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660A -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 Google Patents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660A
KR20150069660A KR1020130156054A KR20130156054A KR20150069660A KR 20150069660 A KR20150069660 A KR 20150069660A KR 1020130156054 A KR1020130156054 A KR 1020130156054A KR 20130156054 A KR20130156054 A KR 20130156054A KR 20150069660 A KR20150069660 A KR 2015006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3015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660A/en
Priority to PCT/KR2014/011310 priority patent/WO2015093738A1/en
Publication of KR2015006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6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in practicing playing an musical instrument, which enables a user to objectively determine the performance after repetitive practices without help of experts, and to a management system theref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ing a model performance as an evaluation reference, disclosed is a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in practic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configuring database matching a sound sourc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o be corresponding to a performance time of the model performance, and comparing the performed sound source to the model performance by performance time to evaluate the sound source.

Description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mance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a database used therein,

본 발명은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반복된 연주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악기 연습 성과의 관리 방법과 그 관리시스템과 관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that enables an objective judgment of performance of self-repeated performances without the help of an expert.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교습자의 수준에 따라 반복적인 연주 연습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연주 교습은 교습자가 올바르게 연주하기 어려운 부분을 파악하고,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교습에 있어서, 교습자는 제대로 연주한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악보와 다르게 연주하는 경우가 있다. 또 개개인의 특성에 의해 연주에 곤란을 느끼는 부분이 서로 다른 경우도 많다. 따라서 다수의 교습자를 상대로 한 교습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 제대로 연주하기 어려운 부분을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In order to master the instrument, repetitive performance exercise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structor. Effective playing lessons is important for the lesson to identify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lesson to play correctly, and to practice the lesson intensively. In the actual lesson, the tutor feels that he is playing properly, but in practice he sometimes plays differently from the score.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difficulty of play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parts that are difficult to play when creating a teaching program for many teachers.

일반적인 교습 방법은 지도자가 교습자의 연주를 듣고 직접 지도하는 방식이다. 지도자의 전문성에 의해 교습자의 연주를 평가하고, 잘못된 부분과 잘된 부분을 구분하므로 교습자의 연주 성향은 지도자의 특성에 크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습 방법은 지도자와 교습자가 약속된 시간에 일정한 교습 장소에서 만나야 하는 번거로움과, 지도자에게 지불하여 하는 높은 비용 등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이다. The general teaching method is that the leader hears and directs the performance of the tutor. The performer's performance tends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because the performer's performance is evaluated by the expertise of the leader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rong part and the good part is made. Such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are inefficient due to the inconvenience that the instructor and the tutor have to meet at a certain teaching place at the appointed time and the high cost to pay to the instructor.

발달된 인터넷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악기 연주를 교습하는 방안에 대하여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나아가 지도자의 관여를 배제한 상황에서 가능한 객관적인 연주 평가를 하도록 하여 연주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도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Many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teach musical instruments to be played online using the developed Internet environment. Furthermore,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being made on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by allowing the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o be possible as long as the participation of the leader is excluded.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연주 교습 방안은, 교습자가 연주한 음원을 지도자에게 온라인을 통해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거나, 지도자의 관여를 배제하고 이미 형성된 악보를 따라 교습자가 연주하였는지를 평가하는 방안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져 오던 지도자의 전문적인 교습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다.The teaching method of on-lin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limited to the level of delivering a sound source played by a tutor to a leader via online, or to exclude a leader from participating and to evaluate whether a musician has played along with a score formed already . This conventional technique does not reach the professional teaching level of the leader who has been done offlin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is not so high.

한편 본 발명과 연관된 관련기술 중 공지된 것으로 음악 정보 추출(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이 있다. MIR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데, 하나의 사용예로 하나 이상의 악기가 함께 연주되어 녹음된 음원에서 어느 한 악기의 음원을 식별하고 추출하여 본래의 음원으로부터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또 둘 이상의 음원을 대비하여 분석하는데 활용된다.Meanwhile, among known related 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 MIR is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One use example is to develop a technique for identifying one or more sound sources of a musical instrument from a recorded sound source by playing one or more musical instruments together and separating the sound source from the original sound source. It is also used to analyze two or more sound sources.

또 다른 관련기술 중 공지된 것으로, 음악 정보 검색 기술이 있다. 음악 정보 검색 기술은 디지털 신호로 기록된 음악 정보를 분석하여 유사한 음악을 검색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음원 정보를 찾아내는 데 활용된다. 기술적 부분에서 멜로디, 피치와 강도, 음색, 리듬과 박자, 음악 메타 정보를 활용하며, 이들의 분석 기법은 MIR의 한 분야를 구성한다. Among other related arts, there is a music information retrieval technology. Music information retrieval technology is used to search for similar music by analyzing music information recorded with digital signals or to find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the user needs. In the technical part, melody, pitch and intensity, tone, rhythm and beat, and music meta information are used. Their analysis technique constitutes one field of MI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2961호 (1998.07.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32961 (July 25, 1998)

본 발명은 악기의 반복적인 연주 연습에 있어서, 연주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가능하고 연주 회수의 증가에 따른 연주 성과의 증감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가능케 한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전문적인 지도자의 관여를 배제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which enable various evaluation of performances in repeated practice of musical instruments and enable quantitative analysis of increase / decrease of performance with increase in performance number do. It also excludes the involvement of costly and time-consuming professional leaders.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평가 기준이 되는 모범연주에 대하여, 복수 회에 걸쳐 연주한 음원을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과 일치하도록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을 대비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산출한 것이고, 상기 연주 특성은 피치, 강도, 박자,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량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an embodiment, a database in which a sound source played a plurality of times is matched with a performance time of the best performance, And a performance practi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for evaluating the sound source in comparison with the best performance is provided. Here, the evaluation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time, 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pitch, intensity, beat, One can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모범연주는 악보이거나 복수의 전문가에 의해 연주된 음원을 상기 연주 시간별로 통계 내어 생성한 것일 수 있다. Here, the exemplary play may be a music score or a sound source played by a plurality of experts, which is generated statistically for each performance time.

추가적으로 상기 모범연주와 상기 음원의 매칭 과정 중에, 상기 음원과 매칭되는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구간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시각화하여 나타내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the matching process of the exemplary performance and the sound source, the performance period of the exemplary performance matched with the sound source may be visualized through the display mea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단위평가지수로 산출하고,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연주한 음원을 토대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연주 시간별로 통계 분석하여, 각 연주 시간에 따른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 중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may be performed by calculating a unit evaluation index by compar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calculating a plurality of unit evaluation scores And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performance time to calculate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each performance time. In addition, i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 step of selecting a sound source to b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may be performed.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단위숫자로 변경하고, 상기 통계 분석을 상기 단위평가지수의 합산으로 하여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연주 시간별 연습 횟수에 대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nit evaluation index is changed to a unit number,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is calculated as the summation of the unit evaluation index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nd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s set a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exercises Can be utilized.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단위평가지수로 산출하고,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연주한 음원을 토대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상기 음원의 입력 차수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연주 횟수에 따른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연주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by the performance time, calculating the unit evaluation score as a unit evaluation index, calculating a plurality of unit evaluation scores Can b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input order of the sound source, and the number of times of concer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ys can be calculated. In calculating the score of the number of concerts, a step of selecting a performance sound source to be subjected to the statistical analysis may be performed.

한편 평가 기준이 되는 모범연주에 대하여,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음원들이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과 일치하도록 매칭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에 대해 연주한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시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평가에 사용되거나, 개인 연주 성향을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database in which the sound sources inputted over a plurality of times are matched so as to match the performance times of the exemplary performances with respect to the exemplary performances as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ound sources played for the performance times of at least one exemplary performance are displayed do. This database can be used for evaluation, or can be used to determine personal performance tendencies.

한편 연주한 음원을 수신 받는 입력부, 입력된 음원을 모범연주에 대해 연주 시간별로 매칭시키는 매칭부, 상기 매칭부의 결과를 저장하는 것으로, 제11항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을 대비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input sound source with respect to the best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time; a database according to claim 11 for storing the result of the match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evaluation unit, wherein the evaluation unit is configur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an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in comparison with a performance source and a sound source 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문 지도자의 관여 없이 교습자가 자신의 복수 회에 걸친 연주 연습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연주 연습의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연주 능력의 향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범연주와 다르게 연주한 구간을 알 수 있게 하며,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특정 연주 구간을 선택하여 해당 연주 구간에서 연주 연습의 성과를 관리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tor can manage the performances of his or her performance of plural performances without involvement of a professional leader. As the number of practice exercises increases, it becomes possib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It also allows you to see the section of the performa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best performance, and to see how much difference there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specific performance section and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practice in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section.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ither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예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과 관련된 도면.
도 5는 도 4의 다른 사용예에 관련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과 관련된 돈면.
도 7은 도 6의 다른 사용예에 관련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 성과 평가 방법과 관련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n example in which th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related to a method for calculating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relates to another use example of Figure 4;
FIG. 6 is a view of a method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concer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relates to another use example of Figure 6;
8 is a diagram related to a performanc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rawing numbers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shall be used collectively.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refore,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any of the details of the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ny or all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the shape,

이하의 설명에서 있어서, '음정', '피치(pitch)'는 음의 진동수를 의미하며 단일 음의 높낮이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세기', '강도(intensity)'는 음의 진폭을 의미하고, 단일 음의 강약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박자'는 음악에서 강세의 기본이 되는 단위를 의미하고, '빠르기'는 이웃하는 두 박자 사이의 시간 간격에 역수를 취한 것이다. '빠르기의 변화'는 이웃하는 독립된 두 박자를 기준으로 측정한 빠르기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itch' and 'pitch' refer to negative frequencies and determine the height of a single note. 'Intensity' and 'intensity' mean the amplitude of a sound, and determine the strength of a single sound. 'Beginning' means the unit which is the basis of the accent in music, and 'Fast' is the reciprocal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wo neighboring beats. 'Change in pace' means the change in the speed measured based on two independent independent bea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의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은, 어느 한 곡에 대하여 복수 회의 연주 연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또 교습자는 항상 곡을 완주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연주시간이 10분이 넘는 피아노 소타나의 경우에, 곡의 연습에 있어서 매번 곡의 시작부터 끝까지 완주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교습자에게 있어 연주가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이나 독창적인 표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연주 연습이 중점되게 이루어지고, 평이한 난이도를 가지는 부분은 보다 적은 횟수로 연습이 이루어질 것이다.Th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of performances of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e that a plurality of performance exercises are repeatedly performed for a certain piece of music. Teachers do not always finish the so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iano sonata with a duration of more than 10 minute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omplete the song from start to finish in each practice of the song. Practice will be given to the practitioner in the part where it feels difficult to play or in the part where it wants to pursue creative expression, and the practice with less frequent difficulty will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회에 걸친 연주 연습은 각 횟수마다 평가가 이루어진다. 나아가 연주 횟수가 늘어남에 따른 연주 회차별 연주 성과의 증감 정도를 평가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ion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number of times of performance practice for a plurality of times. Furthermore, the degree of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performance of each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lays is evaluated.

본 발명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 관리시스템은 입력부(10), 매칭부(20), 데이터베이스(30), 평가부(40) 및 출력부(50)를 포함한다. 때때로 매칭부(20)와 평가부(40)는, 컴퓨터와 같은 하나의 전산 장비가 각각에 맞게 기능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 a matching unit 20, a database 30, an evaluation unit 40, and an output unit 50. Sometimes the matching unit 20 and the evaluating unit 40 can be implemented by a single device by functioning one comput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입력부(10)는 연주한 음원을 수신 받는 것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나 녹음기 등이 될 수 있다. 녹음기를 사용하는 경우, 연주한 음원을 녹음하여 두었다가 나중에 입력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0 may be a microphone or a sound recorder for receiving an analog signal. If you are using a tape recorder, you can record a recorded sound source and enter it later.

입력부(10)에서는 디지털 변환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때로 디지털 변환은 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전자 악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는 전자 악기로부터 디지털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선, 커넥터 등이 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can further perform digital conversion. Sometimes a digital conversion can be performed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n which a module that performs the function is embedded. In this case, the input unit may be an electric wire, a connector, or the like that receives an electric signal converted from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nto a digital signal.

매칭부(20)는 입력된 음원을 입력부(10)로부터 전달 받고, 이 음원을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에 맞게 매칭시킨다. The matching unit 20 receives the input sound source from the input unit 10 and matches the sound source with the performance time of the exemplary performance.

여기서 '연주 시간'은 악보에서 특정 음표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디 단위의 실수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4번째 마디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5개의 음표에 대한 연주 시간은, 그 표시 순서에 따라 4.1. 4.2, 4.3, 4.4, 4.5가 된다. 이 연주시간은 실제 시간(real time)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는 점에서 음악이 시작된 후로부터 카운트되는 시간의 개념과는 다르다. Here, 'play time' is a sequential representation of the real numbers of the measure units indicating the positions of specific notes in the score. For example, the playing time for the five notes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fourth bar is 4.1. 4.2, 4.3, 4.4, 4.5. This playing time differs from the concept of the time counted from the start of music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the flow of real time.

매칭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모범연주는, 악보이거나 적어도 1명의 전문가가 연주한 전문 연주 음원이다. As a basis for matching, a best-practice is a musical score or a professional performance source played by at least one professional.

매칭의 기준으로 악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악보를 분석함으로써 연주 시간, 각 연주 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음정, 세기, 박자, 빠르기 및 인근 연주 시간 대의 음표와의 관계로부터 빠르기의 변화량 등을 정량적인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musical score is used as a basis of the matching, analysis of the musical score allows quantitative values such as the change in the spe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time, the required pitch according to each performance time, the intensity, the beat, .

한편 전문 연주 음원을 매칭의 기준으로 삼는 경우에는, 해당 곡을 연주한 전문 연주 음원을 디지털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음원의 디지털 분석에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음악 정보 추출(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이 사용될 수 있다. 전문 연주 음원은 시판되고 있는 연주 CD나 특정 코덱으로 포맷되어 유통되고 있는 디지털 음원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통해 입수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ofessional performance sound source is used as a basis for matching, it can be obtained by digitally analyzing a professional performance sound source played on the corresponding song. As known in digital analysis of such a sound source, music information retrieval (MIR) can be used. Professional playing sound sources are available through media such as commercially available performance CDs or digital sound sources that are formatted and distributed with specific codecs.

나아가 MIR를 통해 복수의 전문 연주 음원을 각각 분석하여, 연주 시간별로 음정, 세기, 박자 등의 연주 특성을 추출하고, 연주 시간별로 복수의 연주 특성을 통계 내에 그 통계치를 매칭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Furthermor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professional sound sources by MIR, it is possible to extrac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uch as pitch, intensity, and beat at each performance time, and to use a plurality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s a reference for matching the statistics in the statistics have.

이와 같이 복수의 전문 연주 음원을 통계 분석하여 생성한 모범연주는, 그 연주 특성이 악보를 해석하여 얻은 연주 특성과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연주 특성의 차이는, 전문 연주자에 의해 곡이 해석되어 원래의 악보로부터 변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미 예술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전문 연주 음원을 통해 얻은 연주 특성들을 평가의 기준이 되는 모범연주로 채택하는 경우, 교습자의 연주에 대한 보다 가치있는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performance created by statistically analyzing a plurality of professional performance sound source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reof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btained by analyzing the score. This difference i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as a variation from the original score by a musician interpreted by a professional musicia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rtistic value is already recognized. Therefore, whe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a large number of professional performance sound sources are adopted as the standard performance to be evaluated, it can be a more valuable evaluation criterion for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er.

데이터베이스(30)는 매칭부(20)에서 생성된 결과를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30)는 기록 장치로써 기능하는데, 교습자가 연주한 복수 회에 걸친 연주를 모범연주에 매칭시킨 결과를 보유한다. The database 30 stores results generated by the matching unit 20. The database 30 functions as a recording device, and holds results obtained by matching the performances of a plurality of performances played by the instructor with the best performances.

데이터베이스(30)는 교습자가 연주한 음원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습자의 연주 성향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database 30 i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played by the tutor, but can be used for grasping the performance tendency of the tutor as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평가부(40)는 모범연주와, 이에 맞추어 매칭한 연주 음원의 정보를 토대로 연주 성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평가부(40)는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인출하고, 이를 통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운용되기 위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서버와 같이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여러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unit (40) performs a quantitative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best performan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source matched in accordance therewith. The evaluation unit 40 has a configuration for retriev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30 and operating a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thereof. Such a configuration is made up of various hardwar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such as a server, and can be configured as a computer, pers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like.

평가부(40)에서 이루어진 평가 결과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result made by the evaluation unit 4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0 as needed.

평가부(40)에서 산출된 정량적인 평가의 결과는 출력부(50)를 통해 교습자에게 제시된다. 출력부(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에게 평가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 재생 수단. 진동 발생 수단 등의 구현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unit 40 is presented to the tutor through the output unit 50. [ The output unit 50 can transmit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us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isual, auditory, tactil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output unit includes a display means and a sound reproducing means through a speaker.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and the like.

또는 출력부(50)는 다양한 구현 모듈을 가진 장비에 조작 신호를 발신하는 통신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구현 모듈은 원격지에 위치하고 출력부는 조작 신호를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r the output unit 50 may be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operation signals to equipment having various implementation modules. Furthermore, the implementation module may be located remotely and the outpu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operation signals using a network.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연주 연습 성과 관리시스템의 적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부와 출력부는 교습자의 영역에 있는 스마트폰(100)이고, 매칭부, 데이터베이스 및 평가부는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장치(200)에 구비되어 있다. Fig. 2 show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re the smartphone 100 in the area of the tutor, and the matching unit, the database, and the evaluation unit are provided in the server apparatus 200 located at a remote place.

스마트폰(100)의 마이크를 통해 악기에서 생성한 음원이 녹음되고, 녹음된 음원은 그대로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장치(200)로 전송되거나, 스마트폰(100)에서 디지털화를 비롯하여 1차 가공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매칭부가 구비된 서버장치(200)로 전송된다.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musical instrument is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100 and the recorded sound sou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device 200 located at the remote place or may be digitized in the smartphone 100, To the server device 200 having the matching unit.

서버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모범음원을 기준 삼아 전송된 연주 음원을 연주 시간에 맞추어 매칭시킨다. 매칭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The server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database, and matches the performance source transmitted based on the exemplary sound source to the performance time. The matched resul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스마트폰(100)을 통한 교습자의 요청에 의해 서버장치(200)에서 평가되고, 그 평가된 결과가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폰(100)의 화면, 스피커, 진동모터 등을 통해 교습자에게 전달된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evaluated at the server apparatus 200 at the request of the tutor through the smartphone 100, and the evaluated result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gain through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0, the speaker, To the tutor.

도시 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부와 출력부를 비롯한 매칭부, 데이터베이스 및 평가부 모두가 스마트폰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부와 평가부는 원격지에 두고, 스마트폰이 입력부, 데이터베이스 및 출력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other embodiments not shown, both the matching unit including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the database, and the evalu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mart phon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the matching unit and the evaluating unit may be remotely located, and the smart phon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a database, and an output unit.

이와 같이, 입력부, 매칭부, 데이터베이스, 평가부 및 출력부들 간에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configuring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the input unit, the matching unit, the database, the evaluation unit, and the output units as needed.

이하에서는 도 3 이하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following figures.

도 3에서 악보는 악곡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가로 축은 연주 시간의 전후를 나타낸 것이다. 악보가 곡의 시작인 경우, 연주 시간의 예시가 1.1, 1.2, 1.3, 2.1 ... 순으로 표시되어 있다. In Fig. 3, the score indicates a part of the music.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playing time. If the score is the beginning of the song, the example of the performance time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1.1, 1.2, 1.3, 2.1 ....

모범연주는 연주 시간에 따른 연주 특성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값으로 가진다. 여기서 연주 특성은 피치, 강도, 박자,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량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The model performance has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time. Her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pitch, intensity, beat, speed, variation of the speed, and combinations thereof.

예를 들어, 2번째 마디의 3번째 음표에 대한 모범연주를 분석한 결과 음정이 8.4 Hz라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For example, if you analyze the best practice for the third note in the second measure and the pitch is 8.4 Hz, it will be stored in the following format.

M(2.3)=8.4M (2.3) = 8.4

나아가 둘 이상의 연주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 예를 들어 분석할 연주 특성을 피치, 강도, 박자의 3가지 종류로 설정한 때에는 설정한 복수의 연주 특성의 수에 따라 벡터값으로 표시된다. Furthermore, when two or mor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when three types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o be analyzed are set to pitch, intensity, and beat, they are displayed as vector values according to the set number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살펴보면, 해당 연주 시간 2.3에서 모범연주 M은 벡터이고, c1, c2, c3 각각의 벡터성분은 피치, 강도, 박자의 연주 특성을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It is noted that the best performance M is a vector at the playing time of 2.3, and the vector components of c 1 , c 2 , and c 3 are numerical representations of pitch, intensity, and bea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이러한 연주 특성의 벡터는 각 연주 시간마다 생성된다.
A vector of this performance characteristic is generated for each performance time.

한편 도 3의 P1, P2, P3 등은 교습자가 연주하여 입력한 음원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에서 세로축은 교습자가 연주한 횟수와 관련된다. On the other hand, P 1 , P 2 , P 3, and the like in FIG. 3 sequentially indicate the sound sources input by the teacher. In FIG. 3, the vertical axis is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tutor plays the music.

Pn 에서 가로방향으로 길이 및 시작점이 서로 다른 것은, 악보 상에서 연주한 구간이 서로 다름을 의미한다. 총 8회 입력된 연주 연습에서 1회차(P1)와 4회차(P4)의 연주 연습에서는 악보의 첫부분에서 시작하였지만, 나머지는 그러하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The different lengths and starting poin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 n means that the intervals played on the score are different. In the performance practice of 8 times of total performance, it can be seen that in the practice of 1st (P 1 ) and 4th (P 4 ) performance, it started at the first part of the score, but the rest is not.

이렇게 연주한 음원의 시작점이 각기 다름으로써, 입력된 음원이 악보의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 공지되어 있는, 음원 검색 알고리즘(Audio Search Algorithm)을 활용할 수 있다. 음원 검색 알고리즘을 검색하면 입력된 음원을 분석하여 얻은 멜로디, 피치와 강도, 음색, 리듬과 박자의 정보를 토대로, 악보의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찾아낸다. Since the start points of the sound sources played in this wa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which section of the music score the input sound source corresponds to. To this end, an already known audio search algorithm (Audio Search Algorithm) can be utilized. When a music search algorithm is searched, an input source is analyzed to find out which section of the music score corresponds to the melody, pitch and intensity, tone, rhythm and beat information.

나아가 교습자가 연주한 음원이 모범음원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교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주한 음원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으면서, 매칭되는 모범연주의 해당 연주 구간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시각화하여 나타낸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output the sound source played by the tutor so that it can be confirmed by the instructor as to which section of the ideal sound source corresponds. Concretely, while receiving the sound source played in real time,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section of the matching best performance is visualiz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여기서 디스플레이 수단은 전술한 실시예의 출력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모범연주는 악보가 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means may be one of the output por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oo, the exemplary performance can be a score.

이러한 부가적인 연주 구간의 시각적 제시 기능은, 연주되고 있는 연주 구간을 악보에서 서치하고 연주되는 위치를 제시하여 교습자가 별도로 악보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The visual presentation function of the additional performance section can search for the performance section being played in the score and show the position where the performance is to be performed,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tutor to separately prepare the score.

예를 들어, 전에 연습하여 익숙한 부분을 다시 연주하여 음원으로 입력하는 것만으로, 교습자가 해당 부분 및 이후의 악보를 함께 제공 받게 된다. For example, just by practicing before and rewriting the familiar part and typing it as a sound source, the tutor will be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part and the following musical score.

한편 연주하고 있는 음원이 어느 연주 구간에 해당되는지를 교습자가 악보를 통해 직접 지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악보에 특정 구간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됨으로써 특정 연주 구간을 한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수동으로 연주 구간을 지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instructor directly designates through which score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which performance section corresponds. For example, when it is difficult to define a specific performance section by repeatedly repeating a specific section on one score, it is more accurate and quick to designate the performance section manually.

입력된 음원의 시작점이 어느 한 연주 시간으로 특정되면, 그에 따라 연주한 음원의 분석에 따라 연주 시간이 할당되며, 다음과 같은 연주 시간에 따른 연주 특성이 저장된다. If the starting point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specified as a performance time, the performance tim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layed sound source, 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erformance time are stor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연주 횟수를 나타내고, t는 연주 시간을 의미한다. c1, c2, c3 등은 각기 연주 특성으로 설정에 따라 피치, 강도, 박자,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량 및 이들의 조합 등이다. Here, n represents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and t represents the playing time. c 1 , c 2 , c 3, etc. ar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the pitch, the intensity, the beat, the speed, the variation amount of the speed, and combinations thereof.

연주 특성의 종류와 순서는 모범연주의 연주 특성의 종류 및 순서와 동일하다. 만일 하나의 연주 특성을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면, 위 [수학식 1]은 스칼라값으로 저장된다. The kind and order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as the types and order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f one performance characteristic is to be analyzed, the above formula (1) is stored as a scalar value.

입력된 연주한 음원들을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에 따라 매칭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Matches the played sound sourc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ime of the best performance,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범연주의 정보와 각 연주한 음원의 정보들을 연주 시간에 따라 대비하여 음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The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best performanc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information of each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ime.

먼저 연주 시간별로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한 결과인 단위평가지수 U를 산출한다. First, the unit evaluation index U, which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music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by the performance time, is calculated.

여기서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대비는 연주 특성 별로 산술적 차이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대비는, 동종의 음원 특성 별로 차이의 절대값 계산, 증감 비율의 계산, 다양한 가중치를 더한 차이값 계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Here, the contrast between the exemplary performance and the played sound source includes calculating an arithmet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r the contrast between the best performance and the played sound source can be calcul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alcula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type, calculating the increase / decrease ratio, and calculating the difference value by adding various weights.

대수적인 차이를 산출하는 예로, 3.5 연주 시간에서 모범연주의 음정이 9.4 Hz 인데, 2 번째 연주한 음원의 해당 연주 시간에서 8.2 Hz로 연주한 경우, 해당 연주 시간에서 그 산술적 차이인, -1.2 Hz를 단위평가지수(U2(3.5) = -1.2)로 할 수 있다.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algebraic difference is that if the pitch of the best practice is 9.4 Hz at 3.5 play time and 8.2 Hz is played at the corresponding play time of the second played sound source, its arithmetic difference of -1.2 Hz (U 2 (3.5) = -1.2).

모범연주에 대한 연주 특성을 비율로 산출한다면, 상기 예에서 모범연주에 비하여 12.77 % 비율적으로 낮게 연주하였으므로 -12.77을 단위평가지수(U2(3.5) = -12.77)로 삼을 수 있다. If we calcul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the best performance as a ratio, we can use -12.77 as the unit evaluation index (U 2 (3.5) = -12.77) because we played 12.77% proportionally lower than the best performance in the above example.

이러한 단위평가지수 U는 연주한 음원마다 연주 시간별로 복수가 산출된다. 이렇게 산출된 복수의 단위평가지수를 통해 얻어지는 평가 항목은 크게 연주시간평가지수와 연주회차평가지수가 있다. 먼저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설명한다.
The unit rating index U is calculated multiple times for each sound source played. The evaluation items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evaluation indices calculated in this way are largely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nd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irst, we explain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복수 회에 걸친 연주한 음원들로부터 얻어지는 평가 중 하는 연주 시간별로 단위평가지수를 통계 분석한 따른 연주시간평가지수이다. This is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obtained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unit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a performance tim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times of played sounds.

도 4와 도 5는 연주시간평가지수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4 and 5 are diagrams related to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연주시간평가지수 Q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어느 한 연주 시간에 따른 단위평가지수들을 통계 분석 함수 R에 적용함으로써 산출된다.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unit evaluation indexes according to a performance time to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as shown in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통계 분석 함수 R은 각 단위평가지수의 벡터 성분들(동종의 음원 특성에 대한 값)을 산술평균, 합계, 중앙값, 최빈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 등 다양한 통계 방식 중 하나이다. Here,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is one of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n arithmetic mean, a sum, a median, a mode,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vector components (values for the sam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evaluation index.

통계 분석 함수 R은 모든 음원 특성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각 음원 특성별로 적합하도록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각 음원 특성별로 달리 특정하는 경우의 예로, 음정에 대한 평가에 있어 통계 분석 함수 R은 산술평균을 취하지만, 빠르기에 대해서는 중앙값 산출을 선택할 수 있다. 또 U1, U2, U3 등은 순차적으로 입력된 연주한 음원 P1, P2, P3 등에 대응하여 산출된 단위평가지수이다. 또 t는 특정 연주 시간을 의미한다.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may be the same for all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r differently set for each sound source characteristic. As an example of specifying each sound source characteristic differently,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takes an arithmetic average in the evaluation of the pitch, bu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median value calculation for the fastness. In U 1, U 2, U 3, etc. is an evaluation index calculating unit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playing a sound source P 1, P 2, P 3 input. Also, t means a specific playing time.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각 연주한 음원은 음정,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량을 음정 특성으로 산출하여, 단위평가지수가 3개의 벡터성분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한다. 8 번에 걸쳐 연주한 음원들에 대하여 연주시간평가지수 Q를 구하며, 이때 통계 분석 함수 R은 모든 음원 특성에 대하여 산술평균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본다.As a concrete example, it is assumed that each played sound source in FIG. 3 calculates a variation amount of pitch, speed, and speed as pitch characteristics, and the unit evaluation index has three vector components. For the sound sources played over 8 tim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Q is obtain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is applied equally to the arithmetic mean for all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연주시간평가지수 Q는 매 연주 시간마다 산출되는데, Q(1.1) 내지 Q(1.3)에서는 해당 연주 시간에 연주를 하였던 것은 연주 음원 P1과 P2이므로, 이들과 관련된 단위평가지수(U1(1.1) 내지 U1(1.3) 및 U2(1.1) 내지 U2(1.3))를 가지고 산술평균을 계산하여 연주시간평가지수(Q(1.1) 내지 Q(1.3))를 산출한다. In the Q (1.1) to Q (1.3),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is calculated for each performance time. Since the performance sources P 1 and P 2 were played during the performance time, the unit evaluation indexes U 1 1.1) to calculate the U 1 (1.3) and U 2 (1.1) to U 2 (1.3) calculate the arithmetic mean of the duration evaluation index (Q (1.1) has a) to Q (1.3)).

또 Q(2.1) 내지 Q(3.2)까지는 해당 연주 시간에 연주를 한 연주 음원 P2, P3 내지 P8 로부터 얻어진 단위평가지수(U2, U3 및 U4 내지 U8)를 가지고 산출평균을 계산하여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한다. From Q (2.1) to Q (3.2), the unit evaluation indexes (U 2 , U 3 and U 4 to U 8 ) obtained from the performance sound sources P 2 and P 3 to P 8 And calculates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이와 같이,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 해당 연주 시간에 연주가 실제로 이루어진 연주 음원만을 선정하여 고려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only the performance source actually played in the performance time can be selected and considered.

이렇게 산출된 연주시간평가지수 Q는 복수 회에 걸쳐 연주한 음원이 모범연주와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연주 시간별로 알 수 있게 한다. The thus-calculated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enables to know how much the sound source played in a plurality of times differs from the best performance by the performance time.

연주시간평가지수의 값은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악보와 함께 연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증감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교습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value of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with the score and the degree of increase / decreas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ime as a graph, so that the teacher can more easily perceive it.

연주시간평가지수가 크게 증가한 부분은 교습자가 모범연주와 크게 차이 나게 연주한 부분으로 미숙하게 연주하여 실수가 많았던 부분이거나, 매우 독창적으로 연주한 부분에 해당한다. 교습자는 자신의 연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받게 되며, 해당 곡에서 자신이 바로 잡아야 하는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The part where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ncreased greatly is the part where the teacher made a lot of mistakes by playing very differently from the best performance, or very originally played part. The instructor will be given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his performance and will be able to clearly identify which part of the piece he needs to correct.

한편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연주 시간별로 연습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Meanwhi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can be applied to calculat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exercises performed per performance time.

먼저 각 연주 정보에서 단위평가지수를 단위숫자로 변경한다. 여기서 단위숫자는 1이 될 수 있다. 이후 연주시간평가지수의 통계 분석 방법을 연주 시간별로 단위평가지수를 합산하는 방법으로 산출한다. First, the unit evaluation index is changed to a unit number in each performance information. Where the unit number can be one.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unit evaluation index for each performance time.

이 경우, 연주시간평가지수는 매 연주 시간마다 연주 연습을 한 횟수로 산출되므로, 교습자가 어느 연주 구간을 중점으로 연주 연습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performance exercises for each performance time, so that the performer can know which performance section he / she has practiced.

또한 이 연주 시간별 연주 연습의 횟수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통계 분석 함수 R이 평균을 취하도록 설정한 경우에, 합산된 음원 특성들의 값을 나눗셈하는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rformance exercises for each performance time is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summed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by a factor when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is set to take an average i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s described above Can be utilized.

도 5는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다른 예와 관련된다. Fig. 5 relates to another example of calculating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연주시간평가지수 Q를 산출함에 있어서, 복수 회에 걸쳐 입력한 음원들 중 어느 음원들을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지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I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it is possible to further select which of the sound sources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times is to b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예를 들어, 총 8번의 음원 중 몇몇의 음원(P1, P3, P8)은 연주할 때에 교습자가 확실히 크게 실수한 부분이 있음을 알고 있어 평가 대상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에, 연주시간평가지수 Q의 산출에 있어 교습자가 이들 음원들을 제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선정되지 아니한 연주 음원들을 흐린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if some of the sound sources (P 1 , P 3 , P 8 ) of a total of eight sound sources kn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istake made by the tutor at the time of performance, In the calculation of the exponent Q, the tutor may exclude these sound sources. The sound sources not selected in the drawing are indicated by blurred lines.

때때로 교습자는 초기에 연주하였던 음원들을 제외하고 최근에 연주한 음원들만으로 연주시간평가지수 Q를 산출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 연주한 연주 음원들만으로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여 연습 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From time to time, the instructor may wish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time rating index Q with only the recently played sound sources, except for the earliest played sound sources.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only by the recently played performance sound sources, so that the practice performance can be more accurately known.

한편 도 6은 다른 실시예로 연주회수평가지수와 관련된다. On the other hand, Fig. 6 is related to the number of con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es in another embodiment.

연주회수평가지수 E는 연주한 음원의 입력 차수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연주 횟수에 따른 평가를 산출한 것이다. The concert number evaluation index E is a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input degree of the sound source played, and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erformance is calculated.

연주회수평가지수 E는 연주한 음원 별로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다.The concert number evaluation index 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for each sound source played.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통계 분석 함수 R은 각 단위평가지수 Un의 벡터 성분들(동종의 음원 특성에 대한 값)을 산술평균, 합계, 중앙값, 최빈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 등 다양한 통계 방식 중 하나이다. Here,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is one of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n arithmetic average, a sum, a median, a mode,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vector components (values for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ind) of each unit evaluation index U n .

단위평가지수 Un가 다수의 음원 특성에 대해 산출되어 벡터인 경우, 통계 분석 함수 R은 단위평가지수의 각 벡터 성분별로 적용된다. When the unit evaluation index U n is a vector calculated for a plurality of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the statistical analysis function R is applied to each vector component of the unit evaluation index.

또한 연주 시간 t는 곡의 전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연주 시간 t는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연주 시간에서 등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셈플링한 연주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주 시간의 셈플링 간격을 3으로 설정하면, 1번째의 연주 시간(도면에서 1.1), 4번째의 연주 시간(도면에서 2.2), 7번째의 연주 시간(도면에서 2.4) 등과 같이 셈플링된 연주 시간에 해당되는 단위평가지수만으로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한다. 이러한 셈플링 방식은 산출할 데이터의 분량을 줄이므로 곡의 연주 시간이 큰 경우에 주요하다. Also, the play time t can be applied to the whole of the tune. Alternatively, the performance time t can be applied to the performance time that is sampled periodically at regularly spaced intervals. For example, if you set the sampling interval of the performance time to 3, you can set the first play time (1.1 in the figure), the fourth play time (2.2 in the figure), the 7th play time The evaluation index of the concert number is calculated based only on the unit evaluation index corresponding to the sampled performance time. These sampling methods reduce the amount of data to be calculated, so they are important when the performance time of a song is large.

또는 연주 시간은 실수 간격으로 등분된 악보 상의 연주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보의 1마디를 4등분하고, 매 0.25 마디 간격마다 그에 해당되는 단위평가지수들만을 선정하여,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악보 기준의 연주 시간 셈플링 방식도 산출할 데이터의 분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Alternatively, the play time can be applied to the musical score divided by a real number interval. For example, one score of a score may be divided into four quarters, and only the unit rating indexes corresponding to each interval of 0.25 intervals may be selected to calculate the score of the number of concerts. The performance time sampling method based on this score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o be calculated.

연주회수평가지수 E는 연주 음원의 회차 별로 평가함으로써 연주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연주 연습 성과의 증감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연주 회차에 따른 연주회수평가지수 E의 추이를 살핌으로써, 교습자는 자신의 연주 실력이 얼마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evaluation number E of the concert number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the performance sound source, so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in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performances increases. By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number E of concert evaluations 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ys, the trainee can ascertain how fast his or her performance is growin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주회차평가지수를 산출방법과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주회수평가지수 E를 산출함에 있어서,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연주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거친다. FIG. 7 relates to a method for calculating a performance index of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in calculating the concert number evaluation index E, a step of selecting a performance sound source to b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is further performed.

예를 들어 복수의 연주 음원 중에 사용자는 초창기에 미숙하게 연주하였던 몇몇의 연주 음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연주한 음원에 대한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performance sources, a user can calculate an evaluation index of the number of concerts for the remaining played sources, except for some of the performance sources that were played prematurely.

또는 연주 구간이 서로 유사한 몇몇의 연주 음원들만으로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하고, 비교함으로써 보다 해당 연주 구간에 대한 연주 연습의 성과 향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practice of the performance section is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section by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using only some of the performance sources whose performances are similar to each othe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과 관리 방법과 관련된다. Figure 8 relates to a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연주시간평가지수 Q와 연주회수평가지수 E가 동시에 산출된다. 이때, 입력한 모든 연주한 음원을 대상으로 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구간과 몇몇의 연주한 음원들을 선정하여 평가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E described above are calculat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all the input sound sources may be targeted, or the selected sound sources may be selected as the evaluation target by selecting a performance section and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s shown in the figure.

이를 위하여 교습자는 악보나 모범연주에서 특정 연주 구간을 특정하고, 평가할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iner can specify a specific section of the musical score or example performance and select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예를 들어 연주 구간의 특정은 제시한 악보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특정된 연주 구간에 따라 해당 연주 구간을 연주한 것으로 판정되는 음원들을 자동으로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음원의 선택 또한 사용자가 직접 특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cification of the performance section is made by sele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in the score, and the sound sources determined to have played the performance s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ed performance section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lternatively, the selection of the sound source can also be made by the user.

선정된 음원과 연주 구간의 단위평가지수들을 가지고, 전술한 실시예들의 연주시간평가지수 Q와 연주회수평가지수 E를 산출한다. 산출된 연주시간평가지수 Q와 연주회수평가지수 E는, 그래프 또는 수치 등으로 가공되어 교습자에게 제공된다.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alculated with the unit evaluation indexes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the performance section. The calculated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Q and the concert number evaluation index E are processed into graphs or numerical values and provided to the tutor.

몇몇의 음원과 평가할 연주 구간을 선택함으로써, 교습자는 특정 연주 구간에서 연주 실력이 연주 횟수마다 얼만큼 증진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By selecting several sound sources and a performance section to be evaluated, the trainer can grasp precisely how much of the performance is being improved by the number of times of performance in a specific performance s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교습자가 복수 회에 걸친 음원들을 보유함으로써, 해당 곡마다 교습자의 개인 연주 특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alculate information on the person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utor for each piece of music by the tutor having sound sources covering a plurality of times.

예를 들어, 악보를 평가 기준으로 삼을 때, 특정 패턴을 가지는 연주 구간에서 악보의 해석으로부터 얻어지는 연주 특성에 비하여, 교습자는 대부분의 연주에서 일정 수준으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박자, 음정, 빠르기 등 다양한 연주 특성의 차이점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단위평가지수의 분석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이다. For example, when a musical score is used as an evaluation reference, a teacher may tend to deviate to a certain level in most performances, compared with a performance characteristic obtained from interpretation of a musical score in a musical interval having a specific pattern. These differences can be deduced from differences in variou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uch as beat, pitch, and speed, and a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unit evaluation index.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교습자의 연주 습관이나 독창적인 패턴을 분석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습자 A는 3단 연음의 연주 구간마다 중간 음을 모범연주보다 강하게 연주하는 특성을 가지고, 교습자 B는 박자의 빠르기가 곡의 진행에 따라 악보에 비하여 점차 더 빨라지는 경향이 있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teaching habits and original patterns of the tutor through the database. For example, the teacher A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middle note is played stronger than the best performance for each stage of the third stage, and the teacher B has a tendency that the tempo of the beat gradually increases as the song progresses Can be confirmed.

이러한 교습자의 개인 특성은 잘못된 연주에 기인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때때로 개인의 독창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teachers are often attributed to improper performance, but sometimes they can be seen as representing the originality of the individual.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얻는 개인의 특성을 토대로 교습자의 성향따라 개인 맞춤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using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tutor.

구체적으로 4악기의 합주로 이루어진 곡의 한 악기를 교습자가 담당하여 연주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얻은 교습자의 빠르기 변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교습자의 연주 패턴에 맞추어 다른 3악기의 음원을 변조하여 교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교습자는 마치 자신과 오랜 기간 함께 연주 연습한 다른 연주자들과 합주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으며, 자신의 취향에 따른 합주를 연습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teacher plays a musical instrument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four musical instruments,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other three musical instruments is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pattern of the teacher, And present it to the teacher. As a result, the tutor can experience playing with other performers who have practiced with him for a long time, and can practice the ensemble according to his / her own taste.

10 : 입력부, 20 : 매칭부, 30 : 데이터베이스
40 : 평가부, 50 : 출력부
100 : 스마트폰, 200 : 서버장치
10: input unit, 20: matching unit, 30: database
40: Evaluation section, 50: Output section
100: smartphone, 200: server device

Claims (11)

평가 기준이 되는 모범연주에 대하여, 복수 회에 걸쳐 연주한 음원을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과 일치하도록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을 대비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A database is constructed by matching a sound source played plural times in association with the best performance as an evaluation reference so as to match the performance time of the best performance,
And performing the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by comparing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제1항에서,
상기 모범연주는
악보이거나,
복수의 전문가에 의해 연주된 음원을 상기 연주 시간별로 통계 내어 생성한 것인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xemplary performance
Music,
And a sound source played by a plurality of experts is statistically generated for each performance time.
제1항에서,
상기 모범연주와 상기 음원의 매칭 과정 중에,
상기 음원과 매칭되는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구간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uring the matching process between the exemplary performance and the sound source,
And visualizing the performance period of the exemplary performance matched with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display means.
제1항에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산출한 것이고,
상기 연주 특성은
피치, 강도, 박자,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량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And calculat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tim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 pitch, a strength, a beat, a speed, a change amount of a speed, and combinations thereof.
제1항에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단위평가지수로 산출하고,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연주한 음원을 토대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연주 시간별로 통계 분석하여, 각 연주 시간에 따른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Calculating a unit evaluation index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A plurality of the unit evaluation indexes obtained on the basis of a plurality of times of played sound sources a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each performance time to calculate a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each performance time.
제5항에서,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 중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를 거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calculat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 performance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through a step of selecting a sound source to be a target of statistical analysis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제5항에서,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단위숫자로 변경하고,
상기 통계 분석을 상기 단위평가지수의 합산으로 하여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연주시간평가지수를 연주 시간별 연습 횟수에 대한 정보로 삼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unit evaluation index is changed to a unit number,
Wherein the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by summing up the unit evaluation indexes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nd using the performance time evaluation index a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exercises per performance time.
제1항에서,
상기 평가는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의 연주 특성을 대비하여 단위평가지수로 산출하고,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연주한 음원을 토대로 얻어진 복수의 상기 단위평가지수를, 상기 음원의 입력 차수에 따라 통계 분석하여, 연주 횟수에 따른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Calculating a unit evaluation index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A performance performanc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for statistically analyzing a plurality of unit evaluation indices obtained based on a plurality of times of a played sound source and an input degree of the sound source to calculate an evaluation index of the number of concer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rformances.
제8항에서,
상기 연주회수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연주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를 거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calculating the number of concerts,
And a performance soun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for selecting a performance sound source to be subjected to the statistical analysis.
평가 기준이 되는 모범연주에 대하여,
복수 회에 걸쳐 입력된 음원들이 상기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과 일치하도록 매칭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범연주의 연주 시간에 대해 연주한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For example,
Wherein the sound sources that have been played for the performance time of at least one exemplary performance are stored so that the sound sources inputted over a plurality of times are matched with the performance times of the exemplary performances.
연주한 음원을 수신 받는 입력부,
입력된 음원을 모범연주에 대해 연주 시간별로 매칭시키는 매칭부,
상기 매칭부의 결과를 저장하는 것으로, 제10항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연주 시간별로 상기 모범연주와 연주한 음원을 대비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연주 연습 성과 관리시스템.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source played,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input sound source with respect to the best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And storing the result of the matching unit, the database according to claim 10,
An evaluation unit for quantitatively calculating an evaluation of the sound source by comparing the sound source played with the exemplary performance for each performance time through the databas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evaluation unit.
KR1020130156054A 2013-12-16 2013-12-16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KR2015006966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054A KR20150069660A (en) 2013-12-16 2013-12-16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PCT/KR2014/011310 WO2015093738A1 (en) 2013-12-16 2014-11-24 Method for managing result of performance practice,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and database use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054A KR20150069660A (en) 2013-12-16 2013-12-16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660A true KR20150069660A (en) 2015-06-24

Family

ID=5340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054A KR20150069660A (en) 2013-12-16 2013-12-16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69660A (en)
WO (1) WO201509373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622A (en) * 2017-02-07 2017-05-10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Text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21080A (en) * 2018-04-17 2019-10-25 장원영 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KR20190140420A (en) * 2018-06-11 2019-12-19 박정일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2799B1 (en) 2015-12-30 2017-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sic practice feedback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66B1 (en) * 2007-01-02 2009-04-24 김부전 Piano tuturing system using finger-animation and Evaluation system using a sound frequency-waveform
KR101140255B1 (en) * 2010-05-04 2012-04-26 조성일 Music Edutainment System
KR20130068913A (en) * 2011-12-15 2013-06-26 김민서 Apparatus for education of musical performance
JP5447540B2 (en) * 2012-01-20 2014-03-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Performance learn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622A (en) * 2017-02-07 2017-05-10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Text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652622B (en) * 2017-02-07 2019-09-1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ext training method and device
KR20190121080A (en) * 2018-04-17 2019-10-25 장원영 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KR20190140420A (en) * 2018-06-11 2019-12-19 박정일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738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975B2 (en) Artificially intelligent music instruction methods and systems
US9218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 playing a music instrument
KR20110127644A (en) Computer based system for teaching of playing music
Byo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time use in the practice of music majors: Self-report and observation analysis
WO2022067832A1 (en) Musical instrument teaching system, method for us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459324B1 (en) Evaluation method of sound source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sound using it
CN111052223A (en) Playback control method, playback control device, and program
Eren et al. The Implementation of Virtual Choir Recordings during Distance Learning.
Eremenko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technologies for the support of musical instrument learning
KR20150069660A (en)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KR101508927B1 (en) Self-practice system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Paney Singing video games may help improve pitch-matching accuracy
WO2008042655A2 (en) Student musical instrument compatibility test
Acquilino et al.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ies for music instrument pedagogy
KR100894866B1 (en) Piano tuturing system using finger-animation and Evaluation system using a sound frequency-waveform
KR20120034486A (en) Keyboard apparatus for music lesson
Timmers et al. Training expressive performance by means of visual feedback: existing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performance measurement techniques
CN110956870A (en) Solfeggio teaching method and device
Tanghe et al. Collecting ground truth annotations for drum detection in polyphonic music
JP5244738B2 (en) Singing evaluation device, singing evalu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iszczalski et al. Computer analysis and transcription of performed music: A project report
KR20140137240A (en) System for practicing electric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WO2016039465A1 (en) Acoustic analysis device
KR101077664B1 (en) Method of scoring and analyzing song using score of karaoke player
Tsabary Electroacoustic ear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