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701A -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701A
KR20150119701A KR1020140045448A KR20140045448A KR20150119701A KR 20150119701 A KR20150119701 A KR 20150119701A KR 1020140045448 A KR1020140045448 A KR 1020140045448A KR 20140045448 A KR20140045448 A KR 20140045448A KR 20150119701 A KR20150119701 A KR 2015011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deo signal
sub
mai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우
이상규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9701A/en
Publication of KR2015011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7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display apparatus, a sub-display apparatus,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first image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main display apparatus; a second image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ub-display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eparately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 signals;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image signal; a first communications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s with the sub-display apparatus;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s unit to transmit, to the sub-display apparatus, the second image signal process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and a power source supply unit. The second image reception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in response to a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s unit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and in response to a power off command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through a first user input unit,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ource supply unit so as to selectively block power supply with respect to a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depending on whether the sub-display apparatus is accessed or not. Accordingly, content can be provided to a user in various ways since image viewing by selecting a channel in the sub-display apparatus which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tuner, is possible.

Description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display device, a sub-display device,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display device, a sub-display device,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main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display device , A sub-display device,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V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화된 동영상, 정지 화상(사진),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컨텐츠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V receives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receives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nd processes the video signal so as to display the video signal. The display device processes and displays not only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broadcasting stations but also various contents such as digitalized video, still images (pictures), and game applications.

최근에는 TV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다양한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등의 휴대장치를 통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시청하는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viewing contents in various ways such as through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as well as a TV, and various devices equipped with a display.

그런데, 휴대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휴대장치에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영상수신부, 예를 들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view the content through the portable de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video receiver for receiving the video signal, for example, a tuner for receiving the broadcast signal, in the portable device.

튜너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장치의 경우,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에게 다양한 채널의 컨텐츠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환경에 의해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어렵거나, 방송 시청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that does not include a tuner, a broadcast signal can be received and viewed through a network or mobile communication. However, a separate application for installing the application may be required, or content of various channels may not be provided to a user. In addition,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high-quality contents to the user due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the broadcast viewing itself may become impossible.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수신부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와;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제1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사용자 입력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제2영상수신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커맨드에 대응하여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제1제어부는 제1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A mai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sub-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displayed on a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im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device;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respectively;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 display device;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cond video signal process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to the sub-display apparatus; A first user input for receiving user inpu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In response to the power-off command of the apparatus, the power supply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is selectively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display apparatus is connected or not.

제1제어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경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cond video signal when the sub-display apparatus is connected,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display apparatus.

제1제어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해제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to turn off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disconnecting of the sub-display device.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커맨드는 채널 선국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channel selection command.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영상수신부와 제2영상수신부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영상수신부 및 제2영상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may simultaneously receive the image signal or only one of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image signal.

제2영상수신부가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제어부는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the first control unit can notify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 operation.

제1제어부는 제1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을 제한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2영상신호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지 않도록 제1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prevent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apparatus when an input for limiting video signal transmission to the sub-display apparatus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제1제어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 제한에 응답하여, 제2영상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power supply to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terrupted in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transmission restrict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수신부가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사용자 입력부와;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제2영상신호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b-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units for receiving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A second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requesting a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to the mai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is selectively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so that the second video signal can be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제2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커맨드를 더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further transmit a command to power on the main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in the power off state.

전원 온 커맨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The power on command may be a comman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an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display device.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할 수 있다.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further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channel sel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수신부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와;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제1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수신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제2제어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제2통신부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제2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제1제어부는 요청에 응답하여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제1통신부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며, 제1제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main display device and the sub-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A receiving unit; A second im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device;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respectively;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 display device;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b display device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a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unit,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is operable,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in the sub display device,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to the sub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and the first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power off command of the main display unit , The power supply un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is selectively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영상수신부와 제2영상수신부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영상수신부 및 제2영상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may simultaneously receive the image signal or only one of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image signal.

제2영상수신부가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제어부는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the first control unit can notify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 operation.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에 대한 요청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수신되는 단계와; 요청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제2영상신호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 mai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sub-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a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From the sub display device to the main display device; Receiving a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Processing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 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selectively block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may inclu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cond video signal, and supplying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display device.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해제를 감지하는 단계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 해제되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nito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ub display device in the main display device to detect disconnection of the sub display device; And turning off the main display device when the sub-display device is disconnected.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은 채널 선국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channel selection command.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신된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Receiving a first video signal from a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a first video signal received at a mai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image signal on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동시에 수신되거나,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or only one of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be received.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notifying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operating through the main display device.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을 제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제2영상신호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user input to limit transmission of a video signal from a main display device to a sub-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cond video signal not to be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 display device.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 제한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영상수신부 중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stopping power supply to the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units provid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restriction of the image signal transmiss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수신부가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제2영상신호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ub-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ai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units for receiving image signal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user input for channel selection in a sub- Requesting a main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in the sub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channel selection; Receiving a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from a main display device to a sub-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on the sub-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may be selectively interrup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메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커맨드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urning off the main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a command to power on the main display apparatus from the sub display apparatus to the main display apparatus.

전원 온 커맨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The power on command may be a comman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an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display device.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channel sel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on the sub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a main display device and a sub-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channel selection in a sub-display device; Requesting a main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Receiving,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in a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Transmitting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on the sub-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selectively block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신된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Receiving a first video signal from a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a first video signal received at a mai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image signal on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는 동시에 수신되거나,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될 수 있다.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or only one of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may be received.

제2영상신호가 수신 중임을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notifying the main display device that the second video signal is being recei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송신 및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questing a video signal in a sub-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notifying a video signal in a mai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와 같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휴대장치(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isplay device 100 and a sub-display device 200. Her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a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such as a TV, and the sub-displa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tablet.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The main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a vide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video source (not show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ideo processing process so as to display the video signal on the display unit 130 as an image.

본 실시예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전(TV)로 구현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ase wher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television (TV) that displays a broadcast image based on broadcast signal / broadcast information / broadcast data received from transmission equipment of a broadcast station. However, the type of displayable image is not limited to a broadcast image. For exampl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moving images based on signals / data received from various types of image sources (not shown) , An application, an on-screen display (OSD), and a user interface (UI) for various operation control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GUI).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TV or an IP TV (Internet Protocol TV). Smart TV can receive and display broadcasting signals in real time and has a web browsing function. It can display real time broadcasting signals and can search and consume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and can provide a convenient user environment to be. Smart TV also includes an open software platform that can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for users. Accordingly, the smart TV can provide users with various contents,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through an open software platform. Such an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kinds of services and includes applications for providing services such as SNS, finance, news, weather, maps, music, movies, games, e-book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실시예와 상이한 디스플레이장치, 예를 들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 본체에 접속된 모니터 등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셋탑박스(set-top box)로 구현되어, 셋탑박스에서 처리된 영상이 TV나 모니터 등에 표시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main display device 100 is a monitor connected to a computer main body. Als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set-top box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and the video processed by the set-top box is displayed on a TV, a monitor, or the like.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태블릿(스마트 패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을 포함한 휴대장치(모바일 장치)로 구현된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는 입력장치 예를 들어, TV 리모컨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즉, 도 1에서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mobile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smart pad), a portable media player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d the like. Also, the sub-displa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by an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230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a TV remote control. 1, the sub-display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호간에 유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며, 하나의 기기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호스트로, 다른 하나의 기기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다.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one device, for exampl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a host and the other device, for example, .

도 1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스마트 폰 즉, 휴대장치로 구현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예를 들어, 각각 태블릿과 스마트 폰, TV와 휴대용 미디어 기기, 2개의 스마트 폰, TV와 모니터, 또는 TV와 노트북 컴퓨터로 구현되는 경우 등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 가능할 것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TV and the sub-display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that is, a portable device. The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tablets, smart phones, TVs and portable media devices, two smart phones, TVs and monitors, or TVs and notebook computers.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that are variously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of th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pl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 영상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1사용자입력부(140),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160),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70) 및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2,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 image processing unit 110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A first display unit 130 displaying an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s an image, a first user input unit 140 receiving an input of a user, a first storage unit 140 storing various data, A first controller 160 for controlling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a first power supply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 (180).

영상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ceived image signal and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wirelessly receive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not shown), or may transmit a composite video, a component video, a super video, a SCART ,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and the lik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ncludes a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signal for each channel when the image signal is a broadcast signal.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랜(LAN)과 같은 제1통신부(16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제1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대형 건물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Also, the video signal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video signal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an AV device,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may be derived from data receive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0 can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such as a wired or wireless LAN (LAN).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may be derived from data stored in a non-volatile first storage unit 150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or the like. The first storage unit 150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not shown) to which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connected when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provided outside. Also, the video signal can be received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영상수신부(11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수신부(111)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112)를 포함한다.2,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for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a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apparatus 200.

예를 들어, 영상수신부(110)가 튜너를 포함하는 경우, 제1영상수신부(111)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제1영상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를 포함하고, 제2영상수신부(112)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제2영상신호)를 튜닝하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 및 제2 영상수신부(111, 112)는 서로 다른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 각각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을 독립적으로 튜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ncludes a tuner,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includes a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first image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may include a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second image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in the sub display device 200. The first and second image receiving units 111 and 112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dependently tune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images displayed on the two different display devices 100 and 200 .

즉, 제1 및 제2 영상수신부(111, 112)는 독립적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므로, 본 실시예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영상수신부(111)와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1영상수신부(111) 및 제2영상수신부(112) 중 어느 하나만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image receiving units 111 and 112 independently receive image signals, the main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are simultaneously Only one of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can receive a video signal.

여기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영상수신부(111)와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경우뿐 아니라,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가 같은 채널에 대응하는 경우도 포함하도록 구현된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receive image signals at the same time, only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But also the case where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the same channel.

본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제1통신부(160)를 통해 채널 선국 커맨드를 수신하고, 제2영상수신부(112)는 수신된 채널 선국 커맨드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로서 제2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2영상수신부(112)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채널 선국 커맨드는 채널 선택 커맨드와, 채널 변경 커맨드를 포함한다.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the channel selection command from the sub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second image reception unit 112 receives the channel selection command from the sub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the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hannel selection command. And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as a broadcast signal of the second video signal. That is,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the channel selecting command includes a channel selecting command and a channel changing command.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처리부(120)는 제1영상수신부(111)에서 수신된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various image processing processes for the image signals. The video processing uni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ocesses the first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video receiving unit 111 and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video receiving unit 112 independently.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 제1영상신호를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The image processor 120 outputs the first image signal having undergone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to the first display unit 130 so that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do.

마찬가지로 영상처리부(120)에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에 의해 처리된 제2영상신호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된다.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2통신부(260)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된다.Similarly, the secon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by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The sub display device 200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and outputs the second video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unit 230. [ .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decoding corresponding to various image formats, de-interlacing, frame refresh rate conversion, noise reduction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etail enhancement, line scanning,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be realized as a group of individual configurations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of these processes, or a System-on-Chip (SoC) in which various functions are integrated.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나의 영상처리부(120)가 제1영상수신부(111)와 제2영상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모두 처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영상처리부 예를 들어 제1영상처리부 및 제2영상처리부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되어 각각 제1영상수신부(111) 및 제2영상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2, one image processing unit 12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all the image signals received by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A plurality of image processing units, for example,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and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are provid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a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1. [ 2 image receiving unit 112 to process the received image signal.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제1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제1영상을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first image based on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irst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any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uch as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and nano-crystal.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first display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3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first display unit 1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Not shown) for driving the panel driving substrate (not shown).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2영상수신부(112)가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도 6의 62, 도 7의 7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더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 (62 in Fig. 6, 72 in Fig. 7)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in operation can be further displayed as a user interface.

본 실시예의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screen on which an input according to a user's touch is received.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acoustic wave method.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트와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display an object (e.g., a menu, a text, an image, a video, a graphic, an icon, and a shortcut icon) including a menu item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s a user interface (UI). The user can touch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a user's body (e.g., a finger) or a separate pointing device such as a star illustration to perform user input.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1제어부(170)로 전송한다. The touch screen may provide the user with a UI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 data transfer, broadcast, photo shoot, video, or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transmits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single touch or multi-touch inputted through the UI to the first controller 17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스크린과 포인팅 디바이스와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3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기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the contact of the touch screen with the user's body or the touchable pointing device, but may be a non-contact (e.g., a touch screen and a user's body or a detectable interval between the touch screen and the pointing device Hovering below 30 mm).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tactless interval that can be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device 100. [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은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등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uch input includes a drag, a flick, a drag and drop, a tap, a long tap, and the like.

제1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70)에 전달한다.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transmits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unrestricted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unit 170 by a user's operation and input.

본 실시예의 제1사용자입력부(14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미도시)를 포함하며, TV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keypad (or an input panel) (not shown) including buttons such as numeric keys and menu key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From a main body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 keyboard, a mouse, etc., which generates a predetermined command / data / information /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t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more input.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and / o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self motion by a user.

입력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The input device is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RF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Fi direct, and the like. The input device transmits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by being operated by the user.

키패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제1디스플레이부(130) 내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를 포함한다.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keypad includes a physical keypad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 or a sid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 virtual keypad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unit 130, and a wireless keypa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hysical keypad formed on the front and / or side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Will be.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unlimited data is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70. The first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accessed by the first control unit 17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reads / writes / modifies / deletes / updates the data.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기(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includes,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for driving the device 100, various applications executable on the operating system, image data, additional data,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110 내지 160 및 17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torage unit 150 may store signals or data input / outpu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110 through 160 and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70. [ The first storage unit 150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ource or a manufacturer, images for providing a GUI, user information, Documents, databases, or related data.

제1저장부(150)에는 터치 스크린 및/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터치 감지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좌표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더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제1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식별하고,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X 및 Y 좌표)를 산출하여 산출된 좌표정보를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종류 및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150 further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for sensing user input to the touch sensing unit of the touch screen and / or the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roller 170 senses a user's touch on the touch screen or the touch sensing unit, the first controller 170 identifies the type of the sensed touch input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The coordinate information (X and Y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can be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coordinat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touch position of the identified touch input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

본 실시예의 제1저장부(250)에는 방송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등록된 기기로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하는 등록된 기기 목록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부(170)는 등록된 기기 목록에 포함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 및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25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store a registered device list includ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as a registered device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ignal. The first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receiving of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ransmiss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ub display device 200 included in the registered device lis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제1저장부(150), 제1제어부(170) 내 롬(ROM)(미도시), 램(RAM)(미도시)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orage unit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50, a ROM (not shown), a RAM (not shown) or a main display unit 100 in the first control unit 170, (E.g., a micro SD card, a memory stick) mounted on a memory card (not shown).

제1통신부(160)는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제1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 1 내지 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통신부(160)는 유선랜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RF, Zigbee, Wireless LAN, WiFi,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a wired LAN.

제1통신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통신부(160)는 직접 통신뿐 아니라 대형 건물 등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가 중계기로 전달되고, 제1통신부(160)는 중계기를 통해 해당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is embedd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implemented as a dongle or a module so as to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onnector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or the like. For example,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sub-display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repeater,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can receive the command through the repeater.

제1제어부(170)는 기기(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1사용자입력부(1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감지부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조작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포인트(X 및 Y 좌표)를 설정 및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70)는 예를 들어 CPU에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70 performs control operations for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device 100. [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progress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corresponding control operation to the command from 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by sensing an op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tting virtual points (X and Y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The first control unit 17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software coupled to a CPU, for example.

제1제어부(17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6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제어부(170)는 제1전원공급부(18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제어부(170)는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components 110 to 160 of the device 100 and processes the data. The first control unit 170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to the internal components 110 to 160. The first controller 170 may execute an OS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when the user inputs or the set and stored conditions are satisfied.

제1전원공급부(180)는 제1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들(110 내지 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110 to 17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70.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170)는 제1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오프 명령(power off command)에 응답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110 내지 17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70)는 제1영상수신부(111)는 동작하지 않고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작하는 경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제2영상수신부(112), 영상처리부(120), 제1통신부(160) 및 제1제어부(170)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상신호의 송수신, 처리 및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의 통신과 관련없는 구성, 예를 들어, 제1영상수신부(111),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In response to a power off command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the first controller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 display apparatus 200 is connecte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s 110 to 17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selectively interrupted. Specifically, when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does not operate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operates, the first control unit 170 transmits /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제2영상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even when no power is supplied to a part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서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RF(Radio Frequency)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프로토콜에 의한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1제어부(170)는 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The first controller 170 monitor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ub display device 200 and outputs a signal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 display device 200 when there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ub display device 200 It can be determined to be connected. That is,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 display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and RF (Radio Frequency) And the first controller 170 monitors th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connected or not.

제1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제2영상신호와 관련된 일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결정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for a preset time while the power is selectively supplied to a part of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econd video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ub- , And control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so that the power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turned off. Her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may be a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display device 200.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수신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그 결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트리거(trigger) 신호 및/또는 제1영상신호에 대한 제어 커맨드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간의 접속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더 이상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사용하여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부(17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170 periodically monitor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as a result, receives a trigger signal and / or a trigger signal from the sub- If the control command for the first video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display device 200 is disconnected so that the user can no longer use the sub-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is not viewed.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 power supplier 180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이렇게 전원 오프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제2영상수신부(112), 영상처리부(120)를 포함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오프 상태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구성, 예를 들어, 제1통신부(160)와 제1제어부(170)에 대기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us powered off,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for example,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cond image signal, Lt; / RTI > may be cut off. Her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which is in the power-off state, includes a sub-display device 200 and some component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a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first control unit 170 may be supplied with standby power

제1제어부(170)는 제1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채널 선국에 따라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영상수신부(111)를 제어하고, 수신된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to receive the first image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for example, channel selection, And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process the video signal.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70)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17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영상수신부(112)를 제어하고,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송신된 제2영상신호는 제2영상으로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image receiver 112 to receive the second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controls the second image receiver 112 to process the received second image signal, And controls the processing unit 120. Then,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The transmitted second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of the sub display device 200 as a second video.

즉, 제2영상수신부(112)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제1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2영상신호를 수신한다.That is,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

여기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는 채널 선국 커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한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제2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하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제2영상으로 표시하게 된다.Here,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hannel selection command. Accordingly, the main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nd processes the second video signal in response to channel selection using the sub display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displays the second video signal as a second video.

이하, 본 발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ub display device 200 of th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230),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2사용자입력부(240),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50),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60),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70) 및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한다. 2, the sub-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230 for displaying an image, a second user input unit 240 for receiving a user's inpu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for perform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second control unit 270 for controll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b-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280 for supplying power.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을 표시한다. 제2디스플레이부(2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30 displays an image.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second display unit 230 is not limited and may be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uch as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and nano-crystal.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디스플레이부(2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second display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second display unit 2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Not shown) for driving the panel driving substrate (not shown).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한 방송시청을 선택하고, 해당 방송(제2영상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3의 31-33, 도 4의 40-43)를 더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 The second display unit 230 also includes a user interface (31-33 in FIG. 3, FIG. 4B) for selecting a broadcast viewing using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selecting a channel of the broadcast (second video signal) Of 40-43) can be further displayed.

본 실시예의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screen on which an input according to a user's touch is received.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acoustic wave method.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트와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display an object (e.g., a menu, a text, an image, a video, a graphic, an icon and a shortcut icon) including a menu item of the sub display device 200 as a user interface (UI). The user can touch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a user's body (e.g., a finger) or a separate pointing device such as a star illustration to perform user input.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G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2제어부(270)로 전송한다. The touch screen may provide the user with a UI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 data transfer, broadcast, photo shoot, video, or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transmits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single-touch or multi-touch input through the GUI to the second controller 27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스크린과 포인팅 디바이스와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3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기기(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the contact of the touch screen with the user's body or the touchable pointing device, but may be a non-contact (e.g., a touch screen and a user's body or a detectable interval between the touch screen and the pointing device Hovering below 30 mm).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tactless interval detectable on the touch scre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device 200. [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은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등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uch input includes a drag, a flick, a drag and drop, a tap, a long tap, and the like.

제2사용자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2제어부(270)에 전달한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transmits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unrestricted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unit 270 by the user's operation and input.

본 실시예의 제2사용자입력부(24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30)의 하단에 마련된 버튼 예를 들어, 홈 버튼, 메뉴 버튼 및 돌아가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측면의 전원/잠금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볼륨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may include a home button, a menu button, and a return butt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isplay unit 230 of the sub display device 200. Here, the butt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 lock button on the side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at least one volume button.

버튼은 제2디스플레이부(230)의 외측의 베젤 영역에 위치하며, 메뉴 버튼과 돌아가기 버튼은 물리적 버튼이 아니라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Button is located in the bezel area outside the second display unit 230, and the menu button and the return button can be implemented as touch buttons instead of physical buttons.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일 측면에는 버튼을 가지는 포인팅 디바이스(미도시)가 삽입 가능한 삽입구가 위치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는 삽입구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ointing device (not shown) having a button can be inserted may be located. The pointing device can be stored inside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can be taken out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at the time of use.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포인팅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sub-display device 200 may receive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using the pointing device and / or the user's body.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버튼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fact that the physical buttons formed on the front and / or sides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can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means that it is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저장부(2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The second storage unit 250 stores unlimite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70. The second storage unit 25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second storage unit 250 is access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27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70 reads / writes / modifies / deletes / updates the data.

제2저장부(2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기(2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includes,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for driving the device 200, various applications that can be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mage data, additional data,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210 내지 160 및 17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저장부(25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torage unit 250 may store signals or data input / outpu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210 to 160 and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270. The second storage unit 250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ource or a manufacturer, images for providing a GUI, user information, Documents, databases, or related data.

제2저장부(250)에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좌표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더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27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제2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식별하고,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X 및 Y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종류 및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unit 250 further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for sensing user input to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270 senses the user's touch on the touch screen, the second control unit 270 identifies the type of the sensed touch input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in advance, (X and Y coordinates)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touch position of the identified touch input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본 실시예의 제2저장부(250)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등록된 기기로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포함하는 등록된 기기 목록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등록된 기기 목록에 포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2영상신호를 요청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unit 25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store a registered device list including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s a registered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The second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ncluded in the registered device list to request and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제2저장부(250), 제2제어부(27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a second storage unit 250, a second control unit 270, a ROM (not shown), a RAM (not shown) (E.g., a micro SD card, a memory stick).

제2통신부(260)는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제2통신부(26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 1 내지 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RF, Zigbee, Wireless LAN, WiFi,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실시예의 제2통신부(26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인 경우, 이동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동통신부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가능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통신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when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for voice calls, video calls, SMS messages, multimedia messages (MMS), and data communications with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s, .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제2통신부(26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 본체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통신부(160)는 직접 통신뿐 아니라 대형 건물 등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제2영상신호가 커맨드가 중계기로 전달되고, 제2통신부(260)는 중계기를 통해 제2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dongle or a module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connector (not shown) .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econd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may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through the repeater.

제2제어부(270)는 기기(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70)는 제2사용자입력부(2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조작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포인트(X 및 Y 좌표)를 설정 및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70)는 예를 들어 CPU에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70 performs control operations for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device 200. [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unit 270 detects a corresponding control operation for a command from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an op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a user 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s a virtu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position (X and Y coordinates)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thereby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ub display device 200. [ The second control unit 270 may be realized by coupling software to a CPU, for example.

제2제어부(2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기(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30 내지 26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제어부(270)는 제2전원공급부(28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230 내지 2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2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components 230 to 260 of the device 200 and processes the data. The second control unit 270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80 to the internal components 230 to 260. In addition, when the user's input or set and stored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second control unit 270 can execute an OS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

제2전원공급부(280)는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각 구성(230 내지 270)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80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230 to 270 of the sub-display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70.

제2제어부(270)는 제2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제2영상신호를 요청하는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60)를 제어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통신부(2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한 채널 선국은 최초의 채널 선택 및 채널 변경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unit 200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requesting the second display signal to the main display device 20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to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 Here, channel selection through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includes initial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 change.

그리고, 제2제어부(270)는 제2통신부(260)를 통해 수신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70 displays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2제어부(270)는 제2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전원 온 커맨드를 더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오프 상태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구성, 예를 들어, 제1통신부(160)와 제1제어부(170)에 대기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is powered off, the second controller 270 further transmits a power on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can be controlled. For this purpos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which is in the power off state, has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display device 200, for example, a standby power source fo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Can be supplied.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7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전원 온 커맨드를 제2통신부(260)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ler 270 periodically monitor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when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powered off . The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power on comman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되는 전원 온 커맨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일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커맨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전원 온 커맨드에 응답하여,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제2영상수신부(112), 영상처리부(120), 제1통신부(160) 및 제1제어부(170)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power on command transmitte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a command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a part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170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transmits /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in response to the power on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200 in the power off stat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The power supply unit 180 can be controlled.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의 방송 시청이 종료되면, 제2제어부(270)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전원 오프시키는 커맨드를 제2통신부(26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영상수신부(111)가 동작 중 즉,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 전원 오프 커맨드는 제2영상수신부(112)와 같은 일부 구성에만 전원이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Also, when the broadcast viewing in the sub-display device 200 is terminated, the second control unit 270 can transmit a command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I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signal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while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is operating, And to cause the power to be cut off to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such as the receiving unit 112. [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실시예에 관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watching a broadcast us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in th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영상신호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questing a video signal in the sub-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제2사용자 입력부(240)를 이용한 조작을 통해 다른 기기 즉,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방송신호(제2영상신호)의 수신을 허가하고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3 and 4, the user inputs the broadcast signal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other device, that is,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peration using the second user input unit 240 in the sub- ) And can tune the channel.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는 환경설정에서 다른 기기에서 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아이콘(31)을 켜짐으로 선택하고, 허용된 기기 목록 아이콘(32)를 조작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선택하여 해당 기기(100)로부터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a smart phone as shown in FIG. 3, the user selects the icon 31 as being on in order to enable broadcast reception from another device in the environment setting, The user can manipulate the icon 32 to select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operate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from the device 100. [

그리고, 방송채널 선택 아이콘(33)을 선택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인 제2영상신호의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A channel of the second video signal, which is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broadcast channel selection icon 33. [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환경설정을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방송신호(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별도의 방송시청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다운로드, 설치 및 실행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시청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2영상신호의 채널을 선국하게 된다. 여기서, 방송시청 어플리케이션은 구입 시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된 내장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broadcast signal (the second video signal) is set to be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eparate broadcast viewing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installed and executed,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may be selected. The user executes a broadcast viewing application to select a channel of the second video signal. Here, the broadcast viewing application may be a built-in application preinstalled on the smartphone at the time of purchase.

도 3에서 방송채널 선택 아이콘(33)이 선택되면, 제2디스플레이부(2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 선국을 위한 키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40)로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broadcast channel selection icon 33 is selected in FIG. 3, a keypad for channel selection, as shown in FIG. 4,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as the user interface 40.

사용자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의 채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숫자키(41)와 엔터키(42)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채널을 표시창(43)으로 확인 가능하다.The user selects a broadcast channel to be viewed on the sub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40 of FIG. For example, the user can sequentially select the numeric key 41 and the enter key 42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to be viewed, and can confirm the selected channel with the display window 43. [

제2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60)를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to transmit a command requesting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영상신호를 송신 및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notifying a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와 같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제2영상신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방송신호(제2영상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3 and 4, when a request for the second vide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the first controller 17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broadcast signal The second video signal) to be transmitted.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국 커맨드에 응답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TV 시청 즉, 제2영상신호의 요청을 통지하는 메시지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1)를 표시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영상신호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is a TV, as shown in FIG. 5, in response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200, the first controller 170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first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51 as a message for notifying a TV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that is, a request for a second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s to the channel selected in the sub display device 200. [

사용자는 제1사용자 입력부(140)를 조작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을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first user input unit 140 to permit or restrict the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허가 아이콘(52)를 선택하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가 전송이 가능하며, 제한 아이콘(53)을 선택하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전송은 금지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permission icon 52, the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If the limit icon 53 is selected, the video signal transmiss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prohibited.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이 허가되도록 결정되면,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영상수신부(112)를 제어하고,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된 제2영상신호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video signal transmiss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permitted, 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video receiver 112 to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in the sub display device 200, And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process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여기서, 영상신호의 송신이 허가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등록된 기기로서 그 정보가 제1저장부(160)의 허용된 기기 목록에 추가된다.Here, the sub-display device 200, to which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is permitted, is registered as a device, and th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permitted device list of the first storage unit 160.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이 제한되도록 결정되면,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이 금지되도록 제1통신부(1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 제한 설정에 응답하여 제2영상수신부(112)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1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to prohibit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80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is interrupted in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transmission restriction setting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의 영상신호 송신이 허가되어 정상적으로 제2영상신호의 수신, 처리 및 송신 동작이 수행되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작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permitted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perations of the second video signal are normally performed, the main display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that the second video receiver 112 is operating can do.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70)는 등록된 기기인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영상신호가 전송되어 시청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6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62)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제2영상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first controller 170 of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transmits a message 62 indicating that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apparatus 200, which is a registered device, And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through a user interface. Here, the message 62 may include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ub-display device 200.

이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채널(61)과 다른 채널의 영상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됨을 확인 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an image of a channel different from the channel 61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displayed on the sub-display device 200.

한편, 사용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하여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조작하여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제2제어부(270)는 입력된 채널변경 커맨드를 제2통신부(260)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한다.Meanwhile, the user can change the channel by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40 of FIG. 4 while watching the broadca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using the sub display device 200. [ The second control unit 270 transmits the inputted channel change comman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채널변경 커맨드에 응답하여, 변경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2영상수신부(112)를 제어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된 영상신호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된다.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2통신부(260)를 통해 이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영상으로 표시된다.In response to the channel change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econd video receiver 112 to receive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hannel, and processes the received video signal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processe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The sub-display device 200 receives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as an image.

여기서, 제1제어부(170)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표시되는 방송의 채널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7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청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한 방송 시청 여부뿐 아니라, 채널 정보와 채널 변경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first controller 170 may further display a message 72 indicating that the broadcast channel displayed on the sub-display device 200 has been changed. Accordingly, the viewer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can view channel information and channel change information, as well as whether the user views the broadcast us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도 6과 도 7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서로 다른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같은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6 and 7 illustrate that images of different channels ar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display device 200.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ub- The display unit 200 may display an image of the same chann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6과 도 7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영상수신부(112)의 동작 여부를 통지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6 and 7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notifies whether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is operated us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30.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nformation can be notifi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우측 하단에 LED로 이루어진 통지부(80)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a notch portion 80 made of LED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one area of the main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in the lower righ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지부(80)는 제1영상수신부(111)와 제2영상수신부(11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LED(81, 82)를 포함하며, 제1제어부(170)에 의해 대응하는 영상수신부(111, 112)의 동작에 응답하여 발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LED(81, 82)는 채널 변경 커맨드가 수신되면 컬러를 변경하거나, 소정 횟수 깜빡이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에게 채널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8, the notification unit 80 includes first and second LEDs 81 and 82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170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receiving units 111 and 112. Here, the first and second LEDs 81 and 82 can notify the user of the channel change by changing the color or flicke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channel change command is received.

구체적으로, 제1영상수신부(111)를 통해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LED(81)이 발광하며, 제2영상수신부(112)를 통해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LED(82)가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수신부(111)는 동작하지 않고,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LED(82)만 발광된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채널 변경 커맨드가 수신되면, 제2 LED(82)의 컬러가 변경 또는 소정 횟수 깜빡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imag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the first LED 81 emits light. When the second imag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The light emitting element 82 can emit light. For example, if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does not operate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does not operate, only the second LED 82 emits light. Also, when the channel chang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200, the color of the second LED 82 may change or flash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부(13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일부 구성 즉, 제2영상수신부(112)의 동작 여부로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방송을 시청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even if the first display unit 130 is turned off, the user can easily see whether the sub display apparatus 200 is broadcasting or not, .

본 발명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스피커와 같은 사운드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 통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2영상수신부(112)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6 to 8, for example, by voice through a sound output unit (not shown) such as a speaker,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image receiving unit 112 is operated.

한편, 이상의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영상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된 영상처리부(120)에 처리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바이패스(bypass)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video receiving unit 112 is processed by the video processing unit 120 provid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ted to the sub display device 200 However, whe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it bypasses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In this case,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는 바이패스된 제2영상신호를 디코딩을 포함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이렇게 처리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은 제2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될 수 있다.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decoding and processing the bypassed second image signal.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second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0, Lt; / RTI >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는, 제2영상수신부(112)와 별도로, 제2영상신호와 다른 제3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보조 영상수신부(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보조 영상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통신 환경 등의 원인으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제2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의 방송 시청이 가능할 수 있다.The sub displa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image receiv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a third image signal different from the second image signal separately from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When the sub display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image receiving unit, even if reception of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impossible due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the like, It can be possibl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S902). 여기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이용하여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에 대응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국된 채널 정보는 제어 커맨드로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된다. As shown in FIG. 9,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in the sub display device 200 may be received (S902). Here, the user can select a channel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to be viewed on the sub display device 200 using the user interface 40 shown in FIG. 4, and the selected chann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s a control command to the main display device 100 ).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단계 S902에서의 사용자 요청 즉,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한다(S904). 여기서, 제2영상신호는 제2영상수신부(112)에 의해 수신되며, 이 동작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수신부(111)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수행된다.In step S904, the main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at is, channel selection in step S902. Here, the second video signal is received by the second video receiving unit 112, and this operation is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video receiving unit 111 corresponding to the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단계 S904에서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처리한다(S906).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the second image signal received in step S904 (S906).

단계 S906에서 처리된 제2영상신호는 제1통신부(1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된다(S908). 이렇게 전송된 제2영상신호는 제2통신부(260)를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수신된다.The second video signal processed in step S906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S908). The second video signal thus transmitted is received by the sub-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그리고, 단계 S908에서 수신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된다(S9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계 S902에서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하게 된다.The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received in step S908 is displayed on the sub-display device 200 (S910).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in step S902 using the sub-display device 2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수신부가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하여, 별도의 튜너가 구비되지 않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채널 선국에 의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ignal receiv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1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ideo receiving units is transmitted to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a sub-display device 200 can display an image by channel selection, so that the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채널 변경,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온/오프가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가 보다 향상된다.In addition, the channel can be changed and the main display device 100 can be turned on / off by a user operation using the sub display device 200,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2영상수신부(112)가 동작 중인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is operating to display an image on the sub display device 200, the user is notified through the main display device 100 that th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접속여부 또는 제1영상수신부(111)와 제2영상수신부(112)의 동작 여부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부분적으로 전원이 공급/차단되므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된 상태에서도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한 방송 시청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Since the main display device 100 is partially powered or turned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200 is connected or whether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12 are operated, It is possible to view a broadcast through the sub-display device 200 even when the power off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apparatus 100,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송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송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transmission medium and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data readable by the computer system. The transmission medium may be implemented over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which computer systems are coupled togeth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9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hardware, and software. As hardware,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a computer program, which is software, is stored, a RAM into which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is loaded, and a CPU that executes a computer program loaded in the RAM. Non-volatile memory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hard disk drive, flash memory, ROM,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storage, . The non-volatile memory is an example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readabl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9에 도시된 단계 S902 내지 S910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제어부(170, 270)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The computer program is a code that can be read and executed by the CPU, and includes codes for ca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170 and 270 to perform an operation, including steps S902 to S910 shown in FIG.

컴퓨터프로그램은 메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2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may be embodied in software that interfaces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100 and / or software that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ub-display device 200, and / or software that interfaces with the external devic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11 : 제1영상수신부 112 : 제2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제1디스플레이부
140: 제1사용자 입력부 150 : 제1저장부
160 : 제1통신부 170 : 제1제어부
180 : 제1전원공급부
200 :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230 : 제2디스플레이부
240: 제2사용자 입력부 250 : 제2저장부
260 : 제2통신부 270 : 제2제어부
280 : 제2전원공급부
100: main display device 110: image receiving unit
111: first image receiving unit 112: second image receiving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first display unit
140: first user input unit 150: first storage unit
160: first communication unit 170: first control unit
180: first power supply
200: sub display device 230: second display part
240: second user input unit 250: second storage unit
260: second communication unit 270: second control unit
280: second power supply

Claims (36)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수신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와;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1사용자 입력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제2영상수신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A mai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sub-display device,
A first image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im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device;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respectively;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display device;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ub display device;
A first user inpu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main control unit is responsive to a power off command of the main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to selectively turn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And controls the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econd video signal when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 display device. Lt;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turn off power of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disconnection of the sub-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커맨드는 채널 선국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sub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channel selection comm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수신부와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영상수신부 및 제2영상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simultaneously receive a video signal or only one of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video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the first control unit notifies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 opera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을 제한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지 않도록 상기 제1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such that the second video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sub display device when an input for limiting video signal transmiss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user input unit And the main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 제한에 응답하여, 상기 제2영상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uch that power supply to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terrupted in response to a video signal transmission restriction to the sub display device.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수신부가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2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상기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A sub-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ai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sections for receiving image signal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signal;
A second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hannel;
A second controller for requesting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ed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to the mai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 RTI >
When the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apparatus is received,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display apparatus is selectively interrupt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 display apparatus is connected, and the secon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apparatus The sub-display device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커맨드를 더 송신하도록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further transmit a command to turn on the main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powered of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커맨드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wer on command is a comman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 processing the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and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 display device.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channel sel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1영상수신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영상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와;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2영상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제2영상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In a multiple display system including a main display device and a sub-display device,
The main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image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image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ub display device;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respectively;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display device;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to the sub display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display device,
The sub-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requests the second video signal to the main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channel selection in the sub display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Transmits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signal to the sub-display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in response to a power off command of the main display unit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is selectively block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unit is connected Multiple display system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수신부와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동시에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영상수신부 및 제2영상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 the image signal at the same time or only the first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 the image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when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the first control unit notifies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 operation.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에 대한 요청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제2영상신호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mai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sub-display device,
Receiving a request for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from the sub display device to the main display device;
Receiving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Processing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 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selectively blocking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ep of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econd video signal, and supplying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display device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해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 해제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Monito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device in the main display device to detect disconnection of the sub-display device;
And turning off the main display device when the sub-display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은 채널 선국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sub-display apparatus includes a channel selection comman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Receiving the first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the received first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on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시에 수신되거나,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3,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or only one of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is receive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수신부가 동작 중임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notifying, via the main display device, that the second image receiving unit is in opera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을 제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Receiving a user input for restricting transmission of a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the second video signal not to be transmitt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 display devic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영상신호 송신 제한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영상수신부 중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transmission restriction to the sub-display device,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second video signa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units provided in the main display device Of the main display device.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수신부가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sub-displa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ai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units for receiving image signals,
Receiving a user input for channel selection in the sub-display device;
Requesting,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 display device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Receiving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on the sub 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the second vide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by selectivel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Control method.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커맨드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Turning off the main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a command to power on the main display device from the sub display device to the main display devic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커맨드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제2영상신호를 송수신 및 처리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power on command is a comman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and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ub display device. Way.
제28항 내지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8 to 30,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28항 내지 제30항 증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8 to 30,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channel sel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on the sub display device.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채널을 선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선국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 대응하는 제1영상신호와 다른 제2영상신호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국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a main display device and a sub-display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for channel selection in the sub-display device;
Requesting the main display device from the sub display device to display a second video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channel selection;
Receiving,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n the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the received second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Transmitting the processed second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to the sub-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deo signal on the sub display device;
A power off command for the main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selectively blocking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display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display device is connected or not.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Receiving the first video signal from the main display device;
Processing the received first video signal in the main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first video signal on the main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correspond to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와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시에 수신되거나,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3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3 or 34,
Wherein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or only one of the first video signal and the second video signal is received.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 중임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And notifying the main display device that the second video signal is being received.
KR1020140045448A 2014-04-16 2014-04-16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197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48A KR20150119701A (en) 2014-04-16 2014-04-16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48A KR20150119701A (en) 2014-04-16 2014-04-16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701A true KR20150119701A (en) 2015-10-26

Family

ID=5442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448A KR20150119701A (en) 2014-04-16 2014-04-16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97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10956008B2 (en)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23188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40337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799251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quality matching method thereof
US2013017624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262051B1 (en)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67296A (en) Ma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b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078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portable terminal connected with external device
US20170300192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screen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of
US201103167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702843B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KR102204676B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KR20130019260A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US10534519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19701A (en) Main display apparatus, sub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01342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and display method
KR10226927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7027239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07844B1 (en) Multimedia devic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373405A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formation appli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84346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