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266A -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266A
KR20150083266A KR1020140002823A KR20140002823A KR20150083266A KR 20150083266 A KR20150083266 A KR 20150083266A KR 1020140002823 A KR1020140002823 A KR 1020140002823A KR 20140002823 A KR20140002823 A KR 20140002823A KR 20150083266 A KR20150083266 A KR 20150083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portable device
contact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7621B1 (en
Inventor
이강민
한선영
유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2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2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pparatus and a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wherein the portable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part to represent images; a magnetic sensing part which senses touch of another apparatus including a magnet; a control part which controls a display part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nother apparatus, when sensing the touch of the another device in the magnetic sensing part, and displays user interfaces to share content in an area of the display par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ouching the another apparatus, there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ased on the touch of the apparatus with use of the magnetic sensing part and the magnet and sharing content, while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apparatus and resolving expensive price of ingredients and an amount of consumption power, and maintaining confidentiality of information and improving convenience of users.

Description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장치와 타 기기 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컨텐츠를 공유하는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pparatus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apparatus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sharing contents between a portable apparatus and another apparatus.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장치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과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여 하나의 휴대장치에서부터 다른 휴대장치로 데이터(예를 들어, 음악, 동영상 등)를 공유하는 기기 간 컨텐츠 공유 및 그 연계 서비스를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spread of the use of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 variety of services and functions provided by portable devices are gradually expanding.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a wireless network and various demands of users, a technology for content sharing between devices sharing data (e.g., music, video, etc.) from one portable device to another portable device, Are being developed.

그런데, 이러한 컨텐츠 공유 및 연계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고, 컨텐츠가 공유되는 기기의 탐색 및 선택 등의 복잡한 사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such a content sharing and linking service requires a user to execute a corresponding service, and to perform complex prior tasks such as searching and selecting a device in which content is shared.

예를 들어, 기기간 컨텐츠 전송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의 경우, 서비스 활성화, 기기 탐색, 기기 선택, 컨텐츠 선택, 컨텐츠 전송 순서로 진행되며, 이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Bluetooth or WiFi Direct, which is widely used for content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service activation, device search, device selection, content selection, and content transmission are performed. There may b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proceed manually.

또한, 최근 NFC, IR 등을 이용한 기기 연결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으나, 해당 솔류션을 지원하는 추가 모듈로 인한 제품의 단가 상승 및 모듈 미탑재 제품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보안 및 전력 문제로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여전히 사용자의 사전 작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FC의 경우, 제품 후면 탑재로 인해 기기 뒷면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서비스 종료 시점이 불분명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recently, device connection solutions using NFC, IR, etc.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due to the additional module supporting the solu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ice of the product may increase and compatibility with the module may be incompatible. It may still require user's preliminary wo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NFC, since the service can be used only in the back side of the device due to the rear side of the product,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unnecessary power wasting and security problems may occur due to unclear ending time of the service.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부와;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gnetism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ntact of another device including a magne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device, . ≪ / RTI >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shared panel in which icons of contents shared with other devices among the contents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located.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reduce or scroll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including a drag and drop,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corresponding to the drag and drop to move the ic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user interface, To share with other devices.

통신 연결에 의해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ther device by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to another device when the self- Can be controlled.

제어부는,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Upon completion of the transfer of the content, the control unit may change and display the icon of the transferred content so as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another device.

통신 연결에 의해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content to be shared from the other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separated in the magnetic sensor unit .

제어부는,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change and display the icon of the received content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ensing data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senses the contact state,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ther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제어부는, 결정 결과에 따라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n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어부는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e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성을 가지는 자석과; 자석이 마련된 방향에 접촉된 타 기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gnet having magnetism;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 is provided,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another device, and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in conta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including a drag and drop,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corresponding to the drag and drop to move the ic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user interface, To share with other devices.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타 기기의 접촉에 대응하여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tent shar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may include sensing a contact of another device including a magnet;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tact of the other devic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contac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shared panel in which icons of contents shared with other devices among the contents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loca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ay reduce or scroll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and display the screen.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을 입력받는 단계와;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drag-and-drop operation for moving an ic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to a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with another device.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cting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senso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to another device.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is completed, changing the icon of the transmitted content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another device, and displaying the changed content icon.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cting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sensor; And receiving the content to be shared from the other device.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content is completed, it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icon of the received content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another device and displaying the changed content.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nsing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whether or not the other device is in contact,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i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ensing data of the self-sens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결정 결과에 따라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an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는,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The step of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과 도 4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의 접촉 전 후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able device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sensing data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before and after the contact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5 to 8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in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s shar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장치(101, 102)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constituting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복수의 휴대장치(100)로서, 제1휴대장치(101)와, 제2휴대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1,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rtable device 101 and a second portable device 102, including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100 capable of sharing contents, can do.

휴대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스마트 기기)로 구현되며, 이하에서는 휴대장치(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portable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digital device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and a tablet.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portable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각각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접속 가능하다. 도 1에서는 편의상 2개의 휴대장치(101, 102)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3개 이상의 휴대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respective communication units. Although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wo portable apparatuses 101 and 10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sharing contents, the contents sha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ree or more portable apparatus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1, 102)의 일 측면에는 자성을 감지하는 자기감지부(magnetic sensor)(171)가 마련되고, 타 측면에는 약한 자성을 가지는 자석(magnet)(175)이 부착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휴대장치(101)에 포함된 자석(174)은 타 기기(102)에 마련된 자기감지부(171)에서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magnetic sensor 171 for sensing magnetis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eak magnetism A magnet 175 is attached. Here, the magnet 174 included in any portable device 101 may be attached to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provided in the other device 102 can sense magnetism.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휴대장치(101, 102)의 전면 상부 좌측에 자기감지부(171)가 마련된 경우, 자석(174)은 측면 상부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나란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하면, 제1휴대장치(101)의 자석(174)의 자성을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감지부(171)에서 감지하게 되고, 그 결과가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도 2의 110)로 전달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magnetic sensing part 171 is provided on the left upp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the magnet 17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magnetic forces of the magnets 174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of FIG. 2)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The control unit (110 of FIG.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위치하며, 디스플레이부(190)는 터치스크린(191)을 포함한다. 휴대장치(100)에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91)에는 홈 화면을 포함한 다양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홈 화면들을 가질 수 있다. 홈 화면에는 터치에 의해 선택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 날씨 위젯 및 시계 위젯 등이 표시될 수 있다.1, the display unit 19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the display unit 190 includes the touch screen 191. When a user logs in the portable device 100, various screens including a hom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 The portable device 100 may have a plurality of different home screens. A shortcut icon, a weather widget, a clock widget,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selectable by a touch may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컴퓨터용 OS(Operating System) 또는 모바일 OS 위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SNS(Social Network System), 채팅(chatting), 지도(Map), 뮤직 플레이어 및 동영상 플레이어 등이 있다. An application is an operating system (OS) for a computer or software that is directly executed by a user on a mobile OS. Examples include word processors, spreadsheets, social network systems (SNS), chatting, maps, music players, and video players.

위젯(widget)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OS와의 상호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중 하나인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날씨 위젯, ·계산기 위젯, 시계 위젯 등이 있다. 단축 아이콘 형태로 만들어 데스크 탑 또는 휴대장치, 블로그, 카페, 개인 홈페이지 등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클릭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또한, 위젯은 지정된 경로로 바로 가기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단축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A widget is a mini application that is on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that more smoothly supports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application or an OS. For example, weather widgets, calculator widgets, clock widgets, and so on. It can be installed as a desktop shortcut or a mobile device, a blog, a cafe, a personal homepage, or the like, and the service can be directly accessed through a click without using a web browser. The widget can also include a shortcut to the specified path or a shortcut icon that can execute the specified application.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위젯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application includes a widget.

홈 화면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 따라 휴대장치(100)는 홈 화면을 상태 바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태바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At the top of the home screen, a status bar may be displayed to indicate the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100, such as battery charging status,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current time. Also,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em (OS), the portable device 100 may place the home screen at the bottom of the status bar or not display the status bar.

본 실시예의 자기감지부(171)는 근접 센서로서,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 일측,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에는 제1카메라(151), 조도 감지부(172)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후면 상부에는 제2카메라(152) 및 선택적으로 플래시(flash)(15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는 촬영대상을 인식하는 영상감지부(150)에 포함된다. The magnetic sensor 17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roximity sensor and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as in FIG.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illumination sensing unit 17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A second camera 152 and optionally a flash 153 may be located on the backside of the portable device 100.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second camera 152 are included in the image sensing unit 150 that recognizes an object to be imaged.

휴대장치(100)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162)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마련되어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타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On th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100, for example, a power / lock button, a volume button, one or a plurality of microphones 162, and the like may be located. A connector 165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can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including the portable device by wire.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키패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별도의 입력장치(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입력유닛을 정의할 수 있으며, 입력유닛은 터치스크린(191)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유닛은 터치 입력을 포함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In this embodiment, an input unit including a physical button, a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and a separate input device (pointing device) capable of touch input by the user may be defined, and the input unit may be a touch screen 191) of the user's body (e.g., a finger). The input unit transmits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cluding a touch input.

본 실시예의 휴대장치(100)는 후술하는 이동통신부(120) 또는 서브통신부(130)를 이용하여 타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1)을 가지고, 서브통신부(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장치로서 정의된다. The port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or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share contents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00 has a touch screen 191 and is defined as an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hrough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장치(100)의 구성은 도 1의 제1휴대장치(101) 및 제2휴대장치(102)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commonly applied to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90)로서 터치스크린(191)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휴대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부(12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portable device 100 includes a touch screen 191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195 as a display unit 190. The portable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a sub communication unit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n image sensing unit 150, a GPS unit 155, an input / output unit 160, A sensing unit 170, a storage unit 175, and a power supply unit 180.

서브통신부(130)은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영상처리부(140)는 방송통신 유닛(141), 오디오재생 유닛(142) 및 동영상재생 유닛(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영상감지부(150)는 제1카메라(151) 및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유닛(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입력장치(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감지부(170)는 자기감지부(171), 조도감지부(172) 및 자세감지부(173)를 포함한다. The sub-communication unit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unit 131 and a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includes a broadcast communication unit 141, an audio reproduction unit 142, ). The image sensing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The input / output unit 160 includes a button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The sensing unit 170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 keypad 166 and an input device 167. The sensing unit 170 includes a magnetic sensing unit 171, a rough sensing unit 172, (173).

제어부(1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111),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휴대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stores a signal or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111, a ROM 112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device 100, and the portable device 100, And a RAM 113 used as a storage area for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100. [

제어부(110)는 휴대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components 120 to 195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80 to the internal components 120 to 195. In addition, when the user's input or set and stored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ontrol unit 110 can execute an OS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AP(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한다. AP(111)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AP(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 및 GPU(도시되지 아니함)가 SoC(System On 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P(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P(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n AP 111, a ROM 112 and a RAM 113. [ The AP 111 may include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graphic processing. The AP 11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 (System On Chip) by a core (not shown) and a GPU (not shown). AP 111 may include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quad core, and cores thereof. Also, the AP 111, the ROM 112, and the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via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a sub communication unit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n image sensing unit 150, a GPS unit 155, an input / output unit 160, a sensing unit 170, A storage unit 175, a power supply unit 180, a touch screen 191,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195.

이동통신부(13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에 의해 외부장치 즉, 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30)은 휴대장치(100)와 연결가능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다른 휴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another device, by mobile communication using one or more antenna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a voice communication, a video communication, a text message (SMS), a multimedia message (MMS), and a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for the mobile station.

서브통신부(130)은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유닛(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부(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 통신부(13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unit 131 and a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For example, it may include only the wireless LAN unit 131, only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2, or both the wireless LAN unit 131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2.

무선랜 유닛(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을 이용하여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없이 무선으로 타 기기 즉, 외부장치와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즉,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unit 131 may be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using a radio in a place where an access point (AP) (not shown) is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wireless LAN unit 131 supports the IEEE 802.11x standard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can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i.e., an external device, wirelessly without an access point (A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Near-field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IrDA, Wi-Fi, Wi-Fi Direct, Ultra Wideband (UWB)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휴대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a wireless LAN unit 131, and a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For example, the port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the wireless LAN unit 131, and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타 기기(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휴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에 의해 타 기기와 컨텐츠가 공유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컨텐츠 공유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32)의 통신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of another use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o transmit / receive data. The contents are shared with other devices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such data. Her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10 sets up a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for content sharing when a contact of another device is detected by a magnetic sensing unit 1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라는 용어는 이동통신부(120)와 서브통신부(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동통신부(120)와 서브통신부(13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The term communication unit may be an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or the concept including bot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

영상처리부(140)는 방송통신 유닛(141), 오디오 재생 유닛(142) 또는 동영상 재생 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유닛(141)은 제1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를 들어,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를 비디오 코덱 유닛(Codec unit) 및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90) 및 스피커(163)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include a broadcast communication unit 141, an audio reproduction unit 142, or a moving image reproduction unit 143. [ The broadcast communication unit 14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or exampl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or a dat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broadcast station through a broadcast communication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broadcast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e.g., Electric Program Guide (EPS) or Electric Service Guide (ESG)). The control unit 110 may proces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the broadcast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190 and the speaker 163 can reproduce the information using a video codec unit and an audio codec unit.

오디오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오디오 파일)를 스피커(163)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audio reproduction unit 142 is an audio reproduction unit that is eith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portable device 100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ogg, or wav) can be played back on the speaker 163.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오디오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175)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의 출력 등)을 오디오 코덱 유닛을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 The audio reproduction unit 142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udio feedback (for example, storage 175)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r touch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Output of an audio source stored in the audio codec unit) through the audio codec unit.

동영상 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에 설치 가능한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유닛 또는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unit 143 may be a digital moving picture sour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portable device 100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for example, a file extension of mpeg, mpg, mp4, avi, mov, or mkv) can be played back using a video codec unit. Most application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0 can reproduce an audio source or a moving picture file using an audio codec unit or a video codec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제1저장부(175)에 저장된 동영상 소스의 출력 등)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unit 143 may generate a visual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r touch detected by the touch screen 191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output of the moving image sour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and the like) through the video codec unit.

많은 종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유닛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kinds of video and audio codec units are produced and sold.

영상처리부(140)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방송통신 유닛(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유닛(142)과 동영상재생 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40)의 오디오재생 유닛(142) 또는 동영상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코덱 유닛 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코덱 유닛 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오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include an audio reproduction unit 142 and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unit 143 except for the broadcast communication unit 141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The audio reproducing unit 142 or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unit 143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video codec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video codec units.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udio codec unit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audio codec units.

영상감지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전면의 제1카메라(151) 및 후면의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감지부(150)는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151) 또는 제2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first camera 151 and a rear second camera 152 for captur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imag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one or both of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second camera 152. In addition, the first camera 151 or the second camera 152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ight source (for example, a flash 153) that provides a light amount required for photographing.

GPS 유닛(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예를 들어, 휴대장치(100)에 수신가능한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장치(100)는 복수의 GPS위성에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장치(100)의 위치, 속도 또는 시간을 알 수 있다. The GPS unit 155 periodically acquires information (e.g.,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GPS satellites (not shown) that can be received by the portable device 100) from the plurality of GPS satellites (not shown) Information). The portable device 100 can know the position, speed, or time of the portable device 100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입/출력 유닛(16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입력장치(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unit 1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 keypad 166, and an input device 167 One can be included.

버튼(161)은 전면의 하부에 마련되는 메뉴 버튼, 홈 버튼, 및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을 포함한다. 버튼(161)은 측면의 전원/잠금 버튼 및 볼륨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장치(100)에서 버튼(161)은 물리적 버튼이 아니라 터치스크린(191)에 마련된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에서 버튼(161)은 터치스크린(191)내에 텍스트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button 161 includes a menu button, a home button, and a back butto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side. The button 161 may include a side power / lock button and a volume button. Here, in the portable device 100, the button 161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button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191 instead of a physical button. In the portable device 100, the button 161 may be displayed in the touch screen 191 as text or an icon.

본 실시예에서 휴대장치(100)의 입/출력 유닛(160)은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인터랙션 즉, 터치 또는 터치 제스쳐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 output unit 160 of the portable device 100 can receiv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that is, a touch or a touch gesture.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부터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62)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오디오 코덱 유닛에서 변환되어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62)는 휴대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162 receives a voice or sound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162 may be converted in the audio codec uni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r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3. [ The microphone 162 may be located on one or more of the front,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portable device 100.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또는 영상감지부(150)의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신호, 방송신호, 오디오 소스,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peaker 163 controls various signa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or the image sensing unit 150 using an audio codec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A wireless signal, a broadcast signal, an audio source, a moving picture file, or a picture)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100.

스피커(163)는 휴대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음, 또는 사진촬영 버튼 조작음)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가 위치할 수 있다. The speaker 163 can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portable device 100 (for example, a touch oper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telephone number input or a photo shooting button operation sound). At least one speaker 163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nd back of the portable device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163 may output auditory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r touch detected by the touch screen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64)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휴대장치에서부터 음성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진동 모드인 휴대장치(100)의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진동모터(164)는 휴대장치(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164)는 휴대장치(100) 전체를 진동되게 하거나 또는 휴대장치(100)의 일부분만 진동되게 할 수 있다.The vibration motor 164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For example, the vibration motor 164 may include a linear vibration motor, a bar type vibration motor, a coin type vibration motor, or a piezoelectric element vibration motor. When a voice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another portable device, the vibration motor 164 of the portable device 100 in the vibration mode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vibration motor 164 may be located on the portable device 100 in one or more than two. In addition, the vibration motor 164 may cause the entire portable device 100 to vibrate or vibrate only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100. [

커넥터(165)는 휴대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를 통해 외부의 액세서리(예를 들어, 키보드 도크(keyboard dock), 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65 may be used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a power source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he portable device 100 can transmi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to an external device via the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or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device 100 can be powered from a power source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or can charge a battery (not shown). The portable device 100 may als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accessory (e.g., a keyboard dock, not shown) through the connector 165. [

키패드(166)는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장치(100)에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터치스크린(191)내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keypad 166 may receive a key input from a user for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100. The keypad 166 includes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a virtual keypad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and a physical keypad Quot;).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hysical keypad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can be exclu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 아이콘)를 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로서 컨텐츠(content)를 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휴대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카메라(151, 152)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 문서나 연락처 등의 텍스트 데이터 등의 타 기기와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167 may touch an object (e.g., a menu, a text, an image, a video, a graphic, an icon, and a shortcut icon)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of the portable device 100 You can choose. The input device 167 can touch or select content as an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of the portable device 100. [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00,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s 151 and 152, the 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And various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입력장치(167)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방식 및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스타일러스, 휴대장치(100)의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내장된 펜 진동 소자(예를 들어, 진동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진동하는 햅틱 펜(haptic p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가 아니라 입력장치(167)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소자가 진동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input device 167 can input characters, for example, by touching a touch screen of a capacitive type, a resistance type,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or by using a virtual keyboard. The input device 167 may be a built-in pen vibration device (e.g., a vibration motor or an actuator) using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portable device 100, for example, a pointing device, a stylus, A haptic pen or the like which vibrates. Further, the vibration element may vibrate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detected by a sensor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built in the input device 167 instead of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100 . The input device 167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For example, .

감지부(170)는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사용자의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위치하고, 휴대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로 마련된 자기 감지부(171), 휴대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감지부(172), 휴대장치(100)의 자세 및 방향을 검출하는 자세 감지부(173),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또는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감지부(173)는 회전관성을 이용하는 자이로 센서, 휴대장치(100)에 가해지는 3축(예를 들어, x축, y축, z축)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7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 magnetic sensing unit 171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of the user and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00 is approaching the portable device 100, An orientation sensor 173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a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ravity, Or an altimeter that measures altitude by measuring atmospheric pressure. The attitude sensing unit 173 may include a gyro sensor using rotational inertia,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ilt of three axes (for example, x axis, y axis, and z axis)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100 have.

감지부(170)은 휴대장치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가능하며, 휴대장치(17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중력 가속도만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경우, 중력 가속도는 양(+)방향이고, 휴대장치(1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경우, 중력가속도는 음(-)의 방향일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70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in which the motion accel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added to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can measure only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portable device 170 does not move. For example,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faces upwar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i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may be in the negative direction .

감지부(17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감지부(171)는 자석(174)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70 detects the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100,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ncluding the magnet 174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

감지부(170)의 센서는 휴대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ensor of the sensing unit 170 may be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및 터치스크린(19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5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the sub communication unit 130,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the image sensing unit 150, the GPS unit 155, the input / output unit 160, the sensing unit 170, and the touch screen 191, as shown in FIG. The storage unit 175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device 100,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ource or provided by a manufacturer, images for providing a GUI, user information, Or related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5)에는 컨텐츠 공유를 위해 타 기기로 송신 가능한 컨텐츠,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저장된다. In the storage unit 17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that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for content sharing and content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are stored.

저장부(175)는 터치 및/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터치 정보(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의 X와 Y좌표, 터치 검출 시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종류(예를 들어, 플릭,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입력된 사용자 터치를 저장부(175)의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입력되는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어 터치스크린(190)에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비디오 소스 등), 스피커(163)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사운드 소스 등) 및 진동 모터(16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촉각 피드백(예를 들어, 햅틱 패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and / or the touch (e.g., X and Y coordinates of the detected touch position, touch detection time,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the type of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e.g., flick, drag, or drag and drop),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mpare the inputted user touch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175 So that the type of touch can be identified. The storage unit 175 stores user-recognizable visual feedback (e.g., a video source, etc.)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uch or touch gesture and output to the touch screen 190, (E. G., A haptic pattern, etc.) output from the audible feedback (e. G., A sound source, etc.) and the vibration motor 164.

본 실시예의 저장부(175)에는 타 기기의 접촉에 따른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를 통해 센싱 데이터의 변경이 검출되면, 변경된 센싱 데이터의 값을 저장부(175)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is embodiment, sensing data information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according to the contact of other devices is stored. When the sensing data is changed through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changed sensed data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Can be detected.

도 3과 도 4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전 후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sensing data of the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before and after the contact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서로 분리된 미 접촉 상태에서의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31)와, 접촉 상태에서의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32)가 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are connected to the sensing data 31 of the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nsing data 32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nsing data of the top sensing unit 171 varies depending on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ture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따라서, 도 4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제1휴대장치(101)의 접촉이 검출되면, 센싱 데이터를 통해 자기 감지부(171)가 위치된 방향 즉, 좌측에 제1휴대기기(101)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와, 제2휴대기기(102)와 같은 자세 즉, 동일한 롤(Roll), 요(Yaw), 피치(Pitch) 값을 가지도록 제1휴대기기(101)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4, when the contact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s detected by the magnetic sensor 171, the controller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detects the contact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Whether or not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s positioned, that is, whether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s in contact with the left, or the same roll, yaw,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has contacted.

본 실시예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가 위치된 방향에, 당해 휴대장치(101)가 같은 자세를 가진 타 기기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컨텐츠 공유를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ects that the portable device 101 is in contact with another device having the same attitu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sensor 171 is positioned and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content sharing As one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a storage unit 175, a ROM 112 in the control unit 110, a RAM 113, or a memory card (not shown) For example, micro SD card, memory stick). The storage unit 175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는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스크린(191)과 후면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to one or more batteries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portable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One or more batteries are locat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191 and the rear surface. The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power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to the portable device 100 through a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

디스플레이부(190)는 영상처리부(140)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90)는 휴대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9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 The display unit 19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splay icons corresponding to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the portable device 100. [

디스플레이부(19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display unit 190 is not limited and may be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surface- electron 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터치스크린(191)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1)은 G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한다. 터치스크린(191)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장치(167)를 통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1 may provide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for example, call,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photographing, moving picture, or application) to the user. The touch screen 191 transmits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single touch or multi-touch input through the GUI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The touch screen 191 can receive a single touch or multi-touch input through the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the touch-able input device 167.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장치(167)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스크린(191)과 입력장치(167)과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3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The touc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act of the touch screen 191 with the user's body or the touchable input device 167 and may be a non-contact (e.g., touch screen 191, (Hovering with a detectable spacing of 30 mm or less between the input device 191 and the input device 167).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tactless interval detectable on the touch screen 19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터치스크린(19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1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acoustic wave method.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1)에서부터 수신된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1) 상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입력된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다른 아이콘과 구분되게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터치스크린(19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onverts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or multi touch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191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X and Y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ouch position) 110). The controller 110 may calculate the X and Y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91 us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191 us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input touch,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the fact that the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1 is select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icons, or execute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and displays it on the touch screen 191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One or more touch screen controllers 195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one or more touch screens 190.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사용자의 터치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더블 탭(double tap) 등을 포함한다. The user's touch includes drag, flick, drag & drop, tap, long tap, double tap, and the like.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화면 내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화면 내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화면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에 의해 화면이 이동하거나 다른 화면이 표시된다.Drag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moves a finger within the screen or another position in the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touch using the input device 167. [ The selected object can be moved due to the drag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without dragging the screen object, the screen is moved by dragging or another screen is displayed.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를 들어,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입력 유닛의 이동 속도 및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의 비교하여 드래그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A flick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drags a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to a critical speed (for example, 100 pixel / s) or more. The drag and flick can be discriminated by comparing the moving speed of the finger or the input unit and the critical speed (for example, 100 pixel / s).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선택한 오브젝트를 화면 내 다른 위치로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는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Drag & drop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drags an object selected by using a finger or an input device 167 to another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en releases the selected object. The object selected by drag and drop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 닿는 시점과 터치 후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A tap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quickly touches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touches the screen and the time when the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falls from the screen after touching is very short.

롱 탭(long tap)(이하, 롱 프레스(long press) 라고도 한다)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롱 탭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 닿는 시점과 터치 후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가 탭보다 길게 되며, 제어부(110) 기설정된 기준시간과 터치 시간(화면에 닿는 시점과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을 비교하여, 탭과 롱 탭을 구별할 수 있다. A long tap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long press) represent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touches a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by using a finger or a touch input device. The long tap is longer tha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at which the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touches the screen and the time at which the finger or the input device 167 falls from the screen after the touch is longer than the tap,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creen and the point of time of falling off the screen), thereby distinguishing the tab from the long tap.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화면을 2회 연속하여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A double tap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wice in succession using a finger or an input device 167. [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편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1) 및 통신부(120 또는 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가 멀티터치를 이용한 줌 인/아웃(zoom in/out) 조작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오브젝트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가 플릭(flick), 드래그(drag)와 같은 소정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 터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도록 오브젝트 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191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130 in response to the editing of the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 is a zoom in / out operation using multi-touch, the display unit 190 can be controlled to enlarge or reduce the object area corresponding to the zoom in / out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 has continuous mo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uch as flick or drag, the display unit 190 is controlled to move and display the objec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s touch .

도 2 도시된 휴대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휴대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components of the portable device 100 shown in FIG. 2 may be added or deleted in response to the capabilities of the portable device 100. FIG.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s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100. [

이하, 휴대장치와 타 기기가 접촉하여, 통신 연결을 설정 및 컨텐츠를 공유하는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a portable device and another devi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share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5 to 8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in the por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자석(174)을 포함하는 제1휴대장치(101)가 제2휴대장치(102)에 접촉되면,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가 제1 및 제2 휴대기기(101, 102)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기기(101, 102)들 간에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제1휴대기기(101)가 타 기기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이 제1휴대장치(101)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제2휴대장치(102)(자석(174)을 포함)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즉, 제2휴대장치(102)가 타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5 to 8, when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ncluding the magnet 17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the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The controller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so that content is shared between the devices 101 and 102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operates as another device. When the embodiments of FIGS. 5 to 8 detect the contact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including the magnet 174) in the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2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rtable device 102 is equally applicable to other device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자석(174)이 구비된 제1휴대장치(101)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제2휴대장치(102)는 자기 감지부(171)는 전면 좌측 상부에 위치되고, 제1휴대장치(101)의 자석(174)은 측면 우측 상부에 마련되어,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접촉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5,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controls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provided with the magnets 174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ensing data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Detects contact. 1,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includes a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front side, a magnet 174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contact in the magnetic sensing part 171 of the device 102. [

도 5와 같이 제1휴대장치(102)는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의 위치에 대응하게, 제2휴대장치(102)와 동일한 자세로 접촉된다.The first portable device 10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in the same postur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ensing portion 171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as shown in FIG.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101)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101)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기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2휴대장치(102)와 같은 자세 즉, 동일한 롤(Roll), 요(Yaw), 피치(Pitch) 값을 가지는 타 기기인 제1휴대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결정하게 된다.The controller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detects the contact state,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ther device 101 in response to the sensing data change of the magnetic sensor 171, (101). ≪ / RTI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refers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to determine the same position as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that is, the same roll, yaw, , And determines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which is another device having a pitch value.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제2휴대장치(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브로드 캐스팅 신호는 이동 통신부(130)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can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 The broadcast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30.

여기서, 연결 요청 대상인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으며, 블루투수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식별정보는 제2휴대장치(102)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communication requesting the connection request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Wi-Fi, etc., and in the case of a blue pitc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

타 기기 즉, 제1휴대장치(101)는 제2휴대장치(102)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연결을 수락한다. 여기서, 제1휴대장치(101)는 제1휴대장치(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또는 유니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락할 수 있다.The other device, that is,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receives the broadcasting signal from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and accep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Here,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can accep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e broadcasting or unicasting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2. [

이에 따라, 제1 및 제2휴대장치(101, 102)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Thu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mple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그리고,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타 기기(101)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2)를 표시한다. 타 기기(101)가 좌측에서 접촉되는 도 5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2휴대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190)의 좌측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1)는 제2휴대장치(102)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바(bar) 형태의 공유 패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displays a user interface 52 for content sharing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101 is contacted. 5, in which the other device 101 is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the user interface 52 may be displayed in the left area of the display unit 19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 The user interface 51 includes a shared panel in the form of a bar on which an icon of contents shared with other devices among the contents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can be located. Her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90 to reduce or scroll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90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52.

한편,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도 제2휴대장치(102)의 접촉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우측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 즉, 공유 패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도 사용자 인터페이스(51)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also has a user interface 51 for content sharing o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direction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may also display a shared panel so th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90 is reduced or scroll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51. [ (190).

도 6은 공유 패널(51, 52)의 열림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되는 실시예들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90 is reduced or scroll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hared panels 51 and 52. [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home) 화면은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scroll)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6의 (b), (c), (d),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gallery), 북마크(bookmark), 웹브라우저(web browser), 연락처(contact), 스케줄(schedule)에 각각 대응하는 화면은 가로 방향으로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the home screen is sc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lay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b), (c), (d), and (e), a gallery, a bookmark, a web browser, a contact, ) Can be displayed in a reduced siz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에 도시된 화면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 가능한 다양한 화면에서, 일 영역에서의 공유 패널(51, 52)의 열림에 대응하여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되어 표시되도록 구현 가능한 점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screens shown in Fig. 6 are merely illustra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s reduced or scrolled in response to the opening of the shared panels 51 and 52 in one area on various screen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제2 휴대장치(101, 102) 각각의 터치 스크린(191)은 장치 내의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터치입력 즉, 드래그 앤 드롭을 수신하고, 제어부(110)는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한다.The touch screen 191 of each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receives a touch input, that is, a drag and drop, for moving an ic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in the device to the user interface 51 or 52, ) Decide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by drag and drop with other devices.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면, 사용자는 제2휴대장치(102)의 컨텐츠 중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71)을 선택하고, 이를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 패널(5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과 같이, 선택된 해당 아이콘(72)은 공유 패널(52)에도 위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7, the user selects an icon 71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ontent to be shared among the contents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and drag-and-drop the icon 71 to the shared panel 52). As shown in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lected icon 72 is also located on the shared panel 52.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1휴대장치(101)의 컨텐츠 중이서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를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 패널(51)로 이동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user can select an ic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ontent to be shared among the contents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and move the icon to the sharing panel 51 by dragging and dropping.

이렇게 공유 패널(51, 52)에 위치되는 아이콘(72)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 상호 간에 공유되도록 결정된다.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con 72 located in the shared panels 51 and 52 is determined so as to be shared among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타 기기(101)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2)에 위치된 아이콘(72)의 컨텐츠를 타 기기(1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타 기기(17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이 완료된 근거리 통신부(132)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타 기기(101)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icon 72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52 when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detects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101 is disconnected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data to the device 101. [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other device 101 by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32 comple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detection of the other device 171. [

마찬가지로,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는 제2휴대장치(102)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1)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제2휴대장치(1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휴대장치(101)는 제2휴대장치(102)로부터 접촉이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휴대장치(102)로부터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이 완료된 근거리 통신부(132)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Likewise, the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transmits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51 to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in response to the contact separation of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be controlled. Here, the first portable device 101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tact has been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and can transmit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signal. In addition, the content can be transmitted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comple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from the second portable device 102.

여기서,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공유 패널(51, 52)은 닫히고,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컨텐츠가 송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shared panels 51 and 52 are closed in response to the contact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and a user interface indicating that content is being transmitted / received can be furth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 도 8의 경우를 예로 들면, 송수신에 따라 기기(101, 102)들 간에 공유된 컨텐츠의 아이콘에 대하여 하이라이트(또는 강조) 표시하는 포인터(81, 82)가 더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101 and 102 displays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shown in FIG. 8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190). 8, pointers 81 and 82 for highlighting (or emphasizing) the icon of the content shared between the devices 101 and 102 in response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further displayed.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자석(174) 및 자기 감지부(171)를 이용한 상호간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접촉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를 표시하며, 접촉 분리가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 상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대 기기와 송수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구현된다.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apparatuses 101 and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 communication conn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mutual contact detection using the magnet 174 and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The user interface 51 or 52 for content sharing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contact separation is detected,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51 or 52 is transmitted / received to /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10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따라 자석(174)이 탑재된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한다(S201). As shown in FIG. 9, the portable device 100 senses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on which the magnet 174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ensing data change of the magnetic sensor 171 (S201).

단계 S20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휴대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접촉이 감지된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S203). 여기서, 제어부(110)는 통신 연결을 위한 휴대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of the portable device 100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other device in which the contact is detected in step S203. Here, the controller 110 may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휴대장치(100)는 단계 S203의 연결 요청을 수신한 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락받는다(S205). 여기서,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수락 신호는 타 기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장치(100)와 타 기기 간의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 The portable device 10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another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connection request in step S203 (S205). Here, the connection request accept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device may includ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other device, thereby comple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device 100 and the other device.

여기서, 단계 S203 및 S204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부(132)에 대한 통신 연결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steps S203 and S204 may be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such as Bluetooth or Wi-Fi.

한편, 단계 S20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휴대장치(100)의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공유 패널(52)이 열림 즉, 표시된다(S207). 여기서, 표시된 공유 패널(52)은 휴대장치(100)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하며, 공유 패널(52)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the touch detection in step S201, the sharing panel 52 is opened as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s of the portable device 100 are contacted, (S207). Here, the shared panel 52 may display icons of contents that are shared with other devices among the contents of the portable device 100, and may reduce or enlarg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of the sharing panel 52 It can be scrolled and displayed.

사용자는 단계 S207에서 표시된 공유 패널(52)을 이용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S209). 여기서, 휴대장치(100)는 공유 대상인 컨텐츠의 아이콘(71)을 공유 패널(52)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 받을 수 있다.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o be shared using the shared panel 52 displayed in step S207 (S209). Here, the portable device 100 can receive content to be shared by dragging and dropping from the user who moves the icon 71 of the content to be shared to the sharing panel 52.

그리고, 자기 감지부(171)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따라 단계 S201에서 접촉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한다(S211).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senses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contacted in step S201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sensing data change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171 (S211).

단계 S211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단계 S207에서 열린 공유 패널(52)이 닫힌다(S213). In response to the contact separation in step S211, the sharing panel 52 opened in step S207 is closed (S213).

그리고, 제어부(110)는 단계 S209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여 공유한다(S215). 여기서, 휴대장치(100)는 타 기기에서 공유하도록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단계 S204 및 S205의 과정에 의해 통신 연결된 통신부(130) 즉, 근거리 통신부(132)에 의해 수행된다.In step S215,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content selected in step S209 to the other device and shares the same. Here, the portable device 100 can receive contents selected to be shared by other device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30, i.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communicated and connected in the process of steps S204 and S205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자기 감지부와 자석을 이용하여 기기 간 접촉을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접촉된 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 및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ontact between the devices using the magnetism sensing unit and the magnet, and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ed devices based on the contact, and the content can be shared.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에 일반적으로 탑재된 자기 감지부를 이용한 자동 통신 연결을 지원하므로, 기기 간 호환성, 재료비 상승 및 소비 전력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기기가 접촉된 상태에서만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므로, 정보의 보안 유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utomatic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e magnetic sensing unit generally mounted on the smart device is supported, compatibility of devices, increase in material cost,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and contents can be shared only when the device is in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security of information can be easily maintained.

뿐만 아니라, 접촉된 기기 간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여, 공유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대상의 컨텐츠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가 자동으로 상대 기기로 전송되는 간편한 방식으로 컨텐츠가 공유되므로, 사용자 편의가 보다 향상된다.In addition, an intuitive user interface (UI) for sharing contents among the contacted devices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hared service. Further, the content is shared in a simple manner in which the content icon of the sharing target is moved to the user interface and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partner devi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휴대장치 110: 제1제어부
120, 130 : 통신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영상감지부 160 : 입/출력 유닛
170 : 감지부 171 : 자기 감지부
174 : 자석 175 : 저장부
180 : 전원공급부 190 : 디스플레이부
191 : 터치스크린 195 :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100: Portable device 110: First control unit
120, and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150: image sensing unit 160: input / output unit
170: sensing unit 171: magnetic sensing unit
174: magnet 175: storage part
180: power supply unit 190: display unit
191: Touch Screen 195: Touch Screen Controller

Claims (24)

휴대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부와;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In the portable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gnetism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ntact of another device including a magnet;
When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detected by the magnetic sensing unit,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s performed, and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in contac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shared panel on which an icon of content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can be located among contents of the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reduce or scroll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including drag and drop,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with the other device in response to a drag and drop operation of moving an ic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user inte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에 의해 상기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ther device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to the other device when the magnetic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disconnected.
제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In the fifth aspec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con of the transmitted conten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o indicate that the transmitted content i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에 의해 상기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ther device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content to be shared from the other device when the magnetic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disconnected.
제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In the seventh aspec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con of the received content when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so as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content i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ontact state,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ther device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ensing data of the magnetic sen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휴대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성을 가지는 자석과;
상기 자석이 마련된 방향에 접촉된 타 기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In the portable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magnet having magnetism;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 is provid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including drag and drop,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with the other device in response to a drag and drop operation of moving an ic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user interface.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타 기기의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A content sharing method for a portable device,
Detecting contact of another device including a magnet;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tact of the other devic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device is contact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shared panel on which icons of content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s can be located among the contents of the portable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scaling down or scroll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the user interface.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Receiving a drag-and-drop operation for moving an ic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user interfa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o sha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icon with the other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Detecting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senso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of the icon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to the other device.
제18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icon of the transmitted content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and displaying the changed content ic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Detecting that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sensor;
And receiving the content to be shared from the other device.
제20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icon of the received content to indicate that it is shared with the other device when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is completed, and displaying the changed content icon.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contact of the other device comprises:
Sensing the contact state, the contact direction,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ther device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ensing data of the self-sens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other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tep of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KR1020140002823A 2014-01-09 2014-01-09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KR102157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en) 2014-01-09 2014-01-09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en) 2014-01-09 2014-01-09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66A true KR20150083266A (en) 2015-07-17
KR102157621B1 KR102157621B1 (en) 2020-09-18

Family

ID=5387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en) 2014-01-09 2014-01-09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51A (en)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743A (en)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30097484A (en)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content and mobile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743A (en)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20093746A (en)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20093744A (en) * 2011-02-15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30097484A (en)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content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51A (en)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621B1 (en)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9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07013B2 (en)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CN105335001B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urv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5491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icon window
EP255776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7201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ask recommendation icon in a mobile device
EP2811420A2 (en) Method for quickly executing application on lock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KR20170043065A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KR20140091633A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ext awareness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150026109A (en) Multiple-display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12920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s interaction using multi hovering gesture
US10019219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TW201633107A (en)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965876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object on touch screen
KR102131645B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CN109582212B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401368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r vibration
US9794396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KR102117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KR2016002613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nding a message using electronic device
KR102157621B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