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966A -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 Google Patents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966A
KR20150092966A KR1020140013639A KR20140013639A KR20150092966A KR 20150092966 A KR20150092966 A KR 20150092966A KR 1020140013639 A KR1020140013639 A KR 1020140013639A KR 20140013639 A KR20140013639 A KR 20140013639A KR 20150092966 A KR20150092966 A KR 2015009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e
smart terminal
operation signal
le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병
손우익
Original Assignee
(주)신라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신라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1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2966A/en
Publication of KR2015009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9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lamp control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lamp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mode by a smart terminal, wherein an LED lighting lamp installed in a house or a building or on a street or a park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terminal in which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can be controlled by only selecting each mode in an interface of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activated in the smart terminal after setting and pre-storing a lighting condition proper for a certain condition.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mode by a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이나 건물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등 또는 거리나 공원에 설치된 LED 조명등을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제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특정 상황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다수의 모드로 설정하여 미리 저장해 놓은 후 스마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LED lighting installed in a house or a building or an LED lighting installed in a street or a park by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by simply selecting each mode on the interface of the mobile application which is activated in the smart terminal after presetting the lighting condition suitable for the specific situation in a plurality of mod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by a smart terminal.

최근 전력소모가 적고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으며 친환경적인 LED 조명등이 폐기시 유출되는 수은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던 종래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대체수단으로 각광받게 됨에 따라 그 보급도 활성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LED lamps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semi-permanent lifespan have been popularized as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incandescent lamps or fluorescent lamps, which have cause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mercury that is released during disposal.

이러한 LED 조명등의 경우 종래의 백열등이나 형광등과는 달리 조도의 조절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LED 조명등 조절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TV 시청, 식사, 독서, 공부시에 자신에게 적합한 조도를 일일이 기억하고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사용하면서 익숙하게 된 습관을 따라 단순한 온 오프 조작에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In the case of LED lighting, unlike conventional incandescent lamps and fluorescent lamp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lluminance. However, it is troublesome to operate the LED lighting adjustment switch and memorizes the illumination suitable for watching TV, eating, reading and studying It is often the case that simple on-off operations follow the habit of becoming accustomed to using incandescent lamps or fluorescent lamps.

또한, 최근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확충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정 내의 LED 조명등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nipulate LED lighting in a home using a smart phone as the expansion of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have expanded .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8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이나 스위치가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LED 조명등의 온/오프 및 디밍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이 개시되기도 하였다.Accordingly, recently,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86806,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capable of on / off and dimming control of an LED lighting lamp using a smart phone without requiring a remote control or a switch is disclosed Respectively.

이러한 근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정 내의 조명등의 온오프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밍(Dimming)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정 내의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LED 조명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LED 조명등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였는바, 다양한 종류의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정이나 건물 내부에서 하는 행동이나 업무가 바뀔 때마다 LED 조명등의 디밍을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다.Such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in recent years can control on and off the illumination lamps in a home by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enables dimming control, 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ing lamp, the user of the smartphone has to operate it. In order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of the living space, There was still an inconvenience that the dimming of the LED lighting lamp had to be operated every time the inside behavior or the task changed.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의 단순한 온/오프 조작뿐만 아니라 조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서 하는 행동이 반복될 경우를 대비하여, 각 행동(예를 들어, TV 시청, 식사, 독서, DVD 시청, 또는 외출 등)시에 가장 바람직한 조도 또는 밝기로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onl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lighting device by using the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ut also the illumination control, and also, in case the user repeats the action in the specific space, A new type of LED lighting control system is required which can more easily perform the change to the most desirable illumination or brightness at the time of watching TV, eating, reading, watching DVD, going out, and the lik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6806호Korean Patent No. 10-12868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집이나 건물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등 또는 거리나 공원에 설치된 LED 조명등을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온/오프 조작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특정 상황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다수의 모드로 설정하여 미리 저장해 놓은 후 스마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LED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 house or a building or an LED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a street or a park in an on / off operation by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illumination condition suitable for the specific situation in advance and save it in advance, and then LED control activated in the smart terminal. By simply selecting each mode on the interface of the mobile application, the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can be easily manipulated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a mode control by a smart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by a smart terminal,

LED 조명등; 스위치 조작으로 생성되거나,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된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LED 조명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LED 제어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후 상기 LED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연결부; 및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출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등록되어 있는 모드를 선택하여 각 모드에 해당하는 조도 설정값과 색온도 설정값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ED lights; An LED controller which is generated by a switch operation or controls an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lamp by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o the LED control unit; And an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e illuminance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are displayed. At least one or more modes can be registered and stored, and the registered mode is selected, and the illuminance setting value and the color temperature setting value And a smart terminal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lamp or the like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LED 조명등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고, 상기 통신연결부와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mart terminal is programmed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an interface capable of operating an LED lighting lamp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D lighting lamp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s installed.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통신연결부에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제어연결부;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로 이루어진 모드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모드를 생성한 후 저장하는 모드등록부; 및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해당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LED 조명등의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지칭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illumination light; A mode regist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specific mode by previously setting mode information including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And an operation signal indicating a step of illuminance or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set in the corresponding mode is generated by the mode selection signal inputted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de selection unit.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증감시키면, 그러한 증감 조작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증감시키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독립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peration signa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of the illuminance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according to the increase / decrease operation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signal inputted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an independent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독립조작부에 의해 증감하는 조도는 1~9 단계로 구성되고, 색온도는 1~5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색온도는 1단계에서 3500K로 설정되고, 1단계 증가할 때마다 500K 씩 증가하여 5단계에서는 5500K에 이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3500K in the first step, and the color temperature is increased by 500K each time the first step is increased. In this case, And in the fifth step, it is set to reach 5500K.

본 발명은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LED 조명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특정 상황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다수의 모드로 설정하여 미리 저장해 놓은 후 스마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각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ON / OFF of an LED lighting lamp by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set an illumination state suitable for a specific situation in a plurality of modes, store it in advance, LED control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 by selecting each mode on the interface of mobil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조도와 색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한 후 새로운 모드로 등록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LED 조명등의 밝기 등을 용이하게 설정하고 스마트 단말기 상에서 그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LED 조명등의 밝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freely set the desired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using the smart terminal and then register the new mode, he / she can easily set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ing lamp he / she desires,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ing lamp by simply select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LED 제어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의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LED 제어 모바일 앱이 활성화된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도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색온도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출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by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LED control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in which an LED control mobile app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manipulation of illumination using a smar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manipulating a color temperature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etting of the outgoing mode using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by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은, LED 조명등(100)과, 스위치 조작으로 생성되거나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된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LED 조명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LED 제어부(20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후 상기 LED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연결부(300)와,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출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등록되어 있는 모드를 선택하여 각 모드에 해당하는 조도 설정값과 색온도 설정값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mode by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lighting lamp 100, and an on / off switch (not shown)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o the LED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It is possible to register at least one mode and save it. After selecting the registered mode,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D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etting value and the color temperature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mode is generated, And a smart terminal (400)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상기 LED 조명등(100)은 근래에 형광등이나 백열등의 대체수단으로서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통상적인 LED 조명등으로 구성되며, 집과 같은 건물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거리나 공원 또는 외부 주차장 등 건물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LED 조명등의 온오프를 수동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통상적인 LED 조명등과 마찬가지이다.The LED lighting lamp 100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house, or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street or a park or an outdoor parking lot. It can also be installed outside. It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LED lighting lamp that a switch capable of manually operating the LED lighting lamp on and off can be provided.

상기 LED 제어부(200)는 LED 조명등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신호나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LED 조명등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LED controller 200 is configured to control a power supply for turning on and off the LED lamp by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a switch operation of the LED lamp or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400.

상기 통신연결부(3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와 상호 페어링(paring)되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무선통신망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에서 전송되는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중계기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mart terminal 400 so as to exchange data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D control unit 200. The LED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LED controller 200,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연결부(300)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에 구비된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와 미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For thi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or a Wi-Fi module capable of receiving data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mart terminal 4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using a unique number provided in the Bluetooth module or the Wi-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통신연결부(300)는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스마트 단말기(400)와의 핀코드(PIN CODE) 설정과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서만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in order to prevent pairing by another smart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ransmits a PIN code to the specific smart terminal 400 and a password inp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exchanging mutual data only by the gateway.

그에 따라, 상기 통신연결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다른 스마트 단말기가 존재하더라도, 핀코드 설정과 비밀번호 입력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특정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만을 수신하여 LED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another smart terminal exists within a range where data can b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t receives onl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LED lighting lamp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sm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PIN code setting and the password input, .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LED 조명등(100)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고, 상기 통신연결부(300)와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The smart terminal 400 displays a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LED lighting lamp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isplay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D lighting lam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programmed to transmit to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40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거나 모드등록 또는 모드선택이 가능한 입력수단과, 등록되어 있는 모드와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로 구성되며, 휴대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능력이 우수하며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스마트폰 상에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그 인터페이스가 표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태블릿 피씨 상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인터페이스 상에 표현되는 각 아이콘들의 배치와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mart terminal 4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includes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lighting device, mode registration or mode selection, And a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means on which an interface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lighting device is displayed. The smartphone is easy to carry, has excellent data processing capability, and can easily install an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And tablet PC. 2 to 6 illustrate that the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s activated on the smartphone and the interface is display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on the tablet PC, and the arrangement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interfa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와 같이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400)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통신연결부에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제어연결부(410)와,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모드를 생성한 후 저장하는 모드등록부(420)와,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해당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LED 조명등의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지칭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모드선택부(430)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조도 또는 색온도를 증감시키면 그러한 증감 조작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증감시키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독립조작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400 having the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includes a control connection unit 4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D illumination light, A mode registration unit 420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specific mode by setting a step of a color temperature in advance, and a display unit 420 for displaying an illuminance or a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set in the corresponding mode by a mode selection signal input on an interface A mode selection unit 430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indicating the oper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illumination lamp according to After generating a call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dependent operation unit 440 for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어연결부(4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특정 통신연결부에서만 수신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특정 통신연결부(300)에 페어링(paring) 시켜 미리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가 동일 장소에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는바, 특정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가 특정 LED 조명등의 통신연결부에만 전송될 수 있도록, 페어링할 때 핀코드(PIN CODE)를 설정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통신연결부에 다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페어링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connection unit 410 is configured to register the smart terminal 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by pre-registering it so that the operation signal of the LED illumination light can be received only through the specific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Bluetooth or Wi-Fi can be present in the same place. In this case, the operation signals of LED lights transmitted from specific smart terminals may be pai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IN code is set and the password can be inputted to enhance the security. Also,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smart terminals may be paired to on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interconnected.

상기 모드등록부(420)는 LED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사용자가 취하고자 하는 행위에 따른 조명상태, 즉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모드를 생성한 후 그러한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로 이루어진 모드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 등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mode registration unit 420 generates a specific mode by previously setting the illumination state according to an action that the user wants to take in a space in which the LED illumination light is installed, that is, the stage of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Mode information is stored in a memor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일반적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뿐만 아니라 조도를 다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음에도, 사용자가 LED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하는 행위가 변경될 때마다, 예를 들어 TV 시청하다가 독서를 하거나, 식사를 하는 등 행위를 바꿀 때마다 적합한 조명상태인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일일이 조절하는 것은 상당히 귀찮게 일이어서 종래에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처럼 LED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만을 하곤 하였다. 그러나, 상기 모드등록부(420)에 의해 사용자로서는 몇몇 행위에 적합한 조명상태인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특정 모드로 미리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smart terminal can control not onl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but also the illumination in a plurality of steps. However, whenever the user changes the behavior in the space where the LED illumination light is installed, It is quite troublesome to adjust the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steps, which are suitable lighting conditions, when reading, eating, and so on, so that they would only operate on and off LED lights like incandescent lamps or fluorescent lamps. However, the mode registration unit 420 allows the user to preset and register the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steps, which are suitable for some actions, in a specific mode.

그에 따라, 상기 모드등록부(420)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모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시청모드, 놀이모드, 독서모드, 운동모드, 긴장 이완모드, 외출모드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접 표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TV 시청은 거실에서 하지만, 독서는 서재에서 할 경우, 사용자가 TV 시청모드를 끄고, 독서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만으로 거실의 LED 조명등은 꺼지고, 서재의 LED 조명등은 켜지게 하는 등 각 모드에 따라 온오프되는 LED 조명등의 종류도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3 to 5, the plurality of modes registered by the mode registration unit 420 may be classified into a TV viewing mode, a play mode, a reading mode, a motion mode, a relaxation m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user who wants to operate the LED lighting lamp by using the smart terminal by being directly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when watching TV in the living room but reading in the library, the user can turn off the TV viewing mode and select the reading mode to turn off the LED lighting in the living room, and turn on the LED lighting in the living roo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D lighting lamps to be turned on and off can also be set in advance.

또한, 외출모드를 등록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LED 조명등이 켜지는 시간(On time)과, LED 조명등이 꺼지는 시간(Off time)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집이나 건물을 비우더라도 조명등이 자동으로 온오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400)에 표출되는 시간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켜지는 시간(On time)과 꺼지는 시간(Off time)을 외출의 목적에 따라 조작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outgoing mode is registered, as shown in FIG. 6, by setting the time (On time) for turning on the LED lighting lamp inside the building and the time for turning off the LED lighting lamp (Off time) The illuminating lamp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even if it is empti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by operating the time icon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400,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oing out.

상기 모드등록부(420)에 의해 등록하는 모드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몇몇 모드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직접 설정하고, 그렇게 설정된 모드정보에 명칭을 부가하여 새로운 모드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등록되어 있는 모드정보의 변경과 모드의 삭제 또는 추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mod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mode registration unit 420 is not limited to the several modes shown in FIGS. 3 to 5, but the user directly sets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steps, adds a name to the mode information thus set, Mod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lready registered mode information and to delete or add the mode.

상기 모드선택부(4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각 모드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해당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LED 조명등의 종류,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지칭하는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mode selection unit 430 selects a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mo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Or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lighting lamp indicating a color temperature step, and then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즉, LED 조명등의 종류나 조도 또는 색온도의 각 단계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도,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LED 조명등의 종류,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나타내는 LED 조명등이 조작신호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에서 생성된 후 상기 통신연결부(300)로 전송되므로 LED 조명등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ED lighting lamp, which indicates the type of the LED lighting lamp, the illuminance or the color temperature, can be operated only by selecting the specific mode without individually controlling each type of the LED lighting lamp, the illuminance or the color temperature, And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h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LED lighting lamp.

상기 독립조작부(440)는 모드선택신호에 의하지 않고 LED 조명등(100)을 직접 조작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400) 상에 나타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하는 조작에 의해 LED 조명등을 온오프하는 조작신호와, 조도를 증감시키거나 색온도를 증감시키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independent operation unit 44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input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400 when the user desires to directly operate the LED illumination lamp 100 without depending on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an operation signa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lluminance 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n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그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LED 조명등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에는, 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뿐만 아니라, LED 조명등의 온오프 아이콘과, 조도 증감 아이콘, 색온도 증감 아이콘이 표출되고, 이러한 조도 증감 아이콘과 색온도 증감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LED 조명등의 조도나 색온도를 증감시키는 조작신호를 생성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 to 5, the interface for operating the LED lighting lamp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includes not only an icon indicating each mode but also an on / off icon of the LED lighting lamp, an illuminance increase / decrease icon, And an operation signa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lluminance or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is generated by operating the illuminance increase / decrease icons and the color temperature increase / decrease icons.

이때, 상기 독립조작부(440)에 의해 증감하는 조도는 1~9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가 LED 조명등의 밝기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색온도도 1~5 단계로 나누어 사용자가 색온도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lluminance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independent operation unit 440 may be divided into 1 to 9 levels so that the user can vary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ing lamp. The color temperature is divided into 1 to 5 levels,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operate.

또한, 상기 독립조작부(440)에 의해 조도와 색온도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드등록부에서 특정 모드에 적합한 조도와 색온도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도 증감 아이콘과 색온도 증감 아이콘을 이용하여 각 모드에 바람직한 모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independent operation unit 440, when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specific mode are set by the mode registration unit, Mode information can be inpu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을 직접 조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TV 시청, 독서, 식사, DVD 감상, 취침, 외출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미리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각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즉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lighting lamp can be directly operated using the smart terminal, and the lighting condition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watching TV, reading, eating, watching DVD, going to bed, going out, Just by selecting each mode, you can instantly adjust the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또한, 집안이나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LED 조명등의 조작을 위한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연결부 상호간이 핀코드 설정과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서만 상호 연결되어 LED 조명등 조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게 되므로, 무선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른 보안상의 취약점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mart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for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ing lamp installed in the house or the building are mutually connected only by the pin code setting and the password input, the gateway which can receive the LED lighting operation signal is form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security vulnerabilities.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LED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2 to FIG. 5, the control of the LED lighting lamp using the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by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LED 제어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의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LED 제어 모바일 앱이 활성화된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도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색온도를 조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출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LED control mobil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in which an LED control mobile app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lluminance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color temperature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etting of the outgoing mode using the smart terminal.

먼저 스마트 단말기(400)에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스마트 단말기(400)를 LED 조명등(100)이 설치된 장소에서 통신연결부(300)에 페어링함으로써,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망 상에서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도록 연결한다. 이때, 핀코드를 설정하고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다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통신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게 된다.The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s first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400 and then the smart terminal 400 is paired wit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at a place where the LED lighting light 100 is installed, And is connected so as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a light or the like. At this time, by setting a pin code and requesting a password input, other smart terminals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re blocked, thereby enhancing security.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된다. 이때, 도 2에서는 LED 조명등의 단순한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아이콘이 표출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모드선택이 가능한 모드 스크롤바가 함께 표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When the LED control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is activated, a main screen as shown in FIG. 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t this time, in FIG. 2, an icon enabling simple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is displayed and a mode scroll bar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modes is displayed together,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interface.

이러한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을 선택할 경우 환경설정과 외출설정 및 핀코드(PIN CODE) 설정이 가능하게 하고, 핀코드 설정이 선택된 경우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함으로써 다른 스마트 단말기가 통신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in screen, it is possible to set the environment setting, outgoing setting and PIN code when the user selects the setting, and to prevent the other smart terminal from bein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y requesting the password input when the PIN code setting is selected .

그리고, 이러한 메인화면에서 LED 조명등의 온오프 조작신호가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기(400)에서는 LED 조명등의 온신호와 오프신호를 교대로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3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통신연결부(300)에서는 수신한 LED 조명등의 온신호와 오프신호를 LED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LED 조명등(100)의 켜짐과 꺼짐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on / off operation signal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the smart terminal 400 alternately generates the ON signal and the OFF signal of the LED illumination light, and then transmits the ON signal and the OFF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300 transmits the ON signal and the OFF signal of the received LED illumination light to the LED control unit 200 so that the LED illumination light 100 is turned on and off.

그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범위내에서는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리모컨처럼 LED 조명등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operate the LED lighting lamp like a remote control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switch within a range in which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사용자가 LED 조명등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조도 등을 조작하기 위하여 메인화면의 환경설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을 위한 초기화면이 스마트 단말기(400)에 표출된다.When the user selects an environment setting icon of the main screen in order to select a mod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or manipulate the illumination, an initial screen for environment setting is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400 as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초기화면은 조도나 색온도를 설정하기 전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미 등록해 놓은 다양한 모드들(TV 시청모드, 놀이모드, 독서모드, 운동모드, 긴장 이완모드, 외출모드 등)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출되고, LED 조명등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On/Off 아이콘과, 조명등의 조도를 증감시키는 조도 아이콘, 및 색온도를 증감시키는 온도 아이콘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현재 LED 조명등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현재 선택된 모드의 명칭 등이 표출되는 상태표시창이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된다.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3 shows an initial state before the illuminat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are set, and various modes (TV viewing mode, play mode, reading mode, exercise mode, tension relaxation mode, An on / off icon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LED illumination light, a lighting ic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and a temperature icon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olor temperature are displayed. In addition, a status display window in which the name of the currently selected mode is displayed is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status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can be recognized.

이때, 상기 상태표시창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명칭이 모드아이콘의 형태로 표출되고, 외출아이콘을 설정해 놓은 경우에는 예약된 시간정보가 표출되며, 상기 통신연결부와의 무선통신망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B : 블루투스, W : 와이파이)과, 자동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A : 오토)과, 수동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M : 매뉴얼)이 함께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name of the currently selected mod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mode icon in the status display window, the reserved time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outgoing icon is set, and an icon (B: (A: auto) indicating an automatic setting state and an icon (M: manual) indicating a manual setting state are displayed together.

그러나 이와 같이 상태표시창에 표출되는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들의 배치 및 표출여부는 다양하게 선택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window and the arrangement and display of the other icons can be variously changed.

이후, 사용자가 조도 아이콘을 조절하여 조도를 증가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등의 조도가 1로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온도 아이콘을 조절하여 색온도를 증가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등의 색온도가 1로 증가하게 된다.4, when the user increases the illuminance by adjusting the illuminance icon, the illuminance of the LED illuminating lamp is increased to 1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adjusts the temperature icon to increase the color temperature,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lamp is increased to one.

상기 조도 아이콘을 조작하여 조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바에 따라 1~9 단계까지 조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상기 온도 아이콘을 조작하여 색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바에 따라 1~5 단계까지 색온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색온도는 최소 1단계에서 3500K로 설정되고, 1단계 증가할 때마다 500K 씩 증가하여 최대 5단계에서는 5500K에 이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illuminance icon is opera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illuminance, the illuminance gradually increases from 1 to 9 according to preset values. When the temperature icon is opera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lor temperature, 1 The color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s up to step 5. At this time,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3500K in the minimum 1 step, and it is preferably set so as to increase by 500K each time the first step is increased and reaches 5500K in the fifth step.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또는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모드의 조명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정보로 등록될 수 있음은 물론, 독립조작부에 의해 무선통신망상에서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되어 LED 조명등을 직접 조작하는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로 이용될 수도 있다.4 and 5, the input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r the color temperature can be registered as mod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illumination state of the specific mode selected by the user, It may be used as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lighting lamp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lamp.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다수의 모드 중에서 외출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등이 켜지는 시간(On time)과 꺼지는 시간(Off time)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outgoing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es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of the LED illumination light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tim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LED 조명등 200 - LED 제어부
300 - 통신연결부 400 - 스마트 단말기
410 - 제어연결부 420 - 모드등록부
430 - 모드선택부 440 - 독립조작부
100 - LED lighting fixture 200 - LED control
300 -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400 - Smart terminal
410 - Control connection unit 420 - Mode registration unit
430 - mode selector 440 - independent controller

Claims (6)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LED 조명등;
스위치 조작으로 생성되거나,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된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LED 조명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LED 제어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후 상기 LED 제어부로 전송하는 통신연결부; 및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출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등록되어 있는 모드를 선택하여 각 모드에 해당하는 조도 설정값과 색온도 설정값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LED lights;
An LED controller which is generated by a switch operation or controls an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lamp by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o the LED control unit; And
An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e illuminance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is displayed, and at least one or more modes can be registered and stored. By selecting a registered mode, an illuminance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mode and an LED And a smart terminal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illumination light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LED 조명등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고, 상기 통신연결부와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LED 제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terminal displays an interface for operating an LED lighting lamp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display means, and an LE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of the LED lighting lamp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LED lighting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통신연결부에 연결되어 LED 조명등의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제어연결부;
상기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로 이루어진 모드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모드를 생성한 후 저장하는 모드등록부; 및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해당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LED 조명등의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지칭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모드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A contro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gateway capable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n LED illumination light;
A mode regist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specific mode by previously setting mode information including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lighting lamp; And
A mode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indicating the stage of the illuminance or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set in the mode by the mode selection signal inputted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then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de of the LED lighting lam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조도 또는 색온도의 단계를 증감시키면, 그러한 증감 조작에 따른 LED 조명등의 조도와 색온도의 단계를 증감시키는 조작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연결부로 전송하는 독립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And an operation signa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of the illuminance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ED illumination lamp according to the increase / decrease operation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signal inputted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an independent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조작부에 의해 증감하는 조도는 1~9 단계로 구성되고, 색온도는 1~5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lluminance of the LEDs is controlled by the smart terminal.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illuminance of the LEDs is controlled by the smart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온도는 1단계에서 3500K로 설정되고, 1단계 증가할 때마다 500K 씩 증가하여 5단계에서는 5500K에 이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에 의한 모드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등 제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3500K in step 1, and is increased by 500K each time the first step is increased and reaches 5500K in the fifth step.
KR1020140013639A 2014-02-06 2014-02-06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KR201500929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39A KR20150092966A (en) 2014-02-06 2014-02-06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39A KR20150092966A (en) 2014-02-06 2014-02-06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966A true KR20150092966A (en) 2015-08-17

Family

ID=5405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639A KR20150092966A (en) 2014-02-06 2014-02-06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29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71B1 (en) * 2016-08-17 2017-10-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te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2349901B1 (en) * 2021-11-05 2022-01-12 주식회사 정우디씨 Intelligent indoor lighting device of IoT bas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71B1 (en) * 2016-08-17 2017-10-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te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2349901B1 (en) * 2021-11-05 2022-01-12 주식회사 정우디씨 Intelligent indoor lighting device of IoT b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89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apparatus
US8467887B2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s
CN109315051B (en) Configurab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TW201635253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for lamp
KR20130012996A (en) Dimming-controllable led lighting system using smartphon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265927A1 (en) Configuration free and device behavior unaware wireless switch
KR101472656B1 (en) Lamp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9792822B (en) Method and system for lighting control
KR20150092966A (en) Led light control system capable of mode control using smart terminal
KR101841014B1 (en) Smart home lighting system using dongle device
JP6934578B2 (en) Lighting system
CN111262763A (en)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ve-action picture
JP2010157454A (en) Led luminaire, led remote controller, and led lighting system
JP2006304078A (en) Separate setting remot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US20130223302A1 (en) Multi-protocol switching control system suitable for controlling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of different protocols
KR101976563B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registrating lighting in lighting controlling system
KR101656938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5740512B1 (en) Lighting system and operation terminal thereof
KR101946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
KR20190026223A (en) Smart lighting device
KR101683472B1 (en) Color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color
KR20160012068A (en) Lighting apparatus
KR1016085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device
KR20140040187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
KR20170127244A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 using rssi and the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