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800A -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800A
KR20150084800A KR1020157010575A KR20157010575A KR20150084800A KR 20150084800 A KR20150084800 A KR 20150084800A KR 1020157010575 A KR1020157010575 A KR 1020157010575A KR 20157010575 A KR20157010575 A KR 20157010575A KR 20150084800 A KR20150084800 A KR 2015008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utlet opening
compartment
extraction
ex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873B1 (ko
Inventor
라스무센 울릭 스코브가르드
Original Assignee
콜럼버스 이.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럼버스 이.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콜럼버스 이. 에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5701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시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을 포함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1)로서, 내부 격실(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침투가능 물질에 의해 형성되고 추출 장치(1) 내로 액체를 도입시키기 위한 입구 오프닝(3)을 포함한다. 일회용 추출 장치(1)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에 보유된 아로마 물질(4) 및 추출 컨테이너(6)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5)을 포함하고, 추출 컨테이너(6)는 액체-불침투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은 외부 격실(5) 내로 통합되며 외부 격실(5)은 출구 오프닝(8)을 포함하는 방출부(7)를 더 포함하고, 출구 오프닝(8)을 통해 액체가 추출 장치(1)를 빠져나오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이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과 출구 오프닝(8) 사이에 마련되어, 액체가 출구 오프닝(8) 밖으로 따라질 경우, 내부 격실(2) 내의 액체 및 아로마 물질(4)이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로부터 직접 그리고 출구 오프닝(8)을 통해 밖으로 통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A disposable brewing device and use of a disposable brewing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 및 아로마 물질을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을 포함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과 관련된다.
USD448,602S에 설명된 것과 같은 커피 메이커는 커피 메이커 및 커피 포트(coffee pot)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커피 메이커는 사용 후 청소가 필요하고 일회 사용에 아주 적합하지는 않다. 이 장비는 너무 비싸고 따라서 그 자체로 쓰고 버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WO2005/105604A1으로부터, 서로 접합된(예를 들어, 용접된) 필름 층들로부터 자립형 일회용 추출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알려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커피가 상기 추출 장치 안쪽 필터 장치에 마련되어, 온수가 상기 장치로 상부 오프닝을 통해 도입되는 경우, 물은 상기 분쇄된 커피 및 상기 필터 장치를 통해 아래로 통과할 것이고, 하부 격실로 내려갈 것이다. 그러나, 추출된 커피를 상기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르는 경우, 상기 추출된 커피는 상기 분쇄된 커피를 다시 통과해야 하고, 그에 의해 따르는 과정이 지연되며, 분쇄된 커피가 상기 추출된 커피를 따라서 상기 추출 장치 바깥으로 나올 가능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물질의 일 측면을 따라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추출된 커피가 상기 장치 바깥으로 따라질 때 상기 아로마 물질이 상기 추출된 액체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개시된다. 그러나 아로마 물질 및/또는 추출되지 않은 액체는 여전히 상기 접합을 통과할 수 있고, 출구 오프닝(exit opening)를 통해 상기 장치를 탈출하여 상기 추출되고 필터링된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
WO2005/105606A1으로부터, 일회용 추출 장치의 출구 오프닝 앞에 필터 장치를 위치시키고, 그에 따라 - 분쇄된 커피와 같은 - 아로마 물질이, 커피가 상기 추출 장치를 떠나기 전에, 필터링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디자인은 물이 분쇄된 커피의 일부만을 통과하게 된다는 점을 야기하여, 추출된 제품의 품질이 감소되고, 분쇄된 커피가 상기 필터 장치를 부분적으로 막을 것이어서 그에 의해 추출 장치로부터 따르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WO2005/105606A1으로부터, 필터 내 아로마 물질과 배출 도관(outlet duct) 사이에 일종의 장벽(barrier)를 제공하는 것도 알려졌다. 그러나, 추출된 액체를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르기 위해 추출 장치를 기울이자 마자 또는 추출 장치가 잠깐 너무 빠르게 이동되거나 또는 따르는 과정 동안 한번 따름으로 모두 빼내려는 시도에서, 필터링되지 않은 아로마 물질이 여전히 상기 장벽을 통과할 수 있고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라지는 필터링된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추출된 액체가 안전하고 쉽게 따라질 수 있고, 동시에 추출된 액체가 일회용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에, 추출 장치 안쪽의 추출되지 않은 액체 및/또는 아로마 물질이 상기 추출된 액체를 따라 상기 장치 바깥으로 나오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일회용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을 포함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내부 격실은 액체-침투가능 물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액체를 상기 추출 장치로 도입시키기 위한 입구 오프닝을 포함한다. 상기 일회용 추출 장치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 내에 보유된 아로마 물질 및 추출 컨테이너는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 컨테이너는 액체-불침투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은상기 외부 격실 내로 통합되며, 상기 외부 격실은 출구 오프닝을 포함하는 방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오프닝을 통해 상기 액체가 상기 추출 장치를 빠져나오며, 액체-불침투성 작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과 상기 출구 오프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지는 경우, 상기 내부 격실 내의 액체 및 상기 아로마 물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로부터 직접 그리고 상기 출구 오프닝을 통해 통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아로마는 아로마 물질로 고농축되어 있으며 상기 아로마 물질은 예를 들어, 차 잎들, 분쇄된 커피 또는 그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체이다. 다른 것들 중에서도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필터링된 액체가 상기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 상기 아로마 물질이 추출되고 필터링된 액체와 혼합되면 추출된 제품의 품질에 손상이 가해진다. 나아가, 상기 내부 격실 내의 액체는 아직 상기 아로마-물질을 통과하지 않았고 따라서 추출된 것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추출된 제품이 상기 추출 장치를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이러한 추출되지 않은 액체가 상기 추출된 제품과 혼합될 경우, 추출된 제품의 품질에 손상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지는 경우, 액체-불침투성 장벽이 상기 내부 격실과 상기 방출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격실 내 상기 추출되지 않은 액체와 상기 아로마 물질이 상기 내부 격실로부터 상기 방출부의 출구 오프닝으로 직접 통과하지 않게끔, 상기 추출 장치를 구체화하고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과 통합 형성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상기 외부 격실과 통합 형성하는 것은, 그것이 단순한 추출 장치 디자인을 가능케 한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상기 장벽이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격실 내 어느 곳에서든지 마련될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분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접합으로 형성하는 것은 효율적인 장벽을 형성하는 단순하고도 저렴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입구 오프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의 하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이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 격실의 하부와 상기 입구 오프닝 사이에서 적어도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내부 격실과 상기 출구 오프닝 사이의 직접적인 경로가 완전히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은 상기 입구 오프닝에 마련된다.
추출 장치의 상부에 입구 오프닝을 위치시키는 것은, 액체가 상기 추출 장치 내로 쉽게 따라질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입구 오프닝이 밀봉되지 않았더라도 액체가 넘치지 않음을 보장하여, 명백히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입구 오프닝 근처에서, 상기 장치의 상부에 출구 오프닝을 위치시키는 것도, 예를 들어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가 없는 경우, 추출된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을 통해 넘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상기 추출된 액체가, 상기 장치 안쪽의 추출된 액체의 레벨에 대하여 출구 오프닝을 낮추기 위해 단순히 상기 추출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추출 장치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추출된 액체가 제어된 방식으로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추출 컨테이너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상기 추출 컨테이너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단순한 제조 공정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상기 추출 장치 내 상기 아로마 물질의 위치가 더 제어되는 것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외부 가장자리 접합은 상기 출구 오프닝에서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이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상기 출구 오프닝에서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그로 인해 출구 오프닝이 더욱 막아지게(shielded) 되어, 따름 과정 동안 필터링되지 않은 아로마 물질이 출구 오프닝을 통해 빠져나오는 위험이 더욱 감소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을 따라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 오프닝 및 상기 출구 오프닝 모두가 상기 추출 장치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 방출부가 내부 격실을 따라 마련된, 콤팩트하고 유리한 디자인의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내부 격실을 따라 상기 방출부를 마련하는 것은 또한, 상기 방출부 및 상기 내부 격실이 단지 하나의 접합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더 콤팩트하고 저렴한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외부 격실은 유연한 필름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부 격실을 유연한 필름 물질로 형성하는 것은, 그에 의해 제조가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장치는 실질적으로 공기, 향기, 및 액체 불침투성인 외부 실링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실링은 외부 환경과 실링 안쪽의 환경 사이의 장벽을 형성한다. 그에 의해, 상기 추출 장치에 보유된 아로마 물질 및 다른 부분들이 더 잘 보호되고 상기 장치의 유효 기한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는 상기 외부 실링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추출 격실의 수분-불침투성 물질 자체가 물 또는 수분과 같은 액체 및 아로마와 산소와 같은 가스들을 포함하는 공기에 대해 밀봉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리된 외부 실링이 필요하지 않다. 추출 컨테이너 자체가 외부 실링을 형성하는 경우, 추가 포장을 공급하는데 드는 물질 및 생산 비용들이 절감되고, 그에 의해 단순한 추출 장치 디자인 및 단순한 제조 공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추출 장치의 세로 범위를 유지하도록 적응된 접촉면을 갖는, 세울 수 있는 파우치(stand-up pouch)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를 지지하는 접촉 면을 형성하도록 접힘 밀봉된 형상(shape sealed fold)을 포함하는 장치의 하부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추출 컨테이너를 세울 수 있는 파우치로 형성하는 것은, 그것이 상기 장치가 자립하는 것을 가능키 하고 따라서 상기 장치가 자체로 서있기 때문에 상기 추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치 않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접촉 면의 형상은, -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접힘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며 -, 액체가 채워지는 경우, 상기 추출 컨테이너의 형상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상기 추출 컨테이너가 사용 동안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직각형과 같은 하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름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액체로 채워진 경우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격실이 액체로 채워진 경우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하는 물질로부터 상기 외부 격실을 형성하는 것은, 확장되지 않은 추출 장치가 공간을 덜 소모하고 그에 따라 사용 전에 더욱 용이하게 저장이 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나아가, 상기 확장가능 특징은, 상기 장치가, - 저장 및 포장에 용이한 평평한 구성 수단, 작은 총 부피와 같은 - 확장되지 않은 모습에서의 특정 품질을 갖는 것을 가능케 하고, - 상기 장치가 수직 위치로 자립하는 것을 허용케 하는 하부를 형성하는 접촉면 및 특정 도관들과 같은 - 확장된 상태에서의 특정 품질을 갖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장치는 추출을 위한 사용 동안 자립하는/자체 지지된다.
상기 장치를 추출을 위한 사용 동안 자립하는/자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장치가 추출을 위한 사용 동안 별도의 지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있을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 및 상기 내부 격실은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들에서 하나 이상의 접합에 의해 결집된 자루들 또는 파우치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추출 컨테이너 및 상기 내부 격실을 자루들 또는 파우치들로서 형성하는 것은, 그것이 단순한 추출 장치 디자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고, 접합에 의한 수행은 단순하고 저렴한 제조 공정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내부 격실은 상기 추출 컨테이너 안쪽으로 매달린다.
전통적인 티백들과 같이, 아로마 물질에 단순히 접촉하는 것 대신에, 첨가된 액체가 상기 내부 격실 내 아로마 물질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면, 더 양호한 추출 품질이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 안쪽에 아로마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내부 격실을 매달음으로써, 중력이 상기 액체를 상기 아로마 물질을 통해 상기 추출 컨테이너 아래로 당길 것이고, 그에 의해 단순하고 효율적인 추출 장치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방출부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방출부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도 포함한다.
상기 방출부에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 아로마 물질의 품질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원치 않는 외부 물질의 진입을 막기 위해 - 상기 추출 장치가 보관 동안 밀봉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예를 들어, 추출된 액체의 원치 않는 쏟아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출구 오프닝이 사용 동안 차단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는 벗겨질 수 있는 실링을 포함한다.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로 벗겨질 수 있는 실링을 제공하는 것은, 그것이 출구 오프닝을 확실하게 차단하면서도 여전히 용이하게 제거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나아가, 벗겨질 수 있는 실링은 저렴하고 전형적으로 일회용이어서, 일회용 추출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는 나사 캡을 포함한다.
효율적인 차단 장치에 제공된 나사 캡은 반복적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는 천공된 개봉 라인을 포함한다.
천공된 개봉 라인은 임의의 추가적인 물질 없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일회용 추출 장치에 적합한 저렴한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는 개봉 스트립을 포함한다.
개봉 스트립은 사용된 물질의 관점에서 저렴하고 따라서 특히 일회용 추출 장치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은 따름 분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오프닝에 따름 분출부를 제공하는 것은, 추출된 액체가 더욱 제어된 방식으로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라질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상기 출구 오프닝에서 방울 져 떨어지는 위험이 감소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름 분출부의 크기(extent)는 상기 추출을 위한 측벽이 떨어지도록 할 것이고, 그에 의해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 액체 및/또는 아로마 물질이 상기 내부 격실과 상기 출구 오프닝 사이를 직접 통과할 수 있는 도관 또는 채널들을 형성할 위험이 증가된다. 따라서 출구 오프닝이 따름 분출부로서 형성되는 경우, 액체-불침투성 측벽이 내부 격실과 출구 오프닝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따름 분출부는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 사이에서 마련되어 상기 외부 격실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격실을 형성하는 시트들 사이에 따름 분출부를 마련하는 것은, 따름 분출부의 견고한 고정 및 단순한 제조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언급이 이들 2개의 시트들이 연결되는 것, 예를 들어, 접힘을 배제하는 것임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2개의 완전히 분리된 시트들일 수 있지만 그들은 또한 외부 격실의 양 측면들 상에 마련되어, 접히는 하나의 시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따른 분출부는 상기 외부 격실에 접합되며, 이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것이고 상기 따름 분출부와 상기 외부 격실 사이의 방수 연결 및 견고한 연결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은 따름 주둥이 또는 따름 플랩(poring flap)을 포함한다.
따름 주둥이 또는 따름 플랩은 상기 출구 오프닝에서 사용 동안 방울 져 떨어지는 위험을 감소시키고 보다 제어된 따름 과정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입구 오프닝은 재-실링가능하다.
상기 입구 오프닝을 재-실링가능하게 하는 것은,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 장치 내 액체가 상기 입구 오프닝을 통해 넘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사용 동안 장치가 우발적으로 쓰러지는 경우 많은 양의 뜨거운 액체가 상기 입구 오프닝을 통해 상기 장치를 빠져나오는 것을 막음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이 개선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추출 과정 이전 그리고 추출 과정 동안 추출 장치 안쪽의 더욱 제어된 환경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입구 오프닝은, 플랩(flap), 슬라이드 고정부(flide fastener), 짚 슬라이더(zip slider), 접착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의해, 재-실링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상기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하는 것은,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 아로마 물질 및 추출되지 않은 액체가 내부 격실로부터, 입구 오프닝에서의 실링부를 통해, 출구 오프닝으로 직접 통과하는 위험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만일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질 때 입구 오프닝이 적절하게 밀봉된 경우, 아로마 물질이 재-실링가능한 입구 오프닝을 통해 추출 장치를 떠나지 않음이 또한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 장치는 주로 상호 접합된 필름 물질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아로마 물질은 로스팅된 및/또는 분쇄된 커피, 인스턴트 커피, 차, 우유 파우더, 허브, 과일, 고기, 초콜릿 파우더, 야채들, 곡물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함 또는 맛 또는 향기 또는 다른 기능들을 포함하거나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물질들을 포함한다.
맛 또는 향기 외의 다른 기능들은 예를 들어 색상, 농도, 에너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음료들은, 예를 들어, 커피, 에스프레소, 라떼, 모카, 차, 냉음료, 핫 초콜릿, 혼합 음료, 과일 주스 또는 임의의 다른 먹을 수 있거나 마실 수 있는 유체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부 격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에 의해 형성하는 것은, 그에 의해 측정 장치의 도움 없이도 액체를 장치 내로 더욱 정확하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추출 과정을 시각적으로 제어 및/또는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반투명 물질은 명백히 빛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저장 가용성, 즉 사용 전 추출 장치의 유효 기간이 감소될 수 있지만, 상기 추출 컨테이너 주변을 둘러싸는 실링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외부 격실의 코팅은,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실리콘 산화물 기반 유리들과 같은 세라믹 물질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와 같은 다른 코팅 물질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지는 경우,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까지 연장된다.
출구 오프닝이 구축된 시점에도 - 추출된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바깥으로 따라질 수 있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은, 그에 의해, 액체가 출구 오프닝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 내부 격실 내의 아로마 물질 및 추출되지 않은 액체가 상기 내부 격실로부터 상기 분출부의 출구 오프닝으로 직접 통과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을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로부터 독립적인 부분/장치로 형성하는 것은, 그에 의해,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가 추출 장치로부터 제거되더라도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이 여전히 존재하고 완전히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입구 오프닝은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의 전체 폭으로 연장된다.
상기 입구 오프닝을, 그것이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의 전체 폭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입구 오프닝이 열리는 경우 근접한 또는 인접한 가장자리 접합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의해 안전성이 개선되며 추출 장치의 기능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나아가, 그것은 단순한 제조 공정 및 큰 입구 오프닝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입구 오프닝은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의 상부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엎질러짐 없이 필요한 양의 액체를 추출 장치 내로 채우는 것이 상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 오프닝은 가능한 한 큰 것이 유리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의 상부 가장자리의 전체 폭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그것은 입구 오프닝이 열리는 경우 근접한 또는 인접한 가장자리 접합이 찢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방출부는 상기 추출 컨테이너와 상기 출구 오프닝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축하는 출구 도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 컨테이너 및 상기 출구 오프닝은 실질적으로 추출 장치의 양 단부들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컨테이너 내 추출된 액체는 출구 오프닝을 통해 출구 장치를 나와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방출부가 상기 추출 컨테이너와 상기 출구 오프닝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축하는 출구 도관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도관은 상기 내부 격실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출구 도관을 상기 내부 격실을 따라 마련하는 것은, 상기 출구 도관 및 상기 내부 격실이 단지 하나의 접합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더욱 콤팩트하고 저렴한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은 상기 추출 장치의 상부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출구 오프닝을 상기 장치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가 없는 경우, 추출된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을 통해 넘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상기 추출된 액체가, 상기 장치 안쪽의 추출된 액체의 레벨에 대하여 출구 오프닝을 낮추기 위해 단순히 상기 추출 장치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추출 장치로부터 제어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추출된 액체가 제어된 방식으로 출구 오프닝 밖으로 따라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은 상기 외부 격실의 상부까지 줄곧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전술한 일회용 추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된 액체가 안전하고 쉽게 따라질 수 있고, 동시에 추출된 액체가 일회용 추출 장치 바깥으로 따라지는 경우에, 추출 장치 안쪽의 추출되지 않은 액체 및/또는 아로마 물질이 상기 추출된 액체를 따라 상기 장치 바깥으로 나오는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측면에서 바라본, 종래의 일회용 추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정면에서 바라본, 종래의 일회용 추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정면에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의 선 II-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은 정면에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의 선 III-I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은 정면에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의 선 IV-IV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사시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가 열린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사시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에 액체가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시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에서 출구 오프닝이 재-실링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사시로 바라본, 도 1의 추출 장치로 추출된 액체가 따라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0은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은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사시로 바라본, 벗겨질 수 있는 실링을 포함하는 따름 분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측면에서 바라본, 스레드를 포함하는 따름 분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측면에서 바라본, 따름 주둥이를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측면에서 바라본, 개봉 스트립을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은 측면에서 바라본, 천공된 개봉 라인을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를 도시한다.
설명상의 이유로, 도 1 및 도 6 내지 도 9의 추출 장치의 부분들은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으로 나타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추출 장치(1)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추출 장치(1)는 외부 격실(5)을 포함하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격실(5)은 추출 컨테이너(6)도 형성한다. 시트 물질들(sheet materials, 22, 23), 하부 접합(26), 외부 가장자리 접합(12), 및 입구 오프닝(3)에서의 상부 실링(28)은 일괄하여 외부 추출 격실을 정의한다. 시트 물질(22, 23)은 핸들(27)을 더 형성한다. 내부 격실(2)은 외부 격실(5) 안쪽으로 매달리게(suspended) 되고 그것은 예를 들어 시트 부분에 의해 형성된 플랩(flap)과 같은 상부 실링 또는 닫음부에 입구 오프닝(3)을 포함한다. 상부 닫음부(28)는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따라지거나 장치(1) 내로 주입될 때 용기를 닫는 목적의 접착제로 형성된다.
내부 격실(2) 상부에서, 시트 물질들(22, 23)은 박리가능 실링(peealable sealing)에 결합(joined)되고, 상기 실링 상부로 시트 물질(22, 23)의 일부가 클러치-플랩(clutch-flap)을 형성한다. 하부 시트 물질(300)은, 도 3 내지 5도 참조하면, 외부 격실(5) 및 추출 컨테이너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시트 물질(30)은 측면 접합(12)에 적층되고 연속 적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배열은 외부 격실(5)이 액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경우에 강화된 자립 배열을 제공한다.
나아가 추출 장치(1)는 시트들(22, 23)을 정의하는 외부 격실(5)에 접합되고 필터 물질(31)에 의해 정의된 내부 격실(2)을 포함한다. 내부 격실(2)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아로마 물질(4)을 포함한다.
명백히, 내부 격실(2)의 외부 격실(5)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접합(예를 들어 용접), 열 적층, 아교(gluing) 등에 의한 것과 같이, 여러 다른 방법들로 수행될 수 있고, 고정 점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측면 접합(12)과 같이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
도시된 필터 물질(31)은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얻어진 적절한 크기의 많은 분리된 홀들을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홀들의 크기들은 인가된 아로마 물질(4)에 대하여 바람직한 필터 기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 도 1의 확장된 일회용 추출 장치의 3개의 다른 단면들이, 도 1의 선들 II-II, III-III, IV-IV 각각에 대하여 나타난다.
도 3은 추출 장치(1)의 선(II-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추출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2개의 격실들(2, 5), 즉 예를 들어 접합과 같은 전술한 붙임(gathering)에 의한, 시트들(22, 23, 30)에 의해 기본적으로 형성된 외부 격실(5) 내의 필터 물질(31)에 의해 형성된 내부 격실(2)을 포함한다. 내부 격실(2)은 아로마 물질(4)을 포함한다. 전술한 하부 시트 물질(30)의 시트들(22, 23)로의 연속 적층은 추출 장치(1)의 하부에서 접촉면(14)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는 적어도 외부 격실(5)이 액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 경우에 추출 장치(1)가 자립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선(IV-IV)에 더욱 가까운 단면에서의, 도 3 및 도 2의 펼쳐진 추출 장치(1)의 선(III-III)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의 단면과 비교하여, 외부 격실(3)의 하부에서, 내측 벽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에 유의한다.
도 5는 선(IV-IV)에서의 추출 장치(1)의 중간에서의 도 2 내지 도 4의 펼쳐진 추출 장치의 선(IV-IV)의 단면을 도시한다. 외부 격실(5)의 하부에서 내측 벽들 사이의 거리가 도 4의 단면에 비교하여 증가됨에 유의한다.
시트들(22, 23) 및 하부 시트 물질(30)은 하나의 단일 접힘 시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시트는, 전술한 시트(22, 23) 및 접합(12, 26)을 모으는 하부 시트 물질(30)에 상응하는, 접합을 정의하는 하부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실링(28) 및 접합(12, 26)과 결합된 시트 물질들(22, 23)을 포함하는 추출 컨테이너 물질들은 일괄하여 추출 장치(1)의 외부 실링을 형성한다. 이 외부 실링은 가스들, 수분, 아로마 및 다른 물질들에 대한 방벽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추출 컨테이너(1)의 안과 밖으로의 확산이 차단된다. 따라서, 추출 컨테이너에 보유된 아로미 물질(4)이 그에 따라 상부 실링(28)이 파손될 때까지 보호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로마 물질(4) 보유 추출 장치(1)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로마 물질(4)은 커피 분쇄물들을 포함한다.
도 6에서, 추출 장치(1)는 처음 화살표들(A, B)의 방향으로 면들을 기계적으로 늘림으로써 개방된다. 그에 따라 상부 실링(28)이 상부 덮개들(flaps)에서의 움켜쥠(clutching) 및 잡아당김(pulling)이 화살표(A)의 면들로의 늘림을 수행할 수 있다.
화살표들(B)의 면들로의 기계적인 늘림의 초기 단계는 생략될 수 있는데, 이는 액체가 채워지는 동안 이러한 일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서, 주전자와 같은 액체 디스펜서가 액체를 추출 장치(1) 내로 따른다. 상기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따뜻하며, 커피 분쇄물들(4)과 혼합되고, 내부 필터 격실(2) 내에서 액체 커피 현탁액(liquid coffee suspension)을 형성한다.
도 8에서, 상부 플랩(13)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접힌다.
상부 플랩(13)이 닫혀 있는 경우, 이제 상기 현탁액은 추출 장치(1)의 외부 격실(5) 내에 - 추출 컨테이너(6)에 그리고 장치(1)로 따라지는 액체의 양에 기초하여 아마도 부분적으로 내부 격실(2) 내로 보유된다. 상부 플랩(13)의 폐쇄는 출구 오프닝(8)을 갖는 폐쇄된 컨테이너를 구축한다. 전형적으로, 추출 장치는 이제 1-20분, 예를 들어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2-7분 정도 상기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9에서 추출은 완료되고 사용자는 이제 예를 들어 핸들(27)로 추출 장치(1)를 들어올려, 여기서는 커피인 추출된 액체(15)를 컵에 따르고 음료는 마실 준비가 된다.
도 10은,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추출 장치(1)는 외부 격실(5)을 포함하고, 그 내에는 내부 격실(2)이 추출 컨테이너(6) 내에 그리고 추출 컨테이너(6) 위로 매달린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격실(2)은 액체-침투가능 필터 물질(31)로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필터 물질(31)의 액체-침투가능 품질은 미세 구멍들의 천공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침투가능 품질은 짜여지지 않은 섬유 물질에 의해, 짜여진 또는 짜여지지 않은 직물, 강화된 종이 또는 카드보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액체-침투가능 필터 물질(31)은, 구멍이 제공되며, 제곱센티미터 당 홀들의 특정 밀도로 표면에 반점이 두루 있는 형태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침투가능 필터 물질(31)에는 제곱센티미터 당 1-30개의 홀들의 범위인 홀들의 밀도가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곱센티미터 당 2-20개의 홀들,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곱센티미터 당 4-12개의 홀들의 범위인 홀들의 밀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홀들은 0. 01 mm x 0. 01 mm 내지 2. 00 mm x 2. 00 mm의 범위의 차수들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0. 1 mm x 0. 1 mm 내지 1. 0 mm x 1. 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 1 mm x 0. 1 mm 내지 0. 6 mm x 0. 6 mm의 범위의 차수들을 갖는다. 상기 홀의 바람직한 크기는 0. 2 mm x 0. 4 mm 크기의 가는 구멍(elongated hole)이다. 상기 홀의 형상은 적용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홀들의 차수는 표준 대기압에서 약 3-6분의 추출 시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부 격실(2)은 폴리프로필렌, 플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들, 폴리아미드들, 폴리올레핀들 또는 다른 폴리머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다.
내부 격실(2)은, 중간에서 접히는 필터 물질(31)의 단일 시트로부터 형성되고, 2개의 상단부들은 접합에 의해 상부 실링(28) 바로 아래에서 외부 격실(5)과 연결된다.
필터 물질(31)은 외부 격실(5)의 최대 폭(W)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가장자리 접합들(12)에 의한 면들을 따라 외부 격실(5)과도 연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추출 장치(1)는 내부 격실(2)의 일 면을 정의하고, 내부 격실(2) 안을 따라 방출부(discharge arrangement, 7)의 배출 도관(outlet duct, 15)를 형성하는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내부 격실(2)의 하부(11)로부터 그리고 장치(1)의 상부 가장자리(25)에서의 내부 격실(2)의 입구 오프닝(3)까지 줄곧 연장되는 접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실링(28)에서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빗금친 영역으로 도시되어,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불침투성 방벽(9)이 이 전체 영역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이 이 영역을 통해 어디든지 계속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사용 동안,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3)이 먼저 열려 상부 실링(28)이 파손된다. 이후 액체가 내부 격실(2)로 도입되어 내부 격실(1)내 미리-마련된 아로마 물질(4)과 혼합된다. 액체가 모두 장치(1)내로 따라진 즉시, 입구 오프닝(3)이 재-실링되어, - 이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장치(1)의 전체 폭(W)에서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줄곧 연장되는 짚 슬라이더(zip slider)에 의해 - 외부적으로 부과된 이질적인 물질들로부터 추출 장치(1) 내부가 보호되고, 추출 과정의 품질이 증가하며(예를 들어, 고립 효과), 장치(1)가 뒤집어지는 경우, 장치(1)가 넘치지 않음이 보장된다. 짚 슬라이더는 용이하게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플랜지 형태의 맞물림 외형들(flanged interlocking profiles)을 포함하는 슬라이더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 오프닝(3)의 상기 재-실링 품질은 다른 수단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내부 격실(2)이 외부 격실(5) 안쪽으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그리고 내부 격실(2)이 액체-침투가능 필터 물질(31)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또한 추출 장치(1)가 맞이하는(facing up) 내부 격실(2)로 향해지기 때문에, 추출 컨테이너(6)도 외부 격실 안쪽으로 - 주로 외부 격실(5)의 하부에서- 형성되고, 그 내로, 액체가, 아로마 물질(4)을 통해 내부 격실(4)로 누설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당겨진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대부분이 필터(31) 및 아로마 물질(4)을 통과하면, 추출 컨테이너(6) 내 상기 액체 레벨은 내부 격실(2)의 하부 보다 더 높아, 아로마 물질(4)이 상기 액체에 계속 잠겨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추출 시간 이후, 추출 컨테이너(6) 내 추출된 액체는 장치(1)의 핸들(12)을 잡고 그것을 기울임으로써 출구 오프닝(8) 밖으로 부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액체는 배출 도관(15)로 빠져 나오고 출구 오프닝(8)을 통해 나오게 된다. 출구 오프닝(8)에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가 제공되는 경우, 이는 당연히 액체가 따라지기 전 제거될 것이다.
내부 격실(2)과 출구 오프닝(8) 사이의 액체-불침투성 장벽(9)의 존재 및 위치로 인해, 따르는 동안 상기 장치(1)를 당신이 얼마나 급하게 기울이는지와 관계 없이, 또는 당신이 추출 장치(1) 안쪽 주변의 액체를 우발적으로 철렁거리게 하더라도, 아로마 물질(4) 또는 액체가 내부 격실(2)로부터 출구 오프닝(8) 밖을 통해 나오는 직접적인 통과가 이루어지지 않음이 보장된다.
추출 장치(1)가 커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경우, 추출 과정은, 커피 분쇄물들이 물과 섞여, 혼합 과정이 야기되는 것과 관련될 수 있고, 상기 혼합 과정 동안 동안 상기 커피 분쇄물들과 물이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커피 분쇄물들이 물을 흡수하고 그에 따라 물에 향기를 제공하면서 가라앉고 결과적으로 커피 물질을 가져다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추출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1)의 일 중요한 특징은, 사용자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상기 전통적인 추출은, 물이 액체-침투가능 필터 물질(31)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1)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분의 또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출 장치(1)가 하나 이상의 내부 격실(2)을 갖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격실들(2)은 추출 동안 혼합되는 다른 아로마 물질들(4)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다른 격실들(2)로의 분리는 이들이 사용 전에 혼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추출 장치가, 주변에 노출되는 경우 향기를 잃는 경향을 갖는 분쇄 커피 콩들과 같은 아로마 물질(4)로 가득 찬 경우, 특히 아로마 물질(4)의 양이 더 큰 커피 패키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장치가 일종의 단단한 외부 실링 층에 제공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외부 실링은 폴리머 필름, 금속화된 또는 코팅된 필름, EvOH(Ethylene vinyl alcohol)-코팅, 금속 포일, 밀봉재(sealant)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격실(5)을 형성하는 시트들(22, 23, 30)도 외측 폴리머 필름, 중간 배리어 물질, 및 폴리머 밀봉재의 안쪽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된 외부 실링의 또는 추출 장치(1)의 하부 물질(30)을 형성하는 다층 구조물용 물질들의 바람직한 조합은, 유사한 다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간 금속 포일 장벽층은, 예를 들어 EvOH(ethylene vinyl alcohol)로 코팅되고 금속화된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장벽으로 대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추출 장치(1)의 측벽 물질(22, 23) 및 하부 물질(30)의 유연성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물들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EvOH로 코팅된 금속화된 필름을 갖는 금속 포일의 대체는 더욱 유연한 다층 물질을 조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 추출 장치(1)는 물 또는 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우유와 같은 액체의 사용을 의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추출 장치(1)는 하나 일 회 또는 몇 회의 사용을 의도한 장치(1)로 정의된다.
도 11은,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배출 도관(15)의 폭을 그것의 전체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내부 격실(2)의 상부 오프닝은 도 10의 것보다 약간 더 작고,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의 상부 부분(빗금친 영역)은 약간 더 크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실질적으로 내부 격실(2)의 하부(11)로부터 입구 오프닝(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장벽(9)은 다른 연장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즉 그것은 추출 컨테이너 하부로 연장될 수 있거나 그것은 예를 들어, 매우 가깝게 함께 배열되어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을 형성하는 점 접합(spot welding)과 같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방출부(7)는 출구 오프닝(8)을 형성하는 따름 분출부(21)를 포함한다.
제조 동안, 따름 분출부(21)는 외부 격실(5)의 일 면을 형성하는 시트 물질(22)의 제1 층과 외부 격실(5)의 다른 면을 형성하는 시트 물질(23)의 제2 층 사이에 위치되고, 이후 그것은 측면 가장자리들(!2)이 접합될 때 시트들(22, 23)에 접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따름 분출부(21)는 접합제 또는 다른 것에 의한 것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출구 오프닝(8)에는, 액체가 출구 오프닝(8) 바깥으로 따라지기 이전에 제거되는, 벗겨질 수 있는 실링(17)의 형태의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8)가 제공된다.
도 12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장치(1)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3)의 짚 슬라이더를 거쳐 줄곧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짚 슬라이더 - 또는 유사한 재-실링 장치 - 는, 추출 장치(1)의 상부 가장자리(25)를 거쳐 줄곧 연장하지는 않을 것이고, 이 경우 상기 액체 불침투성 장벽(9)은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3)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출구 오프닝(8)에는, 소장에 따라 출구 오프닝(8)을 통한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나사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는 나사 캡(18)의 형태로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7)가 제공된다.
도 13은, 사시로 바라본, 벗겨질 수 있는 실링(17)을 포함하는 따름 분출부(2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벗겨질 수 있는 실링(17)은 접착제에 의해 따름 분출부(21)에 부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은 주전자(21)에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벗겨질 수 있는 실링(17)은 출구 오프닝(8)을 덮고, 이 경우 상기 출구 오프닝(8)은 따름 분출부(21)를 통해 줄곧 연장되는 중간 배치된 구멍(centrally arranged hole)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상기 출구 오프닝을 차단하는 일종의 플러그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스레드(thread, 29)를 포함하는 따름 분출부(2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따름 분출부(21) 또는 다른 형태의 출구 오프닝(8)에 스레드(29)를 제공하는 것은, 그것이 나사 캡(18)의 용이한 사용을 허용한다는 점 또는 일종의 따름 장치가 다소 유연한 노즐과 같은 따름 분출부(21) 상으로 나사 장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5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따름 주둥이(24)를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8)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출구 오프닝(8)에 따름 주둥이(24)를 제공하는 것은 그것이 사용 동안 또는 사용 이후에 상기 출구 오프닝에서 방울 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따름 주둥이(24)는 따름 분출부(2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개봉 스트립(tear strip, 20)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개봉 스트립(20)은, 2개의 시트들(22, 23)이 외부 가장자리들(12)에서 함께 접합되기 이전에, 외부 격실(5)의 일 면을 형성하는 시트 물질(22)의 제1 층과 외부 격실(5)의 다른 면을 형성하는 시트 물질(23)의 제2 층 사이에 위치된다. 개봉 스트립(20)의 자유 단부(free end)를 꽉 잡고 당김으로써 접합(12)이 파손되고 출구 오프닝(8)이 형성되어, 추출 장치(1) 안쪽의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8)을 통해 장치(1)를 나올 수 있다.
도 17은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천공된 개봉 라인(19)을 포함하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천공된 개봉 라인(19)은 상기 장치를 통해 도중 내내 형성되어,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상기 개봉 라인(19)을 따라 장치(1)를 개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장치(1) 및 상기 추출 장치의 일부분에 관한 상부의, 더 위의, 옆의, 하부의 그리고 다른 방위적 참조들에 관한 임의의 언급들은 상기 추출 장치(1)가 추출에 사용될 때, 즉 상기 추출 장치(1)가 자립 추출 주전자 또는 포트(pot)를 형성하도록 서 있는 때에, 상기 추출 장치(1)에 대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 추출 장치들(1), 격실들(2, 5), 및 다른 것들의 특정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예시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 전술한 특정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수의 변형예들로 설계되고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1 : 일회용 추출 장치
2 : 내부 격실
3 : 입구 오프닝
4 : 아로마 물질
5 : 외부 격실
6 : 추출 컨테이너
7 : 방출부
8 : 출구 오프닝
9 : 장벽
10 : 방출부와 내부 격실 사이의 접합
11 : 내부 격실의 하부
12 : 추출 컨테이너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
13 : 상부 플랩
14 : 접촉면
15 : 출구 도관
16 :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
17 : 벗겨질 수 있는 실링
18 : 나사 캡
19 : 천공된 개봉 라인
20 : 개봉 스트립
21 : 따름 분출부
22 :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제1 시트
23 :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제2 시트
24 : 따름 주둥이
25 : 추출 장치의 상부 가장자리
26 : 하부 접합
27 : 핸들
28 : 상부 실링
29 : 스레드
30 : 하부 시트 물질
31 : 필터 물질
H : 추출 장치의 세로 범위
W : 추출 장치의 폭

Claims (40)

  1. 일회용 추출 장치(1)로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로서, 상기 내부 격실(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침투가능 물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추출 장치(1) 내로 액체를 도입시키기 위한 입구 오프닝(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에 보유된 아로마 물질(4); 및
    추출 컨테이너(6)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5)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 컨테이너(6)는 액체-불침투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은 상기 외부 격실(5) 내로 통합되며,
    상기 외부 격실(5)은, 출구 오프닝(8)을 포함하는 방출부(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오프닝(8)을 통해 상기 액체가 상기 추출 장치(1)를 빠져나오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과 상기 출구 오프닝(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8) 밖으로 따라지는 경우, 상기 내부 격실(2)내의 액체 및 상기 아로마 물질(4)이 상기 출구 오프닝(8)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로부터 직접 통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과 통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방출부(7)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의 접합(1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실질적으로 상기 입구 오프닝(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의 하부(11)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8)은 상기 입구 오프닝(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추출 컨테이너(6)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12)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장자리 접합(10)은 상기 출구 오프닝(8)에서의 외부 가장자리 접합(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격실(2)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격실(5)은 유연한 필름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1)는 실질적으로 공기, 향기, 및 액체 불침투성인 외부 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6)는 상기 외부 실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6)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추출 장치(1)의 세로 범위(H)를 유지하도록 적응된 접촉면(14)을 갖는, 세울 수 있는 파우치(stand-up pouch)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름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액체로 채워진 경우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1)는 추출을 위한 사용 동안 자립하는/자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컨테이너(6) 및 상기 내부 격실(2)은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들에서 하나 이상의 접합(12)에 의해 결집된 자루들 또는 파우치들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실(2)은 상기 추출 컨테이너(6) 안쪽으로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7)는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벗겨질 수 있는 실링(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나사 캡(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천공된 개봉 라인(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는 개봉 스트립(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8)은 따름 분출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따름 분출부(21)는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22)와 유연한 필름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22) 사이에서 마련되어 상기 외부 격실(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4.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따름 분출부는 상기 외부 격실(5)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8)은 따름 주둥이(24) 또는 따름 플랩(poring fl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오프닝(3)은 재-실링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오프닝(3)은, 플랩(flap), 슬라이드 고정부(flide fastener), 짚 슬라이더(zip slider), 접착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의해, 재-실링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8. 청구항 26 또는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3)의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2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1)는 주로 상호 접합된 필름 물질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물질(4)은 로스팅된 및/또는 분쇄된 커피, 인스턴트 커피, 차, 우유 파우더, 허브, 과일, 고기, 초콜릿 파우더, 야채들, 곡물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맛 또는 향기 또는 다른 기능들을 포함하거나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격실(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상기 출구 오프닝(8) 밖으로 따라지는 경우,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재-실링가능 입구 오프닝(3)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출구 오프닝 차단 장치(16)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오프닝(3)은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1)의 전체 폭(W)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오프닝(3)은 실질적으로 상기 추출 장치(1)의 상부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7)는 상기 추출 컨테이너(6)와 상기 출구 오프닝(8)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축하는 출구 도관(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출구 도관(15)은 상기 내부 격실(2)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프닝(8)은 상기 추출 장치(1)의 상부 가장자리(25)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3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불침투성 장벽(9)은 상기 외부 격실의 상부까지 줄곧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추출 장치.
  40.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157010575A 2012-09-24 2012-09-24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KR10196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10575A KR101962873B1 (ko) 2012-09-24 2012-09-24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10575A KR101962873B1 (ko) 2012-09-24 2012-09-24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PCT/DK2012/050356 WO2014044279A1 (en) 2012-09-24 2012-09-24 A disposable brewing device and use of a disposable brew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800A true KR20150084800A (ko) 2015-07-22
KR101962873B1 KR101962873B1 (ko) 2019-03-27

Family

ID=4696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575A KR101962873B1 (ko) 2012-09-24 2012-09-24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57101B2 (ko)
EP (1) EP2909101B1 (ko)
JP (1) JP6129320B2 (ko)
KR (1) KR101962873B1 (ko)
CN (1) CN104853996B (ko)
AU (1) AU2012390066B2 (ko)
BR (1) BR112015006525A2 (ko)
CA (1) CA2886061C (ko)
PL (1) PL2909101T3 (ko)
RU (1) RU2611306C2 (ko)
WO (1) WO2014044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138A1 (en) * 2015-09-28 2017-04-06 Bemis Company, Inc. Pouch with flexible self-sealing dispensing valve
CN108698756B (zh) * 2016-02-11 2020-01-10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浸泡包
US20170252990A1 (en) * 2016-03-03 2017-09-07 Juicero, Inc. Juicer cartridge geometry
GB201706836D0 (en) * 2017-04-28 2017-06-14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CN108689017A (zh) * 2017-12-20 2018-10-23 林文茂 便于携带的软包装过滤容器
US20190223648A1 (en) * 2018-01-19 2019-07-25 Ze-Sheng Li Beverage-Brewing Packaging Bag
US20190225416A1 (en) * 2018-01-19 2019-07-25 Ze-Sheng Li Easy-To-Carry Bagged Coffee
KR102239348B1 (ko) * 2018-11-26 2021-04-13 주식회사 아데나 마스크 팩 보관용 파우치 및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US20220411158A1 (en) * 2019-12-13 2022-12-29 Amcor Flexibles North America, Inc. Package with supplemental se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2634A (en) * 1963-04-10 1968-03-12 Cona Ltd Coffee makers
US4886674A (en) * 1984-10-23 1989-12-12 Mars G.B. Limited Beverage making cartridge
WO2005105608A1 (en) * 2004-05-05 2005-11-10 Columbus E. Aps A disposable brew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8491A (en) 1922-04-26 1924-06-17 Stinson Isaac Edward Sugar container
US3199437A (en) * 1963-02-25 1965-08-10 Silas E Nelsen Infusion apparatus
GB1222567A (en) * 1968-06-21 1971-02-17 Hugo Bednartz A device for infusing a drink in a pot
GB2321175A (en) * 1997-01-16 1998-07-22 Peter John Bindin Beverage filter in container lid
JP2000237021A (ja) * 1999-02-19 2000-09-05 Hiromichi Nishikawa 使い捨て急須
USD448602S1 (en) 2000-07-13 2001-10-02 Pi-Design Ag Coffee maker
US6273307B1 (en) 2000-08-17 2001-08-1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itment for a pouch opening
US8523440B2 (en) * 2005-06-02 2013-09-03 Bevi Corporation Disposable seal and lock beverage pouch
RU74054U1 (ru) * 2007-09-28 2008-06-20 Виталий Викторович Синицын Одноразовая емкость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ов (варианты)
JP5332250B2 (ja) * 2008-03-19 2013-1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8225711B1 (en) * 2008-06-03 2012-07-24 Richard Anthony Andre Self-contained single-serve beverage brewing system
TWM369718U (en) * 2009-07-17 2009-12-01 Pegatron Corp Disposable tea set and tea pot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2634A (en) * 1963-04-10 1968-03-12 Cona Ltd Coffee makers
US4886674A (en) * 1984-10-23 1989-12-12 Mars G.B. Limited Beverage making cartridge
WO2005105608A1 (en) * 2004-05-05 2005-11-10 Columbus E. Aps A disposable brewing container
US7793585B2 (en) * 2004-05-05 2010-09-14 Columbus E. Aps Disposable brew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4279A1 (en) 2014-03-27
AU2012390066A1 (en) 2015-05-14
US9957101B2 (en) 2018-05-01
AU2012390066B2 (en) 2016-12-08
EP2909101B1 (en) 2016-10-26
JP6129320B2 (ja) 2017-05-17
BR112015006525A2 (pt) 2017-08-08
CA2886061C (en) 2021-09-21
RU2611306C2 (ru) 2017-02-21
CA2886061A1 (en) 2014-03-27
PL2909101T3 (pl) 2017-06-30
JP2015532843A (ja) 2015-11-16
EP2909101A1 (en) 2015-08-26
US20150251846A1 (en) 2015-09-10
CN104853996A (zh) 2015-08-19
CN104853996B (zh) 2017-07-21
KR101962873B1 (ko) 2019-03-27
RU2015115525A (ru) 201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73B1 (ko)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US7793585B2 (en) Disposable brewing device
FI83197B (fi) Dryckpaose.
CA2938352C (en)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JP4675024B2 (ja) 加圧して抽出する飲料を調製する閉鎖カートリッジ
JP2017511710A5 (ko)
BR112020000654A2 (pt) cápsula e sistema para preparar uma bebida
JPH0360753B2 (ko)
WO2014044278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disposable brewing device, a disposable brewing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an exit opening in a disposable bre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