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720A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720A
KR20150082720A KR1020140001355A KR20140001355A KR20150082720A KR 20150082720 A KR20150082720 A KR 20150082720A KR 1020140001355 A KR1020140001355 A KR 1020140001355A KR 20140001355 A KR20140001355 A KR 20140001355A KR 20150082720 A KR20150082720 A KR 2015008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code
fiel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4668B1 (en
Inventor
서나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68B1/en
Publication of KR2015008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F21/6263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during internet communication, e.g. revealing personal data from cook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asi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network.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inserting a path, which stores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nto codes to generate the codes,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WAP page to extract field areas wher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putted if the above codes are inputted by the user, and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called according to the storage path having been inserted into the codes before each of the extracted field areas.

Description

코드를 이용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0002]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개인정보를 쉽게 입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경로를 특정 코드에 삽입하여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위 코드가 입력되면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며, 추출된 각 필드영역에 위 코드 내 삽입되었던 저장경로에 따라 호출된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enter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network. Specifically, a path storing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a specific code. When the code is input from a user, the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is analyzed to extract a field area into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called according to a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above code in each extracted field area.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또는 로그인을 하여야 한다.In order to use various services in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user must register or login to the homepage of the provider providing the service.

그런데 이 때 사용자가 특정 홈페이지에 가입하기 위해 입력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는 대부분 유사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사용자는 업체마다 별도의 회원가입 페이지에 개인정보를 각각 기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although most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in order to subscribe to the specific homepage is composed of similar items, the user has inconveniently to write the personal information on the separate member registration page for each company.

이에 따라 중복되는 개인정보 항목들을 미리 저장해 두고 이를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in which duplicate personal information items are stored in advance and can be automatically called and input whenever necessary.

또 다른 한편, 최근에는 이차원 코드에 대한 활용, 그 중에서도 QR코드 또는 이미지 코드를 활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이차원 코드에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경로를 삽입하고, 미리 생성해 둔 이차원 코드를 단순 터치 등을 통해 입력하면 사용자의 항목별 개인정보가 웹페이지의 각 대응항목에 입력될 수 있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 use of two-dimensional codes, especially QR codes or image cod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th storing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two-dimensional code and a two-dimensional code generated in advance is input through a simple touch or the lik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of the user can be input to each corresponding item of the web page We propose a system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관련 선행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제2003-0021856호 (“아이디 통합 사이트 관리방법 및 장치”)가 존재한다. 위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1회의 회원정보 입력만으로 다수의 사이트에 회원가입시 별도의 회원정보 입력없이 쉽게 회원가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건 출원발명과 목적 및 효과가 일부 유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별도의 대행업체 관리서버에 가입하여야 한다는 점, 이차원 코드를 활용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 건 출원발명과 구별된다.As related prior art, there is a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21856 (" ID integrated sit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The above prior art is somewhat similar in purpose and effect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user can easily join the member without inputting additional memb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membership to a plurality of sites only by inputting the member information once. However, the prior art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user must subscribe to a separate agency management server and does not disclose any means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two-dimensional code.

한국공개특허 제2003-0021856호 (2003.03.1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21856 (published on March 15, 200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터넷 이용시 반복적으로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repeated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a user uses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서버 또는 기타장치의 관여 없이 사용자 단말기가 직접 웹페이지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을 줄이고 보다 신속한 입력이 가능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system capable of reducing unnecessary data communication and enabling quick entry by allowing a user terminal to directly analyze a web page source file and input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involvement of an external server or other device .

또한 본 발명은, 웹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웹페이지로부터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accurately extract a field area from which a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from a web page having various structures by having means for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pag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정보가 저장된 경로를 특정 코드에 삽입하고, 해당 코드의 입력에 따라 개인정보를 웹페이지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by inserting a path in which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to a specific code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n a web page in response to input of the cod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저장해 둔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웹페이지에 입력할 시 사용자 고유의 보안키를 입력하도록 요구함으로써 보안성을 제고시킨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by requesting a user to input a security key unique to a user when calling a stored personal information and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o a web p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인정보 자동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의 카테고리들은 단어 그 자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살펴볼 기술 사상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owever, the categor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words themselves, and can be variously extended within the scope of technical ideas to be discussed below.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WEB/WAP페이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브라우징부;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따라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소스분석부;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브라우징부, 소스분석부 및 데이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ompris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A browsing unit for receiving a WEB / WAP page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displaying it to a user; A source analyzer for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according to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and extracting a field area into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 data input unit for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ser input unit, the browsing unit, the source analyzing unit, and the data input unit. And a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항목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item, and the data input unit call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To be input to the input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 저장서버로부터 항목별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수신한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할 수도 있다.Further,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and the data input unit may input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received in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소스분석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코드가 입력되면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de into which a storage path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 this case, when the code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source analysis unit analyzes the source of the WEB / WAP page The file can be analyzed to extract a field area wher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한편, 상기 코드는 바코드,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PDF417, 맥시코드(Maxi Code) 또는 이미지 코드(Image C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de may be any one of a bar code, a QR code, a data matrix, a PDF417, a Maxi code, and an image cod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개인정보는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직업 또는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us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name,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 ID, a password, an address, a telephone number, a job, or an additional ser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access)을 허가하는 보안키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개인정보 접근(access)시 사용자의 보안키 입력을 요구하는 보안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curity key for permitt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and for requesting a security key of the user when access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ata input unit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를 분석하여 필드영역을 추출하고,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system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a WEB / WAP page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for analyzing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to extract a field area, and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 ≪ / RTI >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WEB/WAP페이지로부터 추출된 필드영역에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and when the code is inputted by the user, the user terminal inputs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into the field area extracted from the WEB / WAP page .

또한, 상기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경로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의 디렉토리 경로(directory path)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저장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경로는 개인정보 저장서버 내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entry system,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user terminal, and the storage path may be a directory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is stored, and the storage path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You may.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a)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 항목별로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a)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b) call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for each item; And (c) inputting the itemiz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field area; . ≪ / RTI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a)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b) analyzing a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the code is input; (c)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And (d) inputting the itemiz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field area; . ≪ / RTI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상기 (c)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보안키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requesting a security key input of the user before the step (c).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a) 서비스 제공서버가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WEB/WAP페이지를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기가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transmitting a WEB / WAP page to a user terminal by a service providing server; (b)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WEB / WAP page and extracts a field area; And (c) inputting, by the user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association with the field area; . ≪ / RTI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서버가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기가 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d)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WEB/WAP페이지를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e)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f)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g)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읽어들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user terminal stores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path; (b)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the WEB / WAP page to the user terminal side; (c) receiving a code from a user terminal; (d)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WEB / WAP page and extracts a field area; (e)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by the user terminal; (f) the user terminal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area; And (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ads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a service;

를 포함할 수 있다.. ≪ / RTI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a)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 항목별로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a)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Web page, the method comprising: (a)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b) call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for each item; And (c)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b) analyzing a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the code is input; (c)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And (d)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area; A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and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대응되는 웹페이지의 필드영역에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인정보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inputs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into a field area of a corresponding web page, thereby enabling a user to input personal information accurate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웹페이지의 소스파일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입력이 가능한 필드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해 낼 수 있으며, 각 필드영역마다 대응되는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 이용시 반복적으로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an accurately extract a field area capable of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a source file of a web pag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automatically input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in each field are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repeated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using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외부 서버 또는 기타장치의 관여 없이 직접 개인정보 자동입력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외부 서버 또는 기타장치와의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을 줄이고 보다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directly performs an automatic personal information input process without involving an external server or other devices,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devices and enabling quick ent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를 특정 코드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위 코드를 터치 또는 스캔 등의 방식을 통해 입력시키면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th stor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a specific code and the user inputs the above code through touch or scan,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in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 저장해 놓은 개인정보를 호출할 시 사용자 고유의 보안키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남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calls the stored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can input his / her own security key,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leaked or abus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제 WEB/WAP페이지의 구성 중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 및 소스파일 내 포함된 필드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이차원 코드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field area where us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in the configuration of an actual WEB / WAP page.
4 shows the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and the field area included in the source file.
5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two-dimensional code generated in a user terminal.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or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embodim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illustrativ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는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s referred to a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station,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 access terminal, And any type of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device.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In other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lso,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discre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Furthermore, the expression "including an element" is merely referred to as an "open" expression, and the elemen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additional elem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do.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따르면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서버(200), 사용자 단말기(100) 및 개인정보 저장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personal information input system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 user terminal 100, and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우선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WEB 또는 WAP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s a server operated by a service providing company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network. At this time, the manner in which the service is provided may preferably be provided via a WEB or WAP page.

WEB 페이지는 종래 정보 검색 서비스가 텍스트만 제공되던 것으로부터 진보된 형식의 네트워크 전송용 양식으로서 텍스트 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소리 등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The WEB page is a form for network transmission of the advanced format since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earch service is provided only with text. It can be configured not only for text but also various media contents such as pictures, moving pictures, sound,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trieve desired information.

한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란 컴퓨터 또는 모뎀을 거치지 않고 휴대전화나 개인정보단말기(PDA), 무선터미널 등 이동형 단말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통신규약으로, 무선으로 자료를 송수신할 수 기술적 표현 양식의 한 종류이다. WAP은 통신 품질이 불안정하고 전송속도가 다소 느린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게이트웨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사이에서 HTML을 WML이라는 고유의 언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Meanwhile, th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is a communication protocol designed to allow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wireless terminal to access the Internet without going through a computer or a modem. It is a kind of technical expression form. The WAP adopts the gateway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communication quality is unstable and the transmission speed is rather slow, and the gateway converts the HTML into a native language called WM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WEB/WAP페이지는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필드영역(이하 필드영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네이트, 다음,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들의 메인 페이지 내에는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필드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해당 사이트에 가입하기 위한 회원가입 페이지에는 사용자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소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필드영역이 포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 WAP page may include at least one data field area (hereinafter, field area)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For example, the main page of portal sites such as Nate, Daum, and Naver includes a field area for inputting an ID and a password for user login. Also, the member registration page for subscribing to the site includes a field area for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user name, a date of birth, a telephone number, and an address.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를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고, 항목별 개인정보를 각각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한다. Next, the user terminal 100 analyzes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extracts a field area into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input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

사용자 단말기(100)가 WEB/WAP페이지를 분석한다는 것의 의미는 각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 즉 프레임, 컨텐츠, 글꼴 등 페이지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특정 언어로 구성된 파일을 분석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소스파일은 HTML, WML, 자바(JAVA)스크립트, ASP 등의 언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meaning of the user terminal 100 parsing a WEB / WAP page means analyzing a file consisting of a specific language that substantially implements the source file of each WEB / WAP page, i.e., frame, content, font, etc. . In this case, the source file may be a language such as HTML, WML, Java script, or ASP.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가 필드영역을 추출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 다시 말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아 기입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탐색하고, 탐색된 필드영역이 소스파일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기록하거나 또는 각 필드영역별로 고유의 마커를 정의하여 두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WEB/WAP페이지 내 포함되어 있는 필드영역을 소스파일을 분석함으로써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된 하나 이상의 필드영역을 목록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들이 항목별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eaning of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ing the field region is that the source file is analyzed to search for a field wher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that is, a field area that can be directly written by the user, It may be recorded at which point in the source file the searched field area is located or it may be defined to define a unique marker for each field area.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can search the field area included in the WEB / WAP page by analyzing the source file,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by item by listing one or more field areas searched for .

한편, 항목별 개인정보를 각각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 또는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항목별로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앞서 추출한 WEB/WAP페이지의 필드영역에 각각 대응시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성명 항목에 “홍길동”, 생년월일 항목에 “1972-2-15”와 같은 개인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기(100) 내 또는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WEB/WAP페이지 내 필드영역 중 위 성명항목 또는 생년월일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 때, WEB/WAP페이지는 서비스 제공업체별로 상이한 포맷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성명” 키워드와 유사한 “이름”, “Name”과 같은 식별항목명으로 구현이 되어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성명”과 대응될 수 있는 유사 항목명을 미리 지정해 둠으로써 식별항목명이 다르더라도 각 필드영역에 적절한 개인정보가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meaning of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corresponding field field i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is stored in the field area of the WEB /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user can sto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 Hong Gil-dong " in the name item and " 1972-2-15 " in the date of birth item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 WAP If the item name or date of birth item in the page field area exists, the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At this time, the WEB / WAP page may have a different format configuration for each service provider, and may be implemented with identification item names such as " Name " and " Name "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uch that appropriate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to each field area even if the identification item name is different by specifying a similar item name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 name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브라우징부(120), 소스분석부(130), 데이터 입력부(140), 코드생성부(15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0, a browsing unit 120, a source analyzing unit 130, a data input unit 140, a code generating unit 150, and a control unit can do.

우선,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입력명령을 받는다. 개인정보 입력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방식, 암호를 입력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드 또는 이미지 등을 인식하는 방식일 수 있다.First, the user input unit 110 receive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instruction from the user. The method of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a command by a user, a method of recognizing a fingerprint of a user,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etc. Preferably, Lt; / RTI >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개인정보 입력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키패드, 키보드, 스캐너, 카메라, 지문인식기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keypad, a keyboard, a scanner, a camera, and a fingerprint reader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is input.

브라우징부(120)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WEB/WAP페이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우징부(120)는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 연결된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하이퍼텍스트 및 하이퍼미디어 등의 정보를 로드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응용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으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크롬(Chrome), 파이어 폭스(Fire Fox)와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The browsing unit 120 receives the WEB / WAP page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displays the WEB / WAP page to the user. The browsing unit 120 loads information such as hypertext and hypermedia stored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displays the loaded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pplication software. Typical browser applications include Internet Explorer, Chrome, and Fire Fox.

소스분석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따라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한다. The source analyzing unit 130 analyzes the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and extracts a field area into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소스파일이란, 특정 프로그램 또는 페이지의 소스코드로 이루어진 데이터 파일을 의미하며, 소스코드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한 텍스트를 일컫는다. 앞서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WEB/WAP페이지는 여러 가지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프로그램 언어로 기술된 텍스트가 모여 하나의 소스파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A source file is a data file consisting of a source code of a specific program or page, and a source code is a text describing a computer program in a human-readable programming language. As mentioned above, the WEB / WAP pag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kinds of programming languages, and the text described in the programming language is gathered into a single source file.

소스파일을 분석한다는 것의 의미는 해당 소스파일을 이루고 있는 프로그램 언어의 각 구문을 탐색하고, 구문별로 수행하는 기능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분석부(130)는 소스파일 내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영역, 즉 성명, 생년월일, 아이디,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들이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구현하는 구문을 탐색하고, 각 필드영역을 추출해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eaning of analyzing the source file means to search each syntax of the programming language that constitutes the source file, and to grasp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synta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analyzing unit 130 may include a field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name, a date of birth, an ID, It searches the syntax that implements the region, and extracts each field region.

한편, 소스코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구문을 탐색해 내는 기술은 파서(parser)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 technique of searching for a desired syntax among the source cod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using a parser or the like, and the description of this technique is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도 3과 도 4는 회원가입용 WEB페이지의 실제모습 및 해당 WEB페이지를 구현한 소스코드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S. 3 and 4 show concrete examples of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membership web page and the source code implementing the corresponding web page.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하여야 하며, 회원가입시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휴대폰 번호, 성별, 생년월일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도 3은 이와 같은 개인정보의 입력을 요하는 특정 회원가입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In order to use the services of a specific service provider, the user must register and ente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D, a password, a name, an e-mail, a mobile phone number, a sex, and a date of birth. 3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member registration page requiring input of such personal information,

이 때 각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박스를 필드영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a rectangle box for inputting individu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s defined as a field area.

한편, 도 4는 상기 도 3의 회원가입 WEB페이지를 구현하고 있는 소스코드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Meanwhile, FIG. 4 shows a part of the source code embodying the membership subscription WEB page of FIG.

살펴보면, 상기 소스코드 중에는 WEB페이지의 프레임을 정의하는 구문(미도시)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 개인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radio box를 생성하는 구문, 생성된 radio box 내에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구문 등이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source code, not only a syntax (not shown) for defining a WEB page frame but also a syntax for creating a radio box for receiving individual user information, a syntax for receiving a user's input in the generated radio box, and the like are described .

일례로, 도 3에서 사용자의 아이디를 입력받기 위한 필드영역은 도 4의 소스코드 중 음영 표시한 구문, 즉 <input name="svc_id" class="text" id="svc_id" style="ime-mode: disabled;" onkeydown="resetCheck();" onkeyup="fnLowerCase(this);" onkeypress="if(13 == event.keyCode) {document.profileIns.setDupId.value=document.profileIns.svc_id.value; checkDupId();}" type="text" maxlength="40"/>와 같은 HTML 구문으로 구현되어 있다. For example, in FIG. 3, a field area for receiving a user's ID is a shaded phrase in the source code of FIG. 4, that is, &lt; input name = "svc_id" class = " mode: disabled; " onkeydown = "resetCheck ();" onkeyup = "fnLowerCase (this);" HTML such as onkeypress = "if (13 == event.keyCode) {document.profileIns.setDupId.value = document.profileIns.svc_id.value; checkDupId ();}" type = "text" maxlength = "40" Syntax.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받기 위한 필드영역 역시 <input name="pw" class="text" id="pw" onkeyup="passwordCheck();" type="password" maxlength="20"/>와 같은 구문으로 구현되어 있다. In the same way, the field area for receiving the user's password is also <input name = "pw" class = "text" id = "pw" onkeyup = "passwordCheck ();" type = "password" maxlength = "20" />.

소스분석부(130)는 이와 같이 각 사용자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필드영역을 소스코드로부터 추출해 내는 기능을 한다. The source analyzing unit 130 extracts, from the source code, a field area in which individual user information can be input.

한편, 각 필드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키워드는 서비스 제공업체별로 상이할 수 있는 바, 소스분석부(130)로서는 사용자의 이름 필드영역을 식별하여 추출하기 위해 이에 대응될 수 있는 모든 식별항목명을 검색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keyword that can identify each field reg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service provider, the source analysis unit 130 may search all the identification item names that can be corresponded to the user's name field region You may.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의 아이디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는 필드영역의 식별항목명은 “svc_id”로, 비밀번호 필드영역의 식별항목명은 “pw”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타서비스 제공업체의 회원가입 페이지에는 아이디 필드영역의 식별항목명으로 “id”, “identification”, ”user_id”와 같은 다른 키워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다른 식별항목명으로부터 적절한 필드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스분석부(130)는 식별항목명 내에 “id”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필드영역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4, the identification item name of the field area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 ID is defined as "svc_id", and the identification item name of the password field area is defined as "pw". However, other service providers may use other keywords such as &quot; id &quot;, &quot; identification &quot;, &quot; user_id &quot; as the identification item name in the ID field area on the member registration page, , The source analysis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o as to search the field region by checking whether the keyword &quot; id &quot;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tem nam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ta input unit 140 for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to corresponding field areas.

이 때, 각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될 수 있는 항목별 개인정보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that can be input in each corresponding field area can be stored in the following two ways.

첫째,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별도의 구분된 개인정보 저장부(16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First, the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eparat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n the user terminal 100.

즉, 사용자는 미리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한 개인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 내의 개인정보 저장부(160)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이후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160)는 반드시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 형태의 것일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input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in advance and store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n the user terminal 100. Then, The data input unit 140 may call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and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At this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be an external memory type removable and attachable.

둘째,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 외부의 별도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저장될 수도 있다.Second, the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eparat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outside the user terminal 100.

즉, 사용자는 미리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별도의 외부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전송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이후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140)는 상기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내부적으로 개인정보 수신부(17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입력명령이 있는 경우 개인정보 수신부(170)를 통하여 위 개인정보 저장서버(300)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항목별 개인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nputs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in advance, and the user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external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and store the personal information. Thereafter, the data input unit 140 call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and in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The user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receiver 170.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r 170 may receive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r 170, The user can call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한편, 상기 데이터 입력부(140)가 항목별 개인정보를 각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가 종래에 항목별로 저장해 둔 각 개인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생년월일 등과 같은 개인정보들을 앞서 추출한 각 필드영역이 요구하는 정보와 대응되도록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기 저장된 사용자의 항목별 개인정보의 수가 추출된 필드영역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데이터 입력부(140)는 저장된 개인정보들에 대해서만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게 되며, 입력이 되지 않은 필드영역들에 대해서는 차후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기 저장된 사용자의 항목별 개인정보의 수가 추출된 필드영역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데이터 입력부(140)는 WEB/WAP페이지 내 존재하는 필드영역에 대하여만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The meaning that the data input unit 140 input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correspondence with each field area means that each personal information that a user has conventionally stored for each item, for example, a user ID, a password, a name, a date of birth, It means that the same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each field area extracted earlier. In this case, if the number of pieces of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of the stored user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extracted field areas, the data input unit 140 inputs the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The interfa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area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On the contrary, if the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pre-stored user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extracted field areas, the data input unit 140 inputs personal information only to the field areas existing in the WEB / WAP page.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 내 제어부(19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 브라우징부(120), 소스분석부(130) 및 데이터 입력부(14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90 in the user terminal 100 controls the user input unit 110, the browsing unit 120, the source analyzing unit 130, and the data input unit 140.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코드생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de generation unit 150. [

코드생성부(150)는 사용자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400)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코드(400)란 특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의 체계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코드생성부(150)가 생성하는 코드(400)는 바람직하게는 2차원의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PDF417 또는 맥시코드 또는 이미지 코드(Image Code)등이 될 수 있다.The code generation unit 150 generates a code 400 in which a storage path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embedded. The code 400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two-dimensional QR code, a data matrix, PDF417 or maxicode or image code.

특히 QR코드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2차원 형식의 코드로서,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었던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29자, 문자 4296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 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 또한, 기존 바코드를 읽기 위해서는 바코드용 전용단말기가 별도로 필요했던 반면, QR코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만 있으면 누구든지 쉽게 해당 코드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그 활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QR코드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 없이 쉽게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로서는 필요한 정보가 삽입된 QR코드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code that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in a rectangular horizontal and vertical grid pattern. In the conventional one-dimensional bar code, only numerical information of about 20 characters can be stored. On the other hand, It can store 4296 characters, and it ha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recognition speed, recognition rate and resilience than ordinary barcode. In addition, in order to read an existing bar code, a dedicated terminal for a bar code has been separately needed, whereas the QR code has recently been greatly utilized in that a user can read the code easily with a user terminal 100 such as a smart phone . In addition, the QR code can be easily generated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equipment, and the QR code hav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easily created in the user terminal 100 as a user.

그 외 데이터 매트릭스, PDF417, 맥시코드 역시 2차원 바코드의 한 종류로서, 포함할 수 있는 정보량, 바코드의 형태 측면에 있어 일부 상이한 면이 있으나 기본적인 속성은 QR코드와 동일하다. 각 2차원 코드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는 도 5를 참고하기로 한다.Other data matrices, PDF417, and maxicode are also two-dimensional bar code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and the shape of the barcode, but the basic attributes are the same as the QR code. The schematic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상기 코드생성부(150)는 위와 같은 2차원 코드(400) 내에 사용자 개인정보의 저장경로를 삽입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개인정보의 저장경로는 앞서 언급하였던 개인정보의 저장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 내 개인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경로는 디렉토리 경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개인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 외부의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경로는 위 서버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 즉 URL(Uniform Resource Locator)주소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de generator 150 may generate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path by inserting a storage path of the user's private information into the two-dimensional code 40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torage path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entioned above. That is,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storage path may be a directory path,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personal information When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300, the storage path may be an address on the network of the server, that i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한편, 상기 코드(4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코드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코드(400)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시킴으로써 개인정보 자동입력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상기 생성된 코드(400)를 띄워 둘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코드(400)를 터치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코드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코드(400)를 인쇄하여 카드의 형태로 소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10), 바람직하게는 코드 스캐너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400)를 읽어들임으로써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de 400 may be utilized a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instruction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execute the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process by inputting the code 400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ng unit 150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place the created code 40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can automatical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by touching the code 400 if necessary. Alternatively, the user can print the code 400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on unit 150 and carry it in the form of a card. If necessary, the user can input the user's input unit 110,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by reading the code 400 using a scanner or a camera.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우선적으로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10) 소스파일을 분석하는 과정,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은 이미 앞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단락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alyzes the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 (S110)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ource file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ield reg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earlier,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this paragraph.

한편, S110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개인정보 저장부(16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외부의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호출하고(S120), 이어서 상기 호출된 항목별 개인정보를 각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수행하게 된다.After step S110, the user terminal 100 call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160 of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of the user terminal 100 (S120) And then inputting the called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each field area (S130).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400)를 생성(S210)한다. 이 때 상기 저장경로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개인정보 저장부(160)의 디렉토리 경로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외부의 개인정보 저장서버(300)의 URL주소가 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First,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a code 400 in which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path is inserted (S210). In this case, the storage path may be a directory path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 URL addr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300 outside the user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

한편, S210단계에서 코드(400)가 생성된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코드(400)를 입력받을 수 있다.(S220) 이 때 상기 코드 입력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 코드 입력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자동입력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된다. After the code 400 is generated in step S210,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code 400 from the user (S220). At this time, the code input corresponds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The user terminal 100 executes the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as inputting the above code.

사용자로부터 코드(400)를 입력 받은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게 된다.(S230) After receiving the code 400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 100 analyzes the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extracts a field area from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S230)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앞서 코드(400) 내 삽입되었던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고 (S240), 상기 호출된 개인정보를 각 항목별로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게 된다. (S250)Then, the user terminal 100 call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path previously inserted in the code 400 (S240), and inputs the call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field area corresponding to each item. (S250)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S240)에 앞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등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사용자의 보안키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questing a user to input a security key for enhancing security such as prevention of leaking personal information prior to step S240 of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될 때,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항목별로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executed by a user terminal (100) Call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stored for each item; And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the field area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The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gram and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한편, 상기 기록매체 이외에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400)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400)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드(400)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Generating a code 400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recording medium; Analyzing a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the code 400 is inputted;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inserted storage path in the code 400; And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area.

앞서에서도 언급했듯이 이러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such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rogrammer in the field. Further, the program relating to the automatic pers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may be stored i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adable Media) readable by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read and executed by the electronic apparatu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회원가입시 유사한 항목의 개인정보를 요하는 WEB/WAP페이지 상에 사용자가 간단한 입력만으로 쉽게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용이하게 WEB/WAP페이지 상에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개인정보를 호출할 때에 보안키 입력을 요구토록 구현할 수 있는 등 개인정보 관리상 보안성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ield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In particular, a user who can easily input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on a WEB / WAP page requiring a personal information of a similar item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input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on a WEB / WAP page, can implement a security key input when call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can improve security i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here is an effect.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having industrial applicability.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사용자 입력부 120: 브라우징부
130: 소스분석부 140: 데이터 입력부
150: 코드생성부 160: 개인정보 저장부
170: 개인정보 수신부 180: 보안설정부
190: 제어부
200: 서비스 제공서버
300: 개인정보 저장서버
400: 코드
100: User terminal
110: user input unit 120:
130: source analysis unit 140: data input unit
150: code generation unit 160: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70: person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180: security setting unit
190:
200: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400: Code

Claims (18)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입력명령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WEB/WAP페이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브라우징부;
사용자의 개인정보 입력명령에 따라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소스분석부;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 브라우징부, 소스분석부 및 데이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from a user;
A browsing unit for receiving a WEB / WAP page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displaying it to a user;
A source analyzer for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according to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command and extracting a field area into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 data input unit for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ser input unit, the browsing unit, the source analyzing unit, and the data input unit;
Lt; RTI ID = 0.0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분석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코드가 입력되면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여 개인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de into which a storage path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Wherein the source analyzing unit analyzes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when a code is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and extracts a field area into whic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항목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item,
Wherein the data input unit calls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in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 저장서버로부터 항목별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수신한 항목별 개인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ersonal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Wherein the data input unit call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item received and in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ield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QR코드,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PDF417, 맥시코드(Maxi Code) 또는 이미지 코드(Image Cod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de is any one of a QR code, a data matrix, a PDF417, a Maxi code, and an image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직업 또는 부가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user name,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 ID, a password, an address, a telephone number, a job or an additional servic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access)을 허가하는 보안키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의 개인정보 호출시 상기 보안키 입력을 요구하는 보안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security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curity key for allow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and for requesting the security key input when call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ata input unit.
서비스 제공을 위한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를 분석하여 필드영역을 추출하고,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a WEB / WAP page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for analyzing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to extract a field area and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A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inpu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WEB/WAP페이지로부터 추출된 필드영역에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and when the code is inputted by the user, the user terminal inputs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into the field area extracted from the WEB / WAP page, Information inpu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경로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의 디렉토리 경로(directory pa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a user terminal,
Wherein the storage path is a directory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stored in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저장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경로는 개인정보 저장서버 내 저장된 항목별 개인정보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is stored,
Wherein the storage path is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ddress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server.
사용자 단말기가 WEB/WAP페이지에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항목별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WEB / WAP page by a user terminal,
(a)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b) call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of the user;
(c) inputting the itemiz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field area;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가 WEB/WAP페이지에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d) 상기 항목별 개인정보를 필드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WEB / WAP page by a user terminal,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b) analyzing a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the code is input;
(c)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d) inputting the itemiz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field area;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보안키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requesting a security key input of the user before the step (c).
(a) 서비스 제공서버가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WEB/WAP페이지를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기가 항목별 개인정보를 상기 필드영역에 대응시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
(a) a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 WEB / WAP page to a user terminal;
(b)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WEB / WAP page and extracts a field area;
(c) inputting, by the user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tem in association with the field are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서버가 WEB/WAP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기가 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d)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WEB/WAP페이지를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e)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f)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g)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읽어들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user terminal inserts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b)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the WEB / WAP page to the user terminal side;
(c) receiving a code from a user terminal;
(d)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WEB / WAP page and extracts a field area;
(e)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by the user terminal;
(f) the user terminal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area;
(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ads the inputted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a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a)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 항목별로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대응시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hen executed by a user terminal,
(a) analyzing a source file of a WEB / WAP page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b) call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for each item;
(c)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eld area;
A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때,
(a) 개인정보의 저장경로가 삽입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WEB/WAP페이지의 소스파일을 분석하고 필드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코드 내 삽입된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d) 상기 필드영역에 항목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정보 자동입력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hen executed by a user terminal,
(a) generating a code in which a storage path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serted;
(b) analyzing a source file of the WEB / WAP p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extracting a field area when the code is input;
(c) call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path inserted in the code;
(d) inputting item-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area;
A method of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001355A 2014-01-06 2014-01-06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KR102244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55A KR102244668B1 (en) 2014-01-06 2014-01-06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55A KR102244668B1 (en) 2014-01-06 2014-01-06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20A true KR20150082720A (en) 2015-07-16
KR102244668B1 KR102244668B1 (en) 2021-04-27

Family

ID=5388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355A KR102244668B1 (en) 2014-01-06 2014-01-06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66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69A (en) 2015-07-23 2017-02-02 (주)세이퍼존 Method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Login Service with security key
WO2019112310A1 (en)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6679A (en) * 2020-08-03 2022-02-10 김민혁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scan code and code wallet using image co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46A (en) * 2000-07-19 2002-01-29 구자홍 System for auto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in internet
KR20030021856A (en) 2001-09-08 2003-03-15 김재길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ite by unity id in internet
KR20100050816A (en)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the easy se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ing the network address boo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46A (en) * 2000-07-19 2002-01-29 구자홍 System for auto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in internet
KR20030021856A (en) 2001-09-08 2003-03-15 김재길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ite by unity id in internet
KR20100050816A (en)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the easy se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ing the network address boo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69A (en) 2015-07-23 2017-02-02 (주)세이퍼존 Method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Login Service with security key
WO2019112310A1 (en)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8186A (en) * 2017-12-08 201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11144199B2 (en) 2017-12-08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16679A (en) * 2020-08-03 2022-02-10 김민혁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scan code and code wallet using image 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668B1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0208C (en)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presentation of html pages in web devices
KR1015412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user action commands
CN100424662C (en) Portable cross-platform data base access method and system
KR100607841B1 (en) A terminal equipment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nfiguring an input device of terminal equipment
CN1004401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web page
CN101273574A (en) System for managing authenticating data for access to a service
CN107908695A (en) Operation system oper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CN105718533A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device
CN110808868B (en) Test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4460620B2 (e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KR1022446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codes
CN104182402A (en) Browser interface address bar input control method and browser interface address bar input control system
CN101266615B (en) Method for browsing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20072492A1 (en) Browsing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browsing information gathering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KR101620957B1 (en) Web browsing system including function of crawling and web browsing method
KR20000024526A (en) Method for saving search data on Internet
JP4773761B2 (en) Information search server, information search method, information search program
CN102866880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design of mobile phone page layout by mobile user
JPWO2008143284A1 (en)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usable storage medium
JP5088269B2 (en) Scre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0423519C (en) Method for using hand-set message access internet
JP2006189978A (en) System,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retrieval
CN110365633B (en) Communication flow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flow control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084546B1 (en) Module for additional search in search result and method for additional search in search result using the same
EP2175382A1 (en) Methods, module and network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