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027A -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027A
KR20150126027A KR1020157027711A KR20157027711A KR20150126027A KR 20150126027 A KR20150126027 A KR 20150126027A KR 1020157027711 A KR1020157027711 A KR 1020157027711A KR 20157027711 A KR20157027711 A KR 20157027711A KR 20150126027 A KR20150126027 A KR 2015012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data
text
handwriting
data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끼 히로자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해 지원 시스템(10)은 요약된 필기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한다. 이해 지원 시스템(10)은, 이해 지원 서버(1), 필기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들(2), 필기자에 의해 생성되는 요약된 필기를 검토할 때 검토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4), 및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3)를 포함한다. 이해 지원 서버 디바이스(1)는, 클라이언트(2)로부터, 필기자로부터의 요약된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텍스트 수신부(11),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에 송신하는 텍스트 송신부(17), 및 클라이언트(4)로부터 검토가 완료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검토가 완료된 텍스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3)에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부(16)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COMPREHENSION ASSISTANCE SYSTEM, COMPREHENSION ASSISTANCE SERVER, COMPREHENS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청각 장애자가,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을 때,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기 위한,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및 이해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또한, 이들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양쪽 귀의 청력이 마이너스 100 데시벨 이상의 청각 장애자(이하, 간단히 "청각 장애자"라 함)는, 보청기 등에 의해서도, 음성중의 언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청각 장애자가, 강연, 학교 수업 등에 참석할 때, 종래에는 수화 통역자 또는 필기 통역자가 동반되는 경우가 있었다.
물론, 필기 통역자가 동반될 때, 청각 장애자 1명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학교 수업의 경우, 2명 이상의 필기 통역자가 통상 통반된다. 또한, 이러한 필기 통역자들은, 선생님이 이야기하는 내용을, PC(Personal Computer), 종이 노트 등을 사용하여 문자화하고, 이러한 문자화 내용을 청각 장애자에게 제시한다. 필기 작업은 부담이 큰 일이고, 1명의 필기 통역자로는 요약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2명 이상의 필기 통역자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자.
한편, 2008년도의 후생 노동성 조사에 따르면, 18세 이하의 청각 장애 학생이 전국에 약 2만명 존재하는 반면, 전국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필기 통역자의 수는 약 1만명이다. 더욱이, 1명의 청각 장애 학생을 2명 이상의 필기 통역자가 지원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청각 장애 학생의 수는 단순한 계산에 의하면 1/4로 감소된다. 또한, 필기 통역자의 수 및 청각 장애 학생의 수에는 지역적 편차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더 적은 수의 청각 장애 학생들만이 학교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따라서, 필기 통역자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각 단체들이 연수 등을 제공한다. 새로운 필기 통역자는, 1년간의 필수 과정들 및 연수 등에 의해 그들의 기술을 발전시킨 이후 필기자로서 등록된다. 그러나, 필기자의 수는 경미하게 증가하고, 다수의 학생들이 여전히 지원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음성 인식에 있어서의 인식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여러가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로 인해, 강사의 구두 설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청각 장애자를 지원하는데 음성 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음성을 문자로 기입하는 것을 지원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음성 인식 또는 수동 문자화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합성 음성을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음성 및 발성된 본래 음성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특징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문자화 결과의 오류를 제시한다.
특허문헌 2는, 음성 인식 결과의 오류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과거의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음향 정보의 축적 및 학습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오(right or wrong) 변별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오 변별 모델을 사용하여, 음성 인식 결과의 오류를 검출한다. 음향 정보란,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분석에 의해 얻어진 특징량을 갖고, 각 최소 단위에 대해 정오가 변별되는 정보를 말한다는 점에 주목하자.
특허문헌 3은, 프리젠테이션 음성에 대한 자막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장치는, 음성 인식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문자열 후보 및 문자열 후보에 대한 확신도를 취득하고, 현재의 처리 상황을 판단하면서, 확신도가 가장 높은 제1 문자열 후보에 대해 자동 판정 또는 수동 판정을 선택한다. 또한, 자동 판정이 선택되면, 장치는, 제1 문자열 후보에 대해, 자동으로 최종 문자열을 판정한다. 한편, 수동 판정이 선택되면, 장치는, 제1 문자열 후보에 대해, 수동으로 최종 문자열을 판정하지만, 판정이 가능하지 않았으면, 장치는, 키워드 리스트와 미지정 문자열을 비교해서 매칭 스코어를 산출하고, 매칭 스코어에 기초하여 수정 결과의 역할을 하는 키워드를 출력한다.
특허문헌 4는, 교정자가, 음성 인식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 및 음성 인식에 사용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장치는, 발현된 일련의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 음성 신호를 복수의 음성 신호로 분할하여, 음성 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 후,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장치는, 상호 관련되는 음성 신호 및 텍스트 데이터를 동기화된 방식으로 판독 및 출력한다. 교정자는, 음성 신호 및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을 실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1-134276A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2-268679A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7-256714A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4-240920A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사람에 의한 점검이 수행되지 않고, 이에 따라 인식 결과가 오류를 포함하면, 오류를 수정하여, 청각 장애자에게 수정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장치의 경우에 비하여 인식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지만, 이를 행하기 위해서는, 인식 대상인 각 필드에 대해 매치 스코어의 산출에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수시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장치의 비용이 상당이 높고, 이에 따라 학교 등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음성에 기초하여 교정자에 의해 점검이 수행되지만, 인식 결과가 오류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자의 부담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교정자의 피로 정도에 따라서 인식 정밀도가 변동될 수 있다.
상술된 이유로, 음성 인식 장치에 의한 지원에 비해, 필기 통역자에 의한 지원이 요구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일정한 능력을 갖춘 필기자/통역자의 수를 더 증가시키는 것 및 청각 장애자에 대한 지원을 확장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필기 통역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더 많은 청각 장애자가 지원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예는, 상술된 문제를 해소하고, 필기를 수행하는 사람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면서, 청각 장애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은,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이해 지원 시스템은,
서버 디바이스;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 및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고,
서버 디바이스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해 지원 서버는,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서버로서, 이해 지원 서버는,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해 지원 방법은,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를 수행하는 사람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면서, 청각 장애자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 및 이해 지원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필기자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점검자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품사 분해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일치 문자열을 산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순위 정렬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중복 개소 삭제부에 의해 중복 개소를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를 구현하는 컴퓨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프로그램이,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의 부분에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도록 도시된다.
(시스템 구성: 전체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해 지원 시스템 및 이해 지원 서버의 개략 구성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10)은, 청각 장애자가,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을 때, 필기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청각 장애자(이하, "사용자"라고도 함)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해 지원 시스템(10)에는, 서버 디바이스인 이해 지원 서버(1),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 사용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3), 및 점검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4)이 제공된다.
여기서, "점검자"란, 필기자가 행한 필기를 점검하는(즉, 교정하는) 제3자를 말한다. 또한, 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3)은 "사용자 클라이언트"(3)로서 설명된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 단말(2)은 "필기자 클라이언트"(2)로서 설명된다. 클라이언트 단말(4)은 "점검자 클라이언트"(4)로서 설명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해 지원 서버(1)에는, 텍스트 수신부(11), 텍스트 송신부(17), 및 데이터 통신부(16)가 제공된다. 이 중, 텍스트 수신부(11)는, 필기자 클라이언트(2)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텍스트 송신부(17)는, 텍스트 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16)는, 점검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 송신한다. 그 결과,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 의해, 사용자에게 교정된 요약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제3자인, 점검자가,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효율적으로 및 실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면서, 청각 장애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이해 지원 시스템(10) 및 이해 지원 서버(1)의 구성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 및 이해 지원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이해 지원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학교, 강연 등에서의 강의에 사용된다. 또한, 강사를 포함하는 화자의 발현된 음성은, 음성 데이터로서 음성 배포 서버(5)에 수집되어, 음성 배포 서버(5)로부터 필기자의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송신된다.
(시스템 구성: 필기자 클라이언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는, 음성 수신부(21), 텍스트 송신부(22), 및 텍스트 입력부(23)가 제공된다. 음성 수신부(21)는 음성 배포 서버(5)에 의해 배포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 재생 디바이스(6)에 의해 재생된다. 음성 재생 디바이스(6)는, 예를 들어,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제공되는 스피커 등이다.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면 임의의 디바이스가 음성 재생 디바이스(6)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재생된 음성을 들은 필기자가, 입력 디바이스(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입력하면, 텍스트 입력부(23)는, 문자열의 입력을 수용하고, 수용된 문자열을 텍스트 송신부(22)에 입력한다. 텍스트 송신부(22)는 입력된 문자의 문자열을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해 지원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명 이상의 필기자에 의해 구성되는 그룹이 각 시간대에 대해 설정되고, 동일한 담화의 필기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2명 이상의 필기자에 의해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필기자 및 그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각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부여된다. 또한, 각 시간대의 설정은, 필기의 누락을 예방하기 위해서, 연속하는 시간대가 상호 일부 겹치도록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필기자 클라이언트(2)의 입력 디바이스는, 범용 컴퓨터용의 키보드일 수 있거나, 또는, 필기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6-포인트 키보드 등일 수 있다. 필기자가 문자열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면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이해 지원 서버)
본 실시예에서, 이해 지원 서버(1)는, 필기 결과에 기초하여, 각 필기자에 대해 텍스트를 통합하고, 통합된 텍스트를 평가한다. 또한, 시간대의 중복에 의해 초래되는 문자열의 중복을 해소하기 위해, 이해 지원 서버는, 중복된 문자열을 특정하여, 중복된 문자열을 삭제한다. 그 결과, 텍스트 데이터는 점검자가 점검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점검자가 교정하기 쉽도록 처리된 텍스트 데이터가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해 지원 서버(1)에는, 상술한 텍스트 수신부(11), 텍스트 송신부(17) 및 데이터 통신부(16) 외에도, 입력 제어부(12), 중복 할당 제어부(13), 텍스트 평가부(14), 및 중복 개소 삭제부(15)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텍스트 수신부(11)는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제어부(12)에 입력한다.
입력 제어부(12)는, 각 필기자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필기자의 그룹이 각 시간대에 대해 설정되고, 따라서, 입력 제어부(12)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각 필기자에 대해,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에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축적한다. 그리고, 현재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가 종료하고,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가 통지되면, 입력 제어부(12)는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한다.
또한, 입력 제어부(12)는 이러한 그룹을 구성하는 각 필기자에 대해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한 후,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출력한다.
필기자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출력의 과정에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현재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필기자 전원의 텍스트 데이터가 제공되었을 때, 또는 일정 시간대가 경과했을 때,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 평가부(14)에 출력한다.
또한, 각 시간대에서 다른 필기자가 필기를 수행하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취득되어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이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라 함)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필기자의 그룹은 각 시간대에 대해 설정되고, 후술될 텍스트 평가부(14)는 그룹에서 필기로서 가장 적절한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따라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했던 그룹으로부터 취득되어 점검 대상이었던 후보 데이터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에 할당 번호를 부여하고, 할당 번호가 부여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리스트(이하,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라 함)에 등록한다 (도 9 참조). 할당 번호는 후술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자. 또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평가부(14)에 의해 선택된 후보 데이터는 중복 개소 삭제부(15)에 제공된다.
한편,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텍스트 송신부(17)로 하여금 입력 제어부(12)를 통해 취득된 텍스트 데이터를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텍스트 평가부(14)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 데이터라는 점에 주의하자.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취득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그룹)로부터 취득되는 텍스트 데이터(후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에서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한다.
구체적으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취득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을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에 의해 취득되는 후보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한다. 그 때, 비교는, 설정된 문자수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문자수의 설정은, 고정값을 사용하거나, 또는 전체 텍스트 데이터의 문자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중복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후보 데이터)를 텍스트 송신부(17)에 출력한다. 따라서, 텍스트 송신부(17)는 중복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후보 데이터)를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한다.
텍스트 평가부(14)는, 중복 할당 제어부(13)로부터,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각 필기자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텍스트 평가부(14)는, 이러한 세트의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될 텍스트 데이터를, 각 그룹에 대해,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한다. 각 그룹으로부터, 반드시 1 세트일 필요는 없고 복수 세트의 후보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텍스트 평가부(14)는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 각 세트에 대해 품사 분해를 수행하여,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텍스트 평가부(14)는,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다른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것들과 일치하는 추출된 문자열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텍스트 평가부(14)는, 문자열의 산출된 수를 사용하여,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후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점검자 클라이언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는, 텍스트 수신부(41), 표시부(42), 텍스트 송신부(43), 및 점검 및 교정부(44)가 제공된다. 이 중, 텍스트 수신부(41)는, 이해 지원 서버(1)에 의해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 구체적으로는, 중복 개소가 삭제된 후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부(42)에 입력한다.
표시부(42)는 수신된 후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의 출력 디바이스(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점검자에게 제시한다. 또한, 동일한 담화에 대해 복수 세트의 후보 데이터가 존재하면, 이들 모두 제시된다. 점검자 클라이언트(4)는, 또한, 예를 들어, 태블릿형 단말,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PC 이외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자.
점검 및 교정부(44)는, 점검자에 의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의 입력을 수용하고,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 송신부(43)에 입력한다. 또한, 동일한 담화에 대해 복수 세트의 후보 데이터가 존재하면, 점검자는, 후보 데이터의 세트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고 나서, 선택된 세트의 후보 데이터를 수정하며, 따라서 점검 및 교정부(44)는, 선택 및 수정된 세트의 후보 데이터만을 텍스트 송신부(43)에 입력한다. 점검자가 수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되면, 점검 및 교정부(44)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선택된 후보 데이터)를 텍스트 송신부(43)에 입력한다는 점에 주목하자.
텍스트 송신부(43)는,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선택이 이루어졌으면, 선택된 후보 데이터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이해 지원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그 때 송신되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는, 이해 지원 서버(1)의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의해, 할당 번호와 함께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등록된다. 또한, 등록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는, 중복 개소를 삭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이해 지원 서버(1)에서, 텍스트 송신부(4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부(16)에 의해 수신된다. 그 때, 데이터 통신부(16)는,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서 점검자에 의해 선택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한 필기자를 특정하고,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필기자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데이터가 선택될 때마다, 데이터 통신부(16)는, 후보 데이터를 생성한 필기자의 점수를 평가로서 가산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기자의 평가는, 텍스트 평가부(14)에서의 상술된 후보 데이터의 선택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16)는, 점검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중, 점검자에 의해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 송신한다.
(시스템 구성: 사용자 클라이언트)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는, 텍스트 수신부(31) 및 표시부(32)가 제공된다. 텍스트 수신부(31)는, 점검자에 의해 수정되어 이해 지원 서버(1)의 데이터 통신부(16)로부터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부(32)에 입력한다.
표시부(32)는, 수신된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3)는, 또한, 예를 들어 태블릿형 단말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PC 이외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자.
(시스템 동작)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10) 및 이해 지원 서버(1)의 동작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적절히 참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 지원 시스템(10)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이해 지원 방법이 실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해 지원 방법의 설명은, 이하의 이해 지원 시스템(10)의 동작의 설명에 의해 대체된다.
(시스템 동작: 필기자 클라이언트)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필기자 클라이언트(2)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필기자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수업이 개시되고, 강사를 포함하는 화자가 음성을 발현하고, 마이크 등으로부터, 음성 배포 서버(5)에 음성 데이터가 입력될 때, 음성 배포 서버(5)는, 취득된 음성 데이터를,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배포한다.
그리고 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서는, 음성 수신부(21)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A1), 음성 재생 디바이스(6)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단계 A2). 따라서, 필기자는 화자에 의해 발현된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단계 A2의 실행후, 필기자는, 필기를 수행하는 그녀의/그의 차례가 될 때, 화자의 음성을 들으면서, 필기를 개시하고, 키보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필기자 클라이언트(2)의 텍스트 입력부(23)에, 필기의 내용을 문자열로서 입력한다.
따라서, 텍스트 입력부(23)는, 입력 문자열을 수용하고, 입력이 수용된 문자열을, 텍스트 데이터로서, 텍스트 송신부(22)에 입력한다(단계 A3). 그리고 나서, 텍스트 송신부(22)는 텍스트 데이터를 이해 지원 서버(1)에 송신한다 (단계 A4).
(시스템 동작: 이해 지원 서버)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해 지원 서버(1)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해 지원 서버(1)에서는, 먼저, 텍스트 수신부(11)가, 각 필기자 클라이언트(2)로부터 송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나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제어부(12)에 출력한다(단계 B1).
그리고 나서, 입력 제어부(12)는, 현재 시간대가 할당된 그룹에 속하는 각 필기자에 대해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한다(단계 B2). 구체적으로, 입력 제어부(12)는,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가 통지될 때까지, 할당된 시간대 동안 각 필기자에 대해 텍스트 데이터를 축적하고, 그 후,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한다.
또한, 입력 제어부(12)는,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이하 "통합 텍스트 데이터"라 함)를, 할당 번호와 함께,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송신한다. 할당 번호는 전체 시스템에서 이러한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고, 동일한 시간대에 필기에 의해 취득된(즉, 동일한 그룹으로부터 취득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에 동일한 번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필기자 클라이언트(2)에 의해 송신 완료가 통지될 때, 그 때까지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문자열)이, "hello", "it is a good" 및 "weather"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12)는 이들을 "Hello, it is a good weather"로 통합하고, 이 필기자가 소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할당 번호가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에 부여된다.
그리고 나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입력 제어부(12)로부터 송신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각 그룹에 대해 축적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최초로 송신된 이후 일정 시간대가 경과한 후, 현재 시간대가 할당된 그룹의 모든 필기자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B3).
단계 B3의 결과, 모든 필기자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제공되었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축적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 평가부(14)에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 B5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B3의 결과, 모든 필기자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았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지금까지 축적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만을 텍스트 평가부(14)에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일정 시간대가 경과한 후 송신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 즉, 텍스트 평가부(14)에 이미 출력된 텍스트 데이터의 것과 동일한 할당 번호가 부여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한다(단계 B4).
그리고 나서, 텍스트 평가부(14)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인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한다(단계 B5).
구체적으로, 단계 B5에서, 텍스트 평가부(14)는,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품사 분해를 수행하여,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텍스트 평가부(14)는,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다른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것들과 일치하는 추출된 문자열의 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를 사용하여,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후보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 B5의 구체예는 후술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자.
그리고 나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단계 B5에서 후보 데이터가 선택된 그룹 이전에 필기를 수행한 그룹(이전 시간대가 할당된 그룹)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B6).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 및 대응하는 할당 번호는 상호 연관되어 등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는, 점검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송신된, 이전 시간대가 할당된 그룹의 후보 데이터, 즉, 점검자에 의해 선택되었던 점검전 후보 데이터이다. 또한,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는 할당 번호의 순서로 나열된다.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의 구체예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단계 B6의 판정 결과, 이전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일정 시간대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B7), 일정 시간대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대기 상태가 실현된다. 한편, 일정 시간대가 경과하였으면, 즉, 대기 상태 동안에도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데이터 송신부(17)를 통해 후보 데이터를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한다(단계 B9).
한편, 단계 B6의 판정 결과, 이전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평가부(14)에 의해 선택된 후보 데이터를 중복 개소 삭제부(15)에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출력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또한 출력된 후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보 데이터에서 중복된 개소를 삭제한다(단계 B8). 구체적으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을 현재 시간대에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으로부터 취득된 후보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하는 문자열과 비교하여, 후보 데이터에서 일치하는 문자열을 삭제한다. 단계 B8의 구체예는 후술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자.
그리고 나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단계 B9를 실행한다. 그러나, 그 때,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 송신되는 후보 데이터는 중복 개소가 삭제된 후보 데이터이다. 또한, 단계 B8이 실행될 대,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서, 단계 B8에서 사용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는 이러한 수정전의 텍스트 데이터가 이후 사용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단계 B9의 실행후, 이해 지원 서버(1)에서, 데이터 통신부(16)는, 점검 클라이언트(4)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되었던 선택된 후보 데이터 및 대응하는 점검전 후보 데이터(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B10).
그리고 나서, 데이터 통신부(16)는, 수신된 점검된 후보 데이터 및 대응하는 할당 번호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 송신한다(단계 B11).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3)에서는, 할당 번호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또한, 단계 B11에서, 데이터 통신부(16)는 수신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할당 번호와 함께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입력한다. 따라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16)는,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서 점검자에 의해 선택되었던 후보 데이터를 생성한 필기자를 특정하고,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필기자를 평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후보 데이터가 선택될 때마다, 데이터 통신부(16)는 후보 데이터를 생성한 필기자의 점수를 평가로서 가산한다.
(시스템 동작: 점검자 클라이언트)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점검자 클라이언트(4)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점검자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 클라이언트(4)에서, 먼저, 텍스트 수신부(41)는, 이해 지원 서버(1)로부터 송신된 후보 데이터를 수신하여(단계 C1), 수신된 후보 데이터를 표시부(42)에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표시부(42)는 수신된 후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점검자에게 제시한다(단계 C2). 따라서, 점검자는 제시된 복수 세트의 후보 데이터를 점검한다.
그리고 나서, 점검 및 교정부(44)는, 선택 및 수정과 같은, 점검자에 의한 입력을 수용하고, 점검된 후보 데이터, 즉, 선택 및 수정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행해진 후보 데이터를 텍스트 송신부(43)에 입력한다(단계 C3).
그리고 나서, 텍스트 송신부(43)는 수정된 텍스트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를 이해 지원 서버(1)에 송신한다(단계 C4). 그 때 송신되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는, 상술한 단계 B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할당 번호와 함께,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의해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등록된다.
(구체예: 단계 B8)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단계 B5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품사 분해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일치 문자열을 산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평가부에 의한 순위 정렬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평가부(14)는, 먼저,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 A, B 및 C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품사 단위로 분해한다. 품사 분해는, 예를 들어, 문자열을 입력하면 문자열을 품사로 분해해 주는, 기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품사 분해의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에 대해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 후, 텍스트 평가부(14)는, 품사로 분해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명사, 동사, 형용사 및 부사의 문자열만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그룹의 필기자 A, B 및 C가, 각각, "Hello, now, a class of social studies begins. A textbook", "Hello, now, a class of social studies is conducted", 및 "Hello, now, as a continuation of last time, a class of social studies begins. A textbook"을 입력하고, 입력 제어부(12)는 각 입력에 대해 통합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도 6의 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자 A, B 및 C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가 품사로 분해된다. 이 경우에, 필기자 A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는, "Hello, now, a, class, of, social, studies, begins, A, textbook"으로 분해된다. 필기자 B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는 "Hello, now, a, class, of, social, studies, is, conducted"로 분해된다. 필기자 C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는 "Hello, now, as, a, continuation, of, last, time, a, class, of, social, studies, begins, A, textbook"으로 분해된다.
그리고 나서,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사로 분해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명사, 동사, 형용사, 및 부사의 문자열만이 추출된다. 예를 들어, 필기자 A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로부터는 "now, class, social, studies, begins, textbook"이 추출된다. 또한, 필기자 B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로부터는 "now, class, social, studies, is, conducted"가 추출된다. 또한, 필기자 C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로부터는 "now, continuation, last, time, class, social, studies, begins, textbook"이 추출된다.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평가부(14)는, 4개 품사의 문자열이 추출된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를 1 대 1로 비교하여,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각 필기자에 대해) 다른 통합 텍스트 데이터 것들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를 산출한다. 즉, 텍스트 평가부(14)는, 모든 조합을 점검하여, 조합으로부터 취득되는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를,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순차적으로 가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자 A, B 및 C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각의 세트로부터 품사가 추출된다. 이 경우에,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대 1로 비교가 수행되고, 품사 단위로 분해된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통합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산출된다.
도 7의 예에서는, 3명의 필기자 A, B 및 C가 존재하고, 따라서, A와 B, B와 C, 및 C와 A의 조합으로 비교가 3회 수행된다는 점에 주목하자. 또한, 4명의 필기자 A, B, C 및 D가 존재하면, A와 B, A와 C, A와 D, B와 C, B와 D 및 C와 D의 조합으로 비교가 6회 수행된다. 즉, 비교는 1 대 1로의 모든 조합에서 항상 수행된다.
도 7의 예에서, A와 B가 상호 비교될 때는, "now", "class", "social", 및 "studies"가 상호 일치하기 때문에, A와 B가 상호 비교될 때, 필기자 A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4개로 산출되고, 필기자 B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4개로 산출된다.
B와 C가 상호 비교될 때는, "now", "class", "social", 및 "studies"가 상호 일치하기 때문에, B와 C가 상호 비교될 때, 필기자 B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4개로 산출되고, 필기자 C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4개로 산출된다.
또한, A와 C가 상호 비교될 때는, "now", "class", "social", "studies", "begins", 및 "textbook"이 상호 일치하기 때문에, A와 C가 상호 비교될 때, 필기자 A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6개로 산출되고, 필기자 C의 통합 데이터의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6개로 산출된다.
그리고 나서, 조합에 대해 산출된 결과를 가산하면, 도 7의 최하단에 도시된 결과가 취득된다. 즉, 필기자 A의 통합 데이터에서,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는 4 + 6 = 10으로 산출된다. 필기자 B의 통합 데이터에는,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는 4 + 4 = 8로 산출된다. 또한, 필기자 C의 통합 데이터에서,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는 4 + 6 = 10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나서, 도 8의 중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평가부(14)는, 필기자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일치하는 문자열의 산출된 수의 내림차순으로 순위를 부여하여, 이들을 정렬한다. 도 8의 예에서는, 품사 분해가 수행된 상태에서는 정렬이 수행되지 않았고, 수신되는 상태에서 문자열이 정렬된다는 점에 주목하자. 즉,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가장 많은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처음에 등장하고,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가장 적은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마지막에 등장하도록 정렬이 수행된다.
또한,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에 따른 정렬에서,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동일한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존재하면, 텍스트 평가부(14)는,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16)로부터 송신된 필기자의 평가 점수를 참조하여,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동일한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평가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본 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평가 점수는, 예를 들어, 후보 데이터가 선택될 때마다, 데이터 통신부(16)에 의해, 후보 데이터를 생성한 필기자의 점수를 1만큼 가산하여, 이를 저장하여 얻어지고 있다. 즉, 필기자 A에 의해 생성된 후보 데이터가 점검자에 의해 선택될 때, 데이터 통신부(16)는 필기자 A의 평가 점수를 1만큼 가산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의 예에서, 필기자 A, B 및 C는 A: 0, B: 2 및 C: 10인 평가 점수를 가지며, C가 점검자에 의해 가장 잘 평가된다. 따라서, 통합 텍스트 데이터는, 궁극적으로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자 C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가 상위 순위를 부여받도록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정렬의 종료 후, 텍스트 평가부(14)는, 임의 수의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내림차순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데이터를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반환한다. 선택될 후보 데이터 세트의 수는,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의 수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값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또한, 텍스트 평가부(14)는, 선택되지 않았던 통합 텍스트 데이터를 차후 사용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파기한다.
(구체예: 단계 B8)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단계 B6 및 B8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중복 개소 삭제부에 의해 중복 개소를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 B6에서,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단계 B5에서 후보 데이터가 선택된 그룹 이전에 필기를 수행하였던 그룹으로부터 취득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도 9에 도시된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에는, 점검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수정전 후보 데이터) 및 그 할당 번호가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후보 데이터의 할당 번호가 4이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4보다 하나 이전인 할당 번호인 3을 필기자 내용 유지 리스트로부터 검색한다. 할당 번호 3 및 그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13)는, 할당 번호 3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 및 할당 번호 4의 후보 데이터를 중복 개소 삭제부(15)에 송신한다.
그리고 나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와 후보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의 말미에 있는 일정 수의 문자열을 후보 데이터의 선두에 있는 일정 수의 문자열과 비교하여, 후보 데이터의 각 세트로부터 일치하는 문자열을 삭제한다.
구체적으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할당 번호 3의 수정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있는 문자열을 할당 번호 4의 후보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있는 문자열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중복된 문자열 "Today"를 후보 데이터의 각 세트로부터 삭제한다.
그리고 나서, 중복 개소 삭제부(15)는 중복 개소가 삭제된 후보 데이터를 그 할당 번호와 함께 중복 할당 제어부(13)에 반환한다.
(실시예의 효과)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텍스트 데이터는, 필기에 의해 취득되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정보량, 중요한 문자열이 누락되는지 여부, 점검자의 신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필기가 할당되는 시간대의 중복으로 인해 필기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에 중복되는 문자열이 존재하더라도, 중복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가 점검자에게 제시된다. 따라서, 점검자에 의한 수정이 용이하게 되고, 점검자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어,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더욱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기자 사이의 협업시 수행되는 입력이 용이하므로, 효율적인 필기를 초래한다. 또한, 점검자가 교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달성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필기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필기의 초심자들의 경우에도, 청각 장애자에게 고 정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필기자의 부족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상술된 예는 필기자의 그룹에 의해 필기가 수행되도록 설명되고 있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는, 필기자들이 교대로 개별적으로 필기를 수행하고, 점검자가 필기자들에 대한 교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기의 누락을 예방하기 위해서, 시간대가 중복되고, 텍스트 데이터의 중복 개소가 삭제되는 처리가 수행되지만, 본 실시예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기자가 경험이 많은 숙련자이며, 시간대를 중복할 필요가 없으면, 중복 개소를 삭제하는 처리는 생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기자가 숙련자이면, 필기자들이 교대로 개별적으로 필기를 수행하고, 점검자가 필기자들에 대한 교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프로그램]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도 4에 도시된 단계 B1 내지 B11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하고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이해 지원 서버(1)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텍스트 수신부(11), 입력 제어부(12), 중복 할당 제어부(13), 텍스트 평가부(14), 중복 개소 삭제부(15), 데이터 통신부(16), 및 텍스트 송신부(17)로서 기능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해 지원 서버(1)를 실현하는 컴퓨터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10)에는, CPU(111), 메인 메모리(112), 스토리지 디바이스(113), 입력 인터페이스(114), 디스플레이 제어기(115), 데이터 리더/라이터(116), 통신 인터페이스(117)가 제공된다. 이러한 유닛들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버스(121)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CPU(111)는, 스토리지 디바이스(113)에 저장된 본 실시예의 프로그램들(코드들)을 메인 메모리(112) 상에 전개하여,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소정 순서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종 연산을 실행한다. 통상적으로, 메인 메모리(11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 디바이스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120)에 저장되는 상태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접속되는 인터넷에서 배포된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또한, 스토리지 디바이스(113)의 구체적인 예들은, 하드 디스크 외에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14)는, CPU(111)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118)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중개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9)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9)에 접속된다.
데이터 리더/라이터(116)는, CPU(111)와 기록 매체(120)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중개하고, 기록 매체(120)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판독 및 컴퓨터(110)의 처리 결과의 기록 매체(120)로의 기입을 실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7)는, CPU(111)와 다른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한다.
또한, 기록 매체(120)의 특정 예들은, CF(Compact Flash(등록 상표)) 및 SD(Secure Digital)과 같은 범용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플렉시블 디스크와 같은 자기 스토리지 매체, 또는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와 같은 광 스토리지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 1) 내지 (부기 15)에 의해 표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버 디바이스;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 및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고,
서버 디바이스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2)
부기 1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버 디바이스는,
각 시간대에 대해 다른 필기자들에 의해 필기가 행해지고 있을 때,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얻어지며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할당 제어부; 및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개소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고,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3)
부기 2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버 디바이스는,
각 시간대에 대해 2명 이상의 필기자들로 구성되는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부; 및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중복 할당 제어부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그룹으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었던 후보 데이터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중복 개소 삭제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고,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4)
부기 3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입력 제어부는, 각 필기자에 대해,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 동안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축적하고,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를 통지받을 때,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5)
부기 3 또는 4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텍스트 평가부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품사 분해를 수행하고,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을 추출하고,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 중, 다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를 산출하여,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 각각에 대해 산출되는 수를 사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선택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6)
부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중복 할당 제어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리스트를 유지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는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중복 개소 삭제부에 주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는 텍스트 송신부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게 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7)
부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중복 개소 삭제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을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8)
부기 1에 따른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버 디바이스는,
복수의 필기자들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복수의 필기자들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부; 및
복수의 필기자들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부기 9)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이해 지원 서버로서,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0)
부기 9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각 시간대에 대해 다른 필기자들에 의해 필기가 행해지고 있을 때,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얻어지며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할당 제어부; 및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개소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고,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1)
부기 10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각 시간대에 대해 2명 이상의 필기자들로 구성되는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부; 및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들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중복 할당 제어부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그룹으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었던 후보 데이터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중복 개소 삭제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고,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2)
부기 11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입력 제어부는, 각 필기자에 대해,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 동안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축적하고,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를 통지받을 때,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3)
부기 11 또는 12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텍스트 평가부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품사 분해를 수행하고,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을 추출하고,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 중, 다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를 산출하여,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 각각에 대해 산출되는 수를 사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선택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4)
부기 10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중복 할당 제어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리스트를 유지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는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중복 개소 삭제부에 주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중복 할당 제어부는 텍스트 송신부가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게 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5)
부기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중복 개소 삭제부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을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6)
부기 9에 따른 이해 지원 서버로서,
복수의 필기자들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복수의 필기자들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부; 및
복수의 필기자들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이해 지원 서버.
(부기 17)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18)
부기 17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d) 각 시간대에 대해 다른 필기자에 의해 필기가 수행되고 있을 때,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b)에서,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19)
부기 18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f) 각 시간대에 대해 2명 이상의 필기자에 의해 구성되는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g)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d)에서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그룹으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 되었던 후보 데이터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고,
단계 (e)에서는, 단계 (d)에서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와 비교되어,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되고,
단계 (b)에서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가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0)
부기 19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단계 (f)에서는, 각 필기자에 대해,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 동안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축적되고,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가 통지될 때,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가 통합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1)
부기 19 또는 20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단계 (g)에서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서 품사 분해가 수행되고,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이 추출되고,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 중, 다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산출되고, 각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산출된 수를 사용하여 후보 데이터가 선택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2)
부기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단계 (d)에서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리스트가 사용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단계 (e)를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b)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가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3)
부기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단계(e)에서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이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4)
부기 17에 따른 이해 지원 방법으로서,
(h) 복수의 필기자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복수의 필기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i) 복수의 필기자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해 지원 방법.
(부기 25)
컴퓨터로 하여금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점검된 텍스트 데이터를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26)
부기 25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d) 각 시간대에 대해 다른 필기자에 의해 필기가 수행되고 있을 때,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단계 (b)에서,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27)
부기 26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f) 각 시간대에 대해 2명 이상의 필기자에 의해 구성되는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g)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단계 (d)에서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그룹으로부터 취득되며 점검 대상이 되었던 후보 데이터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고,
단계 (e)에서는, 단계 (d)에서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와 비교되어,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되고,
단계 (b)에서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가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28)
부기 27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단계 (f)에서는, 각 필기자에 대해,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 동안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축적되고,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가 통지될 때,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가 통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29)
부기 27 또는 28 어느 하나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단계 (g)에서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서 품사 분해가 수행되고,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이 추출되고,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 중, 다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가 산출되고, 각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산출된 수를 사용하여 후보 데이터가 선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30)
부기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단계 (d)에서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리스트가 사용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단계 (e)를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리스트에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b)에서,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가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31)
부기 26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단계(e)에서는,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이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부기 32)
부기 25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h) 복수의 필기자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복수의 필기자 각각에 대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i) 복수의 필기자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상세사항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3년 3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3-044977에 기초하며 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를 수행하는 사람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청각 장애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각 장애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1 : 이해 지원 서버
2 : 필기자 클라이언트
3 : 사용자 클라이언트
4 : 점검자 클라이언트
5 : 음성 배포 서버
6 : 음성 재생 디바이스
10 : 이해 지원 시스템
11 : 텍스트 수신부
12 : 입력 제어부
13 : 중복 할당 제어부
14 : 텍스트 평가부
15 : 중복 개소 삭제부
16 : 데이터 통신부
17 : 텍스트 송신부
21 : 음성 수신부
22 : 텍스트 송신부
23 : 텍스트 입력부
31 : 텍스트 수신부
32 : 표시부
41 : 텍스트 수신부
42 : 표시부
43 : 텍스트 송신부
44 : 점검 및 교정부
110 : 컴퓨터
111 : CPU
112 : 메인 메모리
113 : 스토리지 디바이스
114 : 입력 인터페이스
115 : 디스플레이 제어기
116 : 데이터 리더/라이터
117 : 통신 인터페이스
118 : 입력 디바이스
119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0 : 기록 매체
121 : 버스

Claims (10)

  1.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으로서,
    서버 디바이스;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 및 상기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상기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상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각 시간대 마다 다른 필기자들에 의해 필기가 행해지고 있을 때,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필기자로부터 얻어지며 점검 대상이었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할당 제어부; 및
    상기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중복 개소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고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각 시간대 마다 2명 이상의 필기자들로 구성되는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담화에 대하여 필기가 수행될 때,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제어부; 및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세트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해, 점검 대상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복 할당 제어부는, 이전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한 그룹으로부터 얻어지며 점검 대상이었던 상기 후보 데이터의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중복 개소 삭제부는, 상기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상기 후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후자로부터 중복되는 개소를 삭제하고,
    상기 텍스트 송신부는,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그룹의 후보 데이터이며 중복되는 개소가 삭제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각 필기자 마다, 상기 필기자의 그룹에 할당되는 시간대 동안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축적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송신 완료를 통지받을 때, 상기 축적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합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평가부는, 동일한 그룹을 구성하는 필기자들 각각의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의 각 세트에 대해 품사 분해를 수행하고, 특정 품사에 해당하는 문자열만을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 중, 다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의 수를 산출하여, 통합된 텍스트 데이터 각각에 대해 산출되는 상기 수를 사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선택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할당 제어부는, 상기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는 리스트를 유지하고, 상기 리스트에 상기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중복 할당 제어부는 상기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중복 개소 삭제부에 주고, 상기 리스트에 상기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중복 할당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송신부가 상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게 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개소 삭제부는, 상기 취득된 점검전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말미에 위치되는 문자열을 현재 시간대에서 필기를 수행하는 필기자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장의 선두에 위치되는 문자열과 비교하는 이해 지원 시스템.
  8.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이해 지원 서버로서,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상기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수신부;
    상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상기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텍스트 송신부;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서버.
  9.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상기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해 지원 방법.
  10. 컴퓨터로 하여금 화자의 담화를 필기하는 서비스를 받는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지원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a) 필기를 행하는 필기자가 사용하는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상기 담화의 필기에 의해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필기자에 의해 행해진 필기를 점검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자에 의해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점검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는 제3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57027711A 2013-03-07 2014-02-10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50126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4977 2013-03-07
JPJP-P-2013-044977 2013-03-07
PCT/JP2014/053058 WO2014136534A1 (ja) 2013-03-07 2014-02-10 理解支援システム、理解支援サーバ、理解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027A true KR20150126027A (ko) 2015-11-10

Family

ID=5149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711A KR20150126027A (ko) 2013-03-07 2014-02-10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12751A1 (ko)
EP (1) EP2966601A4 (ko)
JP (1) JP6172769B2 (ko)
KR (1) KR20150126027A (ko)
CN (1) CN105009151A (ko)
WO (1) WO2014136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70350A1 (en) 2014-02-28 2018-09-20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US10748523B2 (en) * 2014-02-28 2020-08-18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US10878721B2 (en) 2014-02-28 2020-12-29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US10389876B2 (en) 2014-02-28 2019-08-20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80034961A1 (en) 2014-02-28 2018-02-01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JP6843840B2 (ja) * 2016-04-12 2021-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10320474B2 (en) * 2016-12-29 2019-06-11 Stmicroelectronics S.R.L. System, method and article for adaptive framing for TDMA MAC protocols
US10388272B1 (en) 2018-12-04 2019-08-20 Sorenson Ip Holdings, Llc Training speech recognition systems using word sequences
US10573312B1 (en) 2018-12-04 2020-02-25 Sorenson Ip Holdings, Llc Transcription generation from multiple speech recognition systems
US11017778B1 (en) 2018-12-04 2021-05-25 Sorenson Ip Holdings, Llc Switching between speech recognition systems
US11170761B2 (en) 2018-12-04 2021-11-09 Sorenson Ip Holdings, Llc Training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US11539900B2 (en) 2020-02-21 2022-12-27 Ultratec, Inc. Caption modification and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by hearing assisted user
US11488604B2 (en) 2020-08-19 2022-11-01 Sorenson Ip Holdings, Llc Transcription of audi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2909B1 (en) * 1997-11-14 2001-04-24 Lucent Technologies Inc. Audio note taking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s
JP2001134276A (ja) 1999-11-02 2001-05-18 Nippon Hoso Kyokai <Nhk> 音声文字化誤り検出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748361B1 (en) * 1999-12-14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speech assistant supporting a dialog manager
JP2002268679A (ja) 2001-03-07 2002-09-20 Nippon Hoso Kyokai <Nhk> 音声認識結果の誤り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音声認識結果の誤り検出プログラム
US7668718B2 (en) * 2001-07-17 2010-02-23 Custom Speech Usa, Inc. Synchronized pattern recognition source data processed by manual or automatic means for creation of shared speaker-dependent speech user profile
US7219301B2 (en) * 2002-03-01 2007-05-15 Iparadig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a peer review process and evaluating the originality of documents
US7680820B2 (en) * 2002-04-19 2010-03-16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ext recommendations during collaborative note taking
US7016844B2 (en) * 2002-09-26 2006-03-21 Core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transcription services
US8849648B1 (en) * 2002-12-24 2014-09-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System and method of extracting clauses for 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JP2004240920A (ja) 2003-02-10 2004-08-26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校正システム
ATE417346T1 (de) * 2003-03-26 2008-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pracherkennungs- und korrektursystem, korrektu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lexikons von alternativen
US7917364B2 (en) * 2003-09-23 2011-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engines
US20050210046A1 (en) * 2004-03-18 2005-09-22 Zenodata Corporation Context-based conversion of language to data systems and methods
US8335688B2 (en) * 2004-08-20 2012-12-18 Multimodal Technologies, Llc Document transcription system training
US8412521B2 (en) * 2004-08-20 2013-04-02 Multimodal Technologies, Llc Discriminative training of document transcription system
GB0420464D0 (en) * 2004-09-14 2004-10-20 Zentian Ltd A speech recognition circuit and method
JP4158937B2 (ja) 2006-03-24 2008-10-0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字幕修正装置
KR20070114606A (ko) * 2006-05-29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과 VoIP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WO2008148102A1 (en) * 2007-05-25 2008-12-04 Tigerfish Method and system for rapid transcription
US20090068631A1 (en) * 2007-09-10 2009-03-12 Chris Halliwell Web based educational system for collaborative learning
US8843370B2 (en) * 2007-11-26 2014-09-23 Nuance Communications, Inc. Joint discriminative training of multiple speech recognizers
US20090319910A1 (en) * 2008-06-22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ontent and author emphasis for shared data
US8392187B2 (en) * 2009-01-30 2013-03-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pruning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9871916B2 (en) * 2009-03-05 2018-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voice transcription
EP2325838A1 (en) * 2009-10-27 2011-05-25 verbavoice GmbH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cription of spoken language
KR20110051385A (ko) * 2009-11-10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9099087B2 (en) * 2010-09-03 2015-08-04 Canyon IP Holding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language models for transcribing communications
US10032455B2 (en) * 2011-01-07 2018-07-24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a pronunciation alignment between multiple recognizers
US9183843B2 (en) * 2011-01-07 2015-11-1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multiple recognizers
US20130018895A1 (en) * 2011-07-12 2013-01-17 Harless William G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meaning from speech-to-text data
US9430468B2 (en) * 2012-06-28 2016-08-30 Elsevier Bv Online peer review system and method
US20140039876A1 (en) * 2012-07-31 2014-02-06 Craig P. Sayers Extracting related concepts from a content stream using temporal distribution
US9966075B2 (en) * 2012-09-18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Leveraging head mounted displays to enable person-to-person inter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6534A1 (ja) 2014-09-12
EP2966601A1 (en) 2016-01-13
JP6172769B2 (ja) 2017-08-02
JPWO2014136534A1 (ja) 2017-02-09
EP2966601A4 (en) 2016-06-29
CN105009151A (zh) 2015-10-28
US20160012751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6027A (ko)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6953343B2 (en) Automatic reading system and methods
Jugo Language anxiety in focus: The case of Filipino undergraduate teacher education learners
Berke et al. Deaf and hard-of-hearing perspectives on imperfect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captioning one-on-one meetings
US20050255431A1 (en)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Wald Crowdsourcing correction of speech recognition captioning errors
WO2019019406A1 (zh) 一种用于更新教学录播数据的装置
Butler et al. Exploration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classes
Gürbüz Understanding fluency and disfluency in non-native speakers' conversational English
Rossi et al. Text authenticity in listening assessment: Can item writers be trained to produce authentic-sounding texts?
Iberri-Shea Adaptation and assessment of a public speaking rating scale
KR101992370B1 (ko) 말하기 학습방법 및 학습시스템
Kuvač Kraljević et al. CroDA: a Croatian discourse corpus of speakers with aphasia
KR20200081707A (ko) 말하기 연습자의 학습용 피드백 장치
Cheng Unfamiliar accented English negatively affects EFL listening comprehension: It helps to be a more able accent mimic
KR102396833B1 (ko) 음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Neumeyer et al. Webgrader: a multilingual pronunciation practice tool
JP2019061189A (ja) 教材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
JP710722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021245A (ja) 語学学習支援装置、語学学習支援方法および語学学習支援プログラム
Weng Voices from international Chinese students on varieties of English: A mixed methods study
JP5791124B2 (ja) 要約筆記支援システム、要約筆記支援装置、要約筆記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19448B1 (ko) 속도변환을 이용한 대화형 언어 교습 시스템 및 그 방법
Wald Concurrent collaborative captioning
JP2014038140A (ja) 語学学習補助装置、語学学習補助方法、語学学習補助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