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529A -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529A
KR20150074529A KR1020130162404A KR20130162404A KR20150074529A KR 20150074529 A KR20150074529 A KR 20150074529A KR 1020130162404 A KR1020130162404 A KR 1020130162404A KR 20130162404 A KR20130162404 A KR 20130162404A KR 20150074529 A KR20150074529 A KR 2015007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ser terminal
wired
communication equip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관
김병석
조준호
김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529A/en
Publication of KR2015007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5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ity usage amount of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tool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from a core network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or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n electricity reduction controlling device; determining if the user terminal accesses a registration place at a level that is equivalent to or less than a standard position value by comparing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a registration place in which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tool is installed, through the electricity reduction controlling device; and transmitting an ON message for turning on the wire/wireless communication tool to the wire/wireless communication tool by the electricity reduction controll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electricity reduction controlling device that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registration place at a level that is equivalent to or less than the standard position value.

Description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및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를 위한 전력감소 제어장치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및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를 위한 전력감소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sumption control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컴퓨터의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로 인해, 가정이나, 학교, 직장 등 넓은 범위에 걸쳐서 컴퓨터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모든 사무는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되며, 컴퓨터 중에서도 데스크탑(desktop)을 통하여 수행되고 있다.Due to the high performance and versatility of computers, computers have been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homes, schools, and workplaces. In particular, all office work is performed through a computer, and among computers, it is performed through a desktop.

이러한 데스크탑은 노트북 등과 달리 이동이 제약되어 있어 휴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 데스크탑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Unlike notebooks, these desktops have limited mobility and are not portable. Therefore, conventionally,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sktop remotely and utilizing the data has been proposed.

특히, 최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에 설치되고, 고성능 및 고용량을 요구하는 운영 체계(OS)가 컴퓨터에 설치됨에 따라, 컴퓨터의 전원을 킨 후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진행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WOL(wake on la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스크탑을 원격으로 부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particular, recently, various functions of software are installed in a computer, and an operating system (OS) requiring high performance and high capacity is installed in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can be used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puter Time is required. As a result, a method for remotely booting a network-connected desktop using a WOL (wake on lan)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컴퓨터 원격 부팅 방법은 원격지에서 다른 컴퓨터를 이용하여 목적 대상인 컴퓨터를 부팅하거나 또는 부팅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원격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설치하여야 했다. 또한, 원격 부팅 방법 이외에도 미리 예약을 하고, 예약된 시간에 컴퓨터가 자동을 부팅되도록 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mote boot method, a target computer must be booted using another computer at a remote place or a separate hardware for remote control must be installed in a computer to be booted. Also, in addition to the remote boot method, a method of making a reservation in advance and automatically booting the computer at a scheduled time has been proposed, but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vulnerable to security.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를 부팅만 할 뿐이며, 부팅 이후에 컴퓨터의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 OS)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only boots the computer and fails to perform the login process necessary for using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computer after booting.

특히 직장인의 경우, 업무를 위하여 컴퓨터의 사용은 필수적이므로, 직장인들은 출근 후 가장 먼저 컴퓨터를 부팅하고 로그인을 수행한다. 하지만, 컴퓨터의 성능 및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부팅 시간이 3분 내지 5분이 소요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출근 후 바로 업무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worker, since the use of the computer is essential for the job, the workers first boot the computer and log in after the work. However,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computer and the installed software, the boot time is often 3 to 5 minutes, which means that the work can not be seen immediately after the work.

종래 기술 중 한국등록특허 제461176호는 휴대폰을 통해 컴퓨터로 무선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461176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mputer through a mobile phone and a system of the computer is controlled using the transmitted wireless signal.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하여 컴퓨터 시스템 이외에 무선 통신 모듈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컴퓨터 이외에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separately required in addition to the computer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install additional equipment in addition to the compute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컴퓨터 원격 부팅 시스템이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22514에 개시(disclosure, 기재)되어 있다.A computer remote boot system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25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는,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물리적인 접촉 없이 등록 장소(전원제어 서비스 등록 장소로서, 예들 들어, 가정(home)) 내 통신기기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및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를 위한 전력감소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of a wireless terminal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in a registration place (e.g., home as a power control service registration place) without physical contact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은, (a)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무선망을 제어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로부터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가 설치된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장소는 가정(home) 또는 사무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from a core network,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b)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ration place where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or less ; And (c) whe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has reached a registration position by less than a reference position valu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ransmits an on message for turning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registration place may be a home or an office.

상기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은, (d)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 whe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has deviated from a registration position by exceeding a reference position valu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power control information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ending an off message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o turn off the equipment.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일 수 있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각각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may be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may include a power control receiver that operates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상기 전원제어 수신기는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의 기억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중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를 기억할 필요가 없는 전기기기는,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탭(slave ta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may operate the storage device of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restore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a state before power off. An electric device that does not need to memorize a state before power off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a power control receiver that operates the electric device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It can be connected via a slave tab.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종속접속(cascade)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은, (e)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의 저장부에 등록 ID(identification)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by a cascade method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stores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gistration ID in a storage unit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have.

상기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휴면상태인 경우 상기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트랙킹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Evolved Packet Core (EPC), which is the core network,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an operating st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obtained through the tracking area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of the EPC.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부에 설치된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모듈과 연동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interfacing with a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가 설치된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user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ration place wher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ration sit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below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May transmit an on message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urn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or less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off message for turning of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registration position by more than a reference position value, Lt; / RTI >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등록 ID(identification)로 저장할 수 있다.Each of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may be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gistration ID.

본 발명에 따른 가정 내 전자제품 전력사용량 감소방안과 같은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및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를 위한 전력감소제어 장치에 의해, 무선단말 사용자(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물리적인 접촉(접근) 없이 가정 내 통신기기의 소모 전력(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기요금 절약은 물론 제품사용에 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can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by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standby power) of a communication device in the home without physical contact (acces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ave electric bills and increase convenience in us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감소 제어장치의 실시예(2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300)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20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300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ttained by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 the descrip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etc.,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are to be constru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본 발명과 비교되는 전력감소 방법론은 기기(전기기기) 자체의 절전기능에 의존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론(방법)은 무선단말 사용자가 사전에 전력감소 제어서버(또는 전력감소 제어장치)에 등록(저장)한 댁내 장비(예, 동일한 통신사업자를 통해 임대한 장비)를 사용자의 수동적 제어를 통하지 않고,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infra)를 이용하여 자동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댁내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원을 온(on)시키는 on 요청 신호를 사용자의 물리적인 triggering(시동) 없이 네트워크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발생할 수 있다.While the power reduction methodology in comparis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lies on the power saving function of the device itsel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wireless terminal user has previously set the power reduction control server (or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here may be advantages in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remises equipment (for example, equipment leased through the same communication company) registered in the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infra) without being manually controlled by the us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by the network itself judging the on request signal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domestic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ithout physically triggering the user.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사용자 단말)가 등록된 위치(예, 가정)에서 벗어날 경우 해당 위치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예, 셋톱박스(Set Top Box), 유무선 공유기, 인터넷 모뎀 등)의 전원을 원격으로 자동 오프(OFF)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위치 인근으로 접근할 경우에만 장비를 자동 온(ON)시켜, 사용자의 물리적 접근 없이 등록된 유무선 통신장비의 대기전력을 감소시켜주는 기술일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3G(generation)/4G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예를 들어 주변 기지국에서 추적하고,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등록된 물리적 위치(예, 집)로 접근할 때 댁내(premises) 통신장비의 전원을 제어하는 서버(전력감소 제어 서버(server) 또는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WoL(Wake on LAN) 기능(WoL 표준)을 사용하여, 댁내(구내) 셋톱박스(set top box) 및 유무선공유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ON)시킬 수 있다.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위치가 사전에 등록된 위치에서 멀어지는 경우, 셋톱박스/유무선공유기 장비와 서버 간에 사전에 약속된 IP layer(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즉, 사용자의 인지 없이)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g., a set top box, a wireless router, a wireless router, etc.) used at a location where a user (user terminal) Internet modem, etc.) is automatically turned off (OFF), and the device is automatically turned ON only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location, thereby reducing the standby power of the registere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physical access by the user . In further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racks the location of a 3G (Generation) / 4G wireless terminal, for example, at a neighboring base station, premises it when a user of the terminal approaches a registered physical location (e.g., home) A server (a power reduction control server or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power of a communication device uses a Wake on LAN (WoL) function (WoL standard), a home set top box, The power of the router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automatically (i. E., Without the user's knowledge), using the IP layer protocol promised between the set-top box / router equipment and the server, when the user's location moves away from the pre- The power can be turned off.

사용자의 위치 추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프라(infra)가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으나, 무선망을 제어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 EPS(Evolved Packet System)의 EPC(Evolved Packet Core: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SGW(Serving Gateway)))의 부하증가 요소가 클 경우,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 추적 및 위치에 따른 가정 내 전기기기(원격장치)의 전원 온/오프(ON/OFF) 제어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MME는 무선망 연동관리를 수행하고, PGW는 유선망과 연동하고, SGW는 LTE(4G) 기지국과 연동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user's location tracking can be automatically tracked by the network infrastructure (infra), but a core network controlling the wireless network (eg, Evolved Packet Core (EPS) When the load increase factor of the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 SGW (Serving Gateway))) is large, it is possible to track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Power ON / OFF control of the device (remote device) may also be possible. The MME performs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network, the PGW interworks with the wired network, and the SGW can interwork with the LTE (4G)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력제어의 운용방법(운용방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운용방법은 3G/4G(3G 또는 4G) 무선 네트워크와 단말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기반을 둔 가정 내 가전기기(home appliance) 전력사용량 자동 제어 기법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The system shown in FIG. 1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can operate according to a method of operating a power control of a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xample. The above operating method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home appliance power usage automatic control technique based on 3G / 4G (3G or 4G) wireless network and terminal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운용방법이 적용된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력제어의 운용 시스템(100)은, 4G LTE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코어 장비)인 EPC(Evolved Packet Core)(105),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110), 전력감소 제어장치(전력감소 제어서버)(200), 광모뎀(optical modem) 또는 VDSL(초고속디지털가입자회선) 모뎀과 같은 인터넷 모뎀(120), 가전기기(130), 유무선 공유기(유무선 인터넷 공유기)(140), 셋톱박스(STB)(150), 셋톱박스(STB)(160), 슬레이브 탭(Slave tab)(170), 및 전열기기(181), 가스기기(182), 및 에어컨(183) 등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그룹(group)(18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력제어의 운용 시스템(100)은 사용자(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하여 등록된 유무선 통신장비(인터넷 모뎀(120) 등)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EPC(105)는 가입자 정보 관리, 패킷 데이터 교환 등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LTE 핵심장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ower control operation system 100 for an in-home communication equipment to which the above operation method is applied includes an Evolved Packet Core (EPC) 105 as a core network (core equipment) of a 4G LTE system, An Internet modem 120 such as a user equipment 110,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power reduction control server) 200, an optical modem or a VDSL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modem, a home appliance 130, (STB) 150, a set top box (STB) 160, a slave tab 170, and an electric heating device 181, a gas appliance 182 , An air conditioner 183, and the like. The operation control system 100 of the power control of the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can track the location of the user (user terminal 110) and control the power of the registere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ternet modem 120, etc.). The EPC 105 may be an LTE core device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packet data exchange,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또는 client 단말)(11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smart pad)와 같은 이동 단말(모바일(mobile) 기기) 등 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or client terminal) 11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ad.

EPC(105), 사용자 단말(110), 및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네트워크 장비를 구성할 수 있고, 인터넷 모뎀(120), 예를 들어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가전기기(130), 유무선 공유기(140), 셋톱박스(STB)(IP 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셋톱박스)(150), 셋톱박스(STB)(IP TV 셋톱박스)(160), 슬레이브 탭(Slave tab)(170), 및 가전기기 그룹(180)은 가정 내 가전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인터넷 모뎀(120), 가전기기(130), 유무선 공유기(140), 셋톱박스(STB)(150), 셋톱박스(STB)(160), 및 슬레이브 탭(Slave tab)(170)은 각각 전원제어 수신기(125, 135, 145, 155, 165, 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EPC 105,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may constitute network equipment and may include an Internet modem 120, for example, a home appliance 130 that may include a computer, A router 140, a set top box (STB) 150 (IP TV set top box), a set top box STB (IP TV set top box) 160, a slave tab 170, And the home appliance group 180 may constitute household appliances in the home. The Internet modem 120, the household appliance 130, the router 140, the set top box 150, the set top box 160 and the slave tab 17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ower control Receiver 125, 135, 145, 155, 165, 175.

사용자 위치(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반으로 가정 내 가전기기의 전원제어(ON/OFF) 요청을 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king a power control (ON / OFF) request of an in-home appliance based on a user's location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EPC(105)가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base station) 정보(기지국의 identifier(식별자)) 또는 트랙킹 에어리어(tracking area) 정보(트랙킹 영역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 가전기기(유무선 통신장비) 전원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The EPC 105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or tracking area information (tracking area information) to which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may request the power supply control of household appliance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사용자 단말(110)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앱)이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과 연동(link)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단말이 사전에 등록된 지역(예, 가정)을 벗어나거나, 또는 진입하는 경우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 가전기기 전원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GPS 위성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PS(위성 측위 시스템)는 궤도 상에 떠 있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GPS 모듈(GPS 수신기)을 통해 수신기에 도달한 시간과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 측량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linked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f the terminal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moves out of a pre-registered area , Or may request power control of the appliances by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when entering. The GPS module may perform GPS satellite communication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GPS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is a system that grasps the position of floating satellites on a track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and the time of arrival to the receiver through GPS module (GPS receiver), and determines the position through triangulation .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EPC(105)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때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모뎀(120)(인터넷 모뎀(120)의 전원제어 수신기(125))에 인터넷 모뎀(12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ON/OFF) 메시지(message)(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댁내 설비(in-house facility)의 제어장치로도 언급될 수 있다.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EPC 105 or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modem network 120 or the Internet modem 120 An ON / OFF message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Internet modem 120 to the power control receiver 125 of the Internet modem 120. [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ntrol device of an in-house facility.

인터넷 모뎀(internet modem)(120)은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부터 온/오프(ON/OFF)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하위단(stage) 기기(유무선 공유기(140) 등)의 전원제어 수신기(145 등)로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하위단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ON/OFF)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internet modem 120 receives an ON / OFF message from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ON / OFF message to the power control receiver of the lower stage device (e.g., the router 140) 145, etc.),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ON / OFF message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lower-stage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전원제어 수신기의 부재로 전원제어가 불가한 가전기기의 전원은 슬레이브 탭(Slave tab)(170)의 전원 온/오프(ON/OFF)로 간접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ource of the home appliance in which the power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due to the absence of the power control receiver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power on / off of the slave tab 170.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3G/4G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가입자를 가정한다. 해당 사용자는 자신이 사전에 등록한 장소(예, 가정)에서 동작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예, 셋톱박스(150 또는 160), 유무선 공유기(140), 인터넷 모뎀(120) 등)의 대기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싶은 욕구가 있거나, 전력사용 감소를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를 가정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전력사용량 감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무선 통신장비는, 전력사용을 제어하는 네트워크(network)상의 제어장비(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원격제어를 통해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전원이 들어오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을 켜는 경우를 제외하면 항상 전원 오프(OFF)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A user of the servic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using the technolog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a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 using, for example, a 3G / 4G wireless terminal. The user can reduc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g., set top box 150 or 160, wired / wireless router 140, internet modem 120, etc.) operating in a place Have a desire to do so, or are able to benefit from reduced power usag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an receive the benefi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pow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 equipment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on the network that controls the power usage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pparatus can always be operated in the power OFF state except when power is turned on remotely or when the user manually turns on the power.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지역(예, 가정을 중심으로 수 개의 기지국(base station)으로 구성되는 클러스터(cluster))으로 진입하는 것을 해당 지역에 위치한 3G/4G 기지국이 감지하여, 이를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에 보고(report)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이 동작상태(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mode(무선자원제어 연결 모드))인 경우 접속된(Attached)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휴면상태(RRC Idle mode)인 경우 EPC(105)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관리개체)에 등록된 Tracking area 정보(추적영역 정보 또는 트랙킹 영역정보)를 통해 사용자(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3G / 4G base station located in the area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a pre-registered area (for example, a cluster consisting of several base stations centered on the assumption) 200). ≪ / RTI > At this time, if the user terminal 110 is in 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mode, the RRC idle mode is established through the location of the attached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tracking area information (tracking area information or tracking area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105.

만약 기지국 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장비의 부하증가 문제로 인해 코어 네트워크의 지원이 어려운 경우, 단말(110) 자체에 위치 추적 및 등록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의 GPS 모듈(module)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추적하고, 이미 등록된 지역을 벗어나가나, 진입하는 경우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 해당 정보를 보고(report)할 수 있다.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문제점은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전에 정의한 지역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능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없는 형태의 단말기에서는 서비스될 수 없다는 점이다.If it is difficult to support the core network due to a load increase problem of a base station or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equipment, an application capable of location tracking and registration can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110 itself,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be periodically tracked, and the information can be reported to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when the user goes out of the registered area or enters the area. The problem with the terminal application approach is that it can not be serviced in a form of terminal in which an intelligent application can not be installed that can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and determine whether it is in a predefined area.

사용자(사용자 단말(110))가 등록된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전력감소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등록한 가정 내 전기기기(가전기기)를 확인하고 해당 장비에 Wake on LAN(WoL) magic packet(웨이크 온 랜 매직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WoL 매직 패킷(magic packet)은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이므로,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준으로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등록된 위치에 있는 장비에 접근할 때까지 IP-in-IP로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IP-in-IP의 종단(예, 아파트 댁내의 인터넷 모뎀에 연결된 이더넷 허브(Ethernet hub) 장비)에서 해당 IP 패킷을 디캡슐화(decapsulation)하여 이더넷 매직 패킷(Ethernet magic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이더넷 허브 장비(홈 네트워크 허브 장치)는 인터넷 모뎀의 후단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접속)될 수 있다. 통상 가정 내(또는 소형 사무실 등) 통신장비는 인터넷 모뎀 → 셋톱박스 → 유무선 공유기, 또는 인터넷 모뎀 → 유무선 공유기 → 셋톱박스의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최초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수신하여 전원이 켜지는 장비(여기서는 인터넷 모뎀(120)을 가정)가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장비의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해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전송하고, 이러한 동작은 최종단 장비까지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즉, 매직 패킷은 인터넷 모뎀에 순차적으로 접속된 전기기기들(유무선 공유기 및 셋톱박스 등)을 연속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When the user (user terminal 110) enters the registered area, the power-reduction control device 200 confirms the home electric device (home appliance) registered by the user and adds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Wake-on LAN magic packet). Since WoL magic packet is an Ethernet frame, it can not be transmitted based o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so it is encapsulated in IP-in-IP until accessing the device at the registered location Lt; / RTI > Then, an Ethernet magic packet can be transmitted by decapsulating the corresponding IP packet at the end of the IP-in-IP (for example, an Ethernet hub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modem of the apartment house). The Ethernet hub device (home network hub device) may be connecte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ternet modem by wire or wirelessly. Typically, communication equipment in a home (or small office) can be installed in the order of Internet modem → set-top box → wireless router, or Internet modem → wireless router → set-top box. A magic packet is transmitted in order to turn on the power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that receives the first magic packet and assumes that the power is turned on (here, the Internet modem 120 is assumed) , This operation can be repeated sequentially to the last stage equipment. That is, the magic packet can continuously turn on or off the electric devices (the wired / wireless router, the set-top box, etc.)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Internet modem.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원을 저전력 대기모드(standby mode)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통신규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원을 저전력 대기모드 또는 오프(OFF)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다음의 3가지 방안(실시예)을 취할 수 있다. 첫 번째, 이더넷 매직 패킷(Ethernet magic packet)의 규격을 확장하여, 오프(OFF)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 규격을 정의한다. 두 번째,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위치가 등록된 지역에 있을 경우에만 가정 내 통신장비로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가정 내 통신장비는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일정시간 동안 수신하지 않을 때 자체적으로 저전력 대기모드 또는 전원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셋 번째, 전력감소 제어장치(200)가 가정 내 전기기기와 통신하여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IP 레벨의 통신규격(IP 패킷 포맷 및 패킷 교환절차)을 정하고, 이를 통해 가정 내 전기기기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IP 레벨 통신규격의 예는 후술된다.There is no communication standard for switching the power of the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low power standby mode or the OFF state. Therefore, the following three methods (embodiments) can be taken to switch the power of the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low power standby mode or the OFF state. First, a new Ethernet frame standard is defined that can be extended to the standard of the Ethernet magic packet and turned off. Second,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magic packet to the in-home communication device only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in the registered area, and does not transmit the magic packet if not . The home communication apparatus can switch itself to the low power standby mode or the power off state when it does not receive the magic packet for a predetermined time. Third, the communication standard (IP packet format and packet exchange procedure) of the IP level is determined so that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to turn off the power, Can be turned off. An example of an IP level communication standar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단말(110)의 위치, 및 단말이 사전에 정의한 지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수신하여,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에 등록된 가정 내 통신장비(도 1의 인터넷 모뎀(120) 등)에 WoL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전송 또는 해당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IP encapsulation(IP 캡슐화)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코어 네트워크 장비(EPC)(105)와 특정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사용자(사용자 단말(110))와 연관되고 WoL 매직 패킷(magic packet)으로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는 가정 내 통신장비를 등록 또는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10 and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out of a predefined area and transmits it to the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registered i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IP) encapsulation of a magic packet or a magic packet to a WoL magic packet to the mobile terminal 120, for example. To this end,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must b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a core network equipment (EPC) 105 and a particular terminal, and is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user (user terminal 110) ) To be able to register or manage in-home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an turn on the power.

도 1의 가정 내 통신장비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tra-home communication equipment of Fig. 1 is described as follows.

가정 내 통신장비(예, 인터넷 모뎀(120))는,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를 통해 WoL(웨이크 온 랜)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하며, 수신 후 별도의 저장장치(가정 내 통신장비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장비의 status(전원 오프(OFF) 직전의 운용상태(동작상태))를 저장(load)하여 사용자가 이전 상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가정 내 통신장비는 사용자가 전원을 끄거나 또는 일정기간 동안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수신하지 않아 전원 오프(OFF)가 되는 경우에는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는 수준의 최소한의 전력으로만 동작해야 한다. 가정 내 통신장비는 WoL magic packet(WoL 매직 패킷)으로 전원 온(ON) 동작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오프(OFF) 패킷을 수신하여 자체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정 내 통신장비는 개개의 통신장비에 규격을 적용하는 방식 대신 전원제어 수신기(도 1의 125 등)를 탑재하여 해당 모듈인 전원제어 수신기가 전기기기의 전원을 온/오프(ON 또는 OFF)시킬 수 있다.The home communication device (e.g., the Internet modem 120) must be able to receive a WoL (Wake On LAN) magic packet through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and receive the WoL The user must be able to use the same status as the previous state by loading the status of the device stored in the home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device (operation state immediately before power off). When a user turns off the power or turns off the power because the user does not receive the magic pack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home is at least a level that can receive and operate the magic packet Of power. The home communication apparatus should be able to turn on the power by the WoL magic packet and receive the off packet from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and turn off its own power, To support the fun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home communication equipment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125 in FIG. 1) instead of a method of applying the standard to individu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which is a corresponding module, turns on / OFF).

도 1의 전원제어 수신기의 기술적 구성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of Fig. 1 is described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 내 전기기기(예, 인터넷 모뎀(120))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탑재하고 있어, 해당 모듈인 전원제어 수신기(도 1의 125 등)에 의해 전기기기의 전원이 온/오프(ON/OFF) 제어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위치한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와의 통신은 전원제어 수신기가 담당하며, 전원제어 수신기는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온/오프(ON/OFF) 명령을 수신하여 가정 내 전기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제어 수신기는 이더넷 WoL(Ethernet WoL)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전원(power supply)로부터 항시 전력을 수신해야 한다. 또한 전원제어 수신기는 WoL 매직 패킷 수신 이후 전기기기 자체의 기억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또는 SoC(system on chip) 내부의 저장장치)를 동작시켜 전기기기를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예, 이전의 인터넷 접속 설정 상태, 또는 IP TV에 연결된 셋톱박스에 저장된 이전에 선택된 TV 채널의 저장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어야 한다.1, a home electric appliance (e.g., the Internet modem 120)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125 in FIG. 1) On / off (ON / OFF) control.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located in the network is performed by the power control receiver. The power control receiver receives an ON / OFF command from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Power can be controlled. To this end, the power control receiver must support the Ethernet WoL (Ethernet WoL) function and must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t all times. 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receiver operates the storage device of the electric device itself (for example, a read only memory (ROM) or a storage device in a system on chip (SoC)) after reception of the WoL magic packet, (Eg, a previous Internet connection setup, or a previously saved TV channel stored on a set-top box connected to an IP TV).

도 1의 Slave tab(슬레이브 탭)(170)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lave tab (slave tab) 170 of FIG. 1 is described as follows.

가정 내 전기기기 중 전력제어는 필요하지만 전원제어 수신기 탑재가 어려운 경우, 또는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를 기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개개의 전기기기(예, 도 1의 가전기기 그룹(180)에 포함된 전열기기(181) 등)에 전원제어 수신기를 탑재하는 대신 슬레이브 탭(Slave tab)(170)에 연결하여 간접적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에 위치한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제어(제어신호)는 슬레이브 탭(Slave tab)이 받게 되며, 슬레이브 탭(Slave tab)은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슬레이브 탭(Slave tab)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원공급용 멀티탭(multitab)에 통신모듈이 장착된 형태(네트워크 멀티 콘센트)를 예로 들 수 있다.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lectric power among the domestic electric devices, bu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power control receiver, or when it is not necessary to memorize the state before power OFF,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may be connected to the slave tab 170 instead of mounting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on the electric heating device 181 or the like. That is, the control (control signal)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located in the network is received by a slave tab, and the slave tab is responsible for supplying or blocking power of the connected electric device . The slave tab is a form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multi-tab (a network multi-socket) used in the home.

도 1의 네트워크 구성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network configuration of Fig. 1 is described as follows.

네트워크(EPC(105) 및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사용자(전원제어 서비스 사용자)의 가정 내 통신장비가 위치한 지역을 사용자 ID(identification)와 연계하여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전에 등록된 지역을 벗어나거나, 해당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등록 지역 진입/이탈 여부(등록 지역 진입 또는 이탈 정보)에 관해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The network (the network including the EPC 105 and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must be able to register the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f the user of the user (power control service user) is locat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D. The network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communicates with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when the user leaves the pre-registered area or enters the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entry / exit area of the registered area Departure information).

도 1의 사용자 단말(105)의 위치관리 애플리케이션(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The location management application (location tracking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5 in Fig. 1 is described as follows.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파악,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와의 통신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예인 스마트 단말기에 탑재되는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위치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GPS 모듈과 연동하여 현재 사용자(사용자 단말(110))의 위치가 사전에 등록된 지역(예, 가정)에서 벗어나거나, 해당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와 통신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If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network, it may be necessary to manage the location of the user in a location track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which is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user (user terminal 110) deviates from a previously registered area (e.g., assumption) It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200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위치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장점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정 내 전기기기의 전원을 원격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가정 내 셋톱박스(도 1의 셋톱박스(160) 등)의 전원을 오프(OFF)시켜 불필요하게 TV(예, IP TV) 시청이 잦은 아이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시계(위치관리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시계)의 알람과 같이 사전에 시간을 설정하여, 특정 전기기기의 전원을 예약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e location management application is that the user can manuall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home electric devi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urn off the power of a set top box (e.g., the set top box 160 of FIG. 1) in the home to control children who are frequently watching TV (e.g., IP TV) unnecessarily, Such as an alarm of a clock included in an application, by setting a time in advance, and reserving the power of a specific electric device on / off (ON / OFF).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감소 제어장치의 실시예(200)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20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shown in FIG.

도 2 및 도 1을 참고하면,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저장부(210), 통신부(215), 및 제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고, 홈 네트워크 관련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2 and 1,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15, and a control unit 215, and may be used in a home network related technology.

저장부(210)는 등록부(또는 관리부)로서,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전원 제어(전원제어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가 설치(배치)된 등록 장소(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예, 가정(집) 또는 사무실(회사)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등록 ID(identification)(예, ID 번호(identification number))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는 도 1의 인터넷 모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10 is a registration unit (or management unit)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e.g., user terminal 110) (E.g., home (home) or office (offi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ration place (specific place) installed (placed). The storage unit 210 may stor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gistration ID (e.g., an identification number).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the Internet modem 120 of FIG.

제어부(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예를 들어, 등록 장소로부터 50(m) 이하의 등록 지역)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ration site so that the user terminal registers the registration site at a location below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for example, 50 m ) Or less of the registered area).

제어부(22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 장소에 상기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원)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통신부(215)를 통해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 장소에 상기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원)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통신부(215)를 통해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turns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power source o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hen the user terminal 110 approaches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or less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n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5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turns of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power source o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hen the user terminal 110 exceeds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and leaves the registration pla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5. [0031] Each of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may be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제어부(2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기능을 수행하고,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저장부(210) 등)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210) included i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300)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유무선 통신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3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가정 내 통신장비의 전력제어의 운용 시스템(100)에 적용될 수 있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300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300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applied to the power management operating system 100 of the intra-home communication equip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단계(305)에서,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무선망을 제어하는 코어 네트워크(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1 and 2, at the receiving step 305,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re network (or core network equip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 진화된 패킷 코어)는, 사용자 단말(110)이 동작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파악)하고, 사용자 단말(110)이 휴면상태인 경우 상기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110)의 트랙킹 영역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내부(예, 제어부)에 설치된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또는 위치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GPS 모듈과 연동시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무선 통신 장비(예, IP TV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The Evolved Packet Core (EPC), which is the core network,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in an operating state Acquires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tracking area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registered in the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of the EPC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in the sleep state, )can do. The user terminal 110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by linking the location tracking application (or location managemen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internal (e.g., control section) with the GPS modul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10 . The location tracking application can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g., IP TV set-top box)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판단 단계(310)에 따르면,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수신 단계(305)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가 설치된 등록 장소(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예를 들어, 등록 장소로부터 50(m) 이하의 등록 지역)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장소는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저장부(210)에 저장(등록)된 장소로서, 가정(home)(일반 주택) 또는 사무실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tep 310,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d in the reception step 305 and the position of the registration place (specific place) where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Information can b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registration site to a reference location value or less (for example, a registration area of 50 (m) or less from the registration site). The registration place is a place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21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and may be a home (general house) or an office.

판단 단계(310)에서, 전력감소 제어장치(200)가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 장소에 상기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할 때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300)의 프로세스(process)는 온 메시지 전송 단계(315)로 진행하고, 전력감소 제어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즉,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하지 않을 때) 프로세스(process)는 오프 메시지 전송 단계(320)로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power decrease control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10 approaches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at the registration place at the decision step 310, the process of the power usage control method 300 of the wired / I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10 has deviated from the registration site due to exceeding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i.e., the user terminal 110 has passed the on-message transmission step 315) The process may proceed to the Off message transmission step 320. The off-message transmission step 320 may be performed in the off-

온 메시지 전송 단계(315)에 따르면,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원)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예,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2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turns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power source o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on message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e.g., the Internet).

오프 메시지 전송 단계(320)에 따르면,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의 전원)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온 메시지 전송 단계(315) 및 오프 메시지 전송 단계(320)에서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Off message transmission step 320,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2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200) turns of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power o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off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the message and the off message from the ON message transmission step 315 and the OFF message transmission step 320 may be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각각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기기는, 예를 들어, 인터넷 모뎀, 유무선 공유기, 또는 IP TV 셋톱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 수신기는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의 기억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may include a power control receiver that operates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The electrical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ternet modem, a wired or wireless router, or an IP TV set-top box. The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may operate the storage device of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restore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a state before power off.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중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를 기억할 필요가 없는 전기기기(예, 전열기기 등)는,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탭(slave ta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n electric device (for example, an electric heating appliance) which does not need to memorize the state before power off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operates the electric device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And a slave tab including a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예, 인터넷 모뎀, 유무선 공유기, 및 IP TV 셋톱박스)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종속접속(cascade)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또는 동시에)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종속접속 방식에 의한 전원 온/오프 동작은 전기기기에 포함된 전원제어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E.g., an Internet modem, a wireless router, and an IP TV set-top box)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re connected in series by a cascade method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off message (ON) or OFF (OFF) at the same time. The power on / off operation by the cascade connection method can be performed by a power supply control receiver included in the electric equipment.

전력감소 제어장치(200)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전력감소 제어장치(200)의 저장부(210)에 등록 ID(identification)로 저장(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 ID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ID와 연계하여 저장(등록)될 수 있다.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may store (register)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 a storage unit 210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apparatus 200 in a registration I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ID may be stored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D of the user terminal 110.

동작 단계(325)에 따르면, 온 메시지 전송 단계(315) 및 오프 메시지 전송 단계(320)에서 전송된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에 응답하여 유무선 통신장비(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는 온 및 오프 동작(전원 온 및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peration step 325,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turned on and off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transmitted in the on message transmission step 315 and the off message transmission step 320, respectively (Power on and off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s or " units " or blocks or module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such as a task, a class, a subroutine, a process, an object, an execution thread, ,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software and hardware. The components or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computers.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5: EPC
110: 사용자 단말
120: 인터넷 모뎀
125: 전원제어 수신기
130: 가전기기
135: 전원제어 수신기
140: 유무선 공유기
145: 전원제어 수신기
150: 셋톱박스(STB)
155: 전원제어 수신기
160: 셋톱박스(STB)
165: 전원제어 수신기
170: 슬레이브 탭(slave tab)
175: 전원제어 수신기
180: 가전기기 그룹
210: 저장부
215: 통신부
220: 제어부
105: EPC
110: User terminal
120: Internet modem
125: Power control receiver
130: Home appliance
135: Power control receiver
140: Router
145: Power control receiver
150: Set-top box (STB)
155: Power control receiver
160: Set-top box (STB)
165: Power control receiver
170: Slave tab (slave tab)
175: Power control receiver
180: Home Appliances Group
210:
215:
220:

Claims (15)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무선망을 제어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로부터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가 설치된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a core network or a user terminal,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wireless network;
(b)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ration place where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or less ; And
(c) when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has accessed the registration location by less than a reference position valu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ransmits an on message to turn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장소는 가정(home) 또는 사무실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istration place is a home or an off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은,
(d)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the wired /
(d) i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has deviated from the registration location by exceeding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transmits an off message (message) for turning of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인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is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각각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a power control receiver that operates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 수신기는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의 기억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기기기들 각각을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control receiver operates the storage device of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restore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to a state before power of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 중 전원 오프(off) 이전 상태를 기억할 필요가 없는 전기기기는,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기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제어 수신기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탭(slave tab)을 통해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 electric device that does not need to memorize a state before power off of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a power control receiver that operates the electric device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hrough a slave ta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포함된 전기기기들은,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에 응답하여 종속접속(cascade)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ic devices included i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re controlled by a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by a cascade method in response to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은,
(e)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상기 전력감소 제어장치의 저장부에 등록 ID(identification)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of the wire /
(e)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stores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gistration ID in a storage unit of the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휴면상태인 경우 상기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트랙킹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PC (Evolved Packet Core), which is the core network,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in a sleep state, the user registered in the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racking area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내부에 설치된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모듈과 연동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유무선 통신장비의 전력사용량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position track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the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to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전력감소 제어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비가 설치된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장소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 이하로 접근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온(on)시키는 온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전력감소 제어장치.
A power reduc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user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registration place wher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ration sit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location value below the reference location,
Wherein,
A power reduction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on message for turning on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reference position value or less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등록 장소에 기준 위치값을 초과하여 이탈할 때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오프(off)시키는 오프 메시지(message)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송하는 전력감소 제어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off message for turning off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ates from the registration position by more than a reference position value, Transmitting power control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 메시지 및 오프 메시지 각각은 WoL(Wake on LAN) 매직 패킷(magic packet)인 전력감소 제어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each of the on message and the off message is a Wake on LAN (WoL) magic packe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비를 등록 ID(identification)로 저장하는 전력감소 제어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gistration ID.
KR1020130162404A 2013-12-24 2013-12-24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201500745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04A KR20150074529A (en) 2013-12-24 2013-12-24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04A KR20150074529A (en) 2013-12-24 2013-12-24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29A true KR20150074529A (en) 2015-07-02

Family

ID=5378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04A KR20150074529A (en) 2013-12-24 2013-12-24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5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624B1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TWI545920B (en)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thereof
US9602300B2 (en) Smart device-based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401102B (en) Intelligent power socket and control system
US201501409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US9954978B2 (en)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method, bridge device and access device for internet of things
CN105245427A (en) Multi-Internet of Things cloud platform terminal access and control system based on bus adaption
CN103618670A (en) Intelligent gateway and intelligent home system
US2016013202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US11822299B2 (en) Building management control
CN103716214A (en) Smart hom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0139149A1 (en) Method for realizing control of wireless personal network equipment and device thereof
CN104301905A (en) Ad-hoc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smart home on basis of election supervision strategy
US10101771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11095499B2 (en) Broadband watchdog
US20200228527A1 (en) Hom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0063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household appliances intelligent control based on femtocell base station
US8355718B2 (en) RF4CE-based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CN105303812A (en) Infrared transponder and infrared intelligent control system
KR101697568B1 (en) System for providing main contoll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network
CN105636158B (en) A kind of information configuring methods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74529A (e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CN104581885A (en) Automatic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8429097A (en) A kind of intelligent air condition socket
KR101485817B1 (en)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