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943A -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943A
KR20150087943A KR1020140008165A KR20140008165A KR20150087943A KR 20150087943 A KR20150087943 A KR 20150087943A KR 1020140008165 A KR1020140008165 A KR 1020140008165A KR 20140008165 A KR20140008165 A KR 20140008165A KR 20150087943 A KR20150087943 A KR 2015008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disposed
sensing
substr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2818B1 (en
Inventor
윤석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18B1/en
Priority to CN201410461394.0A priority patent/CN104423715B/en
Priority to US14/483,722 priority patent/US9483132B2/en
Publication of KR2015008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active area and a second active area defined; a boundary part arranged between the first active area and the second active area; a first detection electrode arranged on the first active area, and detecting location; and a second detection electrode arranged on the second active area, and detecting the second detection electrode, wherein at least one part of the first det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etection electrode vertically contact.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ouch window and a display comprising the same.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touch panel has been applied to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by a method of touch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The touch panel is typically divided into a resistive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senses that th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osition is detected. A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senses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when a finger touches them, thereby detecting the positio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ensing power, recently, in a small model, the electrostatic capacity method has attracted attention.

한편, 최근에는 구부러지는 터치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즉, 터치 패널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의 경험을 확대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demand for a bent touch panel is increasing. That is, the touch panel is bent or curved to expand the user's experience.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a display including the touch window.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유효 영역 및 제2 유효 영역이 정의 되는 기판; 상기 제1 유효 영역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 상기 제1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접촉한다.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 first valid region and a second valid region are defined; A boundary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lid region and the second valid region; A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effective regio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effective area and sensing a posi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유효 영역 및 제2 유효 영역을 포함하고, 각 영역에서의 감지전극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효 영역에서는 시인성에 유리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유효 영역 상에서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ffective area and a second effective area, and the sensing electrodes in each area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That is, the visibility on the first effective region can be maintained by including a material favorable to visibility in the first effective region.

상기 제2 유효 영역은 상기 제1 유효 영역으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효 영역은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2 유효 영역에 배치되는 감지전극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감지전극의 물리적 타격 없이 휘어질 수 있다.The second effective area may be curved from the first effective area. That is, the second effective area may be bent. The sensing electrode disposed in the second effective region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so that the sensing electrode can be bent without being physically struck by the sensing electrode.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물질 차이로 인해 기판과의 밀착력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휘어지는 터치 윈도우에서 감지전극의 탈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adhes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due to the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can be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ing electrode from being deformed in the bent touch window,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도면들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lan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cut along the line I-I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6 to 9 are views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disposed on a display panel.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 under" Quot; includes all that is formed directly or through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top / bottom or bottom / bottom of each layer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The thickness or the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1 to 4, the touch window 10 includes a valid area AA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n input device (e.g., a finger or the like), and a non-valid area < RTI ID = 0.0 > (UA) < / RTI > is defined.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전극(2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감지전극(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30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electrode 200 may be formed in the effective area AA to sense the input device. A wiring 30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nsing electrode 200 may be formed in the non-effective area UA. An external circuit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wiring 300 may be locat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네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네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non-valid area UA may surround the valid area AA. The effective area AA includes four sides, and the non-valid area UA may be disposed on all four sides. That is, the non-valid area UA may surround the border of the valid area AA.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어느 일 측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on-effective area UA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effective area AA.

또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네 측면 중 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어느 한 측면만 제외하고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effective area UA may be disposed on three sides of four sides of the effective area AA. That is, the non-valid area UA may be disposed except for one side of the valid area AA.

또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네 측면 중 두 측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effective area UA may be disposed on only two of four sides of the effective area AA.

이처럼 비유효 영역(UA)의 다양한 배치에 따라, 터치 윈도우에서 휘어지는 영역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arrangements of the ineffective area UA, the bent area of the touch window can be variously configured.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감지전극(200), 배선(3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유리 기판,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supporting the sensing electrode 200, the wiring 300, and the circuit board formed thereon. Th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of a glass substrate, a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or a plastic substrate including a resin.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외곽 더미층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은 배선(300)과 이 배선(30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n outer dummy layer is formed in the ineffective area UA of the substrate 100. [ The outer dummy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the wiring 30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ng the wiring 300 to an external circuit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outer dummy layer may have a color suitable for a desired appearance, for example, a black color including black pigment and the like. A desired logo can be formed on the outer dummy layer by various methods. Such an outer dummy layer can be formed by vapor deposition, printing, wet coating or the like.

기판(100)의 유효 영역(AA)은 제1 유효 영역(1AA) 및 제2 유효 영역(2AA)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은 상기 제1 유효 영역(1AA)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은 상기 제1 유효 영역(1AA)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effective area AA of the substrate 100 includes the first effective area 1AA and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effective area 1AA.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ffective area 1AA.

상기 제1 유효 영역(1AA)에는 제1 감지전극(210)이 배치된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is disposed in the first effective region 1AA.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sense whether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is in contact.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제2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의 두 종류의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lthoug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include two types of sensing electrodes: a sensing electrod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nsing electrod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제1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질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질들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아 시인성에 매우 유리한 물질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상기 제1 물질들은 기판의 굽힘과 휨에 의해 물리적으로 쉽게 타격을 받을 수도 있는 물질이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include a first material. The first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ium tin oxide, indium zinc oxide, copper oxide, tin oxide, zinc oxide, titanium oxide, And the like. The first materials do not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light and are highly favorable to visibil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may be physically easily struck by bending and warping of the substrate.

이어서,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에는 제2 감지전극(220)이 배치된다.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Next, a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is disposed in the second effective region 2AA.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sense whether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is contacted.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제2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의 두 종류의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lthough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two kinds of sensing electrodes: a sensing electrod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nsing electrod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제1 감지전극(21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물질은,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질들은 기판의 굽힘과 휨(bending)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한편으로, 상기 제2 물질들은 빛 반사에 의해 시인성에 있어서 불리할 수도 있는 물질이다.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That i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a second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material. For example, the second material may include nanowires, carbon nanotubes (CNTs), graphene, or a variety of metals. The second materials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that can be applied to the bending and bending of the substrate.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terials are materials which may be detrimental to visibility due to light reflection.

한편, 상기 제1 감지전극(210)과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터치 윈도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ouch window.

일례로,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window.

또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window,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disposed on the cover window.

또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a first substrate disposed on the cover window,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

또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글래스(glass) 또는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글래스 또는 필름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a glass or film disposed on the cover window,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or film .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이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은 상기 제1 유효 영역(1AA)으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은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상기 제2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물리적 타격 없이 휘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effective region 2AA may be bent from the first effective region 1AA. That is,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may be ben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disposed in the second effective region 2AA may include the second material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so tha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can be bent without being physically struck.

한편, 상기 제1 유효 영역(1AA)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2AA) 사이에 경계부(BA)가 정의된다. 상기 경계부(BA)는 상기 제1 유효 영역(1AA)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의 경계부분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 boundary BA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effective area 1AA and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The boundary BA is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effective region 1AA and the second effective region 2AA.

상기 경계부(BA)에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계부(BA)에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경계부(BA)에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A.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disposed on the boundary BA.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contac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undary BA.

상기 경계부(BA)는 패턴(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PA)은 상기 기판(100)의 상면을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PA)은 상기 기판(100)을 노출하는 홀(hole)형상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패턴(PA)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턴(PA)은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PA)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패턴(PA)을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패턴(PA)은 상기 경계부(BA) 내에서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boundary BA may include a pattern PA. The pattern PA may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pattern PA may be a hole that exposes the substrate 100. In FIG. 4, the pattern PA is shown as being rectangula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PA may be a zigzag shape. The pattern P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In FIG. 4, the pattern PA is shown as one,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attern PA may be arranged in the boundary BA.

상기 패턴(PA) 내에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일부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disposed in the pattern PA. Therefore, a part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direct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는 상기 제1 유효 영역(1AA)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상기 제1 감지부(2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부(BA)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감지부(212)의 끝단은 상기 제2 감지전극(220)과 접촉한다.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211 and a second sensing unit 212. The first sensing unit 211 is disposed on the first effective area 1AA. The second sensing unit 212 extends from the first sensing unit 211 and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A. The end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The second sensing unit 2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이때,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서로 다른 패턴(P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상기 제1 감지부(211)와 달리 상기 투명한 기판(10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패턴(PA)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nsing unit 211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12 may include different patterns PA. 5, the second sensing unit 212 may have a pattern PA that exp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unlike the first sensing unit 211. Referring to FIG.

이어서,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제3 감지부(221) 및 제4 감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는 상기 제2 유효 영역(2AA)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3 감지부(2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부(BA)에 배치된다.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2 감지부(212)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2 감지부(212)의 패턴(PA) 내에도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a third sensing unit 221 and a fourth sensing unit 222. The third sensing unit 221 is disposed on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The fourth sensing unit 222 extends from the third sensing unit 221 and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A. The fourth sensing unit 2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nsing unit 212. The fourth sensing unit 222 may be disposed in the pattern PA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2.

이를 통해, 상기 경계부(BA)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물질 차이로 인해 기판(100)과의 밀착력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휘어지는 터치 윈도우에서 감지전극의 탈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a difference in adhes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due to a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at the boundary B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ing electrode from being deformed in the bent touch window,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한편,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제2 유효 영역(2AA)의 측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제2 유효 영역(2AA)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on-effective area UA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That is, the non-effective area U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effective area 2AA.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감지전극(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A wiring 30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nsing electrode 200 may be formed in the non-effective region UA.

상기 배선(3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배선(30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선(300)은 인쇄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다양한 금속 페이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wiring 300 may be formed of Cr, Ni, Cu, Al, Ag, Mol, or an alloy thereof. In particular, the wiring 300 may include various metal paste materials that can be formed by a printing process.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모재(220a) 및 상기 모재(220a) 상에 배치되는 전극(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220b)은 상기 모재(22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220b)은 상기 모재(220a)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전기적 역할을 한다. 7 and 8,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a base material 220a and an electrode 220b disposed on the base material 220a. The electrode 220b may be disposed on the base material 220a. The electrode 220b substantially acts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material 220a.

상기 모재(220a)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모재(220a)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감지전극(220)는 노광 및 현상 등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base material 220a includes a photosensitive material. Since the base material 220a includes a photosensitive material,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formed by processes such as exposure and developm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전극(220b)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220b)은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220b may include nanowires. The electrode 220b may include metal nanowires.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상부에서부터 1 ㎛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상부에서부터 100 nm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The nanowire is disposed 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The nanowire may be present only in the region D of 1 mu m depth from the top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Preferably, the nanowire may be present only in a region D of a depth of 100 nm from the top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모재(220a)의 표면으로 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동일한 부피 상에 존재하는 나노와이어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기판(100)에서 멀어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nanowires may be higher toward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20a.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nanowires may be the number of nanowires existing on the same volume.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nanowires may be higher as the distance from the substrate 100 increases.

상기 제2 감지전극(220)는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220)가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감지전극(220)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면서도,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극부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경우, 나노와이어의 산화방지를 위해 오버코팅층(overcoating layer)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지고 터치 윈도우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가 감광성 물질 내에 배치되어, 오버코팅층 없이도 나노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a photosensitive nanowire film. Sinc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is formed of a photosensitive nanowire fil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reduced. That is, although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includes nanowires,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ensing electrode 220 may be reduced. Conventionally, when the electrode portion includes nanowires, an overcoating layer has to be additionally forme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nanowires, which complicates the process and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touch window.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nanowires are disposed in the photosensitive material so that the oxidation of the nanowires can be prevented without an overcoat layer.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상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재(220a)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을 접착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nanowire may be disposed only 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Therefore, the base material 220a can simultaneously bo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의 하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 사이에 추가적인 밀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anowire may be disposed only below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dditional adhesion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미세돌기(212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감지전극(220)과 접촉하는 제1 감지전극(210)의 상면은 미세돌기(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경계부(BA)에 배치되는 제2 감지부(212)의 상면은 미세돌기(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감지부(212)의 상면은 상기 제1 감지부(211)의 상면보다 거칠기가 더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감지전극(210)및 제2 감지전극(22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may include a fine protrusion 212a.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conta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may include a fine protrusion 212a.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2 disposed at the boundary BA may include the fine protrusions 212a.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nsing portion 212 may be rou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portion 211. [ Accordingly,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20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미세돌기(212a)는 반사방지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전극(200)의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돌기(212a)는 상기 제2 감지부(212)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감지부(211)의 상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돌기(212a)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ne protrusion 212a may also serve as an anti-reflection function. This can prevent the pattern of the sensing electrode 200 from being viewed. At this time, the fine protrusion 212a may be disposed not only on the second sensing unit 212 but also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unit 211. That is, the fine protrusion 212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210 as a whole.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20)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touch window 1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 to form a display device.

특히, 상기 구동부(20)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0)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21) 및 하부기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22)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21)은 하부기판(22)과 접합되어 하부기판(22)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ing unit 20 may be a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20 has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an image. The display panel applied to such a display device may generally include an upper substrate 21 and a lower substrate 22. [ A data line, a gate line, a thin film transistor (TFT),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22. The upper substrate 21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bstrate 22 to protect components disposed on the lower substrate 22. [

표시패널(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what type of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So that the display panel 2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Claims (16)

제1 유효 영역 및 제2 유효 영역이 정의 되는 기판;
상기 제1 유효 영역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
상기 제1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A substrate on which a first valid region and a second valid region are defined;
A boundary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lid region and the second valid region;
A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effective regio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effective region for sensing a posi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t the boundary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undary comprises a patte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상면을 노출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ttern exposes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내에 상기 제1 감지전극 또는 상기 제2 감지전극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in th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은 상기 제1 유효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경계부에 배치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first effective area and a second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bounda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기판의 상면을 노출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ing unit includes a pattern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내에 상기 제2 감지전극이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within the patter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상기 패턴 내에서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터치 윈도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within th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전극을 포함하는 모재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comprises a preform comprising an electr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se material comprises a photosensi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comprises a nanowi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모재 표면으로부터 1 ㎛ 내에 존재하는 터치 윈도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anowire is present within 1 [mu] m from the surface of the 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comprise different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효 영역은 상기 제1 유효 영역으로부터 휘어지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valid area is bent from the first vali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의 상면은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comprises a micro-projection.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제1 유효 영역 및 제2 유효 영역이 정의 되는 기판;
상기 제1 유효 영역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
상기 제1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ouch window; And
And a driver disposed on the touch window,
The touch window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 first valid region and a second valid region are defined;
A boundary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lid region and the second valid region;
A first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effective region and sensing a position; And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effective region for sensing a posi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contact up and down.
KR1020140008165A 2013-09-11 2014-01-23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2302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65A KR102302818B1 (en) 2014-01-23 2014-01-23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CN201410461394.0A CN104423715B (en) 2013-09-11 2014-09-11 Touch window and the display including the touch window
US14/483,722 US9483132B2 (en) 2013-09-11 2014-09-11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65A KR102302818B1 (en) 2014-01-23 2014-01-23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943A true KR20150087943A (en) 2015-07-31
KR102302818B1 KR102302818B1 (en) 2021-09-16

Family

ID=5387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165A KR102302818B1 (en) 2013-09-11 2014-01-23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336A (en) * 2015-11-06 2017-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ensing apparatus which dummy pattern formed
KR20220088592A (en) * 2020-12-18 2022-06-2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of de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72A (en) * 2008-06-16 2009-12-24 한국터치스크린(주) Touch panel with multi touch area
KR20110007497A (en) * 2009-07-16 2011-01-24 (주)삼원에스티 Touch screen panel and menufacthuring method thereof
KR20120116835A (en) * 2011-05-27 2012-10-23 (주)삼원에스티 Touch panel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72A (en) * 2008-06-16 2009-12-24 한국터치스크린(주) Touch panel with multi touch area
KR20110007497A (en) * 2009-07-16 2011-01-24 (주)삼원에스티 Touch screen panel and menufacthuring method thereof
KR20120116835A (en) * 2011-05-27 2012-10-23 (주)삼원에스티 Touch panel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336A (en) * 2015-11-06 2017-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ensing apparatus which dummy pattern formed
KR20220088592A (en) * 2020-12-18 2022-06-2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of deco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18B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3477B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8313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09187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251881B1 (en) Touch deviice
KR102262530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50095394A (en) Touch window
EP2854000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US9547397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the same
KR102335116B1 (en) Touch screen p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320384B (en) Touch window
KR20150046668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50087943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2237964B1 (en) Electrod members, touch window with the same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60014942A (en) Touch window
KR20160062645A (en) Touch window
KR102238822B1 (en) Touch window
KR102199333B1 (en) Touch window
KR102119608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60094813A (en) Touch panel
KR102187657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2303064B1 (en) Touch window
KR102303068B1 (en) Touch window
KR20160005595A (en) Touch window
KR20150046669A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50134009A (en) Touch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