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138A -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 Google Patents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138A
KR20150072138A KR1020130159465A KR20130159465A KR20150072138A KR 20150072138 A KR20150072138 A KR 20150072138A KR 1020130159465 A KR1020130159465 A KR 1020130159465A KR 20130159465 A KR20130159465 A KR 20130159465A KR 20150072138 A KR20150072138 A KR 2015007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wireless charging
unit
portable termi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진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3015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2138A/en
Priority to CN201410112968.3A priority patent/CN103840533A/en
Publication of KR2015007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4B5/26
    • H04B5/72
    • H04B5/7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Especially, the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includes: a body part; a wireless charging receiving part which is formed in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body part and a portable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part which generates power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 NFC transmission antenna part which is form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is wound several times in a loop shape to communicate with an NFC reception antenna part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LAN; and a switch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and activates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part and the NFC reception antenna part.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can be improved by arranging the NFC reception antenna part right abov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part.

Description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이 가능함은 물론 NFC 통신을 통한 원격결제 등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for a vehicle, which can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by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remote payment through NFC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which can be operated by a user.

종래의 에너지 기술에 최근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IT 기술을 융합한 "에너지-IT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에너지-IT 융합기술의 한 분야로서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이 있다. Recently, interest in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is a convergence of IT technology that is rapidly developing in the conventional energy technology, is increasing recently. As a field of such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y, there is a wireless power transfer ) Technology.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유선 케이블 대신 무선으로 전자기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고, 전자기기 등을 충전하기 위해 전원 콘센트로부터 전자기기로 유선으로 된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서도 무선으로 전자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refers to a technique of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wirelessly instead of a conventional wired cable. In order to charge an electronic device, a power source Related research is actively proceed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charge electronic devices etc. wirelessly without connecting cables.

현재 상용화 또는 연구 중인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4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고출력 마이크로파 방사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수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출력 전송이 가능하므로 원거리 전송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인체에의 유해성 및 직진성 등의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방사(radiative) 방식의 근거리 전송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RFID/USN 주파수 대역 또는 2.4 GHz ISM 대역을 이용한 RFID 서비스이며, 현재는 유통 및 물류 분야 등의 일정 분야에서 상용화된 상태이며, 방사 손실에 의해 최대 수십 mW의 전력 전송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기 유도결합을 이용하는 접촉식 전송 방식은 무선충전 방식을 표준으로 분류할 때,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수 mm ∼ 수 cm의 거리에서 접촉식으로 수 W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125kHz 또는 135kHz 등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비방사(non-radiated) 자기공명 방식은 무선충전 방식을 표준으로 분류할 때, A4WP(Alliance For(4) Wireless Power)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인데, 공진 결합이란, 자기공명의 두 매체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하게 되면 전자파가 근거리 자기장을 통해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 방식은 수 m이내의 거리에서 수십 W의 대전력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공진기의 Q(Quality Factor)값을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별도의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도록 송전 안테나 및 수전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currently in commercialization or research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One of them is a high power microwave radiation system. Since this method can transmit a high output using a frequency of several GHz band, it is advantageous to perform a long distance transmission, but it is not commercialized due to problems such as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and straightness . The other is a radiative short-distance transmission method. This method uses RFID / USN frequency band of UHF (Ultra High Frequency) band or 2.4 GHz ISM band and is currently used for distribution and logistics It is commercialized in certain fields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a maximum of several tens of mW of power can be transmitted by radiation loss. In addition, the contact-type transmission method using magnetic induction coupling corresponds to the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standard metho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classified as a standard, A frequency of 125 kHz or 135 kHz is used. The non-radiated magnetic resonance method corresponds to the A4WP (Alliance For (4) Wireless Power) standard metho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classified as a standard, and it is based on the resonant coupling method Resonance coupling is a phenomenon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move from one medium to another through a near magnetic field when two magnetic resonance media resonate at the same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However, in actual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Q (Quality Factor) value of the resonator high, and it is disadvantageous to provide a transmission antenna and a receiving antenna so as to form a separate resonance frequency.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상당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모듈이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정도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접 통신 기술이다. NFC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 인증, 신분증, 신용카드, 모바일 티켓, 모바일 쿠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a large number of portable terminals to be released recently are equipped with an NFC module for NFC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a proximity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t a distance of about 10 cm using a frequency of 13.56 MHz band. The NFC module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ID card, credit card, mobile ticket, mobile coupon, etc., in a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NFC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필요하다. NFC 안테나는 NFC 리더와 NFC 태그의 안테나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실제 휴대용 단말기 상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NFC 리더 안테나와 태그 안테나를 적층 구조로 직접한 통합형 이중안테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An antenna is required for such NFC communication. When the NFC antenna is implemented on an actual portable terminal, an integrated dual antenna structure in which an NFC reader antenna and a tag antenna are directly stacked can be used.

그런데, 자기 공명을 이용한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상기 A4WP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전력 수단에서도 한 쌍의 안테나(송전 안테나 및 수전 안테나)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상기 NFC 기능과 상기 무선전력전송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별 별도의 안테나를 휴대용 단말기에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종류가 상이한 안테나를 모두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함은 물론, 두 종류의 안테나 장착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 pair of antennas (a transmitting antenna and a receiving antenna) is also required in the wireless power means according to the A4WP standar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using magnetic resonance. Therefore, in order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NFC funct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necessary to add a separate antenna for each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space for mounting all the different types of antennas in the portable terminal is narrow, but als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due to the mounting of the two types of antennas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테나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NFC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ich prevent an increase in the size of a portable terminal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ntennas, And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such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부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와, 상기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NFC 수신 안테나부와 상호 근거리 통신가능하도록 루프 형상으로 수회 권취되어 구비된 NFC 송신 안테나부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되,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직상방에 배치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ody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part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An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wound around the NFC receiving antenna unit in a loop shape so as to allow mutual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NFC reception antenna uni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witching unit for activating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wherein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is disposed in a room immediately above the transmission coil unit for wireless charging.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는 3개의 단위 코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unit may be arranged such that three unit coil unit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unit.

또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unit,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utomatically charg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unit enters the chargeable range .

또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NFC 제어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unit, the NFC controller can be activated automatical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NFC reception antenna unit enter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coverage have.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가운데이자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의 가운데에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위치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verage can be set to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transmiss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in the center of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NFC 제어부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whether or not to activate the wireless transmitting transmitting coil unit and the NFC control unit.

또한, 상기 바디부는, 차량의 내부 중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를 구획하고 쉬프트 레버가 구비된 센터 콘솔 바디의 전단부에 형성된 휴대물품 수납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ody part may be fixed to a carrying article storage part formed at a front end of a center console body which divide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nd has a shift lev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충전 표준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불필요한 안테나 개수의 증가를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부피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ing standard method of using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standard metho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nnecessary antennas of a portable termina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무선충전과 동시에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신 가능한 바, 보안 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NFC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s wireless charging, positively rece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enhancing a security func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NFC 송신 안테나의 바디부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transmission coil part for wireless charging and an NFC transmission antenna in a body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urther,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 또는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specially contradictory description,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ide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NFC 송신 안테나의 바디부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transmission coil part for wireless charging and an NFC transmission antenna in a body par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부(미도시)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와, 상기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NFC 수신 안테나부(미도시)와 상호 근거리 통신가능하도록 루프 형상으로 수회 권취되어 구비된 NFC 송신 안테나부(55)와, 상기 바디부(51)에 구비되되,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칭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dy part 51 and a body part 51 provided in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51 and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Not shown) and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unit 53 arranged to generate power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and an NFC reception antenna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is wound arou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in a loop shape so as to allow mutual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3.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is provided in the body unit 51, And a switching unit (not shown) for activating the switch 55.

여기서, 상기 바디부(51)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50) 전부의 구성은, 콘솔 바디 조립체(1)에 설치된다. Here,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ody portion 51, is provided in the console body assembly 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콘솔 바디 조립체(1)는, 차량의 내부 중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를 구획하고, 후단부에는 콘솔 박스(11)가 구비되며, 가운데에 쉬프트 레버(변속 레버)의 설치구(20) 및 컵 홀더(30)가 구비된 센터 콘솔 바디(10)의 전단부에 형성된 휴대물품 수납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은 상기 휴대물품 수납부(4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sole body assembly 1 is divided into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 seat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console box 11 is provided at a rear end thereof. The console body assembly 1 includes a shift lever (shift lever) And a portable article storage section 40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center console body 10 having the storage section 20 and the cup holder 30,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충전 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무선충전 방식 중 별도의 안테나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WPC 표준 방식에 의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방식을 채택할 것을 필수 구성으로 한다. 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ethod of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ccording to a WPC standard method, It is necessary to adopt a charging method.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방식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같은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에 송신 코일부를 구비하고, 이 송신 코일부에 전류를 인가시키면 소정의 전자기장이 발생되는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수신 코일부에 전자기장의 변화가 생기면서 전력이 생성되는 방식이다.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WPC standard method, a wireless transmitting transmission module 50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coil par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part,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A power is generated while a chang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a receiving coil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방식은, A4WP 표준 방식이 공진 주파수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전 안테나 및 수전 안테나가 각각 필요한 것과는 달리 별도의 안테나가 불요된다.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WPC standard method requires a separate antenna, unlike the A4WP standard method,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are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resonance frequency,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부피를 상기 A4WP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방식에 비하여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nnecessarily increase the volume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NFC receiving antenna unit as compar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A4WP standard method.

한편,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차량의 정보를 NFC 통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NFC 통신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 영역인 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by interacting with the NFC reception antenna uni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Here,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is a well-known technology area, and the detailed contents will be omitted.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의 직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may be disposed in a room immediately above the radio transmission transmitting coil unit 53.

이때,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는 3개의 단위 코일부(53A,53B,53C)가 일부에 한하여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may be arranged so that the three unit coils 53A, 53B and 53C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can be provided with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mitting coil part 53.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는, 가능한 한 넓은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가 차지하는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part 53 is formed to be as large as possible as a wirelessly chargeable area as large as possible and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NFC transmitting antenna part 55.

한편,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바디부(51)의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로써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감지 센서일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transmission coil unit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55. The switching unit is a switch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51 and can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And may be an oper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utomatically activates the transmission coil part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part 55. [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가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충전 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part 53 and the NFC transmitting antenna part 55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part and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part enters the wireless chargeable range, The battery of the terminal can be charged.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가 활성화되면,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NFC 제어부(미도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Likewise,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part 53 and the NFC transmitting antenna part 55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part, if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NFC receiving antenna part enter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enabled range, The NFC controller (not shown) can be activated.

NFC 제어부가 활성화되면, NFC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휴대자에게 상기 차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휴대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고유로 가지는 보안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한층 업그레이드 된 상태의 보안 인증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결제 기능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When the NFC controller is activated, it is changed to a state capable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a portable person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NFC communication. That is, the portable user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can utilize the security authentication program in a state of being further upgraded using the security function inheren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lso can use the remote payment func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의 가운데이자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의 가운데에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위치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may be set to a distance in which the NFC receive antenna sec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FC transmit antenna section 55 and in the middle of the radio transmission transmitting coil section 53.

즉,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55)가 활성화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의 근처로 접근될 때, 1차적으로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상기 충전 가능 범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충전 수신부가 들어서게 되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2차적으로 좁은 범위를 차지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NFC 수신 안테나부가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로 들어서게 되어 상술한 무선충전과 함께 상기 NFC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That is, after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part 53 and the NFC transmitting antenna part 55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part,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of the portable terminal enters the chargeable r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NFC receiving antenna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occupies a narrow range in the second place,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enabled range and is changed to the state in which the NFC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바디부(51)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NFC 제어부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57)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unit 5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57 for visually displaying whether the wireless transmitting transmitting coil unit 53 is activated and whether the NFC controller is activated.

상기 표시부(57)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가 활성화되면 제1색상을 가진 소정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NFC 제어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색상과 상이한 제2색상을 가진 소정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NFC controller is activated, the display unit 57 irradiates predetermined light having a first color whe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unit 53 is activated, and when the NFC controller is activated, So that the user can know whether the actual function is activated or not.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무선충전을 위한 안테나부의 구비가 불필요하고, 상기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과 함께 상기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n antenna unit for wireless charg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by the WPC standard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consumer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NFC communication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50)의 작동 모습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먼저,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이 가능한 수신 코일부와,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수신 안테나부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51)를 향하여 접근시킬 때, 상기 충전 가능 범위로 상기 수신 코일부가 들어서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를 활성화시킨다. First, wh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ceiving coil part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by the WPC standard method and an NFC receiving antenna part capable of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pproaches the body part 51, When the receiving coil part is received, the switching part activates the wireless transmitting transmitting coil part 53 so as to enable wireless charging by the WPC standard method.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53)에 의하여 형성된 전자기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신 코일부가 구비된 바, 별도의 제어가 없이도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WPC 표준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은 특히 차량과 같이 주행 도중 차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유격 등에 의한 충전 효율의 감소가 예상되는 바, 미도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접촉식 충전 방식이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coil portion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by automatically entering the electromagnetic range formed by the transmitting charging coil portion 53, and the charging is per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control . However, as is well known, the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the WPC standard method is expected to reduce the charging efficiency due to vibration due to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vehicle body during traveling, such as a vehicle, It is natural that the charging method is easily applied.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상기 바디부(51)로 근접되게 접근됨으로써 상기 충전 가능 범위보다 비교적 좁은 범위를 갖는 NFC 통신가능 범위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NFC 수신 안테나부가 들어서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NFC 제어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Meanwhile, when the NFC receiver antenn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nters the NFC communication range with a range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chargeable range by the portable terminal continuously approaching the body portion 51, To enable the NFC communication.

상기 NFC 통신이 가능하다는 의미는, 직접적으로 NFC 통신이 가능한 것만을 의미할 뿐, 상기 NFC 제어부에 입력되는 통신 방법 등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The meaning of the NFC communication means that only the NFC communication is directly possible, and the state wher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input to the NFC controller is included.

예컨대, 상기 NFC 제어부를 통하여 원격결제가 이루어지도록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원격결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command signal is input to perform remote settlement through the NFC controller, a remote settlement function using loc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콘솔 바디 조립체 10: 콘솔 바디
11: 콘솔 박스 20: 설치구
30: 컵 홀더 40: 휴대물품 수납부
50: 무선충전 송신 모듈 51: 바디부
53: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55: NFC 송신 안테나부
57: 표시부
1: Console body assembly 10: Console body
11: Console box 20: Installation hole
30: cup holder 40: carrying article storage part
50: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51:
53: radio transmission transmitting coil part 55: NFC transmitting antenna part
57:

Claims (7)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부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와;
상기 설치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NFC 수신 안테나부와 상호 근거리 통신가능하도록 루프 형상으로 수회 권취되어 구비된 NFC 송신 안테나부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되,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직상방에 배치된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A body part;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coil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dy to generate electric power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An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wound around the NFC receiving antenna unit in the loop shape so as to allow mutual clos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 switching unit provided in the body unit for activating the radio transmission transmitting coil unit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Wherein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is disposed in a room immediately above the wireless transmitting transmitting coi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는 3개의 단위 코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된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coil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ree unit coil portions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is provided with an area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transmiss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unit,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unit enters the chargeable ran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utomatically charged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modu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 및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구비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에 들어서면 자동으로 NFC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NFC reception antenna unit enter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when the switching unit for the wireless charging and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unit are activated by the switching unit, Charge Transmit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가능 범위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가운데이자 상기 NFC 송신 안테나부의 가운데에 상기 NFC 수신 안테나부가 위치되는 거리로 설정되는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is set to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transmiss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the NFC reception antenna section in the center of the NFC transmission antenna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무선충전용 송신 코일부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NFC 제어부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ody portion,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whether or not to activate the transmission coil part for wireless charging and whether to activate the NFC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차량의 내부 중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를 구획하고 쉬프트 레버가 구비된 센터 콘솔 바디의 전단부에 형성된 휴대물품 수납부에 고정되는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for a vehicl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eing partition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and being fixed to a carrying article storage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a center console body provided with a shift lever.
KR1020130159465A 2013-12-19 2013-12-19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KR2015007213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65A KR20150072138A (en) 2013-12-19 2013-12-19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CN201410112968.3A CN103840533A (en) 2013-12-19 2014-03-25 Vehicle wireless charge emiss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65A KR20150072138A (en) 2013-12-19 2013-12-19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38A true KR20150072138A (en) 2015-06-29

Family

ID=5080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65A KR20150072138A (en) 2013-12-19 2013-12-19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2138A (en)
CN (1) CN103840533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81A1 (en)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주)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WO2018164350A1 (en) * 2017-03-09 2018-09-13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WO2019031814A1 (en) * 2017-08-11 2019-0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oil
US10332663B2 (en) 2016-02-05 2019-06-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modul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same
US10847874B2 (en) 2015-10-23 2020-11-24 Amotech Co., Ltd. Vehicle antenna module
FR3137224A1 (en) * 2022-06-23 2023-12-29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Communic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11949170B2 (en) * 2013-08-09 2024-04-02 Intel Corporation Coil for mobile device context-driven switching and wireless char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445A (en)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서연전자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KR101661066B1 (en) * 2015-06-24 2016-09-28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system integrated wireless startup authent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6216B1 (en) * 2017-06-16 2020-07-21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ar
CN107650713A (en) * 2017-09-25 2018-02-02 盐城工学院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automobil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module
JP6977663B2 (en) * 2018-05-24 2021-1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Vehicle roof
CN112736412A (en) * 2020-12-25 2021-04-30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Hybrid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NFC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682B1 (en) * 2009-06-12 2012-05-24 정춘길 Non-contact charging system for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32205A2 (en) * 2011-08-29 2013-03-07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heterogeneous charging patterns
TW201316643A (en) * 2011-10-12 2013-04-16 Tdk Taiwan Corp Sharing induction modul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rdless charg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170B2 (en) * 2013-08-09 2024-04-02 Intel Corporation Coil for mobile device context-driven switching and wireless charging
WO2017018681A1 (en)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주)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10847874B2 (en) 2015-10-23 2020-11-24 Amotech Co., Ltd. Vehicle antenna module
US10332663B2 (en) 2016-02-05 2019-06-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modul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same
WO2018164350A1 (en) * 2017-03-09 2018-09-13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US11095137B2 (en) 2017-03-09 2021-08-17 Amosense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WO2019031814A1 (en) * 2017-08-11 2019-0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oil
FR3137224A1 (en) * 2022-06-23 2023-12-29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Communic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0533A (en)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2138A (en) Wireless Battery Charging Module of vehicles
KR10169110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10389183B2 (en)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KR102015496B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vechicle,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CN104704585B (en) For electric energy acquisition and/or the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65540B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0264528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EP3223437B1 (en) Antenna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84735B1 (en) Wireless device charging system having a shared antenna
CN101194432A (en) Device, module and method for shared antenna operation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RFID technology
US20100201533A1 (en) Conveying device information relating to wireless charging
CN102057405A (en) Mobile identification transmitter of a security system
KR20110056334A (en)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KR20140032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US20180090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ynamic Charging Attributes Of A Charging Station
CN107749760A (en) The antenna of wireless power supply is shared
KR2011004479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portable wireless power charging
CN104734275A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Depending On Position Of Fob Key
KR20150072137A (en)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of vehicles
KR101485569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for mobile handset with metallic case
KR101291044B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device
KR20130123842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70039653A (en) Device for near-field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ment on board a motor vehicle
KR101465750B1 (en) Wireless mouse system being supplied with powe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101905905B1 (en) Dual-mode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