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475A -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475A
KR20150071475A KR1020130158554A KR20130158554A KR20150071475A KR 20150071475 A KR20150071475 A KR 20150071475A KR 1020130158554 A KR1020130158554 A KR 1020130158554A KR 20130158554 A KR20130158554 A KR 20130158554A KR 20150071475 A KR20150071475 A KR 2015007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measurement
pattern
distance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크
Priority to KR102013015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475A/en
Publication of KR2015007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 G06M1/27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using photo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As saving energy becomes important, a technology capabl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person in a specific space is needed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space when there is no one in the specific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which installs two distance measuring sensors o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ing target space to determine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coming in and out of the measuring target space and a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s to recognize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coming in and out as well as simply determin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such information to manage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present in the specific place. The moving object entrance/exit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number of the moving objects, increase the number of the objects by the number of entering objects, and decrease the number of the objects by the number of exiting objec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the energy supplied to the apparatus present in the specific spa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objects.

Description

일체형 센서를 이용한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및 판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0001]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0002]

본 발명은 동체의 진출입을 판정하는 장치 및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동체의 감지 및 동체의 개체수를 카운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and exit of a moving bod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moving body entering or advancing into a space to be measured and counting the number of moving bodies.

에너지 절감이 중요해짐에 따라, 특정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공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정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는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동체의 움직임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 사람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않는다면 해당 공간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ACKGROUND ART As energy saving becomes important, a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exists in a specific space is required in order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ed in the space when no person exists in the specific space. In the past, a sensor was installed inside the measurement space to detect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and when no motion of the moving object was measured, it was determined that no person exist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f a person does not move in spite of existence of a person, it is judged that no person exists in the space.

기존에는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측정 대상 공간 출입구에 동체 진출입을 감지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동체를 감지하여 상기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 여러 동체가 동시에 진출 또는 진입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person is present in a space to be measured, a device for detecting the entry / exit of a moving body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 exit of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a moving body entering /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resenc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people existing in the space can not be accurately grasped when a plurality of moving bodies try to advance or enter at the same time.

따라서, 다수의 동체가 동시에 진출 또는 진입을 하는 경우에도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Therefore, even when a large number of moving bodies enter or enter at the same tim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technique for accurately grasping the number of persons existing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1854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11185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 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두 개의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동체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by using two distance measuring sensors installed at a space entrance of a measurement obj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 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두 개의 거리 측정 센서가 측정한 거리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진입 또는 진출 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entering or advancing by using a change in distance value measured by two distance measuring sensors provided at a space entrance of a measurement obj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 moving object located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by using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entering or advancing into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위치하는 동체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위치하는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위치하는 동체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위치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a device located in the space to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located in a space to be measured,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aratus located in a space to be measur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측정 대상 공간 입구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1 거리측정값을 제공하는 제1 거리센서, 상기 제1 거리센서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 내측 방향에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하는 제2 거리센서 및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아 동체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진출입 판정부를 포함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moving object, comprising: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a space to be measured to provide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entry / A second distance senso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to be measured on the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to provide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moving body is moving in or out, And an input / outpu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by receiving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센서는, 제1 측정신호를 방출하는 제1 송신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1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송신부에 상기 제1 측정신호 방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수신부로부터 상기 수신한 상기 제1 측정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제1 검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distance sensor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for emitting a first measurement signal, a first receiver for receivin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reflected back and forth, and a second receiver for receivin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a first detector for providing a signal for instructing emission and receivin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receiver to deriv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정신호는 직진성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진성 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signal, and the linear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an infrared ray, a laser, and an ultrasonic w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거리센서는, 제2 측정신호를 방출하는 제2 송신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2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신부에 상기 제2 측정신호 방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측정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distance sensor comprises: a second transmitter for emitting a second measurement signal; a second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cond measured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second transmitter; And a second detection unit for providing a signal indicating emission and receiving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econd reception unit to derive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정신호는 직진성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진성 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signal, and the linear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an infrared ray, a laser, and an ultrasonic w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감지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하고,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값과 제1 초기값 범위 내의 값이면 제1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하며,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상기 감지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2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하고,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값과 제2 초기값 범위 내의 값이면 제2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is sensed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value, and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i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sensing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detected, and i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ime If the value i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초기값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입하는 동체가 없는 경우에 도출되는 제1 거리측정값이며, 상기 제2 초기값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입하는 동체가 없는 경우에 도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initial value i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rived when there is no moving body entering or exiting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i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there is no moving body entering / Lt;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되면, 상기 제1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의 변화를 기록한 제1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되면, 상기 제2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의 변화를 기록한 제2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 first pattern in which a change i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record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when the first distance sensor is detected, Generating a second pattern in which a change i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record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when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detected, analyzing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pace to be measured is entered or not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패턴이 상기 제2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된 경우, 상기 제1 패턴에서 사전에 정해진 동체 감지 패턴이 n번(n은 자연수) 나타나고, 기 지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n번 나타나면 n개의 동체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입한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second patter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redetermined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in the first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that n moving bodies have entered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if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n times within the second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2 패턴이 상기 제1 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된 경우, 상기 제2 패턴에서 사정에 정해진 동체 감지 패턴 n번(n은 자연수) 나타나고, 기 지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n번 나타나면 n개의 동체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한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first patter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may display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n (n is a natural number) determined in the second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that n moving bodies have advanced into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if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n times in the first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은, 패턴을 구성하는 값이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가리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may indicate a tendency that a value constituting the pattern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출입 판정부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 판정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개체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opul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y refl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 entry / exit status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living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체수 관리부는 상기 측정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현재 개체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결과가 진입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현재 개체수를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결과가 진출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현재 개체수를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pulation present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entry / exit state is determined to be entry,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pace entry / exit state is determined to advance, the current number of the objects can be reduced by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체수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동체 개체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서 작동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 device operating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by at least one of wired or wireless based o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managed by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의 내부에 설치가 되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존재하는 인체의 신호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인체 감지부가 감지한 인체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존재 유무 결과를 상기 개체수 관리부에 제공하는 인체 감지 판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체수 관리부는 상기 진출입 판정부의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 판정과 상기 인체 감지 판정부가 제공하는 인체의 존재 유무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 개체수를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measurement object, comprising: a human body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to sense a signal of a human body existing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And a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presence / absence of a human body and providing the presence / absence result to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wherein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opulation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y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number of the objects in the space to be measur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 방법은, 측정 대상 공간 입구의 일 측면에 설치된 제1 거리센서를 통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1 거리측정값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1 거리센서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 내측 방향에 설치된 제1 거리센서를 통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아 동체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moving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whether a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rough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space to be measured Receiving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moving body moves in or out through a first distance sensor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on the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and receiving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the number of entrances / exits of the moving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using the result of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entry / exit and the entry / exit body ar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체 진출입 판정 방법은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 및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judging entry / exit of a moving body includes a step of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 result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entry / And a step of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using the result of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ving bod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 대상 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두 개의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진입 또는 진출 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파악할 수 있은 효과가 있다. 즉, 동체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 판정뿐만 아니라, 복수의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 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동체의 개체수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entering or advancing by using two distance measuring sensor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pace to be measured.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in addition to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moving body is entering or leav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moving bodies can be grasped when a plurality of moving bodies enter or advance.

또한, 측정 대상 공간으로의 동체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측정 대상 공간 내 전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located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oving body enters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control the electric devic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ccording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의 배치 개념도이다.
도 2a 내비 도 2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할 때 제1 거리측정값과 제2 거리측정값의 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할 때 제1 거리측정값과 제2 거리측정값의 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할 때 제1 거리측정값과 제2 거리측정값의 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layout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block diagram of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entrance and ex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hrough 4D illustrate variations of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one moving body enters a space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6B illustrate a variation of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two moving bodies enter a measurement objec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show variations o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three moving bodies enter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judging entry / exit of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동체 진출입 판정과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체의 진출입 판정 및 상기 동체의 개체수를 바탕으로, 측정 대상 공간의 개체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측정 대상 공간의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entry / exit of a moving body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a method of managing the number of the objects to be measur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of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entry / exit of the body and the number of the bodie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의 배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의 구성도이다.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evice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mov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2A.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arrangement of a device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fusel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entry / exit of a fusela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의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는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의 일 측면에 설치된다. 이 때, 제2 거리센서(120)는 제1 거리센서(110)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102) 내측 방향에 설치가 된다.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서는 아니 되며,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폭(d)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of the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t this time,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hould not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width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출입구의 일측면은 상기 출입구의 좌우 측면 뿐만 아니라 상기 출입구의 상단과 하단도 포함한다.One side of the doorway includes not only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way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way.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는 거리 측정용 센서이다. 제1 거리센서(110) 는 제1 송신부(112) 및 제1 수신부(114)를 포함하고, 제2 거리센서(120)는 제2 송신부(122) 및 제2 수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112)는 제1 측정 신호를 방출하고, 제1 수신부(114)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1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제2 송신부(122)는 제2 측정 신호를 방출하고, 제2 수신부(124)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2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re sensors for distance measurement.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may include a first transmitter 112 and a first receiver 114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may include a second transmitter 122 and a second receiver 124. have. The first transmitter 112 emits a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the first receiver 114 receives the reflected first measurement signal.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2 emits a second measurement signal,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24 receives the reflected second measurement signal.

상기 제1 측정 신호 및 상기 제2 측정 신호는 전자기파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 신호는 적외선 신호, 레이저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The electromagnetic wave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an infrared signal and a laser signal.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는 상기 수신된 제1 측정 신호 및 제2 측정 신호를 분석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산출에 대한 설명은 도 2a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y analyzing the received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The distance calcul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a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들이 블록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록 또는 각 블록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 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r each block combina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ose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s) are also capable of producing manufacturing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actually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는 제1 거리센서(110), 제2 거리센서(120) 및 진출입 판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거리센서(110)는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 일 측면에 설치되고, 제2 거리센서는(120)는 제1 거리센서(110)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102) 내측 방향에 설치된다. 2A, the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distance sensor 110, a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an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1,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space to be measured 102,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102.

제1 거리센서(110)는 제1 송신부(112), 제1 수신부(114) 및 제1 검출부(115)를 포함한다. 제1 송신부(112)는 제1 측정신호를 방출하고, 제1 수신부(114)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1 측정신호를 수신한다. 제1 검출부(115)는 상기 제1 송신부(112)에 제1 측정신호 방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제1 수신부(114)로부터 상기 수신한 제1 측정신호를 제공 받는다. 제1 검출부(115)는 상기 수신한 제1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측정신호가 반사된 지점과 제1 거리센서(11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112, a first receiver 114, and a first detector 115. The first transmitter 112 emits a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the first receiver 114 receives the reflected first measurement signal.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provides a signal for instruct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2 to release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receives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from the first reception unit 114.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may derive and output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ing a distance between a point where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is reflected and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based on the received first measurement signal have.

상기 제1 측정신호는 직진성 신호로 구성이 된다. 상기 직진성 신호는 전자기파, 초음파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는 적외선, 레이저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is configured as a linear signal. The linearity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an electromagnetic wave and an ultrasonic wave. The electromagnetic wave may include any one of an infrared ray and a laser.

제1 검출부가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서, 제1 검출부(115)는 적외선을 상기 제1 측정신호로 사용하는 경우에 제1 송신부(112)에서 적외선을 방출한 후 제1 수신부(114)가 반사된 상기 적외선을 수신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빛의 속도를 곱해서 도출되는 값을 상기 제1 거리측정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A method for deriving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by the first detection uni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or example, when the first detecting unit 115 emits infrared rays from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2 when the infrared ray is used as the first measuring signal, when the first receiving unit 114 receives the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114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peed of light by the time taken to output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제2 거리센서(120)는 제2 송신부(122), 제2 수신부(124) 및 제2 검출부(125)를 포함한다. 제2 송신부(122)는 제2 측정신호를 방출하고, 제2 수신부(124)는 반사되어 되돌아온 제2 측정신호를 수신한다. 제2 검출부(125)는 상기 수신한 제2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제2 거리센서와 상기 반사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2 거리측정값을 도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ncludes a second transmitter 122, a second receiver 124, and a second detector 125.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2 emits a second measurement signal,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24 receives the reflected second measurement signal.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may derive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tance sensor and the reflected poin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measurement signal.

상기 제2 측정신호는 상기 제1 측정신호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검출부(125)가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것은 제1 검출부(115)가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derive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because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can deriv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a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센서(110)의 제1 검출부(115)로부터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제공 받고, 제2 거리센서(120)의 제2 검출부(125)로부터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 받아서, 동체의 측정 대상 공간(102)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검출부(115) 및 제2 검출부(125)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중에서 어느 한 방식으로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방식은 RF 통신, WiFi 통신 중에서 어느 한 방식일 수 있다.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150 receive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receive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e space to be measured 102 and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to which the moving object enters.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receiv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from either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or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either in a wireless manner or in a wired manner. The wireless scheme may be one of RF communication and WiFi communic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초기값, 제2 초기값 및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초기값은 동체가 진출입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며, 상기 제2 초기값은 동체가 진출입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다. 상기 제1 초기값과 상기 제2 초기값은 거리센서로부터 맞은편 출입구의 일 측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1 초기값과 상기 제2 초기값은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초기값과 상기 제2 초기값은 같은 값으로 가정하고, 이 때 제1 초기값 또는 제2 초기값을 초기값이라고 한다.) 상기 기준값은 진출입 판정부(150)가 상기 제1 거리측정값과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 받았을 때, 동체의 진출입으로 판정하기 위한 제1 거리측정값 및 제2 거리측정값의 최대값이다. 즉,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센서(110)가 동체를 감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일 때,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2 거리센서(120)가 동체를 감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tore the first initial value, the second initial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initial value i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the moving body does not enter and exit,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i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en the moving body does not enter and exit. The first initial valu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may represent the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to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and the first initial valu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may have the same valu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initial valu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are assumed to be the same value, and the first initial value or the second initial value is referred to as an initial value. Is a maximum value of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for determining the entry and exit of a moving body whe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re provided. That is, whe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at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senses the moving body. Whe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enses the moving bod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값은 상기 초기값에 기 지정된 비율을 곱하여 도출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제1 초기값과 제2 초기값이 1 m 로 동일하면 상기 초기값은 1 m 이고, 상기 기 지정된 비율이 80% 라고 하면, 상기 기준값은 1 m X 0.8 = 80 cm 가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derived by multiplying the initial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if the first initial valu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are equal to 1 m, the initial value is 1 m, and if the predetermined ratio is 80%, the reference value is 1 m X 0.8 = 80 cm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설치된 후에 임의로 지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출입구의 가로 폭이 1 m 인 경우에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설치한 후, 상기 기준값은 80 cm 로 지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arbitrarily designated after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talled. For example, after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talled when the width of the entrance is 1 m, the reference value may be designated as 80 cm.

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센서(110)가 동체를 감지한 때부터 다시 제1 거리센서(110)가 동체를 미감지 할 때까지 제1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복수의 동체 진출입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사정에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1 초기값 이하인 값을 가리킬 때 제1 거리센서(110)가 동체를 미감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2 거리센서(120)가 동체를 감지한 때부터 다시 제2 거리센서(120)가 동체를 미감지 할 때까지 제2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복수의 동체 진출입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사정에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 초기값 이하인 값을 가리킬 때 제2 거리센서(120)가 동체를 미감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generate the first pattern until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detects the moving body again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senses the moving body . Whe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initial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etermined in the assessmen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Can detect that the moving body is undetect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generate the second pattern from when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enses the moving body until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enses the moving body again. Whe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nd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initial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determined in the assessmen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 Can detect that the moving body is undetected.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패턴은 시간 순서대로 수집한 제1 거리측정값의 집합이며 상기 제2 패턴은 시간 순서대로 수집한 제2 거리측정값의 집합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패턴은 시간 순서로 수집한 제1 거리측정값의 이전 값과 제1 거리측정값의 현재 값의 차이의 집합이며, 상기 제2 패턴은 시간 순서로 수집한 제2 거리측정값의 이전 값과 제2 거리측정값의 현재 값의 차이의 집합일 수 있다.The first pattern may be a set of first distance measurements collected in time order, and the second pattern may be a set of second distance measurements collected in time 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is a set of differences between a previous value of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collected in a time order and a current value of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may be a set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value of the distance measurement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이 모두 생성이 되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을 바탕으로 동체의 측정 대상 공간(102)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이 상기 제2 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되었으면 동체의 진입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2 패턴이 상기 제1 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되었으면 동체의 진출로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서 사전에 정의된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은 진출입 판정부(150)가 하나의 동체가 거리센서의 앞을 지나갈 때 거리센서가 출력하는 거리측정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패턴이다. 예를 들어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은 거리측정값이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패턴일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가 n(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2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가 n이면, 상기 진출입하는 동체의 개체수는 n 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동체가 정상적으로 측정 대상 공간(102)를 진출입한다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는 동일하여야 한다.When both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generat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 exits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102 based on the first pattern and the first pattern, The number of entrances and exits can be determined. When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second patter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body has enter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and if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first pattern, the entry / .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redefined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s a pattern indicating a change in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 by the distance sensor whe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passes one of the moving objects ahead of the distance sensor. For example,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may be a pattern indicating a tendency that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creases and then increases. If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is n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second pattern is n, the entry / Can be judged to be n. If the moving body normally enters and leaves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should be the same.

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판정부(150)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서 변곡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패턴인 경우에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값을 미분하여 미분값이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는 변곡점을 찾으면, 상기 동체 감지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이 될 수 있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detecting an inflection point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Method can be used. For example, if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s decreased and then the pattern is incremented, i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value are differentiated to find an inflection point where the differential value changes from a negative value to a positive value, It can be a pattern matching the detection patter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출입 판정부(150)를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 와 떨어진 곳에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센서들(110, 120)만 따로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에 설치를 하면, 설치비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 시공이 쉬워지고 유지 관리가 쉬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 거리센서(110)와 제2 거리센서(120)가 상기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와 무선으로 연결이 되면, 유선으로 연결될 때보다 설치가 더 용이해지는 유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object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be install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f the sensors 110 and 120 are installed separately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102,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and the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ving object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device,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becomes easier than wh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re connected by wire.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에 관하여 도 3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7C.

먼저,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하는 하나의 동체를 판정하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을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상단 그래프(510, 512, 514, 516)는 제2 검출부(125)가 출력하는 제2 거리측정값을 시간축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하단 그래프(511, 513, 515, 517)는 제1 검출부(115)가 출력하는 제1 거리측정값을 시간축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for determining one moving body entering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The upper graphs 510, 512, 514 and 516 in FIGS. 3A to 3D are graphs showing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s output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and the lower graphs 511, 513, 515 and 517 Is a graph showing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 by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도 3a는 동체(210)가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하기 전 상태의 신호 수신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송신부에서 방출된 제1 측정신호는 중간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으므로 측정 대상 공간(102) 출입구의 맞으편 벽에 반사되어서 제1 수신부에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제1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제1 검출부(115)가 출력하는 제1 거리측정값이 제1 초기값(dw)이다. 제2 송신부에서 방출된 제2 측정신호도 중간에 아무런 장애물을 만나지 않으므로, 제2 검출부가 출력하는 제2 거리측정값이 제2 초기값(dw)이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D)보다 모두 크기 때문에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이 동체를 미감지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3A shows signal reception in a state before the moving body 210 enters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is reflected by the opposite wall of the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because there is no obstacle in the middle, and is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an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measurement signal,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 by the detection unit 115 is a first initial value dw. Since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lso does not encounter any obstacle in the middle,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is the second initial value dw. Sinc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re both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10 are in the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ving body 120 has missed the moving body.

도 3b 내지 도 3c는 동체(210)가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하는 중인 상태의 신호 수신을 도시한 것이다. 3B to 3C illustrate signal reception in a state where the moving body 210 is entering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도 3b에서 동체(210)는 시간 t1일 때, 제1 거리센서(110) 앞 쪽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송신부에서 방출되는 제1 측정신호는 동체(210)에 반사되어 제1 수신부(114)에 수신되게 된다. 제1 검출부(115)는 제1 수신부(114)가 수신한 상기 제1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제1 거리센서(110)와 동체(210) 사이의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한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은 기준값(D)보다 작은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동체(210)는 아직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지 않았으므로, 제2 거리측정값은 여전히 제2 초기값(dw)이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센서(110)가 동체(210)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거리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3B, the moving body 21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t a time t1, and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is reflected by the moving body 210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ceiver 114, As shown in FIG.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derive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betwe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moving body 210 based on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ption unit 114.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13,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Since the body 210 has not yet passed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is still the second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senses the moving body 210, and starts generating the first pattern based o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도 3c에서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를 지나쳐서 제2 거리센서(120) 앞에 위치한 상태이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15)와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14)을 참조하면, 시간 t2일 때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을 지나차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를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 생성을 완료한다. 시간 t3일 때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하므로, 제2 송신부에서 방출한 제2 측정신호는 동체(210)에 반사되어 제2 수신부에 수신된다. 제2 검출부(125)는 상기 수신된 제2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동치(210)과 제2 거리센서(120) 사이의 거리인 제2 거리측정값을 도출하여 출력한다.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은 기준값(D)보다 작은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3부터 제2 거리센서(120)가 동체(210)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거리측정값을 기록하는 제2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In FIG. 3C, the body 2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by passing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15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14, since the moving body 210 passes through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t time t2, 1 Indicates the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ompletes the first pattern generation. At time t3, the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o that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tter is reflected on the body 210 and is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er.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derives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equivalent value 2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measurement signal.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d value graph 514,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distance measured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senses the moving body 210 from time t3 and starts generating the second pattern for recording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도 3d에서 동체(210)는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을 완료한 상태이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17)와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16)를 참조하면, 시간 t4일 때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를 지나쳐서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을 완료한다.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 앞에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를 가리키고 제 2 거리측정값은 제2 초기값(dw)를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동체(210)가 출입구를 완전히 지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패턴의 생성을 완료한다.In FIG. 3D, the moving body 210 has entered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17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16, at time t4, the moving body 210 passes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o enter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Complet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the first initial value dw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the second initial value dw because no obstacle exist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 Lt; / RTI >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body 210 ha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entrance / exit, and complete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pattern.

진출입 판정부(150)가 상기 생성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이용하여 동체의 측정 대상 공간(102)로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enters or advances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using the generated first pattern and second pattern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will be described next.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턴은 도 3d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17)의 t1에서 t2까지 구간의 값의 집합이다. 상기 제2 패턴은 도 3d의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16)의 t3에서 t4까지 구간의 값의 집합이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에서 동체 감지 패턴이 몇 번 출현하는지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은 거리측정값이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값의 변화 패턴이며,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 출현하는 회수를 동체의 개체수로 판정한다. 상기 제1 패턴에서는 t1에서 t2 구간에서 한 번 감소했다가 증가하고, 제2 패턴에서는 t3에서 t4 구간에서 한 번 감소했다가 증가한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패턴에서는 하나의 동체 감지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정하고, 제2 패턴에서도 하나의 동체 감지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진출입한 동체의 개체수는 1로 판정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is a set of values of the interval from t1 to t2 o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17 in Fig. The second pattern is a set of values of the interval from t3 to t4 o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16 in Fig.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how many times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s a variation pattern of a value obtained by decreasing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s the number of the moving object. In the first pattern, it decreases once in the interval from t1 to t2 and increases, and in the second pattern, it decreases once in the interval from t3 to t4, and then increases.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on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first pattern, and determines that on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even in the second pattern, and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the moving objects entered / exited is one.

본 실시예에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한 것인지 진출한 것인지 판정하기 위해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의 생성 선후 시간을 판단한다. 제1 패턴이 먼저 생성되었으면, 동체는 제1 거리센서(110)부터 지나친 것이 되므로 진입으로 판정하고, 제2 패턴이 먼저 생성되었으면, 동체는 제2 거리센서(120)부터 지나친 것이 되므로 진출로 판정할 수 있다. 제1 패턴은 t1에서 t2시간 사이이며, 제2 패턴은 t3에서 t4시간 사이고, t3는 t2보다 이후의 시간이므로 제1 패턴의 생성이 빠르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동체가 진입한 것으로 판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e generation post-occurrence time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ving body has entered the space to be measured or advanced. When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first, the moving body is judged as entering because it is excessive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when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first, the moving body is past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can do. The first pattern is between t1 and t2, the second pattern is between t3 and t4, and t3 is later than t2, so that the generation of the first pattern is fast.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moving body has entered.

다음으로,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입하는 하나의 동체를 판정하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다른 동작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상단 그래프(520, 522, 524, 526)는 제2 검출부(125)가 출력하는 제2 거리측정값을 시간축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하단 그래프(521, 523, 525, 527)는 제1 검출부(125)가 출력하는 제1 거리측정값을 시간축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Next, another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for determining one moving body entering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The upper graphs 520, 522, 524 and 526 in FIGS. 4A to 4D are graphs showing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s output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and the lower graphs 521, 523, 525 and 527 Is a graph showing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 by the first detection unit 125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거리센서(110)및 제2 거리센서(120)의 설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또는 측정 대상 공간(102)에 진출입하는 동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을 나타낸다.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installation distance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s relatively narrow or when the size of the moving body entering and leaving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is relatively large, (150).

도 4a는 시간 t1 일 때, 동체(210)가 제1 거리센서(110)의 앞을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거리센서(110)의 제1 송신부(112)에서 방출한 제1 측정신호는 동체(210)에 반사되어 제1 수신부(114)에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제1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제1 검출부는 제1 거리측정값을 출력한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1)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은 기준값(D)보다 작은 값이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제2 거리센서(120) 전방에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0)를 참조하면 제2 거리측정값은 제2 초기값(dw)을 가리킨다.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210 passe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t time t1.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112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is reflected by the body 210 and is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114. Based on the received first measurement signal, 1 detection unit output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1,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starts generating the first pattern. Since there is no obstacle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0,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second initial value dw.

도 4b는 시간 t5일 때, 동체(210)가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의 앞을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송신부(112)에서 방출된 제1 측정신호와 제2 송신부(122)에서 방출된 제2 측정신호는 모두 동체(210)에서 반사된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3) 및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은 모두 기준값(D) 보다 작은 값이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2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210 passe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t time t5.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112 and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e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tter 122 are both reflected from the body 210.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3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2,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are both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starts generating the second pattern.

도 4c는 시간 t6일 때, 동체(210)가 제1 거리센서(110)를 지나쳐서 제2 거리센서(120)를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거리센서(110) 앞에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5)를 참조하면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를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거리측정값이 제1 초기값(dw)로 일정하기 때문에 제1 패턴의 생성을 완료한다. 제2 거리센서(120) 앞에 동체(210)가 있기 때문에,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245)를 참조하면 제2 거리측정값은 기준값(D)보다 작은 값을 가리킨다. 4C shows a state where the moving body 210 pass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passes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t time t6. Since there is no obstacle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5,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first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ompletes the generation of the first pattern sinc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constant at the first initial value dw.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45,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valu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because the body 210 i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도 4d는 시간 t7일 때, 동체(210)가 측정 대상 공간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7) 및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26)을 참조하면,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 앞에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를 가리키고 제2 거리측정값은 제2 초기값(dw)를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2 거리측정값이 제2 초기값(dw)로 일정하기 때문에 제2 패턴의 생성을 완료한다. FIG. 4D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210 has completed entry into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at time t7.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7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526, since there are no obstacle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ndicates a first initial value dw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indicates a second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omplete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pattern since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constant at the second initial value dw.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생성이 완료가 되면, 동체의 진출입 여부와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d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27)에서 제1 패턴의 구간은 t1에서 t6까지 이며,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26)에서 제2 패턴의 구간은 t5에서 t7까지 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패턴에는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동체 감지 패턴이 1회, 상기 제2 패턴에는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1회 출현한다. 상기 제1 패턴은 t1 시간에 생성되고 상기 제2 패턴은 t1보다 이후의 시간인 t5에 생성된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동체(210)가 측정 대상 공간(102)으로 진입하였고, 진입한 동체의 개체수는 1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s complet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moving body is entering or exiting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y. I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27 of FIG. 4D, the first pattern interval is from t1 to t6,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26 is from t5 to t7. Accordingly,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ncreases once in the first pattern, and once in the second pattern.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at time t1 and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at time t5 which is later than t1.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at the moving body 210 has entered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nd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entered is one (1).

도 3a 내지 도 3d의 경우와 도 4a 내지 도 4d 를 참조하면, 제1 거리센서(110)와 제2 거리센서(120)의 설치 간격 및 진출입하는 동체의 크기는, 진출이 판정부(150)가 생성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형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판정부(150)의 진출입 판정 방법은 제1 거리센서(110)와 제2 거리센서(120)의 설치 간격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고, 어떤 크기의 동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3A to 3D and FIGS. 4A to 4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ize of the moving body, Does not affect the shape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hape of the second pattern generated by the second pattern.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method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he same can be applied.

이제 도 5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일정 거리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하여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지나가는 경우에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상단 그래프(530, 532, 534, 536, 540, 542)는 시간 축에 대한 제2 거리측정값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하단 그래프(531, 533, 535, 537, 541, 543)는 시간 축에 대한 제1 거리측정값의 그래프를 나타낸다.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D when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continuously pass through the entrance /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upper graphs 530, 532, 534, 536, 540 and 542 of the respective figures show graphs o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s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and the lower graphs 531, 533, 535, 537, 541, Lt; / RTI > shows a graph of first distance measurements for the axis.

도 5a는,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연달아서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에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동체(210)는 제2 동체(220)보다 앞서며 좀 더 오른쪽에 치우쳐 있다. 시간 t1일 때 제1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에 위치한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31)을 참조하면, 시간 t1부터 제1 검출부는 기준값(D)보다 짧은 제1 거리측정값을 출력한다.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30)을 참조하면, 제2 검출부는 제2 초기값(dw)을 출력한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부터 제1 패턴 생성을 시작할 수 있다.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successively ente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ahead of the second moving body 220 and is further biased to the right. At time t1,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31, the first detection unit output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short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from time t1.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30, the second detection unit outputs a second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start generating the first pattern from time t1.

도 5b는,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연달아서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시간 t10일 때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에 위치하고 제2 동체(22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에 위치한다.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33)을 참조하면, 시간 t1부터 시간 t10 사이에 제1 동체가 제1 거리센서(110)를 지나가므로 제1 거리측정값은 감소했다가 증가하고, 시간 t10 이후부터는 제2 동체(220)가 제1 거리센서(110) 앞에 위치하므로 제1 거리측정값은 다시 감소한다.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32)를 참조하면, 시간 t10부터 제1 동체(210)가 제2 거리센서(120) 앞에 위치하므로 제2 거리측정값은 기준값(D) 이하로 감소한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0부터 제2 패턴 생성을 시작할 수 있다.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At time t10,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33, since the first moving body pass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between the time t1 and the time t10,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fter the time t10 Since the second body 2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again.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graph 532, since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from time t10,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decreased to be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D.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start generating the second pattern from time t10.

도 5c는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연달아서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지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시간 t11일 때, 제1 동체(210)는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지나서 진입을 완료한 상태이고,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에 위치한 상태이다. 상단 그래프(534)를 참조하면, 시간 t10부터 시간 t11 사이에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므로 제2 거리측정값을 감소했다가 증가하고 시간 t11부터는 제2 동체(220)가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므로 제2 거리측정값은 다시 감소한다. 하단 그래프(535)를 참조하면, 시간 t10부터 시간 t11 사이에 제2 동체(22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므로 제1 거리측정값은 감소했다가 증가하고 시간 t11부터는 제1 거리센서(110) 앞에 동체가 없으므로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을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1 일 때, 제1 패턴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5C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At time t11,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entrance and entrance,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 Referring to the upper graph 534, since the first moving body 210 passes the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between the time t10 and the time t11,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decreased and increased, and from the time t11, Since the body 220 passe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again. Referring to the lower graph 535, since the second moving body 220 pass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between the time t10 and the time t11,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nd from the time t11, Since there is no moving body in front of the distance sensor 110,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the first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complete the first pattern generation at time t11.

도 5d는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연달아서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지나가고 진입을 완료한 상태이다. 시간 t12일 때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서 진입을 완료하고,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 앞에는 아무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1 거리측정값의 그래프(537)를 참조하면, 제1 거리측정값은 제1 초기값(dw)을 가리킨다. 제2 거리측정값의 그래프(536)를 참조하면, 시간 t11 에서 시간 t12 사이에 제2 동체(220)가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므로 제2 거리측정값은 감소했다가 증가하고 시간 t12부터 제2 거리측정값은 제2 초기값(dw)을 가리킨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2일 때 제2 패턴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5D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successively pass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nd have completed entry. At time t12, the second moving body 220 passes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completes the entry, and there are no obstacle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 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37,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ndicates a first initial value dw. Referring to the graph 536 o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since the second moving body 220 passes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between the time t11 and the time t12,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from time tl2 indicates the second initial value dw.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complete the second pattern generation at time t12.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생성이 완료가 되면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분석하여 동체의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한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다. 도 5d의 상기 제1 패턴은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37)에서 t1부터 t11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36)에서 t10부터 t12에 해당한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이 시간 t1부터 생성되고 상기 제2 패턴이 시간 t1보다 이후인 시간 t10부터 생성이 되기 때문에 동체의 진입으로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에서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동체 감지 패턴이 2 번 나타나고, 상기 제2 패턴에도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2 번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진입한 동체의 개체수는 2라고 판정할 수 있다. 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s complet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analyze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ving body has entered or exited and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The first pattern of FIG. 5D corresponds to t1 to t11 i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37, and the second pattern corresponds to t10 to t12 i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36. FIG.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may generate the first pattern from the time t1 and the second pattern since the time t10 after the time t1, so tha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at the vehicle enters.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is two because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increases twice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twice in the second pattern .

다음으로 도 6a 내지 6b를 참조하여,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진출입하는 다른 경우에 대해서 진출입 판정부(150)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B,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for another case in which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enter and exi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6a는, 두 개의 동체가 일렬로 나란히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통과하였을 때의 상태이다. 시간 t1일 때 제1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0일 때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하며 제2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 시작한다. 시간 t11 일 때 제1 동체(210)는 상기 출입구를 지나 진입을 완료하였으며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2일 때 제2 동체(220)는 상기 출입구를 지나 진입을 완료한다. 제1 동체(210)와 제2 동체(220)는 일렬로 나란히 진입을 하기 때문에, 제1 동체(210)가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에 의해서 감지된 거리는 제2 동체(220)가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에 의해서 감지된 거리와 값은 값을 가리킨다. 6A shows a state in which two moving bodies are passed through an entrance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side by side in a row. At time t1,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At time t10,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10 starts passing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At time t11, the first moving body 210 completes entry through the entrance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t time t12, the second moving body 220 completes entry through the entrance.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of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ving body 21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The distance and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indicate the value.

도 6a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41)를 참조하면,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 에서 시간 t11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제1 패턴을 생성한다. 도 6a의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40)를 참조하면,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0 에서 시간 t12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제2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을 바탕으로,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의 생성 시작 시간(t1)이 상기 제2 패턴의 생성 시작 시간(t10)보다 빠르므로 동체의 진입으로 판정할 수 있다.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에서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동체 감지 패턴이 2회 출현하고 상기 제2 패턴에도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2회 출현하므로 2 개의 동체가 진입 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41 of FIG. 6A,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generates a first pattern corresponding to a period between time t1 and time t11.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40 of FIG. 6A,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generates a second pattern corresponding to a period between time t10 and time t12. Based o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generation start time t1 of the first pattern is faster than the generation start time t10 of the second pattern, .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wo moving bodies have entered since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increases twice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twice in the second pattern .

도 6b는, 두 개의 동체(210, 220)가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상태이다. 제1 동체(210)는 제2 동체(220)보다 앞에 있으며, 상대적으로 왼쪽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상기 출입구를 통과한다. 시간 t1일 때 제1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0일 때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하며 제2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1 일 때 제1 동체(210)는 상기 출입구를 지나 진입을 완료하였으며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2일 때 제2 동체(220)는 상기 출입구를 지나 진입을 완료한다. 제1 동체(210)이 제2 동체(220)보다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제1 동체(210)가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에 의해서 감지된 거리는 제2 동체(220)가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에 의해서 감지된 거리보다 길게 검출된다.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two moving bodies 210 and 220 pass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s shown in FIG.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ahead of the second moving body 220 and passes through the entrance with a relatively left-handed position. At time t1,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At time t10,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At time t11, the first moving body 210 completes entry through the entrance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t time t12, the second moving body 220 completes entry through the entrance. Since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biased to the left of the second moving body 220, the distance sens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o the first moving body 210, (220) is detected longer than the distance sens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도 6b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43)를 참조하면,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 에서 시간 t11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제1 패턴을 생성한다. 도 6b의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42)를 참조하면, 진출입 판정부(150)는 시간 t10 에서 시간 t12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제2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을 바탕으로,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의 생성 시작 시간(t1)이 상기 제2 패턴의 생성 시작 시간(t10)보다 빠르므로 동체의 진입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진출입 판정부(150)는 상기 제1 패턴에서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동체 감지 패턴이 2회 출현하고 상기 제2 패턴에도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2회 출현하므로 2 개의 동체가 진입 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 543 of FIG. 6B,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generates a first pattern corresponding to a period between time t1 and time t11. Referring to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42 of FIG. 6B,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generates a secon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ime t10 and time t12. Based o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generation start time t1 of the first pattern is faster than the generation start time t10 of the second pattern, . Further,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wo moving bodies have entered since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increases twice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twice in the second pattern have.

다시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두 개의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진입할 때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두 개의 동체가 연속하여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는 경우, 각 동체마다 거리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거리측정값은 다를 수 있지만, 상기 거리측정값의 패턴에는 동체 감지 패턴이 동일하게 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동체가 진출입 할 때 거리 센서가 출력하는 거리측정값을 바탕으로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패턴에서 미리 지정된 동체 감지 패턴의 출현 회수를 파악하여 상기 진출입하는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진출입 판정부(150)는 각 거리 센서가 출력하는 거리측정값의 패턴 생성 순서에 따라서 동체의 진출 또는 진입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5A to 6B, 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when the two moving bodies enter the entrance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where two moving bodies continuously enter the entrance,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may be different for each moving bod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uniformly in the pattern of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generates a pattern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outputted by the distance sensor when the body moves in and out, grasps the number of appearance of the predetermined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in the pattern, Can be determined. Furtherm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moving body advances or not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generation order of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s output by the respective distance sensors.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세 개의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102)을 진입할 때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7A to 7C, 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when the three moving bodies enter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a 내지 도 7c는 세 개의 동체(210, 220, 230)가 측정 대상 공간(102)의 출입구를 지나가는 세 가지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상단 그래프는 제2 거리센서(120)의 제2 검출부가 출력하는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50, 552, 554)이고, 하단 그래프는 제1 거리센서(110)의 제1 검출부가 출력하는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51, 553, 555)를 나타낸다. 7A to 7C show three cases in which the three moving bodies 210, 220 and 230 pass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IG. The top graph of each drawing i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 550, 552, 554 output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bottom graph i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551, 553, and 555 that output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s.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시간 t1일 때 제1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의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 에서 시간 t10 사이에 제1 동체(210)는 제1 거리센서(110)를 지나간다. 시간 t10 일 때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하고, 제2 동체(22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0 에서 시간 t11 사이에 제1 동체(210)는 제2 거리센서(120)의 앞을 지나가고, 제2 동체(220)는 제1 거리센서(110)의 앞을 지나간다. 시간 t11일 때 제1 동체(210)는 측정 대상 공간(102)으로 진입을 완료하며,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하고, 제3 동체(23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1에서 시간 t12 사이에 제2 동체(22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고, 제3 동체(230)는 제1 거리센서(110) 앞을 지나간다. 시간 t12일 때 제2 동체(220)는 측정 대상 공간(102)으로 진입을 완료하며 제3 동체(23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가기 시작한다. 시간 t12 에서 t13사이에 제3 동체(230)는 제2 거리센서(120) 앞을 지나간다. 시간 t13일 때 제3 동체(230)는 측정 대상 공간(102)으로 진입을 완료한다.Referring to FIGS. 7A to 7C, at time t1,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FIG. Between time t1 and time t10, the first moving body 210 pass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At time t10, the first moving body 21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 The first moving body 210 passe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0 passes in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between time t10 and time t11. At time t11, the first moving body 210 completes entry into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the second moving body 220 start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Passes through the front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The second moving body 220 passes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nd the third moving body 230 pass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between the time t11 and the time t12. At time t12, the second moving body 220 completes entry into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and the third moving body 230 begins to pas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 Between times t12 and t13, the third body 230 passes in front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At time t13, the third moving body 230 completes the entry into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도 7a 내지 도 7c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51, 553, 555)를 참조하면, 제1 거리센서(110)가 검출한 제1 동체(210)의 거리측정값(시간 t1 에서 t10 구간), 제2 동체(220)의 거리측정값(시간 t10에서 t11 구간) 및 제3 동체(230)의 거리측정값(시간 t11에서 t12 구간)는 동체들(210, 220, 230)의 서로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1 동체(210)는 제일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제2 동체(220)는 제일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제3동체(230)는 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거리측정값의 크기 순서는 제2 동체(220)의 제1 거리측정값, 제3 동체(230)의 제1 거리측정값, 제1 동체(210)의 제1 거리측정값 순서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의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50, 552, 555)에도 시작 시간만 다를 뿐 동일한 관계가 나타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s 551, 553 and 555 of FIGS. 7A to 7C,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s (time t1 to t10) of the first moving body 210 detect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T11 to t12) of the second body 220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s of the third body 230 (time t11 to t12) of the bodies 210, 220 and 230 It can be seen that it depends on the relationship. For example, in FIG. 7A, since the first moving body 210 is biased to the left, the second moving body 220 is biased to the right, and the third moving body 2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It can be seen that the order i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body 220,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third body 230, and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body 210. The same relationship is shown only i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graphs 550, 552, 555 in FIGS. 7A to 7C except for the start time, and thus a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진출입 판정부는 도 7a 내지 도 7c의 제1 거리측정값 그래프(551, 553, 555)를 바탕으로 시간 t1 에서 시간 t12 구간에 해당하는 제1 패턴을 생성하고, 제2 거리측정값 그래프(550, 552, 554)를 바탕으로 시간 t10 에서 시간 t13 구간에 해당하는 제2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는 감소했다 증가하는 동체 감지 패턴이 각각 3 번씩 나타나 있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진출입한 동체의 개체수가 3 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진출입 판정부(150)는 제1 패턴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시간 t1은 제2 패턴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시간 t10보다 빠르므로,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102)을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graphs 551, 553, and 555 of FIGS. 7A to 7C,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 first pattern corresponding to a time interval t1 to t12, 552 and 554, a second pattern corresponding to a time interval t10 to t13 is generated.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 reduced and increased body detection pattern is displayed three tim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at the number of entrances / exits of the moving body is three. Further, since the time t1 at which the first pattern starts to be generated is earlier than the time t10 at which the second pattern starts to be generated,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at the moving body has entered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102.

다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진출입 하는 동체의 개체수가 3인 경우에도,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에서 각 동체에 대한 거리센서의 거리측정값만 달라질 뿐, 동체 감지 패턴은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는 거리측정값 패턴에서 동체 감지 패턴이 출현하는 회수를 바탕으로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할 수 있고, 각 거리 센서의 거리측정값 패턴의 생성 선후를 바탕으로 동체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to 7C again, only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s of the distance sensors for the respective moving bodies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 number of entrances and exits is thre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can determine the number of entrances / exit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appears in the distance measurement pattern. Based on the generation of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pattern of each distance sensor, Or whether to advance or not.

이상으로, 도 3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진출입 판정부(15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도 3a 내지 도 7c는 하나 내지 세 개의 동체의 진입에 대한 예시이다. 본 실시예의 제1 거리센서(110) 및 제2 거리센서(120)는 단순히 진출입하는 동체의 감지 또는 미감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진출입하는 동체와의 거리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진출입 판정부(150)가 동체의 진출입 여부와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방법은 임의의 n 개의 동체가 연속하여 진출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us, the operation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7C. Figures 3a-c illustrate the entry of one to three fuselages.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output a distance from a moving body to be entered or exited, rather than outputting any one of detection or non-detection of a moving body to be entered or exiting. Therefo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has entered or exited the moving body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case where any of the n moving bodies continuously enters and exits.

도 3a 내지 도 7c는 동체가 진입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나타내었지만, 동체가 측정 대상 공간(102)을 진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7c에 나타난 상황을 역으로 적용하면 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s. 3A to 7C show the case where the moving body enters, but the case shown in Figs. 3A to 7C can be reversed when the moving body advances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

다시 도 2a 로 돌아와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측정 대상 공간(102) 진출입 판정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개체수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turning to Fig. 2A,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moving object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opulation number management unit 160 for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by reflecting whether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has determined entry / can do.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체수 관리부(160)는 초기 상태의 개체수를 0으로 설정한다. 개체수 관리부(160)는 진출입 판정부(150)가 동체 진입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개체수를 진출입 판정부(150)가 판정한 동체의 개체수만큼 늘린다. 예를 들어서, 초기 상태의 개체수가 0 인 경우 진출입 판정부(150)가 3개의 개체가 진입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개체수에 3을 더한 값이 상기 개체수의 새로운 값이 된다. 개체수 관리부(160)는 진출입 판정부(150)가 동체 진출로 판정한 경우 상기 개체수를 진출입 판정부(150)가 판정한 동체의 개체수만큼 줄인다. 따라서, 개체수 관리부(160)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102)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sets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initial state to zero. Whe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the number management unit 160 increases the number of the vehicles by the number of the vehicles determined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initial state is 0, whe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ree individuals have entered,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3 to the population becomes a new value of the population. When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dvancing, the number management unit 160 reduces the number of the objects by the number of the bodies determined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Therefore,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can manage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102 by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캐쉬(Cache),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ata on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space to be measured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ans (not shown). The storage means may include a cache, a read 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OM (P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But is not limited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drive.

또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동체 개체수에 대한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중앙 관리 서버에 송신되거나,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의하여 억세스 될 수 있다.In addition, data o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hrough a network interface (not shown) or access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는 제어 신호 발생부(170) 및 콘센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부(170)는 개체수 관리부(160)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동체 개체수를 기준으로 측정 대상 공간(102) 내에서 작동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콘센트(18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측정 대상 공간(102) 내에서 작동하는 장치에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발생부(170)는 상기 동체 개체수가 0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측정 대상 공간(102) 내에 설치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동체 개체수가 0이 되는 경우 상기 장치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콘센트(180)에 제공할 수 있다.The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70 and an outlet 180. [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 device operating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102 based o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managed by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The receptacle 180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power supply to a device operating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supplies power to a device installed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102 whe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is greater than 0, and whe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becomes zero, It may provide the control signal to the outlet 180 to shut off the supp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 발생부(17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콘센트(1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부(170)가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콘센트(180)에 제공하면, 콘센트(180)를 제어 신호 발생부(170)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may provide the control signal to the outlet 180 in either a wired or wireless manner. W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provid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ocket 180 in a wireless manner, the socket 180 can be installed at a position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100)는 복수개의 콘센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부(170)는 상기 복수개의 콘센트(180)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정 대상 공간(102) 내에 있는 복수개의 장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ving body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utlets 180. [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70 may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the plurality of outlets 180. [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ontrol for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is possible.

도 2a에는 진출입 판정부(150), 개체수 관리부(160) 및 제어 신호 발생부(170)가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2A, although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the population control unit 160,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70 are shown as separate blocks,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may be mounted on one proc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200)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B, a moving object entry / exit determin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200)는 인체 감지부(190) 및 인체 감지 판정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190)는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설치가 되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인체 감지 판정부(195)에 제공할 수 있다. 인체 감지 판정부(195)는 상기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인체 존재 유무를 개체수 관리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unit 190 and a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 The human body sensing unit 190 may be installed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to sense the human body in the measurement space and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human body sensing determination unit 195.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ma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provi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to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감지부(190)는 인체감지센서,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 센서일 수 있다. 인체 감지부(190)는 상기 다중 센서의 센싱 결과가 소정의 기준 이상이면 감지 성공을, 기준 이하이면 감지 실패를 포함하는 감지 결과를 인체 감지 판정부(195)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sensing unit 190 may be multiple sensor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uman bod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190 may provide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with detection results including detection success if the sensing results of the multiple sensor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ction failure if the detection results are below the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감지부(190)은 사정에 정해진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 개체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5초, 10초, 20초, 1분, 및 2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주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서 인체 감지부(190)은 항시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sensing unit 190 can detect the number of human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determined in the circumstances. For example, 5 seconds, 10 seconds, 20 seconds, 1 minute, and 2 minutes. As another example,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190 may be constantly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감지 판정부(190)은 인체 감지부(190)의 감지 결과가 3회 이상 감지 실패인 경우에 개체수 관리부(160)에 인체 없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인체 감지 판정부(190)은 인체 감지부(190)의 감지 결과가 1회 이상 감지 성공인 경우에 개체수 관리부(160)에 인체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0 may provide the human body management unit 160 with no human body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190 is three or more failures.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0 may provide the human body management unit 160 with a human body i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human body sensing unit 190 is successful one or more tim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체수 관리부(160)은 진출입 판정부(150)의 판정 결과 및 인제 감지 판정부(195)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의 동체의 개체수를 판단한다. 개체수 관리부(160)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의 동체의 개체수를 판단한 결과 개체수가 0인 경우, 인체 감지 판정부(195)가 제공하는 상기 인체 유무의 결과가 인체 없음인 경우에 개체수 0을 제어 신호 발생부(170)에 제공하고, 상기 인체 유무의 결과가 인체 있음인 경우에 개체수 1을 제어 신호 발생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개체수 관리부(160)는 진출입 판정부(150)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의 동체의 개체수를 판단한 결과 개체수가 1인 경우, 인체 감지 판정부(195)가 제공하는 상기 인체 유무의 결과가 인체 있음인 경우에 개체수 1을 제어 신호 발생부(170)에 제공하고, 상기 인체 유무의 결과가 인체 없음인 경우에 개체수 0을 제어 신호 발생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us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luorescence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inside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 When the number of the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is determined by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living bodies of the human body provid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s 0 when the result is the human body,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with the population number 170 when the result of human presence or absence is human. When the number of the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is judged by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living bodies of the human body detect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If the result is a human body, the control unit 170 provid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s 1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s 0 when the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is absent.

이와 같이 인체 감지부(190) 및 인체 감지 판정부(195)의 인체 감지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좀 더 정확하게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인체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부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By using the human body detection result of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190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195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existing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can do.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동체 진출입 판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now to FIG. 8, a method of judging a moving body entry / exit will be described.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제1 거리센서로부터 거리 측정값인 제1 거리측정값을 획득하면(S110) 상기 제1 거리측정값과 사전에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한다(S110).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S112).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상기 제1 거리센서의 초기값과 비교를 한다(S114). 상기 비교 결과 제1 거리측정값이 상기 초기값과 동일하면 제1 패턴 생성을 완료한다(S116). The moving object determining device obtain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which is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S110), and compare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110).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S112).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of the first distance sensor (S114).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equal to the initial value, the first pattern generation is completed (S116).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제2 거리센서로부터 거리 측정값인 제2 거리측정값을 획득하면(S110) 상기 제2 거리측정값과 사전에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한다(S120).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바탕으로 제2 패턴을 생성하기 시작한다(S122).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초기값과 비교를 한다(S124). 상기 비교 결과 제2 거리측정값이 상기 초기값과 동일하면 제2 패턴 생성을 완료한다(S126).When determining that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from the second distance sensor (S110), the body entrance / departure determination device compares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120). I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S122).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of the second distance sensor (S124). If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equal to the initial value, the second pattern generation is completed (S126).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모두 생성되면, 상기 측정 대상 공간에 대한 동체의 진출입 여부를 판정한다(S1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패턴이 상기 제2 패턴보다 먼저 생성되면 동체의 진입으로, 상기 제2 패턴이 상기 제1 패턴보다 먼저 생성되면 동체의 진출로 판정한다. When both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generated, the moving object entry determin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S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second patter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body is advanced when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first pattern.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동체의 진출입 여부가 진입 또는 진출 중에서 어느 하나로 판정되면,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한다(S140).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에서 사전에 정의된 동체 감지 패턴의 출현 회수를 분석하여 상기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body enters or exits from either the entrance or exit, the moving body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entrance / exit bodies (S140).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defined in advance 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도8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는 상기 동체의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 판정을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8, the moving body entry / exit determining device manages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ased on whether the moving body enters / exits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100
측정 대상 공간 102
제1 거리센서 110
제1 송신부 112
제1 수신부 114
제1 검출부 115
제2 거리센서 120
제2 송신부 122
제2 수신부 124
제2 검출부 125
진출입 판정부 150
개체수 관리부 160
제어 신호 발생부 170
콘센트 180
The moving body entrance / exit determination device 100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102
The first distance sensor 110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2
The first receiving unit 114
The first detection unit 115
The second distance sensor 120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2
The second receiving unit 124
The second detection unit 125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150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16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70
Outlet 180

Claims (18)

측정 대상 공간 입구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1 거리측정값을 제공하는 제1 거리센서;
상기 제1 거리센서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 내측 방향에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하는 제2 거리센서; 및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아 동체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진출입판 정부를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A first distance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a space inlet of the measurement subject and providing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moving body enters or exits;
A second distance senso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to be measured on the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to provide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entry or exit of the body; And
And an input / output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 exits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센서는,
제1 측정신호를 방출하는 제1 송신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1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송신부에 상기 제1 측정신호 방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수신부로부터 상기 수신한 상기 제1 측정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제1 검출부를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tance sensor comprises:
A first transmitter for emitting a first measurement signal;
A fir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And
And a first detection unit for providing a signal for instruct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to emit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and for receiving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reception unit to deriv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Entry / exit determin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신호는 직진성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진성 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인 동체 진출입 판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measurement signal is composed of a linearity signal and the linearity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any one of infrared rays, laser, and ultrasonic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센서는,
제2 측정신호를 방출하는 제2 송신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제2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신부에 상기 제2 측정신호 방출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측정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도출하는 제2 검출부를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tance sensor comprises:
A second transmitter for emitting a second measurement signal;
A seco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And
And a second detection unit for providing a signal for instructing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emission to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receiving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econd reception unit to derive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신호는 직진성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직진성 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인 동체 진출입 판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measurement signal is composed of a linearity signal, and the linearity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any one of infrared rays, laser, and ultrasonic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감지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하고,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값과 제1 초기값 범위 내의 값이면 제1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하며,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상기 감지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2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하고,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이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준값과 제2 초기값 범위 내의 값이면 제2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try /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value, the first distance sensor detection is performed.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first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determined to be a value within the second initial value ran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Judges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기값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입하는 동체가 없는 경우에 도출되는 제1 거리측정값이며, 상기 제2 초기값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입하는 동체가 없는 경우에 도출되는 제2 거리측정값인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initial value is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derived when there is no moving body entering or exiting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the second initial value is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obtained when there is no moving body entering or leaving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 device for judging entry / exit of a moving body which is a measured val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되면, 상기 제1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제1 거리측정값의 변화를 기록한 제1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거리센서 감지로 판정되면, 상기 제2 거리센서 미감지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의 변화를 기록한 제2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ntry /
Wherein if the first distance sensor is detected and the first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a first pattern in which a change i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recorded is generated, And a second pattern in which a change in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record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tance sensor is not detected, analyzes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Input / output determination device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objec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1 패턴이 상기 제2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된 경우, 상기 제1 패턴에서 사전에 정해진 동체 감지 패턴이 n번(n은 자연수) 나타나고, 기 지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제2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n번 나타나면 n개의 동체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입한 것으로 판정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ntry /
When the first pattern is generated prior to the second pattern, a predetermined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appears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in the first pattern, and when the moving body detection pattern Judges that the n moving bodies have entered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when n times the time has elap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 판정부는,
상기 제2 패턴이 상기 제1 패턴보다 먼저 생성이 된 경우, 상기 제2 패턴에서 사정에 정해진 동체 감지 패턴 n번(n은 자연수) 나타나고, 기 지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패턴에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이 n번 나타나면 n개의 동체가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을 진출한 것으로 판정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ntry /
(N is a natural number) determined in the second pattern when the second pattern is generated earlier than the first pattern, and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s detected in the first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judges that n moving bodies have advanced into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when n times appear.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감지 패턴은, 패턴을 구성하는 값이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가리키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moving object detection pattern indicates a tendency that the value constituting the pattern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 판정부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 판정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개체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pul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y refl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y / exit state of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by the entry / exit determina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population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수 관리부는,
상기 측정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현재 개체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결과가 진입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현재 개제수를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판정 결과가 진출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현재 개제수를 상기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만큼 감소시키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Wherein if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entry / exit state is determined to be an entry, the current opening number is increased by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y, and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entry /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to advance, decrements the current opening number by the number of the entry / exit bodi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수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동체 개체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서 작동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n apparatus operating in the measurement space in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based on the number of the moving body managed by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의 내부에 설치가 되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존재하는 인체의 신호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인체 감지부가 감지한 인체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에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존재 유무 결과를 상기 개체수 관리부에 제공하는 인체 감지 판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체수 관리부는 상기 진출입 판정부의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 판정과 상기 인체 감지 판정부가 제공하는 인체의 존재 유무를 바탕으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 개체수를 관리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human body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to sense a signal of a human body present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in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using the human body signal sensed by the human body sensing unit and providing the presence or absence result to the population management unit,
Wherein the number management unit manages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the entry and exit bodies of the entry and exit determination un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provid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측정 대상 공간 입구의 일 측면에 설치된 제1 거리센서를 통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1 거리측정값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1 거리센서 설치면 상의 측정 대상 공간 내측 방향에 설치된 제1 거리센서를 통해 동체의 진출입 여부에 따라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측정값 및 상기 제2 거리측정값을 제공받아 동체의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방법.
Receiving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moving body moves in or out through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space inlet to be measured;
Receiving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moving body moves in or out through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measurement object space on the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object enters or exits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the number of entrances / exits of the moving object by receiving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naging the number of li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by using the result of the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and the number of the entry and exit bodi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대상 공간 진출입 여부 및 진출입 동체의 개체수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 및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인체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공간 내의 동체 개체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체 진출입 판정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human body exists in the space to be measured;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naging the number of the moving bodies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by using the result of the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subject space entry / exit and the entry / exit moving body are determined and the result of the step of judging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human body in the measurement target space A method for judging entry / exit of a moving body.


KR1020130158554A 2013-12-18 2013-12-18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KR20150071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54A KR20150071475A (en) 2013-12-18 2013-12-18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54A KR20150071475A (en) 2013-12-18 2013-12-18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75A true KR20150071475A (en) 2015-06-26

Family

ID=5351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554A KR20150071475A (en) 2013-12-18 2013-12-18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14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548B1 (en) Pulsed wireless directional object counter
JP6579450B2 (en) Smart ligh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and lighting control system
JP61099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oom occupancy
US8823951B2 (en) 3D optic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storage system
CN104823522A (en) Sensory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illumination space
CN103609137A (en) Background object sensor
US102058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ccupancy in a space
US20140247695A1 (en) Method for robust and fast presence detection with a sensor
US10685545B2 (en) Wide-area chamberless point smoke detector
WO2012176101A2 (en) Method for robust and fast presence detection with a sensor
US11361643B2 (en) High sensitivity fiber optic based detection system
US8410445B2 (en) Human body sens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uracy
US10031230B2 (en) Method for optically measuring distances in the near and far range
CN107664622B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substances in blood
KR2015007147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ving direction decision using intergrated sensors
US20150032412A1 (en) Low power movement sensor
JP7113375B2 (e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0613457A (e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206292891U (en) A kind of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human body's identification
KR1016783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unting the Number of People Using Radar
US20120150480A1 (en) Monitoring sensor with activation
KR20200068820A (en) People counter for improving accuracy
US11448581B2 (en) High sensitivity fiber optic based detection system
Hammoud et al. Enhanced still presence sensing with supervised learning over segmented ultrasonic reflections
JP6607699B2 (en) Detection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