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005A -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005A
KR20150117005A KR1020140042148A KR20140042148A KR20150117005A KR 20150117005 A KR20150117005 A KR 20150117005A KR 1020140042148 A KR1020140042148 A KR 1020140042148A KR 20140042148 A KR20140042148 A KR 20140042148A KR 20150117005 A KR20150117005 A KR 2015011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condary coil
capacitor
coi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석
유한철
Original Assignee
(주)기술과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술과가치 filed Critical (주)기술과가치
Priority to KR102014004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005A/en
Publication of KR2015011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ng devi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The collecting device includes a secondary coil generating an induced current by being induc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resonated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from the collecting device; an impedance matching par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to be resonated by the same frequency as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y being combined with the secondary coil; a rectifying circuit rectifying the induced current, induced to the secondary coil, into a DC current by being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mpedance matching part; and a support supporting the secondary coil, the impedance matching part, and the rectifying circuit. The suppor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Description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0001]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무선전력 집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전장치의 1차 코일에 고압의 AC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한편, 1차 코일과 최적거리에 위치한 2차 코일이 1차 코일에 접근함에 따라 저하되는 전송효율을 보상하는 집전장치에 있어서 곡면휨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유연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that increases a power transmission distance by supplying high-voltage AC power to a primary coil of a power supply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ower collector having a feature capable of curved surface deflection in a current collector that compensates for a transmission efficiency deteriorated as approaching a car coil.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사용자들에게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전화선, 네트워크 케이블, 헤드폰 케이블 등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방식에서 블루투스, 무선랜 등 무선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은 대부분 충전식 배터리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향후 배터리 충전 분야에 있어서 무선 충전 기술의 도입은 획기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recent years, users' preferen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increasing, and these electronic devices have become essential elements for providing a ubiquitous environment to user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pporting communication functions are moving from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 cables such as a telephone line, a network cable and a headphone cable to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wireless such as Bluetooth and wireless LAN. Currently, rechargeable batteries are mostly responsible for the power suppl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o the introduction of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n the field of battery charging in the future will be a breakthrough.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크게 전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Such wireless charging techniqu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electromagnetic induction, magnetic resonance, and electromagnetic wave.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부에서 교번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수신부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송신부에서 전력을 공진하는 전자기장으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부에서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공진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방식이다.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part, and the current is induc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receiving part to generate energy.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onverts a power into an electromagnetic field that resonates in the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receives power by using a resonance coil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in the receiver.

마지막으로 전자기파(RF) 방식은 전력 에너지를 무선 전송에 유리한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Finally, the electromagnetic wave (RF) method converts energy into microwave which is advantageou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transmits energy.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있어서 주요 기술 이슈 중 하나는 전력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공명방식은 자기유도방식에 비하여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일정한 전력전송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2차 코일의 크기의 증가로 인해, 모바일 기기나 생체내의 의료기기 등의 소형 수신장치에 구현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One of the major technical issue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to increase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and in this respect,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advantages over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However,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secondary coil required to secure a constant power transmission distanc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antenna in a small receiving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or a medical device in a living body.

한편, 급전측 공진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폭시켜 줌으로써 공진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전력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33758호는 급전측 공진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급전측에 공진코일(전자기장 공진기; 412)과 별도로 코일(전자기장 발생기; 411)을 두고, 별도의 코일과 공진코일간에 변압기 원리에 의해 공진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증폭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변압기 원리를 이용한 증폭기는 소자의 크기 증가로 인해 급전장치의 크기에 따라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esonance coil by amplif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supply-side resonance coil,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2-0033758 discloses that a coil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411 is provided separately from a resonance coil (electromagnetic field resonator) 412 on the power feeding side in order to amplify a voltage applied to the power-supply side resonance coil, And a method of amplifying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resonance coil by the principle of the transformer between the resonance coil and the resonance coil. However, the amplifier using the transformer princip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be limitedly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eeding device due to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he device.

또한, 최근 스마트폰의 트랜드로 curved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으며, 또한 wearable 전자기기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자기유도방식 무선충전 집전장치 구현에 어려움이 있었는 바, 이에 대한 유연한 무선충전 집전장치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In addition, since curved smart phones are being released as a trend of smart phones in recent years, and the use of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expanded, it has been difficult to implement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current collector corresponding thereto, Was desir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한 집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연한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which is applicable to flexible electronic apparatuses by providing a flexible power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전장치가 급전장치에 근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전송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부하부에서 발생한 노이즈 등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갖도록 하는 집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llecting apparatus which has a charging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hield a signal such as noise generated in a load unit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ransmission efficiency appearing in a region close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집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급전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유기되어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코일과 결합하여 상기 소정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하는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코일에 유기된 상기 유도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정류회로; 및 상기 2차코일, 임피던스 매칭부, 정류회로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코일이 상기 급전 장치의 1차 코일에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전자기장과 2차 코일 간의 공명이 깨진 경우,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rrent collector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secondary coil that is induc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resona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from a power feeding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An impedance matching uni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and resonating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predetermined frequency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ary coil; A rectifying circu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rectifying the induction current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to a direct current;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ary coil,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the rectifying circuit,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secondary coi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imary coil of the power feeding device, And the secondary coil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through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when the resonance between the second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s broke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suppor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sulfone (PES), polyimide PAR), polycyclic olefin (PCO), crosslinked epoxy, and crosslinked urethane fil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0.01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0.01 to 1 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0.1 ~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0.1 to 0.5 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가 상기 2차 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타측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where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coil.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는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급전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산정시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 후단의 기생 임피던스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ield the parasitic impedances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input impedance of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o provide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An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apacitances equal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류회로가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결합한 브리지 정류 회로(Bridge Rectifier)로 구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집전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rent collector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herein the rectifier circuit is implemented by a bridge rectifier in which four diodes are coupled by a brid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전장치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전력을 평활하는 평활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device, wherein the power collecting device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in parallel to smooth the output power of the rectifying circu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전장치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류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wherein the power collec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to consume rectified pow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하부가 상기 정류된 전력을 이용하여 2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wherein the load unit includes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rectified power.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집전장치는 지지체가 유연한 고분자로 형성되어 유연한 집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연한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wireless pow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upport is formed of a flexible polymer and is applicable to a flexible electronic apparatus by providing a flexible power collect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DC전원으로부터 AC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AC전력을 LC 공진 회로를 이용하여 다시 증폭함으로써, 1차 코일에 고압의 AC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스위칭 소자 외에 수동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함으로써 전력변환손실이 적고, 집전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supply high-voltage AC power to the primary coil by generating AC power from a DC power supply using a switching element and amplifying the generated AC power again using an LC resonance circuit, By amplifying the power using a passive element in addition to the element, power conversion loss is small,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curren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은 1차 코일에 고압의 AC전력을 공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증폭기나 변압기 방식의 증폭기와 달리, 입력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입력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서 이용하여 DC전원으로부터 공급된 DC 전압을 AC 신호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Further, unlike other amplifiers or transformer-type amplifiers that can be used to supply high-voltage AC power to the primary coil,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mplify an input signal but uses an input signal as a switching signal to supply a DC The voltage can be efficiently changed to an AC signal.

또한 본 발명은 1차 코일에 고압의 AC전력을 공급함으로써,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최적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공명이 깨어진 상황에서도, 1차 코일로부터 발생한 강한 전자계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 코일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데드존(Dead Zone)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supplying high-voltage AC power to the primary coil,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typ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a strong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il even in a situation where resonance is broke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within an optimum distance. Power is supplied to the car coil, thereby eliminating dead zones.

또한 본 발명은 1차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자계 강도 조절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인적/환경적 요소에 대응하여 자계 공간, 다시 말해 무선충전 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ic field strength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primary coil, thereby effectively forming a magnetic field space, i.e., a wireless charging space, corresponding to various human / have.

또한 본 발명은 집전장치의 2차 코일의 양단에 각각 임피던스 매칭부를 접속함으로써, 집전장치가 급전장치에 근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전송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부하부에서 발생한 노이즈 등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by connecting the impedance matching portions to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region close to the power feeder, There is an effect of shie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집전장치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집전장치를 구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에 대응되는 급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스위칭 소자, 자계 강도 조절부, LC 공진형 인버터 및 1차 코일의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form of a flexibl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collecting apparatu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collecting apparatu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urrent collector of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a power collecting devic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switching element, a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section, an LC resonant inverter, and a primary coil.
Figure 7 shows th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the circuit of Figure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mutual induc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oil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9 is a graph show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oil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terms " about ",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herei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an approximation of, or approximation to, the numerical values of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자기공명 방식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전력을 공진하는 전자기장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급전장치 및 급전측 공진 코일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공진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집전장치를 포함한다.
The radio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feeding device for converting electric power into an electromagnetic field for resonance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 power and a power collecting device for receiving electric power using a resonance coil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power supply side resonance coil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집전장치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flexibl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collector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집전장치는 유연한 성질의 휘는 정도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어서, curved 스마트폰이나 wearable 전자기기의 등의 유연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휘는 정도는 도 1의 (a) 및 (b)와 같이 상하 및 좌우로도 자유롭게 휠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lexibly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evice such as a curved smart phone 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degree of bending can be freely set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s. 1 (a) and 1 (b).

도 2를 참조하면, 집전장치(100)는 2차 코일(110), 임피던스 매칭부(120), 정류회로(130), 평활회로(140) 및 부하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는 상기 2차 코일(110), 임피던스 매칭부(120), 정류회로(130), 평활회로(140), 부하부(150)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2, the power collec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condary coil 110, an impedance matching unit 120, a rectifying circuit 130, a smoothing circuit 140, and a load unit 150. The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ary coil 11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20, the rectifying circuit 130, the smoothing circuit 140, the load unit 150, Not shown).

상기 2차 코일(110)은 급전장치의 1차 코일에 의해 형성된 자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따라서 1차 코일과 공진채널을 형성하여 집전장치 측으로부터 전력을 전송받는다.The secondary coil 110 has a resonance frequency coinciding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primary coil of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us receives power from the current collector device by forming a resonance channel with the primary coil.

임피던스 매칭부(120)는 2차 코일(110)과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보상하여 2차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한편, 1차 코일의 입력 임피던스를 산정함에 있어서 2차 코일(110)의 임피던스 매칭부(120)의 후단의 기생 임피던스 등을 차폐하는 효과가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110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ary coil by compensating the impedance, and in calculating the input impedance of the primary coil, impedance matching of the secondary coil 110 It has an effect of shielding the parasitic impedance and the like of the rear end of the part 120. [

정류회로(130)는 2차 코일(110)에서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한다. 정류회로(130)는 반파 정류회로, 전파 정류회로, 브리지 정류회로, 배전압 정류회로 등 다양한 방식의 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tifying circuit 130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110 to a direct current. The rectifying circuit 130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rectifying circuits such as a half-wave rectifying circuit, a full-wave rectifying circuit, a bridge rectifying circuit, and a double voltage rectifying circuit.

평활회로(140)는 정류회로(130)에서 정류된 출력전압을 평활한다.The smoothing circuit 140 smoothes the output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ying circuit 130.

구체적으로, 평활회로(140)는 정류회로(130)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정류회로(130)의 출력전원에 대한 평활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moothing circuit 140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130, and can smooth the output power of the rectifying circuit 130.

부하부(150)는 정류된 직류 전원을 소비한다. 구체적으로, 부하부(150)는 정류회로(130) 및 평활회로(140)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된 전력을 입력받으며, 전력 수신장치의 목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현시에 부하부(150)는 충전회로와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충전회로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2차 전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The load section 150 consumes the rectified DC power. Specifically, the load unit 150 receives the DC converted power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130 and the smoothing circuit 140, and performs a desired function of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In implementation, the load unit 15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and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harged using a rectified DC power source. In particular, the charging circuit may include a protection circuit such as an overvoltage and an overcurrent prevention circuit,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charge management module that collects and processes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charge of the secondary battery.

상기 지지체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집전장치가 유연한 특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2차 코일(110), 임피던스 매칭부(120), 정류회로(130), 평활회로(140) 및 부하부(150)가 지지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 코일(110), 임피던스 매칭부(120), 정류회로(130), 평활회로(140) 및 부하부(150)가 지지되는 형상은 지지체의 한면 위에 형성되거나 지지체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current collector can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Accordingly, the secondary coil 11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20, the rectifying circuit 130, the smoothing circuit 140, and the load unit 150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The shapes in which the secondary coil 11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20, the rectifying circuit 130, the smoothing circuit 140, and the load unit 150 are support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or inside the support .

지지체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로는 얇은 두께의 지지체 2장을 준비하여 2장 사이에 2차 코일(110), 임피던스 매칭부(120), 정류회로(130), 평활회로(140) 및 부하부(150)를 위치시킨 후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ase where the support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include two sheets of thin supports each having a secondary coil 110, an impedance matching unit 120, a rectifying circuit 130, a smoothing circuit 140, (150) is positioned and then adhered.

상기 지지체를 구성하는 유연한 재질로는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체의 예로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exible material constituting the support is preferably made of a polymer material. Examples of such supports include polyimide (P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sulfone (PES), polyimide (PI), polyarylate , Polycyclic olefin (PCO), crosslinked epoxy, crosslinked urethane film, and the like.

한편,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0.01 ~ 1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 0.5mm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두께일 때 집전장치가 유연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연한 전자기기에 따라 형상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0.01 to 1 mm, more preferably 0.1 to 0.5 mm. When the thickness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made flexible, so that the shape deformation can be made freely according to the flexible electronic equipmen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collecting apparatu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코일(210)의 양단에 임피던스 매칭부를 각각 직렬로 배치할 수 있다. 즉, 2차 코일(210)의 일단에 제 1 임피던스 매칭부(220)를 연결하고, 타단에 제 2 임피던스 매칭부(225)를 배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may be arrang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210. That is,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210, and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225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두 개의 임피던스 매칭부(220, 225)의 용량성 리액턴스의 합과 2차 코일(210)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매칭되어, 두 개의 임피던스 매칭부(220, 225)와 2차 코일(210)은 급전장치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한다. 1차 코일 부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전계 및 자계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2차 코일과 공명을 일으키게 된다.The sum of the capacitive reactances of the two impedance matching parts 220 and 225 is matched with the inductive reactance of the secondary coil 210 so that the two impedance matching parts 220 and 225 and the secondary coil 210 are fed Resonates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The electr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oscillating at the resonance frequency near the primary coil resonate with the secondary coil reson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제 1 임피던스 매칭부(220)와 제 2 임피던스 매칭부(225)의 출력단에는 정류회로(230)가 연결된다. 정류회로(230)의 출력단에 평활회로(240)를 연결하여 정류된 전력을 평활하며, 평활회로(240)의 출력단에 부하부(250)를 연결하여 정류된 전력을 공급한다.The rectifier circuit 23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220 and the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225. A smoothing circuit 24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230 to smoothen the rectified power and a rectifier 250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moothing circuit 240 to supply rectified power.

도 4는 도 3의 집전장치를 구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4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urrent collector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2차 코일(310)의 일측에 제 1 커패시터(320)의 일측을 연결하고 2차 코일(310)의 타측에 제 2 커패시터(325)의 일측을 연결하였다. 도 3의 정류회로(230)는 도 4에서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전파 정류회로인 브리지 정류회로(330)로 구현하였으며, 제 1 커패시터(320)의 타측과 제 2 커패시터(325)의 타측이 브리지 정류회로(330)의 입력단에 접속한다. 도 3의 평활회로(240)와 부하부(250)는 평활용 커패시터(340) 및 저항(350)으로 간략히 표시하였다.Referring to FIG. 4, one side of the first capacitor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3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325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coil 310. The rectifier circuit 230 of FIG. 3 is implemented by a bridge rectifier circuit 330, which is a full-wave rectifier circuit composed of four diodes in FIG. 4.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pacitor 32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pacitor 325 are connected to a bridge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circuit (330). The smoothing circuit 240 and the load unit 250 of FIG. 3 are schematically represented by a smoothing capacitor 340 and a resistor 35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코일(310) 양단에 각각 제 1 커패시터(320) 및 제 2 커패시터(325)를 배치함으로써, 2차 코일(310)의 일측에만 임피던스 매칭 기능을 수행하는 커패시터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하부 측에서 발생하는 비주기적인 반발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 코일의 입력 임피던스를 산정함에 있어서 2차 코일의 임피던스 매칭부의 후단의 기생 임피던스 등을 차폐하는 효과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pacitor 320 and the second capacitor 325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310, so that a capacitor that performs an impedance matching function only at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3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ield the non-periodic repulsive signal generated at the load side as compar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ary coil, and to shield the parasitic impedance or the like of the rear end of the impedance matching portion of the secondary coil in calculating the input impedance of the primary coil It is effective.

이때, 캐패시터는 2차 코일(310)로부터 전달되는 DC 성분을 후단으로 전달하지 않고, AC 성분만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 도시한 회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생 임피던스에 의한 공진 주파수 변경을 방지하는 기능의 임피던스 매칭부를 모두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capacitor carries only the AC component without transmitting the DC component delivered from the secondary coil 310 to the subsequent stage. The circuit shown in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all the impedance matching units that function to prevent the resonance frequency change due to the parasitic impedance.

또한, 제 1 커패시터(320)와 제 2 커패시터(325)는 서로 동일한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각 커패시터(320, 325)에는 서로 위상이 반대인 전압이 걸리며, 그 결과 브리지 정류회로(230)에 의해 정류된 전압이 인가되는 평활용 커패시터(340) 양단에는 각 커패시터(320, 325) 하나에 걸리는 전압의 2배에 해당하는 거의 평활화된 전압이 인가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pacitor 320 and the second capacitor 325 have the same capacitance. In this case, voltages opposite to each other are applied to the capacitors 320 and 325, A smoothed voltage corresponding to twice the voltage applied to one of the capacitors 320 and 325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moothing capacitor 340 to which a rectified voltage is applied by the rectifying circuit 23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시스템의 집전장치에 대응되는 급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a power collecting devic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장치(4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주파수 생성기(Frequency Generator; 4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430), 스위칭 소자(440), LC 공진형 인버터(450), 자계 강도 조절부(Magnetic Field Strength Controller; 460) 및 1차 코일(470)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power feeding device 4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frequency generator 410, a power amplifier 430, a switching unit 440, an LC resonance inverter 450, a Magnetic Field Strength Controller 460, and a primary coil 470.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급전장치(400)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는 급전장치(40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급전장치(400) 내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급전장치(400)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upplies power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400.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power supply device 400, converts the power to a voltage necessary for each configuration in the power supply device 400, and supplies the converted power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400 have.

주파수 생성기(410)는 전력전송에 필요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전력 반송파(Carrier)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requency generator 410 generates a power carrier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전력 증폭기(430)는 스위칭 소자(440)에 인가되는 전력 반송파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입력되는 전력 반송파 신호는 스위칭 소자(440)의 핀치-오프 전압(Pinch-Off Voltage)에 가깝도록 바이어스(Bias)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amplifier 430 regulates the signal level of the power carrier signal applied to the switching device 440. The input power carrier signal is preferably biased to be close to the pinch-off voltage of the switching device 440.

스위칭 소자(440)는 전력 반송파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ON-OFF 스위치로서 동작하며, 전력 반송파 신호의 신호 레벨이 High일 때 ON되고 Low일 때 OFF 된다. 스위칭 소자(440)는 BJT, MOSFET, MESF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witching element 440 operates as an ON-OFF switch driven according to the power carrier signal, and is turned ON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power carrier signal is High and OFF when it is Low. The switching element 440 may be implemented as a BJT, a MOSFET, a MESFET, or the like.

LC 공진형 인버터(450)는 스위칭 소자(440)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DC 전원으로부터 AC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AC 전력을 1차 코일(470)과 LC 공진회로를 구성하여 고압의 AC 전력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LC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주파수 생성기(410)에서 발생된 전력 반송파 신호의 진동 주파수와 동일하다.The LC resonant inverter 450 generates AC power from the DC power source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440 and forms the LC resonance circuit with the generated AC power to generate AC power at a high voltage Conversion. Her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LC resonance circuit is equal to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power carrier signal generated in the frequency generator 410.

자계 강도 조절부(460)는 1차 코일측에서 바라본 LC 공진형 인버터(450)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켜 1차 코일(47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한다. 즉, 1차 코일(470)에 증폭되는 AC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1차 코일(47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전력 전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급전장치(400)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급전장치(400)와 집전장치간의 전력전송 채널의 임피던스가 달라질 수 있으며, 급전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급전장치의 설치 개소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전력 전송거리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1차 코일(47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인적/환경적 요소에 대응하여 자계 공간, 다시 말해 무선충전 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unit 460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470 by changing the impedance value of the LC resonant inverter 450 viewed from the primary coil side. That is,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amplified in the primary coil 470,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470 can be adjusted, and as a result,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can be controlled. The impedance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power feeding device 400 and the power collecting devi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ower feeding device 400 is dispos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required by the user using the power feeding device or the location of the power feeding device Can be different. Accordingly,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470, a magnetic field space, that is, a wireless charging space can be efficiently formed in response to various human / environmental factors.

1차 코일(470)은 집전장치의 2차 코일과 공진 주파수로 커플링되어, 공진 전력을 2차 코일에 전송한다. 즉, LC 공진형 인버터(450)에 의해 고주파 전력을 공급받은 1차 코일(470)은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전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1차 코일(470)에 공급된 에너지는 1차 코일(470) 부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전계 및 자계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때, 1차 코일(470) 부근에 2차 코일을 두면, 2차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자계의 공진 주파수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1차 코일(470)과 2차 코일 간에 에너지의 전송 경로가 형성되어 전력이 집전장치 측으로 전송된다.The primary coil 470 is coupled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collector with a resonant frequency to transmit the resonant power to the secondary coil. That is, the primary coil 470 supplied with the high-frequency power by the LC resonant inverter 450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oscillating at a resonant frequency. Therefore, the energy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470 exists as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that vibrate at a resonant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the primary coil 470. At this time, if a secondary coil is placed near the primary coil 470,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ary coil coincides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gnetic field, so that an energy transmiss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coil 470 and the secondary coil And electric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llector side.

상기 급전장치(400)는 자기 극성 조절부(Magnetic Polarity Controller; 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 극성 조절부(420)는 스위칭 소자(440)에 인가되는 전력 반송파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1차 코일(470)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극성을 조절한다. 자기 극성 조절부(420)는 간략한 인버터로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주파수 생성기(410) 다음 단 또는 전력 증폭기(430) 다음 단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wer feeding device 40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polarity controller 420. The magnetic polarity controller 420 inverts the phase of the power carrier signal applied to the switching device 440 and consequently controls the polar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rimary coil 470. The magnetic polarity controller 420 may be implemented as a simple inverter and may be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frequency generator 410 or at the next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430.

스위칭 소자(440), LC 공진형 인버터(450), 자계 강도 조절부(460) 및 1차 코일(470)의 동작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440, the LC resonant inverter 450,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unit 460, and the primary coil 4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스위칭 소자, 자계 강도 조절부, LC 공진형 인버터 및 1차 코일의 예시적인 회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circuit diagram of a switching element, a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section, an LC resonant inverter, and a primary coil.

도 6에서는 스위칭 소자(440)로서 MOSFET(441)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OSFET 441 is used as the switching element 440. In FIG.

전력 반송파 신호는 MOSFET(441)의 게이트(Gate) 단자에 인가되어, MOSFET(441)의 ON-OFF 상태를 제어한다. 입력되는 전력 반송파 신호는 MOSFET(441)의 핀치-오프 전압(Pinch-Off Voltage)에 가깝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MOSFET(441)의 드레인(Drain) 단자는 인덕터 L1(451)을 통해 DC 전원에 연결되며, MOSFET(441)의 소스(Source) 단자는 접지에 연결된다. MOSFET(441)이 ON 상태인 경우, MOSFET(441)은 접지에 대한 단락 회로로서 작용하여 드레인 측 노드의 전압(VD)을 0이 되게 한다.The power carrier signal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MOSFET 441 to control the ON-OFF state of the MOSFET 441. The input power carrier signal is biased to be close to the pinch-off voltage of the MOSFET 441. The drain terminal of the MOSFET 441 is connected to the DC power source through the inductor L1 451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MOSFET 441 is connected to the ground. When the MOSFET 441 is in the ON state, the MOSFET 441 acts as a short circuit to the ground to make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side node zero.

MOSFET(441)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경되면, 드레인 측 노드의 전압(VD)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인덕터 L1(451)에 역기전력이 유기되어 전류 변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MOSFET(441)이 OFF 된 이후에도 인덕터 L1(451)으로부터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되고, 커패시터 C1(452)에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이다. 일정 시간 후에 커패시터 C1(452)에 축적된 전하가 커패시터 C2(453) 측으로 흐르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드레인 측 노드의 전압(VD)은 증가를 멈추고 오히려 감소하게된다. MOSFET(441)이 다시 ON 상태로 되기 전에 드레인측 단자의 전압(VD)은 다시 O 으로 된다.When the MOSFET 441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the voltage V D at the drain side node is increased. This is because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induced in the inductor L1 (451) to suppress a current change, so that the current continues to flow from the inductor L1 (451) even after the MOSFET 441 is turned off, and the charg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C1 (452).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C1 452 starts to flow toward the capacitor C2 453 after a certain time, so that the voltage V D at the drain side node stops increasing but rather decreases.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side terminal becomes 0 again before the MOSFET 441 is again turned on.

커패시터 C2(453)와 1차 코일 L2(471)는 LC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여 상호 간에 에너지가 교환되는 공진 회로로서 동작한다. 즉, 드레인 측 노드의 전압(VD)은 커패시터 C2(453) 및 1차 코일 L2(471)가 결합된 LC 공진 회로에 의해 증폭되고, 결과적으로 1차 코일 L2(471)에 매우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LC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주파수 생성기에서 발생된 전력 반송파 신호의 진동 주파수와 일치하며, 따라서 1차 코일 L2(471)가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된 2차 코일에 전달하는 전력은 인덕터 L1(451)에 연결된 DC 전압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받는다.The capacitor C2 (453) and the primary coil L2 (471) constitute an LC series resonance circuit and operate as a resonance circuit in which energy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side node is amplified by the LC resonant circuit to which the capacitor C2 453 and the primary coil L2 471 are coupled and consequently a very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primary coil L2 471 .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LC resonance circuit matches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power carrier signal generated by the frequency generator, and thus the power that the primary coil L2 471 transmits to the electromagnetically coupled secondary coil is the inductor L1 451, Lt; RTI ID = 0.0 > DC < / RTI >

여기서 2주기 동안의 게이트 단자의 전압 Vi, 인덕터 L1(451)에 흐르는 전류 iL, 드레인 단자로 흐르는 전류 iD, 드레인 단자의 전압 VD, 커패시터 C1(452)에 흐르는 전류 iC 및 1차 코일 L2(471) 양단의 전압 VO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 the voltage V i of the gate terminal, the current i L flowing in the inductor L 1 451, the current i D flowing to the drain terminal, the voltage V D of the drain terminal, the current i C flowing in the capacitor C1 452, The voltage V O across the car coil L2 47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도 6의 회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7 shows th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the circuit of Figure 6;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MOSFET(441)이 ON 상태인 동안, MOSFET(441)의 드레인 단자의 전압(VD)은 0이다.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Vi)이 MOSFET(441)의 문턱 값(Threshold Value) 이하가 되면, MOSFET(441)은 컷-오프 (Cut-Off)되고, 드레인 단자의 전압(VD)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커패시터 C1(452)에 흐르는 전류(iC)가 0이 될 때, 드레인 단자의 전압(VD)은 피크에 도달한다. 커패시터 C1(452)에 흐르는 전류가 음이 되면, 드레인 단자의 전압(VD)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MOSFET(441)이 다시 ON 상태가 되기 전에, 드레인 단자의 전압(VD)은 0에 도달한다. 드레인 단자의 전압(VD)이 드레인 전압 파형의 기본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LC 공진 회로에 인가되면,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VO가 생성된다.7,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terminal of the MOSFET 441 is 0 while the MOSFET 441 is in the ON state. When the voltage V i applied to the gate become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of the MOSFET 441, the MOSFET 441 is cut off, and the voltage V D of the drain terminal rises . When the current i C flowing to the capacitor C1 452 becomes zero,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terminal reaches the peak.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pacitor C1 (452) becomes negative,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terminal starts to decrease. Before the MOSFET 441 is again turned ON,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terminal reaches zero. When the voltage (V D ) at the drain terminal is applied to the LC resonance circuit passing only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drain voltage waveform, V O of the waveform as shown is generated.

한편, 자계 강도 조절부(460)는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C2(453) 및 1차 코일 L2(471)의 접점과 연결되어, 1차 코일 L2(471) 측에서 바라본 LC 공진형 인버터(450)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1차 코일 L2(471)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 VC1(461)을 포함하고, 가변 커패시터 VC1(461)과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 C3(462) 및 다이오드 D1(463)로 구성된 자계 강도 조절부(460)를 예시하고 있다. 커패시터 C2(453) 및 1차 코일 L2(471)이 전력 반송파 신호의 진동 주파수와 거의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고 있을 때 가변 커패시터 VC1(461)의 작은 커패시턴스(Capacitance) 변화로도 공진전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section 460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capacitor C2 453 and the primary coil L2 471 constituting the series resonance circuit, and is connected to the LC resonance inverter 45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radiated by the primary coil L2 (471).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gnetic field strength adjusting unit 460 including one variable capacitor VC1 461 and a capacitor C3 462 and a diode D1 463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variable capacitor VC1 461 and the ground . A small capacitance change of the variable capacitor VC1 461 when the capacitor C2 453 and the primary coil L2 471 resonate at a resonance frequency substantially equal to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power carrier signal also causes a large influence on the resonance voltage .

다이오드 D1(463)은 외부로부터의 서지 전압 등으로 인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다이오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diode D1 463 can function as a protection diode for preventing circuit damage due to external surge voltage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DC전원으로부터 AC전력을 생성하고 LC공진 회로를 이용하여 증폭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전력 변환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실제 구현시에 스위칭 소자의 내부저항으로 인해 약간의 전력 변환 손실이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C power is generated from the DC power source and amplified by using the LC resonance circuit, so that loss due to power conversion does not occur ideally. However, a slight power conversion loss occurs due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switching element in actual implementation.

도 8은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mutual induc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oil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코일(711)에 공급된 에너지는 1차 코일(711) 부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전계 및 자계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때 1차 코일(711) 부근에 2차 코일(751)을 두면, 2차 코일(751)의 공진 주파수가 자계의 공진 주파수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1차 코일(711)과 2차 코일(751) 간에 에너지의 전송 경로가 형성되어 전력이 집전장치 측으로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711 exists as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that vibrate at a resonant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the primary coil 711. Sinc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econdary coil 751 coincides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gnetic field when the secondary coil 751 is placed near the primary coil 711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711 and the secondary coil 751 The energy transmission path is formed a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urrent collector side.

이렇게 1차 코일(711)과 2차 코일(751)이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집전장치(750)를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면 1차 코일(711)과 2차 코일(751) 간의 상호 인덕턴스(M)가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송효율이 가장 높은 최적거리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 전송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When the current collector 750 is moved or the direction is changed while the primary coil 711 and the secondary coil 751 are coupled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primary coil 711 and the secondary coil 751 The mutual inductance M changes. As a result, whe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moved away from or near the optimum distanc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sharply decreases.

예컨대, 두 코일(711, 751)이 전송효율이 가장 높은 최적거리에서 접근함에 따라 두 코일(711, 751) 간의 상호 인덕턴스(M)가 증가하게 된다. 상호인덕턴스(M)의 증가로 인해 변화한 공진 주파수는 더이상 1차 코일(711)에 공급되는 전원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1차 코일(711)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급격히 감소하며, 1차 코일(711)과 2차 코일(751) 간의 공명도 깨어지게 된다. 전송효율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중에 하나인 k는 상호 인덕턴스(M)에 비례하므로, 두 코일(711, 751)이 근접할수록 전송효율이 증가하여야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전송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송효율이 일정 거리 이내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을 데드 존(Dead Zone)이라고 한다. 이것이 전자기 유도 방식과의 차이점이다.For example, mutual inductance M between the two coils 711 and 751 increases as the two coils 711 and 751 approach the optimum distance with the highest transmission efficiency. The resonance frequency chang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mutual inductance M is no longer coincident with the power supply frequency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711. [ As a resul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primary coil 711 sharply decreases, and the reson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711 and the secondary coil 751 is also broken. Since k,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proportional to the mutual inductance M, the transmission efficiency sharply decreases even though the transmission efficiency should increase as the two coils 711 and 751 are closer to each other. A section wher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sharply decreases within a certain distance is called a dead zone. This is the difference from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이러한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를 보상하는 방법에는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로 인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따라 전원 주파수 그 자체를 변경하거나, 급전장치(710)의 인덕턴스나 커패시턴스를 조정하여 상호 인덕턴스의 변화를 상쇄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Methods for compensating for such a change in mutual inductance include a method of changing the power frequency itself according to a change in resonance frequency due to a change in mutual inductance or a method of canceling a change in mutual inductance by adjusting the inductance and capacitance of the feeder 710 And so on.

도 9는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graph show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oil and the current collector coil.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곡선a는 2차 코일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보상하지 않았을 경우에 일반적으로 보이는 급집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낸다. 곡선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집전 장치의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2차 코일(110)에 유기되는 유도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며, 전력 전송 효율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한 것이다.In the graph shown in FIG. 9, the curve a show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collecting nose which is generally seen when the impedance change due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coil is not compensated. The curve b show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power-sa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tance gets closer, the intensity of the induced current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110 increases and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creases. . This effect i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급전장치에 매우 높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1차 코일의 근방계에는 매우 강한 전자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근방계 내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최적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공명이 깨지더라도, 1차 코일 근방의 강한 전자계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 코일에 전압이 유기된다. 이로써 데드존에서의 전송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First,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very high voltage to the power feeding device, a very strong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primary coil. The voltage is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from the strong electromagnetic field near the primary coil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even if the resonance is broken due to the proximity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within the optimum distance in this proximity system. This prevents degradation of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dead zon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집전장치의 2차 코일양단에 각각 임피던스 매칭부를 배치함으로써, 2개의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해 2차코일의 유도 리액턴스를 상쇄하여 공진 주파수를 집전장치와 일치시키는 한편, 공진전류가 양단의 임피던스 매칭부에 서로 180°만큼의 위상차를 갖는 공진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정류회로 출력단에는 2차 코일의 일측에만 임피던스 매칭부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2배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최적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전송효율이 감소하더라도 3차 코일의 부하부에는 상당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Secon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collector to cancel the inductive reactance of the secondary coil through the two impedance matching units to match the resonant frequency with the current collector , A resonance current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from each other is caused to flow in the impedance match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resonance current. Therefore, at the rectifying circuit output terminal, a voltage twice as high as that in the case where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s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is applied. As a result, even if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proximity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within an optimum distance, a voltage of a considerable magnitude can be supplied to the load portion of the tertiary coil.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집전장치의 2차 코일후단에 임피던스 매칭부를 배치함으로써, 기생 임피던스가 급전장치와 집전장치 상호 간의 거리 변경에 따른 전체 임피던스 변화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때, 기생 임피던스는 예컨대 정류회로, 평활회로, 부하 등에 의한 임피던스를 의미한다.Thir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current collector, the parasitic impedance can eliminat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total impedance due to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power feeding device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n this case, the parasitic impedance means an impedance due to, for example, a rectifying circuit, a smoothing circuit, or a load.

급집전장치 각각의 공진 주파수는 각각의 전체 임피던스와 연관되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전장치와 급전장치 사이의 거리 변화는 급집전장치 각각의 전체 임피던스의 변화를 야기하여, 급집전장치 상호간 공진 주파수 불일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부는 상술한 거리변화에 기인한 전체 임피던스 변화 요인 중 기생 임피던스를 배제시킴으로써 전체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결합이 강한 근거리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resonance frequency of each of the power-feeding devices may change in association with the respective total impedance. Therefore,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and the power feeding device causes a change in the total impedance of each of the power collecting devices, resulting in a resonance frequency mismatch between the power collecting devices.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esonance frequency mismatch due to the total impedance change by excluding the parasitic impedance among the factors of the total impedance change caused by the distance change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upling betwee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an prevent the impedance mismatch from increasing in a short dista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 집전장치 110 : 2차 코일 120 : 임피던스 매칭부
130 : 정류회로 140 : 평활회로 150 : 부하부
210 : 2차 코일 220 : 제 1 임피던스 매칭부
225 : 제 2 임피던스 매칭부 230 : 정류회로 240 : 평활회로
250 : 부하부
310 : 2차 코일 320 : 제 1 커패시터 325 : 제 2 커패시터
330 : 브리지 정류회로 340 : 평활용 커패시터 350 : 저항
400 : 급전장치 410 : 주파수 생성기 420 : 자기 극성 조절부
430 : 전력 증폭기 440 : 스위칭 소자 441 : MOSFET
450 : LC 공진형 인버터 451 : 인덕터 L1 452 : 커패시터 C1
453 : 커패시터 C2 460 : 자계 강도 조절부 461 : 가변 커패시터 VC1
462 : 커패시터 C3 463 : 다이오드 D1 470 : 1차 코일
471 : 1차 코일 L2
710 : 급전장치 711 : 1차 코일 750 : 집전장치
751 : 2차 코일
100: Current collector 110: Secondary coil 120: Impedance matching unit
130: rectification circuit 140: smoothing circuit 150:
210: secondary coil 220: first impedance matching unit
225: second impedance matching unit 230: rectifier circuit 240: smoothing circuit
250: Load section
310: secondary coil 320: first capacitor 325: second capacitor
330: bridge rectifier circuit 340: smoothing capacitor 350: resistor
400: Feeder 410: Frequency generator 420: Magnetic polarity controller
430: power amplifier 440: switching element 441: MOSFET
450: LC resonant inverter 451: inductor L1 452: capacitor C1
453: capacitor C2 460: magnetic field intensity adjusting section 461: variable capacitor VC1
462: capacitor C3 463: diode D1 470: primary coil
471: primary coil L2
710: Feeder 711: Primary coil 750: Current collector
751: Secondary coil

Claims (11)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집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급전 장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유기되어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코일과 결합하여 상기 소정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하는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코일에 유기된 상기 유도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정류회로; 및
상기 2차코일, 임피던스 매칭부, 정류회로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코일이 상기 급전 장치의 1차 코일에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전자기장과 2차 코일 간의 공명이 깨진 경우,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A power collecting devic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secondary coil which is induc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resona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from a power feeding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An impedance matching uni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and resonating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predetermined frequency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ary coil;
A rectifying circu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rectifying the induction current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to a direct current; An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ary coil,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the rectifier circuit,
Wherein when the secondary coil is close to a primary coil of the power feeding device and the resonance between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secondary coil is broken and the secondary coil is disconnected from the electromagnetic coil Wherein the power is received through an inductiv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ay be a polyimide (PI),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carbonate (PC), a polyethylene sulfone (PES), a polyimide (PI), a polyarylat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ic olefin (PCO), crosslinked epoxy, and crosslinked urethan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0.01 ~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has a thickness of 0.01 to 1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0.1 ~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has a thickness of 0.1 to 0.5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상기 2차 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2차 코일의 타측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co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는,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급전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산정시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 후단의 기생 임피던스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comprise:
And shields the parasitic impedances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input impedance of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have capacitances equal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리지 결합한 브리지 정류 회로(Bridge Rectifier)로 구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집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tifier circuit is implemented by a bridge rectifier in which four diodes are bridge-coupl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전력을 평활하는 평활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wer collec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mooth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and smoothing the output power of the rectifying circu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류된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wer collec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to consume the rectified pow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부는 상기 정류된 전력을 이용하여 2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oad unit includes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rectified power.
KR1020140042148A 2014-04-09 2014-04-09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KR201501170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48A KR20150117005A (en) 2014-04-09 2014-04-09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48A KR20150117005A (en) 2014-04-09 2014-04-09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05A true KR20150117005A (en) 2015-10-19

Family

ID=5439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148A KR20150117005A (en) 2014-04-09 2014-04-09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0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26A (en)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726A (en) 2016-12-30 2018-07-10 에스엘 주식회사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063B1 (en) Wir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170244286A1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EP2667328B1 (en)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N107994660B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US10033224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1020535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301389B1 (en) Packaging and details of a wireless power device
JP6006238B2 (en) High efficiency variable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US20110084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60129676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2113195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parasitic resonant tank
WO2011148803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16093478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789195B1 (en) Resonance coupling wireless energy transfer receiver and transmistter
KR20160129673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system with suppressed electromagnetic wave divergence and enhanced charging efficiency
JP2012049434A (en) Electronic component, feeder device, power receiver, and wireless feeder system
JP2013066296A (en) Non-contact power-feeding system
EP2754225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76001A (en) Capacitively coupl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US20140103737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201400712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control in wireless charge system
US20210083634A1 (en) High frequency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therefor
KR20140128469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50117005A (en) Flexible wireless power collection apparatus
US20180337559A1 (en) Power limiting i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