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278A -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78A
KR20150080278A KR1020130168730A KR20130168730A KR20150080278A KR 20150080278 A KR20150080278 A KR 20150080278A KR 1020130168730 A KR1020130168730 A KR 1020130168730A KR 20130168730 A KR20130168730 A KR 20130168730A KR 20150080278 A KR20150080278 A KR 2015008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chunk
video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노학균
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278A/ko
Priority to US14/582,315 priority patent/US20150189401A1/en
Publication of KR2015008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컨텐츠 서버는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는 인코딩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광고 컨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VIDEO CONTENT AND METHOD THEREOF}
비디오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비디오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종래 아날로그 형식의 컨텐츠들이 디지털 형식의 컨텐츠로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VHS(Video Home System), 8mm 테이프 등을 통해 유통되던 비디오 컨텐츠는 현재 디지털 비디오 컨텐츠로 제작되어 CD, DVD, 블루레이, 인터넷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비디오 컨텐츠가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는 비디오 컨텐츠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의 비디오 컨텐츠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는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진 비디오 컨텐츠를 조각별로 다운로드 받으면서 비디오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비디오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컨텐츠 서버는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는 인코딩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광고 컨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광고 컨텐츠 생성 방법은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및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비디오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비디오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서버(100)는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는 VOD(Video On Demand)일 수 있으나,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비디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청크는 수 초(second) 단위의 비디오 클립일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비디오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현재 시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청크 파일에 대한 재생 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수 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과 함께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시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서버(100)는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선택된 비디오 청크 파일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시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 위치 정보,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에 있어서, 트릭 모드(되감기, 빨리감기 등)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비디오 청크의 길이가 수 초가 되기 때문에,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비디오 컨텐츠 요청 시간 등에 따라서,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동일한 비디오 청크 파일을 재생한다 할지라도 해당 비디오 청크 파일내에서 재생되는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재생 시점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비디오 청크 파일과 함께 제 1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될 광고 컨텐츠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결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의 광고 컨텐츠 찾아 이용하거나, 해당 시간만큼의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결정된 시간을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통지하여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재생시킬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서버(100)는 결정된 시간보다 길이가 긴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고, 해당 시간만큼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후에 광고 컨텐츠 위에 'skip' 표시를 나타내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광고 컨텐츠를 종료하고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100)에게 비디오 컨텐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비디오 컨텐츠 요청과 함께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현재 시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수 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과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청크 리스트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고, 해당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수 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비디오 청크 파일들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컨텐츠 서버(100)에게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하기 이전부터 비디오 청크 파일들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비디오 청크 파일들 각각에 대한 재생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비디오 청크 파일이 재생되는 실제 시간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제 1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후 연이어 재생되는 제 2 비디오 청크 파일이 재생되는 실제 시간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작업은 매 비디오 청크 파일마다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작업은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 5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마다)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컨텐츠 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제 2 사용자 단말(300)과 비디오 컨텐츠 재생 시점을 맞출 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컨텐츠 서버(100)에게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AP 또는 기지국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NFC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식별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비디오 청크 파일들 각각에 대한 재생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재생 정보를 요청받고,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재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컨텐츠 서버(100)에게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재생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광고 컨텐츠 및 수 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포함된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 각각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400)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청크 파일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서버(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00)는 인코딩부(210), 정보 수신부(220), 요청 수신부(230), 광고 컨텐츠 (240), 리스트 생성부(250) 컨텐츠 전송부(260) 및 데이터베이스(DB, 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에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인코딩부(210)는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부(210)는 하나의 비디오 청크 파일의 길이를 수 초(second) 단위로 설정하고, 동일한 재생 시간(길이) 단위로 비디오 컨텐츠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는 라이브 방송 컨텐츠일 수 있고, 컨텐츠 서버(100)는 인코딩부(210)에서 생성된 비디오 청크 파일을 또는 수 개의 비디오 청크 파일의 묶음(청크 리스트)을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2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 청크 파일에 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정보는 해당 비디오 청크 파일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해당 비디오 청크 파일이 시작되는 실제 시간(몇 시에 해당 비디오 청크 파일이 재생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부(22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 1 사용자 단말(100)과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수신부(22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과 컨텐츠 서버(100)와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3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요청은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수신된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1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될 광고 컨텐츠의 시간(길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재생될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시점을 예측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각각 재생될 비디오 청크 파일의 시작 시점을 동기화시키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결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의 광고 컨텐츠를 DB로부터 선택하거나, 해당 시간만큼의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결정된 시간을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통지하여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재생시킬 수 있다. 또는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결정된 시간보다 길이가 긴 임의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고, 해당 시간만큼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 후에 광고 컨텐츠 위에 'skip' 표시를 나타내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광고 컨텐츠를 종료하고 비디오 컨텐츠(비디오 청크 파일)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3 사용자 단말(미도시)이 더 있고, 컨텐츠 서버(100)가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 생성부(24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중 해당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시점이 더 빠른 재생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250)는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청크 리스트는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제 1 사용자 단말(200)에서 재생될 비디오 청크 파일을 시작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260)는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DB(27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컨텐츠 서버(100)와 컨텐츠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70)는 정보 수신부(220)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컨텐츠 서버(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컨텐츠 서버(100)에 포함된 인코딩부(210), 정보 수신부(220), 요청 수신부(230), 광고 컨텐츠 (240), 리스트 생성부(250) 컨텐츠 전송부(260) 및 DB(27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A1(201) 및 사용자 단말 A2(202) 각각은 컨텐츠 서버에게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30 및 31)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재생 정보(30 및 3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A1(201) 및 사용자 단말 A2(202)는 모두 현재 제 5 청크 파일을 재생하고 있으나, 재생시점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비디오 청크 파일의 길이가 수 초(second)가 되기 때문에, 비디오 청크 파일을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시간이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A1(201) 및 사용자 단말 A2(202)는 모두 현재 제 5 청크 파일을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B(301)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B(30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A1(201) 및 사용자 단말 A2(2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33)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선택(34)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선택된 광고 컨텐츠 및 제 6 내지 제 8 청크 파일을 포함하는 청크리스트(36, playlist)를 사용자 단말 B(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상기 단계들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하여 방송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비디오 청크 파일들을 생성(35)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달리, 사용자 단말 B(301)는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 단말 A2(202)로부터 제 5 청크 파일의 재생을 나타내는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생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에 전송하여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청크 리스트(37)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청크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길이는 사용자 단말 B(301)에게 제 6 청크 파일부터 재생시킬지, 제 7 청크 파일부터 재생시킬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B(301)는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청크 리스트(39)를 수신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통지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 B(301)는 통지받은 광고 컨텐츠의 길이에 맞는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B(301)의 DB로부터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B(301)는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광고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은 청크 리스트(39)를 수신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광고 컨텐츠(310)를 별도로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310)는 컨텐츠 서버(100)에서 결정한 광고 컨텐츠의 시간(길이)이 도과하면 광고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는 skip 표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01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2에서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3에서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4에서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컨텐츠 서버
200: 제 1 사용자 단말
300: 제 2 사용자 단말
400: 네트워크

Claims (18)

  1. 컨텐츠 서버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는 인코딩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광고 컨텐츠 생성부;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에 포함된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될 제 2 청크 파일의 재생 시점을 예측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청크 파일은 상기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이 종료된 이후 재생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청크 리스트는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 2 청크 파일을 시작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청크 파일을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 재생될 상기 제 2 청크 파일의 시작 시점을 동기화시키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중에 수신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스킵(skip) 표시 시점을 결정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컨텐츠 서버 간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및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 중 상기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시점이 더 빠른 재생 정보를 이용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의 제 1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5. 광고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생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비디오 청크 파일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수신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광고 컨텐츠 생성 방법.
  17.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에게 컨텐츠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및
    비디오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복수의 비디오 청크(chunk)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청크 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디오 청크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비디오 재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위치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수신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광고 컨텐츠 생성 시스템.
KR1020130168730A 2013-12-31 2013-12-31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80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30A KR20150080278A (ko) 2013-12-31 2013-12-31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4/582,315 US20150189401A1 (en) 2013-12-31 2014-12-24 Advertisement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30A KR20150080278A (ko) 2013-12-31 2013-12-31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78A true KR20150080278A (ko) 2015-07-09

Family

ID=5348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30A KR20150080278A (ko) 2013-12-31 2013-12-31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89401A1 (ko)
KR (1) KR201500802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24B1 (ko) 2019-09-02 2020-08-31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912B2 (en) 2009-05-18 2012-03-13 Hola Networks, Ltd. System and method of increasing cache size
US8560604B2 (en) 2009-10-08 2013-10-15 Hola Network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er and more efficient data communication
US9241044B2 (en) 2013-08-28 2016-01-19 Hola Networks,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ternet communication by using intermediate nodes
US9438936B1 (en) * 2015-04-03 2016-09-06 Mirriad Limited Producing video data
FR3035729B1 (fr) * 2015-04-28 2020-11-27 Ateme Procede d'analyse d'une sequence video et equipement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11057446B2 (en) 2015-05-14 2021-07-06 Bright Data Ltd.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content from multiple servers
CN105659621A (zh) * 2015-12-26 2016-06-08 王晓光 一种视频软件中广告拦截的方法及系统
US10839417B2 (en) * 2016-03-17 2020-11-17 Adobe Inc. Gauging consumer interest of in-person visitors
US11190374B2 (en) 2017-08-28 2021-11-30 Bright Data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ent fetching by selecting tunnel devices
EP4311204A3 (en) 2017-08-28 2024-04-10 Bright Data Ltd. Method for improving content fetching by selecting tunnel devices
WO2020150885A1 (zh) * 2019-01-22 2020-07-30 深圳柔宇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服饰的广告联动方法及系统
LT3780547T (lt) 2019-02-25 2023-03-10 Bright Data Ltd. Turinio parsisiuntimo, naudojant url bandymų mechanizmą, sistema ir būdas
EP4030318A1 (en) 2019-04-02 2022-07-20 Bright Data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on-direct url fetching service
CN111277882A (zh) * 2020-01-19 2020-06-12 广州南翼信息科技有限公司 终端节目同步播放系统及方法
CN111277883B (zh) * 2020-02-13 2022-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方法、终端及播放系统
KR20210107480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107413A (zh) * 2020-02-27 2020-05-0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时间实现多设备同步显示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696A1 (en) * 2007-05-02 2008-11-13 Google Inc. User interfaces for web-based video player
US20120233644A1 (en) * 2007-06-05 2012-09-13 Bindu Rama Rao Mobile device capable of substantially synchronized sharing of streaming media with other devices
US8959539B2 (en) * 2011-09-30 2015-02-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ssage delivery mechanism
US20150230005A1 (en) * 2012-08-06 2015-08-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nt information of interactive broadcast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24B1 (ko) 2019-09-02 2020-08-31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WO2021045407A1 (ko) 2019-09-02 2021-03-11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9401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0278A (ko) 광고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27743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method for delivery of media
KR102099357B1 (ko) 스크린 샷을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방법
CN102594879B (zh) 媒体内容位置知晓和决策制定
CN104093064B (zh) 在终端设备之间进行视频互动的方法、系统及装置
KR101672101B1 (ko) 디바이스 제어 방법, 클라이언트, 서버, 중계 디바이스 및 제어 대상 디바이스
US20120222075A1 (en)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implementing fast playout
US9356985B2 (en) Streaming video to cellular phones
US9438654B2 (en) Fragment interface into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presentations
US9705955B2 (en) Period labeling in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US10560512B2 (en) Method for file manage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277652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KR20120021246A (ko) Http 스트리밍을 위한 미디어 정보 파일의 전송 및 수신 방법
CN104080009A (zh) 一种多终端断点续播的方法及系统
KR101895048B1 (ko) 스트림 변환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단말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
EP3160101B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042763A (ko) 콘텐츠 공유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말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101445260B1 (ko)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KR101669232B1 (ko) 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콘텐츠 서버 및 시스템
KR101810635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KR101406425B1 (ko)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58862A1 (en) System for Socialized Content Sharing
KR101998677B1 (ko) 콘텐츠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 및 방법
US20230222725A1 (en) Random access of scene description in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bmff) 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