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081A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081A
KR20150100081A KR1020140021430A KR20140021430A KR20150100081A KR 20150100081 A KR20150100081 A KR 20150100081A KR 1020140021430 A KR1020140021430 A KR 1020140021430A KR 20140021430 A KR20140021430 A KR 20140021430A KR 20150100081 A KR20150100081 A KR 2015010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sensor pad
live view
view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성
전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081A/en
Publication of KR2015010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0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a side touch input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es: a touch screen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one or more sensor pad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formed to detect a user input; and a control unit formed to execute an applic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sensor pad among the sensor pads on the touch screen, output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d related to the application on the touch screen, and execute a designa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related to the application. The sensor pad at a certain location can drive a shutter function of a camera application.

Description

측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ide touch,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서 측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ide user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통신 및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 전자 기기들이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ie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e-book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최근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 전자 기기들은 화면 표시 기능과 멀티 터치 방식의 입력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형태의 휴대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접촉함으로써 휴대 전자 기기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는 터치 스크린 상의 멀티 터치에 응답하여 화면의 확대 및 축소,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및 스크롤, 드래그, 항목 선택 등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Mos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a touch screen that simultaneously provides a screen display function and a multi-touch input function. In a touch screen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user can control a system, a program, or a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or the like. For examp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nlarging and reducing a screen, moving a screen in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diagonal directions, and scrolling, dragging, and selecting items in response to multi-touch on a touch screen.

그런데, 터치 스크린 형태의 휴대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접촉되는 화면의 일정 부분이 가려져 시야에서 사라지게 되고, 또한 터치 스크린이 커질수록 휴대 전자 기기를 한 손으로 잡은 채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touch screen type, a user touches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so that a certain portion of the contacted screen disappears and disappears in the field of view.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ouch screen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one hand.

터치 스크린 형태의 휴대 전자 기기는 제품들 간의 다소 차이는 있지만, 기기의 측면 및 전면에 전원 버튼(또는 잠금 버튼), 볼륨 버튼, 홈 버튼 등의 하드웨어 버튼들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드웨어 버튼들은 터치 스크린이 제공하는 것과는 다른 고유한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상기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the touch screen type have additional hardware buttons such as a power button (or a lock button), a volume button, and a home button on the side and front of the device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s. Generally, The buttons take on unique control functions different from those provided by the touch screen and do not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서 측면 터치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de touch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측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전자 기기 및 상기 휴대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ide touch inpu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서 측면 터치 입력을 통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through a side touch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서 측면 터치 입력을 통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application via a side touch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서 측면 터치 입력을 통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셔터 및/또는 반셔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shutter and / or half-shutter functions of a camera application via a side touch inpu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하나 이상의 센서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실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센서패드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least one sensor pa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figured to sense user input; and one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sensor pad is executed on the touch screen,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and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first sensor pa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ecute the designa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하나 이상의 센서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센서패드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on the touch screen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sensor pad of at least one sensor pa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figured to sense user input; Outputting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a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n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ing the designa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first sensor pad. And executing the program.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촬영을 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영상의 초점을 고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센서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단면 및 전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자 기기에서 카메라 촬영을 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자 기기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초점을 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A to 1D illustrate an appearan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tarting shooting in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fixing a focus of an image in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and front view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ide sensor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or starting camera shoot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amera applic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fixing focus in a camera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1A to 1D illustrate an appearan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110) 및 홈 버튼(111)과, 측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패드(130,132,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은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전면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터치 스크린(110)과 구별될 수 있도록 측면 센서 패드라 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nd a home button 111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at least one sensor pad 130, 132, and 134 located on a side surface. 1B and 1C,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on both sides thereof. The touch screen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touch screen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144 locat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Similarly,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may be referred to as side sensor pads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touch screen 110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1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과 구별되어,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은 측면 사용자 입력 혹은 측면 입력이라 칭한다.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144 are configured to sense user input originating from th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input sensed by any one of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144, distinct from the user input sensed by the touch screen 110, is referred to as a side user input or a side input.

일 실시예로서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110)과 구별되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 베젤 외부에 노출되게 혹은 숨겨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10)과는 달리 출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혹은 간단한 출력(색상 표시 등)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 중 적어도 하나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 베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스크린(110)의 연장된 영역으로 구성되며, 휴대 전자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110)의 전면을 통한 사용자 입력과, 상기 연장된 영역을 통한 측면 입력을 구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or hidden outside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ifferently from the touch screen 110,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no output or to provide only a simple output (color indication, etc.). 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144 may be disposed within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144 comprises an extended area of the touch screen 11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user input through the front of the touch screen 11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side input through the region.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는, 터치 스크린(110)이 제공하는 터치 입력을 통한 제어 기능(화면의 확대 및 축소,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및 스크롤, 드래그, 항목 선택 등) 중 측면에서 사용될 경우 터치 스크린(110)보다 향상된 편리성 및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측면 센서 패드(132)가 화면 이동 및 스크롤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a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한 손으로 휴대 전자 기기(100)를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상기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센서 패드(132)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의 일정 부분을 가리지 않고도 원하는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are provided on the side of a control function (such as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screen, screen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directions, diagonal direction, scrolling, And supports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that, when used, may provide enhanced convenience and ease of use over the touch screen 110. For example, when the side sensor pad 132 provides control of scrolling and scrolling, the user hold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with one hand as shown in FIG. 1A, Control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such a side sensor pad 132,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control function without blocking a certain portion of the touch screen 110. [

측면에 설치되는 센서 패드(130,132,134,140,142,144)의 크기와 위치 및 형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양 측면에 각각 3개씩의 센서 패드들(130,132,134,140,142,144)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센서 패드가 휴대 전자 기기(100)의 하나 혹은 여러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센서 패드는 상단 및 하단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100)는 일 측면에 기존의 푸쉬 버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센서 패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좌측면에는 전원 버튼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센서 패드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일 측면에는 해당 측면의 거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바 형태인 하나의 센서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The sizes, positions, and shapes of th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can be ergonomical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Here, three sensor pads 130, 132, 134, 140, 142, and 14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another embodiment, one or more sensor pads may be installed on one or several sid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the sensor pads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 surfaces. As another embodim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nsor pa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on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ower button and one or more sensor pads. As another embodiment,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one sensor pad in the form of a bar occupying most of the side surface.

도 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일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우측면에는 볼륨 버튼(150)과, 2개의 센서 패드들(152,154)이 구비된다. 볼륨 버튼(150)은 우측면의 상단에 구비되고, 2개의 센서 패드들(152,154)은 우측면의 중간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1D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volume button 150 and two sensor pads 152 and 154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Respectively. The volume button 15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and the two sensor pads 152 and 154 may be provided at the middle and lower ends of the right side, respectively.

볼륨 버튼(150)은 2개의 푸쉬 입력을 가지는 푸쉬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상단에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을 터치형 푸쉬 버튼이라 칭하기로 한다. 터치형 푸쉬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 휴대 전자 기기(100)는 볼륨 버튼(150)의 터치 입력과 푸쉬 입력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The volume button 150 may be configured as a push button having two push inputs, or alternatively, as a push button having at least one touch pad at the top.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ush button having a touch pad at the top will be referred to as a touch push button hereinafte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figured as a touch-type pushbutt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touch input and the push input of the volume button 150 separate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200)는 기능 블럭(210)과, 제어부(220)와, 저장부(230)와, 전면 터치 스크린(240)과,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250,260)를 구비한다. 기능 블럭(210)은 동영상, 정지영상, 음악, 텍스트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능과, 음성통화 기능, 데이터 통신 기능, 메시지 전달 기능, 게임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능 블록(210)는 카메라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function block 210, a control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 front touch screen 240, at least one side surface sensor pad 250 and 260, Respectively. The function block 210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such as a multimedia function for playing back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still pictures, music and text,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a voice call function,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 message transfer function, a game function, . For example, the function block 21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not shown) to execute the camera function.

제어부(220)는 저장부(230) 혹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어, 전면 터치 스크린(240) 및 측면 센서 패드들(250,260)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능 블럭(210)의 기능수행을 제어하거나 터치 스크린(240)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및 기능 블럭(21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들과 컨텐츠들을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0 or the internal memory and may include a front touch screen 240 and side surface sensor pads 250 and 260, The user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lock 210 or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240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storage unit 230 stores program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function block 210.

전면 터치 스크린(24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동작하며 또한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메뉴 또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동작한다. 전면 터치 스크린(24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전면 터치 스크린(24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하고, 제어부(220)는 수신된 신호에 따른 정보가 전면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도록 전면 터치 스크린(240)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The front touch screen 240 functions as a means for sens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lso serves as means for displaying a menu or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0. [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front touch screen 240, the front touch screen 24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control unit 22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ront touch screen 240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40.

각 측면 센서 패드(250,260)는 휴대 전자 기기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20)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각 측면 센서 패드(250,260)로부터의 신호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능 블록(210) 및/또는 전면 터치 스크린(240)을 제어한다.Each of the side surface sensor pads 250 and 260 is locat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enses a user input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function block 210 and / or the front touch screen 240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signals from the respective side sensor pads 250 and 260 and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이하에서는 측면 센서 패드(250,260)를 통한 기능 제어의 일 예로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control of the camera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the side sensor pads 250 and 26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촬영을 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tarting shooting in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면 터치 스크린(110)과 일 측면에 위치하는 센서 패드(134)를 구비한다. 휴대 전자 기기(100)의 가로 파지 상태에서 센서 패드(134)는 휴대 전자 기기(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 이는 센서 패드(134)가 카메라의 셔터 버튼으로서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쉽게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front touch screen 110 and a sensor pad 134 located on one side. The sensor pad 134 is positioned at the upper righ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transverse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 This is to allow the sensor pad 134 to act as a shutter button of the camera so that it can easily touch the user's finger.

휴대 전자 기기(1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카메라 모듈(도시하지 않음)은 계속하여 활성화되어 매 순간마다 소정의 속도로 영상(images)을 캡춰하며, 전면 터치 스크린(110)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캡춰되는 영상(images)을 즉각적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을 라이브뷰(live view) 영상(300)이라 칭한다. When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camera module (not show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tinuously activated to capture images at a predetermined speed every moment, (110) immediately outputs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Such an image is referred to as a live view image 300.

휴대 전자 기기(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센서 패드(134)는 카메라의 셔터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즉,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라이브뷰 모드에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센서 패드(134) 상에서 사용자 입력(310),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해당 순간의 라이브뷰 영상(300)을 캡춰하여 저장한다.The sensor pad 134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functions as a shutter button of the camera. That is, in the live view mode in which the camera application is running, if the user input 310, for example, touch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134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captures and stores the live view image 300 at that moment.

라이브뷰 영상(300) 상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 키들, 일 예로서 셔터 키, 플래쉬 키, 설정 키, 동영상 전환 키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측면 센서 패드(134)의 위치를 가리키는 지시자(indicator)(320)를 더 표시한다. 일 예로서 지시자(320)는 터치 스크린(110) 중 측면 센서 패드(134)와 인접한 위치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측면 센서 패드(134)를 가리키는 정지 화살표 혹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화살표를 포함하는 작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지시자(320)는 사용자 설정, 혹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혹은 숨겨질 수 있다. On the live view image 300, soft keys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for example, a shutter key, a flash key, a setting key, a moving image switching key,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Further, a side sensor pad 134, And an indicator 32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20. [ As an example, the indicator 320 may be displayed at a location adjacent the side sensor pad 134 of the touch screen 110 and may be a small image that includes a stop arrow or a moving animation arrow pointing to the side sensor pad 134 . The indicator 320 may be changed or hidden depending on user settings or camera application settings.

다른 실시예로서 지시자(32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측면 센서 패드에 대응하여, 해당 측면 센서 패드를 입력 가능한 위치임을 알리거나 혹은 해당 측면 센서 패드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음 혹은 존재함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해당 측면 센서 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존재하는 동안, 지시자(320)는 점멸하거나 소정 애니메이션 움직임을 보이거나, 혹은 다른 색으로 바뀌게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dicator 320 may correspond to a side sensor pad associated with a running applic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at the side sensor pad is a possible location or to indicate that a user input is detected or exists on the side sensor pad . As an example, while the user's touch input is present on the corresponding side sensor pad, the indicator 320 may flash, display a predetermined animation motion, or be changed to a different color.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면 터치 스크린(110)과 상단 측면에 위치하는 2개의 센서 패드들(130,134)를 구비한다. 휴대 전자 기기(100)의 가로 파지 상태에서 센서 패드들(130,134)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쉽게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4A,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front touch screen 110 and two sensor pads 130 and 134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n order to allow the sensor pads 130 and 134 to easily touch the user's finger in the transverse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

휴대 전자 기기(1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라이브뷰 모드에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센서 패드(130) 상에서 사용자 입력(410),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면 터치 스크린(110)의 라이브뷰 영상(4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소프트 키들을 숨긴다. 이때 라이브뷰 영상(400) 상에 표시되는, 측면 센서들(130,134)을 가리키는 지시자들(420)은 소프트 키들과 함께 숨겨지거나, 혹은 변경 없이 유지되거나, 혹은 단순화된 지시자(440)의 형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순화된 지시자(440)는 작은 원 혹은 점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순화된 지시자(440)는 터치 스크린(110) 중 측면 센서 패드들(130,134)와 인접한 위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If the user input 410, e.g., a touch,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130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live view mode in which the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hides the soft keys displayed on the live view image 400 of the front touch screen 110 as shown in FIG. Indicators 420 that are displayed on the live view image 400 and pointing to the side sensors 130 and 134 may be hidden with the soft keys or maintained without modification or may be changed in the form of a simplified indicator 440 Can be displayed. As an example, the simplified indicator 440 may be a small circle or a point. Similarly, the simplified indicator 440 may be displaye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side sensor pads 130, 134 of the touch screen 110.

터치 스크린(110)에 라이브뷰 영상(400)과 함께 단순화된 지시자(440)가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라이브뷰 영상(400) 상에서 사용자 입력(430), 일 예로 터치가 감지되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430)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라이브뷰 영상(400)을 리포커스(refocus)하고, 동시에 단순화된 지시자(440)을 원래 형태의 지시자(420)으로 복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원래의 지시자(420)는 소정의 미리 지정된 시간(N초) 이후에 도 4b와 같이 단순화된 지시자(440)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430, e.g., a touch is detected on the live view image 400 while the simplified indicator 44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ogether with the live view image 4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refocuses the live view image 400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user input 430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simplified indicator 440 as the original indicator 420 Can be restored and displayed. The original indicator 420 may be changed to a simplified indicator 440 as shown in FIG. 4B afte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N seconds).

소프트 키들이 숨겨진 상태에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센서 패드(130) 상에서 사용자 입력(410)이 감지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숨겨진 소프트 키들을 복구하여 라이브뷰 영상(400) 상에 다시 표시한다. When the user input 410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130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state where the soft keys are hidd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restores the hidden soft keys, ).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도 4a,4b,4c의 상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셔터 버튼으로 동작하도록 지정된 우측 상단의 센서 패드(134)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 전자 기기(100)는 해당 순간의 라이브뷰 영상을 캡춰하여 저장할 수 있다.4A, 4B, and 4C,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at the upper right sensor pad 134 designated to be operated by the shutter butt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ment Live view images can be captured and save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영상의 초점을 고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fixing a focus of an image in a camera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면 터치 스크린(110)과 일 측면에 위치하는 터치형 푸쉬 버튼(150)을 구비한다. 휴대 전자 기기(100)의 가로 파지 상태에서 터치형 푸쉬 버튼(150)은 휴대 전자 기기(100)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다. 터치형 푸쉬 버튼(150)은 2개의 푸쉬 입력을 가지며, 상단에 터치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푸쉬 입력을 볼륨 업/다운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터치패드는 사용자 혹은 휴대 전자 기기(100)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구동한다.Referring to FIG. 5A,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front touch screen 110 and a touch-type push button 150 positioned on one side.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is positioned at the lower l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transverse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has two push inputs and a touch pad at the upper end. The two push inputs are for driving volume up / down, and the touch pad drives a function designated by the setting of the user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라이브뷰 모드에서, 휴대 전자 기기(100)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터치형 푸쉬 버튼(150) 상에서 사용자 입력(512), 일 예로서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해당 순간의 라이브뷰 영상(500)의 초점 및/또는 노출을 고정하여 표시한다. 즉 터치형 푸쉬 버튼(150)의 터치 입력은 카메라의 반셔터 기능을 작동시킨다. 반셔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512)이 해제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라이브뷰 영상(500)을 자동 초점 및/또는 자동 노출로 변경하여 출력한다.5B, in the live view mode in which the camera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input 512, the date, and the date are display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loc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when a touch is detect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fixes and displays the focus and / or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500 at that moment. That is, the touch input of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activates the half-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When the touch input 512 is released in the half-shutter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live view image 500 to auto focus and / or automatic exposure and outputs the same.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입력(512)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형 푸쉬 버튼(150)에서 푸쉬 입력(514)이 감지되면, 휴대 전자 기기(100)는 해당 순간의 라이브뷰 영상(500)을 캡춰하여 저장한다. 즉 터치형 푸쉬 버튼(150)의 푸쉬 입력은 카메라의 셔터 구동으로 동작한다.5C, when the push input 514 is sensed by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while the touch input 512 is being he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500 ) Is captured and stored. That is, the push input of the touch-type push button 150 operates by the shutter drive of the camera.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라이브뷰 영상(500) 상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 키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측면 센서 패드(150)의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지시자는 측면 센서 패드(134)를 가리키는 정지 화살표 혹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화살표를 포함하는 작은 이미지, 혹은 반셔터 기능을 형상화한 작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사용자 설정, 혹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혹은 숨겨질 수 있다.An indicat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ide sensor pad 150 coupled to the camera application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live view image 500 together with the soft keys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As an example, the indicator may be a small image that includes a stop arrow pointing to the side sensor pad 134 or a moving animation arrow, or a small image that features a half-shutter function. The indicator may be changed or hidden depending on user settings or camera application setting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센서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단면 및 전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and front view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ide sensor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휴대 전자 기기(100)은 전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전면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612)과, 측면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 베젤(600)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 패드(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패드(6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TSP(612)와 인접하여 TSP(612)와 동일한 계층에 위치하고 유리(61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 패드(610)는 터치 스크린 패널(612)와 연결되어, 확장된 터치스크린 패널(612)로서 구성될 수 있다. 6A,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front touch screen panel (TSP) 612 for detecting user input from the front s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sensor pad 610 disposed inside the side bezel 600. The sensor pad 6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be located in the same layer as the TSP 612 adjacent to the TSP 612 and protected by the glass 614. [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pad 610 may be coupled to the touch screen panel 612 and configured as an extended touch screen panel 612.

도 6b의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 베젤 내에서 양쪽에 각각 3개씩의 센서 패드들(610)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 패드들(610)에 의한 감지 결과는 인터페이스 유닛(630)에 의해 취합되며, 인터페이스 유닛(630)은 센서 패드들(610)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서 측면 사용자 입력이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한다.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6B, three sensor pads 61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pads 610 is collected by the interface unit 630. The interface unit 630 detects the presence of a side user input at a specific posi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pads 61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0.

손가락(605)(혹은 스타일러스 펜)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에 접촉할 시, 센서 패드(610)는 손가락(605)에 의한 캐패시턴스 변화(620)를 발생시킨다. 휴대 전자 기기(100)는 센서 패드(610)에서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캐패시턴스 변화(620)가 감지될 시 해당하는 위치의 측면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finger 605 (or the stylus pen) touches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sensor pad 610 generates a capacitance change 620 by the finger 60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de input at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a capacitance change 620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sensed in the sensor pad 610. [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100)는 베젤 내의 센서 패드(610)와 TSP(612)에 의한 감지 결과를 결합하여 측면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손가락(605)(혹은 스타일러스 펜)이 휴대 전자 기기(100)의 측면에 접촉할 시, 센서 패드(610)가 캐패시턴스 변화(620)를 발생시키는 한편, 전면에 위치한 TSP(612) 또한 손가락(605)의 호버링(Hovering)(622)을 감지하고 호버링 신호를 발생시킨다. 휴대 전자 기기(100)는 센서 패드(610)에서 고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캐패시턴스 변화(620)가 감지되고 또한 TSP(612)에서 해당 센서 패드(610)의 근접한 영역에서 호버링이 감지되었을 시, 측면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side input by combining the sensed result by the TSP 612 with the sensor pad 610 in the bezel. When the finger 605 (or the stylus pen) touches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sensor pad 610 generates the capacitance change 620, while the TSP 61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also causes the finger 605 To generate a hovering signal. When the capacitance change 620 exceeding the fixed reference value is sensed at the sensor pad 610 and hovering is detected at the proximate area of the sensor pad 610 in the TSP 612, Is pres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자 기기에서 카메라 촬영을 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or starting camera shoot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과정 70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표시되는 정보 중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단축 아이콘이나 소프트 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거나, 혹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지정된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고 과정 705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7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execution of a camera application is requested.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 input on a shortcut icon or a soft key interlocked with the camera application amo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r when an input of a hardware button designated for execu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05. In step 705,

과정 70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과정 71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영상에 중첩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추가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In step 70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rts outputting the live view image to the front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in step 71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uperimposed on the live view image and includes at least one soft key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soft key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ide sensor pad, Can be displayed.

과정 71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는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의 우측면 하단에 위치하는 센서 패드(134)가 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과정 705로 복귀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모드에서 소프트 키 혹은 하드웨어 버튼을 통한 입력이 있을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71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ecks whether a sensor pa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nses user input. The sensor pa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sensor pad 134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f there is no user input sensed by the sensor pa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705 to continuously display the live view image. Although not show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through a soft key or a hardware button in a live view mode.

반면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센서 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과정 72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해당 순간의 영상을 캡춰하고, 과정 705로 복귀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캡춰된 영상은 소정 시간(일 예로 2초) 동안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during the display of the live view imag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tures an image of the moment at step 720, and returns to step 705 to continuously display the live view image. At this time, the captur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wo second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자 기기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amera applicat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과정 80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단축 아이콘이나 소프트 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거나, 혹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지정된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고 과정 805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8, in step 8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execution of a camera application is requested.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 input on a shortcut icon or a soft key interlocked with a camera application, or when an input of a hardware button designated for execu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requested And proceeds to step 805. [

과정 80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과정 81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영상에 중첩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추가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더 표시한다.In step 80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rts to output the live view image on the front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in step 81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soft key for superimposing on the live view image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soft key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side sensor pad, Show more indicators.

과정 81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는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의 우측면 상단에 위치하는 센서 패드(130)가 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지는 위치의 센서 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과정 805로 복귀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모드에서 소프트 키 혹은 하드웨어 버튼을 통한 입력이 있을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81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ecks whether a sensor pa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nses user input. The sensor pa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sensor pad 130 locat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f there is no user input sensed by the sensor pa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805 to continuously display the live view image. Although not show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through a soft key or a hardware button in a live view mode.

반면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센서 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과정 82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 스크린 상의 라이브뷰 영상 내에서 표시되고 있던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숨긴다. 더불어 휴대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 스크린 상의 라이브뷰 영상 내에서 표시되고 있던 측면 센서 패드에 대응하는 각 지시자를 미리 정해지는 단순화된 지시자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소프트 키가 숨겨진 상태에서도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a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sensor pad during the display of the live view imag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ides at least one soft key displayed in the live view image on the front touch screen in step 820.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each of the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side sensor pads displayed in the live view image on the front touch screen with a predetermined simplified indicat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inuously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even when the soft key is hidden.

과정 82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소프트 키의 숨김 상태에서 좌상단 센서 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과정 810로 복귀하여 라이브뷰 영상 상에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측면 센서 패드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다시 표시한다. In step 82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rms whether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upper left sensor pad in the hidden state of the soft key.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turns to the process 810 to display at least one soft key on the live view image, The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d is displayed again.

과정 83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소프트 키의 숨김 상태에서 전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 일 예로 터치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전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과정 83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을 변경한다. 더불어 휴대 전자 기기는 단순화된 지시자를 원래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In step 83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 e.g., a touch, is detected on the front touch screen in the hidden state of the soft key.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front touch scre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nges the focus of the live view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user input in step 835.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change the simplified indicator to its original form.

과정 84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리포커스 이후 소정 시간, 일 예로 N초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N초가 경과되었으면 과정 820으로 복귀한다.In step 84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e.g., N seconds, has elapsed since the refocus, and returns to step 820 if N seconds have elaps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초점을 고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fixing focus in a camera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과정 90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휴대 전자 기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단축 아이콘이나 소프트 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거나, 혹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지정된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고 과정 905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9, in step 9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execution of a camera application is requested.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 input on a shortcut icon or a soft key interlocked with a camera application, or when an input of a hardware button designated for execu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is requested And proceeds to step 905. [

과정 90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기 시작한다. 선택적인 동작으로서, 과정 91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영상에 중첩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추가적으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와 터치형 푸쉬 버튼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In step 90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rts to output the live view image to the front touch screen. As an optional operation, in step 91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erimposes the live view image and includes at least one softkey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at least one side sensor pad designated to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additionally, At least one indicat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ush button may be displayed.

과정 91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지정된 측면 위치(일 예로 우측면 상단)에 존재하는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과정 905로 복귀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나 휴대 전자 기기는 라이브뷰 모드에서 소프트 키 혹은 하드웨어 버튼을 통한 입력이 있을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91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ecks whether the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existing at a designated side position (for example, the upper right side). If the detected touch input does not exis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905, Continue to display. Although not show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through a soft key or a hardware button in a live view mode.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과정 920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반셔터가 트리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순간에서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 및 노출을 고정한다. 과정 92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반셔터 상태에서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푸쉬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반셔터 상태에서 터치형 푸쉬 버튼을 통해 푸쉬 입력이 감지되었으면, 과정 935에서 휴대 전자 기기는 해당 순간의 라이브뷰 영상을 캡춰한다. 이때 상기 캡춰된 영상은 소정 시간(일 예로 2초) 동안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during the display of the live view imag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at the half-shutter is triggered in step 920, and fixes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at that moment. In step 92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us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in the half-shutter state. If the push input is sensed through the touch-type push button in the half-shutter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tures the live view image at that instant in step 935. At this time, the captur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wo seconds).

과정 930에서 반셔터 상태에서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음을 감지하였을 시, 휴대 전자 기기는 초점 및 노출의 고정을 해제하고 과정 905로 복귀하여 자동 초점 및/또는 자동 노출을 포함하는 라이브뷰 영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When it is detected in step 930 that the touch input is releas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in the half-shutter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cels the focus and exposure and returns to step 905 to display live view Continue to display the im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The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추출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추출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전자 기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 할 수 있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olor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uch arbitrary software may be stored in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ROM or the like,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 Or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such as a CD, a DVD, a magnetic disk, or a magnetic tape, as well as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A color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memory, and the memory stores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embody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is an example of a suitable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include a program includ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the claims herein, and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for storing such a program. In addition, such a program can be electronically transferred through a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include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색상 추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nd store the program from a program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The program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color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o transmit the progr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upon reques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or automatically.

Claims (26)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하나 이상의 센서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실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출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least one sensor pa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figured to sense user input,
Executing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on the touch screen and outputting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ecute a designa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when it is det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 중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셔터 기능을 작동시키는 입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n input for activating a 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while the camera application is run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 중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반셔터 기능 및 셔터 기능을 작동시키는 입력들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inputs for operating a half-shutter function and a 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whi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running a camera applic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에 위치하며, 상단에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The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push button located at a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touch pad at an upp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베젤 내에 위치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연장된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an extended area of the touch screen located in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베젤 내부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pad comprises:
And a touch pad disposed inside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의 위치를 가리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position of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notifies the presence of a user input in a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에 의해 감지되는 캐패시턴스 변화량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지되는 호버링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사용자 입력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ide user inpu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pad and hovering sensed by the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가로파지 상태에서 우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의 영상을 캡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camera application outputs a live view image to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n execution request,
Wherein the first sensor pad located at the upper right end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in the lateral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nses a user input during the output of the live view image,
And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capturing an image of the mo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패드 중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가로파지 상태에서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숨기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가 숨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 패드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다시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1,
Outputting a live view image to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n execution request of the camera application,
At least one soft key superimposed on the live view image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indicator indica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side sensor pad designated to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whether the first sensor pad located at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detects a user input in a lateral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uring the output of the live view image,
Hide the at least one soft key in the live view image when the user input is sensed,
Wherein the at least one soft key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at least one soft key on the live view image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pad while the at least one soft key is hidde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숨기면서,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미리 정해지는 단순화된 지시자로 변경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t least one softkey is configured to hide the at least one softkey from the live view image and at the same time change the at least one indicator to a predetermined simplified indic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미리 지정된 위치의 터치형 푸쉬 버튼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 및 노출을 고정하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 및 노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푸쉬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의 영상을 캡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1,
Outputting a live view image to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n execution request of the camera application,
When the touch input is sensed by a touch-type push butt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at least one sensor pad during the output of the live view image,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are fixed at a corresponding moment,
Wherein when the pus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in a state in which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are fix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tures an image of the moment when the push input is detected.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하나 이상의 센서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전면에 배치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 대응되는 지시자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센서패드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xecuting on the touch screen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sensor pad of at least one sensor pa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figured to sense user input;
Outputting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a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n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xecuting a designate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on the first sensor pa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 중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셔터 기능을 작동시키는 입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n input for activating a 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whi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executing a camera applic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 중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 전자 기기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반셔터 기능 및 셔터 기능을 작동시키는 입력들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in the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inputs for operating a half-shutter function and a 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application whi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executing a camera applica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영역에 위치하며, 상단에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7. The system of claim 16,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push button located at a side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touch pad at an upper end thereof.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 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베젤 내에 위치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연장된 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an extended area of the touch screen located in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는,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베젤 내부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pad comprises:
And a touch pad disposed inside the side bezel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의 위치를 가리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is indicat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센서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And informing that there is a user input in a sensor pad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에 의해 감지되는 캐패시턴스 변화량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지되는 호버링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측면 사용자 입력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de user inpu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apacitance change amoun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pad and hovering sens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가로파지 상태에서 우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의 영상을 캡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n execution request of the camera applic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ensor pad located at the upper right end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detects a user input in a lateral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uring outputting the live view image;
And capturing an image of the moment when the user input is sensed.
제 14 항에 있어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중첩하여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와,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센서 패드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패드 중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가로파지 상태에서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센서 패드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숨기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가 숨겨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 패드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다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Outputting a live view image to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request to execute a camera application;
Displaying at least one softkey for controlling the camera application superimposed on the live view image and at least one indicator indica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side sensor pad designated to control the camera application; ,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ensor pad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the at least one sensor pad senses a user input in a lateral grip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uring outputting the live view image;
Hiding the at least one soft key in the live view image when the user input is detected;
And displaying the at least one soft key on the live view image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pad while the at least one soft key is hidden. / RTI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숨기면서,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미리 정해지는 단순화된 지시자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changing at least one indicator to a predetermined indicator to hide the at least one soft key while simultaneously hiding the at least one soft key in the live view image.
제 14 항에 있어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뷰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드 중 미리 지정된 위치의 터치형 푸쉬 버튼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 및 노출을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초점 및 노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형 푸쉬 버튼 상에서 푸쉬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순간의 영상을 캡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Outputting a live view image to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request to execute a camera application;
When the touch input is sensed by a touch-type push butt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at least one sensor pad during the output of the live view image, fixing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at the moment,
And capturing an image at a moment when the pus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type push button when the focus and exposure of the live view image are fixed.
KR1020140021430A 2014-02-24 2014-02-24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000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30A KR20150100081A (en) 2014-02-24 2014-02-24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30A KR20150100081A (en) 2014-02-24 2014-02-24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081A true KR20150100081A (en) 2015-09-02

Family

ID=5424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430A KR20150100081A (en) 2014-02-24 2014-02-24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08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280A1 (en)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ouch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280A1 (en)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ouch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6055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53104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1200834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physical key function with soft key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30114764A (en) Temporally separate touch input
KR2015011913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KR102161061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CN10380990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TWI540492B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CA2897131C (en) Off-center sensor target region
JP59113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device
JP55159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00081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de touch inpu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309601A1 (en) Touch input system and input control method
JP201504612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8410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12221219A (en) Portable terminal
JP590832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rogram
JP6762723B2 (en) Record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recording device
KR20120113834A (en) E-book terminal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1613097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WO2018212866A1 (en) Object selection mode
JP201406716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6810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