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50A -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50A
KR20150104850A KR1020140026734A KR20140026734A KR20150104850A KR 20150104850 A KR20150104850 A KR 20150104850A KR 1020140026734 A KR1020140026734 A KR 1020140026734A KR 20140026734 A KR20140026734 A KR 20140026734A KR 20150104850 A KR20150104850 A KR 2015010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m
substrate
cov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섭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850A/en
Publication of KR201501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n effective area and ineffective area; a print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ver substrate; and a shatter-proof film attached on the print lay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arranged on the display panel. The touch panel includes: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n effective area, and ineffective area; a print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layer of the cover substrate; and a shatter-proof film attached on the print layer.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실시예는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touch panel has be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by a method of touch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 받고 있다.The touch panel is typically divided into a resistive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senses that th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osition is detected. A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senses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when a finger touches them, thereby detecting the positio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ensing power, recently, in a small model, the electrostatic capacity method has attracted attention.

이러한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커버 기판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커버 기판이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 기판이 유리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 충격으로 인해 유리가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커버 기판의 배면에 감지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커버 기판이 파손 및 비산되면 터치 패널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uch a touch panel is formed including a cover substrate. When the cover substrate is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oken cover substrate is scattered. For example, when the cover substrate is formed of glass, there is a problem that glass is scattered due to an external impact. In particular, when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the touch panel may be difficult to drive if the cover substrate is broken or scatter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기판의 전면에 비산 방지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안티 핑거(Anti-Finger)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투과율이 저하되고, 헤이즈(Haze)가 상승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may be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In this case, the anti-finger function may be lost, the transmittance may be lowered, and the haze may be increased.

실시예는 커버 기판의 비산을 방지하는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touch panel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a cover substr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부착되는 비산방지필름을 포함한다.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 valid region and a non-valid region;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ver substrate; And a light-scattering film adhered on the printing layer.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부착되는 비산방지필름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touch panel includes: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 valid area and a non-valid area;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ver substrate; And a light-scattering film adhered on the printing layer.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의 비유효 영역에만 비산방지필름이 형성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이 커버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안티 핑거 기능(Anti-Finger) 기능 상실, 투과율이 저하, 헤이즈(Haze)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formed only on an ineffective area of a cover substrate to prevent an anti-fingering function loss that may occur whe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ransmittance and an increase in haze.

또한, 비산방지필름은 비유효 영역의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에 형성되어, 제 1 영역에서 기구물 설치로 인해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없더라도 커버 기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scattering-prevention film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which is the scatterable region of the ineffective region, and even if the film-attached film or the adhesive layer can not be form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in the first region,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상기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층과 이격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상기 접착층이 접착력을 확보하기 유리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cattering-prevention film is formed apart from the cover-affixed film or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cover-affixed film or the adhesive layer is advantageous in securing the adhesive forc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이동식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lan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are applied.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 under" Quot; includes all that is formed directly or through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top / bottom or bottom / bottom of each layer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and 7 are views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touch panel according to embodiments is appli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기판(100)은 광이 투과되는 유효영역(AA) 및 상기 유효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지 않는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1 to 3,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substrate 100. The cover substrate 100 may include an effective region AA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n ineffective region UA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effective region AA and in which light is not transmitted. In more detail, the valid area AA refers to an area where a user can input a touch command. The non-valid area UA is a concept opposite to the valid area AA, and is not activated even when a user touches the area And the touch command input is not performed.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제 1 영역(S)과 제 2 영역(N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S)은 비산 가능 영역이고, 상기 제 2 영역(NS)은 상기 제 1 영역(S)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영역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영역(S)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유효 영역(UA)에는 기구물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커버 기판(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없으며,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영역(S)이 형성된다. The non-effective area U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S and a second area NS. The first region S is a scatterable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NS is an area disposed around the first region S. Specifically, the first area S means an area where no cover-adhering film or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in the future. The mechanism must be dispos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panel. As a result, a cover film or an adhesive layer can not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d a first region S is formed in which the cover film or th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즉, 제 1 영역(S)은 커버 기판(100)의 배면에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아, 커버 기판(100)을 지지하는 구성이 생략된 영역을 의미하고, 커버 기판(100)의 파손 시 유리가 비산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That is, the first area S means a region in which a cover-attached film or an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d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over substrate 100 is omitted, It means an area where glass can scatter when broken.

또한, 상기 제 1 영역(S)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구물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기구물은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rea S may be an area in which a device is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in the future. The devi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camera.

상기 커버 기판(100)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 기판(100)은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또는 소다라임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는 인쇄층(200), 비산방지필름(50), 감지전극(300) 및 배선(40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over substrate 100 may include glass. For example, the cover substrate 100 may comprise tempered glass, semi-tempered glass, or soda lime glass. The print layer 200,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the sensing electrode 300, and the wiring 40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상기 인쇄층(200), 비산방지필름(50) 및 배선(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인쇄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200) 상에 배선(400) 및 비산방지필름(50)이 형성된다. The print layer 200,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and the wiring 400 may be disposed on the ineffective area UA. The printed layer 200 is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d the wiring 400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are formed on the printed layer 200. [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커버 기판(100)의 파손 시 커버 기판(100)의 비산을 방지하는 필름이다. 커버 기판(100)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비부착면과의 점착력이 24gf/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인쇄층(200) 상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경우, 인쇄층(200)에 대한 비산방지필름(50)의 점착력이 24gf/mm 이상으로 형성된다.The shatterproof film 50 is a film that prevents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when the cover substrate 100 is broken. In order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the shrink-preventive film 50 is forme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24 gf / mm or more to the unattached surface. When the shatterproof film 50 is formed on the print layer 200, the adhesion of the shatterproof film 50 to the print layer 200 is not less than 24 gf / mm.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커버 기판(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안티 핑거 기능(Anti-Finger)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며, 투과율이 저하되고, 헤이즈(Haze)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필름(50)은 커버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만 형성되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Whe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the anti-finger function may be lost, the transmittance may decrease, and the haze may increase . The anti-scattering fil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ly i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d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또한,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S)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구물이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tterproof film 50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S, which is the scatterable region of the non-effective region UA. That is, the shrink-preventive film 50 may b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cover-adhered film or the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scattering-prevention film 50 may be formed in a region where a device is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제 1 영역(S)에만 형성되는 경우, 제 1 영역(S)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제 2 영역(NS)에서 추후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의 접착력 확보가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NS)은 커버 부착 필름 또는 접착층에 의해 커버 기판(100)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제 1 영역(S)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cattering-prevention film 50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S,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lm or the adhesive layer with the cover in the second region NS arranged around the first region S.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may be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S since the second region NS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by the covering film or the adhesive layer.

이때,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기구물과의 간섭 등을 방지하기 위해 0 초과 0.0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0.05mm 이하로 형성됨에 따라, 기구물이 배치되는 영역에도 커버 기판(100) 파손 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tterproof film 5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more than 0 mm and 0.05 mm or les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 device. As the shrink-preventive film 5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0.05 mm or less,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can be prevented even in a region where the instrument is disposed.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인쇄층(200) 상에 배치되는 전극 등을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층(200)은 블랙 잉크 또는 화이트 잉크 등 컬러 잉크를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도포하고, 이를 경화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200)에 의해 상기 유효 영역과 상기 비유효 영역의 경계면에서 LCD에 의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200 may serve to prevent an electrode or the like disposed on the printing layer 200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printing layer 200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lor ink such as black ink or white ink onto the ineffective area UA and curing it. Also, the print layer 200 can prevent light from leaking from the LC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effective region and the non-valid region.

도면 상에는 상기 인쇄층(200)이 단일 두께를 갖는 단일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층(200)은 색 및 두께에 따라 복수 개의 인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inting layer 200 is shown as a single layer having a single thickness on the drawing,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int layer 2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int layers depending on the color and thickness.

상기 감지 전극(3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감지 전극(30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300 may be disposed on the effective area AA. The sensing electrode 3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In detail, the sensing electrode 300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sensing electrode 300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제 2 감지 전극(320) 및 브리지 전극(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5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50)은 커버 기판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300 may include a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and a bridge electrode 350.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and the bridge electrode 35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or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In additio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and the bridge electrode 35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상기 브리지 전극(350)은 예를 들어, 바(bar)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 전극(35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는 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50)은 이후에 설명하는 제 1 감지 전극(3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ridge electrode 350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a bar, for example. In detail, the bridge electrodes 350 may be arranged in a bar shap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ffective area AA. The bridge electrode 350 may serve to connec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브리지 전극(350) 상에는 절연층(351)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브리지 전극(350) 상에 부분적으로 절연층(351)이 배치되고, 상기 브리지 전극(350)의 일부분은 상기 절연층(35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리지 전극(350)이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리지 전극(350)의 일단 및 타단 즉, 양단 부분을 제외한 영역 상에는 절연층(351)이 배치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351 may be disposed on the bridge electrode 350. In detail, an insulating layer 351 is partially disposed on the bridge electrode 350, and a part of the bridge electrode 350 may be covered with the insulating layer 351. For example, when the bridge electrode 350 is formed in a bar shape, the insulating layer 351 may be disposed on a region excep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bridge electrode 350.

상기 제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on the effective area AA to sense a touch. in details.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on the effective region A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전극은 상기 절연층(351) 상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브리지 전극(35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On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351 and the othe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electrode 350. [ have.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절연층(35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브리지 전극(3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브리지 전극과 절연물질에 의해 서로 쇼트되어 단락되지 않고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be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35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340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electrode 3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short-circuited by the bridge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material.

도면 상에는 브리지 전극, 절연 물질 및 감지 전극 순으로 적층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감지 전극, 절연 물질 및 브리지 전극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bridge electrodes,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sensing electrodes are stacked in this order. However,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ing electrodes,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bridge electrodes may be stacked in this order.

상기 배선(400)은 제 1 배선(410) 및 제 2 배선(4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배선(4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배선(4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배선(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 400 may include a first wiring 410 and a second wiring 420. In detail, the wiring 400 may include the first wiring 410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wiring 420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have.

상기 제 1 배선(410) 및 상기 제 2 배선(420)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배선(410) 및 상기 제 2 배선(42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구동칩(미도시)이 실장된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달하여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may be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are formed by mounting a touch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on a driving chip (not show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to perform a touch opera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may be,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상기 제 1 배선(410) 및 상기 제 2 배선(42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410) 및 상기 제 2 배선(420)은 은(Ag) 또는 구리(Cu)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In detail, 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Ag) or copper (Cu).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선(400) 상에는 보호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미도시)은 상기 배선(400)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층(미도시)은 상기 배선(400)이 산소에 노출되어 산화되거나 수분이 침투하여 신뢰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wiring 400. The protective layer (not shown) may protect the wiring 400. Specifically, the protective layer (not shown) can prevent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400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oxidation of the wiring 400 due to exposure to oxygen, or moisture penetration.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 대한 설명과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기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5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500 disposed on the cover substrate 100. The substrate 500 may include plastic. In one example, the substrate 500 may compri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상기 커버 기판(100) 및 상기 기판(5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The cover substrate 100 and the substrate 500 may be adhered using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OCA).

상기 커버 기판(100)와 상기 기판(50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S)과 상기 제 1 영역(S)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제 2 영역(NS)으로 구분된다. 상기 유효 영역(AA), 비유효 영역(UA), 제 1 영역(S) 및 제 2 영역(NS)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The cover substrate 100 and the substrate 500 include a valid region AA and a non-valid region UA. The non-effective area UA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S that is a scatterable area and a second area NS that surrounds the first area S. [ The effective area AA, the ineffective area UA, the first area S, and the second area NS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커버 기판(100)의 유효 영역(AA)에는 제 1 감지 전극(3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410)과 비산방지필름(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제 1 영역(S)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be disposed in the effective area AA of the cover substrate 100. The first wiring 410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may be disposed in the non-effective area UA of the cover substrate 100. The anti-scattering film 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S of the non-effective region UA.

또한, 상기 기판(500)의 유효 영역에는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420)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in the effe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500. In addition, a second wiring 420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in a non-effe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500.

또한, 상기 제 1 배선(410)과 상기 제 2 배선(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커버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510) 및 제 2 기판(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bstrate 510 and a second substrate 520 disposed on the cover substrate 100.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include plastic.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상기 커버 기판(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The cover substrate 100,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be adhered using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OCA).

상기 커버 기판(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S)과 상기 제 1 영역(S)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제 2 영역(NS)으로 구분된다. 상기 유효 영역(AA), 비유효 영역(UA), 제 1 영역(S) 및 제 2 영역(NS)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The cover substrate 100,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include a valid region AA and a non-valid region UA. The non-effective area UA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S that is a scatterable area and a second area NS that surrounds the first area S. [ The effective area AA, the ineffective area UA, the first area S, and the second area NS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커버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비산방지필름(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제 1 영역(S)에 배치될 수 있다.A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may be disposed o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cover substrate 100. The anti-scattering film 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S of the non-effective region UA.

상기 제 1 기판(510)의 유효 영역에는 제 1 감지 전극(3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51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4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be disposed in an effective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510. In addition, a first wiring 410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310 may be disposed in a non-effective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510.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유효 영역에는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420)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in an effectiv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520. A second wiring 420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320 may be disposed in a non-effective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520.

또한, 상기 제 1 배선(410)과 상기 제 2 배선(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ing 410 and the second wiring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respectivel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패널(111)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과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6 and 7,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111 and a touch panel. The touch panel is the same as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이 투과되는 유효 영역(AA) 및 상기 유효 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되고, 광이 투과되지 않는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S)과 상기 제 1 영역(S)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영역인 제 2 영역(NS)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valid region AA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n ineffective region UA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effective region AA and in which light is not transmitted. The non-effective area U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S that is a scatterable area and a second area NS that is an area disposed around the first area S. [

상기 표시 패널(111) 및 터치 패널 사이에는 접착층(112)이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112)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의 일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112)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제 2 영역(NS)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An adhesive layer 112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1 and the touch panel. The adhesive layer 112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effective area AA and the non-valid area UA.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112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second region NS of the non-effective region UA.

상기 접착층(112)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111)과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112)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접착층(112)으로 인해 커버 기판(100)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커버 기판(10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12 may be an optical clear adhesive (OCA) or an optical clear resin (OCR), and attaches the display panel 111 and the touch panel. The area where the adhesive layer 112 is formed can prevent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even if the cover substrate 100 is broken due to the adhesive layer 112.

또한, 상기 표시 패널(111) 및 터치 패널 사이에는 커버 부착 필름(60)이 배치된다.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제 2 영역(NS)에 배치된다.A cover film 60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1 and the touch panel. The cover film 60 is dispos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At this time, the cover film 6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NS of the ineffective area UA.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은 터치 패널(100)을 상부 커버(70)에 부착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으로 인해 커버 기판(100)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커버 기판(10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attachment film 60 attaches the touch panel 100 to the upper cover 70 and fixes the same.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cover film 60 is formed can prevent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even if the cover substrate 100 is broken due to the cover film 60.

상기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기판(100)의 배면에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인쇄층(200), 비산방지필름(50) 및 배선이 배치되고, 상기 유효 영역(AA)에 감지전극(30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touch panel includes a cover substrate 100. The print layer 200,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and the wiring are disposed on the backside of the cover substrate 100 in the non-effective area UA and the sensing electrode 300 is disposed on the effective area AA .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은 상기 인쇄층(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200) 상에는 비산방지필름(50) 및 배선(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산방지필름(50)과 커버 부착 필름(60)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비산방지필름(50)과 접착층(112)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비유효 영역(UA)의 제 1 영역(S)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은 비유효 영역(UA)의 제 2 영역(NS)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112)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의 제 2 영역(NS)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attachment film 60 may be formed on the print layer 200.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and a wiring 420 may be formed on the print layer 200. The shatterproof film 50 and the cover film 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hatterproof film 50 and the adhesive layer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is formed in the first area S of the ineffective area UA and the cover film 60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NS of the ineffective area UA, The adhesive layer 112 may be formed in the effective area AA and the second area NS of the ineffective area UA.

상기 제 1 영역(S)은 기구물(미도시)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구물(미도시)이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기구물은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커버 부착 필름(60) 또는 접착층(112)이 커버 기판(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기구물(미도시)이 배치될 수 없으며, 커버 부착 필름(60) 또는 접착층(112)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영역(S)이 필요하다.The first region S may be a region in which an instrument (not shown) is disposed. (Not shown) should be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The devi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camera. When the cover attaching film 60 or the adhesive layer 11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a mechanism (not shown) can not be disposed and the cover attaching film 60 or the adhesive layer 112 is not formed A first area S is required.

즉, 상기 제 1 영역(S)은 커버 부착 필름(60) 또는 접착층(112)이 형성되지 않고, 커버 기판(100)을 지지하는 구성이 생략된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S)에 비산방지필름(50)이 형성됨으로써, 커버 기판(100) 파손 시 유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region S is an area where the cover film 60 or the adhesive layer 112 is not formed and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over substrate 100 is omitted. Therefore,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S, thereby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glass when the cover substrate 100 is broken.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111) 사이에서 상기 제 1 영역(S)에 기구물(미도시)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물(미도시)은 상기 터치 패널의 비산방지필름(50)과 상기 표시 패널(111)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다. 기구물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구물의 구동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0 초과 0.0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S between the touch panel and the display panel 111. The mechanism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of the touch panel and the display panel 111. The shatterproof film 5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more than 0 mm and 0.05 mm or less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mechanism is disposed an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of the mechanism. The shatterproof film 5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cover attachment film 60.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커버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만 형성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커버 기판(100)의 전면에 형성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티 핑거 기능(Anti-Finger) 기능 상실, 투과율이 저하 및 헤이즈(Haze)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anti-scattering film 50 is formed only o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d has anti-fingering func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nti-scattering function ") that can occur when the anti-scattering film 5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100 Anti-fingering function, loss of transmittance, and rise of haze can be solved.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이 제 1 영역(S)에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NS)에서 커버 부착 필름(60) 또는 접착층(112)의 접착력 확보가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NS)은 커버 부착 필름(60) 또는 접착층(112)에 의해 커버 기판(100)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산방지필름(50)은 제 1 영역(S)에만 형성될 수 있다.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adhesive force of the cover attachment film 60 or the adhesive layer 112 in the second region NS whe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50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S. [ Since the scattering of the cover substrate 100 can be prevented by the cover film 60 or the adhesive layer 112 in the second region NS, Respectively.

상기 표시 패널(111)은 액정표시패널(1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0)에 면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하부 커버(30)에 수용될 수 있고, 액정표시패널(10)은 액정 패널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커버(30)와 액정 패널 지지대(40), 액정 패널 지지대(40)와 상부 커버(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and a backlight unit 20 for providing a surface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The backlight unit 20 can be received in the lower cover 3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can be support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40. The lower cover 3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40,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40, and the upper cover 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상부 커버(70), 액정 패널 지지대(40) 및 하부 커버(30)에는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 커버(70)와 상기 액정 패널 지지대(40)이 조립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커버(30)와 상기 액정 패널 지지대(40)이 조립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부 커버(70), 액정 패널 지지대(40) 및 하부 커버(30)가 서로 조립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착 필름(60)이 상부 커버(70)와 접착하여 상기 터치 패널을 상기 상부 커버(7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over 70,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40, and the lower cover 30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grooves can be assembled and fixed while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In detail, the upper cover 7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base 40 are assembled and coupled, and the lower cover 3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base 40 are assembled and coupled. The upper cover 70, the liquid crystal panel support 40 and the lower cover 30 are integrally formed by assembling together and the cover attachment film 60 adheres to the upper cover 70, And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70.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은 적녹청(RGB)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상부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하부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되어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includes an upper substrate including red (R, G) color filter layers, a lower substrate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a pixel electrod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적(R), 녹(G) 및 청(B)색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백색(W) 발광 다이오드(LED)들로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이하, 발광패키지라 한다)과, 발광패키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전원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광패키지로부터 공급되는 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배면에 배치되어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 전방(상측)에 배치되어 집광 및 확산 기능을 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cklight unit 120 is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package) composed of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emitting diodes (LEDs) or white (W) light emitting diodes A light guide plate for converting a light source supplied from the light emitting package into a planar light source;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improve light efficiency; A reflection plate, and an optical shee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perform a light condensing and diffusion function.

도면 상에는 상기 표시 패널(111)이 액정표시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표시 패널(111)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자발광 소자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display panel 111 includ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 and the backlight unit 20 in the drawing, the display panel 111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required.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formed on a substrat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for encapsulation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표시 패널(111)은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Electric Paper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및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등을 구성하는 표시 패널(111)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1 may be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an electro-wetting display (EWD).

도 8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이동식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applied.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식 단말기(1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obi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valid area AA and a non-valid area UA. The effective area AA senses a touch signal by touching a finger or the like, and a command icon pattern part and a logo are formed on the non-valid area.

또한, 도면 상에는 이동식 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은 이동식 단말기 이외에도 터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의 차량용 터치, 네비게이션, 노트북 및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is shown in the draw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bove-described touch panel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touch for a car,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computer, and a home appliance, which can be applied to a touch panel, in addition to a mobile terminal.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Claims (14)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부착되는 비산방지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 valid region and a non-valid region;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ver substrate; And
And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adhered on the print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효 영역은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valid reg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which is a scatterable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ich surrounds the first region,
Shielding film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non-effective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두께는 0 초과 0.05mm 이하인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hrinkage preventing film is more than 0 mm and not more than 0.05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피부착면과 점착력이 24gf/mm 이상인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rink-preventive film has an adhesive force of 24 gf / mm or more and an adhesion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감지전극 및 제 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감지전극;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A first substrate disposed on the cover substrate; And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감지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arranged on the cover substrate;
A first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되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비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부착되는 비산방지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he touch panel includes:
A cover substrate divided into a valid region and a non-valid region;
A printing layer formed on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ver substrate; And
And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adhered on the print lay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효 영역은 비산 가능 영역인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고 배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on-valid reg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which is a scatterable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ich surrounds the first region,
Shielding film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non-effective reg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효 영역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커버 부착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ver film disposed in a second region of the non-valid reg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착 필름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ver film and the shrinkage prevention film are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두께는 상기 커버 부착 필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cattering-prevention film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ver-affixing fil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pane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nti-scattering film are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140026734A 2014-03-06 2014-03-06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104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4A KR20150104850A (en) 2014-03-06 2014-03-06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34A KR20150104850A (en) 2014-03-06 2014-03-06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50A true KR20150104850A (en) 2015-09-16

Family

ID=5424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34A KR20150104850A (en) 2014-03-06 2014-03-06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8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000B2 (en) Smartphone
KR101661160B1 (en) Touch screen pannel
US9151978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having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9661744B2 (en) Touch panel having a sensing electrode and a printing electrode
EP3026536A1 (en) Touch window comprising mesh electrode
US20130222314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8659560B2 (en) Inpu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10291987A1 (en) Touch-sensitive device
KR10236143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119818B1 (en) Touch panel
KR102098385B1 (en) Touch panel
KR102262553B1 (en) Touch panel
KR102632927B1 (en) Display device
US9645687B2 (en) Touch panel
KR20200060603A (en) Display device
KR102095240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area
KR101415585B1 (en) Touch window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ed of the touch window
KR102262549B1 (en) Touch panel
CN112181198B (en) Touch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69707A (en) Touch panel
KR102238815B1 (en) Touch window
KR20150134010A (en) Touch window
KR102175649B1 (en) Touch window
KR20150104850A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93795B1 (en) Touch panel coated with supplementary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