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138A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138A
KR20150086138A KR1020140006335A KR20140006335A KR20150086138A KR 20150086138 A KR20150086138 A KR 20150086138A KR 1020140006335 A KR1020140006335 A KR 1020140006335A KR 20140006335 A KR20140006335 A KR 20140006335A KR 20150086138 A KR20150086138 A KR 2015008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formation
set menu
management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5315B1 (en
Inventor
백동민
Original Assignee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15B1/en
Publication of KR2015008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cessing menu order and a method thereof. The system for processing menu 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which transmits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menu management server, in case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in the set menu list provid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set menu detail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then displays the set menu detail information; and the menu management server which transmits the set menu detai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menu name, product name per menu and each produc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in case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as to a corresponding set menu, in cas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Description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0001]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0002]

본 발명은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트메뉴를 등록하여 별도의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 주문이 가능한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ordering a set menu without registering a set menu and creating a separate weekly menu.

음식 문화의 변화는 사회적 변화와 같이 거듭하면서 고객들은 맛의 선호도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로 인하여 식당의 경우 다양한 각 계층에 따라 적절한 식사와 서비스 질을 개선시키지 못하면 운영상 손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음식 쓰레기 양만 증가시킨다. The changes in food culture are like social changes, and customers demand various services such as taste preference. Therefore, if the restaurant does not improve the quality of meals and services according to various levels, it will cause operational damage and increase the amount of food waste.

최근 회사, 공장, 학교뿐만 아니라 각 가정은 거의 외식에 의존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체인화 된 외식업체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식업체 중 대형 회사의 구내, 공장, 학교, 연구소 등에 설치된 식당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거의 매일 1끼 이상을 하나의 식당내에서 해결하게 되는데, 이곳 식당들은 식사하는 고객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식사를 하는 연령층도 다양하여 고객의 선호도에 맞는 메뉴를 결정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In recent years, not only companies, factories, and schools have relied almost exclusively on eating out, and thus the number of chain restaurants that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mong restaurants, large restaurants use restaurants installed in the premises, factories, schools, research centers, etc., and almost every day, more than one restaurant is settled in a restaurant, where restaurants tend to have more and more customers , And there are also a number of age groups to eat, so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menu that meets your preference.

고객의 선호도를 무시한 메뉴는 고객의 기본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잔반의 증가로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객들의 나이 및 직업, 직능적으로 특징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결하고 있기는 하나 좋은 결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Menus that ignore customer preferences not only affect the basic health of the customer but also increas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increase of residual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methods have been solv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age, occupation, and function, but good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이들 식당의 운영 예를 간단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메뉴를 열량에 따라 계산하여 단가를 정하고, 예상식수에 따라 식자재를 구입하여 운영되거나 또는 체계적으로 되어 있는 곳은 급식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급식관리시스템의 경우 메뉴 명, 단가, 열량, 예상 식수에 따라 메뉴를 관리하고 있으나, 식당운영 메뉴의 주요 현황(잔반, 선호도, 단가 등)의 체계적인 관리와 고객 선호 메뉴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의 히스토리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며, 식당의 전반적인 운영, 특히 메뉴에 있어 고객의 선호도가 반영된 메뉴의 현황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 또한 급식관리시스템을 통한 레시피 수정 시 수정 횟수별 히스토리 관리가 되지 않고, 조리방법 개선에 대한 비교, 분석이 되지 않아 고객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For example, in most restaurants, menu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calorie, unit prices are set, food materials are purchased according to the expected drinking water, and places where the system is operated are introduced and used . In the case of the food management system, the menus are managed according to the menu name, unit price, calories, and the expected drinking water. Howeve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main status of the restaurant management menu (such as residuals, preferences and unit prices) And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restaurant, in particular the menu, which reflects the customer's preferences in the menu, is not being managed. In addition, when the recipe is modified through the food management system, the history is not managed by the number of revisions, and the comparison of the improvement of the cooking method is not analyzed and analyzed, thereby decreasing the preference of the customer.

한국등록특허 제10-0911646호, 발명의 명칭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No. 10-0911646, entitled "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을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표준메뉴를 등록하지 않아도 식당(고객별) 식단 작성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한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a process for ordering by a set menu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weekly menu and enabling menu creation and history management of a restaurant (per customer) without registering a standard menu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트메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recommended set menu based on at least one of a set menu order history, a preference, and a current order status and recommending the menu to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enhanced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 sites and business sites by providing a messenger function independent of the custom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t menu list or a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screen size of a terminal apparatu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트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menu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of menu names, menu names, and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set menu, When receiving a request signal, acquiring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 product name per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for the set menu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상기 메뉴 관리 서버는 단일 상품들을 조합하여 세트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세트메뉴를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세트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세트 메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configures a set menu by combining a single commodity, registers the set menus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and sets menus registered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in at least one category among the head office, And a set menu manager for classifying and registering the set menus.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When the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may register the set menu information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세트메뉴 관리부는 상기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세트메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에 등록하고, 해당 그룹에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그 그룹에 속한 다른 고객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is classified into a group, customer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group, and set menu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customer are registered in each group, and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registers the set menu included in the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a group to whic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longs, and the set menu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group can be set to be shareable with other customers belonging to the group.

상기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 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상기 추천 세트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current order status is stored,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he user login information is received or a menu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a menu recommendation unit for selecting a recommendation set menu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rder history, the preference, and the current order status of the stored user, and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set menu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menu providing unit may determine the screen siz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may change the arrangement of screens providing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size.

메뉴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obtain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status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terminal device for at least one of the order status, the sales status, the goods receipt / inventory status, and the unit price inquiry, And a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또한,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messenger service unit for receiving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of a user in real time and providing a response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력부, 통신망을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거나,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메뉴 조회부, 상기 특정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set menu list,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on the output unit when the menu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transmits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A menu inquiry unit,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order and payment processing of the specific set menu.

상기 메뉴 조회부는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The menu inquiry unit may display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in a differ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output unit.

상기 단말장치는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는 현황정보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 status inquiry request signal for at least one of an order status, a sales status, a goods receipt / stock status, and a unit price inquiry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a status information inquiry unit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

또한, 단말장치는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ssenger service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ted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when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and receiving a response to the inquiry information or the request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등록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세트메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t menu registration command is selected,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when the item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et menu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is changed by the user, And a set menu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generated set menu by transmitting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et menu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메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from a set menu list provided by a menu management server,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When receiving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 product name per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enu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nd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for the set menu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메뉴 주문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enu order processing in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set menu list provided by a menu management server when a menu application is executed;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et menu, displaying an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when an order command is input by a user, receiving set menu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when the settlement processing is completed.

상기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은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includes: generating a user set menu when item information constituting a set menu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is changed by a user, generating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et menu,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registering the generated set menu.

본 발명에 따르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양사가 없어도 온라인에서 쇼핑하듯이 간편하게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rder a menu by a set menu easily, as if shopping online, even without a dietician.

또한, 세트메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세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commended set menu is sel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t menu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the current order status, and recommended to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customized set menu.

또한,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lient-independent messenger func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nd business sites within a customer's company.

또한,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order the set menu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s providing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 주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llustrates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nu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gistering a se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llustrates a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t menu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llustrates a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각 기능부는 본 발명 구현에 대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Each functional unit re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other functional unit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al unit may be implemented solely in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은 세트메뉴를 주문하는 단말장치(100), 세트메뉴정보가 등록된 메뉴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that orders a set menu, and a menu management server 200 in which set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단말장치 사용자는 메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세트 메뉴를 조회 및 주문할 수 있다.The terminal user can access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to inquire and order the set menu.

단말장치(100)는 메뉴관리서버(200)에 접속 또는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뉴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when the menu application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or a previously stored menu application is executed.

단말장치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세트메뉴를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메뉴관리서버(200)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단말장치 식별정보, 단말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트메뉴 식별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코드 등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 정보는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트메뉴 상세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이미지, 세트메뉴 단가,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 각 상품들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device user selects a set menu desired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set menu list,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and receive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 Here,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may includ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etc., and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set menu name, a set menu code, And the like.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may include a set menu name, a set menu image, a set menu unit price, products constituting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product, and the like.

단말장치 사용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하고,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user can confirm the set menu detail information and order the set menu.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메뉴 관리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a navigation device,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portable media player (PMP)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tablet PC (Tablet PC), a set-top box, a smart TV, and the like.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메뉴 관리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가 포함된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When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enu name, the product name per menu, And transmit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메뉴 관리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세트메뉴 주문정보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수량, 배송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quantity, delivery address, and the like.

이처럼 메뉴 관리 서버(200)는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표준메뉴를 등록하지 않아도 고객별 식단 작성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improves the process so that the order can be ordered by the set menu without preparing the weekly menu,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menu for each customer and manage the history without registering the standard menu.

메뉴 관리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메뉴 조회부(150), 주문 처리부(160), 현황정보 조회부(170), 메신저 서비스부(180), 세트메뉴 등록부(185),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2,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menu inquiry unit 150, an order processing unit 160, A messenger service unit 180, a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and a control unit 190.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메뉴 관리 서버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terconnects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or satellite communication,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입력부(12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0 is a means for receiving a user reques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converts the request of the user into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input unit 120 may be a keyboard, a keypad, a touch screen, a visual sensing unit, a tactile sensing unit, a motion sensing unit, , Voice input means, and the like.

출력부(13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application driving, for example, a small flat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저장부(140)에는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메뉴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를 조회 및 주문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메뉴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관리 서버에 구비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가 감지되거나,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업데이트되어 최신의 세트메뉴정보를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menu application. The menu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that inquires and orders the set menu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e menu application is updated when the update of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provided in the menu management server is detected or the updat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ereby providing the latest set menu information.

메뉴 조회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한 경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출력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30)에 표시되는 세트메뉴 리스트는 도 6의 (a)와 같은 메뉴판 형식일 수 있다. 즉, 메뉴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는 각 세트메뉴의 이미지, 메뉴명 등이 표시된 메뉴판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메뉴판에서 특정 세트 메뉴를 선택하면, 도 6의 (b)와 같이 특정 세트 메뉴의 이미지, 단가, 특정 세트 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의 상세 정보 등이 표시된다.When the menu inquiry unit 150 accesses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menu inquiry unit 150 displays the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on the output unit 130,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30. At this time, the set menu list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130 may be a menu plate format as shown in FIG. 6 (a). That is, the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is displayed as a menu plate displaying images and menu names of each set menu,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et menu from the menu plate, An image of a menu, a unit pric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products constituting a specific set menu.

메뉴 조회부(150)는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과 데스크탑 PC의 화면 사이즈는 다르므로, 메뉴 조회부(150)는 스마트폰과 데스크탑 PC에 표시되는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 배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The menu inquiry unit 150 may display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130 in a differ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output unit 130. [ That is, since the screen sizes of the smartphone and the desktop PC are different, the menu inquiry unit 150 may set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rray displayed on the smartphone and the desktop PC differently.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가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이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 정보를 출력부(130)에 그대로 표시한다. 만약,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이 아니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The menu inquiry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output unit 130. [ The menu inquiry unit 150 displays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on the output unit 130 as it is. The menu inquiry unit 150 arranges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output unit 130, And displays it on the output unit 1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세트메뉴의 상세 정보 확인은 물론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nu inquiry unit 150 executes the menu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without accessing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e menu inquiry unit 150 displays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You can order the set menu as well as check the details of the set menu through the menu application.

주문 처리부(160)는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세트메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선택하면, 주문 처리부(160)는 주문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주문수량, 배송지 등의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수행한다. 그러면, 주문 처리부(160)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주문 처리부(160)가 주문 및 결제 처리 방법은 기존 방법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rder processing unit 160 performs order and payment processing of the set menu. When the user selects an order command on the screen on which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t menu is displayed, the order processing unit 160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he user inputs set menu order information such as order quantity, And performs settlement. Then, the order processing unit 160 transmit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Since the order processing unit 160 uses the existing method of ordering and payment processin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현황정보 조회부(170)는 세트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세트 메뉴별로 주문현황을 파악하거나, 세트메뉴별 매출현황 조회는 물론 입고/재고도 세트 메뉴별로 관리할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inquiry unit 170 transmits a status inquiry request signal for at least one of an order status, a sales status, a goods receipt / inventory status, and a unit price inquiry for a set menu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130. Through this, the user can grasp the order status according to the set menu, view the sales status by each set menu, and manage the stock / stock according to the set menu.

메신저 서비스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부(180)는 수신된 응답을 팝업 창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When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messenger service unit 180 transmits the inputted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response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messenger service unit 180 can display the received response using a pop-up window or the like.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트메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을 변경하여 사용자만의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트메뉴를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 즉, 사용자가 세트메뉴 등록 명령을 선택하면,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세트메뉴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세트메뉴 등록화면에는 기 등록된 세트 메뉴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세트 메뉴 리스트에서 원하는 세트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선택된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 품목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세 정보는 메뉴 코드, 메뉴명, 이미지, 설명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품목정보에서 추가 명령, 삭제 명령 등을 이용하여 세트 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기 등록된 세트메뉴의 상세 정보 및 품목을 변경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세트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세트메뉴의 생성 후 등록 명령이 선택되면, 세트 메뉴 등록부(185)는 생성된 세트메뉴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만의 세트메뉴를 등록하게 된다.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트 메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The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changes the items constituting the set menu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t menus registered in the menu management server to create a set menu only for the user and registers the generated set menu in the menu management server .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set menu registration command, the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displays the set menu registration screen. The set menu registration screen displays a pre-registered set menu list, and the user selects a desired set menu from the set menu list. Then, the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et menu, item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 menu code, a menu name, an image, a description, and the like, and the user can modify detailed information. In addition, items constituting the set menu can be added or deleted by using an additional command, a delete command, or the like in the item information. In this manner, the user can change the detailed information and items of the pre-registered set menu to create a new set menu of his / her own. If a registration command after the generation of a new set menu is selected, the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transmits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et menu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Then, the menu management server registers the set menu of only the user. The set menu registered in the menu management server can be shared with the users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제어부(19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메뉴 조회부(150), 주문 처리부(160), 현황정보 조회부(170), 메신저 서비스부(180), 세트메뉴 등록부(185) 등 단말장치(100)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9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menu inquiry unit 150, an order processing unit 160, a status information inquiry unit 170, The set menu registration unit 185,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enu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gistering a se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메뉴 관리 서버(200)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세트메뉴 관리부(230), 메뉴 제공부(240), 주문 처리부(250), 메뉴 추천부(260), 현황정보 제공부(270), 메신저 서비스부(280),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3,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a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a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a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a menu providing unit 240, an order processing unit 250, A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70, a messenger service unit 280, and a control unit 290.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세트 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메뉴별 상품명은 해당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을 의미하고, 상품정보는 상품명, 상품코드, 상품범위, 기본 단위, 단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stores menu names for each set menu, product name per menu, product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product name of each menu means products constituting the set menu, and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 product name, a product code, a product range, a basic unit, a unit price, and the like.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사용자 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단말장치 식별정보, 아이디/비밀번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주문 상황은 주문접수, 배송 예정, 배송중, 배송 완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stores user information, order history, preference, current order status, and the like.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ID / password, an address, and the current order status may include order acceptance, schedule of delivery, delivery, and completion of delivery.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동일 그룹내의 고객들은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은 동일 가맹점 그룹(예컨대, 빕스 가맹점 등임), 동일 선호도를 갖는 사용자 그룹, 동일 성별 그룹, 동일 연령별 그룹, 동일 지역별 그룹 등일 수 있다.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메뉴 등이 등록되어 있고, 동일 그룹에 속한 고객들은 다른 고객들이 등록한 세트 메뉴 등을 공유할 수 있다.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is classified into groups, and customers in the same group can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Here, the group may be the same franchise group (for example, a VVS franchisee), a user group having the same preference, the same sex group, the same age group, the same regional group, or the like. In each group, customer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group and set menu registered by each customer are registered, and custome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can share set menus registered by other customers.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상품들을 조합하여 세트메뉴를 구성하고, 구성된 세트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세트 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한다.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configures a set menu by combining goods, registers the set menu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and stores the set menus registered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in the main shop, And classifies them into at least one category and registers them.

세트메뉴 관리부(230)가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트메뉴 등록 화면(400)에는 세트메뉴 추가 영역(410),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 품목정보 입력 영역(430)이 표시된다. A method for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to configure the set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 set menu addition screen area 410, a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420, and an item information input area 430 are displayed on the set menu registration screen 400. FIG.

사용자가 세트메뉴 추가 영역(410)에서 추가 명령(412)을 선택하면,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이 활성화된다. 사용자는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에서 메뉴코드, 메뉴명, 이미지, 설명 등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그런 후, 사용자는 품목정보 입력 영역(430)에서 추가 명령(432)을 선택하여 해당 세트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상품들을 추가한다. 그러면,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새로운 세트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additional command 412 in the set menu addition area 410, the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420 is activated. The user inputs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 menu code, a menu name, an image, a description, and the like in the detailed information input area 420. Then, the user selects an additional command 432 in the item information input area 430 and adds commodities for constructing the set menu. Then,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registers the new set menu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하나의 세트 메뉴라도 주요 메뉴 이외의 나머지 메뉴들을 서로 다르게 선택하도록 하고, 세트 메뉴를 여러 가지 카테고리별로 분류시키고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고객이 세트 메뉴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allows a set menu to select the other menus other than the main menu differently, and provides a function of the set menu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categories and the customer to search the set menu according to the classified category .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사용자가 상품명을 변경한 경우, 메뉴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카테고리별로 저장된 해당 상품명을 일괄적으로 변경한다.When the user changes the name of the product,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collectively changes the corresponding product name stored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for each category.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각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기본 세트 메뉴 중에서 특정 세트 메뉴를 자동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특정 세트 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업데이트한다. 즉,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조중식별 식단, 계절별 식단, 고단백질 식단, 다이어트 식단 등에 따라 기 구성된 기본 세트 메뉴에 포함된 상품을 변경하여 기본 세트 메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이어트 식단의 경우,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기 제공된 기본 세트 메뉴에서 고칼로리의 상품을 저칼로리의 상품으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세트 메뉴를 이용하여 다이어트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automatically corrects a specific set menu from among the basic set menus based on at least one of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current order status of each user, and transmits the modified specific set menu to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Update. That is,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basic set menu by changing the items included in the basic set menu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iet by staring diet, seasonal diet, high protein diet, diet diet and the lik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iet diet,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can configure the diet diet using the basic set menu by changing the high-calorie article into the low-calorie article in the provided basic set menu.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등록되고, 그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은 등록된 세트메뉴를 공유할 수 있다.The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registers the set menu information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when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the registered set menu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can share the registered set menu.

메뉴 제공부(24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세트 메뉴 조회 요청 신호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단말장치 식별정보, 단말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트메뉴 식별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코드 등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 정보는 규격, 화면 사이즈,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제공부(240)는 단말장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상세정보의 화면 배열(또는 구성)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menu providing unit 240 receives from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a menu name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roduct name per menu, And transmit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Here,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may includ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etc., and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set menu name, a set menu code, Screen size, resolutio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enu providing unit 240 can determine the screen size based on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and change the screen arrangement (or configuration) of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size.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주문 처리부(250)가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기존의 결제 방법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rder processing unit 250 performs settlement processing for the set menu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Since the order processing unit 250 processes the payment for the set menu using the existing payment metho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하고, 해당 세트메뉴의 배송을 추적한다. The order processing unit 250 register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and tracks the delivery of the set menu.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주문내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문 내역을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The order processing unit 250 acquires the order details of the user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when the order details are request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nd transmits the obtained order details to the terminal apparatus.

메뉴 추천부(260)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 세트메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메뉴 추천부(260)는 아이디/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상기 아이디/비밀번호에 대응되는 주문이력을 확인하고, 주문이력을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선정된 세트 메뉴를 추천 세트메뉴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user login information is received or a menu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menu recommendation unit 260 selects a recommendation set menu (e.g., a recommendation set menu)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transmits the selected recommended set menu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user. That is, when the logi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 / password is received, the menu recommendation unit 260 searches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to check the order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ID / password, It is possible to select a preferred set menu, and transmit the selected set menu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a recommended set menu.

현황 정보 제공부(270)는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황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현황 정보 제공부(270)는 세트 메뉴별로 주문 현황을 파악하거나, 매출 현황을 조회함은 물론 입고/재고도 각 상품별이 아닌 세트 메뉴별로 관리한다.The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70 obtain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when requesting status inquiry for at least one of the order status, the sales status, the goods receipt / inventory status, and the unit price inquiry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In other words, the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70 not only grasps the order status for each set menu, inquires the sales status, but also manages the goods receipt / inventory for each set menu, not for each product.

메신저 서비스부(280)는 단말장치로부터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메신저 서비스부(280)는 고객들, 고객과 메뉴관리 서버의 관리자간의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고, 예컨대, 1:1/1:N 채팅, 파일전송, 쪽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메뉴 관리 서버(200)는 메신저 서비스부(280)를 통해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The messenger service unit 280 receives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provides a response in real time. The messenger service unit 280 provides a messenger function between the customers and the manager of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functions such as 1: 1: 1: N chat, file transfer, note, and the like. The menu management server 200 can provide a client-independent messenger function through the messenger service unit 280, thereby enhancing communications between customers and business sites in the client company.

제어부(290)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세트메뉴 관리부(230), 메뉴 제공부(240), 주문 처리부(250), 메뉴 추천부(260), 현황정보 제공부(270), 메신저 서비스부(280) 등 메뉴 관리 서버(200)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90 includes a menu information database 210, a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20, a set menu management unit 230, a menu providing unit 240, an order processing unit 250, a menu recommendation unit 260, The menu server 270, the messenger service unit 280, and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 주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ordering a set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가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면(S502), 단말장치는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S504). 이때, 단말장치에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는 텍스트 형태이거나 이미지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terminal device accesses the menu management server (S502), the terminal displays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S504). At this time, the set menu list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may be a text form or an image form.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하면(S506),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한다(S508).If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et menu desired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set menu list (S506), the terminal transmits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S508).

메뉴 관리 서버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S510),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2). 이때, 메뉴 관리 서버는 단말장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상세정보의 화면 배열(또는 구성)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menu management server obtains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 product name per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S510) and transmit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S512). At this time, the menu management server can determine the screen size based on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and change and provide the screen arrangement (or configuration) of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size.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입력하면(S514), 단말장치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수량, 주소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S516), 결제를 수행한다(S518).The terminal device display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 user who confirmed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nputs the order command (S514),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he user inputs the order information, (S516), and performs settlement (S518).

그러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S520), 메뉴관리서버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22).The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S520), and the menu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of the corresponding user (S522).

사용자가 세트메뉴를 주문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와 같이 이미지 형태로 세트메뉴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야채 돈까스' 이미지를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b)와 같이 야채 돈까스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된 상세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세 정보 화면에는 야채 돈까스 이미지, 단가, 야채 돈까스를 구성하는 상품들의 상세 정보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세 정보 화면에서 장바구니 버튼을 선택하여, 야채 돈까스를 주문할 수 있다.
A method of ordering a set menu by the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user selects the 'vegetable cutlet' image in a state that the set menu list is displayed in an image form as shown in (a), the terminal displays a detailed information screen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vegetable cutlet as shown in (b). The detailed information screen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hat make up the image of the vegetable cutlet, the unit price, and the vegetable cutlet. The user can order a vegetable cutlet by selecting a shopping cart button on the detailed information scree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장치가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702), 단말장치는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S704).Referring to FIG. 7, when the terminal device executes the menu application (S702),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the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S704).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하면(S706), 단말장치는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한다(S708).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et menu desired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set menu list (S706), the terminal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pecific set menu (S708).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입력하면(S710), 단말장치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수량, 주소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S712), 결제를 수행한다(S714).The terminal device display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 user who confirmed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nputs the order command (S710), the terminal device displays the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he user inputs the order information, (S712), and performs payment (S714).

그러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S716), 메뉴관리서버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718).
The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S716), and the menu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of the corresponding user (S718).

한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nu order processing method can be created by a program, and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rogrammer in the fiel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단말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메뉴 조회부
160, 250 : 주문 처리부 170 : 현황정보 조회부
170, 280 : 메신저 서비스부 185 : 세트메뉴 등록부
190, 290 : 제어부
200 : 메뉴 관리 서버 210 :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세트메뉴 관리부
240 : 메뉴 제공부 260 : 메뉴 추천부
270 : 현황정보 제공부
100: terminal device 110:
120: input unit 130: output unit
140: storage unit 150: menu inquiry unit
160, 250: order processing unit 170: status information inquiry unit
170, 280: messenger service section 185: set menu registration section
190, 290:
200: menu management server 210: menu information database
220: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230: set menu manager
240: menu providing unit 260: menu recommending unit
270: Status information offerer

Claims (16)

세트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
를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A menu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of menu names for each set menu, product names for each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When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set menu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 product name per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ing detail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for the set menu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Menu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단일 상품들을 조합하여 세트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세트메뉴를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세트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세트 메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t menu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single items, the set menu is registered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set menus registered in the menu information database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category of the main shop, And a set menu managemen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rein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registers the set menu information i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when the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t menu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세트메뉴 관리부는 상기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세트메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에 등록하고, 해당 그룹에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그 그룹에 속한 다른 고객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3,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is classified into a group, customer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group, and set menu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customer are registered in each group,
The set menu management unit registers the set menu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 a group to whic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longs and sets the set menu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group to be shared with other customers belonging to the group And a menu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상기 추천 세트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current order status; And
When the user login information is received or a menu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 recommendation set menu is sel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rder history, preference, and the current order status of the user stor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 menu recommend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nu providing unit determines the screen siz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changes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s for providing the set menu list or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creen siz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status inquiry for at least one of order status, sales status, goods receipt / stock status, and unit price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status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a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sending the status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ssenger service unit for receiving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of a user in real time and providing a response in real time.
출력부;
통신망을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거나,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메뉴 조회부; 및
상기 특정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An output section;
Displaying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on the output unit when the menu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or when a stored menu application is executed and when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set menu list, A menu inquiry unit for transmitting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ing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And
An order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order and payment processing of the specific set menu;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조회부는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nu inquiry unit displays the set menu list or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utput unit in a differ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output unit.
제9항에 있어서,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는 현황정보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status information inquiry unit for sending a status inquiry request signal for at least one of order status, sales status, goods receipt / inventory status, and unit price inquiry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Device.
제9항에 있어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messenger service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inquiry information or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when the inquiry information or the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and receiving a response thereto in real time.
제9항에 있어서,
세트메뉴 등록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세트메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when the set menu registration command is selected and generates a user set menu when the item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et menu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is changed by the user, And a set menu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generated set menu by transmitting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et menu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메뉴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When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menu management server A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nd
When the set menu inquiry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the set menu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 product name per menu, an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menu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 menu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for the set menu when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a menu order processing system.
단말장치가 메뉴 주문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
A method for a menu order processing in a terminal device,
When the menu application is executed, displaying a set menu list provided by the menu management serve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pecific set menu when a specific set menu is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and displaying an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when an order command is input by a user; And
Receiving set menu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order information inpu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set menu order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when payment processing is completed;
≪ / RTI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item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et menu selected from the set menu list is changed by the user, generates a user set menu, and transmits a set menu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et menu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nu management server And registering the created set menu.
KR1020140006335A 2014-01-17 2014-01-17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KR101595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en) 2014-01-17 2014-01-17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en) 2014-01-17 2014-01-17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8A true KR20150086138A (en) 2015-07-27
KR101595315B1 KR101595315B1 (en) 2016-02-18

Family

ID=538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en) 2014-01-17 2014-01-17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1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4698A (en) * 2015-10-30 2015-12-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ordering system
KR20190071904A (en) * 2017-12-15 2019-06-25 타킷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orders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64615B1 (en) * 2021-12-06 2022-11-07 김미영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cipe and dietary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87108B1 (en) * 2022-04-04 2023-01-10 티오더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device for unattended orde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nience information thereof
WO2023195722A1 (en) * 2022-04-04 2023-10-12 티오더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device of unmanned orde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nience information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en) *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A management system of group feeding using internet
KR100911646B1 (en) 2005-11-09 2009-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Unification Management in Dining Room
KR20100062471A (en) * 2008-12-02 2010-06-10 송호섭 A customized menu and a customized menu service method
KR20110130013A (en) * 2010-05-27 2011-12-05 엔에이치엔(주)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arch result
KR20130048055A (en) * 2011-11-01 2013-05-09 황영은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or franchise restaurant using reci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en) *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A management system of group feeding using internet
KR100911646B1 (en) 2005-11-09 2009-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Unification Management in Dining Room
KR20100062471A (en) * 2008-12-02 2010-06-10 송호섭 A customized menu and a customized menu service method
KR20110130013A (en) * 2010-05-27 2011-12-05 엔에이치엔(주)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arch result
KR20130048055A (en) * 2011-11-01 2013-05-09 황영은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or franchise restaurant using recip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4698A (en) * 2015-10-30 2015-12-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ordering system
KR20190071904A (en) * 2017-12-15 2019-06-25 타킷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orders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64615B1 (en) * 2021-12-06 2022-11-07 김미영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cipe and dietary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87108B1 (en) * 2022-04-04 2023-01-10 티오더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device for unattended orde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nience information thereof
WO2023195722A1 (en) * 2022-04-04 2023-10-12 티오더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device of unmanned orde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nience inform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315B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931A1 (en) Menu Personalization
US20200342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staurant recommendations
US10229405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20090112467A1 (en) Map-centric service for social events
KR1015953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KR101859055B1 (en)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 posts, an appratus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US10290037B2 (en) List presentation device, list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WO2021236267A1 (en) Shopping list and cart integration
US20140358711A1 (en) Network-based gift service
JP66431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14274B1 (en)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 posts, an appratus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JP2006227834A (en) Order recep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rder management system
JP2018185599A (en) Order management device, order management system, order management method, and order management program
JP6998563B1 (e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JP72995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9125142A (en) Ord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rder management method and order reception terminal
US20170308929A1 (en) Social Network Based Advertisement
TW201643804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4049039A (en) Shopping support device
KR20140125939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basesed on personal network information
CN114556401A (en) System for purchasing or booking wine, method and program implemented in the system
JP2015225591A (en) Program for advertisement distribution
KR20190059141A (en) Method for sharing products and offering gifts using integrating shopping cart service
JP7038313B1 (e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916909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