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057A - Video Wall system - Google Patents

Video Wal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057A
KR20150077057A KR1020130165895A KR20130165895A KR20150077057A KR 20150077057 A KR20150077057 A KR 20150077057A KR 1020130165895 A KR1020130165895 A KR 1020130165895A KR 20130165895 A KR20130165895 A KR 20130165895A KR 20150077057 A KR20150077057 A KR 2015007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yout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1169B1 (en
Inventor
박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6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s a desir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wall system enables supporting a high quality and high resolution as if in one screen by infinitely connecting the maximum number of screens by overcoming a limit of supporting a limited number of screens. If an event occurs in an area where a surveillant manages, the present invention shows up an alarm screen on a screen that the surveillant watches in order to solve a problem without a need for an additional action of the surveilla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ll layout portion; a monitor layout portion; a wall layout control portion; a monitor layout control portion; and an alarm portion.

Description

비디오 월 시스템{Video Wall system}Video wall system {Video wall system}

본 발명은 비디오 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wall system.

비디오 월 시스템은 건물 전체의 보안 시스템을 한눈에 감시하고, 상황 발생시 즉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실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의미한다. The video wall system is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the entire security system at a glance and enables immediate action when a situation arises.

종래의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는 영상 자동 전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모니터링을 원하지 않는 영상까지 디스플레이 되고, 동일한 시간간격과 기설정된 일정한 분할화면으로만 영상을 볼 수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관리자가 일일이 해당 영상을 팝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In the conventional video wall system, a service such as automatic image switching is provided. However, there is a limit to display an image that does not want to be monitored, and to view an image only at the same time interval and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ivided scree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ager has to pop-up the corresponding image because the function of notifying the event automatically occurs.

KR 2010-0110658KR 2010-0110658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월 시스템을 통해 단순히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CCTV 화면을 한번에 확보하고, 시퀀스 기능을 제공하며,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자동으로 상황 파악을 제공하는 스팟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al time monitoring is performed through a video wall system, but a large number of CCTV screens are secured at once, a sequence function is provided, and a spot function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provide a situation detection immediately after a special event occurs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비디오월로 구현하도록 Wall 레이아웃을 구현하는 Wall레이아웃부; 상기 Wall 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모니터레이아웃부; 상기 Wall 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하는 Wall레이아웃 제어부; 상기 모니터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하는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및 상기 비디오월에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장치에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wall system includes a Wall layout unit that implements a Wall layout so as to implement at least one display apparatus as one video wall; A monitor layout unit for controlling the monitor layout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so tha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unit provides at least one screen; A Wall layout control unit for designating display time and order of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unit; A monitor layout control unit for designating a display time and an order of at least one screen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monitor layout unit,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a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image- And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Wall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포함된 Wall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Wall 스팟 알림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포함된 모니터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분할 화면 각각을 나타내는 타일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영상을 제공하는 타일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타일 스팟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Wall 스팟 알림부, 상기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image to the at least one or more display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Wall layout,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Wall Spot that the wall layout includ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automatically displayed part;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monitor layout includ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image on the at least one or more screen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monitor layout; And a tile spot notif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tile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a tile representing each of the divided screen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monitor layout. And at least one of the Wall Spot notification unit,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and the Tile Spot notification unit may be combined to indicate that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 월 시스템은 종래에 한정된 스크린을 지원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종래에 4개 혹은 6개의 스크린을 지원하던 최대 스크린 수를 무한대로 연결해서 마치 하나의 스크린처럼 고화질 고해상을 지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wall system overcomes the limitation of supporting a conventional screen, so that the maximum number of screens that conventionally support four or six screens can be connected infinitely so that a high- Can be supported.

또한, 종래에는 비디오월에 제공되는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월에 제공되는 영상 외에 외부 영상을 함께 수용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only the video provided in the video wall can be displayed. However,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image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video provided in the video wa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월 시스템에서 감시하던 지역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비디오월 화면에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관리자가 빠르게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in an area monitored by the video wall system, the corresponding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video wall screen, thereby enabling an administrator to quickly perform necessary a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부에서 Wall Layout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에서 Wall Layout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제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모니터레이아웃부에서 비디오월의 지정된 모니터에 모니터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및 순서를 제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 은 알림부(150)를 구현한 구체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 Wall Sequence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에서 모니터 시퀀스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알림부(도 1, 150)의 실시예로서 Wall 스팟 알림부(도 10), 모니터 스팟 알림부(도 11) 및 타일 스팟 알림부(도 12)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ideo wal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all la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wall layo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time and order of Wall Lay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for controlling the time and order in which the monitor layout is displayed on a specified monitor of a video wall in a monitor layout s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notification unit 150 is implemented.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all Sequence in a Wall layout control unit (FIGS. 1 and 1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flowchart for controlling the monitor sequence in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 1, 1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notification unit (FIG. 1, 150)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spot notification unit (FIG. 10),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12).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현하는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ideo wal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illustrate a specific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video wall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각 용어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Wall 레이아웃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Monitor Layout으로 구성되어 비디오월(도 13, 1300)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레이아웃을 의미한다. The Wall layout is a layout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Monitor Layouts and displayed throughout the video walls (FIGS. 13 and 1300).

Wall Sequence는 Wall 레이아웃을 지정한 시간간격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비디오월(도 13, 1300)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기능 으로, 도 1의 Wall레이아웃 제어부(130)에서 구현된다. The Wall Sequence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displays the Wall layout in a video wall (FIGS. 13 and 1300) in a predetermined order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and is implemented in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of FIG.

Wall 스팟은 특정 카메라에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Wall Layout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Wall Spot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displays the Wall Layout that contains the camera when an event occurs in a specific camera.

Monitor Spot은 특정 카메라에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Monitor Layout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기능을 의미한다.Monitor Spot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displays the Monitor Layout that contains the camera when an event occurs in a specific camera.

도 2 내지 7를 참고하여 도 1 의 각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Referring to FIGS. 2 to 7, the configuration of FIG. 1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 시스템(100)은 Wall레이아웃부(110), 모니터레이아웃부(120), Wall레이아웃 제어부(130),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140) 및 알림부(150)를 포함한다. The video wall system 100 includes a wall layout unit 110, a monitor layout unit 120, a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a monitor layout control unit 140, and a notification unit 150 .

Wall레이아웃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비디오월로 구성한다. The wall layout unit 110 constitutes at least one display device as one video wall.

모니터레이아웃부(120)는 Wall 레이아웃부(1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 레이아웃을 제어한다. The monitor layout unit 120 controls the monitor layout of each display device so tha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unit 110 provides at least one screen.

도 2 를 참고하면, Wall레이아웃부(110)는 2*4 패턴으로 8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2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230),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 제 5 디스플레이 장치(250), 제 6 디스플레이 장치(260), 제 7 디스플레이 장치(270) 및 제 8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하여 비디오월(200)을 구현하였다. 2, the Wall layout unit 110 includes eight display devices, a first display device 210, a second display device 220, a third display device 230, The video wall 200 is implemented by configuring the device 240, the fifth display device 250, the sixth display device 260, the seventh display device 270, and the eighth display device 280.

또한, 도 2 를 참고하면 모니터레이아웃부(120)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210, 220, 230, 240, 250, 260, 270 및 280) 중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제 8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각각 3*3 패턴의 모니터 레이아웃을 구현하였다.2, in the monitor layout unit 120, the first display device 210 and the eighth display device 280 among the display devices 210, 220, 230, 240, 250, 260, To implement a 3 * 3 pattern monitor layout.

구체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cam1, cam2, cam3, cam4, cam5, cam6, cam7, cam8 및 cam9 을 3*3 패턴으로 구현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9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되었다. Specifically, the first display device 210 is implemented such that nine screens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device by implementing the cam1, cam2, cam3, cam4, cam5, cam6, cam7, cam8 and cam9 in a 3 * 3 pattern.

마찬가지로, 제 8 디스플레이 장치(280)는 cam10, cam11, cam12, cam13, cam14, cam15, cam16, cam17 및 cam18 을 3*3 패턴으로 구현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9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되었다. Similarly, the eighth display device 280 is implemented such that nine screens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device by implementing the cam10, cam11, cam12, cam13, cam14, cam15, cam16, cam17 and cam18 in a 3 * 3 pattern.

Wall레이아웃 제어부(130)는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모니터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반면, 감시해야할 영상의 수가 많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Wall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한다.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specifies a time and an order in which at least one Wall layout is displayed when the number of monitors constituting the video wall is limited while the number of images to be monitored is limited.

도 3 을 참고하면, Wall레이아웃이 15개가 있는 경우, Wall레이아웃 제어부(130)에서는 제 1 Wall레이아웃(310)이 디스플레이 된 후, 다음에 디스플레이 될 Wall레이아웃, 예를 들어 제 3 Wall레이아웃(320),의 순서를 정하고, 제 1 Wall레이아웃(310)이 디스플레이된 후 30초 이후에 제 3 Wall레이아웃(320)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 3 Wall레이아웃(320)이 된 후 제 6 Wall레이아웃(330)을 디스플레이하며, 제 6 Wall레이아웃(330)이 디스플레이 된 후, 제 15 Wall레이아웃(340)을 디스플레이 하는 등과 같이 제어가 가능하다. 3, when there are 15 Wall layouts,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first Wall layout 310 and then displays the next Wall layout, for example, the third Wall layout 320, The third Wall layout 320 is displayed after 30 seconds after the first Wall layout 310 is displayed and the sixth Wall layout 330 after the third Wall layout 320 is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fifteenth Wall layout 340 after the sixth Wall layout 330 is display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130)에서는 0초에서 15초 사이의 간격으로 제 1 Wall레이아웃(310)에서 제 15 Wall레이아웃(340)까지 15개의 Wall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As another embodiment,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15 wall layouts from the first Wall layout 310 to the 15th Wall layout 340 at an interval of 0 second to 15 seconds.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140)는 모니터레이아웃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 각각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하도록 구현된다. The monitor layout control unit 140 is configured to designate the display time and the order of each of at least one screen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monitor layout unit 120. [

도 4를 참고하면,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레이아웃(401, 402, 403, 404) 중 제 4 디스플레이 장치(240)에 모니터 레이아웃9가 30초간 디스플레이 되고 모니터 레이아웃10, 모니터 레이아웃11, 및 모니터 레이아웃12번이 각각 15초간 디스플레이 되고 다시 모니터 레이아웃9번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4,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140 displays the monitor layout 9 on the fourth display device 240 among the at least one monitor layout 401, 402, 403, and 404 for 30 seconds and displays the monitor layout 10, 11, and the monitor layout 12 are displayed for 15 seconds each and the monitor layout 9 is displayed again.

알림부(150)는 비디오월(도 2, 200)에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비디오월을 모니터링하는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현된다. 도 5 내지 7 은 알림부(150)를 구현한 구체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The notifica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notify a user monitoring a video wall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at least one photographing device providing the video on the video wall (FIG. 2, 200) generates an event. 5 to 7 show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notification unit 150 is implemen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도 2, 200)에 영상을 제공하는 특정 카메라에서 움직임 검출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알림부(150)에서는 자동으로 상기 특정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해당 Wall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 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such as motion detection occurs in a specific camera that provides an image to a video wall (FIG. 2, 200), the notification unit 150 automatically displays the image of the specific camera Display the corresponding Wall layout.

도 5를 참고하면, Wall레이아웃이 15개인 경우, 각 Wall레이아웃 마다 주요 카메라 이벤트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Wall레이아웃(510)을 구성하는 cam1에는 움직임 검출 또는 알람 설정 그리고 cam 2에서는 IV 설정, 제 2 Wall레이아웃(520)을 구성하는 cam3에는 움직임 검출 설정, ..., 그리고 제 15 Wall레이아웃(550)을 구성하는 cam4에는 움직임 검출 설정 등과 같이 이벤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re are 15 Wall layout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ain camera event in advance for each Wall layout. For example, motion detection or alarm setting for cam1 constituting the first Wall layout 510, IV setting for cam 2, motion detection setting for cam3 constituting the second Wall layout 520, 15 An event such as a motion detection setting and the like can be preset in the cam 4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550.

카메라 3에서 움직임 검출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부(150)에서는 카메라 3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Wall레이아웃(520)을 비디오월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그 결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자동으로 해당 이벤트가 포함된 영상이 Wall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 되어 주요 이벤트를 놓치지 않고 감시가 가능하다. When a motion detection event occurs in the camera 3, the notification unit 150 automatically displays a second wall layout 520 for displaying a video shot by the camera 3 on a video wall. As a result,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can automatically monitor the image including the event without displaying the main event by displaying the wall layou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6 은 알림부(150)에서 특정 카메라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레이아웃에 영상이 자동 디스플레이 되도록 알람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n alarm is displayed so that an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a monitor layout including a camera when an event occurs in a specific camera in the notification unit 150 Respectively.

알림부(150)는 예를 들어 8개의 모니터레이아웃이 구현되어 있는 경우, 각 모니터레이아웃마다 주요 카메라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ight monitor layouts are implemented, the notification unit 150 can set major camera events for each monitor layout.

예를 들어, 알림부(도 1, 150)는 제 2 모니터레이아웃(610)을 구성하는 cam3에 움직임 검출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람이 통지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cam3(611)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비디오월에서 제 2 모니터레이아웃(610)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제 2 모니터레이아웃(610)이 디스플레이 된다.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FIG. 1, 150) can be controlled so that an alarm is notified when an event of motion detection occurs in cam3 constituting the second monitor layout 610. [ In this case, if motion is detected in cam3 611, the second monitor layout 610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employing the second monitor layout 610 in the video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7 은 알림부(도 1, 150)에서 특정 카메라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레이아웃 중 타일(Tile) 스팟에 영상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when an event occurs in a specific camera in the notification unit (FIG. 1, 150), an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a tile spot of a monitor layout including the camera Displa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알림부(도 1, 150)에서 cam 3에서 움직임 검출이라는 이벤트가 발생시 타일 스팟 알림을 받겠다고 설정해 놓으면, cam3영상이 타일 스팟이 발생한 4번째 디스플레이 장치(740)의 분할된 화면 중 특정 분할 화면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For example, if a notice of tile spot is received when an event called motion detection is generated in cam 3 in the notification unit (FIGS. 1 and 150), the cam3 image is displayed on the divided screen of the fourth display device 740 It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a specific split scree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150)는 도 5 내지 7 에 개시된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구현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부(150)에서는 Wall Sequence와 Wall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Sequence 와 모니터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Sequence 와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스팟 알림부와 모니터 스팟알림부의 조합, Wall 스팟 알림부와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모니터 스팟 알림부와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Sequence, Wall 스팟 알림부 및 모니터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Sequence, Wall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Sequence,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Wall 스팟 알림부,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내지 Wall Sequence, Wall 스팟 알림부,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의 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Wall Sequence의 예시는 도 3을, Wall 스팟 알림부의 예시는 도 5를, 모니터 스팟 알림부의 예시는 도 6을, 타일 스팟 알림부의 예시는 도 7을 참고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perform the combination by combin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Figs. 5 to 7 in a combined manner. 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Wall Sequence and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a combination of a Wall Sequence and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a combination of a Wall Sequence and a tile spot notification unit, a combination of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and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Wall Sequence, Wall Sequence, Combination of Wall Spot Announcement and Monitor Spot Announcement, Wall Sequence, Combination of Wall Spot Announcement and Tile Spot Announcement, Wall Sequence, Monitor Spot Announcement, Combination of Monitor Spot Announcement and Tile Spot Announcement A combination of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and a tile spot notification unit, a combination of a wall sequence,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and a tile spot notification unit. An example of the Wall Sequence is shown in Fig. 3, an example of the Wall Spot Announcement is shown in Fig. 5, an example of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is shown in Fig. 6, and an example of the tile spot notification is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 Wall Sequence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 구현의 일 예는 도 3 을 참고한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all Sequence in a Wall layout control unit (FIGS. 1 and 1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the Wall layout control (FIG. 1, 130) is shown in FIG.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는 Wall sequence를 실행하면 이미 실행중이던 Wall sequence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810).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는 확인 결과(S810), 실행 중이던 Wall Sequence가 없으면 실행하려는 Wall Sequence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한다.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FIGS. 1 and 130) checks whether there is a Wall sequence that has been executed when the Wall sequence is executed (S810). 1 and 130),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130) requests the database to confirm the wall sequence information to be executed if there is no wall sequence that is being executed (S810).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는 Wall Sequence 에 포함된 Wall 레이아웃 리스트(도 4참고)와 각 Wall Layout의 Display 시간정보인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받는다. 1 and 130) receives a Wall layout list (see FIG. 4) included in the Wall Sequence and Duration information, which is display time information of each Wall Layout.

이 후,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는 Wall 레이아웃 리스트에 따라 첫 번째 Wall Layout을 지정한 듀레이션(duration)만큼 디스플레이 한다. 지정된 듀레이션(duration)이 경과하면 , Wall 레이아웃 리스트의 두 번째 Wall Layout을 지정된 듀레이션 만큼 디스플레이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Wall 레이아웃 리스트의 마지막 Wall layout까지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S813~S817). 마지막 Wall Layout을 지정된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한 후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Wall 레이아웃 리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Wall layout controller (FIGS. 1 and 130) displays the first Wall Layout according to the Wall layout list for a specified duration. When the specified duration elapses, the second Wall Layout of the Wall layout list is displayed for a specified duration, and display is performed up to the last Wall layout of the Wall layout list in a similar manner (S813 to S817). After displaying the last Wall Layout for a specified period, it can be implemented to repeatedly perform the Wall Layout List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는 확인 결과(S810), 실행 중이던 Wall Sequenc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Wall 레이아웃 시퀀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되었던 Wall Layout을 로딩한 후, 해당 Wall Layout을 디스플레이 한다(S821, S822).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f the Wall Sequence that is being executed exists (S8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ll Sequence is the same as the Wall Layout Sequence to be executed, and if it is the same, After loading the displayed Wall Layout, the corresponding Wall Layout is displayed (S821, S82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all레이아웃 제어부(도 1, 130)에서는 Wall Sequence 에 포함된 Wall 레이아웃 리스트(도 3참고)와 각 Wall Layout의 Display 시간정보인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한번에 얻어오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베이스가 서비스를 중지하는 등과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그로 인한 인터럽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layout control unit (FIGS. 1 and 130) displays a Wall layout list (see FIG. 3) included in the Wall Sequence and Duration information, which is display time information of each Wall Layout, So that access to the database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if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such as database outage, the resulting interruption can be minimiz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에서 모니터 시퀀스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 구현의 일 예는 도 4 를 참고한다. FIG. 9 shows a flowchart for controlling the monitor sequence in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 1, 1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4 for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 1, 140).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에서는 모니터 시퀀스 에 포함된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도 4참고)와 각 모니터 레이아웃의 Display 시간정보인 듀레이션(Duration) 정보를 받는다. In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S. 1 and 140), a monitor layout list (see FIG. 4) included in the monitor sequence and Duration information, which is display time information of each monitor layout, are received.

이 후,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는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에 따라 첫 번째 모니터 레이아웃을 지정한 듀레이션(duration)만큼 디스플레이 한다. 지정된 듀레이션(duration)이 경과하면 ,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의 두 번째 모니터 레이아웃을 지정된 듀레이션 만큼 디스플레이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의 마지막 모니터 레이아웃까지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S913~S917). 마지막 모니터 Layout을 지정된 구간 동안 디스플레이 한 후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 1, 140) displays the first monitor layout for a specified dur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 layout list. When the specified duration elapses, the second monitor layout of the monitor layout list is displayed for a specified duration, and similar display is performed until the last monitor layout of the monitor layout list (S913 to S917). After the last monitor layout is displayed for the designated period, the monitor layout list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모니터 레이아웃 제어부(도 1, 140)에서는 확인 결과(S910), 실행 중이던 모니터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모니터 레이아웃 시퀀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모니터 레이아웃을 로딩한 후, 해당 모니터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 한다(S921).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onitor layout control section (Fig. 1,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nitor sequence is the same as the monitor layout sequence to be executed when the monitor sequence being executed is present (S910) After loading the displayed monitor layout, the corresponding monitor layout is displayed (S921).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알림부(도 1, 150)의 실시예로서 Wall 스팟 알림부(도 10), 모니터 스팟 알림부(도 11) 및 타일 스팟 알림부(도 12)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0 to 12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notification unit (FIG. 1, 150)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spot notification unit (FIG. 10),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12). ≪ / RTI >

도 10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Wall 스팟 알림부는 이미 실행중인 Wall 스팟이 있는지 확인 한 후, 이미 실행중인 Wall 스팟이 있는 경우, 실행중이던 Wall 스팟은 중지되고, 실행하려는 Wall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한다(S102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after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wall spot already executed, if there is a wall spot already being executed, the Wall Spot notification unit stops the wall spot that is being executed, (S1020).

이미 실행중인 Wall 스팟이 없는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Wall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여, Wall 스팟에 포함된 Wall 레이아웃 리스트와 이벤트를 설정한 카메라 리스트를 로딩한다(S1011). Wall 스팟 알림부는 로딩된 카메라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가 속한 Wall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S1012, S1013, S1014).If there is no wall spot that is already being executed, the wall spot information to be executed is requested to the database, and the wall layout list included in the wall spot and the camera list in which the event is set are loaded (S1011). When an event of the loaded camera occurs, the Wall Spot Announcement unit displays the Wall layout to which the camera belongs (S1012, S1013, and S1014).

도 11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모니터 스팟 알림부는 이미 실행중인 Monitor Spot이 있는지 확인한 후(S1110), 이미 실행중인 Monitor Spot이 있는 경우, 실행중이던 Monitor 스팟은 중지되고, 실행하려는 Monitor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한다(S1120).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monitor spot notifying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a monitor spot already being executed (S1110). If there is a monitor spot already being executed, the monitor spot which is being executed is stopped, To the database (S1120).

이미 실행중인 모니터 스팟이 없는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모니터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여, 모니터 스팟에 포함된 모니터 레이아웃 리스트와 이벤트를 설정한 카메라 리스트를 로딩한다(S1111). 모니터 스팟 알림부는 로딩된 카메라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가 속한 모니터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S1112, S1113).If there is no monitor spot already running, the monitor spot information to be executed is requested to the database, and the monitor layout list included in the monitor spot and the camera list in which the event is set are loaded (S1111). When an event of the loaded camera occurs,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displays the monitor layout to which the camera belongs (S1112, S1113).

도 12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타일 스팟 알림부는 이미 실행중인 Tile Spot이 있는지 확인한 후(S1210), 이미 실행중인 Tile Spot이 있는 경우, 실행중이던 Tile 스팟은 중지되고, 실행하려는 Tile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한다(S1220). 12, the tile spot notification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a tile spot already being executed (S1210). If there is an already executed tile spot, the tile spot that is being executed is stopped, and the tile spot information to be executed is stopped To the database (S1220).

이미 실행중인 Tile 스팟이 없는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Tile 스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하여, Tile 스팟에 포함된 Tile 레이아웃 리스트와 이벤트를 설정한 카메라 리스트를 로딩한다(S1211). Tile 스팟 알림부는 로딩된 카메라 중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가 속한 Tile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S1212, S1213).If there is no tile spot already being executed, the tile spot information to be executed is requested to the database, and the tile layout list included in the tile spot and the camera list in which the event is set are loaded (S1211). When an event of the loaded camera occurs, the tile spot notification unit displays the tile layout to which the camera belongs (S1212, S1213).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 월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Fig. 13 shows an example of a video wall system,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클라이언트(1310)는 컨트롤 서버(1320)를 통해 비디오월(1300)의 디스플레이뷰어(1330)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The client 1310 delivers an instruction to the display viewer 1330 of the video wall 1300 via the control server 1320 to control the display.

클라이언트(1310)는 모니터 하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비디오월(1300) 전체화면 또는 비디오월(1300)의 일부 화면에 확대된 상태로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310)는 하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카메라 할당없이 영상을 복사하여 다른 모니터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The client 1310 can view an image displayed on one monitor in an enlarged state on a full screen of the video wall 1300 or a partial screen of the video wall 1300. Also, the client 1310 can copy an image displayed on one monitor without a camera and view it on another monitor.

클라이언트(1310)는 바람직하게, 비디오월(1300)에서 영상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를 추가로 연결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입력을 함께 볼 수 있다. The client 1310 may preferably further connect an external device as well as an image in the video wall 1300 to view the input of the external device togeth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비디오월로 구현하도록 Wall 레이아웃을 구현하는 Wall레이아웃부;
상기 Wall 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모니터레이아웃부;
상기 Wall 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하는 Wall레이아웃 제어부;
상기 모니터레이아웃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순서를 지정하는 모니터레이아웃 제어부;및
상기 비디오월에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장치에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
A Wall layout unit that implements a Wall layout so as to implement at least one display apparatus as one video wall;
A monitor layout unit for controlling the monitor layout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so tha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unit provides at least one screen;
A Wall layout control unit for designating display time and order of the at least one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Wall layout unit;
A monitor layout control unit for designating a display time and an order of at least one screen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monitor layout unit;
And a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tha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video in the video wall has generated the event when the event occ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Wall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포함된 Wall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Wall 스팟 알림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포함된 모니터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분할 화면 각각을 나타내는 타일에 영상을 제공하는 촬영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장치가 영상을 제공하는 타일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타일 스팟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Wall 스팟 알림부, 상기 모니터 스팟 알림부 및 타일 스팟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월(Video Wall)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A Wall Spot notif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Wall layout includ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images to the at least one or more display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Wall layout;
A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monitor layout includ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image on the at least one or more screen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monitor layout; And
A tile spot notification unit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tile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event occur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ing the tile representing each of the divided screens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monitor layout;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Wall Spot notification unit, the Monitor Spot notification unit, and the Tile Spot notification unit is combined to indicate that an event has occurred.
KR1020130165895A 2013-12-27 2013-12-27 Video Wall system KR102111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95A KR102111169B1 (en) 2013-12-27 2013-12-27 Video Wa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95A KR102111169B1 (en) 2013-12-27 2013-12-27 Video Wal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57A true KR20150077057A (en) 2015-07-07
KR102111169B1 KR102111169B1 (en) 2020-05-14

Family

ID=5378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895A KR102111169B1 (en) 2013-12-27 2013-12-27 Video Wal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16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8358A (en) * 2015-11-04 2015-12-30 武汉微创光电股份有限公司 Video monitoring system for video-wall configuration
KR101869452B1 (en) 2017-10-13 2018-06-20 주식회사 제노시스 Stream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network video in a distributed system
KR101869453B1 (en) 2017-10-13 2018-07-23 주식회사 제노시스 Video wall system using multiple decoder devices
KR101882016B1 (en) 2017-10-13 2018-07-25 주식회사 제노시스 Video wall system control device using a plurality of decoder devices
US10203932B2 (en) 2015-12-17 2019-02-12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obtaining and displaying surveillance images and tracked events
WO2019231087A1 (en) * 2018-05-30 2019-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Content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365B1 (en) * 1998-06-18 2002-11-11 국제약품공업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2-[(2,6-dichlorophenyl) amino] phenylacetoxyacetic acid
KR100354271B1 (en) * 2000-02-02 2002-09-28 신풍제약주식회사 Process for preparing aceclofenac and its intermedi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99A (en) * 2007-07-16 2009-01-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100110658A (en)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다림비젼 Multiviewer system showing videos on 3d virtual monitors in a 3d virtual graphic video wall realizing virtual video wall supporting unlimited number inputs of either analog or digital, ip videos
JP2010232826A (en) * 2009-03-26 2010-10-1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Im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99A (en) * 2007-07-16 2009-01-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2010232826A (en) * 2009-03-26 2010-10-1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Image display system
KR20100110658A (en)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다림비젼 Multiviewer system showing videos on 3d virtual monitors in a 3d virtual graphic video wall realizing virtual video wall supporting unlimited number inputs of either analog or digital, ip video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8358A (en) * 2015-11-04 2015-12-30 武汉微创光电股份有限公司 Video monitoring system for video-wall configuration
US10203932B2 (en) 2015-12-17 2019-02-12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obtaining and displaying surveillance images and tracked events
KR101869452B1 (en) 2017-10-13 2018-06-20 주식회사 제노시스 Stream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network video in a distributed system
KR101869453B1 (en) 2017-10-13 2018-07-23 주식회사 제노시스 Video wall system using multiple decoder devices
KR101882016B1 (en) 2017-10-13 2018-07-25 주식회사 제노시스 Video wall system control device using a plurality of decoder devices
WO2019231087A1 (en) * 2018-05-30 2019-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Content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034205A (en) * 2018-05-30 2020-04-17 三星Sds株式会社 Content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US11404029B2 (en) 2018-05-30 2022-08-02 Samsung Sds Co., Ltd. Content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169B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7057A (en) Video Wall system
JPH11331822A (en) Monitor camera system
KR2015007582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wall
KR20120105205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7809609B (en) Video monitoring conference system based on touch equipment
US20190273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of test events from multiple sources with camera outputs
US11172259B2 (en) Video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KR101082027B1 (en) Apparatus for control and observing event
JP2008028876A (en) Multi-split screen display device
JP2013062559A (en) Imaging monitor screen and omnidirectional imaging screen monitoring system
US109229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of a facility control room using virtual reality
RU119918U1 (en) VIDEO LOCATION SYSTEM
CN110035253B (en) Decoding on-wall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955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in monitoring system
RU127500U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09049798A (en) Camera control method, camera control device, camera control program, and camera system
JP2005341544A (en) Server and display device
JP2013238922A (en) Plant monitoring device
JP2018155985A (en) Multi Display System
JP2011040885A (en) Movie screening control system, movie screening control method, and movie screening controller
JP4101476B2 (en) Camera monitoring system, video selection control device, and video selection control method
JP2009212716A (en) Video display apparatus
KR200434039Y1 (en) Centralized Surveillance System
JP5508308B2 (en) Related operation method of TV camera monitor screen of numerical control equipment
KR101820965B1 (en) System and method of satellite control situation board by using smart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