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913A -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 Google Patents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913A
KR20150083913A KR1020157015350A KR20157015350A KR20150083913A KR 20150083913 A KR20150083913 A KR 20150083913A KR 1020157015350 A KR1020157015350 A KR 1020157015350A KR 20157015350 A KR20157015350 A KR 20157015350A KR 20150083913 A KR20150083913 A KR 2015008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leeve
outlet
inlet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피. 맥코믹
라이언 에프. 버틀러
Original Assignee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filed Critical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8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24H9/0021Sleeves surrounding heating elements or heating pipes, e.g. pipes filled with heat transfer fluid, for guiding heat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Nozzl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시스템은 코어, 가열 요소,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코어는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몸체, 및 몸체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코어 내에 배치된다. 슬리브는 복수의 채널에 인접하게 코어를 둘러싼다. 슬리브는 코어의 열전도성 재료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채널은 공통 출구 플리넘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모따기되고, 코어는 공통 출구 플리넘 부근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 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FLUID HEATER FOR A PUMP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산업적인 용도에서 사용되는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펌핑 및 분무 시스템에 의해 분출되는 것과 관련하여 점성 유체에 가변적인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고 점성 재료를 사용하는 분무 시스템에 있어서, 분무 총으로의 재료의 펌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분무 시스템 내의 재료에 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승된 온도는 재료의 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펌핑 및 분무될 수 있도록 한다. 고 점성 재료는 재료가 유동하는 단일 통로만을 이용하는 종래의 가열기를 통해 펌핑될 때 큰 압력 강하를 겪는다. 가열기 내의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다양한 가열기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Koliba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65,922호는 재료가 유동하는 이중 통로를 갖는 가열된 코어를 기재한다. 이러한 가열기는 가열기 전체에서의 열 전달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양자 모두 열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통로를 덮는 슬리브 및 코어를 이용한다. 이 가열기는 또한 유동 통로의 스팬 중간(mid-span) 위치 부근에서 코어의 내부 내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한다. 더 높은 압력 및 온도를 견딜 수 있고 펌핑된 재료의 온도를 더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열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 시스템은 코어, 가열 요소,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코어는 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몸체, 및 몸체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코어 내에 배치된다. 슬리브는 복수의 채널에 인접하게 코어를 둘러싼다. 슬리브는 코어의 열전도성 재료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채널은 공통 출구 플리넘(plenum)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모따기되고, 코어는 공통 출구 플리넘 부근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 보어를 포함한다.
도 1은 유체 펌프와 분무 총과의 사이에 위치설정된 가열기를 도시하는 분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입구 하우징과 출구 하우징과의 사이에 위치설정된 슬리브에 연결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도시하는 도 1의 가열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열 카트리지 및 멀티-채널 코어를 도시하는 도 2a의 가열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회로 보드에 연결된 저항 온도 검출기(RTD) 및 열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 2a 및 도 2b의 인클로저의 부분 절취 분해도이다.
도 4는 코어의 출구 플리넘에 대한 도 3의 RTD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 2a의 단면 4-4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열기(11)를 갖는 분무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가열기(11) 이외에, 분무 시스템(10)은 유체 용기(12), 공기 공급원(14), 분출기(16), 및 펌프(18)를 포함한다. 분무 시스템(10)에는 공기 분배 라인(20)을 통해 공기 공급원(14)으로부터 가압 공기가 제공된다. 공기 분배 라인(20)은 공기 공급원(1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공급원 라인(22) 에 이어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기 공급원(14)은 압축기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원 라인(22)은 다수의 분출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다수의 공기 분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분배 라인(20)은 필터(24), 밸브(26) 및 공기 조절기(28)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공기 모터 조립체(34)가 공기 입구(30)에서 공기 분배 라인(20)으로부터 가압 공기를 공급받는다. 펌프(18)가 접지(32)에 연결된다. 가압 공기는 펌프 조립체(36)를 구동하는 펌프(18) 내의 공기 모터 조립체(34)를 구동한다. 공기 모터 조립체(34)를 구동한 후에, 압축 공기는 공기 출구 포트(38)에서 펌프(18)를 떠난다.
일 실시형태에서, 펌프(18)는 공기 모터 조립체(34)가 펌프 조립체(36) 내의 피스톤을 구동하도록 선형 용적 피스톤 펌프(linear displacement piston pump)를 포함한다. 펌프 조립체(36) 내의 피스톤의 동작은 페인트 또는 산업용 코팅과 같은 유체를 유체 라인(40)을 통해 용기(12)로부터 인출한다. 유체 라인(40)은 펌프 조립체(36)의 마중물(priming)을 유지하기 위해 용기(12) 내에 잠겨있도록 위치설정되는 체크 밸브를 갖는 흡입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8)는 유체를 가압하고 유체를 배출 라인(42) 안으로 밀며, 상기 배출 라인(42)은 차단 밸브(41)에서 가열기(11)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 라인(43)은 디렉터 밸브(director valve)(44)가 유체 라인(43) 및 유체 라인(40)을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을 때 가압 유체를 용기(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열기(11)는 펌프(18)와 분출기(16)와의 사이의 가압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유체 라인(45)은 디렉터 밸브(44)가 유체 라인(45) 및 유체 라인(40)을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을 때 분출기(16)로부터 펌프(18)로의 복귀를 제공한다. 유체 라인(46)은 가열기(11) 및 분출기(16)를 연결하다. 분출기(16)는 조작자에 의해 가동될 때 유체를 분출하는 수동 동작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분출기(16)는 가압 유체를 세분화하는 오리피스를 갖는 분무 총을 포함한다. 배압 밸브(47)가 시스템(10)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체 라인(45 및 46)에 위치설정되어 있다. 시스템(10)은 부가적으로 가열기(11)와 분출기(16)와의 사이의 가압 유체가 용기(49) 안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릴리프 시스템(48)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또한 가압 유체로부터의 불순물을 차단하는 배출 밸브(51)를 갖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분무 동작에서는 펌핑된 유체의 점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일부 유체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 덜 점성적이 되며, 이는 유체가 보다 용이하게 펌핑 및 분무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분화 분무 기술을 채용하는 분출기를 통해 적용되는 유체의 점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분화 분무 기술은 분무된 유체가 분무 동작 전체에 걸쳐 동일한 점도를 가질 때 보다 균일한 일정한 마감을 적용한다. 가열기(11)는 더 일정한 분무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펌프(18)와 분출기(16)와의 사이에서 가압 유체의 온도를 제어한다. 가열기(11)는 원하는 밴드 내에서 유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열 요소 및 온도 센서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의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가압 유체가 인라인 가열기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펌핑된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켜 가열기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상기 Kolibas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465,922호에 기재된 가열기는 가열기 내의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열기 내에서 이중 유동 통로를 이용한다. 그러나, 가열기 내에서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은 여전히 크며, 가열기가 최적 열 전달을 위해 제조되는 가열기 구성요소, 특히 슬리브의 균열 또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부하를 받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가열기(11)는 가열 장치와 유체와의 사이에서 높은 열 전달 계수를 가지면서도 가압 유체 주위에서 고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가열기를 이용한다.
도 2a는 입구 하우징(56)과 출구 하우징(58)과의 사이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슬리브(54)에 연결되는 인클로저(52)를 도시하는 도 1의 가열기(11)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슬리브(54)로부터 연장되는 열 카트리지(62) 및 멀티 채널 코어(60)를 도시하는 도 2a의 가열기(11)의 분해도이다. 가열기(11)는 또한 유체 출구 매니폴드(64), 장착 브래킷(66), 및 유체 입구(68)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가 동시에 논의된다.
도 2a 및 도 2b는 내부 RTD(resistive temperature detector:저항 온도 검출기) 온도 센서(도 3 참조)를 포함하는 가열기(11)의 실시형태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출구 매니폴드(64)는 플러그(70), 출구 피팅(72) 및 플러그(74)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러그(74)는 제거될 수 있고 온도계가 출구 매니폴드(64)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70) 및 출구 피팅(7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배향에서 유체 라인과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66) 및 U 볼트(73A) 및 너트(73B)가 원하는 위치, 예를 들어 유체 입구(68) 및 출구 피팅(72)을 위한 근처의 유체 라인에 가열기(11)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고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가압 유체는 유체 입구(68)에서 입구 하우징(56)으로 들어가고, 코어(60)와 슬리브(54)와의 사이의 유체 통로 내에서 이동하여 출구 하우징(58)으로 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코어(60)는 3개의 병렬 유동 채널(78A, 78B 및 78C)을 포함하고, 각각의 유동 채널은 입구 하우징(56)에서 유체를 수용하고 출구 하우징(58)에서 유체를 배출한다. 열 카트리지(62)로부터의 열 에너지가 코어(60)를 통해 유동 채널(78A 내지 78C)로 이동하여 가압 유체의 점도를 낮춘다. 동시에,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의 증가된 총 단면적은 가열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손실을 제한한다.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코어(60)는 슬리브(54)보다 더 높은 열 전달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슬리브(54)는 코어(60)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코어(6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슬리브(54)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강으로 만들어진다. 알루미늄은 스테인리스강보다 대략 15배 큰 열전도성을 갖지만, 스테인리스강은 알루미늄보다 대략 2배 더 강하다. 이와 같이, 코어(60)는 열 카트리지(62)로부터 유동 채널(78A 내지 78C)로 열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슬리브(54)는 가압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견디도록 가열기(11)에 강도를 제공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54)는 코어(60)의 역할에 비해 유동 채널(78A 내지 78C)에 열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작은 부분의 역할을 한다. 부가적으로, 3개의 유동 채널의 존재는 가압 유체에 노출되는 코어(6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열 전달 용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코어(60)의 재료에 대해 더 우수한 강도 능력을 갖는 재료로 슬리브(54)를 만드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54)는 가열기(11)가 서비스 및 수리를 위해 분리될 수 있도록 코어(6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슬리브(54)는 채널(78A 내지 78C) 내의 막힌 재료가 추출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다. 가열기(11)는 그 후 추가의 사용을 위해 재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코어(60)는 슬리브(54) 안으로 압력 끼워맞춤되고, 슬리브(54)는 입구 하우징(56) 및 출구 하우징(58) 안으로 나사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세트 나사 또는 핀(81A 내지 81D)이 슬리브(54)를 출구 하우징(58) 및 입구 하우징(56)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2b를 참고하면, 열 카트리지(62)는 헤드(82)를 통해 코어(60)의 내부 안으로 삽입된다. 열 카트리지(62)는 인클로저(52) 내에 배치된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열 카트리지(62) 및 지시기 광원(80)이 회로 보드에 연결되고 헤드(82)에 장착된다. 지시기 광원(80)은 열 카트리지(62)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TD(도 3 및 도 4)와 같은 온도 감지 장치 및 서모스탯 스위치가 인클로저(5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코어(60)는 온도 감지 장치를 위한 프로브가 연장되는 센서 보어(83)를 포함한다.
도 3은 캡(86)에 장착된 열 카트리지(62A 및 62B) 및 RTD(84)의 근접 사시도이다. 인클로저(52)가 부분 파단되어 도시되어 있고 캡(86)으로부터 분해되어 있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 RTD(84), 및 지시기 광원(80)은 인클로저(52) 내의 회로 보드(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시기 광원(80)은 너트(89)를 사용하여 인클로저(52)에 고정된다. 피팅(90)이 동력 케이블을 회로 보드(88)에 연결시켜 동력을 열 카트리지(62A 및 62B) 및 가열기(11)의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인클로저(52)에 연결되어 있다.
캡(86)은 체결기구(92A 내지 92D)를 사용하여 코어(60)(도 4)에 고정된다. 캡(86)은 지시기 광원(80)과 같은 전기 구성요소, 출구 하우징(58)(도 4)과 같은 하우징 구성요소를 코어(60)에 장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캡(86) 내의 보어를 통해 연장되며 코어(60) 내의 보어 안으로 삽입되는 세장형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형태에서,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전기 저항 가열기이다. 전형적으로, 코어(6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산업 공급자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피팅(90)을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로부터 동력을 수취하기 위해 회로 보드(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고장 또는 마모되면 캡(86) 및 코어(6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교체될 수 있다.
RTD(84)는 캡(86) 내의 보어를 통해 연장되며 코어(60) 내의 보어 안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은 RTD와 관련하여 기재되었지만, 서모스탯과 같은 다른 유형의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RTD(84)는 피팅(98)을 통해 코어(60) 안으로 연장되는 프로브 외피(96) 및 전기 커넥터(9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D(84)의 선단부는 채널(78A 내지 78C)을 위한 공통 출구 플리넘에 위치되도록 코어(60)의 센서 보어(83) 안으로 연장된다.
도 4는 코어(60)의 공통 출구 플리넘(100)에 대한 도 3의 RTD(84)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 2a의 단면 4-4이다. 코어(60)는 부가적으로 공통 입구 플리넘(102)을 포함한다. 체결기구(92A 내지 92D)(도 3)가 코어(60)의 헤드(82)에 캡(86)을 고정시키고, 코어(60)는 출구 하우징(58)을 통해 그리고 슬리브(54)를 통해 입구 하우징(56) 안으로 삽입된다. 캡(86)은 코어(60)보다 더 넓고, 그래서 캡(86)은 출구 하우징(58)에 결합되어 코어(60)가 입구 하우징(56)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세트 나사(81A 및 81B)는 출구 하우징(58)을 슬리브(54)에 고정시킨다. 세트 나사(81C 및 81D)(도 2b)는 입구 하우징(56)을 슬리브(54)에 고정시킨다. 체결기구(104A 및 104B)는 인클로저(52)를 출구 하우징(58)에 고정시킨다.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은 입구 플리넘(102)으로부터 출구 플리넘(104)까지 코어(60)의 세장형 유동 구간 주위의 나선형 경로에서 연장된다. 슬리브(54)는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을 폐쇄하도록 세장형 유동 구간을 둘러싸며, 이에 의해 입구 플리넘(102)과 출구 플리넘(104)과의 사이에 밀봉된 통로를 형성한다. 채널(78A 내지 78C)로부터 초래되는 코어(60)에 형성된 리브는 출구 플리넘(100) 및 입구 플리넘(102)에 각각 모따기부(106) 및 모따기부(108)를 포함하여, 채널(78A 내지 78C)의 각각이 공통 플리넘에서 유체를 수취 및 배출하는 것을 보장한다. 부가적으로, 코어(60)는 코어(60)와 출구 매니폴드(64)와의 사이의 채널(78A 내지 78C)에서의 장애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목부(110)에서 출구 플리넘(100)과 헤드(82)와의 사이에서 크기가 축소된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의 표면적 및 알루미늄 코어(60)의 열전도성은 열 카트리지(62A 및 62B)로부터 채널(78A 내지 78C) 내의 유체로의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코어(60) 내에서 보어(12A 및 12B) 안으로 연장된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는 세장형이어서, 유동 채널(78A 내지 78C)의 길이의 대부분이 가열된다. RTD(84)의 프로브 외피(96)는 RTD(84)를 캡(86)에 고정시키는 피팅(98)을 통해 연장된다. 열 카트리지(62A 및 62B) 및 RTD(84)의 양자 모두는 RTD(84)에 의해 취해진 온도 판독치에 기초하여 열 카트리지(62A 및 62B)를 선택적으로 켜는 인클로저(52) 내의 회로에 연결된다. 프로브 외피(96)의 선단부는 센서 보어(83)를 통해 공통 출구 플리넘(100) 안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RTD(84)는 시스템(10)(도 1)의 동작에 더 관련있는 가열기(11) 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상기 Koliba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465,922호의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시스템에서는, 온도 센서가 유동 채널의 스팬 중간 부근에서 코어 내의 중앙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위치는 가열기가 반응해야 하는 재료의 온도에 특별히 관련되지 않는 입구와 출구와의 사이의 재료의 평균 온도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분출기(16)(도 1)에 펌핑되는 유체의 실제 온도를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스템(10)의 간헐적인 동작 동안, 분출기(16)에 가장 근접하는 유체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열 카트리지(62A 및 62B)가 동작될 수 있도록 유동이 시작되고 유동이 멈추는 때에 출구 플리넘(100)에서의 온도를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센서 보어(83)는 RTD(84)가 출구 플리넘(100) 내의 유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RTD(84)는 유체의 온도의 더 정확한 판독이 획득되도록 펌핑되는 실제 유체 및 코어(60)의 재료의 양자 모두에 접촉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형태 및 상세사항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1)

  1.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몸체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코어,
    코어 내에 배치되는 가열 요소, 및
    복수의 채널에 인접하게 코어를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코어의 열전도성 재료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은 나선형 경로를 따라 병렬로 연장되는 3개의 유동 채널을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코어의 열전도성 미만의 열전도성을 갖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코어는 알루미늄계 재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스테인리스강계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코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을 위한 공통 입구 플리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슬리브에 연결되는 입구 하우징, 및
    복수의 채널을 위한 공통 출구 플리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슬리브에 연결되는 출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코어가 입구 및 출구 하우징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된 캡, 및
    입구 및 출구 하우징을 슬리브와 연결시키는 세트 나사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코어는,
    공통 출구 플리넘에 인접하는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헤드, 및
    공통 출구 플리넘에 근접하게 헤드를 통해 연장되는 센서 보어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코어는,
    헤드를 통해 코어의 몸체 안으로 연장되는 가열기 보어를 더 포함하고,
    가열 요소는 가열기 보어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코어는,
    공통 출구 플리넘에 인접하는 헤드에 코어의 몸체를 연결하는 목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코어는,
    공통 출구 플리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몸체의 제1 단부와 헤드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출구 모따기부, 및
    공통 입구 플리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몸체의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입구 모따기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센서 보어는 출구 모따기부에 인접하는 공통 출구 플리넘 안으로 관통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출구 모따기부 및 입구 모따기부는 복수의 채널의 절취부(cut-back)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공통 출구 플리넘에서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 코어에 위치설정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저항 온도 검출기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공통 입구 플리넘에 유체 연결되는 유체 펌프, 및
    공통 출구 플리넘에 유체 연결되는 유체 분무기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시스템.
  17. 입구 단부로부터 출구 단부까지 연장되는 세장형 유동 구간,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 유동 구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나선형 유동 채널,
    입구 단부의 복수의 병렬 나선형 유동 채널의 제1 모따기부, 및
    출구 단부의 복수의 병렬 나선형 유동 채널의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코어이며,
    유체 가열기 코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유체 가열기 코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세장형 유동 구간의 출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목부,
    목부에 연결되는 헤드, 및
    헤드를 통해 제2 모따기부를 향해 연장되는 센서 보어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코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세장형 유동 구간을 둘러싸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슬리브는 스테인리스강 합금으로 제조되는, 유체 가열기 코어.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병렬 나선형 유동 채널을 위한 공통 출구 플리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2 모따기부를 둘러싸는 출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코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출구 하우징을 슬리브에 연결하는 체결기구,
    헤드를 출구 하우징에 연결하는 캡, 및
    센서 보어에 배치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가열기 코어.
KR1020157015350A 2012-11-14 2013-11-13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KR20150083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6371P 2012-11-14 2012-11-14
US61/726,371 201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13A true KR20150083913A (ko) 2015-07-20

Family

ID=5073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350A KR20150083913A (ko) 2012-11-14 2013-11-13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308710A1 (ko)
EP (1) EP2920522A4 (ko)
JP (1) JP2015535072A (ko)
KR (1) KR20150083913A (ko)
CN (1) CN104797888A (ko)
TW (1) TW201430298A (ko)
WO (1) WO2014078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846A (ko) * 2017-03-30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140032U1 (it) * 2014-05-23 2015-11-23 Hpm Eng S R L Un condotto flessibile ad attacco rapido per un dispositivo di verniciatura a spruzzo
CH711680B1 (fr) * 2015-10-23 2022-01-14 Gotec Sa Module de chauffage pour pompe à liquide, ensemble d'alimentation en liquide chaud et machine de production de boisson chaude.
US11255476B2 (en) * 2015-10-29 2022-02-22 Wagner Spray Tech Corporation Internally heated modular fluid delivery system
CN106304446B (zh) * 2016-10-14 2023-05-05 吉林大学 一种井内流体电加热器
CN109883036A (zh) * 2019-04-01 2019-06-14 延边可喜安东洋电子有限公司 一种水暖垫用自然循环式水暖锅炉
US11428220B2 (en) * 2020-05-20 2022-08-30 Phoenix Composites Equipment, Inc. Frame-supported pum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9675A (en) * 1977-06-23 1980-04-22 Nordson Corporation Electric fluid heater
US4465922A (en) * 1982-08-20 1984-08-14 Nordson Corporatio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high solids fluid coating materials
JPS6249109A (ja) * 1985-08-29 1987-03-03 Idemitsu Kosan Co Ltd 流体加熱用ヒ−タ−装置
US6459854B1 (en) * 2000-01-24 2002-10-01 Nestec S.A. Process and module for heating liquid
FR2855359B1 (fr) * 2003-05-19 2005-07-01 Seb Sa Dispositif de chauffage d'un liquide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appareil electromenager equipe d'un tel dispositif.
EP1532905A1 (de) * 2003-11-20 2005-05-25 Steiner AG Weggis 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r kaffeemaschine oder dergleichen mit heisswasser, dampf oder heissmilch
JP4293081B2 (ja) * 2004-07-23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各種の洗浄装置
RU2506030C2 (ru) * 2007-10-04 2014-02-10 Нестек С.А. Встрое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20100046934A1 (en) * 2008-08-19 2010-02-25 Johnson Gregg C High thermal transfer spiral flow heat exchanger
JP5536680B2 (ja) * 2011-01-13 2014-07-0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ウォッシャー液の加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846A (ko) * 2017-03-30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0522A1 (en) 2015-09-23
TW201430298A (zh) 2014-08-01
CN104797888A (zh) 2015-07-22
JP2015535072A (ja) 2015-12-07
WO2014078381A1 (en) 2014-05-22
US20150308710A1 (en) 2015-10-29
EP2920522A4 (en)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913A (ko) 펌핑 시스템을 위한 유체 가열기
CN1766390B (zh) 用于分配热液体的设备
EP1181106B1 (en) Dispensing apparatus for viscous liquids
US3584194A (en) Fluid heating techniques
EP3132906A1 (en) Tool temperature control
KR101209495B1 (ko) 세척과 제빙을 위한 장치
JP2005319461A5 (ko)
US8029248B2 (en) Integrated coolant pumping module
JP2012515974A5 (ko)
JP2008223761A (ja) 冷媒制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82712A1 (en) System for conveying and dispensing heated food material
US6836616B2 (en) Molten material application machine
US20140209703A1 (en) Plural component system heater
EP1426161A1 (en)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embedded and removable heaters
CN101426633A (zh) 热流道喷嘴
WO2018071909A1 (en) Multi-segment heated hose having segment-specific heating means
KR101803748B1 (ko) 자동차 부품용 실러 토출 장치
US5892887A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a pair of interconnected heating chambers having concentric copper tube structures
CN108475078A (zh) 具有可调阀座的天然气压力调节器
IT8967960A1 (it) Collettore di carburante ad elevata pressione atto ad essere inserito tra una pompa di alimentazione del carburante ed almeno una valvola di iniezione del carburante azionata elettromagneticamente
EP3258102B1 (en) Autonomous hydraulic unit
US20170234577A1 (en) Internally heated hose
CN106542334A (zh) 温度控制系统的工作流体输送管
US20140105586A1 (en) Cooling device for near instantaneous water heater for kitchen or bath products
EP1251302A2 (en) Dispensing apparatus for viscous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