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66A -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66A
KR20150068166A KR1020130154061A KR20130154061A KR20150068166A KR 20150068166 A KR20150068166 A KR 20150068166A KR 1020130154061 A KR1020130154061 A KR 1020130154061A KR 20130154061 A KR20130154061 A KR 20130154061A KR 20150068166 A KR20150068166 A KR 2015006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sensor
vehicle
user
car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2141B1 (en
Inventor
박기웅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3015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141B1/en
Priority to CN201480055308.4A priority patent/CN105637161B/en
Priority to PCT/KR2014/009442 priority patent/WO2015053537A1/en
Priority to US15/027,676 priority patent/US10137861B2/en
Priority to EP14852399.6A priority patent/EP3056639A4/en
Priority to BR112016007684A priority patent/BR112016007684A2/en
Publication of KR2015006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18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mart card key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particular, a capacitive touch sensor is applied to a card key which is produced to be slim,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of thickness while actively performing an RKE function and enhancing consumer convenience.

Description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히 이모빌라이져 기능만을 수행하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슬림하게 형성된 스마트 카드키에 있어서, 능동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해정시키는 기능(RKE:Remote Keyless Entry)을 부여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rd key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ard key formed to slimly perform a simple emulator function and easy to accommodate, including a function of actively locking or unlocking a door of a vehicle (RKE: Remote Keyless Ent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an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battery.

일반적으로,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 엔진을 작동시키는 키 어셈블 리가 배치되고, 키 어셈블리에 작동 키를 삽입 회전하는 동작으로 엔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작동 키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간단하게 시동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엔진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해졌다. Generally, a key assembly for operating a vehicle engine by a user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n operation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assembly to rotate the engine. Meanwhile,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possible that the engine can be operated by simply pressing the start button without using the operation key.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하고, 상기 스마트키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재된 ECU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여 정당한 사용자에게만 차량 엔진의 시동 온(ON)을 허여하는 소위 스마트키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고, 스마트키는 사용자가 휴대하여야 하므로 지갑이나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될 수 있는 한 얇게 제작되는 것이 동 기술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however, a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o prevent theft or the like of a vehicle. A user carries a smart key, and a user carrying the smart key carries an ECU A so-called smart key system in which encryption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relessly to allow only a legitimate user to turn on the vehicle engine is being introduced. The smart key has to be easily carried by a user, It is becoming a new task in the field of the technology to be made as thin as possi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능한 한 수납이 용이하도록 최대한 얇게 제작하기 위하여, 기존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된 인쇄회로기판(2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방식인 분리형 방식에서,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된 인쇄회로기판을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본체(10)를 형성하는 동작으로 상기 각종 전장 부품 전체를 감싸도록 제작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n which various electric parts are soldered, is stored in order to make it as thin as possible for easy storage In the separate type system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operation of forming the main body 10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molding material for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ctric parts are soldered, A method of fabricating it is adopted.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는, 얇게 제작되어야 하는 기술적 부담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관계로,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와 스마트 카드키(1)간 정상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외에 별도의 스위칭 기능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lim type smart card key 1 of such a vehicle still has the technical burden of being made thin, besides giving the function of authenticating the normal user between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smart card key 1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witching function can not be given.

최근에는,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기능 동작부(특히, 차량의 사이드 도어 및 트렁크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원격무선출입 시스템(Remote Keyless Entry System)이 상용화되고 있는데, 스마트키 휴대자가 대략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키에 구비된 스위칭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해정 상태가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recent years, a remote keyless entry system has been commercialized that locks or unlocks a functional operation unit (particularly, a side door and a trunk door of a vehicle) of a vehicle remotely using a smart key. When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the unlocking state of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can be remotely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by using the switch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smart key, The locked state can b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그런데, 상술한 스위칭부가 물리적으로 차지하는 두께로 인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키(1)의 슬림화 제작에 있어서 설계상의 난점이 있고, 상기 스위칭부의 부적용에 따른 상기 원격무선출입 시스템 적용의 적용이 어려워 소비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because of the thickness physically occupied by the switching unit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fficulty in designing the smart card key 1 in a slim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mote wireless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unit, .

한편, 스마트 카드키(1)에 비교적 두께를 차지하지 않는 터치 센서형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여지는 있으나, 사용자의 휴대 도중 의도치 않은 오작동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터치 센서의 작동을 센싱하기 위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문제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smart card key 1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type switching unit which does not take up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malfunction problem unintentionally occurs during user's portabl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may be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센서 스위치를 이용하여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을 효과적으로 슬림화된 스마트 카드키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m smart smartphone which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by applying a remote keyless entry (RKE) function to a slim smart card key using a touch sensor switch A card ke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의 성형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후 상기 본체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 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의 조작 노브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n outer tube is molded by a curing furnace molding material by an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various electric parts before molding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re soldered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formed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when a user touches a portion of the touch panel with a finger, a logo panel that is pus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visually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Wherein the logo panel comprises an operation-on (On) button for waking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 Operation knob of the switching unit.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락킹시키는 락(Lock) 스위치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언락(Unlock) 스위치와,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와, 차량의 경보음을 원격으로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may include a lock switch for remotely 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 unlock switch for remotely un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 trunk door switch for unlocking the vehicle, and a panic switch for remotely generating an alarm sound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generates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by a touch method.

또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may include the operation knob and a switch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데코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조사 로고가 인쇄될 수 있다. Further, the operation kno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decor sheet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manufacturer's logo may be printed.

또한, 상기 스위치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소정 두께를 가진 금속체일 수 있다. The switch contact portion may be a met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 사이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A contact pa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knob and the switch contact portion to contact the switch contact portion during a push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또한,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RKE 기능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the main body and visually displaying whether the RKE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또한, 상기 로고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ge of the logo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part for sensing static electricity provided by the user when the operation knob is push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작동 온 스위칭부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on switching unit contac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of an operation-on switching unit is established; A step of waking up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sensor switch is ON, and a step of detecting a lock or unlock of a side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ouch sensor is operated after the touch sensor switch wake- And a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for slipping the touch sensor switch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는 락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고, 상기 언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may include a lock switch for 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d an unlock switch for un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wherein the RKE operation step includes: The side door is locked,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is unlocked by the unlock switch, and the user can control to unlock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by touching any on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또한,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다른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상기 어느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KE operation step controls the user to unlock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by touching any on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first and then touching the other one at a later time. When the user touches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The user may touch the other one first and then tou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es to generate an alarm sound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함과 아울러, 상기 로고 패널의 주위에 구비된 오작동 방지 터치부에 의한 사용자의 정전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Also, the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determines that the contact is ON by the operation-switching unit contact determining step, and determines that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user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provided around the logo panel And may be controlled to wake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only when sens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슬림화하여 제작된 카드키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정전식 터치 센서 스위치를 통하여 RKE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m smart card key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vely utilize the RKE function through the electrostatic touch sensor switch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ard key manufactured by slimness,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lim smart card ke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IG.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110)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110)의 성형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과,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110)의 성형 후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와,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160)을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im smart card ke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in which an outer tube is molded by a hardening furnace of a molding material by an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 printed circuit board 120,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10 whe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various electrical parts before soldering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re soldered, And is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efore forming the main body 110.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fter 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finger, And a logo panel 160 that is pus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by a user and visually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Wake-Up)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200)의 조작 노브(160)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뒤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logo panel 160 may be an operation knob 160 of an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for waking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is section.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몰딩 재료의 경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면, 미도시의 하부 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형성된 성형 공간인 성형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배치시키고, 상기 몰딩 재료를 상기 성형틀 내부로 부어 경화시키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The main body 110 is formed by curing the mold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When various electric parts ar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 molding space And the insert molding process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placed in a molding die that is formed by molding the molding material into the molding die and hardened by pouring the molding material into the molding die.

상기 몰딩 재료는, 경도 및 중량의 측면에서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 재료를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사이의 상기 성형틀에 주입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전면에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상기 성형틀의 형상과 같은 본체(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카드키(100)는 슬림 타입의 카드키(100) 제작을 그 목적으로 하는 바, 상기 본체(110)의 두께는 3.4t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The molding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n epoxy resin material in terms of hardness and weight. When the mold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ing die between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the molding material is filled on the entire surface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110) is formed. The slim type card ke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nufacture the slim type card key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110 does not exceed 3.4t.

한편, 상기 본체(110)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이하에서는 변(길이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을 일측 단부측 및 타측 단부측이라 하고, 변(길이부)의 길이가 긴 부분을 일측 장부측 및 타측 장부측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ody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ortion having a shorter length is referred to as an end portion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and a portion having a longer leng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110)의 일측 단부측에는 비상키가 상기 일측 단부측에서 타측 단부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비상키 수용홈이 상기 일측 장부측에 인접되게 형성된다. 상기 비상키 수용홈은 상기 본체(110)를 상기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하기 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는 비상키 안착 플레이트(115)에 의하여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키 수용홈에 몰딩 재료가 유입되지 않도록 인서팅 블록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An emergency key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one side so that the emergency key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end side from the one side end side. The emergency key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an emergency key seating plate 115 that is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efore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main body 110 using the molding material.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n inserting block can be utilized to prevent the molding material from flowing into the emergency key receiving groove.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그 기능면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잠금(락킹(Locking))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락(Lock) 스위치(130)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해정(언락킹(Unlocking))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언락(Unlock)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의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Unlocking)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미도시) 및 비상 상황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2개만 구비되고,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적정한 작동 모습 및 순서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nclude a lock switch 130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for locking (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in terms of its function, And an unlock switch 140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at unlocks the side door. Further, a trunk door switch (not shown) for unlocking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and a panic switch (not shown)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added. Howe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provided, and the two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ha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일종의 정전식 터치 스위치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하면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카드키(100)를 슬림화 제작하는 것이 그 목적인 바, 푸쉬 타입 스위치는 두께의 증가가 우려되므로 채택할 바 못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두께 증가 없이도 RKE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s a kind of electrostatic touch switch, and generates the electric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using the fing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key 100 is manufactured in a slim form. Since the push type switch is concerned with an increase in thickness, it is not suitable to be adopted. As described above, It has the advantage of adding RKE functio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술한 터치 스위치 타입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라 함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전기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센서를 말한다.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nclude a touch sensor to enable the above-described touch switch type operation. Here, the touch sensor refers to a sensor capable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static electricity or a predetermined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a user's fing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RKE(Remote Keyless Entry : 원격무선출입) 기능의 작동 여부 또는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card key for a vehicle, which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efore molding of the main body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a display unit 150 for visually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remote keyless entry (RKE)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n-switching unit 200 is displayed.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가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작동되어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언락킹, 그리고 패닉 기능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is ope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woken up and whether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operated, A locking or unlocking of a side door of the vehicle, an unlocking of a trunk door of the vehicle, and a panic function are perform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가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면 제1색상의 빛을 점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중 상기 락 스위치(130)가 작동되면 제2색상의 빛을 점등시키며,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중 상기 언락 스위치(140)가 작동되면 제3색상의 빛을 점등시킴으로써 각각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상태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is operated so that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woken up, the first color light is turned on, and the first touch sensor switch 130, When the switch 130 is operated, light of the second color is turned on. When the unlock switch 140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s operated, the third color light is turned on, Can be distinguished.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색상이 상이한 빛을 조사하는 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n 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light having different colors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기 비상키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본체(110)의 상기 일측 장부측에 대향되는 상기 타측 장부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비상키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일측 단부측에 대향되는 상기 타측 단부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form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on which the emergency key receiving groove is formed, And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side opposite to the one end side on which the emergency key receiving groov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는, 상기 조작 노브(160)와,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된 스위치 접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may include the operation knob 160 and the switch contact unit 210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efore the main body 110 is molded.

상기 조작 노브(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로고 패널(160)과 동일한 부호로 지시될 수 있다. The operation knob 160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logo panel 160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s described above.

상기 로고 패널(160)은 일반적으로 제조사의 마크(심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경우, 본체(110)가 몰딩 재료에 의하여 성형되므로 본체(110)에 직접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별도의 데코 시트(17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lim smart card ke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110 is formed by the molding material, the main body 110 But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a separate decorative sheet 170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improve appearance.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기 데코 시트(17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돌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the logo panel 1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cor sheet 170 and may be formed as a protruding surface gently protruding outside the body 110 have.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푸쉬 작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logo panel 160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enable push operation by the user's finger.

상기 로고 패널(160)과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 사이에는 상기 로고 패널(160)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에 밀착되어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로고 패널(160)과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 사이가 상기 접점 패드(220)의 움직임에 의하여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지 않는 소정의 접점 공간(230)이 형성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ntact pad 220 is provided between the logo panel 160 and the switch contact part 2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part 210 when the logo panel 160 is pushed, ). Her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ontact area (not shown) in which the molding material is not filled,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logo panel 160 and the switch contact part 210 may be established by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ad 220. [ (230) is formed.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된 일반적인 전기 회로부 외에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에 의한 별도의 접점이 용이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별도로 결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체일 수 있다. The switch contact unit 210 may include a general electrical circuit unit printed directly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a separate contact point formed by the operation- And may be a met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separately bonded to the metal body.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결합된 은합금체 또는 금합금체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witch contact portion 210 may be a silver alloy body or a gold alloy bod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또한,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된 완성형 스위치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성형 스위치 모듈은, 전도체 재질의 돔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The switch contact portion 210 may be a completed switch modul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Here, the completed switch module may be a dome-type switch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한편, 상기 로고 패널(160)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가 상기 로고 패널(160)을 푸쉬 작동시킬 때, 사용자로부터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part 165 for sensing static electricity from the user when the user pushes the logo panel 160 may be provided at the rim of the logo panel 160.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는, 사용자가 상기 카드키(100)를 주머니 또는 가방 등과 같은 곳에 휴대 또는 보관할 때, 의도치 않게 상기 로고 패널(160)이 조작 노브로서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may unintentionally operate the logo panel 160 as an operation knob when the user carries or stores the card key 100 in a pocket or a bag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the switches 130 and 140 from waking up.

즉,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는 사용자가 상기 로고 패널(160)을 푸쉬 조작하려는 의사에 기한 행동인지 여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can prevent a malfunction by detecting static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user's finger whether the user intends to perform the push operation on the logo panel 160.

상술한 바와 같은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한 오작동 방지는 카드키(100)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이어진다. The malfunction prevention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at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of the card key 100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림화되어 제작된 카드키(100)에 이모빌라이저 기능 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R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를 추가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immobilizer function but also the function part capable of actively performing the RKE function is added to the card key 100 manufactured by the slimness And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consum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 더욱 구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specifically achieved when all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slim smart card ke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isfi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 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S30)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를 포함한다. 4, an operation-on switch contact determination step S1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is in contact with the smart card key, And a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S20) for waking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140)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on switch contact determination step (S10) An RKE operation step S30 for perform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the touch sensor is operated after the wake-up step S20; And a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S40 for slipping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when elapsed.

여기서,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이 웨이크 업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의 센싱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배터리 소모 상태가 계속 유지됨으로써 상기 카드키(100)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Here, the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S40) may be continued until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140) are woken up to continuously monitor the sensing of the touch sensor,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from being consumed.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사용자가 주머니와 같은 부분에 넣어 보관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오작동 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이 예견되지 않은 경우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에 의하여 작동을 불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since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housed in a bag-like portion by a us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may malfunction due to the user's finger. Therefore, when the user's use is not foreseen, It is preferable to deactivate the operation by the step S40.

아울러, 상기 로고 패널(160)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예견되지 않는 오작동을 더 명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30)는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가 사용자의 정전기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20)에 의하여 작동 온(ON)이 된 경우라도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키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In addition, malfunctions which are unexpected to be used by the user can be more clearly prevented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part 165 provided at the rim of the logo panel 160. That is, when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does not sense the user's static electricity, the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S30 may be turned on by the operation-on switch contact determination step S20 So that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not woken up.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1차적으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즉,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처음부터 생성시키지 않는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ouch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is primarily activated. That is, when the touch of the user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is not detected,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is not generated from the beginning.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처음부터 생성시키지 않을 경우, 후속하는 단계인 상기 RKE 작동 단계(S30) 또한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배터리의 소모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this manner, when the predetermined on-off switching unit 200 does not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beginning, the RKE operation step S30, which is a subsequent step, is not performed, As shown in Fig.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에서 상기 소정 시간은 5초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In the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S40,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to 5 seconds or les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써, 1차적으로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2차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예견된 경우라도 적극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터치하지 않음으로써 작동을 캔슬시킬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Thus,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165, and even if the use is predicted by the user in the secondary, the user can positively touch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function of canceling the operation.

한편,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술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130) 및 상기 언락 스위치(140)의 각 터치 센서를 통하여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의 생성에 따른 해당 사이드 도어의 락킹 및 언락킹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의 각 터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순서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거나, 차량의 패닉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nclude a lock switch and an unlock switch, as alread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described above. In the RKE operation step, Locks and unlocks the corresponding side door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through each touch sensor of the unlock switch 130 and the unlock switch 1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locking of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or the panic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ouch order of the user.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상기 락 스위치(130)만을 터치하면 기설정된대로 상기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normally touches only the lock switch 130, the user can control to lock the side door as previously set.

또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상기 언락 스위치(140)만을 터치하면 기설정된대로 상기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normally touches only the unlock switch 1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locking of the side door as preset.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130) 또는 상기 언락 스위치(140)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락 스위치(130))를 터치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나머지 스위치(예를 들면 언락 스위치(140))를 터치하면, 상기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after the user touches any one of the lock switch 130 or the unlock switch 140 (for example, the lock switch 130), the remaining switches (for example, the unlock switch 1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locking of the trunk door.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언락 스위치(140)를 먼저 터치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락 스위치(130)를 시간차를 두고 터치하면, 비상 상황임을 주변에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패닉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Lastly, contrary to the case where the user unlocks the trunk door, when the unlock switch 140 is touched first and then the lock switch 130 is touched with a time lag after a predetermined time, A panic function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여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작동 모습 또는 순서에 따른 개별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함은 물론, 설계의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is limited to two, and the operation states of the two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Or individu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order can be controll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이용하여 3가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을 창출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functions are performed using the two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thereby simplifying the product, Which is advantageou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를 상술한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첨부된 도면(특히,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m smart card ke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trolled using the control metho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articularly, FIG. 4).

먼저, 사용자가 상기 카드키(100)에 구비된 상기 로고 패널(160)에 해당하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조작 노브(160)를 푸쉬 작동시켜 상기 조작 노브(160)의 접점 패드(220)가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에 접점 온(ON)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색상을 빛으로 점등시킨다(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 -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First,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knob 160 of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logo panel 160 provided in the card key 100, the contact pad of the operation knob 160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woken up when the touch sensor switches 220 and 220 are turned on to the switch contact 210.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Operation-on switch contact determination step S10-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S20).

다음으로, 상기 터치 센서가 작동되면 그 작동에 따라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 그리고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언락 및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KE 동작 단계(S30)). Next, when the touch sensor is operated, a lock or unlock of a side door of the vehicle, an unlocking and a panic function of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Step S30).

마지막으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 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켜, 후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작동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카드키(100)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
Finally,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woken up, the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are sli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subsequent touch sensor switches 130 and 140 is disabled, (The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S4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m smart card ke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카드키 110: 본체
120: 인쇄회로기판 130,140: 터치 센서 스위치
150: 디스플레이부 160: 로고 패널
165: 오작동 방지 터치부 170: 데코 시트
200: 작동 온 스위칭부 210: 스위치 접점부
220: 접점 패드 230: 접점 공간
100: card key 110:
120: printed circuit board 130, 140: touch sensor switch
150: display section 160: logo panel
165: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part 170: Deco sheet
200: Operation ON switching part 210: Switch contact part
220: Contact pad 230: Contact area

Claims (13)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의 성형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후 상기 본체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 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의 조작 노브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A main body in which an outer tube is molded by a hardening furnace of a molding material by an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ctrical parts before molding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re soldered and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molded by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method;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that ar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the body and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fter the body is formed,
A logo panel that is pus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a user and visually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a user,
Wherein the logo panel is an operation knob of an operation on switch for waking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락킹시키는 락(Lock) 스위치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언락(Unlock) 스위치와;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와;
차량의 경보음을 원격으로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comprise:
A lock switch for remotely 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 unlock switch for remotely un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 trunk door switch for remotely unlocking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comprising a panic switch for remotely generating an alarm sound of the vehic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include a touch sensor that generates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by a touch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Claim 1
The operation-
An operation knob;
And a switch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the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데코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조사 로고가 인쇄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knob
A slim type smart card key formed integrally with the decor sheet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manufacturer's logo is prin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소정 두께를 가진 금속체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of claim 4,
The switch contact portion is a slim type smart card key of a vehic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 사이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가 구비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ontact pad for contacting the switch contact portion during a push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knob and the switch contac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RKE 기능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before molding of the main body and visually displaying whether the RKE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oper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고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가 구비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m smart card key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part for sensing static electricity provided by the user when pushing the operation knob by the user.
작동 온 스위칭부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An operation-on-switching-unit contac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is in contact;
A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of waking up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on switching unit contact determination step that the contact is turned on;
An RKE operation step of locking or unlocking a side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ouch sensor is operated after the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And a touch sensor switch slip step of slipping the touch sensor switch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ouch sensor switch wake-up step.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는 락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고, 상기 언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switches include a lock switch for 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d an unlock switch for unlock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The RKE operation step includes:
Locks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by the lock switch, unlocks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by the unlock switch, and unlocks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user touches either the lock switch or the unlock switch A method for controlling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which controls a vehic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다른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상기 어느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RKE operation step includes:
When the user touches any on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first and then touches the other one later,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be unlocked,
And controlling the us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user touches the other on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first and then touches one of the lock switch and the unlock switch lat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함과 아울러, 상기 로고 패널의 주위에 구비된 오작동 방지 터치부에 의한 사용자의 정전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uch sensor switch wake-
The touch panel is determined to be ON by the operation-switching unit contact determination step, and only when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malfunction prevention touch unit provided around the logo panel, A control method of a slim smart card key of a vehicle which wakes up.
KR1020130154061A 2013-10-07 2013-12-11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KR101602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1A KR101602141B1 (en) 2013-12-11 2013-12-11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CN201480055308.4A CN105637161B (en) 2013-10-07 2014-10-07 The slim intelligent cards key and its control method of vehicle
PCT/KR2014/009442 WO2015053537A1 (en) 2013-10-07 2014-10-07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5/027,676 US10137861B2 (en) 2013-10-07 2014-10-07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4852399.6A EP3056639A4 (en) 2013-10-07 2014-10-07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BR112016007684A BR112016007684A2 (en) 2013-10-07 2014-10-07 thin smart card ke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1A KR101602141B1 (en) 2013-12-11 2013-12-11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66A true KR20150068166A (en) 2015-06-19
KR101602141B1 KR101602141B1 (en) 2016-03-10

Family

ID=5351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1A KR101602141B1 (en) 2013-10-07 2013-12-11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1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825A1 (en) * 2016-10-14 2018-04-1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Card-type vehicl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116826A (en) *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d 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52B1 (en) 2018-12-18 2019-08-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Card key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644A (en) * 2011-09-15 2013-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mart key structure
KR20130079901A (en)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ard ke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rd key
KR20130096054A (en) * 2012-02-21 2013-08-29 홍민지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of automobile door
KR20130107720A (en)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대동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644A (en) * 2011-09-15 2013-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mart key structure
KR20130079901A (en)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ard ke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rd key
KR20130096054A (en) * 2012-02-21 2013-08-29 홍민지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of automobile door
KR20130107720A (en)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대동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825A1 (en) * 2016-10-14 2018-04-1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Card-type vehicl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41802A (en) * 2016-10-14 2018-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Card type smart key for vehicles ana method thereof
CN109804126A (en) * 2016-10-14 2019-05-24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Card form Vehicular intelligent key and its control method
US10773686B2 (en) 2016-10-14 2020-09-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rd-type vehicl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804126B (en) * 2016-10-14 2021-06-22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Card type vehicle intelligen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16826A (en) *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d 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141B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861B2 (en)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136000B2 (en)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US10351099B2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US20100102927A1 (en) Mobile identification device
JP201353340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access
KR101602141B1 (en) 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KR101406988B1 (en) Apparatus of card 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32705A (en) Intelligent electronic lock keyboard, unlocking method thereof and intelligent electronic lock
WO2018142807A1 (en) Portable device for vehicle
KR101270055B1 (en) Touch type fob key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6501199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US10510196B2 (en) Remote key fob for motor vehicles
WO2012139282A1 (en) Keyless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549677B1 (en) Touch type pob key
KR20160030953A (en) Low power override for locking device
WO20100417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vehicle and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25429B2 (en) Card-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04126B (en) Card type vehicle intelligen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52968B2 (en) Touch operation reception device and storage device
KR101469786B1 (en) Handless trunk open system for vehicles
CN207420229U (en) A kind of touch screen automobile key
KR101172105B1 (en) a remocon of remote keyless entry system
CN104077821A (en) Timing sequence coded lock
JP448601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JP6776919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