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88A -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88A
KR20150069388A KR1020130155721A KR20130155721A KR20150069388A KR 20150069388 A KR20150069388 A KR 20150069388A KR 1020130155721 A KR1020130155721 A KR 1020130155721A KR 20130155721 A KR20130155721 A KR 20130155721A KR 20150069388 A KR20150069388 A KR 2015006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ata
sensing data
mobil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388A/ko
Priority to US14/529,648 priority patent/US20150172868A1/en
Priority to PCT/KR2014/011152 priority patent/WO2015088154A1/en
Publication of KR2015006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이 제공된다. 본 서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hereof}
본 발명은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방법을 판단하기 위한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에 따라, 근래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패턴이나 성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사업자나 컨텐츠 제공자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된 사용자 동작 패턴이나 성향에 따라 사용자에 적합한 서비스나 컨텐츠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근래에는 센싱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전력 및 데이터 량에 관계없이 무조건 서버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모든 센싱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량이 증가하여 데이터 처리량이 역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방법 및 센싱 데이터 전송을 판단할 수 있는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은,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감소시키도록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감소시키도록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서버의 데이터 처리량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빈도 및 주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저장부에 포함된 모듈,
도 11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제어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제어 시스템(10)은 서버(100),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워치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링과 같이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른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가속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시간대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2 시간대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서버(1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위치 및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센싱 데이터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인 경우, 서버(1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사용자 동작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센싱 데이터의 센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서버(200)는 센싱 데이터의 센싱 시점을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통신부(110), 분석부(120) 및 변경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예를 들어, 사무실 등)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예를 들어, 집 등)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1 시간대(예를 들어, 오전 6시부터 밤 10시)에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시간대(예를 들어, 밤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에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분석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2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가속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이동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20)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통신부(1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변경부(1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변경부(1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 전송 빈도수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초당 30회 이상을 판단할 수 있고,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초당 10회 미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변경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이동 속도에 따라 전송 빈도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변경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전송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전송 빈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변경부(1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 전송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경부(1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제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경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보다 적으므로, 센싱 빈도수가 높아질 상황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여 센싱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집에 위치하는 경우(P1), 센싱을 중단하고,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집을 떠나는 시점에 센싱을 개시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가속 정보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집을 떠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동중(P2)임을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증가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에 따라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사무실에 위치하는 경우(P3),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감소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에 따라 센싱 빈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사무실을 떠나 이동하는 경우,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동중(P4)임을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증가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에 따라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집에 도착하는 경우(P5),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을 중단하고, 센싱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를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센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주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집에 위치하는 경우, 센싱을 중단하고,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 는 집을 떠나는 시점에 센싱을 개시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가속 정보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집을 떠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동중임을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주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을 중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여 센싱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사무실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주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변경한다. 웨러어블 디바이스(300)는 센싱을 중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하여 센싱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사무실을 떠나 이동하는 경우,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동중임을 판단하여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주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변경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을 중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여 센싱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집에 도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을 중단하고, 센싱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주체를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센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 센싱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히, 센싱부(220)는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및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가속 정보, 조도 정보 및 소음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하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1 장소(예를 들어, 사무실, 실외 등)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센싱부(220) 및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2 장소(예를 들어, 집 등)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 및 전송 대상을 바탕으로 센싱 데이터 수집의 빈도수 및 수집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가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하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가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감소시키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센싱 주체를 다른 디바이스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하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또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센싱 주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23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도록 센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빈도 및 센싱 주체를 판단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센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 이때,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장소(예를 들어, 실외, 사무실 등)에 위치하거나 제1 시간대(예를 들어, 오전 6시부터 밤 10시까지)인 경우,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장소(예를 들어, 집 등)에 위치하거나 제2 시간대(예를 들어, 밤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인 경우,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S62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이동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한다(S63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수 및 전송 주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키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710).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720).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수신한다(S730).
사용자 처리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S730-Y),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의 센싱 주체를 결정한다(S740). 구체적으로,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센싱 데이터의 센싱 주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변경하라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센싱 데이터의 센싱 주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변경하라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제어 시스템(1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81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820).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S83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생성한다(S840). 이때,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전송한다(S850). 이때, 서버(200)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센싱 방법을 결정한다(S86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센싱 빈도수 및 센싱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버(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버(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버(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버(100)가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센싱 방법을 직접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센싱 방법을 직접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바탕으로 센싱 데이터의 센싱 시점, 센싱 빈도 및 센싱 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여부, 통신 연결 상태 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 및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장소별로 선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1 장소(예를 들어, 집)에 위치하는 동안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동안 제1 장소에 대응되는 선호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통신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통신 연결 상태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1 장소(예를 들어,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싱부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센싱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의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의 센싱 빈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센싱 명령을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구비된 센싱부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구비된 센싱부의 센싱을 개시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시점, 센싱 빈도, 센싱 주체를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이용되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사용자 동작 패턴과 상이한 행동 패턴이 감지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상이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중에 있는 경우, 사용자 동작 패턴에 대한 일정 패턴을 찾고, 기존 패턴과 다른 사용자 패턴이 감지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상이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뛰고 있는 행동 패턴을 보이다가 걷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걷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900)로 전송한다. 이때, 분석 데이터는 센싱 데이터 및 사용자 동작 패턴에 대한 확률 기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데이터는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는 경우, A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확률" 등과 같은 데이터 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후에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른 센싱 데이터의 센싱 시점, 센싱 빈도수, 센싱 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데 분석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싱 제어 시스템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더욱 능동적으로 센싱부의 센싱을 위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통신부(910), 센싱부(920), 디스플레이부(930), 저장부(940), 전원 공급부(950), 입력부(960) 및 제어부(970)를 포함한다.
통신부(9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9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91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900)가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910)는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92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920)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조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30)는 제어부(9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9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방송 데이터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94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94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저장부(940)는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9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데이터 데이터베이스(941), 사용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942), 컨텍스트 인지 모듈(943), 센싱 판단 모듈(944), 전송 판단 모듈(945)을 포함한다.
분석 데이터 데이터베이스(941)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분석 데이터는 사용자 동작 패턴과 센싱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확률 기반으로 분석한 데이터일 수 있다. 분석 데이터의 일 예로, "사용자가 집에 있는 경우, 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확률이 70%" 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분석 데이터 데이터베이스(941)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분석 데이터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942)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통신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인지 모듈(943)은 센싱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컨텍스트를 인지한다. 예를 들어, GPS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텍스트 인지 모듈(953)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센싱 판단 모듈(944)은 컨텍스트 인지 모듈(943)에 의해 인지된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센싱 시점, 센싱 빈도, 센싱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센싱 판단 모듈(944)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센싱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센싱 빈도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센싱 주체를 센싱이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센싱 판단 모듈(944)은 센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센싱을 중단할 수 있으며, 센싱 빈도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센싱 주체를 모바일 디바이스(900)로 판단할 수 있다.
전송 판단 모듈(945)은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송 판단 모듈(945)은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을 바탕으로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제1 영역(예를 들어, 사무실)에 위치하는 경우, 전송 판단 모듈(945)은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00)가 제2 영역(예를 들어, 집)에 위치하는 경우, 전송 판단 모듈(945)은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을 판단하기 위한 다른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95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모든 구성에 대해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950)는 제어부(97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구성 중 센싱부(920)의 적어도 일부에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 공급부(950)는 센싱부(920) 중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입력부(96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960)는 디스플레이부(930)에 구비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970)는 저장부(9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971), ROM(972), 그래픽 처리부(973), 메인 CPU(9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975-1 ~ 975-n), 버스(976)를 포함한다. 이때, RAM(971), ROM(972), 그래픽 처리부(973), 메인 CPU(9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975-1 ~ 975-n) 등은 버스(97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9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974)는 ROM(9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940)에 저장된 O/S를 RAM(9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974)는 저장부(9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971)에 복사하고, RAM(97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97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96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9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974)는 저장부(9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9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974)는 저장부(9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945-1 내지 9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97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시점, 센싱 빈도 및 센싱 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센싱부(920)의 센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저장부(940)는 분석 데이터로 위치에 따른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선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선호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확률이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60%)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에 대한 선호 어플리케이션으로 A1,A2,A3를 포함하며, 사무실에 대한 선호 어플리케이션으로 A1,A4,A5를 포함하며, POI(Point of Interest)에 대한 선호 어플리케이션으로 A1,A2,A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70)는 제1 장소에 위치하는 동안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제1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A2.A3가 실행된 경우, 제어부(97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제1 장소가 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제1 장소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예를 들어, 센싱부(920)의 GPS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통신 연결 상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제1 장소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소에 대응되는 선호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A2,A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다가 A5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970)는 A5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시점에 GPS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70)는 A5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시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통신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10)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970)는 와이파이 통신이 연결된 AP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AP의 ID 정보가 "HOME"인 경우, 제어부(970)는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가 집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가 기설정된 장소인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 중 적어도 일부의 센서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가 집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감지하는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하여 센싱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연결 상태가 변경되어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 중 적어도 일부의 센서의 센싱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 와이 파이 통신 모듈이 "A"의 ID 정보를 가지는 AP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하여 센싱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센싱값이 "O"인 경우, 제어부(97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가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970)는 고정된 장소에 존재하므로, 한번 측정된 위치 정보를 더 이상 측정하지 않도록 GPS 센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 센싱값이 "0"을 유지하다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 시점에 가속 센싱값이 "A1"값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 정보에 대한 센싱을 개시하도록 센싱부(9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70)는 가속 센싱값이 변경된 경우,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하여 위치 정보에 대한 센싱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가속 센싱값이 "A1"값으로 감지된 시점에 감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 상태에 따라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센싱 빈도수가 조절되는 센서는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소음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t1 구간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에 고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을 떠나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중인 t2 구간의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증가(예를 들어, 초당 15~20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970)는 이동 속도에 따라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t3 구간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사무실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감소(예를 들어, 초당 5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중인 t4 구간의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집으로 돌아온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및 이동 상태에 따라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 빈도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가 변경된 시점이나 이동 상태가 변경된 시점의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가 변경된 시점이나 이동 상태가 변경된 시점의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30)는 센싱부(92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제어부(97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센싱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전송하고, 센싱부(920)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판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구비된 센싱부(920)를 통해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센싱부(920)의 센싱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을 떠나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의 센싱 주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사무실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의 센싱 주체를 모바일 디바이스(900)로 판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사무실을 떠나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7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의 센싱 주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위치 정보 및 가속 정보의 센싱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및 이동 상태에 따라 센싱 주체를 변경함으로써, 센싱 빈도수가 높은 이동 중에는 센싱이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하고, 센싱 빈도수가 낮은 고정된 위치에서는 센싱 동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보다 많은 전력 소모가 필요한 모바일 디바이스(900)를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시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70)는 자정부터 오전 7시까지는 사용자가 고정된 위치(예를 들어, 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70)는 시간 정보에 따른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 시점, 센싱 빈도수, 센싱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70)는 자정부터 오전 7시까지는 센싱을 중단하도록 센싱부(920) 및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하며, 오전 7시 이후에는 센싱을 개시하도록 센싱부(920) 및 전원 공급부(9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7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사용자 동작 패턴과 상이한 사용자 동작 패턴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위치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경우, 제어부(970)는 변경된 시점의 센싱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서버(100)가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970)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910)를 제어하며,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저장부(940)에 저장하여 기 저장된 분석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비해 센싱에 필요한 전력이 작을 수 있으나, 데이터 처리 속도 및 저장 용량이 모바일 디바이스(90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동작 패턴을 판단한다(S141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복수의 센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통신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사용자 동작 패턴에 따라 센싱부의 센싱 시점, 센싱 빈도, 센싱 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S142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 정보에 대한 센싱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집에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위치 정보에 대한 센싱을 중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900)가 이동 중에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위치 정보에 대한 센싱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모바일 디바이스(90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센싱 빈도 및 센싱 주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 빈도수를 감소시키거나, 센싱을 중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 빈도수를 증가시키거나,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통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9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센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1510).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1520).
사용자가 이동중인 것이라 판단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한다(S1530).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920)의 전원을 차단한다(S154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1550).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안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1560).
사용자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 주체 변경 명령을 모바일 디바이스(900)로 전송한다(S1570).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부의 전원을 차단한다(S1580).
모바일 디바이스(900)는 센싱부(920)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159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서버의 데이터 처리량 역시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버(100)가 센싱 데이터 및 사용자 동작 패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모바일 디바이스(9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자체가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90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버(1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센싱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통신부 120: 분석부
130: 변경부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감소시키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방법.
  25.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장소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태 정보 분석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제1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2 시간대에 상기 사용자 동작 패턴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의 전송 빈도 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 빈도수를 감소시키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고, 상기 사용자 처리 데이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주체를 외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수집을 중단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30155721A 2013-12-13 2013-12-13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KR20150069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21A KR20150069388A (ko) 2013-12-13 2013-12-13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US14/529,648 US20150172868A1 (en) 2013-12-13 2014-10-31 Serv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of, and mobile device and sensing method thereof
PCT/KR2014/011152 WO2015088154A1 (en) 2013-12-13 2014-11-20 Serv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ereof, and mobile device and sen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21A KR20150069388A (ko) 2013-12-13 2013-12-13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88A true KR20150069388A (ko) 2015-06-23

Family

ID=5337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721A KR20150069388A (ko) 2013-12-13 2013-12-13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72868A1 (ko)
KR (1) KR20150069388A (ko)
WO (1) WO2015088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604A (ko) * 2018-01-11 2019-07-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위를 인지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2749B (zh) * 2013-04-11 2019-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
US10681639B2 (en) * 2017-06-15 2020-06-09 HyperTrac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sensor data from a mobile device
JP6754083B2 (ja) * 2019-02-20 2020-09-09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688B1 (en) * 2000-02-22 2003-08-26 Ericsson Inc. Position report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3820258B2 (ja) * 2004-04-21 2006-09-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機能制限装置、及び、機能制限方法
WO2006075512A1 (ja) * 2005-01-13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情報通知制御装置、情報通知方式、およびプログラム
US7853268B2 (en) * 2005-01-26 2010-12-14 Broadcom Corporation GPS enabled cell phone location tracking for security purposes
US7606579B2 (en) * 2005-12-01 2009-10-20 Discrete Wireless, Inc. Auto mapping through location based triggers
US8069168B2 (en) * 2006-09-28 2011-11-29 Augme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querying and serving in a virtual world based on profiles
US8566961B2 (en) * 2008-08-08 2013-10-22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Approaches for a location aware client
KR101520746B1 (ko) * 2009-01-07 2015-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2620028B1 (en) * 2010-09-23 2020-04-2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ordination of radio resources usage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KR101228336B1 (ko) * 2011-04-01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행동패턴을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30124184A (ko) * 2012-05-04 2013-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기록을 이용한 사용자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US8781500B1 (en) * 2012-09-12 2014-07-15 Google Inc. Proprietor-controlled location-based setting of notification policies
US9554747B2 (en) * 2013-08-26 2017-01-31 EveryFit, Inc. Power effici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hysical activity in resource constrained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604A (ko) * 2018-01-11 2019-07-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위를 인지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54A1 (en) 2015-06-18
US20150172868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381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2322030B1 (ko)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354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US2016033498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acters from same
KR102360178B1 (ko)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54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002724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069388A (ko)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WO201409847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201500845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5137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02381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컨텐츠 추천 방법
KR1023192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1959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40129979A1 (en) Display device and list display method thereof
EP2753092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ordinates using the same
US201401817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KR201600339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99002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Wake On LAN(W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4911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4357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