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66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66A
KR20150082066A KR1020140120394A KR20140120394A KR20150082066A KR 20150082066 A KR20150082066 A KR 20150082066A KR 1020140120394 A KR1020140120394 A KR 1020140120394A KR 20140120394 A KR20140120394 A KR 20140120394A KR 20150082066 A KR20150082066 A KR 2015008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external device
usb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7662B1 (en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98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91945A1/en
Priority to US14/589,530 priority patent/US10198980B2/en
Priority to CN201510004782.0A priority patent/CN104765585B/en
Publication of KR2015008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a waiting mod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 interface unit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receiving a user order; and a a control unit resuming composi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if the user order which turns on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interface unit which sequentially resumes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fter resuming composi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on) 시키는데 짧은 시간을 소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which requires a short time to turn on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검색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 technology, a display device inclu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not only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but also a search of content and a shooting of an image.

따라서,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검색 또는 영상 촬영 등을 수행하기 위해, 와이파이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등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content search or image photographing using the Internet,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Wi-Fi module or a camera module is increasing.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로부터 각 모듈까지의 거리가 보통 0.5 ~ 1 미터(m) 정도로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USB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In particular, the USB interface is often used because the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to each module is relatively long, typically about 0.5 to 1 meter (m).

그러나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빠른 부팅을 위하여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각 모듈을 리쥼(resume)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However, when the USB interface is used, the time required for resume of each module is long even in the suspend mode for quick booting.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빠르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켤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Accordingly, a need has arisen for a technique that enables a user to quickly turn on a display device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is input.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신속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켤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 user to quickly turn on a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resume)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evice is input and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n resume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quential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face unit.

한편, 상기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 camera module.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may connect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via USB.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ker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driv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resumes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may apply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high reset signal is a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resume)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ommand to turn on a power of a display device is input, the step of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resum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sequentially.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 camera module.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may connect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via USB.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ker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drive.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tep of sequentially resuming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set sequence.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setting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equentially applies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n applies a high reset signal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신속하게 켤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able to quickly turn on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종래 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쥼(resume) 시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쥼(resume) 시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esume tim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4 is a view showing a resume tim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110)가 존재하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 interface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 TV, but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 notebook PC, a PDA, .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각종 서버로부터 IP 망을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an image.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variou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broadcasting stations through an RF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receive contents from various servers through an IP network.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s on a display can do.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The interface unit 120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제어부(14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 camera module. However,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unction or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like.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20)는 USB를 통해 외부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개의 USB 포트를 포함하고, 각 USB 포트에 각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USB 허브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 개의 외부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20 can connect an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100 via USB. Specifical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interfac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USB ports, and each external device can be connected to each USB port. Alternatively, the interface unit 120 may connect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o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a USB hub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한편,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은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user comman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이때, 입력부(130)는 상하 좌우의 4방향 키 및 확인 키를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unit 130 may be realized by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four direction key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OK key. However,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a mouse, and a pointing device .

한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resume)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도록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resume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100, the interface unit 120 can be controlled so as to sequentially resume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ker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drive.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제어부(140)는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한 후,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resets the kernel and the kernel drive, and then resumes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the predetermined order.

또는 제어부(140)는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may apply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kernel and the kernel drive, After the configuration is resumed, a high reset signal can be a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즉,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이 리쥼되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켜진 뒤에, 외부 장치를 리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resume of the external device after the display unit 100 is reset and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영상 수신부(150), 영상 처리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저장부(190), 통신부(100) 및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 interface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 image receiving unit 150, an image processing unit 160, An audio output unit 180, a storage unit 190, a communication unit 100, and an input unit 210, as shown in FIG.

한편,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스펜드 모드와 같은 대기 모드 기능(Suspend to Ram or Suspend to Disk),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a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uspend mode or a standby mode function, such as a suspend mode, a communication function, a moving image playback function, a display function, , And various components. Theref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be omitted or chang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added.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후술하는 영상 수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6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14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an image.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That is,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 video fram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60 and various screens generat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143,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50 .

한편,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리쥼이 완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켜지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리쥼이 완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리쥼되어 켜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se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comple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rese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turned on and on.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The interface unit 120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210), 블루투스(Bluetooth) 모듈(220) 또는 카메라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module 210, a Bluetooth module 220, and a camera module 230. However,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unction or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like.

와이파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The WiFi module 210 is a component for using a local area network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using radio waves in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device (AP) is install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블루투스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휴대폰 또는 PC) 간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In addition, the Bluetooth module 220 is a component for using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betwee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mobile phone or a PC) of the display device 100. [

그리고 카메라 모듈(230)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카메라 모듈(230)은 렌즈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피사체란 생성된 촬영 영상 내의 주 피사체 및 배경을 포함하는 모든 물체를 가리킨다. The camera module 230 is a component for capturing an image. That is, the camera module 230 can receive an image of a subject by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putted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n image sensor. At this time, the object refers to all the objects including the main subject and background in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한편, 인터페이스부(120)는 USB를 통해 외부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개의 USB 포트를 포함하고, 각 USB 포트에 각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USB 허브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 개의 외부 장치를 USB 허브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erface unit 120 can connect an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100 via USB. Specifical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interfac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USB ports, and each external device can be connected to each USB port. Or a USB hub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interface unit 120 can connect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USB hub.

한편,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은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user comman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이때, 입력부(130)는 상하 좌우의 4방향 키 및 확인 키를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unit 130 may be realized by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four direction key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OK key. However,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a mouse, and a pointing device .

한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resume)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도록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resume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100, the interface unit 120 can be controlled so as to sequentially resume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s in a predetermined orde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reset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apply a high reset signal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devices in a predetermined order.

즉,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 또는 USB 허브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거나, 인가되는 리셋 신호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가 리쥼 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USB port or the USB hu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100, or controls the reset time of the external device by controlling the reset signal applied there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pecific method for resetting the external device by the control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영상 수신부(15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15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내부의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receiving unit 150 receives image data through various sources. For example, the image receiving unit 150 can receive broadcast data from an external broadcasting station, receive image data in real time from an external server, receive image data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unit 190 have.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 수신부(15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6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6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150. The image processor 160 may perform various image processes such as decod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resolution conversion on the image data.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nd amplification of audio data,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The audio data processed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24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오디오 출력부(180)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8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0 outputs various kinds of audio data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as well as various kinds of announcement sounds and voice messages. At this time, the audio out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but it may be implemented as an audio terminal only as an example.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9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The storage unit 190 stores various module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90 may store software including a base module, a sensing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presentation module, a web browser module, and a service module. In this case, the base module is a base module that processes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hardwar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n upper layer module. The sensing module is a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analyzing and manag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face recognition module, a voice recognition module, a motion recognition module, and an NFC recognition module. The presentation module is a module for constructing a display screen, and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s, a UI, and a UI rendering module for performing graphics processing. A service module is a module including various application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9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190 may include various program module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program modules may be omitted, modified or add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smartphone, the bas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GPS-based position, and the sens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odule can do.

한편, 저장부(190)는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90 may sto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0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는 당시의 하드웨어 드라이브의 상태를 DRAM과 같은 저장부(190)에 저장함으로써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또는 서스펜드 투 디스크(suspend to disk)와 같은 대기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스펜드 상태에서 저장부(190)의 DDR 메모리의 셀프 리프래시(Self-Refresh) 동작을 이용하여 DRAM과 같은 저장부(190)에 저장된 내용을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 오프(off)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할 수 있다.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stores the state of the hardware drive at the time of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a storage unit 190 such as a DRAM, thereby generating a suspend to ram or a suspend- to disk can be used.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save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such as a DRAM by using the self-refresh operation of the DDR memory of the storage unit 190 in the suspended state. When the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ted from the user, the operation state before the power off can be promptly saved.

한편, 통신부(20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0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연결된 와이파이 모듈(210), 블루투스 모듈(220)을 비롯하여 NFC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모듈(210), 블루투스 모듈(220), NFC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모듈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모듈(210)이나 블루투스 모듈(2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WiFi module 210, a Bluetooth module 220, and an NFC modul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0. At this time, the WiFi module 210, the Bluetooth module 220, and the NFC module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NFC method, respectively. Among these, the NFC module refers to a module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using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When the WiFi module 210 or the Bluetooth module 220 is used,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irst,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제어부(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resume)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도록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In particular,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resume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100, the interface unit 120 can be controlled so as to sequentially resume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s in a predetermined order.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reset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apply a high reset signal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devices in a predetermined order.

즉, 제어부(14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 또는 USB 허브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USB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USB port or the USB hu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100, and controls the resume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또는,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여 USB와 연결된 외부 장치가 리쥼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구성이 리쥼된 후에, 제어부(140)는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여, USB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순차적으로 리쥼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may apply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to the USB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device to not be reset. After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reset,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a high reset signal to the USB in a predetermined sequence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B device to be sequentially reset have.

한편,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메인 CPU(144), 제1 내지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이때,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메인 CPU(144), 제1 내지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RAM 141, a ROM 142, a graphics processing unit 143, a main CPU 144, first to n interfaces 145-1 to 145-n ), And a bus 146. At this time, the RAM 141, the ROM 142, the graphics processor 143, the main CPU 144, the first to n interfaces 145-1 to 145-n,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us 146 .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4)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9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ROM 142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When the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 main CPU 144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to the RAM 141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ROM 142, To boot the system. When the booting is completed, the main CPU 144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to the RAM 14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s copied to the RAM 141,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14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특히, 그래픽 처리부(143)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외부 기기 리스트 및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graphic processing unit 143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con,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he operation unit calculat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for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using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30. The rendering unit generates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by the rendering unit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In particular, the graphics processor 143 may generate an external device list and a content list by a user command.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9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main CPU 144 accesses the storage unit 19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 The main CPU 144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 contents, data, and the like.

제1 내지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 interfaces 145-1 to 14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가 리쥼된 후에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리쥼하여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온(on)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sume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using the USB after the display unit is reset, and quickly turn on the display unit.

한편, 도 3은 기존 방법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쥼 시간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flow of resume tim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을 리쥼한다.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따라서, OS 운영체제를 리쥼하는데 t1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OS 운영체제의 리쥼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한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는데 t2의 시간이 소요된다.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at t 0 is input, the display device 100 resumes the kernel.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refore, it takes time t 1 to resume OS operating system. When the resume of the OS operating system is completed, the display device 100 resets the kernel drive.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Therefore, it takes t 2 time to resume the kernel driv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 전자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외부 장치와 US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USB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면서,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리쥼한다. 즉, USB1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하기 위해 t3의 시간이 소요되고, USB2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하기 위해t4의 시간이 소요되며, USB3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하기 위해 t5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커널 드라이브의 리쥼이 완료되어도,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USB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 전체의 리쥼이 완료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리쥼이 완료(tR1)되어,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이 시작(tA1)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s compared to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 USB. That i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camera module and the control unit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nected using a USB. Thus, the display device 100 recovers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using the USB while resending the kernel drive. That is, the time t 3 required for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1 port, the time t 4 is required to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2 port, and t 5 to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3 ports Of time. Therefore, even if the kernel drive has been reset,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device may not be completely reset. That is, the resume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completed (t R1 ) after the resume of the entir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port is completed, and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tarts (t A1 ).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t0)에서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이 완료되는데 필요한 시간(tR1)이 소요된 후에 디스플레이부(110)를 온(on)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the time (t R1 ) required for completing the resumption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by using the USB at the time point t 0 when the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110 to be turned on.

따라서, 본원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10)를 신속하게 온(on)하기 위해 커널, 커널 드라이브 및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의 순서를 종래의 발명과 상이하게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쥼 시간의 흐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refore, in order to quickly turn on the display unit 110,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order of resets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using a kernel, a kernel drive, and USB to b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nvention. Specifically, the flow of the resume time of the display device is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을 리쥼한다.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따라서, OS 운영체제를 리쥼하는데 t6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S 운영체제의 리쥼이 완료되면,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한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는데 t7의 시간이 소요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at t0 is input, the display device 100 resumes the kernel.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refore, it takes t 6 time to resume OS operating system. Then, the display device 100 resumes the kernel drive when the OS operating system is completely resolved.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Therefore, the time t 7 is required to resume the kernel driver.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 드라이브의 모든 구성의 리쥼이 완료될 때까지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기 위한 t7의 시간이 소요된 후, 디스플레이부(110)의 리쥼까지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를 기 설정된 순서대로 리쥼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리쥼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not to start resuming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until the resume of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kernel drive is completed. That is, after the time t 7 for resetting the kernel drive is consumed, the control unit 140 can resume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s in a predetermined order by using the USB when the reset of the display unit 110 is completed. A specific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umption of resumption of the externa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켜진 후, USB1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t8의 시간 동안 리쥼하고, USB2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t9의 시간 동안 리쥼하며, USB3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t10의 시간 동안 리쥼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after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1 port during the time t 8, and, and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2 port during the time t 9, the USB3 ports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can be reset for t 10 hours.

따라서, 외부 장치의 리쥼을 수행하면서,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이 시작(tA2)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장치의 리쥼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ile performing the resume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10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tarts (t A2 ). Accordingly, the user can watch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100 while performing the resume of the external devic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140)가 외부 장치의 리쥼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sume point of the external apparatus by the controller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는 리셋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리쥼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sume time of an external device using a reset signal.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사용자 명령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First, 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nput (S500). The user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50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의 리셋(reset) 신호를 0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을 리쥼하고(S520),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한다(S530).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는 동안,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의 리셋 신호를 0으로 유지하여, 외부 장치가 리쥼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S500-Y), the display device 100 keeps the USB reset sig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0 . Then, the display device 100 resumes the kernel (S520) and resumes the kernel drive (S530).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The display device 100 can maintain the reset signal of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0 while resuming the kernel and the kernel drive so as to prevent the external device from being reset.

커널 드라이브의 리쥼까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켜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온(on)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USB 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한다. 즉, USB 포트가 3개 존재하고, 각 USB 포트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 1을 연결하기 위한 USB1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한다(S54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1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장치 2를 연결하기 위한 USB2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한다(S55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2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 3을 연결하기 위한 USB3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한다(S56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3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When the resume of the kernel drive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After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the display device 100 changes the reset signal of at least one USB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o one. That is, when there are three USB ports and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each USB port, the display device 100 changes the reset signal of USB1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1 to 1 (S54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1. Then, the display device 100 changes the reset signal of the USB2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2 to 1 (S55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2. Then, the display device 100 changes the reset signal of the USB 3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3 to 1 (S56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3.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하는 순서는 외부 장치의 연결 순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장치의 사용 빈도, 필요 순서에 따라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순서가 초기 설정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한 순서대로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외부 장치가 동시에 리쥼 될 수도 있다. The order of changing the USB reset sig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1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of the external device or the initial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at is, the order of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order of use of the externa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stored as an initial setting.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t the order in which the user resets the external device in the required order. However,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external apparatuses may be simultaneously reselected.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1(610)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62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되고, USB2(630)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64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되고, USB3(650)을 통해 카메라 모듈(66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1부터 순차적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 의 리셋 신호를 1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이파이 모듈(620)이 첫 번째로 리쥼하고, 블루투스 모듈(640)을 두 번째로 리쥼하며, 카메라 모듈(660)을 세 번째로 리쥼할 수 있다. 6, the WiFi module 6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through the USB1 610 and the Bluetooth module 6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via the USB2 630. [ And the camera module 660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via the USB3 650.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can sequentially change the reset signal of the USB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from 1 to 1.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Wi-Fi module 620 for the first time, the Bluetooth module 640 for the second time, and the camera module 660 for the third time.

한편, 도 7은 전원 인가 시점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의 리쥼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Meanwhile,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sume time of an external device by controlling a power application time point.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0). 사용자 명령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First, 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nput (S700). The user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70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을 리쥼하고(S720),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한다(S730).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리쥼하는 동안, USB로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장치가 리쥼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S700-Y), the display device 100 keeps the USB power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off . T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resumes the kernel (S720) and resumes the kernel drive (S730).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he external device not to be rewritten by not a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 while reseting the kernel and the kernel drive.

커널 드라이브의 리쥼까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켜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온(on)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전원을 인가한다. 즉, USB 포트가 3개 존재하고, 각 USB 포트를 통해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1을 연결하기 위한 USB1에 전원을 인가한다(S74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1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 2를 연결하기 위한 USB2에 전원을 인가한다(S75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2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3을 연결하기 위한 USB3에 전원을 인가한다(S76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3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When the resume of the kernel drive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After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at is, when there are three USB ports and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rough each USB port,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power to the USB1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1 (S74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1. Then,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power to the USB2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2 (S75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2. Then,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power to the USB 3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3 (S760).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USB3.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에 전원을 인가하는 순서는 외부 장치의 연결 순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장치의 사용 빈도, 필요 순서에 따라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순서가 초기 설정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한 순서대로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외부 장치가 동시에 리쥼 될 수도 있다. The order of power supply to the USB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onnection order of the external device or the initial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at is, the order of resuming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order of use of the external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stored as an initial setting.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t the order in which the user resets the external device in the required order. However,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external apparatuses may be simultaneously reselected.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1(610)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62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되고, USB2(630)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64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되고, USB3(650)을 통해 카메라 모듈(660)이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6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1부터 순차적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된 USB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이파이 모듈(620)이 첫 번째로 리쥼하고, 블루투스 모듈(640)을 두 번째로 리쥼하며, 카메라 모듈(660)을 세 번째로 리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WiFi module 6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via the USB1 610, and the Bluetooth module 6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through the USB2 630 And the camera module 660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system 600 via the USB3 650. [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can sequentially supply power to the USB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starting from USB1.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Wi-Fi module 620 for the first time, the Bluetooth module 640 for the second time, and the camera module 660 for the third tim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90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다(S91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nput (S900). If it is determined that a user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input (S900-Y), the display device 100 reset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S910).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ker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drive.

커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커널 드라이브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패널 또는 튜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The kernel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 kernel drive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n audio output, a panel such as the display 110, or a tuner.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한다(S920).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210), 블루투스(Bluetooth) 모듈(220) 또는 카메라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After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is sequentially reset (S920).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module 210, a Bluetooth module 220, or a camera module 230. However,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unction or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장치를 리쥼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리쥼한 후,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sume the external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a row reset signal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reset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 reset signal of a high value can be a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켜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 경우, USB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리쥼 시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부를 켤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quickly turn on the display unit by the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resume point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using the USB have.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software-coded and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non-transiently readable media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Specifically, it may be a CD, a DVD, a hard disk, a Blu-ray disk, a USB, a memory card, a ROM, or the lik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입력부
140: 제어부 150: 영상수신부
160: 영상 처리부 170: 오디오 처리부
180: 오디오 출력부 190: 저장부
200: 통신부 210: Wifi 모듈
220: Bluetooth 모듈 230: 카메라 모듈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rt
120: interface unit 130: input unit
140: control unit 150: image receiving unit
160: image processor 170: audio processor
180: Audio output unit 190:
200: communication unit 210: Wifi module
220: Bluetooth module 230: camera module

Claims (12)

대기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resume)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a display device supporting a standby mode,
A display unit
A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a user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terface unit to sequentially resum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wireless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And connects sai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said display device via US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and a kernel drive of th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set order to resume the extern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is a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resumed, the USB devic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applies a reset signal of a high value in the set order.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resume)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Resum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is input;
And resuming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fter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wireless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camera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face unit includes:
And connecting sai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said display device via US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널 및 커널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display device,
A ker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 kernel dri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리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sequentially resuming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mprises:
And the external device is reset by supplying power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n a preset or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순차적으로 리쥼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하는 동안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로우(row)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리쥼한 후,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에 기 설정된 순서대로 하이(high) 값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sequentially resuming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comprises:
A reset signal of a row value is applied to the USB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while resum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resumed, the USB devic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a reset signal of a high value is applied in the set order.
KR1020140120394A 2014-01-06 2014-09-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7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8684.4A EP2891945A1 (en) 2014-01-06 2014-12-17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589,530 US10198980B2 (en) 2014-01-06 2015-01-0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004782.0A CN104765585B (en) 2014-01-06 2015-01-06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423 2014-01-06
KR1020140001423 2014-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66A true KR20150082066A (en) 2015-07-15
KR101917662B1 KR101917662B1 (en) 2018-11-13

Family

ID=5379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394A KR101917662B1 (en) 2014-01-06 2014-09-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34A1 (en) * 2015-10-19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3114B1 (en) * 1999-12-08 2003-01-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ectable initialization sequences
US20100064127A1 (en) * 2008-09-05 2010-03-1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for updating basic input/output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thereof
US20120072912A1 (en) * 2010-09-22 2012-03-22 Michael Scott Fulkerson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KR20120052572A (en) *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djusting booting sequence i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3114B1 (en) * 1999-12-08 2003-01-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ectable initialization sequences
US20100064127A1 (en) * 2008-09-05 2010-03-1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for updating basic input/output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thereof
US20120072912A1 (en) * 2010-09-22 2012-03-22 Michael Scott Fulkerson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KR20120052572A (en) *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djusting booting sequence i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34A1 (en) * 2015-10-19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997064B2 (en) 2015-10-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62B1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797B2 (en)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WO2018113675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553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7736031B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701687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1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WO2018161534A1 (en) Image display method, dual scree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storage medium
US10789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KR2014005548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992439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2014022332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US20220116239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KR20160019693A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9898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40009851A (en) Elect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CN111352677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of application program
US999002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Wake On LAN(W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766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77961B2 (en) Electronic device, compan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US105307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129202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98637A (en) display apparatus and menu dispay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