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938A -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938A
KR20150116938A KR1020140041693A KR20140041693A KR20150116938A KR 20150116938 A KR20150116938 A KR 20150116938A KR 1020140041693 A KR1020140041693 A KR 1020140041693A KR 20140041693 A KR20140041693 A KR 20140041693A KR 20150116938 A KR20150116938 A KR 20150116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activity
physical activity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57B1 (ko
Inventor
이의진
김재정
고민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4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 시간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CTIVE LIFESTYLE PROMOT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정적 미디어 소비 활동을 중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메디컬 분야를 탈피하여 스마트 헬스케어와 웰빙을 위한 기술 개발을 차세대 기술 분야로 선정한 바 있으며 인구 분포 역시 실버 세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헬스케어를 위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3848호(공개일 2005년 12월 05일) "헬스케어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는 휘트니스센서 운영부와 협진병원의 건강상담시스템과 연동함에 따라 회원의 건강과 체력을 댁내, 병원 내부, 휘트니스센터 내부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건강 증진을 위한 설득 컴퓨팅(persuasive computing) 연구에서는 운동 게임을 활용한 운동 활동 증진 또는 다양한 컴퓨팅을 활용한 설득 기범을 활용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 게임이나 컴퓨팅 기반 설득 기법은 사용자가 해당 방법에 대한 동기가 저하될 경우 구속력이 약해져 행동 변화 유도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정적 미디어 소비 활동을 중재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미디어 소비 활동을 물리적 활동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물리적 활동을 유도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 시간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이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른 활동 타입과 활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대하여 상기 활동 타입과 상기 활동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환산 조건에 대응하는 시간 단위로 환산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환산 조건은, 상기 신체 활동 정보로부터 산출된 활동 시간 또는 소비 칼로리에 대한 비례수로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환산 조건은, 상기 신체 활동 정보로부터 산출된 활동 시간 또는 소비 칼로리에 대한 비례수로 설정되며, 상기 신체 활동 정보의 활동 타입에 따라 다른 비례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시간이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 시간을 통제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에 있어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전원 온(power on)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온 하고 이후 기기 사용 시간을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전원 온(power on)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온 하고 이후 기기 사용 시간을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적 미디어 소비 활동을 중재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소비 활동을 물리적 활동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물리적 활동을 유도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노인들의 여가 활동에 대한 통계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에 기반한 미디어 소비 중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013년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통계청, 2013). 또한, UN의 2012년 인구 조사 발표에 의하면 한국의 고령화율은 매년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2040년에는 일본에 이은 세계 2위 고령화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UN, 2012).
노인 건강관리에 있어서 규칙적인 신체 활동의 중요성 및 효과는 의학적으로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노인의 건강 증진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통계 자료(도 1)를 보면 노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정적인 미디어 소비, 예컨대 TV 시청 등에 소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상 생활의 대부분이 실내 활동이고 이중 대부분이 미디어 소비와 관련 있음에 착안하여 이러한 정적 미디어 소비 활동을 중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모바일 센싱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물리적 활동량을 모니터링 하고 이러한 활동량에 비례하여 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미디어 소비를 중재하면서 사용자의 정적 실내 생활 패턴을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정적 미디어 소비활동을 효과적으로 중재하고 미디어 소비 활동을 물리적 활동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물리적 활동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미디어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TV, 컴퓨터 등)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고 조정할 수 있는 미디어 컨트롤러가 필수적이다. 미디어 조작과 물리적 활동을 연계하여 지속적인 물리적 활동 또한 유도가 가능하므로 이를 위해 물리적 활동(예컨대, 간단한 맨손 체조 등)을 자동으로 인지하는 모션 캡쳐 모듈(예컨대, MS사의 Kinect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TV 채널의 볼륨 조절 기능에 대해 물리적 활동으로 '앉았다 일어나기'를 연계하거나, 채널 전환 기능에 대해 물리적 활동으로 '팔 크게 흔들기'를 연계하는 등 피지컬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정적 컨텐츠 소비와 관련이 높은 소파나 의자 등에 설치된 압전 센서와 아두이노 등을 활용하여 사용 모니터를 쉽게 구축 가능하다. 또한, 실내 무선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다. 궁극적으로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의 Internet-of-Things(IoT) 표준과 연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시스템은 활동 측정 장치(301)와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 및 미디어 디바이스(302)를 포함할 수 있다.
활동 측정 장치(301)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역할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활동 측정 장치(30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하는 모션 캡쳐 수단(예컨대, MS사의 Kinect나 Intel사의 Real Sense 등) 등 각종 센서가 장착된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폰(smart phone),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활동 측정 장치(301)는 각종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물리적 활동을 측정한 데이터(이하, '활동 데이터'라 칭함)를 로깅하여 이들 데이터를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로서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디바이스(302)는 스마트 TV,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등 미디어 재생이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디바이스(30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와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의 제어 하에 디바이스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 디바이스(302)는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예컨대, 전원 오프, 경고 메시지 출력 등)를 입력 받고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로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사용 데이터(예컨대, 소비하고 있는 미디어 타입, 미디어 소비 시간 등)를 전달하는 역할의 컨트롤 인터페이스(control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는 PAB(physical activity banking)의 개념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물리적 활동량을 시간 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활동량에 대비하여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사용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는 활동 측정 장치(301)를 통해 측정된 활동 데이터와 미디어 디바이스(302)로부터 전송된 사용 데이터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미디어를 얼마나 소비하는지 분석하고 이에 따라 미디어 디바이스(30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는 활동 분류부(Activity Classifier)(310), 활동 기록부(Physical Activity Bank)(320), 대조부(Activity Promoting Mechanism Pool)(330), 및 중재부(JIT(just-in-time) Intervention Protocol)(340)를 포함할 수 있다.
활동 분류부(310)는 활동 측정 장치(301)를 통해 수집된 신체 활동 정보를 활동 타입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활동 분류부(310)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활동 데이터의 크기나 패턴 등의 각종 특징을 분석하여 달리기, 걷기, 뜀뛰기(줄넘기 등), 가만히 앉아 있기 등 활동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등의 센서 데이터나 모션 캡쳐 기술을 통해 획득한 모션 데이터로부터 활동 타입을 판단하는 것은 공지 기술로 잘 알려진 알고리즘들을 이용할 수 있다.
활동 기록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PAB(physical activity banking)로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활동 기록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에서 분류된 활동 타입 중 유효한 활동 타입(예컨대, 가만히 앉아 있기는 제외시키고 달리기, 걷기, 뜀뛰기를 유효한 활동으로 판단함)에 한하여 PAB로 기록할 수 있다. 일 예로, 활동 기록부(320)는 활동 분류부(310)를 통해 분류된 활동 별로 각 활동이 이루어진 활동 시간을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으로 환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활동 기록부(320)는 활동 분류부(310)를 통해 분류된 활동을 단위 활동 칼로리(AC: Activity Calory/hour) 정보와 해당 활동 시간(AT: Activity Time)을 곱하여 총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한 후(ΣACi×ATi) 총 칼로리 소모량을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으로 환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활동 기록부(320)는 사용자의 물리적 활동을 통해 얻어진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때, 활동 기록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환산 조건에 대응한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일 예로, 환산 조건은 운동 시간과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의 비례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3시간 운동 시 1시간의 미디어 시청 시간이 주어지거나(운동 시간: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3:1) 1시간 운동 시 3시간의 미디어 시청 시간이 주어지도록(운동 시간: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1:3)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산 조건은 총 칼로리 소모량 대비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300kcal 당 1시간의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이 주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환산 조건은 신체 활동 정보의 활동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뛰기의 경우 운동 시간의 3배에 해당되는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이 주어지고 걷기의 경우 운동 시간의 1.5배에 해당되는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또한, 환산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성별, 나이, 신장, 몸무게 등)에 따라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대조부(330)는 미디어 디바이스(302)와 연동하여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사용 시간을 활동 기록부(320)에 기록된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과 대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 디바이스(302)는 사용자가 소비하는 미디어 타입(MT: media type)과 해당 미디어를 소비하는 미디어 소비 시간(MCT: media consumption time)을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를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조부(330)는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얻은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에서 미디어 디바이스(302)에서 실제 미디어를 소비한 시간(MCT)을 빼는 연산을 실시간 수행하게 된다.
중재부(340)는 대조부(330)의 대조 결과에 따라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사용 중재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미디어 디바이스(30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중재부(340)의 제어에 의한 미디어 디바이스(302)는 이네이블(Enable) 상태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네이블 상태는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현재 상태(꺼져 있거나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디스에이블 상태는 미디어 디바이스(302)가 켜져 있는 경우 전원을 끄거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활동 기록부(320)에 기록된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에서 미디어 디바이스(302)에서 미디어를 소비하는 시간(MCT)을 차감해 나가는데, 이때 미디어 디바이스(302)에서 미디어를 소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얻은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모두 소멸되면 중재부(340)는 즉시 미디어 디바이스(302)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전원을 강제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는 미디어 이외에도 상기한 활동 유도 메커니즘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를 각종 가전(예컨대, 냉장고, 밥솥 등)의 사용 가능 여부 및 사용 가능 시간으로 연산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얻은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을 "0"으로 수렴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특정 활동을 일정 시간 동안 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가전을 원하는 시간 동안 또는 원초적으로 사용 불가하게 만드는 방법들이 해당 메커니즘의 풀(pool)로 관리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으로 칼로리 소비를 300kcal 이상 하지 않으면 냉장고 문이 열리지 않도록 활동 유도 메커니즘에 대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활용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메커니즘은 미디어 디바이스(302)에 탑재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미디어 디바이스(302)의 과도한 미디어 소비를 중재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활동량에 기반한 미디어 소비 중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소비 중재 방법은 도 2와 도 3을 통해 설명한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01)에서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는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얻은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을 기록하고 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미디어를 소비하는 미디어 소비 시간(MCT)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을 기록하는 과정과 미디어 소비 시간(MCT)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S402~S404)에서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는 미디어 디바이스를 모니터 하다가 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질 때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고 남아 있으면 미디어 디바이스를 이네이블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이어 사용자의 미디어 소비 시간(MCT)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에서 미디어 소비 시간(MCT)을 차감하는 형태로 대조해 가면서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미디어 디바이스의 이네이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S403, S405)에서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는 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질 때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남아 있지 않거나 미디어 소비 도중에 미디어 소비 시간(MCT)이 누적됨에 따라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 미디어 디바이스를 즉시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는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이 애초에 남아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미디어 소비로 인하여 미디어 시청 가능 시간(PAB)을 모두 소진하는 경우 미디어 디바이스의 전원을 끄거나 화면 정지 등의 대기 상태에서 경고 메시지(예컨대, PAB를 모두 소진하셨습니다. 운동이 필요합니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물리적 활동에 따른 운동 시간을 저장하고 TV와 같은 미디어 소비를 저장된 운동 시간 이내로 통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헬스케어 시스템이나 스마트홈 등 스마트 가전에 적용되어 사용자들의 과도한 미디어 시청을 방지하고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미디어 소비 중재를 위한 앱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헬스케어 앱 등)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301: 활동 측정 장치
302: 미디어 디바이스
300: 미디어 소비 중재 서버
310: 활동 분류부
320: 활동 기록부
330: 대조부
340: 중재부

Claims (13)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 시간을 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이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른 활동 타입과 활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대하여 상기 활동 타입과 상기 활동 시간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으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환산 조건에 대응하는 시간 단위로 환산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으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 조건은,
    상기 신체 활동 정보로부터 산출된 활동 시간 또는 소비 칼로리에 대한 비례수로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 조건은,
    상기 신체 활동 정보로부터 산출된 활동 시간 또는 소비 칼로리에 대한 비례수로 설정되며,
    상기 신체 활동 정보의 활동 타입에 따라 다른 비례수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시간이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신체 활동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의 사용 여부 또는 사용 시간을 통제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이 포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여 처리하고,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으로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시간이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이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에 있어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전원 온(power on)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온 하고 이후 기기 사용 시간을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전원 온(power on)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온 하고 이후 기기 사용 시간을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기기 사용 가능 시간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신체 활동 정보를 시간 단위로 환산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량 기반 기기 소비 통제 시스템.
KR1020140041693A 2014-04-08 2014-04-08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93A KR101602557B1 (ko) 2014-04-08 2014-04-08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93A KR101602557B1 (ko) 2014-04-08 2014-04-08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38A true KR20150116938A (ko) 2015-10-19
KR101602557B1 KR101602557B1 (ko) 2016-03-11

Family

ID=5439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693A KR101602557B1 (ko) 2014-04-08 2014-04-08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096B1 (ko) 2018-04-17 2020-01-22 (주)블루커뮤니케이션 피지컬 디바이스의 직접적 원격 제어 장치
KR102069093B1 (ko) 2018-04-17 2020-01-22 (주)블루커뮤니케이션 피지컬 소프트웨어 코딩교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33A (ko) * 2001-05-16 2002-11-25 이환희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35048A (ko) * 2001-10-25 2003-05-09 이환희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033A (ko) * 2001-05-16 2002-11-25 이환희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35048A (ko) * 2001-10-25 2003-05-09 이환희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전자 장치들로 공급되는 전원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57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onstra et al. Using mobile phone sensor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research: integrated analysis to identify hidden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US20160188824A1 (en) Healthcar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ailoring patient care
RU2654164C2 (ru) Способ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внешних устройств, способ оперирования внешним устройством, хост-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и внешн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5263411B (zh) 跌倒检测系统及方法
KR102021848B1 (ko)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Saleem et al. IoT Healthcare: Design of Smart and Cost‐Effective Sleep Quality Monitoring System
US20130268292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US11786137B2 (en) Physiological sampling during predetermined activities
US20180345081A1 (en) Method for providing action guid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ethod
KR102349684B1 (ko) 활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03213B1 (ko) 생체리듬 최적화를 통한 딥러닝 수면 어시스턴트 시스템
KR101901258B1 (ko)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US20180310889A1 (en) Monitoring a physical or mental capability of a person
KR101602557B1 (ko) 사용자 활동량 기반 미디어 소비 통제 방법 및 시스템
US11911187B2 (en) Monitoring a subject
JP2017522939A (ja) 対象の健康状態を検出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36541B2 (en) Monitoring liquid and/or food consumption of a person
KR102296885B1 (ko) 사용자 맞춤형 헬스 해빗 서비스 장치
Rodrigues et al. iSenior—A support system for elderly citizens
NICOLAU et al. An IoT, Virtual Machines and Cloud Computing-based Framework for an Optimal Management of Healthcare Data Collected from a Smart Environment. A Case Study: RO-Smart Ageing Project.
Çiçek et al. Physical activity forecasting with time series data using Android smartphone
Salah et al. Behavior analysis for elderly
Hughes-Karvetski et al. Historical data enhances safety supervision system performance in T1DM insulin therapy risk management
KR102441774B1 (ko)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77920B1 (ko) 수면 힐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