It is possible to install various network module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curity / safety services through the network.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무선전원 전송부를 포함하여 기존기술의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대신 무선전송을 통해 배터리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디지털도어락의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된 배터리의 패기물이 감소 되어 환경보호 효과가 있는 등 배터리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대부분 배터리에서 발생 되는 디지털도어락의 AS에 의한 비용이 감소 된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supply unit and supply power to each module of the digital door lock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through radio transmission instead of the battery of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The cost of replacing the battery is reduced, and the cost of the AS of the digital door lock generated from the battery is reduced.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모듈 탑재가 가능하여 디지털도어락에 인터넷망 및 모바일망 연동이 됨으로써, 모바일폰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댁내 비정상적인 출입이나 화재감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디지털도어락 사용자가 출타시에도 댁내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ount a network module and interlock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mobile network to the digital door lock, so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unauthorized entry / The safety of the home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user is out of the hom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 및 치환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무선전원 전송부 30: 내측 도어락부
50: 외측 도어락부 70: 제어부
90: 웹서버부 110: 제 1 정류기
130: 스위칭소자 150: 무선 송신기
170: 무선 수신기 190: 제 2 정류기
210: 정전압기 310: PSU
330: 연동모듈 350: 잠금 모듈
370: 통신모듈 390: 이벤트모듈
10: wireless power supply unit 30: inner door lock unit
50: outer door lock unit 70:
90: Web server unit 110: First rectifier
130: switching element 150: radio transmitter
170: Wireless receiver 190: Second rectifier
210: constant voltage unit 310: PSU
330: interlock module 350: lock module
370: Communication module 390: Event module

Claims (6)

디지털도어락;
외부의 상용전원을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웹서버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Digital door lock;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to a DC power of a predetermined level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A web serv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essage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ransmitting the stored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A digital door lock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쇼크(Shock) 발생과 고전압 발생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댁내에 센서모듈의 데이터 중 이상징후를 감지한 경우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normality of the digital door lock is detected when a shock of the digital door lock is generated, a high voltage is generated, and an abnormality in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is detected in the house where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상용전원에 포함된 리플성분을 제거한 후, 전파정류 및 평활하여 일정 레벨의 DC 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제 1 정류기;
상기 제 1 정류기의 출력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에 의해 스위칭 구동되어 발생 되는 상기 제 1 정류기의 출력전압에 상응된 발진 주파수를 무선전송하는 무선 송신기;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무선전송된 상기 발진 주파수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상기 무선 수신기로 수신되는 발진 주파수가 갖는 전압을 반파정류하는 제 2 정류기; 및
상기 제 2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정전압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 first rectifier that removes rippl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performs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nd converts and outputs the DC power to a constant level DC power;
A switching device for turning on / off the output of the first rectifier;
A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oscillation frequency corresponding to an output voltage of the first rectifier generated by switching operation by the switching element;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A second rectifier for half-wave rectifying the voltage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And
A constant voltage generator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rectifier to generate driving power for the digital door lock;
A digital door lock system.
디지털도어락의 인증 정보를 기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입력되는 인증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관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입력되는 인증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인증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인증 정보가 상호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관한 신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적 상태의 내용에 대한 메시지인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웹서버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제어 방법.
Se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related to an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Performing unlocking of the door if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Generating an event message, which is a message about the contents of the abnormal state, if the signal is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ransmitting the event message to the web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door lock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상태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쇼크 발생과 고전압 발생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댁내에 센서모듈의 데이터 중 이상징후를 감지한 경우인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bnormal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is a case where a shock of the digital door lock is generated, a high voltage is generated, and an abnormality in the data of the sensor module is detected in the house where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부는 수신된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의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디지털도어락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eb server parses the received event message and stores the parsed event message in a database and transmits the stored messag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KR1020140055560A 2014-05-09 2014-05-0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KR201501283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60A KR20150128330A (en) 2014-05-09 2014-05-0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60A KR20150128330A (en) 2014-05-09 2014-05-0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30A true KR20150128330A (en) 2015-11-18

Family

ID=5483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560A KR20150128330A (en) 2014-05-09 2014-05-0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33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72B1 (en) * 2016-12-09 2018-06-08 김서현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and Cloud-based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72B1 (en) * 2016-12-09 2018-06-08 김서현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and Cloud-based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714B2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US10049517B2 (en)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lock with open/closed status reporting
US1142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US8354914B2 (en) Reduced power electronic lock system
CN104272353B (en) Electron key,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discharging access mandate
US10855119B2 (en) Multi-housing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US9355512B2 (en) Closing unit,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nd/or locking a lock
JP5590669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lock system
TWI669230B (en) Powerless smart key, method and system for unlocking entrance guardusing same
ES2374407T3 (en) DEVICE FOR READING DATA FROM A TRANSPONDER MODULE.
US10968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to door
CN106330632A (en) Intelligent home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device
US109434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ver inductive power transfer to door
KR2015012833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JP2011094292A (en) Electric lock system
JP5785013B2 (en) Lock system
JP5027707B2 (en) Electric lock system
JP5441223B2 (en) Door lock system
CN204595971U (en) A kind of internet household bodyguard information service system
JP2009218713A (en) Composit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692252B2 (en) Lock wireless charging system
JP2014146967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102257048B1 (en)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mum distance between a transmitting antenna and a receiving antenna i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10273269A (en) Wireless management control system
KR20130001065U (en) Door lock switchgea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