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399A -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399A
KR20150078399A KR1020130167706A KR20130167706A KR20150078399A KR 20150078399 A KR20150078399 A KR 20150078399A KR 1020130167706 A KR1020130167706 A KR 1020130167706A KR 20130167706 A KR20130167706 A KR 20130167706A KR 20150078399 A KR20150078399 A KR 20150078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e
saddle
bracket
vertical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8959B1 (en
Inventor
한정우
최진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5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63B2230/015User's 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eat-type support unit, which allows a user to train walking in a seated state, and a seat-type walking training device using the same. The seat-type support unit and the seat-type walking training device using the sam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convenient effect by being switched to a walking training state while a trainee is seated on a saddle. In addition, as components to lift the trainee upward are unnecessary, an installation space in the upward direction is reduced. As a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side a vertical frame, the height of the saddl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after accurately measuring a load applied to the saddle from the trainee, thereby being able to perform customized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Moreover, the saddle is unnecessary to be removed during maintenance of the saddle or the detection unit as th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not in the saddle.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the detection unit is simple, and the volume of the saddle and components around the saddle can be reduced.

Description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ing type support unit,

본 발명은 착석한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는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ting-type supporting unit capable of performing gait training in a seated state, and a sitting-type gait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보행이란, 하지의 관절과 근육의 연속운동에 의해서 몸의 중심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행위이다.Walking is the act of moving the center of the body forward or backward by continuous motion of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lower limbs.

보행 동작은 한쪽 다리의 발이 지면에 닿아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다른쪽 다리가 움직여서 몸을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시키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이다. 보행 동작은 다수의 관절이나 골반이 상호 협조되어 일어나는 아주 복잡한 동작으로, 호흡 작용이나 심장 박동 등 여러 신체 활동의 협응으로 이루어진다.Walking motion is a continuous and repetitive motion in which the legs of one leg touch the ground and the other leg moves to move the body forward or back while maintaining a steady state. Walking movements are very complicated movements of joints or pelvic joints that are coordinated by various physical activities such as respiration or heartbeat.

보행 동작은 정상적인 신체의 소유자라면 쉽게 할 수 있는 동작이지만, 신경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근육이 불균형적으로 발달한 환자 등을 포함한 훈련자에게는 대단히 어려운 동작이다. 이로 인해, 훈련자가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보행 동작을 훈련시켜 보행 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보행 훈련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Walking is an easy exercise for normal body owners, but it is a very difficult exercise for trainees, including those with impaired neurological function or disproportionately developed muscles. Therefore, a gait train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train the gait movement so that the gaiter can return to his / her daily life.

보행 훈련 장치는 외골격 타입과 엔드이펙터 타입으로 대별된다. 외골격 타입은 훈련자의 하지 관절을 보행 훈련 장치에 고정한 다음 관절의 각도를 제어하여 훈련을 하는 방식하고, 엔드이펙터 타입은 훈련자의 발을 보행 훈련 장치에 고정한 다음 발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여 훈련을 하는 방식이다.Walking training devices are divided into exoskeleton type and end effector type. The exoskeleton type is a method in which a trainee's lower limb joint is fixed to a gait training device and then the angle of the joint is controlled. In the end effector type, a trainer's foot is fixed to a gait training device, to be.

엔드이펙터 타입의 보행 훈련장치에는 훈련자의 체중을 상측에서 견인하여 지지하는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보행 훈련 장치가 있다.The end effector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es an overhead harness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that trains the body weight of a trainee from the upper side and supports the body.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일종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1972호에 개시된 종래의 보행 재활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보행 재활 장치의 사시도이다.A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31972, which is a type of overhead harness typ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 재활 장치는 바닥 등과 접촉하는 하부프레임(105), 하부프레임(105)에 설치되며 훈련자가 발을 딛고서 서는 발판(30, 50), 하부프레임(105)에 설치되며 발판(30, 50)을 다양한 궤적으로 운동시키는 발판구동부(130), 하부프레임(105)에 하단부측이 결합되어 하부프레임(105)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10),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측에 설치된 체중완화부(180) 및 훈련자의 신체를 감싸서 지지하며 라인(175)을 매개로 체중완화부(180)와 연결된 홀더(17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in a lower frame 105 and a lower frame 105 that are in contact with a floor, and is installed on foot boards 30 and 50 and a lower frame 105 A support frame 110 coupled to the lower frame 105 at a lower end thereof a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wer frame 105, a support frame 110 And a holder 170 which surrounds and supports the body of the trainee and is connected to the weight reducing part 180 through a line 175. [

체중완화부(180)를 구동시켜 홀더(170)를 승강시키면, 훈련자의 발을 포함한 신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되므로, 훈련자의 특성에 따라 홀더(17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발판구동부(130)를 구동시켜 발판(30, 50)을 운동시킨다. 그러면, 발판(30, 50)의 운동과 함께 훈련자의 발을 포함한 다리가 운동하므로, 보행 훈련이 되는 것이다.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including the foot of the trainee is adjusted by driving the weight reducing part 180 to raise and lower the holder 170, the position of the holder 170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The driving unit 130 is driven to move the foot plates 30 and 50. Then, the legs including the foot of the trainee exercise together with the exercise of the footrests 30, 50, so that the walking exercise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행 재활 장치는, 훈련자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홀더(170)로 훈련자의 신체를 감싸서 고정한 후, 홀더(170)를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훈련자를 훈련시킬 수 있는 상태로 조정하기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훈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키지 않은 상태로 훈련자가 장시간 있게 되면, 훈련자의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훈련자가 고통을 받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the trainee is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trainer's body is wrapped and fixed with the holder 170, and then the holder 170 is rais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adjust the trainer so as to be able to train. If the trainer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without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trainer, the trainee will suffer the load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trainee's body part.

그리고, 훈련자를 상측으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훈련자의 상측에 홀더(170)를 견인하기 위한 체중완화부(18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측 방향의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pull the trainee upward, the weight relaxer 180 for pulling the holder 170 on the upper side of the trainee must be installed, which requires a large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가 착석하여 보행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훈련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보행 훈련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방향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traine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ating type support unit capable of reducing an installation space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sitting type exercise machine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은,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측에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궤적을 따라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지지하는 안장(鞍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comprising: a vertical frame; A saddl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to support and support the buttock of the trainer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in a walking motion along the trajectory;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and measuring a load of a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바닥에 놓이는 받침부; 보행 궤적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며, 훈련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 상기 받침부에 하단부측이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상기 발판에 의하여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착석형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석형 지지유닛은,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측에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궤적을 따라 보행 동작은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지지하는 안장(鞍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pedestal portion placed on a floor; A footrest provided on the pedestal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a walking trajectory and on which a foot of a trainee is placed; And a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supports the trainee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in the walking operation by the footrest,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comprising: a vertical frame; A saddl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supporting the trainee's hips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verse the walking trajectory;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and measuring a load of a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본 발명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훈련자를 안장에 착석시킨 상태에서 보행 훈련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seat typ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at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n be adjusted to a state of gait training while the trainee is seated in the saddle.

그리고, 훈련자를 상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부품들이 필요 없으므로 상측 방향의 설치 공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re is no need for the trainee to pull the trainer upward,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direction is reduced.

그리고, 감지부가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훈련자로부터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한 후, 훈련자의 특성에 따라 안장을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ensing part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from the trainee and then adjust the height of the sadd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Therefore, It is effective.

그리고, 감지부가 안장이 아닌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안장 또는 감지부의 유지보수시 안장을 뜯어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감지부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안장 및 안장 주위 부품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sens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rather than the saddle,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saddle during maintenance of the saddle or the sensing unit. Therefore, maintenance of the sensing part is simple, and the volume of the parts around the saddle and the saddle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보행 재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착석형 지지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일부 절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shown in Fig. 2; Fig.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incision of Fig. 3;
6 is a side view of Fig.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but they are number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and the second item among the first item, Means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above" means not only when a configuration is formed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nfiguration, but also when a third configura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se configurat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and a sitting type walking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실내의 바닥 등에 놓이는 받침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받침부(110)에는 신경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근육이 불균형적으로 발달한 환자 등을 포함한 훈련자의 발이 놓이는 한쌍의 발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unit 110 placed on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support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A pair of scaffolds 120 on which the foot of a trainee including a patient or the like is placed can be installed.

그리고, 받침부(110)에는 발판(120)이 소정의 보행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발판(120)을 이동시키는 발판구동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발판구동부(130)는 모터, 실린더 및 컨베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판구동부(130)에 의하여 발판(120)이 이동하면, 발판(120)에 훈련자의 발이 탑재 지지되어 있으므로, 훈련자의 다리는 보행 동작을 훈련하는 것이다.The pedestal driv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on the pedestal 110 to move the pedestal 120 so that the pedestal 120 can move along a predetermined walking trajectory. The trainer's foot may be mounted on the scaffold 120 when the scaffold 120 is moved by the scaffold drive unit 130 so that the foot of the trainee It is training the walking move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훈련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체중을 지지하는 착석형 지지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ating type support unit 200 for supporting a weight of a trainee by supporting a trainee's hip so that the trainee can perform gait training while the trainee is seated.

착석형 지지유닛(2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착석형 지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일부 절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Fig. 3,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incision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200)은 발판(120)과 인접하는 받침부(110)의 측면 단부측에 하단부측이 지지된 수직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ertical frame 210 having a lower end side supported on a side end side of a pedestal 120 and a receiving unit 110 adjacent thereto .

받침부(110)측을 향하는 수직프레임(210)의 일측면측에는 안장(鞍裝)(220)이 지지 설치된다. 안장(220)은 훈련자가 앉아서 소정의 보행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발판(120)에 의하여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지지지한다.A saddle 2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210 facing the receiving part 110. The saddle 220 supports and supports the trainee's hips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in a walking motion by the footplate 120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walking trajectory.

안장(220)을 수직프레임(210)에 지지하기 위하여, 안장(220)과 수직프레임(210) 사이에는 브라켓(230)이 개재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230)의 일측 부위는 수직프레임(210)에 지지되고, 타측 부위는 수직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받침부(110)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받침부(110)측에 위치된 브라켓(230)의 타측 부위에 안장(220)이 설치된다.A bracket 2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addle 220 and the vertical frame 210 to support the saddle 220 in the vertical frame 210. One side of the bracket 230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frame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23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frame 210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unit 110. The saddle 22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23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unit 110.

훈련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안장(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브라켓(230)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승강을 위하여, 리드스크류(241)와 승강블럭(245)이 마련된다. 리드스크류(241)는 수직프레임(210)과 평행하게 상하방향을 향하면서 수직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블럭(245)은 리드스크류(241)를 감싸면서 리드스크류(241)와 맞물린다. 이때, 승강블럭(245)의 일측면은 브라켓(230)측과 결합된다. 그리하여, 리드스크류(241)가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면, 승강블럭(245)은 리드스크류(241)를 따라 승강하고, 이로 인해 브라켓(230)이 승강한다. 그러면, 브라켓(230)에 설치된 안장(220)이 승강하는 것이다.The bracket 23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addle 220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A lead screw 241 and a lift block 245 are provide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racket 230. The lead screw 24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210 while being vertically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frame 210. The elevating block 245 surrounds the lead screw 241, Lt; / RTI >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lifting block 245 is engaged with the bracket 230 side. Thus, when the lead screw 24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a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s a motor or the like, the lifting block 245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ead screw 241,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bracket 230. Then, the saddle 220 installed on the bracket 230 moves up and down.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에는 브라켓(230)이 안정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안내레일(251)과 제1안내블럭(253) 및 제2안내블럭(255)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guide rail 251, a first guide block 253, and a second guide block 255 for supporting the bracket 230 so that the bracket 230 can be stably lifted and lowered.

안내레일(251)은 리드스크류(241)와 평행하게 수직프레임(210)에 설치된다. 제1안내블럭(253)은 일측은 안내레일(251)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레일(251)을 따라 승강하고, 타측은 승강블럭(245)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안내블럭(255)은 일측은 안내레일(251)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레일(251)을 따라 승강하고, 타측은 브라켓(230)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안내레일(251)과 제1안내블럭(253)과 제2안내블럭(255)은 리드스크류(241)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블럭(245)의 승강운동을 지지하여, 브라켓(230)의 승강운동을 안내한다.The guide rail 251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210 in parallel with the lead screw 241. One side of the first guide block 253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51 to be elevated along the guide rail 25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elevation block 245.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block 255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51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251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bracket 230. The guide rail 251 and the first guide block 253 and the second guide block 255 suppor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lock 245 along the lead screw 241, Guide the lift movement.

안내레일(251)과 제1안내블럭(253)은 승강블럭(245)을 기준으로 후술할 감지부(27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고, 안내레일(251)과 제2안내블럭(255)은 승강블럭(245)을 기준으로 안장부(22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guide rail 251 and the first guide block 253 offset the moment acting on the sensing portion 27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asis of the lift block 245 and the guide rail 251 and the second guide block 255, The moment acting on the retention portion 220 on the basis of the lifting block 245 is cance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브라켓(230)에는 훈련자의 흉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흉부지지대(261)가 설치될 수 있다. 훈련자가 안장(220)에 착석한 상태에서 흉부를 흉부지지대(261)의 일면에 접촉 지지할 수 있으면, 더욱 안정되게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다.The bracket 230 may be provided with a chest support 261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chest of the trainee. If the trainee can support the chest part on one side of the chest support 261 while sitting on the saddle 220, the gait operation can be more stably trained.

흉부지지대(261)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흉부지지대(261)의 착탈을 위하여, 흉부지지대(261)의 타면에는 하우징(263)이 설치되고, 하우징(263)에는 고정부재(263a)가 결합된다. 그리고, 브라켓(230)의 상면에는 하우징(263)에 삽탈되는 결합바(231)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하우징(263)의 내부로 결합바(231)가 삽입되게 한 후, 고정부재(263a)를 조으면, 결합바(231)와 하우징(263)이 결합되므로, 흉부지지대(261)가 브라켓(230)에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63a)를 풀면, 결합바(231)와 하우징(263)이 분리되므로, 흉부지지대(261)를 브라켓(2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chest support 261 may be removably installed. A housing 263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hest support 261 and a fixing member 263a is coupled to the housing 26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hest support 261.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30, a coupling bar 231 which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housing 263 is formed. When the fastening member 263a is tightened after the fastening bar 23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63, the fastening bar 231 and the housing 26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Not shown). When the fixing member 263a is loosened, the coupling bar 231 and the housing 26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hest support 261 can be separated from the bracket 230. [

흉부지지대(261)의 양측면에는 훈련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바(265)가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65)는 흉부지지대(261)에 지지된 일단부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바(265)는 일단부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타단부측이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면, 훈련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지지바(265)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chest support 261, a pair of support bars 265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armpit part of the trainee can be supported. At this time, the support bar 265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is of one end side supported by the chest support 261. In other words, the support bar 265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such a manner that the other end side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while being rotated with reference to one end side. Then, the width between the support bars 265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그리고, 흉부지지대(261)에는 훈련자의 상반신을 흉부지지대(261)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벨트(267)가 설치될 수 있고, 브라켓(230)에는 훈련자가 손으로 잡고서 지지하기 위한 행거(269)가 설치될 수 있다.A belt 267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trainee to the chest support 261 can be installed on the chest support 261. The hanger 269 for holding the trainee by the trainee is supported on the bracket 230 Can be installed.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200)의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는 안장(220)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안장(220)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감지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27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The sensing unit 270 for measuring the load of the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220 from the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22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210 of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sensing unit 2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70)는 로드셀(Load Cell)로 마련되어 승강블럭(245)의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감지부(270) 상측의 브라켓(230) 부위에는 작용블럭(273)이 결합되고, 작용블럭(273)의 하면은 감지부(270)의 상면에 결합된다. 그러면, 안장(220)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안장(220)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이 브라켓(230)을 통하여 작용블럭(273)에 전달되고, 작용블럭(273)은 안장(220)에 가해진 훈련자의 하중을 감지부(270)에 전달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ing unit 270 is provided as a load cell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245. The action block 273 is coupled to the bracket 230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unit 27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ction block 273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270. The load of the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220 from the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220 is transmitted to the action block 273 via the bracket 230 and the action block 273 is transmitted to the trainee 220, To the sensing unit 270. [0050]

감지부(270)는 작용블럭(273)으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안장(220)에 가해진 하중과 훈련자의 체중 등을 비교하여 훈련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안장(220)의 높이가 위치되었는가를 비교한 다음 훈련자의 특성에 따라 안장(220)의 높이를 적절하게 결정한다. 그 후, 브라켓(230)을 적절하게 승강시킨다.The sensing unit 270 sense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action block 273 and transmits the sensed loa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oad applied to the saddle 220 with the weight of the trainee, The height of the saddle 220 is compared with the height of the saddle 220 and the height of the saddle 220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Thereafter, the bracket 230 is appropriately lifted and lowered.

감지부(270)가 안장(220)에 설치되면, 훈련자가 브라켓(230)에 설치된 흉부지지대(261) 또는 행거(269)에 지지하거나, 흉부지지대(261)에 설치된 지지바(265) 또는 벨트(267)에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면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감지부(270)가 훈련자로부터 안장(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The trainer can be supported on the chest support 261 or the hanger 269 provided on the bracket 230 or the support bar 265 or the belt 265 provided on the chest support 261, The load of the trainee is dispersed and transmitted to the ground. Then, it is difficult for the sensing portion 270 to accurately measure the load applied to the saddle 220 from the trainee.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감지부(270)가 안장(220)과 이격된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훈련자가 브라켓(230) 또는 브라켓(230)에 설치된 다른 부품들에 지지하여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어도, 결국은 브라켓(230)을 통하여 훈련자의 하중이 감지부(270)로 전달되므로, 훈련자의 하중을 손실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sensing part 270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210 separated from the saddle 220. Therefore, even if the trainee is supported by the bracket 230 or other parts installed on the bracket 230, the load of the trainee is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270 through the bracket 230. Therefore, Can be accurately measured without loss.

그리고, 감지부(270)가 안장(220)에 설치되면, 감지부(270)의 유지보수시, 안장(220)을 뜯어내고 외부로 노출되어 감지부(270)와 접속된 배선 작업 등을 새로이 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감지부(270)가 안장(220)과 이격되어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된 감지부(270)만을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간편하다.When the sensing unit 270 is installed in the saddle 220, the saddle 220 is torn off at the time of maintenance of the sensing unit 270 and the wiring work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70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inconvenient. In 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eat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sensing unit 270 is spaced apart from the saddle 220 and positioned inside the vertical frame 210, It is only necessary to repair or replace the sensing unit 270 installed inside. Therefore, it is easy.

그리고, 감지부(270)가 안장(220)에 설치되면, 안장(220)의 부피 및 안장(220) 주위의 부품들의 부피가 커져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감지부(270)가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안장(220) 및 안장(220) 주위 부품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When the sensing unit 270 is installed in the saddle 220, the volume of the saddle 220 and the volume of the parts around the saddle 220 must be large. The sensing unit 270 is positioned inside the vertical frame 210 so that the volume of the parts surrounding the saddle 220 and the saddle 22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지지유닛은 감지부(270)가 안장(220)과 이격되어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면, 작용블럭(273) 및 감지부(270)는, 안장(22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바닥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작용블럭(273) 및 감지부(270)가 바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되면 안장(220)에 작용하는 정확한 하중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부(270) 및 안내레일(251)은 리드스크류(241)를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되고, 제1안내블럭(253)은 승강블럭(245)과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using the same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210 with the sensing unit 270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addle 220. The action block 273 and the sensing unit 27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by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220 without being horizontal with the floo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exact load acting on the saddle 220 when the action block 273 and the sensing portion 270 are positioned at a certain angle slope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sensing unit 270 and the guide rail 251 are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the lead screw 24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guide block 253 is coupled to the ascending block 245 .

안장(22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브라켓(230)이 바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그러면, 브라켓(230)을 포함한 안장(220)이 원활하게 승강운동을 하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안내블럭(255)은 한쌍으로 마련되며, 승강블럭(245)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제1안내블럭(245)은 상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안내블럭(245)은 하측에 위치된다.The bracket 230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due to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220. [ Then, the saddle 220 including the bracket 230 is difficult to move smooth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econd guide block 255 is provided in a pair, and one of the first guide blocks 245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guide blocks 245 are located on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200)은 별도로 마련되어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프레임(210)이 바닥 등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used while being moved. In this case, the vertical frame 210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like.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는, 훈련자를 안장(220)에 착석시킨 상태에서 보행 훈련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하다.The seating typ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itting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n be extremely convenient because the trainee can be adjusted to the state of gait training while being seated in the saddle 220. [

그리고, 훈련자를 상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부품들이 필요 없으므로 상측 방향의 설치 공간이 감소된다.Since the parts for tracing the trainee to the upper side are not needed,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upper direction is reduced.

그리고, 훈련자로부터 안장(2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한 후, 훈련자의 특성에 따라 안장(220)을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After the load applied to the saddle 220 is accurately measured by the trainee, the height of the saddle 2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so that customized trai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ee.

그리고, 감지부(270)가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안장(220) 및 안장(220) 주위 부품들의 부피가 감소된다.Since the sensing unit 270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210, the maintenance is simple and the volume of parts around the saddle 220 and the saddle 220 is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받침부
120: 발판
200: 착석형 지지유닛
210: 수직프레임
220: 안장
230: 브라켓
270: 감지부
110:
120: Scaffolding
200: Seat type support unit
210: vertical frame
220: Saddle
230: Bracket
270:

Claims (28)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측에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궤적을 따라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지지하는 안장(鞍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Vertical frame;
A saddl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to support and support the buttock of the trainer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in a walking motion along the trajectory;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and measuring a load of a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브라켓의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 부위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장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bracket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frame to support the sadd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acke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리드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승강블럭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a lead screw rotatably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lead screw is provided with a lift block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racket while moving up and down as the lead screw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Load Cell)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 상측의 상기 브라켓 부위에는 하면이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전달받아 상기 감지부에 작용하는 작용블럭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nsing unit may be a load cell,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block,
A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 load of a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is received through the bracket, Wherein the seat back support unit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평행하게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리드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되며,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승강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작용블럭 및 상기 감지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안내블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guide rails parallel to the leadscrew,
The sensing unit and the guide rail are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ead screw,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elevating block to guide the elevating motion of the elevating block and to move the elevating block to the floor where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by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Wherein the first guide block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nsing unit from tilting.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승강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안내블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racket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lifting block and the bracke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or on which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by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Wherein the first guide block is provided with a second guide block for preventing the second guide blo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블럭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guide blocks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훈련자의 흉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흉부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chest support which supports and supports the chest of the traine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est support is detachably moun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의 측면에는 훈련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바의 일측이 지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one side of a support ba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armpit portion of the trainee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hest sup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타단부측이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upporting bars are provided in a pair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s are movably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moved to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의 측면에는 훈련자의 상반신을 흉부지지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bel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hest support for contacting the upper body of the trainee with the chest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훈련자가 잡고서 지지하기 위한 행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hanger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trainee.
바닥에 놓이는 받침부;
보행 궤적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며, 훈련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
상기 받침부에 하단부측이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상기 발판에 의하여 보행 동작을 훈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착석형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석형 지지유닛은,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측에 지지되고,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궤적을 따라 보행 동작은 훈련할 수 있도록 훈련자의 엉덩이를 받쳐서 지지하는 안장(鞍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훈련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A pedestal resting on the floor;
A footrest provided on the pedestal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a walking trajectory and on which a foot of a trainee is placed;
And a seating type support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supports the trainee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in the walking operation by the footrest,
The seating type supporting unit includes:
Vertical frame;
A saddl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supporting the trainee's hips so that the trainee can sit and traverse the walking trajectory;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and measuring a load of a trainee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브라켓의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 부위는 상기 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장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vertical frame supports one side of the bracket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projects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to support the saddl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racke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리드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승강블럭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a lead screw rotatably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lead screw is provided with a lift block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racket while moving up and down as the lead screw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로드셀(Load Cell)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 상측의 상기 브라켓 부위에는 하면이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에 착석한 훈련자로부터 상기 안장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전달받아 상기 감지부에 작용하는 작용블럭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nsing unit may be a load cell,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block,
A bracket for receiving a load applied to the saddle from a trainee sitting on the saddle, the bracket being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seat is a se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평행하게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리드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되며,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승강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작용블럭 및 상기 감지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안내블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guide rails parallel to the leadscrew,
The sensing unit and the guide rail are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ead screw,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elevating block to guide the elevating motion of the elevating block and to move the elevating block to the floor where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by the load acting on the saddle, And a first guide block for preventing the sensing unit from tilting is provided.
제20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의 승강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안내블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지지유닛.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bracke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floor on which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due to a load acting on the saddle, and at the same time, And a second guide block for preventing the first guide block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guide block.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블럭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econd guide blocks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ased on the ascending block.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훈련자의 흉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흉부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chest support supporting the chest of the traine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hest support is detachably mounte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의 측면에는 훈련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바의 일측이 지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one side of a support bar supporting and supporting an armpit portion of a trainee is suppor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hest suppor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타단부측이 상호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upport bars are provided in a pair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s are movable so as to move closer to and away from each oth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지지대의 측면에는 훈련자의 상반신을 상기 흉부지지대에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bel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hest support to close the upper body of the trainee to the chest suppo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훈련자가 잡고서 지지하기 위한 행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hanger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trainee.
KR1020130167706A 2013-12-30 2013-12-30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KR102098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06A KR102098959B1 (en) 2013-12-30 2013-12-30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06A KR102098959B1 (en) 2013-12-30 2013-12-30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99A true KR20150078399A (en) 2015-07-08
KR102098959B1 KR102098959B1 (en) 2020-04-14

Family

ID=5379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706A KR102098959B1 (en) 2013-12-30 2013-12-30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95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817A1 (en) * 2016-07-27 2018-02-01 큐렉소 주식회사 Walking training apparatus
WO2018117593A1 (en) * 2016-12-20 2018-06-28 큐렉소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KR102127011B1 (en) * 2019-02-11 2020-06-25 큐렉소 주식회사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KR102429472B1 (en) * 2021-10-21 2022-08-04 주식회사 티앤돌프 Muscle fitness device using servo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14B1 (en) * 2021-03-18 2022-01-14 최석봉 Walking exercis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13A (en) * 2001-12-03 2003-06-11 이은 Standing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JP2005066060A (en) * 2003-08-26 2005-03-17 Koichi Inoue Training machine
KR20070061475A (en) * 2004-02-05 2007-06-13 모토리카 리미티드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JP2011067227A (en) *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Walking assis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13A (en) * 2001-12-03 2003-06-11 이은 Standing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JP2005066060A (en) * 2003-08-26 2005-03-17 Koichi Inoue Training machine
KR20070061475A (en) * 2004-02-05 2007-06-13 모토리카 리미티드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JP2011067227A (en) *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Walking assisting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817A1 (en) * 2016-07-27 2018-02-01 큐렉소 주식회사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20180012543A (en) * 2016-07-27 2018-02-06 큐렉소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20190151710A1 (en) * 2016-07-27 2019-05-23 Curexo, Inc. Walking training apparatus
US10894182B2 (en) 2016-07-27 2021-01-19 Curexo, Inc. Walking training apparatus
WO2018117593A1 (en) * 2016-12-20 2018-06-28 큐렉소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KR102127011B1 (en) * 2019-02-11 2020-06-25 큐렉소 주식회사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WO2020166924A1 (en) * 2019-02-11 2020-08-20 큐렉소 주식회사 Sitting-typ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having improved entering features
CN113423373A (en) * 2019-02-11 2021-09-21 克瑞肖株式会社 Sitting gait rehabilitation robot with improved accessibility
US11351082B2 (en) 2019-02-11 2022-06-07 Curexo, Inc. Seating-type gait rehabilitation robot improved in entry characteristics
CN113423373B (en) * 2019-02-11 2024-03-22 克瑞肖株式会社 Sitting gait rehabilitation robot with improved accessibility
KR102429472B1 (en) * 2021-10-21 2022-08-04 주식회사 티앤돌프 Muscle fitness device using servo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959B1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129A (en) Device for patient gait training
JP5416240B2 (en) Walking training equipment
KR101623686B1 (en) A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AU2001286760B9 (en) Powered gait orthosi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US9565947B2 (en) Standing-up trainer
CN103610567B (en) Assistive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for stroke hemiplegic patients
KR20150078399A (en) Seating-Type Supporting Unit And Seating-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Using The Same
KR101275030B1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a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US8613715B2 (en) Passive mobility exercise and range-of-motion bed apparatus
CN106859919A (en) One kind can survey the healthy trainer of lower limb in real time
JP2000229108A (en) Walk training device
CN208573973U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JP2008279232A (en) Transfer machine
KR20190124775A (en) Orthopedic standing and walking aids
KR20140112310A (en)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having lateral entry mechanism and lateral entry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252602A1 (en) Supportive exercise machine
JP3166214U (en) Training robot for standing and sitting motion
CN206715172U (en) A kind of measurable more healthy image training robots of pose in real time
KR101299351B1 (en)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CN106890430A (en) A kind of measurable many healthy image training robots of pose in real time
CN110368266A (en) Two degrees of freedom suspension type correcting posture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device
KR101082752B1 (en) Ambulation pose corrector
KR20130084379A (en) A zimmer frame for postural balance use to help them walk
KR20160095884A (en) Rehabilitation robot for gait training improved facility of load cell
KR20020008760A (en)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