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643A -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643A
KR20150077643A KR1020130166346A KR20130166346A KR20150077643A KR 20150077643 A KR20150077643 A KR 20150077643A KR 1020130166346 A KR1020130166346 A KR 1020130166346A KR 20130166346 A KR20130166346 A KR 20130166346A KR 20150077643 A KR20150077643 A KR 2015007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group
user
cgid
mas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로
유창완
이희수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7643A/ko
Priority to US14/479,134 priority patent/US20150189497A1/en
Publication of KR2015007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USER POSITION IN MULTI US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복수의 AP(Access Point)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AP에서는 BSS(Basic Service Set)내에 있는 다수의 STA(Station)이 하나씩 또는 동시에 송수신을 할 수 있다. I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내에서는 하나의 STA이 다수의 STA과 하나씩 또는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다.
각각의 STA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동시 전송되는 STA의 전송 신호에 대해, 하나의 STA의 송신기가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채널을 통해 전송 신호를 송신하고 채널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STA의 송신기가 단위행렬(Identity matrix)을 이용하여 전송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는 STA의 송신기는 채널 정보를 이용한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를 결정하고, 이와 동시 전송 신호를 송신할 STA의 수와 STA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TA의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변환, 캐리어 센싱,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등의 과정을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VHT-SIG(Very High Throught-Signal)-A에서 MU(multi-user)전송하는 경우에는 B9~B4의 Group ID와 B21~B10까지의 MU[3] NSTS ~ M[0] NSTS까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group 및 NSTS와 비교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패킷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속한 Group ID = 38이고, 해당 그룹에서 위치가 MU[1]이라고 하면, 수신된 VHT-SIG(Very High Throught-Signal)-A의 Group ID가 38이 아니면, 자신에게 전송된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복조를 중지한다. 수신된 VHT-SIG(Very High Throught-Signal)-A의 Group ID가 38이라고 하면, Group내에 정해진 위치를 찾아서 USER Position의 NSTS를 이용하여 패킷의 복조를 시작한다.
MU를 지원하는 STA이 가질 수 있는 Group은 1~62까지이며, 각 Group에서 위치할 수 있는 Nsts의 수는 4개중에 하나이다. Group ID = 0과 Group ID = 63은 SU를 지시한다. STA은 AP와 초기 제어 프레임 교환을 통하여 STA이 포함되어 있는 Group ID와 User position을 알 수 있다.
STA은 VHT PPDU format이 수신되면 수신된 Group ID와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AP로부터 전달된 자신이 속한 Group ID들과 비교하여야 하며, 동시에 자신이 속한 Group ID가 수신된 경우를 고려하여 User position도 확인하여야 한다. STA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Group ID는 SU(Single User)까지 포함하여 최대 64개가 되며, User position까지 고려하여 이를 모두 구분하려면 동시에 비교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를 비교하여야 한다. 동시에 비교하는 경우에 많은 수의 비교기가 필요하고, 순차적으로 비교하면, 확인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여 하드웨어 지연이 커진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을 비트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는 단계, 상기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장치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제1 식별정보 생성부,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제2 식별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사용자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장치는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이 비트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식별정보 생성부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식별정보 생성부는,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사용자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의 전력 소모 감소 및 패킷 복조를 위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비교와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 결정을 위한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스테이션이 가질 수 있는 그룹 식별정보 및 사용자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VHT-SIG-A의 field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식별정보(CGID)의 비트들에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패킷 수신 종료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01).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방법은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기 위해서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고,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02).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방법은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기 위해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를 비트 단위로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서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103).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201). 또한,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202).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식별 방법은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의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그룹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4개 존재한다면, 마스킹 비트는 4종류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해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을 비트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제어 프레임을 통하여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 및 사용자 위치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301).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 및 사용자 위치를 메모리가 필요 없는 비트열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단계 302).
도 4는 스테이션이 가질 수 있는 그룹 식별정보 및 사용자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 4는 스테이션이 가질 수 있는 그룹 식별정보와 사용자 위치를 비트맵핑하기 위하여 정렬한 표(400)이다. 스테이션이 속한 그룹은 Group 1, Group 2, Group 5, …, Group 60, Group 62와 같이 다수의 그룹에 속할 수 있고, 각 그룹별로 다른 사용자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x])와 사용자 위치(U[x]) 조합이 G[1]-U[3], G[10]-U[1], G[25]-U[0], G[32]-U[2], G[43]-U[0], G[61]-U[3]라고 하면, 256 비트를 가지는 비트열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단일사용자(Single User)에 해당되는 group0와 group63도 포함될 수 있다.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그룹 식별정보 및 사용자 위치의 조합을 비트열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는 16진수로 표시될 수 있고, 맨 오른쪽의 그룹 식별정보가 0이고, 맨 왼쪽의 그룹 식별정보가 증가되는 형태일 수 있다. 16진수를 구성하는 4bit은 각각 사용자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위치가 U[0]이면 0001, U[1]이면 0010, U[2]이면 0100, U[3]이면 10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VHT-SIG-A를 수신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과한 패킷에 대하여 필드 내에 그룹 식별정보와 MU[0] NSTS ~ MU[3] NSTS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중사용자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VHT-SIG-A의 필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VHT-SIG-A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나, 다른 포맷의 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VHT-SIG-A를 통해 다중사용자(MU, multi-user)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B9~B4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B21~B10까지의 MU[3] NSTS ~ M[0] NSTS까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그룹 및 NSTS와 비교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패킷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속한 그룹 식별정보가 38이고, 해당 그룹에서 위치가 MU[1]이라고 하면, 수신된 VHT-SIG-A의 그룹 식별정보가 38이 아니면, 자신에게 전송된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복조를 중지한다. 수신된 VHT-SIG-A의 그룹 식별정보가 38이라고 하면, Group내에 정해진 위치를 찾아서 사용자 위치의 NSTS를 이용하여 패킷의 복조를 시작할 수 있다.
다중사용자(MU, multi-user) 전송을 지원하는 스테이션이 가질 수 있는 Group은 1~62까지이며, 각 그룹에서 위치할 수 있는 NSTS의 수는 4개중에 하나이다. 그룹 식별정보 0과 그룹 식별정보 63은 단일사용자(Single User)를 지시한다. 스테이션은 억세스 포인트와 초기 제어 프레임 교환을 통하여 스테이션이 포함되어 있는 그룹 식별정보와 사용자 위치를 알 수 있다.
스테이션은 VHT PPDU(presentation protocol data unit) 포맷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그룹 식별정보와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자신이 속한 그룹 식별정보들과 비교하여야 하며, 동시에 자신이 속한 그룹 식별정보가 수신된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자 위치도 확인하여야 한다. 스테이션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는 단일사용자까지 포함하여 최대 64개가 되며, 사용자 위치까지 고려하여 이를 모두 구분하려면 동시에 비교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를 비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동시에 비교하는 경우에 많은 수의 비교기가 필요하고,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 인해서 확인을 위한 시간이 요구되고, 하드웨어 지연(latency)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수신된 그룹 식별정보를 4비트 시프트하여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4비트 시프트된 그룹 식별정보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각 비트별로 비교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304).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와 제1 식별정보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여 제2 식별정보 생성할 수 있다(단계 305). 일례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가능한 그룹 식별정보와 제1 식별정보를 비트 단위 & 연산하여 제2 식별정보(CGID)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1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06). 예를 들어, 단계 306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식별 방법은 256bit의 제2 식별정보(CGID) 중에 1이 존재할 경우에는 수신된 그룹 식별정보 및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에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식별정보(CGID)의 비트들에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패킷 수신 종료 타이밍(6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식별정보(CGID) 중에 1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마스킹 비트를 생성하고,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부터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307). 이때, 위치 비교 비트(CPOS(x))는 일치하는 그룹 식별정보 내에서 사용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CPOS(x)가 결정되면 VHT-SIG-A의 MU[3] NSTS ~ MU[0] NSTS 중에 해당 위치의 NSTS를 이용하여 패킷을 복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단계 308, 단계 309, 단계 310, 및 단계 311을 통해서, CPOS(0)이 1인지 여부, CPOS(1)이 1인지 여부, CPOS(2)이 1인지 여부, CPOS(3)이 1인지 여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CPOS(0)이 1인지 여부는 일치하는 그룹 식별정보 내에서 사용자 위치가 MU[0]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CPOS(1)이 1인지 여부는 일치하는 그룹 식별정보 내에서 사용자 위치가 MU[1]인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CPOS(2)이 1인지 여부는 일치하는 그룹 식별정보 내에서 사용자 위치가 MU[2]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며, CPOS(3)이 1인지 여부는 일치하는 그룹 식별정보 내에서 사용자 위치가 MU[3]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POS(0)이 1인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MU[0] NSTS를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단계 312).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방법은 CPOS(1)이 1인 경우, MU[1] NSTS를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할 수 있고(단계 313), CPOS(2)이 1인 경우, MU[2] NSTS를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할 수 있으며(단계 314), CPOS(3)이 1인 경우, MU[3] NSTS를 이용하여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단계 315).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장치(7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장치(700)는 그룹의 수가 64이고, 각 그룹별로 사용자 위치가 4개인 경우에는 4 사이클 이내에서 사용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그룹의 수가 64, 사용자 위치가 4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다른 그룹의 수 및 다른 사용자 위치의 개수를 갖는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장치(700)는 제1 식별정보 생성부(710), 제2 식별정보 생성부(720), 및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식별정보 생성부(710)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식별정보 생성부(710)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는 연산부,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식별정보 생성부(720)는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식별정보 생성부(720)는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장치(700)는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이 비트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결정부(730)는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할 수 있다.
결국, 다중사용자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의 전력 소모 감소 및 패킷 복조를 위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비교와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 결정을 위한 효율적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700: 사용자 식별 장치
710: 제1 식별정보 생성부
720: 제2 식별정보 생성부
730: 사용자 위치 결정부

Claims (20)

  1.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5. 제4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단계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을 비트열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는 단계;
    상기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단계는,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1.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에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반영하여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제1 식별정보 생성부;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제2 식별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사용자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및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이용하여 위치 비교 비트(CPOS(x))를 생성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위치 비교 비트(CPOS(x))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를 결정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5. 제14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는, 제어프레임을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전달된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조합이 비트열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정보 생성부는,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를 n비트 시프트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n비트 시프트 연산된 그룹 식별정보(Group ID)와 마스킹 식별정보(Masking ID)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식별정보(SMID)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 생성부는,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와 상기 생성된 제1 식별정보(SMID)가 비트 단위로 동일한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CGID)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생성된 제2 식별정보(CGID)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들 중에서 1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1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상기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의 그룹 식별정보(Group ID) 및 상기 가능한 그룹 식별정보(PGU, Possible Group 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대응되는 사용자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결정부는,
    스테이션이 표현될 수 있는 사용자 위치(User Position)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종류만큼 마스킹 비트(MPOS(x), Masking bit)를 생성하는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KR1020130166346A 2013-12-30 2013-12-30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77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346A KR20150077643A (ko) 2013-12-30 2013-12-30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US14/479,134 US20150189497A1 (en) 2013-12-30 2014-09-05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346A KR20150077643A (ko) 2013-12-30 2013-12-30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643A true KR20150077643A (ko) 2015-07-08

Family

ID=534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346A KR20150077643A (ko) 2013-12-30 2013-12-30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89497A1 (ko)
KR (1) KR20150077643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0798B2 (en) * 2003-06-05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multiple security groups as a single data object
JP4555834B2 (ja) * 2004-12-27 2010-10-06 富士通株式会社 転送データの正当性を判定する装置及び方法
CN104883745B (zh) * 2007-01-09 2019-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装置、移动台装置、控制信息发送方法、控制信息接收方法及程序
JPWO2008114510A1 (ja) * 2007-03-19 2010-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037176B2 (en) * 2010-04-29 2015-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evice identifiers (STID)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9276721B2 (en) * 2011-08-15 2016-03-01 Lg Electronics Inc. Decoding data in group search space based on group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9497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US102913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MIMO packet in a wireless LAN system
JP6498707B2 (ja) リソース標識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並びにステーション
US8498245B2 (en) Method of arranging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JP5718350B2 (ja) 通信デバイスでの省電力
US8923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211411B (zh) 无线接收装置、无线发送装置、通信方法及通信系统
EP25483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WO2016041303A1 (zh) 一种无线局域网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1101033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255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and system
CN102387545B (zh) 一种接入点的多用户多输入多输出的分组处理方法及系统
KR201101127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20150077643A (ko) 다중사용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572198A (zh) 媒介访问控制包头压缩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