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520A -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520A
KR20150115520A KR1020140040716A KR20140040716A KR20150115520A KR 20150115520 A KR20150115520 A KR 20150115520A KR 1020140040716 A KR1020140040716 A KR 1020140040716A KR 20140040716 A KR20140040716 A KR 20140040716A KR 20150115520 A KR20150115520 A KR 2015011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etal
metal dome
butto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4004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520A/en
Publication of KR2015011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4Key guid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where a keypad is mounted on a cover of a protection case of a smartphone with an electrostatic touch screen mounted thereon. A keypad structure for cover of the protection case enables a signal to be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when pressing a keypad; is electrically insu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llows conductivity to occur when pressing the keypad so that a signal of the touch screen when only touching the keypad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from when pressing the keypad.

Description

정전방식 터치스크린 구동 키패드{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touch screen driving keypad,

본 발명은 정전 방식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 TSP)을 장착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설치하는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키패드를 누르면 TSP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누른 위치 좌표가 TSP에 감지되어 터치 좌표 정보를 입력하는 정전방식 TSP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보호 커버에 구성된 키패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mount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equipped with an electrostatic touch screen panel (TSP). More specifically, And an electrostatic TSP for inputting touch coordinate information by sensing the coordinates of the pressed position in the TSP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keypad.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기기, 특히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에는 보호케이스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Generally,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especially a smart phone or tablet, often have a separate protective case.

이 경우 보호케이스의 커버를 덮으면 터치스크린이 구동이 되지를 않기 때문에 카바를 열고 터치스크린에 직접 터치를 하여 투명하게 만들어서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f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is covered, the touch screen is not driven. Therefore, the cover can be opened and the touch screen can be directly touched and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cover is covered.

그러나 이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감각이 클릭하는 느낌이 없기 때문에 터치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용이하지가 않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ensation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does not have a feeling of clicking,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recognize the touch.

기존의 피처폰의 키패드나 컴퓨터의 키보드는 실제적인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구조나 돔 스위치를 장착한다.Keypads of existing feature phones or keyboards of computers are equipped with spring structures or dome switches to enable actual pushing opera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를 설치하되, 키패드를 누를 경우 눌렀을 때 터치스크린에 터치 신호가 발생을 해서 입력이 이뤄지게 함으로서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입력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기존의 피처폰의 키패드처럼 메탈 돔 스위치가 클릭이 가능하게 하여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keypad is provid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a keypad is pushe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keypad is pushed so that input can be performed. Like the keypad of the featur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dome switch can be clicked so that letters, numbers, and the like can be more easily inpu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를 장착하는 것으로, 키패드에는 돔 스위치가 있어서 클릭을 가능하게 하며, 키패드를 눌렀을 때에 TSP에 터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protectiv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panel, a keypad is mount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and a dome switch is provided on the keypad to enable clicks. When a keypad is presse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the TSP .

특히 키패드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터치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오동작이 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Espec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keypad is not pressed, the touch signal is not generated and the malfunction is not frozen.

이를 통해서 정전방식 TSP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보호케이스를 사용할 경우 문자나 숫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전식 터치 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이에 부착된 키패드의 구조와 작동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pacitive touch panel that can easily input letters or numbers when a protective case is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ostatic TSP, and a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a keypad attached thereto do.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위치한 번호 키를 눌렀을 때에 돔 스위치와 돌출부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깝게 접촉된 부분으로부터 키패드의 눌러진 키의 근접한 부분까지 전기적으로 통전이 되게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umber key plac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is pressed, a portion including a dome switch and a protrusion, So that the adjacent portion of the key pressed on the keypad is electrically energized.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거꾸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깝게 접촉된 또 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터치 신호를 최소화하게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And a structure for minimizing a touch signal that may occur in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s touch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closely contact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a non-press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를 장착하되 키의 누르기 전과 누르고 나서의 메탈 돔과 메탈 돔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게 하는 것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하는 구조로 제작이 되어 키패드를 누른 상태와 누르기 전의 상태에서의 터치 신호가 확실히 구분이 되게 하여 키패드의 작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keypad is mounted on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rotrusion contacting the metal dome and the metal dome before and after pressing the key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electrically insulated So that the touch signal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keypad is pressed and the state before the keypad is press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keypad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를 서리한 구조의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키패드 구조와 돔 스위치와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와 메탈 돔의 구조를 포함하는 키패드의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버튼의 자세한 구조이다.
도 8은 받침필름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9는 메탈 돔에 접착필름이 부착된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메탈 돔에 누름 돌출부가 부착된 구조이다.
도 11은 하부 받침판에 전도성 부분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2는 버튼을 눌렀을 때의 구조이다.
도 13은 하부 받침 판에 나름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Figure 1 shows a typical smartphone drawing.
A typical smartphone case is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keypad is frost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to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keypad structure, a dome switch, and a circuit board.
5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view of a module of a keypad including a structure of a keypad and a metal d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utton.
8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ing film.
9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dhesive film adhered to the metal dome.
10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pressing protrusion is attached to a metal dome.
11 is a view showing a conductive portion formed on a lower pedestal plate.
12 shows the structure when the button is pressed.
13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pport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사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에는 일반적인 스마트폰(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스크린에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화면(110)을 일례고서 도시하였다.1 shows a typical smartphone 100, and a screen for inputting a phone number 110 is shown as an example.

각각의 숫자문자버튼(120)을 터치함으로써 터치스크린(130)에서 위치 신호를 감지하여 누른 부분의 버튼의 문자나 숫자가 입력이 된다.By touching each numeric character button 120, the touch screen 130 senses the position signal, and the letters or numbers of the pressed buttons are input.

도 2에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A typical smartphone case is shown in Fig.

많은 경우에 스마트폰 보호케이스(200)의 커버(210)에는 투명 창(220)이 포함되어 있다.In many cases, the cover 210 of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200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220.

투명창을 통해서 전화가 왔을 때 발신자가 표시되며, 터치 또는 스와이프(Swipe) 동작 등에 의해 전화를 받을 수 있다.The caller is displayed when the call come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and the call can be received by a touch or a swipe operation.

그러나 커버가 덮여있기 때문에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는 전화를 걸 수가 없다.However, because the cover is covered, you can not make a call when the cover is closed.

도 3에는 본 발명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를 설치한 구조의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keypad is install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 smartphone to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대로 보호케이스의 커버(210)에는 투명창(220)이 있으며 숫자와 문자가 표시된 키패드(300)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ver 210 of the protective case has a transparent window 220 and a keypad 300 having numbers and letters.

그러나 커버에 설치된 키패드는 종래의 피처폰에 사용되던 키패드와는 다르게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을 할 수가 없다.However, the keypad installed on the cover can not directly connect with the smartphone unlike the keypad used in the conventional feature phone.

스마트폰의 제조사에서 제조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키패드를 직접 연결을 하지 않는다.Do not connect the keypad directly unless you are making it in the manufacturer of the smartphone.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의 동작과는 다른 방법의 키패드 신호 방생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 keypad signal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peration of the keypad.

도 4에는 종래의 키패드 구조와 돔 스위치와 회로기판의 단면도와 동작 방법이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FIG. 4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keypad structure, a dome switch, a circuit board, and a cross-sectional view.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도 4의 (a)에 나와있듯이 키패드(410)의 버튼(420)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성형으로 제작된 실리콘 돌출부(430)가 있는 필름(440)에 부착되어 있다.4 (a), the button 420 of the keypad 410 is attached to the film 440 having the silicon protrusion 430, which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silicone molding.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숫자와 문자가 새겨진 버튼과 다수개의 키를 일체로 제작하기도 하며, 필름으로도 키를 일체로 제작하기도 한다.Keypads are generally made up of buttons with numbers and letters and a number of keys, or they can be made entirely of film.

또 한 경우에 따라서는 키패드의 돌출부는 돔 스위치에 직접 형성되며 키패드는 버튼과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금속판과 이에 부착된 필름이거나, 단순한 숫자나 문자가 인쇄된 필름으로 제작되기도 한다.In some cases, the protrusion of the keypad is formed directly on the dome switch, and the keypad may be a button and a film, a metal plate and a film attached thereto, or a film printed with a simple number or letter.

돌출부의 아래에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제작되는 메탈 돔(450)이 있으며 메탈돔은 접착필름(460)에 접착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PCB인 전자회로기판 (470)에 부착이 된다.The metal dome 450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and the metal dome is adhered to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470, which is generally a PCB, while being adhered to the adhesive film 460.

이때 메탈 돔이 접착된 접착 필름(460)은 전자회로기판에도 접착이 되어 메탈 돔을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film 460 to which the metal dome is adhered is also adhered to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to fix the metal dome.

전자회로기판(470)에는 동박으로 중심전극(471)이 있으며 또한 테두리전극(472)이 형성되어 있고 메탈 돔(450)은 테두리 전극(472)과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The electronic circuit board 470 has a center electrode 471 as a copper foil and a rim electrode 472 and a metal dome 450 fixed in contact with the rim electrode 472.

도 4의 (b)에는 전자회로기판(470)의 돔 스위치와 접촉하는 부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중심전극 (471)과 테두리전극(472)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4B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470 in contact with the dome switch. The center electrode 471 and the rim electrode 472 are electrically insulated.

도 4의 (c)에는 버튼이 눌러졌을 때의 기존의 키패드의 작동상태이다.FIG. 4 (c) shows an operation state of the existing keypad when the button is pressed.

버튼(420)과 실리콘 돌출부(430)에 의해 눌러진 메탈 돔(450)의 중심부는 전자회로기판(470)의 중심전극(471)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메탈 돔에 의해 전자회로기판의 중심전극(471)과 테두리전극(472)과 전기적으로 접촉이 되어 스위치를 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버튼이 눌러진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metal dome 450 pressed by the button 420 and the silicon protrusion 430 contacts the center electrode 471 of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47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er electrode 471 of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by the metal dome 471 and the rim electrode 472 to produce the same effect as turning on the switch, thereby generating a pressed signal.

그러나 도 4의 일반적인 키패드의 동작 메커니즘은 전자회로기판이 있고 그 기판이 스마트폰이나 피처폰의 회로에 연결이 되어야 동작을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적용이 된 경우에는 별도로 전자회로가 연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다.However,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general keypad of FIG. 4 is operated when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is provided and the board is connected to the circuit of the smart phone or the feature phone, but when the cover is applied to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thod can not be used because the electronic circuit is not connected.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장착이 된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를 토애서 직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ign capable of generating a direct signal through a keypad on a touch screen mounted on a smartphone.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신호 발생의 기술적인 중요 점은 터치하기 전과 터치하고 난 다음의 신호의 세기의 비교이다.Generally, the technical point of the touch screen signal generation is a comparison of the signal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touch.

터치하기 전과 터치한 다음의 신호의 세기가 충분한 크기로 변화를 하여야 터치스크린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I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before and after the touch is changed to a sufficient magnitude, it can be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에서는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한 경우와 터치를 하지 않은 경우가 확실히 구분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문제가 되지를 않는다.In a typical touch screen, this is not a problem because the touch screen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non-touch case.

그러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키패드가 있는 경우는 이와는 다른 신호의 세기의 비교가 필요하다.However, if there is a keypad on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a different strength of the signal is required.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는 동작을 시키기 전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터치를 하지 않지만 보호케이스의 커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으로 잡는 등의 터치가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using a smartphone, a touch is not perform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before the operation is performed, but in the case of the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a touch such as holding with a finger is generally performed.

따라서 커버의 키패드에 단순한 터치를 하고 있는 경우와 버튼을 누른 경우의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가 확연히 차이가 나야한다.Therefor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touch panel is pressed with a simple touch on the keypad of the cover must be significantly different.

실제로 누른 경우와 누르지 않고 터치만 하고 있는 경우의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거리의 차이는 실제로 메탈 돔의 높이인 약 0.2-0.3 mm 밖에 되지를 않는다.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without touching the touch panel is actually about 0.2-0.3 mm, which is the height of the metal dome.

따라서 이러한 미세한 차이는 터치 신호에서도 작은 신호의 차이를 발생시 킬수 밖에 없다.Therefore, these small differences can only cause small signal differences in touch signal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상하로 전기가 통하는 구조와 통하지 않는 구조로 변환될 수 있도록 키패드 모듈을 설계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keypad module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ity can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shown in FIG. 5.

이는 종래의 키패드의 돔 스위치가 중심과 테두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과는 차별화된 구조이다.This i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conventional dome switch of the keypad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center and the rim.

도 5에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 나타나 있다.5 is a view showing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기초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실제의 제작과는 다르다.This drawing describes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ffers from the actual production.

도 5의 (a)에는 버튼이 있고 버튼(420)의 아래에는 금속 도전체(510)가 있으며 금속 도전체는 터치스크린(130) 위에 위치하며, 버튼과 금속 도전체는 받침대(520)에 의해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다.5A shows a button with a metal conductor 510 below the button 420 and a metal conductor over the touch screen 130. The button and metal conductor are connected by a pedestal 520 Separated and electrically insulated.

이 경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의 전파신호(530)가 버튼까지 오는 양이 미미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the radio wave signal 530 from the touch screen to the button becomes insignificant.

도 5의 (b)에서와 같이 버튼을 누르면 버튼과 금속 도전체가 접촉되고 공기층이 없는 구조가 된다.As shown in FIG. 5 (b),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button and the metal conducto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tructure is free of the air layer.

특히 버튼이 금속이면 버튼을 누르면 손가락까지 전기가 통하는 구조가 되어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전파신호(530)가 손가락으로 빠져나가며 터치 신호는 감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if the button is a metal, pressing the button causes electricity to be transmitted to the finger, so that the radio wave signal 530 from the touch screen passes through the finger and senses the touch signal.

이와 같이 버튼을 누르면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수직으로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구조가 된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electr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uch screen.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와 메탈 돔과 누름 돌출부의 구조를 포함하는 키패드 모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a structure of a keypad module including a keypad, a metal dome and a pushing protr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버튼(610)은 금속재질이나 금속 등으로 도금이나 코팅이 된 플라스틱을 사용한다.The button 61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plated or coated with a metal material or metal.

금속 재질은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을 이용하며 금속판의 두께는 보통 0.1 mm에서 1 mm 정도의 두께를 사용한다.The metal material is a metal plate such as stainless steel or aluminum.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usually about 0.1 mm to 1 mm.

버튼의 하부는 메탈 돔 쪽으로 노출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button is exposed to the metal dome.

버튼은 테두리가 필름 등으로 부탁이 된다.The button is like a film with a border.

따라서 필름의 두께와 맞추기 위해 버튼의 하부 쪽으로 별도의 버튼돌출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 separate button protrusion 6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tton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film.

버튼돌출부는 금속버튼과 별개로 제작될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The button protrusion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when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metal button.

버튼돌출부의 형성 방법은 스테인리스스틸 판의 경우에는 전도성 잉크의 인쇄나, 전도성 실리콘 고무를 성형하여 경화시킨 구조가 가능하다. 알루미늄으로 제작을 할 경우 알루미늄을 기계가공으로 가공하여 버튼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stainless steel plate, the button protrusion can be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ink or by curing a conductive silicone rubber. In the case of aluminum, the aluminum may be machined to form button protrusions.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 돌출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button protrusion may be omitted.

도 7에는 버튼의 자세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utton is shown in Fig.

금속 재질의 버튼(610)dmlo 전면부가 도시된 도 7의 (a)에 나타난대로 전면에는 숫자나 문자(612)가 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in which the metal button 610 dmlo front portion is shown, numerals and letters 612 are displayed on the front face.

금속재질에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은 에칭이나 레이저 각인 등으로 가능하다.The method of displaying numerals or letters on a metal material can be done by etching or laser engraving.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를 통해서 가능하다.In some cases, printing is possible.

금속 버튼의 전면은 지문방지 등을 위해서 추가적인 코팅이 되기도 한다.The front surface of the metal button may be an additional coating for preventing fingerprints.

금속 재질의 버튼(610)의 배면에 도시된 도 7의 (b)에는 전기전도성 버튼 돌출부(611)가 형성되어 있다.An electrically conductive button protrusion 61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etal button 610 as shown in FIG. 7 (b).

도 7의 (c)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c) is a side view.

버튼(610)의 하부에는 버튼 돌출부(6110)가 형성되어 있다.A button protrusion 6110 is formed under the button 610.

버튼 돌출부의 높이는 필름의 두께에 맞춰지는 0.05 mm - 0.2 mm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button protrusion is preferably about 0.05 mm to 0.2 mm, which is adjusted to the thickness of the film.

도 6에 나타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받침필름(620)은 개별의 금속 버튼(610)을 부착시켜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backing film 620 serving as a pedestal shown in FIG. 6 functions to adhere and fix the individual metal buttons 610.

금속버튼은 각각이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 버튼 전체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metal buttons may be separate or all of the buttons may be connected.

버튼 전체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종래의 모토로라 레이저폰과 같은 피처폰에 많이 적용된 전체적으로 연결된 SUS 키패드와 같은 형상을 띄게 한다.When the entire button is connected, it is shaped like a totally connected SUS keypad applied to a feature phone such as a conventional motorola laser phone.

본 발명에 의한 받침필름의 특징은 중간부에 접촉 홈(610)이 뚫려 있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back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act groove 610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도 8에는 받침필름의 정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8 show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ing film.

도 8에는 받침필름(620)에 접촉 홈(621)이 뚫려 있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접촉 홈 주변의 점선(622)은 도 스위치의 가장자리가 접촉되는 부분이 된다.8 shows a front view in which the contact groove 621 is opened in the backing film 620 and a dotted line 622 around the contact groove is a portion where the edge of the switch contacts.

접촉 홈이라고 지칭하는 이유는 이 홈을 통해서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 돔 스위치와 금속버튼이 접촉을 하게 되고 전기적으로 전이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referring to the contact groove is that when the button is pushed through the groove, the dome switch and the metal butt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ecome electrically transferred.

도 6에는 또한 메탈 돔(630)이 부착되어 있다.6 also has a metal dome 630 attached thereto.

기존의 키패드의 경우에는 돔의 가장자리인 넓은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할 경우 터치스크린에 면적으로 인식되어 터치 스크린이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터치가 된 것으로 오동작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keypad, if the wide portion of the dome is directed downward, it is recognized as an area on the touch screen, so that even if the touch screen does not press the button, the touch may be malfunctioned.

일반적으로 메탈 돔을 기판 또는 본 발명의 경우 받침필름(620)에 부착할 경우 접착필름으로 접착을 한다.Generally, when the metal dome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or the backing film 6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ing film 620 is bonded with an adhesive film.

접착필름은 메탈 돔을 위해서 감싸고 부착된 상태에서 받침 필름에 다시 부착이 된다.The adhesive film is wrapped and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for the metal dome.

본 발명에 의한 접착필름 (640)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메탈 돔(630)의 중앙부 일부를 제외하고 메탈 돔을 덮고 다시 받침필름에 부착이 되어 메탈 돔을 고정한다.The adhesive film 6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etal dome except for a part of the center of the metal dome 630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to fix the metal dome.

메탈 돔은 받침 필름에 의한 금속 버튼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구조이다.The metal dome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metal buttons by a backing film.

고 9에는 메탈 돔에 접착 필름이 부착된 정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At the top 9,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with the adhesive film attached to the metal dome are shown.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탈 돔(630)을 접착필름(640)이 둘러싸고 있으며, 접착필름에는 메탈 돔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중앙 홈(641)이 뚫려있다. As shown in FIG. 9A, the metal dome 630 is surrounded by the adhesive film 640, and a central groove 641 is formed in the adhesive film to expose a central portion of the metal dome.

중앙 홈은 메탈 돔의 중앙부(631)가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기 휘해 기능이다.The central groove is a warping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631 of the metal dome to the projection.

도 9의 (b)에는 메탈 돔에 접착필름(640)이 둘러싸고 있고 메탈 돔의 중앙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중앙 홈(641)이 접착필름에 뚫려 있다.9B, an adhesive film 640 surrounds the metal dome and a central groove 641 for exposing the center of the metal dome is formed in the adhesive film.

메탈 돔이 붙어 있지 않은 접착필름의 다른 부분은 받침필름에 부착된다.Other parts of the adhesive film with no metal dome are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메탈 돔의 노출이 된 메탈 돔 중앙부(631)는 누름 돌출부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The exposed metal dome central portion 631 of the metal dome is pressed by the pressing projection.

도 6에 나타난 대로 본 발명에 의한 누름 돌출부(650)는 도전성을 띈 소재로 제작되며 특히 실리콘 고무에 금속 파우더를 혼합한 구조로서 카본 파우더, 실버 파우더, 니켈파우더 등을 혼합하여 전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를 성형을 통해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ushing protrusion 6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particular,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powder is mixed with a silicone rubber is mixed with a carbon powder, a silver powder, a nickel powder, Can be manufactured by molding.

도 10 에는 이의 자세한 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In Fig. 10, a detailed structure thereof is shown as a sectional view.

메탈 돔(630)에는 중앙 홈에 뚫려있는 접착필름(640)이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는 다시 메탈 돔의 메탈 돔 중앙부(631)에 부착이 되는 누름 돌출부(650)가 부착되어 있다.The metal dome 63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film 640 which is formed in the central groove and a pushing protrusion 650 attached to the metal dome central portion 631 of the metal dome.

전술한대로 누름 돌출부는 실리콘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protrusion can be manufactured by silicone molding.

누름 돌출부는 실리콘 고무 소재에 전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게하며 특히 카본 파우더 소재를 혼합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sing protrusions are made by mixing a conductive material with a silicone rubber material so that electricity can flow. Especially, a carbon powder material can be mixed to provide conductivity.

추가적으로 도 6에 나타난대로 하부 받침 판(660)이 제작된다.In addition, the lower receiving plate 660 is fabricated as shown in Fig.

하부 받침판은 케이스에 사용되는 키패드에서 메탈 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lower base plate prevents the metal dom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keypad used for the case.

또 한 하부 받침판의 누름 돌출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전도성 부분을 추가하여 터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ductive part can be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lower pedestal plate makes contact, thereby facilitating the touch operation.

도 11에는 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1 is a plan view thereof.

하부 받침판(660)에는 각 누름 돌출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전도성 부분(661)이 형성되어 있다.A conductive portion 661 is formed in a portion of each lower pressing plate 660 where the pressing protrus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전도성 부분은 실버 잉크나 카본잉크 등의 전기 전도성 잉크로 인쇄를 하거나 전도성 실리콘으로 성형을 해서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ortion can be formed by printing with an electroconductive ink such as silver ink or carbon ink, or by molding with conductive silicone.

각 전도성 부분끼리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형성이 된다.Each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도 12에는 도 6의 구조에서 버튼을 눌렀을 때에 메탈 돔이 금속버튼과 접촉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tal dome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butt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structure of FIG.

도면에 나타난대로 금속버튼(610)을 누르면 메탈 돔(630)이 눌러지면서 금속버튼과 접촉을 하게 된다.When the metal button 610 is press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tal dome 630 is pressed to make contact with the metal button.

누름 돌출부(650)의 기능은 메탈 돔이 잘 눌러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function of the pushing protrusion 650 serves to press the metal dome well.

이에 따라 누름 돌출부로부터 금속 버튼까지 전기가 흐르는 구조가 형성되고 터치스크린(130)에서 신호가 발생한다.Accordingly,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ity flows from the pushing protrusion to the metal button is formed, and a signal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30.

도 6의 구조에서는 누름 돌출부가 메탈 돔에 형성된 경우의 구조이며 이와는 다르게 누름 돌출부를 하부 받침판에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structure of Fig. 6, the press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metal dome. Alternatively, the press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on the lower plate.

도 13에는 이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13 shows a view thereof.

금속버튼(610)은 받침필름(620)에 부착되어 있으며 받침필름은 접촉 홈이 뚫려있는 구조이다. The metal button 610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620, and the backing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tact groove is opened.

또한 받침필름에는 메탈 돔(630)이 접착필름(640)에 부착되어 받침필름에 고정되며, 접착필름에는 중앙 홈(641)이 뚫려 있어서 메탈 돔을 노출시킨다.In addition, a metal dome 63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film 640 and fixed to the backing film, and a central groove 641 is formed in the adhesive film to expose the metal dome.

누름 돌출부(710)은 하부 받침대(660)에 형성이 된다.The pushing protrusion 710 is formed in the lower pedestal 660.

하부 받침판에 누름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실리콘 성형 등으로 형성을 하며 각 버튼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는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plate by silicone molding or the like,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하부 받침판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도 마찬가지로 금속 내지 카본파우더 등을 섞어서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띄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을 한다.Likewise, the press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lower support plate are made of silicon rubber which is electrically conductive by mixing metal or carbon powder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스마트폰 110 : 전화번호 입력화면
120 : 숫자문자버튼 130 : 터치스크린
200 : 보호케이스 210 : 커버
220 : 투명창 300 : 키패드
410 : 키패드 420 : 버튼
430 : 실리콘 돌출부
440 : 필름 460 : 접착필름
470 : 전자회로기판
471 : 중심전극 472 : 테두리전극
450 : 메탈 돔 510 : 금속도전체
520 : 받침대 530 : 전파신호
610 : 버튼 611 : 버튼 돌출부
612 : 숫자나 문자 620 : 받침필름
621 : 접촉 홈 622 : 점선
630 : 메탈 돔 640 : 접착필름
641 : 중앙 홈 631 : 메탈 돔 중앙부
650 : 누름 돌출부 660 : 하부 받침판
661 : 전도성 부분 710 : 누름 돌출부
100: Smartphone 110: Phone number input screen
120: numeric character button 130: touch screen
200: Protective case 210: Cover
220: transparent window 300: keypad
410: keypad 420: button
430: silicon protrusion
440: Film 460: Adhesive film
470: Electronic circuit board
471: center electrode 472: rim electrode
450: Metal dome 510: Metal dome
520: pedestal 530: radio signal
610: Button 611: Button protrusion
612: Number or letter 620: Base film
621: contact groove 622: dotted line
630: Metal dome 640: Adhesive film
641: central groove 631: central portion of the metal dome
650: pressing protrusion 660: bottom plate
661: conductive portion 710: pushing projection

Claims (7)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장착되는 키패드에 있어서,
금속 버튼과,
금속 버튼이 부착되는 받침필름이 있으며,
받침필름에 메탈 돔의 가장자리가 접촉되게 부착되며, 메탈 돔에 전기 전도성 돌출 누름부가 형성되며,
하부 받침판이 돌출 누름부 아래에 위치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 keypad mount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ostatic touch screen,
Metal buttons,
There is a backing film to which metal buttons are attached,
An edge of the metal dome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in contact with the metal dom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rotruding pushing portion is formed on the metal dome,
And the lower pedestal plate is positioned below the protruding pushing portion. The smartphone protecting case
제 1항에 있어서,
금속버튼의 하부에 별도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 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parate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etal button.
제 1항에 있어서,
받침필름에는 금속버튼의 중앙부에 홈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폰 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ilm is provided with a groove at the center of the metal button, and the keypad is mounted on the cover.
제 1항에 있어서,
메탈 돔은 접착필름에 의해 받침필름에 부착되며,
접착필름은 메탈 돔의 중앙부에 홈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나 장착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dome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by an adhesive film,
Wherein the adhesive film is provided with a groove in a central portion of the metal dome.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받침판에는 각 누름 돌출부에 대응되게 전도성 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폰 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ductive part is formed on the lower pedestal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에 장착되는 키패드에 있어서,
금속버튼과,
금속버튼이 부착되는 받침필름이 있으며,
받침필름에 메탈 돔의 가장자리가 접촉되게 부착되며,
하부 받침판에 전기전도성 누름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 keypad mounted on a cover of a protectiv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ostatic touch screen,
Metal buttons,
There is a backing film to which metal buttons are attached,
The edge of the metal dome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in contact with it,
Wherein the cover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plate.
제 6항에 있어서,
메탈 돔은 접착 필름에 의해 받침필름에 부착되며,
접착필름은 메탈 돔의 중앙부에 홈이 뚫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에 키패드가 장착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tal dome is attached to the backing film by an adhesive film,
Wherein the adhesive film has a groove at the center of the metal dome, and the keypad is mounted on the cover.
KR1020140040716A 2014-04-04 2014-04-04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KR201501155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16A KR20150115520A (en) 2014-04-04 2014-04-04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16A KR20150115520A (en) 2014-04-04 2014-04-04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20A true KR20150115520A (en) 2015-10-14

Family

ID=5435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716A KR20150115520A (en) 2014-04-04 2014-04-04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5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930B2 (en)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s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TW554359B (en) Input device
US651895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JP5482807B2 (en) Capacitive touchpad with key switch
EP2053490A1 (en)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799655B2 (en) Small equipment
JPWO2013141292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7710405B2 (en) Keypad and/or touchpad construction
CN104036297B (en) Fingerprint recognition component and its electronic device
JPH11195353A (en)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181514A1 (en) Touch keypad for touch screen devices
CN104900439A (en) Button device and terminal equipped with same
CA2960302C (en) Capacitive touch sensor
CN104112142B (en) Fingerprint recognition component and its electronic device
KR20150115520A (en)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KR20150117789A (en)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CN110941348A (en) Modular keyboard with display function
KR100637123B1 (en) Touch panel
KR20150115527A (en) keypad for the Capacitive Touch Screen
JP4837143B1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20060065532A (en) Film typ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