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994A -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 Google Patents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994A
KR20150121994A KR1020140048304A KR20140048304A KR20150121994A KR 20150121994 A KR20150121994 A KR 20150121994A KR 1020140048304 A KR1020140048304 A KR 1020140048304A KR 20140048304 A KR20140048304 A KR 20140048304A KR 20150121994 A KR20150121994 A KR 2015012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na
devices
network
shar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종현
최정헌
정용만
오승욱
배현섭
Original Assignee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994A/en
Publication of KR2015012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far away from each o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DLNA devices;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s among DLNA device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among the DLNA devices; and a plurality of server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network devices, respectively, generating a list including DLNA devices that can share content, and sharing the generated list with other servers. The servers can determine DLNA devices for allowing to use a DLNA device which has transmitted a message, as DLNA devices which can share content, when the message for searching for a device is received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Description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실시 형태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remotely.

DLNA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약자로서 DLNA 인증을 통한 제품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음악/사진/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규약을 정의하는 단체이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DLNA 기능이라고 하며,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를 DLNA 장치라고도 한다. DLNA is an abbreviation of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It is a group that defines protocols for sharing and reproducing various media contents (music / photo / video) regardless of manufacturer and product type through DLNA certified network. In addition, the function of sharing or reproducing various media contents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and product type through the network is called DLNA function, and a device equipped with DLNA function is also called DLNA device.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은 서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다. 하지만,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은 제한된 영역 내에서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은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장치들끼리만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한된 영역 내에 위치한 장치들만이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의 공유 및 재생의 범위는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인 거리 범위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DLNA 장치들 사이에서,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콘텐츠의 사용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다만,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사용하는 경우, 콘텐츠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DLNA 장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DLNA 장치가 해킹당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DLNA 장치의 사용자가 승인한 DLNA 장치만이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동시에 공유 또는 재생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콘텐츠의 사용을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Devices equipped with DLNA function can share and play various multimedia contents with each other. However, devices equipped with the DLNA function can share and reproduce contents within a limited area. For example, devices equipped with the DLNA function can share and reproduce contents only among devices existing in a region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one wireless network device. As such, only devices located within a restricted area can share and play content, so that the range of content sharing and playback is limited to within the physical distance range that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etwork devic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expanding the use area of the content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DLNA devices.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e DLNA device may be hacked by a user of another DLNA device for which the content is not intended when the content is us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physical distance. Therefore, an environment is required in which only the DLNA device approved by the user of the DLNA device can share or reproduce the content. In addition, since a situ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simultaneously share or reproduce contents may occur, a method of adjusting the use of the contents in such a situation is required.

실시 형태는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Embodiments can provide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remotely that can share content without being limited by physical distance.

또한, 사용을 승인한 DLNA 장치에서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that can share content only with a DLNA device that has approved use.

또한, 무분별하게 콘텐츠가 공유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킹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that can prevent content from being shared indiscriminately and reduce the risk of hacking.

또한, 다른 DLNA 장치로 인해 콘텐츠의 사용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that controls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that can share content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ng the use of the content due to other DLNA devices.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DLNA 장치들; 상기 다수의 DLNA 장치들 중에서, 일정한 영역 내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 및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과 각각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다른 서버들과 공유하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DLNA 장치의 사용을 승인한 DLNA 장치들을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로 판별할 수 있다.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LNA devices; Among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within a certain area; And a plurality of servers fo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generating a list including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contents, and sharing the generated list with other servers, When a plurality of servers receive a message for searching for a device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the DLNA devices that have approved the use of the DLNA device that transmitted the message are identified as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

또한,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DLNA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DLNA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rvers may share the contents with DLNA devices sharing contents with other DLNA devices.

또한,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 별로 사용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servers receives an approval request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the plurality of servers can approve the use of each DLNA device existing in the network.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DLNA 장치들; 및 상기 다수의 DLNA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DLNA 장치에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면, 상기 메시지를 다른 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망으로부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하는 에이전트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 DLNA 장치의 사용을 승인하고, 상기 승인된 DLNA 장치들을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로 판별할 수 있다.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LNA devices; And a list including DLNA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essage to another network and multicasting a message for device search from any one DLNA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Wherein the agent module acknowledges the use of the DLNA device that multicasted the message and sends the authorized DLNA devices to the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

또한,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다른 DLNA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DLNA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로 판별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gent module may not determine that the DLNA device sharing the content with another DLNA device is a DLNA device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또한,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 별로 사용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When the agent module receives an approval request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the agent module can approve the use of each DLNA device in the network.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tent can be shared without being limited by physical distance.

또한, 사용을 승인한 DLNA 장치에서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tent can only be shared by authorized DLNA devices.

또한, 무분별하게 콘텐츠가 공유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킹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cont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red indiscriminately, and the risk of hacking can be reduced.

또한, 다른 DLNA 장치로 인해 콘텐츠의 사용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tent can be continuously shared without stopping the use of the content due to other DLNA devices.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DLNA 장치들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shows a list of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may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10)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1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10)은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100a, 100b, 100c),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 및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ystem 1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third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and 110b , 110c and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120c.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100a, 100b, 100c)는 DLNA 기능이 탑재된 장치들이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TV, 컴퓨터, 노트북,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도 있다. The first to third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are devices equipped with the DLNA function, and the ty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general, a smartphone can b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mart TV, a computer, a notebook, a PDA,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은 일정한 영역 내에 위치한 장치들이 서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장치들이며,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가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을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은 각각 제 1 망, 제 2 망 및 제 3 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은 서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DLNA 장치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DLNA 장치와 연결되어, 서로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110b, and 110c are devices that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located within a certain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network devices 110a, 110b, . Through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110b, and 110c, the areas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can be expressed as a first network, a second network, and a third network,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110b, and 11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VPN (Virtual Private Network). Accordingly, a DLNA device connected to any one network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DLNA device connected to another network device, and can share or reproduce contents with each other.

예를 들면, 제 1 네트워크 장치(110a)에 연결된 제 1 DLNA 장치(100a)는 제 2 네트워크 장치(110b)에 연결된 제 2 DLNA 장치(100b)와 연결되어, 서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네트워크 장치(110b)에 연결된 제 2 DLNA 장치(100b)는 제 3 네트워크 장치(110c)에 연결된 제 3 DLNA 장치(100c)와 연결되어, 서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은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100a, 100b, 100c)은 서로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DLNA device 100a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device 11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LNA device 100b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device 110b, and may share contents with each other. The second DLNA device 100b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device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DLNA device 100c connected to the third network device 110c and may share contents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110b, and 110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d the first to third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can share or play content with each other.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은 각각 대응되는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110a, 110b, 110c)을 통해,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100a, 100b, 100c)과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망 내에 위치한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100a, 100b, 100c)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DLNA 장치가 콘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메시지는 DLNA 규약에 따르는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일 수 있다.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에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고, 콘텐츠의 공유 또는 재생이 가능한 DLNA 장치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 및 전송하며, DLNA 장치를 승인할 수 있는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via the corresponding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110a, 110b and 110c, Can be connected. When the first to third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located in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network are to search for a device for content sharing,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 message for searching can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message for the DLNA device to search for the device for content sharing may be a Discovery message conforming to the DLNA protocol.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message, search for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or playing back content, generate and transmit a list including the retrieved devices, An agent program that can execute the program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제 1 DLNA 장치(100a)가 장치 검색을 요청하면, 제 1 DLNA 장치(100a)와 동일한 망에서 네트워크 연결된 제 1 서버(120a)는 장치 검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제 1 네트워크 장치(110a)와 VPN을 통해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장치(110b) 및 제 3 네트워크 장치(110c)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서버(120a)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포장한 후, 포장된 메시지를 다른 망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DLNA 장치(100a)가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메시지의 요청은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망 내에서 멀티캐스트하는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DLNA device 100a requests a device search, the first server 120a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same network as the first DLNA device 100a transmits a discovery message for searching for the device to the first network device 110a to the second network device 110b and the third network device 110c connected via the VPN. At this time, the first server 120a may package the discovery message into TCP / IP packets and then transmit the packaged message to other networks. In addition, a request for a message for the first DLNA device 100a to search for a device for sharing content can be made through a method of multicasting a discovery message in a network.

제 2 네트워크 장치(110b) 및 제 3 네트워크 장치(110c)는 제 1 네트워크 장치(110a)로부터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는 제 2 서버(120b) 및 제 3 서버(120c)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서버(120b) 및 제 3 서버(120c)는 수신된 디스커버리의 메시지의 전송자 IP 부분을 장치 검색을 요청한 제 1 DLNA 장치(100a)의 IP로 변경한 후, 변경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망 내에서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The second network device 110b and the third network device 110c receive the discovery message from the first network device 110a and the received discovery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erver 120b and the third server 120c . The second server 120b and the third server 120c having received the discovery message change the sender IP portion of the message of the received discovery to the IP of the first DLNA device 100a requesting the device search, Discovery messages can be multicast within the network.

그리고, 제 2 서버(120b) 및 제 3 서버(120c)는 제 1 DLNA 장치(100a)와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DLNA 장치들의 리스트를 제 1 서버(12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DLNA 장치(100a)가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는 승인 여부 및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second server 120b and the third server 120c may then generate a list of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or playing content with the first DLNA device 100a. In addition, the list of generated DLNA devices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120a. The device in which the first DLNA device 100a can share and reproduce conten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LNA device 100a is authorized and whether or not it is used.

제 1 DLNA 장치(100a)가 콘텐츠를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는 제 1 DLNA 장치(100a)의 승인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2 서버(120b)와 제 3 서버(120c)는 망 내에 위치한 제 2 DLNA 장치(100b)와 제 3 DLNA 장치(100c)를 제 1 DLNA 장치(100a)가 사용할지 여부를 각각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망에 하나의 DLNA 장치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각 망에는 2 이상의 DLNA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120b)와 제 3 서버(120c)는 망 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DLNA 장치들 중에서, 제 1 DLNA 장치(100a)가 사용 가능한 DLNA 장치들을 DLNA 장치별로 승인할 수 있다. The device by which the first DLNA device 100a can share and reproduce the conte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DLNA device 100a is authorized or not. The second server 120b and the third server 120c can respectively approve the use of the second DLNA device 100b and the third DLNA device 100c located in the network by the first DLNA device 100a .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DLNA device exists in each network in FIG. 1, there may be two or more DLNA devices in each network. The second server 120b and the third server 120c may approve DLNA devices available for use by the first DLNA device 100a among DLNA devices existing in the network.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DLNA 장치들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DLNA 장치들의 리스트(20)는 검색요청 네트워크(200), 검색요청 장치(210), 사용요청 네트워크(220), 사용 장치(230) 및 승인 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2 shows a list of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the list 20 of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search request network 200, a search request device 210, a usage request network 220, a usage device 230, (240).

검색요청 네트워크(200)는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가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요청 장치(210)는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요청 네트워크(220)는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 장치(230)는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DLNA 장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 장치(230)에는 사용 요청 네트워크(220)에 존재하며, 네트워크로 연결된 DLNA 장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꺼져 있는 사정과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DLNA 장치들은 사용 장치(23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다른 DLNA 장치에 의해,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 중인 DLNA 장치들은 사용 장치(23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승인 여부(240)는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가 사용 장치(230)에 표시되는 장치들을 사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승인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장치 검색을 요청한 DLNA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각 DLNA 장치 별로 승인하고, 이를 승인 여부(240)에서 표시할 수 있다. The search request network 200 may indicate the network in which the DLNA device that requested the device search exists. The search requesting device 210 may indicate the DLNA device that requested the device search. The usage request network 220 may indicate the network that the DLNA device that requested the device search is intended to use. The using device 230 may display DLNA devices present in the network that the DLNA device requesting the device search may use. The use device 230 is present in the use request network 220, and DLNA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can be displayed. Thus, DLNA devices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the situation that the power is off, may not be displayed on the using device 230. And, DLNA devices currently sharing or reproducing contents by other DLNA devices may not be displayed in the usage device 230. [ The acknowledgment 240 may indicate that the DLNA device requesting the device search is authorized to use the devices displayed in the device 230. [ That is, DLNA devices that can be used by the DLNA device requesting the device search can be approved for each DLNA device, and can be displayed in the approval status 240.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 1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제 1 DLNA 장치가 제 2 네트워크에 사용을 요청하였고, 제 2 네트워크에는 스마트 TV, PC, 노트북 및 디지털 카메라가 존재하나, 제 2 네트워크 장치에서는 스마트 TV, 노트북 및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서만 사용 승인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the first DLNA device existing in the first network requests use of the second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includes a smart TV, a PC, a notebook, and a digital camera. In the second network device, Smart TVs, notebooks, and digital cameras.

도 2에 도시된 DLNA 장치들의 리스트는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웹 브라우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에서는 각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은 각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들과 실시간으로 통신을 수행하므로, 현재 사용 중인 DLNA 장치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 현재 사용 중인 DLNA 장치들은 DLNA 장치들의 리스트의 사용 장치(230) 목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DLNA 장치들의 리스트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list of DLNA devices shown in FIG. 2 can be implemented in a web browser form in a display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can identify the DLNA devices available to the DLNA devices in each network. Since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communicate with the DLNA devices existing in each network in real time, the DLNA devices currently in use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DLNA devices currently in use can be excluded from the list of the devices 230 in the list of DLNA devices. That is, the list of DLNA devices can be updated in real time.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에서는 승인되지 않은 DLNA 장치에 대해, 승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DLNA 장치들의 리스트에서, 제 1 DLNA 장치(100a)와 동일한 망에 존재하는 제 1 서버(110a)는 제 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PC에 대한 사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네트워크의 제 2 서버(120b)는 이러한 사용 승인 요청에 대해, 승인을 하거나, 승인을 거절할 수 있다. 만약, 제 2 서버(120b)에서 승인을 하면, 도 2의 DLNA 장치들의 리스트에서 PC는 승인된 것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may request authorization for an unapproved DLNA device. For example, in the list of DLNA devices shown in FIG. 2, the first server 110a existing in the same network as the first DLNA device 100a may request permission to use the PC existing in the second network . Then, the second server 120b of the second network can approve or reject the approval of the use approval request. If approved by the second server 120b, the PC in the list of DLNA devices of FIG. 2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s approved.

제 1 내지 3 서버들(120a, 120b, 120c)은 DLNA 장치들의 리스트에서,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 사용장치(230)만을 나타낸 리스트를 DLNA 장치들(100a, 100b, 100c)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버(120a)는 제 1 DLNA 장치(100a)로 승인이 되지 않을 PC를 제외하고, 스마트 TV,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만을 검색된 DLNA 장치 리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된 DLNA 장치 리스트를 수신한 제 1 DLNA 장치(100a)는 수신된 리스트에 포함된 DLNA 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DLNA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DLNA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servers 120a, 120b, and 120c may transmit, from the list of DLNA devices, a list showing only the actually used devices 230 to the DLNA devices 100a, 100b, and 100c. For example, the first server 120a may transmit only the smart TV, the notebook, and the digital camera to the searched DLNA device list, except for the PC which is not approved as the first DLNA device 100a. The first DLNA device 100a receiving the searched DLNA device list can select one of the DLNA devices included in the received list. And, you can share or play content with the selected DLNA device.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10)에 의하면,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네트워크로 연결된 DLNA 장치들과 무조건적으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서버에서 승인한 DLNA 장치들에 한해서만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DLNA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않는 DLAN 장치와의 콘텐츠 공유를 하지 않을 수 있고, 해킹 등과 같은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 중인 DLNA 장치는 다른 DLNA 장치에서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없으므로, DLNA 장치는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1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content is shared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 But only DLNA devices that are approved by each server can share content. Therefore, a user of each DLNA device can not share content with a DLAN device that he does not want, and can solve security problems such as hacking and the like. And, since the DLNA device currently sharing or reproducing the content can not share or play the content in another DLNA device, the DLNA device can continuously share or play the content.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30)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mong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3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at a lo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30)은 제 1 내지 3 DLNA 장치들(300a, 300b, 300c) 및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310a, 310b, 310c)을 포함할 수 있다. A system 3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third DLNA devices 300a, 300b, 300c and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310a, 310b , 310c.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30)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10)과 다르게, 각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는 서버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system 3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ystem 10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may not include servers connected to each network device.

그리고,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310a, 310b, 310c)에는 장치 검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고, 콘텐츠의 공유 또는 재생이 가능한 DLNA 장치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장치들의 리스트를 생성 및 전송하며, DLNA 장치의 사용 요청에 대해 승인할 수 있는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다. Discovery messages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310a, 310b, and 310c,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or playing back content are searched, and a list of searched devices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an agent program that can approve the use request of the DLNA device can be implemented.

이러한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310a, 310b, 310c)의 내부에서 동작하며,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310a, 310b, 310c)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웹 브라우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is agent program operates in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310a, 310b and 310c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310a, 310b and 310c in the form of a display device (not shown) .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30)은 제 1 내지 3 네트워크 장치들(310a, 310b, 310c)에서 콘텐츠 공유 또는 재생을 위한 DLNA 장치들을 검색, 검색된 장치들의 리스트 생성 및 전송, 콘텐츠 공유 또는 재생을 요청하는 DLNA 장치에 대한 사용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ystem 30 for controlling the content sharing between the DLNA devices located at a dist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ble to control DLNA devices for content sharing or playback in the first to third network devices 310a, 310b, and 310c Retrieve, create and send a list of retrieved devices, and approve usage for a DLNA device requesting content sharing or playback.

이에 따라,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30)은 별도의 서버를 포함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승인한 DLNA 장치들에 한해서만 콘텐츠를 공유하므로, 선택적으로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사용 중인 DLNA 장치에서는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공유 또는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ystem 30 for controlling the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construct a system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erver. And, since DLNA devices that are approved only share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are contents and enhance security. And, the DLNA device currently in use can continuously share or reproduce contents.

10, 30: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100a, 300a: 제 1 DLNA 장치
100b, 300b: 제 2 DLNA 장치
100c, 300c: 제 3 DLNA 장치
110a, 310a: 제 1 네트워크 장치
110b, 310b: 제 2 네트워크 장치
110c, 310c: 제 3 네트워크 장치
120a: 제 1 서버
120b: 제 2 서버
120c: 제 3 서버
10, 30: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remotely
100a, 300a: a first DLNA device
100b, 300b: the second DLNA device
100c, 300c: a third DLNA device
110a, 310a: a first network device
110b, 310b: a second network device
110c and 310c: a third network device
120a: first server
120b: a second server
120c: a third server

Claims (6)

다수의 DLNA 장치들;
상기 다수의 DLNA 장치들 중에서, 일정한 영역 내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 및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과 각각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다른 서버들과 공유하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DLNA 장치의 사용을 승인한 DLNA 장치들을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로 판별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A plurality of DLNA devices;
Among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within a certain area; And
A plurality of servers for generating a list including DLNA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sharing contents, and sharing the generated list with other servers,
When the plurality of servers receive a message for device search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the DLNA devices that have approved the use of the DLNA device that transmitted the message are identified as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at a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DLNA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DLNA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로 판별하지 않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rvers
Wherein the DLNA device sharing content with another DLNA device controls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that do not discriminate the DLNA device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버들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 별로 사용 여부를 승인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rvers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at accepts use of DLNA devices existing in a network when receiving an approval request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다수의 DLNA 장치들; 및
상기 다수의 DLNA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DLNA 장치에서 장치 검색을 위한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면, 상기 메시지를 다른 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망으로부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하는 에이전트 모듈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 DLNA 장치의 사용을 승인하고, 상기 승인된 DLNA 장치들을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들로 판별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A plurality of DLNA devices; And
A list including DLNA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essage to another network and capable of sharing contents from the other network by multicasting a message for device search in any DLNA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including a receiving agent module,
The agent module authorizes use of the DLNA device that multicasted the message and controls the sharing of content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remotely that determines the authorized DLNA devices as DLNA devices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다른 DLNA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DLNA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DLNA 장치로 판별하지 않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gent module
Wherein the DLNA device sharing content with another DLNA device controls content sharing between remote DLNA devices that do not discriminate the DLNA device capable of sharing the cont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다른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망에 존재하는 DLNA 장치 별로 사용 여부를 승인하는 원거리에 위치한 DLNA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gent module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ent sharing between DLNA device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at accepts use of DLNA devices existing in a network when receiving an approval request from a DLNA device existing in another network.
KR1020140048304A 2014-04-22 2014-04-22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KR201501219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04A KR20150121994A (en) 2014-04-22 2014-04-22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04A KR20150121994A (en) 2014-04-22 2014-04-22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94A true KR20150121994A (en) 2015-10-30

Family

ID=5443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304A KR20150121994A (en) 2014-04-22 2014-04-22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99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024B1 (en) Multiple media device infrastructure
US102919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CN107079181B (en) Method for managing server, mobile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8819841B2 (en) Automated accounts for media playback
EP2183888B1 (en) Packet level prioritization in interconnection networks
US20130139197A1 (en) Systems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US11184364B2 (en) Localized, proximity-based media streaming
AU2013329096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CN105981352A (en) Uniform communication protoc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lers and accessories
US20120210241A1 (en) Removal of unavailable services and/or content items from a list of favorite and/or recently viewed services and/or content items associated with a user account
US9419964B2 (en) Sharing between CPE and companion device
JP2019194854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edia session simultaneity management with repeated license updates
JP2007305136A (en) Personal domain controller
EP3259897B1 (en) Authenticating a browser-less data streaming device to a network with an external browser
JP2006065660A (en) Terminal equipment, information delivery server,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KR20160099581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tream in home media network having a home gateway and a plurality of devices
US9461882B1 (en) Gesture-based network configuration
US20150244808A1 (en) System facilitating user access to content stored or exposed on connecte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WO2018107671A1 (en) Sharing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smart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50121994A (en) The system to control sharing contents among DLNA devices mutually spaced at a long distance
US9923875B2 (en) Operating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 a home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20130134849A (en) Virtual av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EP4228208A1 (en) Cryptographic binding of data to network transport
KR101496554B1 (en)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in the content centri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