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561A -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561A
KR20150122561A KR1020140111623A KR20140111623A KR20150122561A KR 20150122561 A KR20150122561 A KR 20150122561A KR 1020140111623 A KR1020140111623 A KR 1020140111623A KR 20140111623 A KR20140111623 A KR 20140111623A KR 20150122561 A KR20150122561 A KR 20150122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incoming call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오트르 크자르네키
아가타 가신스카
마리우쯔 위노로위스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15B1/ko
Priority to EP15738562.6A priority patent/EP2976901B1/en
Priority to CN201580000819.0A priority patent/CN105247902B/zh
Priority to ES15738562T priority patent/ES2851773T3/es
Priority to US14/694,585 priority patent/US9456079B2/en
Priority to CN201910376241.9A priority patent/CN110149446B/zh
Priority to CN201910375633.3A priority patent/CN110072018B/zh
Priority to PCT/KR2015/004050 priority patent/WO2015163704A1/en
Priority to US14/855,521 priority patent/US9553981B2/en
Publication of KR2015012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61A/ko
Priority to KR1020160062814A priority patent/KR102160797B1/ko
Priority to US15/386,302 priority patent/US10110734B2/en
Priority to US16/154,850 priority patent/US10419605B2/en
Priority to US16/542,621 priority patent/US10863023B2/en
Priority to KR1020200122439A priority patent/KR102228458B1/ko
Priority to US17/111,999 priority patent/US11388285B2/en
Priority to US17/860,551 priority patent/US202203533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pplications where calls ar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 H04M2203/651Text message transmission triggered by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Device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 incoming call in the devices}
본 개시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착신 호출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사용자는 착신 호출에 대한 거절을 선택하거나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거절 메시지, 즉, 부재중 메시지는 사용자의 구체적인 상황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착신자에게 본인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가 착신 호출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구체적인 상황이 포함된 거절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incoming call)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위치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경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활동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이 유지되면, 상기 현재 활동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활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스케쥴 어플리케이션 및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call back)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정보, 현재 교통 상황, 스케쥴 정보, 운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회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 형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메시지 형태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음성 또는 문자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선택 요청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상기 음성, 상기 문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communication medium)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게 상기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상기 착신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유무 및 상기 거절 메시지의 전송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게 상기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상기 착신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유무 및 상기 거절 메시지의 전송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그룹에 따른 수신인 형식 및 발신인 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최근 문자 메시지 송수신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 대해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 중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회신 또는 응답 가능한 시간에 리마인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문자,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리마인더 형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리마인더 형태에 따라 리마인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수락, 거절, 및 상기 거절 메시지 전송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락처 정보 및 상기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 상기 사용자의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는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 및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이 선택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디바이스에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디바이스에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이 수신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거절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거절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1010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S1010 단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별 수신인 형식 및 발신인 형식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5a 및 15b는 도 14의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수신인 형식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6a 및 16b는 도 14의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수신인 형식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통신 매체 선택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마인더 메시지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마인더 메시지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incoming call)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디바이스(200)의 제2 사용자(USER2)는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사용자(USER1)와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USER1)는 수신자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2 사용자(USER2)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는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11)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는 착신 번호 또는 발신 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에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제2 디바이스(200)의 이름(12)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에는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13)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는 수신 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의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에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100)의 이름(14)이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사용자(USER1)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착신 호출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에 있을 수 있고, 또는 제2 사용자(USER2)와의 전화 연결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0 또는 단계 S210 중에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스케쥴 어플리케이션 또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거나 미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판단 결과 또는 예측 결과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미도시)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거나 미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판단 결과 또는 예측 결과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거절 메시지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은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 중 하나가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사용 이력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거절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은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복수의 거절 메시지들 중 하나가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 이력을 기초로 하여 하나의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거절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00)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를 발신한다.
단계 S3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수신한다.
단계 S3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옵션들은 착신 호출에 대한 수락(accept 또는 answer), 거절(reject 또는 decline) 또는 거절 메시지 전송(reject with message 또는 reply with messag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절 메시지 전송 모드는 방해 금지 모드(do not disturb)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움직임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reject message 또는 reject call message)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이 수신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에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수신된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15a, 15b, 15c)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15a)은 착신 호출에 대한 수락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고, 제2 옵션(15b)은 착신 호출에 대한 거절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으며, 제3 옵션(15c)은 착신 호출에 대한 거절 메시지 전송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옵션들(15a, 15b, 15c)에 대한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제3 옵션(15c)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 제스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택 제스처는 탭, 더블탭, 드래그, 스와이프,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스와이프(swipe)"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로 화면 위의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동작이다. 사선 방향의 움직임은 스와이프 이벤트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되는 거절 메시지(16)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USER1)가 도 4의 제3 옵션(15c), 즉,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16)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거절 메시지(16)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옵션(15c)이 선택된 경우, 거절 메시지(16)는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자동으로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옵션(15c)이 선택된 경우, 거절 메시지(16)에 대한 복수의 후보들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고, 복수의 후보들 중 하나가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선택되어 제2 디바이스(200)에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절 메시지(16)는 이름 정보(16a), 장소 정보(16b) 및 시간 정보(16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거절 메시지(16)는 장소 정보(16b) 및 시간 정보(16c)만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거절 메시지(16)는 시간 정보(16c)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거절 메시지(16)는 장소 정보(16b) 대신 경로(route) 정보 또는 활동(activit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름 정보(16a)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제2 사용자(USER2)의 이름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름 정보(16a)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된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거절 메시지(16)는 이름 정보(16a)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이 “지현”인 경우, 이름 정보(16a)는 “지현아”라고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름 정보(16a)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사이의 메시지 전송 이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USER2)의 별칭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장소 정보(16b)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은 공간적인 컨텍스트(spatial context) 및 현재 위치를 기초로 자동으로 완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소 정보(16b)는 제1 사용자(USER1)의 활동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동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활동이 유지되면, 현재 활동을 제1 사용자(USER1)의 활동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활동을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제1 사용자(USER1)가 자전거를 타는 활동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경우, 제1 사용자(USER1)의 활동은 자전거를 타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의 활동을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하는 경우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위치들이 동일하다고 간주되어 병합되는 경우에 두 위치들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는 "위치들 사이의 거리(distance between MyPlaces)", 유효라고 간주되는 위치 로그의 최소 정확도를 나타내는 "위치 정확도(location accuracy)", 지도 상에 표시되기 위한 최소 내 위치 힛 카운트를 나타내는 "최소 힛 카운트(minimum hit count)", 위치 로그들의 평균을 내 위치로 사용하기 위한 "평균 위치(average location)", 활동 패턴을 개시하기 위한 활동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활동 패턴 개시 시간(activity pattern init time)" 또는 "운전 이후 활동 패턴 시간(activity pattern time since driving)", 활동 패턴을 중단하기 위해 활동 인식에 의해 리턴된(returned) 주행의 퍼센트 신뢰도를 나타내는 "운전 신뢰도(driving confidence)", 최대 허용된 보행 중 활동 시간을 나타내는 "활동 패턴 최대 보행 시간(activity pattern max walk time)", 현재 위치가 내 위치로 고려된 이후 활동 패턴 총 시간을 나타내는 "활동 패턴 총 시간(activity pattern total time)", 지도에서 위치 로그를 그릴 때 근처 위치 로그들을 병합하여 단일 마커(marker)로 그리는 "병합 위치 로그들(merge location logs)"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스케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스케쥴이 '회의 중'인 경우, 장소 정보(16b)는 "회의실에서 회의 중입니다."라고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동 중이라는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수영 중'인 경우, 장소 정보(16b)는 "수영장에서 수영 중입니다."라고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전 중이라는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전 중'인 경우, 장소 정보(16b)는 "운전 중입니다."라고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소 정보(16b)는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현재 위치를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로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 거리가 500 m 이하인 경우, 현재 위치를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를 기초로 장소 정보(16b)를 생성하는 경우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 위치들 사이의 거리", "최소 힛 카운트", "평균 위치", "내 위치에서 소요된 시간(time spend in MyPlace)", 위치 변화가 500 m 이하인 경우 마지막 위치 로그가 변하지 않으면 위치 패턴을 중단하지 않는 "정지한 경우 동일 근접 위치들(same close locations when still)"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위치, 출발지, 목적지, 이동 경로 등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의 목적지가 '집'인 경우, 장소 정보(16b)는 "집에 가는 중입니다."라고 생성될 수 있다.
시간 정보(16c)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은 공간적인 컨텍스트 및 예측된 시간을 기초로 자동으로 완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예측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예측 모듈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call back)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예측 모듈은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위치에서 머무르는 시간,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위치를 떠나는 시간 및 다음 위치에 진입하는 시간, 제1 사용자(USER2)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우, 목적지에 도달하는 예상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은 도 3의 단계 S3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600에서, 연락처 정보, 최근 통화 내역 및 최근 문자 메시지 송수신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 최근 통화 내역 또는 최근 메시지 송수신 내역을 기초로 하여, 착신자, 즉, 제2 사용자(USER2)에게 거절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2 사용자(USER2)는 제1 사용자(USER1)와 가까운 사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더라도,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화 빈도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빈도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는 제1 사용자(USER1)와 가까운 사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1 사용자(USER1)의 구체적인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고,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화 빈도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빈도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는 제1 사용자(USER1)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서 즐겨찾기 또는 VIP 등으로 설정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는 제1 사용자(USER1)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1 사용자(USER1)의 구체적인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거절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결정된 정보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600에서 결정된 정보만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절 메시지는 다양한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거절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1)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장시간 운전 중이거나 회의가 계속되는 등의 상황인 경우 제1 사용자(USER1)는 회신 가능 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1)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또는 상황 등과 같은 현재 상황이 포함된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1)는 "지금은 수영장입니다.", "지금은 회사에 가는 중입니다." 또는 "지금은 운전 중입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2)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사용자(USER1)의 가족인 경우, 제1 사용자(USER1)의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2)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또는 상황 등과 같은 현재 상황 및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 등과 같은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2)는 "지금은 운전 중이오니, 1시간 후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지금은 운동 중이며, 30분 뒤에 통화 가능합니다." 또는 "지금은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있으며, 2시간 뒤에 통화 가능합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3)는 사용자의 미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직장 동료인 경우, 제1 사용자(USER1)의 사생활과 관련된 현재 상황은 전달하고 싶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3)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 등과 같은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3)는 "1시간 후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20분 뒤에 통화 가능합니다. 급한 용무가 있으신가요?"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4)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연락 빈도가 낮은 경우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4)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TYPE4)는 "지금은 통화할 수 없습니다.", "나중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은 도 3의 단계 S340의 일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의 생성 방법은 도 6의 단계 S610의 일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S60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00에서, 결정된 정보에 현재 상황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현재 상황이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81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50을 수행한다.
단계 S8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착신 호출이 수신되는 동안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출발지, 목적지, 현재 위치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스케쥴의 종류, 현재 스케쥴의 장소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운동의 종류, 현재 운동 장소 등일 수 있다.
단계 S815에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현재 위치, 현재 스케쥴, 현재 운동 등과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이 포함된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결정된 정보에 미래 상황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래 상황이 포함된 경우 단계 S82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40을 수행한다. 단계 S840에서, 제1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이 포함된 제1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TYPE1)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25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착신 호출이 수신되는 동안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거리, 목적지까지의 예측 소요 시간, 현재 교통 상황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에 현재 스케쥴의 시작 시간, 현재 스케쥴의 종료 시간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운동의 시작 시간, 현재 운동의 종료 시간 등일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예측 결과를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더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과 함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과 같은 미래 상황이 더 포함된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35에서, 제2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2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TYPE2)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50에서, 결정된 정보에 미래 상황이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래 상황이 포함된 경우 단계 S85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네는 단계 S870을 수행한다.
단계 S855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한다. 단계 S855는 단계 S825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60에서, 예측 결과를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S865에서, 제3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3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TYPE3)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870에서, 수신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이 포함되지 않은 일반 부재중 메시지 형식으로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75에서, 제4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이 포함되지 않은 제4 타입에 따른 거절 메시지(TYPE4)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은 도 3의 단계 S3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9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의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회의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운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동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지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전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판단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복수의 메시지 형태들(forms) 중 하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메시지 형태는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회의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문자 메시지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동 중 또는 운전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문자 메시지의 입력 또는 문자 메시지의 선택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음성 메시지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선택된 메시지 형태로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이 포함된 내용을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내용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이 포함된 내용을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 전달될 거절 메시지의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은 도 3의 단계 S3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10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의 스케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회의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운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동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지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가 현재 운전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판단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음성 또는 문자로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메시지 타입의 선택 요청, 메시지 내용의 선택 요청, 메시지 통신 매체의 선택 요청, 메시지 형태의 선택 요청 등과 같은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한다.
도 11은 도 10의 S1010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선택 요청(17)이 문자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회의 중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문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이모티콘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 요청(17)은 메시지 내용의 선택 요청일 수 있고, "메시지 내용을 선택하세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선택 요청의 대상이 되는 메시지 내용들이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로서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상에서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의 배열 순서는 사용자의 선택 기록, 선택 빈도, 연락처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텍스트를 가장 상단에 배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텍스트(TEXT1)는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지금 회의 중입니다."이고, 제2 텍스트(TEXT2)는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지금 회의 중이오니, 30분 후에 전화 드리겠습니다."이며, 제3 텍스트(TEXT3)은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30분 후에 전화 드리겠습니다."이고, 제4 텍스트(TEXT4)는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지금은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S1010 단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선택 요청(17)이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운전 중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 요청(18)은 메시지 내용의 선택 요청일 수 있고, "메시지 내용을 선택하세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고, 선택 요청의 대상이 되는 메시지 내용들이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로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한 복수의 텍스트들(TEXT1, TEXT2, TEXT3, TEXT4)의 출력 순서는 사용자의 선택 기록, 선택 빈도, 연락처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가장 최근에 이용한 텍스트를 가장 먼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텍스트(TEXT1)의 경우, 예를 들어, "지금 회의 중입니다 라는 메시지를 선택할까요?"라고 출력하고, 제2 텍스트(TEXT2)의 경우, 예를 들어, "지금 회의 중이오니, 30분 후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선택할까요?"라고 출력하며, 제3 텍스트(TEXT3)의 경우, 예를 들어, "30분 후에 전화 드리겠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선택할까요?"라고 출력하고, 제4 텍스트(TEXT4)의 경우, 예를 들어, "지금은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선택할까요?"라고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20에서,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음성, 문자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요청(17)을 화면 상에 문자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선택 제스처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선택 제스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선택 제스처는 탭, 더블탭, 드래그, 스와이프,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요청(18)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응답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요청(18)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운동 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수신한 선택 결과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 결과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절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절 메시지 생성 방법은 도 3의 단계 S3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1300에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여 착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한다. 여기서, 연락처 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일 수 있고, 전화번호부는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은 직장 동료, 친구, 가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장 동료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정중하고 격식을 차린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반면, 친구 또는 가족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편안하고 격식에 얽매이지 않은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10에서, 판별된 그룹에 따른 수신인 형식 및 발신인 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별 수신인 형식 및 발신인 형식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그룹은 예를 들어, 직장 동료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그룹은 예를 들어, 친구 또는 가족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그룹에 대해 국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수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귀하'를 이용할 수 있고, 발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배상'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제2 사용자(USER2)가 '김지현'이라고 저장된 경우, 거절 메시지는 '김지현 귀하'를 포함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
제1 그룹에 대해 영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수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Mr.' 또는 'Ms.'를 이용할 수 있고, 발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Yours sincerely'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제2 사용자(USER2)가 'Mark Brown'으로 저장된 경우, 거절 메시지는 'Mr. Brown'을 포함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
제2 그룹에 대해 국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수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야' 또는 '아'를 이용할 수 있고, 발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제2 사용자(USER2)가 '김지현'으로 저장된 경우, 거절 메시지는 '지현아'를 포함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
제2 그룹에 대해 영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수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이름(first name)'을 이용할 수 있고, 발신인 형식으로 예를 들어, 'regards'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제2 사용자(USER2)가 'Mark Brown'으로 저장된 경우, 거절 메시지는 'Mark'를 포함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도 14의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수신인 형식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게 문자 메시지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때, 수신인(19a)은 'Mr. Brown'으로 생성되고, 문자 메시지의 본문(19b)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판단 또는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게 이메일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때, 수신인(19c)은 'Dear Mr. Brown'으로 생성되고, 발신인(19e)은 'Yours sincerely'로 생성되며, 이메일의 본문(19d)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판단 또는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도 14의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수신인 형식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2)가 제2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게 문자 메시지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때, 수신인(20a)은 'Mark'로 생성되고, 문자 메시지의 본문(20b)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판단 또는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2)가 제2 그룹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게 이메일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때, 수신인(20c)은 'Dear Mark'로 생성되고, 발신인(20e)은 'regards'로 생성되며, 이메일의 본문(20d)은 제1 디바이스(100)에서 판단 또는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7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를 발신한다.
단계 S17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수신한다.
단계 S17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옵션들은 착신 호출에 대한 수락, 거절 또는 거절 메시지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17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움직임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17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여기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 채팅 서비스(카카오톡, 라인 등)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전화 번호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신 매체들에 대한 사용 빈도, 제1 사용자(USER1) 또는 제2 사용자(USER2)의 최근 이용 내역 등을 기초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호도에 따라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호도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단계 S17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710 내지 단계 S1740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7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740에서 선택된 통신 매체를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은 도 17의 단계 S17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S17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1800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먼저,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제2 디바이스(200)에 대해 전송 가능한 통신 매체들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에 제2 사용자(USER2)에 대해 저장된 정보들,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아이디(ID), 채팅 서비스의 아이디 등을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선택 가능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신 매체들에 대한 사용 빈도, 제1 사용자(USER1) 또는 제2 사용자(USER2)의 최근 이용 내역, 제2 사용자(USER2)의 통신 서비스 이용 유무, 거절 메시지의 전송 기록 등을 기초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200)에 대해 마지막으로 전달한 거절 메시지가 이메일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이메일을 가장 상단에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810에서, 결정된 표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을 표시한다.
단계 S1820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통신 매체 선택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통신 매체 선택 요청(21)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통신 매체 선택 요청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도 18의 S1800 단계에서 결정된 표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상단에 표시된 통신 매체는 사용자의 선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통신 매체일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는 탭, 더블탭, 드래그, 스와이프,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과 같은 선택 제스처를 통해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을 감지하여,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선택된 통신 매체를 통해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은 도 17의 단계 S174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2000에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를 검색한다.
단계 S2010에서, 연락처 정보에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에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락처 정보에 착신 번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2030, 단계 S2050 및 단계 S2070 중 하나를 수행하는데, 이때, 단계 S2030, 단계 S2050 및 단계 S2070에 대한 적용 순서는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연락처 정보에 착신 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20을 수행한다. 단계 S20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를 선택한다.
단계 S2030에서, 연락처 정보에 SNS 계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에 제2 사용자(USER2)의 SNS 계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락처 정보에 SNS 계정이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203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50, 단계 S2070 또는 단계 S2020을 수행한다.
단계 S2035에서,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2040에서, 착신자가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사용자(USER2)의 이용 내역을 검색함으로써 제2 사용자(USER2)가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50에서, 연락처 정보에 채팅 계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에 제2 사용자(USER2)의 채팅 계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락처 정보에 채팅 계정이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205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30, 단계 S2070 또는 단계 S2020을 수행한다.
단계 S2055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2060에서, 착신자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카카오톡, 라인 등과 같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사용자(USER2)의 이용 내역을 검색함으로써 제2 사용자(USER2)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70에서, 연락처 정보에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에 제2 사용자(USER2)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락처 정보에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207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30, 단계 S2050 또는 단계 S2020을 수행한다.
단계 S2075에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2080에서, 착신자와의 이메일 교환 기록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사용자(USER2)의 이메일 교환 기록을 검색함으로써 제2 사용자(USER2)와의 이메일 교환 기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90에서, 거절 메시지 전송 기록을 기초로 SNS, 채팅, 이메일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거절 메시지 전송 기록을 기초로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 빈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SNS, 채팅, 이메일 또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제2 사용자(USER2)의 SNS 계정, 채팅 계정, 이메일 주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사용자(USER1)는 제2 사용자(USER2)에게 주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 따른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1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를 발신한다.
단계 S21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수신한다.
단계 S21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옵션들은 착신 호출에 대한 수락, 거절 또는 거절 메시지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옵션들은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21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움직임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21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여기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 채팅 서비스(카카오톡, 라인 등)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전화 번호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신 매체들에 대한 사용 빈도, 제1 사용자(USER1) 또는 제2 사용자(USER2)의 최근 이용 내역 등을 기초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는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는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단계 S21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710 내지 단계 S1740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740에서 선택된 통신 매체를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1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마인더 메시지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은 도 21의 단계 S217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S216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2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미래 상황을 예측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거리, 목적지까지의 예측 소요 시간, 현재 교통 상황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에 현재 스케쥴의 시작 시간, 현재 스케쥴의 종료 시간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운동의 시작 시간, 현재 운동의 종료 시간 등일 수 있다.
단계 S2210에서, 예측된 미래 상황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회신 또는 응답 가능한 시간에 리마인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가 회신 또는 응답 가능한 시간에 리마인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가 "지금은 운전 중이오니, 30분 뒤에 전화 드리겠습니다."라는 거절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상기 거절 메시지의 전송 시점부터 30분이 경과한 시점에 제1 사용자(USER1)에게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마인더 메시지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매체의 선택 방법은 도 21의 단계 S217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S216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23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출발지, 목적지, 현재 위치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스케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스케쥴의 종류, 현재 스케쥴의 장소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현재 운동의 종류, 현재 운동 장소 등일 수 있다.
단계 S2310에서, 판단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문자,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리마인더 형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형태를 문자, 문자 및 음성, 문자 및 진동, 또는 문자, 음성 및 진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320에서, 결정된 리마인더 형태에 따라 리마인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운전 중인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형태를 문자 및 음성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문자 및 음성으로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회의 중인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형태를 문자 및 진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문자 및 진동으로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00에서,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410에서,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을 선택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420에서,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USER1)로부터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상술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은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500에서,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510에서,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을 선택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520에서, 연락처 정보 및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정보 및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는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 및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단계 S2520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530에서, 디바이스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대해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가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단계 S220, 도 3의 단계 S340, 도 6의 단계 S600 및 단계 S610, 도 8의 단계 S800 내지 단계 S875, 도 9의 단계 S900 내지 단계 S920, 도 10의 단계 S1000 내지 단계 S1030, 도 13의 단계 S1300 및 단계 S1310, 도 17의 단계 S1740 및 단계 S1750, 도 18의 단계 S1800, 도 20의 단계 S2000 내지 단계 S2090, 도 21의 단계 S2140, 단계 S2150 및 단계 S2170, 도 22의 단계 S2200 및 단계 S2210, 도 23의 단계 S2300 내지 단계 S2320, 도 24의 단계 S2420, 도 25의 단계 S2520 및 단계 S253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구성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도 26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구성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7에 따르면,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70), 메모리(120), GPS 칩(125), 통신부(130), 비디오 프로세서(135), 오디오 프로세서(140), 사용자 입력부(145), 마이크부(150), 촬상부(155), 스피커부(160), 움직임 감지부(1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패널(111) 및 표시 패널(1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5)의 터치 패널(1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111)과 터치 패널(1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바이스(10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콘텐트 암호화를 위한 키 생성 프로그램 및 암호화 프로그램, 그리고, 콘텐트 복호화를 위한 키 복원 프로그램 및 복호화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암호화된 콘텐트 및 복호화된 콘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디바이스의 사용 내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자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조절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 내역 정보 및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전자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조절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RAM(171), ROM(172), CPU(173), GPU(Graphic Processing Unit)(174) 및 버스(1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171), ROM(172), CPU(173) 및 GPU(174) 등은 버스(1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73)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휴대 단말기(100B)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73)가 ROM(1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RAM(1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73)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71)에 복사하고, RAM(1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74)는 디바이스(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1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125)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30)는 제어부(170)에서 결정된 음량 조절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 정보, 사용 내역 정보 및 이벤트 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131), 블루투스 칩(132), 무선 통신 칩(133), NFC 칩(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이나 블루투스 칩(1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35)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35) 및 오디오 프로세서(1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160)는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45)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조절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45)는 키(146), 터치 패널(147) 및 펜 인식 패널(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146)는 디바이스(10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이 표시 패널(1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1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1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1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표시 패널(1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1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이크 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155) 및 마이크부(1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70)는 마이크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1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촬상부(1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마이크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65)는 디바이스(1000)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1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27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디바이스(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바이스(10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의 메모리(120)는 디바이스(1000)의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커널, 미들웨어,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로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운영 체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커널(121)은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 또는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디바이스(1000)의 하드웨어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접근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인터페이스와 각 하드웨어 업체가 제공하는 개별 드라이버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예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21-2)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메니저(121-2)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어플리케이션(124)이 디바이스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123)를 통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2-1), 윈도우 매니저(122-2), 멀티미디어 매니저(122-3), 리소스 매니저(122-4), 파워 매니저(122-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2-6), 패키지 매니저(122-7), 연결 매니저(122-8), 통지 매니저(122-9), 위치 매니저(122-10), 그래픽 매니저(122-11) 또는 보안 매니저(122-12) 등의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2-1)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22-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22-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22-4)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22-5)는 바이오스(BIOS)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동작에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2-6)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22-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22-8)는, 예로,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122-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122-1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22-1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및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122-1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요구되는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전화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는, 미들웨어(122)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 또는 다른 라이브러리 모듈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이다. 예컨대,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일부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API(123)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써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예를 들면,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24)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는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 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24)은, 예를 들어, 홈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124-1),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다이얼러(dialer) 어플리케이션(124-2), 전화번호로 식별되는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24-3), IM(Instant Message) 어플리케이션(124-4), 브라우저(Browser) 어플리케이션(124-5), 카메라 어플리케이션(124-6), 알람 어플리케이션(124-7),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관리하는 폰 북(Phone-Book) 어플리케이션(124-8), 사용자의 통화 로그,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로그 또는 부재 중 전화 로그 등을 관리하는 콜 로그 어플리케이션(124-9), 이메일(E-mail)로 식별되는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124-10), 달력 어플리케이션(124-11),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어플리케이션(124-12), 앨범 어플리케이션(124-13) 또는 시계 어플리케이션(124-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0)의 구성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도 26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0)는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제어부(230), 오디오 출력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착신 호출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20)는 복수의 선택 요청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디바이스(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이 선택되면 디바이스(20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디바이스(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40)는 복수의 선택 요청들에 따른 음성, 즉,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복수의 선택 요청들에 따른 문자, 아이콘, 이모티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어부(310), 메모리(320) 및 송/수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서버(3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어부(31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또는 모듈들)을 실행함으로써,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사용자의 설정 내역, 통화 내역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송/수신부(330)는 서버(300)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30)는 디바이스로부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30)는 디바이스로부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31)

  1.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incoming call)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위치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경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활동 판단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사용자의 현재 활동이 유지되면, 상기 현재 활동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활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스케쥴 어플리케이션 및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call back)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 목적지 정보, 현재 교통 상황, 스케쥴 정보, 운동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회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 형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메시지 형태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음성 또는 문자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 요청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선택 요청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상기 음성, 상기 문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communication medium)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게 상기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상기 착신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유무 및 상기 거절 메시지의 전송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해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게 상기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상기 착신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 유무 및 상기 거절 메시지의 전송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서비스 및 이메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그룹에 따른 수신인 형식 및 발신인 형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최근 문자 메시지 송수신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에 대해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 중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회신 또는 응답 가능한 시간에 리마인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상기 현재 상황을 기초로 하여 문자,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리마인더 형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리마인더 형태에 따라 리마인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수락, 거절, 및 상기 거절 메시지 전송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디바이스에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디바이스에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락처 정보 및 상기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제1 타입의 거절 메시지, 상기 사용자의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제2 타입의 거절 메시지,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는 제3 타입의 거절 메시지 및 상기 현재 상황 및 상기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제4 타입의 거절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경로 및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위치, 상기 경로 및 상기 활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기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상기 응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이 선택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9. 디바이스에 수신된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복수의 옵션들 중 거절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0. 디바이스에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
  31. 디바이스에 착신 호출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 호출에 대응되는 복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옵션들 중 하나인 거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상기 착신 호출에 상응하는 착신자와의 통화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거절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상기 거절 메시지 타입에 따라 거절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
KR1020140111623A 2014-04-23 2014-08-26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KR20150122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92A KR101625015B1 (ko) 2014-04-23 2014-12-05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PCT/KR2015/004050 WO2015163704A1 (en) 2014-04-23 2015-04-23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CN201580000819.0A CN105247902B (zh) 2014-04-23 2015-04-23 在装置中提供应答消息的装置和方法
ES15738562T ES2851773T3 (es) 2014-04-23 2015-04-23 Dispositivos y procedimientos para proporcionar mensajes de respuesta en los dispositivos
US14/694,585 US9456079B2 (en) 2014-04-23 2015-04-23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CN201910376241.9A CN110149446B (zh) 2014-04-23 2015-04-23 在装置中提供应答消息的装置和方法
CN201910375633.3A CN110072018B (zh) 2014-04-23 2015-04-23 在装置中提供应答消息的装置和方法
EP15738562.6A EP2976901B1 (en) 2014-04-23 2015-04-23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US14/855,521 US9553981B2 (en) 2014-04-23 2015-09-16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KR1020160062814A KR102160797B1 (ko) 2014-04-23 2016-05-23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US15/386,302 US10110734B2 (en) 2014-04-23 2016-12-21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US16/154,850 US10419605B2 (en) 2014-04-23 2018-10-09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US16/542,621 US10863023B2 (en) 2014-04-23 2019-08-16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KR1020200122439A KR102228458B1 (ko) 2014-04-23 2020-09-22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US17/111,999 US11388285B2 (en) 2014-04-23 2020-12-04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US17/860,551 US20220353364A1 (en) 2014-04-23 2022-07-08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response message in th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3117P 2014-04-23 2014-04-23
US61/983,117 2014-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61A true KR20150122561A (ko) 2015-11-02

Family

ID=5459969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623A KR20150122561A (ko) 2014-04-23 2014-08-26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KR1020140174292A KR101625015B1 (ko) 2014-04-23 2014-12-05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160062814A KR102160797B1 (ko) 2014-04-23 2016-05-23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200122439A KR102228458B1 (ko) 2014-04-23 2020-09-22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92A KR101625015B1 (ko) 2014-04-23 2014-12-05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160062814A KR102160797B1 (ko) 2014-04-23 2016-05-23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200122439A KR102228458B1 (ko) 2014-04-23 2020-09-22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응답 메시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7) US9456079B2 (ko)
EP (1) EP2976901B1 (ko)
KR (4) KR20150122561A (ko)
CN (3) CN110072018B (ko)
ES (1) ES2851773T3 (ko)
WO (1) WO2015163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9736089B2 (en) 2011-11-02 2017-08-1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s using a messaging application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KR102233378B1 (ko) 2014-04-07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과 연결된 착용형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착용형 기기
KR20150122561A (ko) 2014-04-23 201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JP6512875B2 (ja) * 2015-03-10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80926A1 (en) * 2015-06-28 2016-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tablishing Sender Identities i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s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KR20170007050A (ko) *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알림 방법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N107018060A (zh) * 2016-01-28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消息回复方法和装置
CN105827823B (zh) * 2016-01-29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话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0250541B2 (en) * 2016-02-03 2019-04-02 Google Llc Predictive responses to incoming communications
US10243905B2 (en) * 2016-03-07 2019-03-26 Facebook, Inc. Location-based conversation engine for entitie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846618B2 (en) 2016-09-23 2020-11-24 Google Llc Smart replies using an on-device model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85230B1 (ko) * 2016-11-15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0230841B2 (en) * 2016-11-22 2019-03-12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for declining an incoming call
KR102305123B1 (ko) * 2017-03-14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06866B1 (en) 2017-03-30 2020-03-31 Palantir Technologies Inc. Framework for exposing network activities
CN113014478A (zh) * 2017-04-20 2021-06-22 麦克赛尔株式会社 信息处理终端以及自动响应方法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CN107197100A (zh) * 2017-06-21 2017-09-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来电信息处理方法及相关产品
WO2019006097A1 (en) * 2017-06-28 2019-01-03 Galvan Technologies Llc AUTOMATIC RESPONSE MESSAGES FROM A MOBILE DEVICE
US11516154B2 (en) * 2017-07-13 2022-11-29 Apple Inc. Systems for managing messaging conversations
US11039009B2 (en) * 2017-08-01 2021-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 caller without accepting a call
CN107509051A (zh) * 2017-08-14 2017-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远程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3071993A1 (fr) * 2017-09-29 2019-04-05 Orange Procede de gestion d'un echec d'etablissement d'une communication entre un premier et un second terminal
EP3477927B1 (en) * 2017-10-31 2021-03-17 Telia Company AB Management of call connection attempt
CN107911557A (zh) * 2017-11-30 2018-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未接来电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0587537B2 (en) 2017-12-22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ed response messages
US10462622B2 (en) * 2018-01-02 2019-10-29 Facebook, Inc. Managing delivery of messages to non-stationary mobile clients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KR102546726B1 (ko) * 2018-08-08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커밍 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7065730B2 (ja) * 2018-08-28 2022-05-12 株式会社Nttドコモ 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表示システム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0735579B2 (en) 2018-11-19 2020-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ual analysis of incoming phone calls to determine probability of connection
US10785716B2 (en) * 2018-12-07 2020-09-22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connectivity information for a mobile device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CN109982273B (zh) * 2019-03-25 2021-08-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回复方法及移动终端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0996925B2 (en) * 2019-05-09 2021-05-04 Google Llc Automated assistant suggestions for third-party vehicle computing devices with restricted architecture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CN110312049B (zh) * 2019-07-29 2021-11-0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家居操作系统的执行操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40521B1 (ko) * 2019-09-03 2021-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통화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US11973727B1 (en) * 2021-09-09 2024-04-30 Keystro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uto-replies to incoming communications
WO2023042998A1 (en) * 2021-09-15 2023-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sponse suggestions to notification event
US11856139B2 (en) * 2021-09-24 2023-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tone bank and personalized response in 5G telecom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835A (ko) * 1999-02-09 2001-11-14 밀러 럿셀 비 무선전화에 대한 입중계 비상 호출에 자동으로 응답하는시스템 및 방법
EP1359732A4 (en) * 2001-02-06 2005-08-31 Kikuo Takeda SYSTEM AND METHOD FOR DISCLOSURE OF INCAPACITY FROM RECEIVING A CALL
JP2003199168A (ja) * 2001-12-28 2003-07-11 Nec Corp 外部機器からの発信可能な電話装置
US20050096023A1 (en) * 2003-11-04 2005-05-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4036182B2 (ja) * 2003-11-10 2008-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端末
KR100752849B1 (ko) * 2004-01-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재 모드 설정 방법
US7803150B2 (en) 2004-04-21 2010-09-28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ing sinusitis
CN1272980C (zh) * 2004-09-07 2006-08-30 大唐微电子技术有限公司 移动用户状态信息自动回复的方法及相应的用户识别模块
JP4113526B2 (ja) * 2004-11-08 2008-07-09 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端末
US20060141926A1 (en) * 2004-12-29 2006-06-29 Nokia Corporation Call rejections and reminders in order to enhance enjoyment of media items
KR100703375B1 (ko) * 2005-12-12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시 로그 관리 방법
KR100794181B1 (ko) * 2006-06-12 2008-01-11 김현주 음성 메시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JP2008079359A (ja) 2006-09-19 2008-04-03 Nsk Ltd スライダ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US8489684B2 (en) * 2007-02-06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mage inclusion in e-mail messages
US20080227440A1 (en) * 2007-03-16 2008-09-18 Vinay Kumar Chowdary Settepalli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and updating a mobile device via user behavior
JP4861878B2 (ja) * 2007-03-29 2012-01-2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JP2008303317A (ja) 2007-06-08 2008-12-18 Asahi Glass Co Ltd 含フッ素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184283A (zh) * 2007-11-12 2008-05-21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来电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8639267B2 (en) * 2008-03-14 2014-01-28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xchanges of data facilitating distributed locational applications
JP2009239369A (ja) 2008-03-25 2009-10-15 Sharp Corp 送受信装置
US8295468B2 (en) * 2008-08-29 2012-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ed method to select and retrieve a contact center transaction from a set of transactions stored in a queuing mechanism
CA2749685A1 (en) * 2008-11-13 2010-05-20 Aser Rich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vehicle safety through enhanced situation awareness of a driver of a vehicle
CN101431832A (zh) * 2008-11-27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遇忙回呼的终端业务的方法和移动终端
JP4950982B2 (ja) 2008-11-28 2012-06-13 紀久雄 武田 着信不能時応対応答案内システム
US20100159908A1 (en) * 2008-12-23 2010-06-24 Wen-Chi Cha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CN101488998A (zh) 2009-02-23 2009-07-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短信的自动回复方法
US8340631B2 (en) * 2009-03-24 2012-12-25 T-Mobile Usa, Inc. Deferre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US8385975B2 (en) * 2009-04-23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based messag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1923861A (zh) * 2009-06-12 2010-12-22 傅可庭 可转换语音为歌曲的音频合成装置
US20100317377A1 (en) * 2009-06-12 2010-12-16 Zou Lin Queue Management System Allows queue number to be remotely obtained by Patients or customers
EP2443511A4 (en) * 2009-06-16 2012-10-24 Intel Corp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CN101651936A (zh) * 2009-09-08 2010-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网的自动回复方法及系统
CN101662750B (zh) * 2009-10-20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自动回复来电的方法和系统
US8249627B2 (en) 2009-12-21 2012-08-21 Julia Olincy “I am driving/busy”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mobile phones
US8315597B2 (en) * 2009-12-21 2012-11-20 Julia Olincy “I am driving/busy”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mobile phones
US8855289B2 (en) 2010-01-19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callback reminder
US20110207441A1 (en) * 2010-02-22 2011-08-25 Erik Wood One touch text response (OTTER)
US8275351B1 (en) * 2010-05-26 2012-09-25 Cellco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 for automating a response from a mobile station
CN101860590A (zh) * 2010-06-09 2010-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来电自动拒接的方法和装置
EP2586220A4 (en) 2010-06-24 2015-04-29 Telecomm Systems Inc AUTOMATIC RESPONSE TO A SHORT MESSAGE SYSTEM AND RETENTION OF MESSAGES
US8831677B2 (en) * 2010-11-17 2014-09-09 Antony-Euclid C. Villa-Real Customer-controlled instant-response anti-fraud/anti-identity theft devices (with true-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s for secured global applications in personal/business e-banking, e-commerce, e-medical/health insurance checker, e-education/research/invention, e-disaster advisor, e-immigration, e-airport/aircraft security, e-military/e-law enforcement, with or without NFC component and system, with cellular/satellite phone/internet/multi-media functions
CN102137193A (zh) * 2011-04-13 2011-07-27 深圳凯虹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讯终端及其通讯控制方法
US20130189964A1 (en) * 2012-01-24 2013-07-25 Demetrius Thompson Texting safety system
EP2624606A1 (en) 2012-02-02 2013-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mart Reply in a Mobile Device
KR20130100422A (ko) 2012-03-02 2013-09-11 김한석 부재중 통화 연결 시스템
US20140309913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Relay and Exchange Protocol in an Automated Zone-Based Vehicular Traffic Control Environment
CN102694931A (zh) * 2012-04-11 2012-09-26 佳都新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中防来电打扰安全驾驶系统
US9398131B2 (en) * 2012-05-17 2016-07-19 Plantronics, Inc. Mobile device data transfer
US9124712B2 (en) 2012-06-05 2015-09-01 Apple Inc. Options presented on a device other than accept and decline for an incoming call
KR20140023082A (ko) 2012-08-16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AU2013204656B2 (en) * 2012-10-31 2015-03-19 Telstra Corporation Limited Callee rejection information for rejected voice calls
CN103095690A (zh) * 2012-12-28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呼叫处理方法及应用服务器
CN103051803A (zh) * 2012-12-28 2013-04-17 海南舟悠科技有限公司 一种在驾驶车辆中自动处理手机来电及信息的方法及系统
US20160037345A1 (en) * 2013-03-15 2016-02-04 Apple Inc. Controlling access to protected functionality of a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106757B2 (en) * 2013-03-26 2015-08-11 Lg Uplus Corp.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tents
CA2897539C (en) * 2013-04-04 2016-05-17 James S. RAND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20140308930A1 (en) * 2013-04-12 2014-10-16 Bao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US9191797B2 (en) * 2013-05-17 2015-11-17 Ryan R. Alam Responses and controls of incoming information
US10264113B2 (en) * 2014-01-10 2019-04-16 Onepin, Inc. Automated messaging
KR20150122561A (ko) * 2014-04-23 201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US9781063B2 (en) * 2014-10-07 2017-10-03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list of multiple recipients of a user's request for as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66A (ko) 2015-11-02
US20220353364A1 (en) 2022-11-03
ES2851773T3 (es) 2021-09-08
CN110072018B (zh) 2021-05-25
US20150312409A1 (en) 2015-10-29
US10863023B2 (en) 2020-12-08
KR20160061950A (ko) 2016-06-01
US20210120124A1 (en) 2021-04-22
KR20200112783A (ko) 2020-10-05
CN110149446B (zh) 2021-05-25
EP2976901A1 (en) 2016-01-27
CN110072018A (zh) 2019-07-30
US9553981B2 (en) 2017-01-24
EP2976901A4 (en) 2016-11-30
EP2976901B1 (en) 2020-11-18
CN110149446A (zh) 2019-08-20
US11388285B2 (en) 2022-07-12
CN105247902A (zh) 2016-01-13
US20190373106A1 (en) 2019-12-05
WO2015163704A1 (en) 2015-10-29
KR102228458B1 (ko) 2021-03-17
US20190045054A1 (en) 2019-02-07
US9456079B2 (en) 2016-09-27
US20170104871A1 (en) 2017-04-13
US10110734B2 (en) 2018-10-23
KR101625015B1 (ko) 2016-05-27
US10419605B2 (en) 2019-09-17
CN105247902B (zh) 2019-05-31
KR102160797B1 (ko) 2020-10-05
US20160006867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2561A (ko)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착신 호출 처리 방법
AU2021200254B2 (en) Method for displaying current geographical location on emergency call screen and terminal
KR102323393B1 (ko)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1412764B1 (ko) 대안적 잠금 해제 패턴
KR20140026679A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60034776A (ko)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60058322A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144310B1 (ko)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이메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KR20150128406A (ko) 음성 인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75022A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384874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981979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