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503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503A
KR20150095503A KR1020140016909A KR20140016909A KR20150095503A KR 20150095503 A KR20150095503 A KR 20150095503A KR 1020140016909 A KR1020140016909 A KR 1020140016909A KR 20140016909 A KR20140016909 A KR 20140016909A KR 20150095503 A KR20150095503 A KR 2015009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candidate
detect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우
김일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5503A/en
Publication of KR2015009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5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terminal detects a current position, and detects a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a database which stores the candidate beam I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terminal then measures the signal intensity of a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ndidate beam ID and transmits the signal intensity to a serving base station. If the following terminal receives a handover comman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 new beam is connected.

Description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본 발명은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 beam base station.

최근 이동 통신에서 SHF(super high frequency), EHF(extreme high frequency) 대역 등과 같이 SHF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통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대역의 전파는 현재 이동 통신 대역에 비해서 자유 공간 손실이 심하고, 대기 및 강우 감쇠의 손실이 크다. 또한 이 대역의 전파는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 및 투과에 의한 전파 손실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서 SHF 대역 이상의 전파는 안테나의 에너지를 집중시켜서 좁은 빔(narrow beam) 형태로 방사된다.In recent mobile communication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ommunication using frequency bands of SHF or higher, such as SHF (super high frequency) and EHF (extreme high frequency) bands. In this band, the free-space loss is larger than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nd, and the loss of air and rain attenuation is large. Also, the radio wave in this band has a strong directivity and a large propagation loss due to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loss, the radio waves of the SHF band or more concentrate the energy of the antenna and are emitted in the form of a narrow beam.

이동 통신에서는 단말을 따라서 이동하는 빔이 사용되거나, 일정 영역을 커버하는 일정 방향의 빔들이 전체 영역을 나누어서 커버하는 다중 빔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중 빔의 경우, 기지국은 자신의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많은 좁은 빔을 사용한다.In mobile communication, a beam traveling along a terminal may be used, or a multi-beam type in which beams in a certain direction covering a certain area are divided and covered the entire area may be used. In the case of multiple beams, the base station uses many narrow beams to cover its cell area.

한편, 다중 빔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서 단말의 서빙 빔을 교체하기 위한 빔 스티어링(steering) 또는 빔 스위칭이 필요하다. 서빙의 빔 교체에 따른 절차를 빔 핸드오버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multiple beams, beam steering or beam switching is required to replace the serving beam of the terminal as the terminal moves. The procedure for beam replacement of the serving can be referred to as beam handover.

빔은 그 커버하는 영역이 좁기 때문에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과 달리 빔 핸드오버는 매우 잦은 속도로 일어난다. 빔 핸드오버를 위해서 단말은 주변 빔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빔의 세기를 기지국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모든 주변 빔의 세기를 측정해야 하고, 또한 빔을 구분하기 위해서 빔의 식별자(ID)와 기지국 ID의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빔 핸드오버를 위해 단말과 기지국이 많은 제어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에 따라 빔 핸드오버에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beam coverage is narrow, beam handover occurs at a very high rate, unlike conventional cellular communications. For beam handover, the terminal measures the intensity of the surrounding beam and transmits the measured beam intensity to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UE must measure the intensity of all the surrounding beams,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beam,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D of the beam and the ID of the base station. Therefore, Exchange. Thus, a time delay may occur in the beam handover.

또한, SHF 대역 이상의 전파는 직진성이 강하므로, 갑자기 신호가 매우 미약해져서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서로 직진성이 있는 빔을 가지고 방향을 맞추어야 하는 초기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초기화 과정에 따라 많은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dio wave of the SHF band or more has a strong directivity, the signal is suddenly very weak and the connection is frequently terminat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itialize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order to align the direction with a beam having a directivity to each oth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capable of reducing time delay.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위치에 따른 후보 빔 식별자(identifier, ID)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후보 빔 ID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후보 빔 ID에 대응하는 후보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빔 중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am-base station connection method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includes: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a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a database storing a candidate beam identifier (ID) according to the position; Measuring a signal intensity of a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a candidate beam ID, transmitting the signal strength to a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perform a handover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a target one of the candidate beams, And handover to the target beam.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may include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후보 빔 ID가 속한 기지국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database may further store an ID of a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ID belongs.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할 수 있다.Each of the base stations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divide the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e.

이때, 각 기지국은 SHF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base station can use a beam having a band of SHF or hig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빔 기지국 연결 장치는 GPS 모듈,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GPS 모듈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위치에 따른 후보 빔 ID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에 해당하는 후보 빔 ID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후보 빔 ID에 대응하는 후보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신호 세기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빔 중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라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of a terminal in a multi-bea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he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GPS module, a database, a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e GPS module outpu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the database stores a candidate beam I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processor detects a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atabase, measures a signal intensity of a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ndidate beam ID, and performs a handover according to a handover comm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signal strength to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receives the handover command to perform handover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target beam among the candidate beams.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후보 빔 ID가 속한 기지국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database may further store an ID of a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ID belongs.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할 수 있다.Each of the base stations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divide the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e.

이때, 각 기지국은 SHF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base station can use a beam having a band of SHF or hig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은,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를 상실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서 빔 방향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빔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am-base station connection method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when the servic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ost,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a database storing a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Selecting a beam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performing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beam of the detected base station based on the selected beam direction.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may include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a GPS module.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빔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database may further store an ID of a beam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할 수 있다.Each of the base stations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divide the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e.

이때, 각 기지국은 SHF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base station can use a beam having a band of SHF or hig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빔 기지국 연결 장치는 GPS 모듈,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서을 포함한다. 상기 GPS 모듈은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를 상실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서 빔 방향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빔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of a terminal in a multi-bea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he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GPS module, a database, and a processor. The GPS module outpu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servic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ost, and the database stores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processor detects a position of a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atabase, selects a beam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determines, based on the selected beam direction, And performs the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beam.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빔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database may further store an ID of a beam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할 수 있다.Each of the base stations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divide the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e.

이때, 각 기지국은 SHF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base station can use a beam having a band of SHF or high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와 기지국과 연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signals transmit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the time taken to connect to the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에서 단말의 빔 방향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bea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direction selection of a terminal in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UE, MT, MS, AMS, HR-MS, SS, PSS,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terminal (MT), a mobile station (MS),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MS, AMS, HR-MS, SS, PSS, AT, and the like.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B),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B, BS, ABS, HR-BS AP, RAS, BT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Also, a base station (BS) includes a node B, an evolved node B, an advanced base station (ABS), a 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 (B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BS AP, RAS, BTS, and the like.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고하여서 설명한다.First,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beam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빔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은 복수의 빔을 사용하여서 자신의 셀 영역을 나누어서 서비스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A(110)는 자신의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A1, A2, A3)로 나누어서 서비스하고, 기지국 B(120)는 자신의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B1, B2, B3)로 나누어서 서비스하고, 기지국 C(130)는 자신의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C1, C2, C3)로 나누어서 서비스한다. 이와 같이 자신의 셀 영역을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빔 기지국이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ach base station divides its cell region using a plurality of beams and provides service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A 110 divides its cell area into a plurality of beam areas A1, A2, and A3, and the base station B 120 services its cell area into a plurality of beam areas B1, B2 And B3, and the base station C 130 divides its cell area into a plurality of beam areas C1, C2, and C3, and services the cell areas. In this way, a base station serving a service by dividing its cell region into a beam region can be referred to as a beam base station.

도 1에서는 각 기지국이 세 개의 빔을 관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도심 지역에서 도로변의 건물에 기지국(110, 120, 130)이 형성되는 환경을 예시하였다. 또한 이동체(140)가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환경을 예시하였다.In FIG. 1, each base station manages three beams, and an environment in which base stations 110, 120, and 130 are formed in a building on a roadside in an urban area is exemplified. And also illustrate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obile unit 140 moves along the road.

각 빔은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으며, 각 기지국은 빔 영역에 있는 단말과 링크를 형성하여서 해당 빔을 통해 통신한다. 빔들의 지향 영역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빔에 속한 단말들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Each beam has a unique ID, and each base station forms a link with a terminal in the beam area and communicates through the beam. Since the directing regions of the bea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erminals belonging to different beams can be spatially separated and use the same frequency.

한편, 단말이 이동하면 현재 서비스 빔 영역을 벗어나 새로운 빔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빔 핸드오버를 통해서 새로운 빔 영역에서 서비스를 계속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e station moves, it can enter the new beam area beyond the current service beam area.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continue to receive service in the new beam area through the beam handover.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of a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고하면, 빔 기지국 연결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10),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220), 프로세서(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한다. 도 2의 빔 기지국 연결 장치는 단말에 포함되거나 단말 그 자체일 수 있다.2, the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210, a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a processor 2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240. The beam 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of FIG. 2 may be included in the terminal or may be the terminal itself.

GPS 모듈(210)은 GPS 위성과 통신하여서 단말의 현재 위치의 좌표를 검출한다.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220)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후보 빔의 ID를 저장하고 있으며, 후보 빔이 속한 기지국의 ID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서 핸드오버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 모듈(240)은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는다.The GPS module 210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by communicating with the GPS satellite.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stores the ID of the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may also store the I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belongs. The processor 230 executes the instructions necessary for the handover by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or loaded in a memory (not shown).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exchanges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메모리는 프로세서(230)에서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별도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2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와 메모리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통신 모듈(240), 저장 장치,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instructions for execution by the processor 230, or temporarily store instructions by loading the instructions from a separate storage device (not shown).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may also be stored in a memory or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At this time, the processor 230 and the memor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not shown),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bus. Further,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module 240, a storage device, an input device, a display, and a speaker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한편,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220)는 갱신될 수 있으며, 통신 모듈(240)을 통해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갱신 정보에 의해 갱신되거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갱신 정보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can be updated and updated by the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lik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or updated by the updat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을 가진 이동체가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GPS 모듈(210)을 통해 자신의 현재 좌표를 검출한다(S310). 단말은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현재 좌표에 해당하는 후보 빔의 ID를 읽는다(S320). 이때, 필요한 경우 단말은 후보 빔이 속한 기지국의 ID도 읽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a moving object having a terminal moves, the terminal detects its current coordinates through the GPS module 210 (S310). The terminal reads the ID of the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coordinate from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S320).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terminal can also read the I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belongs.

다음, 단말은 후보 빔 ID에 해당하는 후보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S330), 측정한 신호 세기를 현재의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40).Then, the terminal measures the signal intensity of the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candidate beam ID (S330), and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o the current serving base station (S340).

기지국은 후보 빔의 신호 세기가 현재 서빙 빔의 신호 세기보다 클 때, 해당하는 후보 빔, 즉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단말에게 명령한다(S350).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 후보 빔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고(S360), 핸드오버에 따라 현재의 서빙 빔과의 연결을 끊고 새로운 빔으로 연결한다(S370).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ndidate beam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current serving beam, the base station instructs the terminal to perform handover to the corresponding candidate beam, that is, the target beam (S350). In step S360, the MS performs handover to the candidate beam in step S360. In step S360, the MS disconnects the current serving beam and links the new beam to the new beam according to the handov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빔의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로 알려주거나 단말이 후보 빔의 ID를 검출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와 핸드오버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candidate beam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r the terminal detects the candidate beam I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be reduced, Consuming and handover processing time can be reduced.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단말을 가진 이동체가 S 지점에서 F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럼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C1 영역에서 C2 영역으로의 핸드오버, C2 영역에서 C3 영역으로의 핸드오버, C3 영역에서 B1 영역으로의 핸드오버, B1 영역에서 A1 영역으로의 핸드오버, A1 영역에서 A2 영역으로의 핸드오버, A2 영역에서 A3 영역으로의 핸드오버가 차례로 진행된다.Referring again to FIG. 1, it is assumed that a moving object having a terminal moves from an S point to an F point. Therefore, the handover from the C1 area to the C2 area, the handover from the C2 area to the C3 area, the handover from the C3 area to the B1 area, the handover from the B1 area to the A1 area, Handover to the A2 area, and handover from the A2 area to the A3 area are sequentially performed.

예를 들어, 이동체가 C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C2 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후보 빔은 C1 영역의 빔과 C3 영역의 빔이다. 이때,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는 C2 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후보 빔의 ID로 C1 영역의 빔 ID와 C3 영역의 빔 ID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단말은 이들 ID를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서 C1 영역의 빔과 C3 영역의 빔의 신호 세기만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이동체가 교차로 지역인 B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체의 단말은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B1 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후보 빔 ID로 C3 영역의 빔 ID, B2 영역의 빔 ID, A1 영역의 빔 ID 및 D3 영역의 빔 ID를 읽어와서 이들 빔의 신호 세기만 측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in the C2 region, the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C2 region is the beam in the C1 region and the beam in the C3 region. At this time, since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stores the beam ID of the C1 region and the beam ID of the C3 region as the IDs of the candidate beam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C2 region, the terminal reads these IDs from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Only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m of the area is measured. Likewise, when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in the area B1, which is an intersection area, the terminal of the moving object receives the beam ID of the C3 area, the beam ID of the B2 area, and the beam ID of the A1 area from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with the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B1 area And the beam ID of the D3 area, and measures only the signal intensity of these beams.

이와 같이 단말은 위치에 따라 정해진 후보 빔의 신호 세기만 측정하며 되므로, 많은 인접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을 통해 인접 빔의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Since the terminal measures only the signal intensity of the candidate beam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measuring the signal intensity of many adjacent beams and to perform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eam through the base station You do not have to.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기지국 연결 방법에서 단말의 빔 방향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direction selection of a terminal in a beam-base-st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FIG.

도 4를 참고하면, 교차로에서 기지국 D(410)가 빔 영역(D1)를 서비스하고, 기지국 E(420)가 빔 영역(E1)를 서비스한다. 이때, 단말을 가진 이동체가 D1 영역에서 E1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건물이나 물체에 의해서 전파 경로가 방해 받는다면 빔의 직진성으로 인해 단말이 빔 핸드오버를 하지 못하고 기지국 D(410)의 서비스를 상실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새로운 기지국 E(420)와 연결하기 위해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 in an intersection, base station D 410 serves beam area D1 and base station E 420 serves beam area E1. At this time, if the moving object having the terminal moves from the D1 region to the E1 region, if the propagation path is obstructed by a building or an object, the terminal can not perform beam handover due to the straightness of the beam, can do. In this case, the terminal performs an initialization operation to connect to the new base station E 42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도 2의 220)는 현재 좌표가 속하는 기지국의 좌표와 빔 ID를 더 저장하고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in FIG. 2) further stores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urrent coordinate belongs and the beam ID.

도 5를 참고하면, 이동체가 이동하여서 단말이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를 상실한 경우(S510), 단말은 GPS 모듈(도 2의 210)을 통해 자신의 현재 좌표를 검출한다(S520). 단말은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도 2의 220)로부터 현재 좌표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좌표와 빔 ID를 읽는다(S530). 다음, 단말은 기지국의 좌표와 자신의 좌표의 상관 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안테나의 빔 방향을 선택한다(S540).Referring to FIG. 5, if the mobile body moves and the terminal loses servic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S510), the terminal detects its current coordinates through the GPS module (210 of FIG. 2) (S520). The terminal reads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coordinates and the beam ID from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FIG. 2) (S530). Next, the terminal selects the beam direction of its antenna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and its own coordinates (S540).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단말은 예를 들어 반경 360도를 30도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자신의 현재 위치와 연결한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해서 자신의 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과의 각도를 계산하고, 각도에 기초해서 12개의 빔 방향 중에서 빔을 방사할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terminal can manage, for example, by dividing a 360-degree radius into a 30-degree beam area. At this time, the beam direction of the terminal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itself. That is, the terminal can calculate the angle with the base station and select the direction from which to radiate the beam out of the twelve beam directions based on the angle.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단말은 선택한 빔 방향으로 빔포밍을 수행하여서 새로운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S550). 이때, 단말이 좌표 빔 데이터베이스(도 2의 220)로부터 현재 좌표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빔 ID를 읽어서, 해당 빔으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연결 동작 수행 전에 기지국과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the UE performs beamforming in the selected beam direction and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beam of the new base station (S550). 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read the beam ID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coordinates from the coordinate beam database (220 in FIG. 2), and can perform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beam. Also, the UE can perform a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process with the Node B before performing the connection operation.

도 5에서 설명한 동작은 도 2의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described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processor 230 of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새로운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할 때, 빔의 방향을 미리 결정해서 연결 동작을 수행하므로, 기지국과 연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기지국의 빔 ID도 미리 읽어서 연결 동작을 수행하므로, 제어 신호의 전송 및 기지국과 연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connects with the beam of the new base station, the terminal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beam in advance and performs the connection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lso, since the beam ID of the new base station is read in advance and the conn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8)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위치에 따른 후보 빔 식별자(identifier, ID)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후보 빔 ID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후보 빔 ID에 대응하는 후보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빔 중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to a terminal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tecting a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a database storing a candidate beam identifier (ID) according to the position,
Measuring a signal intensity of a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ndidate beam ID,
Transmitting the signal strength to a serving base stati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handover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a target one of the candidate beams; and
Handover to the target beam
Gt; a < / RTI >
제1항에서,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cting the current location comprises detecting the current location via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후보 빔 ID가 속한 기지국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further stores an ID of a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ID belongs.
제1항에서,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base station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a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ices the beam region.
제4항에서,
각 기지국은 SHF(super high frequency)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base station uses a beam in a band of super high frequency (SHF) or higher.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장치로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출력하는 GPS 모듈,
위치에 따른 후보 빔 식별자(identifier, ID)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에 해당하는 후보 빔 ID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후보 빔 ID에 대응하는 후보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신호 세기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후보 빔 중 타깃 빔으로 핸드오버하라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1. A beam-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GPS module for outpu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 database storing a candidate beam identifier (ID) according to the position,
A processor for detecting a candidate beam I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atabase, measuring a signal intensity of a candidate bea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andidate beam ID, and performing a handover according to a handover comm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handover command to transmit the signal strength to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o perform handover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to the target beam among the candidate beams,
And a base station.
제6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후보 빔 ID가 속한 기지국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tabase further stores an ID of a base station to which the candidate beam ID belongs.
제6항에서,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base station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a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provides service.
제8항에서,
각 기지국은 SHF(super high frequency)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base station uses a beam in a band of super high frequency (SHF) or higher.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를 상실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서 빔 방향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빔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A method of connecting a beam to a terminal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f the servic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ost;
Detecting a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a database storing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Selecting a beam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ed base station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Performing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beam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selected beam direction
Gt; a < / RTI >
제10항에서,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etecting the current location comprises detecting the current location via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제10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빔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atabase further stores an ID of a beam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terminal.
제10항에서,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ach base station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a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services the beam region.
제13항에서,
각 기지국은 SHF(super high frequency)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하는 빔 기지국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each base station uses a beam in a band of super high frequency (SHF) or higher.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빔 기지국 연결 장치로서,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를 상실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출력하는 GPS 모듈,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서 빔 방향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빔 방향에 기초해서 상기 검출한 기지국의 빔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1. A beam-base station connection apparatus of a terminal in a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GPS module for outpu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service of the serving base station is lost,
A database stor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atabase, selecting a beam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ed base station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connecting the detected base station beam based on the selected beam direction, The processor
And a base station.
제15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빔의 ID를 더 저장하고 있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atabase further stores an ID of a beam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terminal.
제15항에서,
상기 다중 빔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은 셀 영역을 복수의 빔 영역으로 나누어서 서비스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each base station of the multi-bea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a cell region into a plurality of beam regions and provides service.
제17항에서,
각 기지국은 SHF(super high frequency) 이상의 대역의 빔을 사용하는 빔 기지국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Each base station uses a beam in a band of super high frequency (SHF) or higher.
KR1020140016909A 2014-02-13 2014-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KR201500955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09A KR20150095503A (en) 2014-02-13 2014-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09A KR20150095503A (en) 2014-02-13 2014-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503A true KR20150095503A (en) 2015-08-21

Family

ID=5405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909A KR20150095503A (en) 2014-02-13 2014-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5503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87A (en)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8886725A (en) * 2016-04-01 2018-11-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For promoting the network equipment,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the switching of terminal device
KR101957786B1 (en) 2017-12-18 2019-03-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90073159A (en)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KR102024313B1 (en) 2018-11-09 2019-09-24 (주)모비안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KR20190115905A (en)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5904A (en)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JP2020502883A (en) * 2016-11-04 2020-01-2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Beam identification to access target cell for wireless handover
KR20220037336A (en) 2020-09-17 2022-03-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Gas supply apparatus, lithography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6725A (en) * 2016-04-01 2018-11-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For promoting the network equipment,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the switching of terminal device
JP2020502883A (en) * 2016-11-04 2020-01-2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Beam identification to access target cell for wireless handover
US11856466B2 (en) 2016-11-04 2023-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handover
KR20180099387A (en)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957786B1 (en) 2017-12-18 2019-03-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base st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90073159A (en)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KR20190115905A (en)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5904A (en)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KR102024313B1 (en) 2018-11-09 2019-09-24 (주)모비안 method for managing of mobile Xhaul network
KR20220037336A (en) 2020-09-17 2022-03-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Gas supply apparatus, lithography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5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beam base station
US9338662B2 (en) Method for inter-beam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cross polariz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US8306572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KR20210066869A (en) Measuring method and device
US20090253438A1 (en) Mobile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5769506A (en) Method for SRS with reduced positioning resource overhead in multiple RTTs
CN101584153B (en) 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WO2010133029A1 (en) Automatically dir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tenna
TW200629943A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s for handoff of a mobile unit operating with a switched beam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ystem
WO2005079081A8 (en) Method for identifying pre-candidate cells for a mobile unit
WO2019179305A1 (en) Signal receiving method and signal receiving apparatus
WO2021114828A1 (en) Airwa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4424465A (en) Polarization aligned transmission towards a receiver device
CN104507160B (en) Wireless network localization method, access point and location-server
US10725181B2 (en) In-band pseudolite wireless positioning method, system and device
US20230275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eration mode,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00186205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505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US102510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link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KR101269551B1 (en) Mobile Satellit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thereof
CN109495153B (en) Heterogeneous network,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beam training and tracking
US20230114713A1 (en) Radio frequency (rf)-based ranging and im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 particularl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cs)
US11476909B2 (en) Automatic antenna beam alignment
KR20150085720A (en)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beam direction of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10498027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forming a radio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