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169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169A
KR20150081169A KR1020140000875A KR20140000875A KR20150081169A KR 20150081169 A KR20150081169 A KR 20150081169A KR 1020140000875 A KR1020140000875 A KR 1020140000875A KR 20140000875 A KR20140000875 A KR 20140000875A KR 20150081169 A KR20150081169 A KR 2015008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elastic member
rotation
mobile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호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169A/en
Publication of KR2015008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mounted at the front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nside; a rotational ring located on edges of the display unit; an elastic member including a first fixing unit combined on the rotational ring and a second fixing unit combined on the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unit is changed; a sensor located to be adjacent to a rotational member and sensing rotation of the rotational member; and a control unit recognizing a control signal if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ring is sensed in the sen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or the electronic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applies an input method with a physical operation besides a touch method through the rotational ring on edges of the display unit, thereby having analog esthetic.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원형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둘레에 회전링과 베젤을 이용하여 입력도구를 구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that implements an input tool using a rotating ring and a bezel around a display portion of a circular mobil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아울러,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기도 한다. In addition, while being regarded as personal items, various designs ar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express its own personality.

전통적인 휴대 단말기의 기구적인 형태는 기기를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를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 등에 넣고 휴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하는 과정에서 분실 또는 낙하 등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The mechanical form of a traditional handheld device is a size that can hold the device by hand and carry it, carry it in a pocket, or carry it. There is a risk that such a portable terminal may be damaged due to loss or drop in the process of carrying it.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를 손목시계처럼 착용하거나, 목걸이에 걸거나 허리에 차는 등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wearable) 단말기가 등장한다. 웨어러블 단말기는 착용 형태에 따라 크기 및 기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various types of wearable terminals appear, such as wearing a portable terminal like a wristwatch, hanging on a necklace, or kicking a waist. The wearable terminal may vary in size and function depending on the wearing form, and various types of wearable terminal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웨어러블 단말기의 경우 악세사리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사각형의 디자인에 비해 원형의 디자인이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wearable terminal,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is required because it has an accessory function, and a circular design is preferred because it can give a softer feeling to a rectangular design.

본 발명은 원형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둘레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입력방법을 다양화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hich improves the design around a display unit and diversifies an input method in a circular mobile terminal.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실장되고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위치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제1 고정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상기 회전링의 회전이 감지되면, 제어신호로 인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전자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 display unit;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and an electronic part is mounted in the case; A rotating ring disposed around the display unit; An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rotary ring and a second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case, the elastic member having a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 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ting member to sens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or the electronic part when rotation of the rotary ring is sensed by the sensor.

상기 탄성부재의 제2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한 쌍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s.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링의 둘레에 2개 이상 위치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located at least two peripheries of the rotary ring.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상기 케이스에서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회전링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링이 회전시 상기 걸림부와 닿아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변화를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case adjacent to the rotary ring; And a limi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otating ring and contacting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rotating ring rotates to restrict a change in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링이 끼워져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rotating the rotary ring with the rotary ring inserted therein.

상기 회전링은 외측 둘레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ry ring may have a concavo-convex shape on its outer periphery.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은 회전시 선택적으로 상기 광센서를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further includes a photo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table ring, and the rotatable ring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ver selectively covering the photosensor upon rotation.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자석; 및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자석이 이동시 변화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agnet coupled to the rotating ring; And a Hall 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ry ring to generate a signal by sensing a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when the magnet moves.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형성된 베젤; 상기 배젤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도광부를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빛은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베젤을 통과하여 전면 방향으로 사출될 수 있다.A bezel formed around the display unit; A light guiding part located on a back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or; And a light source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ght guiding unit and supplying light to the light guiding unit,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light guiding unit and can be emitted in the front direction through the bezel.

상기 베젤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zel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 light-shielding portion that blocks light.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trap coupled to the housing and being wound on the user's wrist.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둘레에 회전링을 통해 터치방식외에 물리적인 조작을 통한 입력방법을 부가함으로써,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보유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having analog sensibility can be provided by adding an input method through a physical operation in addition to a touch method through a rotary ring around a display portion.

화면에 터치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함에 있어서 한계를 갖는 작은 사이즈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도, 터치 입력 이외의 입력방법의 확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Eve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of a small size having a limitation in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touch input on the screen,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panded by enlarging the input method other than the touch input.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링의 회전에 따른 탄성부재 및 회전링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링의 회전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ezel of a mobile terminal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lastic memb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hape of an elastic member and a rotating ring according to rotation of a rotating ring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rotation of a rotating ring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zel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a bezel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 And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e.g.,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 battery gage,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E.g., a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Lt; RTI ID = 0.0 > Combined can be used.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g., call incoming, outgoing, message reception, and origination functions)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와치타입의 이동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의 실시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에 제한되지 않고 전면에 원형의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이면 적용 가능하다. FIG. 2 is a view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but may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which can apply a circular design to the whole surface.

와치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101 having a display unit 151 and a band 10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1 and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wrist.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1)를 포함한다. 케이스(1011)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1011)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01 includes a case 1011 which forms an appearance. The case 1011 may include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that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case 1011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internal space so that a unibody type watch mobile terminal 100 may be realized.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1011)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1011)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ain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whil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can be enhanced by using the case 1011. For example, a case 1011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to enlarge the ground region or the radiation region.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케이스(1011)에 장착되어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to output information, and a touch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51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case 101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

본체(101)에는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body 101 may include a camera 121, a user input unit 123, and the like.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o that the main unit 101 may not have a separate key.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102)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band 102 is worn on the wrist so as to surround the wrist and can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or easy wearing. As an example, the band 102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The band 10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1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by various types of bands 102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02)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nd 102 can be used to extend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For example, the band 102 may include a ground extension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extends the ground regio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원형의 회전링(104)이 디스플레이부(151) 둘레에 위치한다. 회전링(104)은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회전링(104)을 사용자가 잡고 회전을 시키기 용이하도록 회전링(104)의 외측 둘레에 요철(1043)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회전링(104)의 내측으로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며, 도면상으로는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도시되어 있으나, 형태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r rotating ring 104 is located around the display portion 151. [ The rotating ring 10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1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y forming the projections and depressions 1043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ring 104 so that the rotary ring 104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151 is positioned inside the rotary ring 104, and the circular display unit 151 i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본체(101)의 분해 사시도로서, 케이스(1011), 베젤(109), 도광부(188), 회전링(104), 탄성부재(1045), 광원(186), 기판(185), 센서(145), 본체(101) 케이스(1011) 및 밴드(102)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body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ase 1011, a bezel 109, a light guide portion 188, a rotation ring 104, an elastic member 1045, A light source 186, a substrate 185, a sensor 145, a body 101 case 1011, and a band 102 are shown.

회전링(104)은 가운데가 뚤린 원형의 링형상으로 메탈이나 플라스틱 사출물로 만들 수 있다. 회전링(104)은 케이스(1011)의 전면에 결합하며 회전링(104)의 내측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한다. 회전링(104)은 케이스(1011)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1013)에 끼워져 디스플레이부(151)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ting ring 104 can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injection mold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with a center line. The rotation ring 104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011 and the display unit 151 is positioned inside the rotation ring 104. The rotary ring 104 is fitted in a guide 1013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to the case 1011 and can rotate around the display unit 151.

상기 가이드(1013)는 회전링(104)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 또는 회전링(104)의 내측 둘레 또는 외측 둘레에 돌출된 돌기 중 하나일 수 있다. 회전링(104)의 외측방향은 회전링(104)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잡아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1013)는 회전링(104)의 내측에 돌출된 형태이다. 회전링(104)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가 잡아 돌릴 때 미끌어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104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1013 may be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tary ring 104 or a projection protruding around the inner or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ring 104. Since the outer direction of the rotary ring 104 must be held by the user when rotating the rotary ring 104, the guide 1013 is protruded inward of the rotary ring 104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ring 104 may be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043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so as not to slip when the user grasps it.

탄성부재(1045)는 회전링(104)과 케이스(1011)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링(104)과 케이스(1011)를 체결한다. 탄성부재(1045)는 회전링(104)이 무제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부재(1045)의 신축 허용범위 내에서만 회전링(104)은 회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링(104)을 돌려 회전시킨 후에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045)는 회전링(104)을 다시 본래 위치로 원상복귀 시킨다. The elastic member 1045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ry ring 104 and the case 1011 to fasten the rotary ring 104 and the case 1011. The elastic member 1045 prevents the rotation ring 104 from rotating unlimitedly, and the rotation ring 104 is rotatable only within the stretching allowable range of the elastic member 1045. Further,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ring 104 and then the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1045 returns the rotary ring 104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탄성부재(1045)는 회전링(104)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1046a)와 케이스(1011)에 결합하는 제2 고정부(1046b)를 포함하며, 회전링(104)이 회전하면 제1 고정부(1046a)와 제2 고정부(1046b) 사이의 탄성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고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04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링(104)은 본래 위치로 복원된다. The elastic member 1045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1046a coupled to the rotation ring 104 and a second fixing portion 1046b engaged with the case 1011. When the rotation ring 104 rotates,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fixing portion 1046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046b is increased and the force is removed, the rotation ring 10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45.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109)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부재(1045)는 한 개만으로도 회전링(104)에 복원력을 제공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45)는 2곳 이상에 배치하면 안정적으로 회전링(104)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ezel 109 of a mobile terminal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elastic member 1045 is provided at more than two positions to stably rotate the rotation ring 104 to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restored.

도 5는 탄성부재(1045)가 결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회전링(104)에서 돌출된 탄성부재(1045) 결합부에 제1 고정부(1046a)가 결합하고, 케이스(1011)에 제2 고정부(1046b)가 결합한다. 제2 고정부(1046b)는 케이스(1011)에 직접 결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케이스(1011)에 고정된 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045 is engaged. The first fixing portion 1046a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045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ring 104,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046b is engaged. The second fixing portion 1046b can be coupled to the member fixed to the case 1011 as well as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case 1011. [

일측 단부에 제1 고정부(1046a)가 위치하고 타측 단부에 제2 고정부(1046b)가 위치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046b)는 탄성부재(1045)의 양단에 한 쌍 위치하고, 제1 고정부(1046a)는 한 쌍의 제2 고정부(1046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후자는 제1 고정부(1046a)가 한 쌍의 제2 고정부(1046b)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므로, 탄성부재(1045)의 신장허용범위를 벗어나 회전링(10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모두 탄성력이 생성되므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The first fixing part 1046a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and the second fixing part 1046b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045. The second fixing part 1046b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1046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ing portions 1046b. Particularly in the latter, the first fixing portion 1046a can be moved only within the pair of second fixing portions 1046b, so that the rotation ring 104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beyond the stretch allowable range of the elastic member 1045 have. Even if it rotates clockwise, it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because it generates elastic force even if it rotates counterclockwise.

도 6은 회전링(104)이 회전 시 탄성부재(1045)의 형상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회전링(104)이 회전하기 전 상태이고, (b)는 회전링(104)을 사용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a)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045)는 기본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나, (b)에서는 탄성부재(1045)의 좌측부분(1045a)이 인장되고 우측부분(1045b)은 줄어든다. 인장된 탄성부재 부분(1045a)은 원래 길이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생긴다.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원래 길이로 복원되어 회전링(104)의 위치는 (a)상태로 돌아간다.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change of the elastic member 1045 when the rotary ring 104 is rotated. (a) shows a state before the rotating ring 104 is rotated, and (b) shows a state where the rotating ring 104 is rotated by a user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a), the elastic member 1045 maintains the basic length, but in (b), the left portion 1045a of the elastic member 1045 is stretched and the right portion 1045b is reduced. The elastic member portion 1045a that is stretched has elastic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length.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the original length is restored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ring 104 returns to the state (a).

회전링(10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또하나의 방법으로 걸림부(1023)와 제한돌기(1042)를 이용할 수 있다. 걸림부(1023)는 회전링(104)에 이웃하여 케이스(1011)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부재이고, 제한돌기(1042)는 회전링(104)이 회전시 걸림부(1023)와 닿아 회전을 제한한다. 즉, 탄성부재(1045)의 길이 변화를 제헌하여 탄성부재(1045)의 신장허용범위를 벗어나 회전링(10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ring 104, the engagement portion 1023 and the limiting projection 1042 can be used. The stopper 1023 is a member projecting from the case 1011 in the fr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rotary ring 104. The stopper 1042 contacts the stopper 1023 when the rotary ring 104 rotates, Limi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ry ring 104 out of the stretch allowable range of the elastic member 1045 by constitut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1045.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145)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145)의 예로 홀센서, 광센서 등이 있다. 홀센서의 경우 회전링(104)에 자석을 구비하여 회전링(104)이 회전 시 변화하는 자기장을 홀센서가 감지하여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A sensor 145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4. Examples of the sensor 145 that can detect the rotation of the rotary ring 104 include a hall sensor, a light sensor,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hall sensor, a magnet is provided in the rotary ring 104 so that the hall sensor senses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when the rotary ring 104 rotates, so that rotation of the rotary ring 104 can be sensed.

광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04)의 둘레에 위치하는 광센서와 회전링(104)에서 돌출된 센서커버(1044)를 이용하여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커버(1044)는 회전링(104)이 회전시 선택적으로센서를 커버하여 광센서에서 사출되는 빛을 반사시키거나 광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한다. When the optical sensor is used, as shown in FIG. 3,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4 is sensed by using the optical sensor located around the rotating ring 104 and the sensor cover 1044 protruded from the rotating ring 104 can do. The sensor cover 1044 selectively covers the sensor when the rotary ring 104 rotates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photosensor or to block light incident on the photosenso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커버(1044)에 구멍이 뚫려 있어 회전링(104)이 회전하기 전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를 덮지 않으나, 회전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를 커버하여 광센서는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optical sensor is not covered as shown in (a) before the rotating ring 104 is rotated due to a hole in the sensor cover 1044, By covering the optical sensor, the optical sensor can sens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4.

좌측과 우측의 회전여부를 알 기 위해 2개 이상의 센서(145)를 구비하여 하나의 센서(14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센서커버(1044)가 덮고 다른 센서(14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센서커버(1044)가 덮으면 회전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145)가 회전링(104)의 회전을 감지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는 이를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한다.In order to know whether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otated, two or more sensors 145 are provided so that one sensor 145 covers the sensor cover 1044 when rotated clockwise and the other sensor 145 rotates counterclockwise When the sensor cover 1044 is covered,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distinguished. When the sensor 145 senses the rotation of the rotary ring 104, the controller 145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electrical signal as a user comman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회전링(104)의 회전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rotation of a rotating ring 104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를 참조하면, 회전링(104)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아이콘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일렬로 배열된 경우에는 시계방향은 우측의 아이콘으로 선택커서가 이동하고 반시계방향은 좌측의 아이콘으로 선택커서가 이동한다. 일정시간 이상 회전상태를 유지하면 선택커서는 연속적으로 아이콘을 이동할 수 있다. (a), the rotating ring 104 may be rotated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f the icons are arranged in a circle as shown in (a) or arranged in a line, the selection cursor moves to the right ic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lection cursor moves to the left ic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f the rotation st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lected cursor can move the icon continuously.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04)을 회전시켜 음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링(104)을 회전시키면 이전화면 또는 이전 메시지 등을 보여주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음화면 또는 다음 메시지를 보여준다. 회전링(104)의 회전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는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가능하다. the volum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rotary ring 104 as shown in FIG. 2 (b). When the rotary ring 10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c) Turn clockwise to display the next screen or next message. The control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ring 104 can be variously performed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회전링(104)의 내측 둘레에 위치하는 센서(145)나 탄성부재(1045)의 실장공간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와 회전링(104)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이 필요하며 디스플레이부(151)와 회전링(104) 사이에 실장되는 부품은 외부로 노출되면 외관상 좋지 않는 바, 이를 커버하는 베젤(1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젤(109)은 디스플레이부(151)를 동시에 덮는 윈도우 글래스(151a)의 배면둘레에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글래스(151a)와 별도로 디스플레이부(151)와 회전링(104)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태의 베젤(109)을 이용할 수도 있다. An interval is required between the display portion 151 and the rotary ring 104 as shown in Fig. 4 for the mounting space of the sensor 145 and the elastic member 1045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ring 104 The parts mounted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rotary ring 104 may be further deteriorated when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bezel 109 covering the parts. The bezel 109 may be formed by print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glass 151a covering the display unit 151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A ring-shaped bezel 109 positioned between the rings 104 may be used.

디스플레이부(151)와 회전링(104) 사이에 센서(145)나 탄성부재(1045)가 실장되는 이외에 광원(186)을 구비하여 베젤(109)을 통해 빛을 사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85)에 센서(145) 및 광원(186)을 안착시키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109) 부분의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86)에서 사출된 빛이 베젤(109) 전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빛을 산란시는 도광부(188)를 구비할 수 있다. 광원(186)의 빛이 베젤(109) 틈이나 회전링(104)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차단하는 패드(187)를 이용할 수 있다.The sensor 145 and the elastic member 1045 are mounted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rotary ring 104 and the light source 186 is provided to emit light through the bezel 109. [ As shown in Figure 8,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bezel 109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145 and a light source 186 are mounted on a substrate 185, And a light guiding portion 188 for scattering light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86 spreads evenly throughout the bezel 109. [ A pad 187 for block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86 to prevent the light from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ezel 109 and the rotary ring 104 may be us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베젤(109)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로서, 베젤(109)은 투명한 글래스 또는 아크릴의 배면에 차광인쇄를 하여 베젤(109)의 내측을 보이지 않도록 커버한다. 광원(186)에서 사출된 빛이 나올 수 있도록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한 부분은 투광부(109b)라고 하고 불투명한 부분을 차광부(109a)라고 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09b)를 특정 패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bezel 109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zel 109 is light-shielded on the back surface of transparent glass or acrylic to see the inside of the bezel 109 Cover. A partially transparent pattern can be formed so that light can pass through the light source 186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86 can be emitted. If the transparent portion is referred to as the transparent portion 109b and the opaque portion is referred to as the shielding portion 109a, the transparent portion 109b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as shown in FIG. 9,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1) 둘레에 회전링(104)을 통해 터치방식외에 물리적인 조작을 통한 입력방법을 부가함으로써,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보유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n input method through a physical operation besides the touch method through the rotating ring 104 around the display portion 151, A terminal can be provided.

화면에 터치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함에 있어서 한계를 갖는 작은 사이즈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도, 터치 입력 이외의 입력방법의 확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Eve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of a small size having a limitation in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touch input on the screen,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panded by enlarging the input method other than the touch inpu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본체 102: 밴드
1011: 본체 케이스 1013: 가이드
1023: 걸림부 104: 회전링
1042: 제한돌기 1043: 요철
1044: 센서커버 1045: 탄성부재
1046a, 1046b: 고정부 145: 센서
185: 기판 186: 광원
188: 도광부 187: 패드
109: 베젤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101: main body 102: band
1011: Body case 1013: Guide
1023: Retaining part 104: Rotating ring
1042: Restriction projection 1043:
1044: Sensor cover 1045: Elastic member
1046a, 1046b: fixing portion 145: sensor
185: substrate 186: light source
188: light guiding portion 187: pad
109: Bezel

Claims (1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실장되고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위치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제1 고정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상기 회전링의 회전이 감지되면, 제어신호로 인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전자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unit;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and an electronic part is mounted in the case;
A rotating ring disposed around the display unit;
An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rotary ring and a second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case, the elastic member having a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 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ting member to sens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ring by the sensor as a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or the electronic compon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제2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한 쌍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링의 둘레에 2개 이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rings are located around the rotation 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상기 케이스에서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회전링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링이 회전시 상기 걸림부와 닿아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변화를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case adjacent to the rotary ring;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projecting from the rotation ring and restricting a change in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rotation ring contacts th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rotation ring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링이 끼워져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rotating the rotating ring by fitting the rotating 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외측 둘레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ring is formed with a concavo-convex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링은 회전시 선택적으로 상기 광센서를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hoto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ting ring,
Wherein the rotating ring further comprises a sensor cover selectively covering the optical sensor upon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자석; 및
상기 회전링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자석이 이동시 변화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gnet coupled to the rotating ring; And
Further comprising a hall sens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tary ring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when the magnet moves, and generating 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에 형성된 베젤;
상기 배젤의 배면에 위치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도광부를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빛은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베젤을 통과하여 전면 방향으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zel formed around the display unit;
A light guiding part located on a back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or; And
And a light source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ght guiding unit and supplying light to the light guiding unit,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bezel through the light guide unit and is emitted in a front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ezel
And a light-shielding unit for shielding light from the light-transmit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rap coupled to the housing and being wound on a user's wrist.
KR1020140000875A 2014-01-03 2014-01-03 Mobile terminal KR20150081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75A KR20150081169A (en) 2014-01-03 2014-01-03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75A KR20150081169A (en) 2014-01-03 2014-01-03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169A true KR20150081169A (en) 2015-07-13

Family

ID=5379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875A KR20150081169A (en) 2014-01-03 2014-01-03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169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40A (en)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O2017034064A1 (en) * 2015-08-24 2017-03-02 엘지전자(주) Electronic device
KR101718048B1 (en) * 2015-10-1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81443A (en)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an eletronic device
WO2017126781A1 (en) * 2016-01-19 2017-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window
KR20170111096A (en) * 2016-03-25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ivce including rotatable annular member
WO2018110753A1 (en)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ch-type terminal
JP2020535522A (en) * 2017-09-25 2020-12-03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cal operator interface for field equipment
WO2022220571A1 (en)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heel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4159A (en) * 2015-08-07 2018-04-17 三星电子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WO2017026670A1 (en) * 2015-08-07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20170017640A (en)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US10534324B2 (en) 2015-08-07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7034064A1 (en) * 2015-08-24 2017-03-02 엘지전자(주) Electronic device
US10095203B2 (en) 2015-08-24 2018-10-0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KR101718048B1 (en) * 2015-10-1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81443A (en) *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an eletronic device
WO2017126781A1 (en) * 2016-01-19 2017-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window
KR20170111096A (en) * 2016-03-25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ivce including rotatable annular member
WO2018110753A1 (en)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ch-type terminal
JP2020535522A (en) * 2017-09-25 2020-12-03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cal operator interface for field equipment
WO2022220571A1 (en)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1169A (en) Mobile terminal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US9665068B2 (en) Smart bracelet
KR2017003306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7050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64773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24710A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US11188033B2 (en) Wearable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for obtaining sound by using plurality of openings
KR101951677B1 (en) Connector water proof housing and mobile terminal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62864A (en) Smart watch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KR20160116559A (en) Mobile terminal
KR20160102811A (en) Mobile terminal that can control handwriting relevant function through gesture of the hand which is worn a wrist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8018A (en) Mobile terminal
KR20160090008A (en) A electronic device
KR20160064756A (en) Wearable device
KR2017000416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23906A (en) Smart watch
KR20160128701A (en) Wearable smart device
KR20170004648A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65174A (en)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20150080705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20160150543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2143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