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117A -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117A
KR20150051117A KR1020140016216A KR20140016216A KR20150051117A KR 20150051117 A KR20150051117 A KR 20150051117A KR 1020140016216 A KR1020140016216 A KR 1020140016216A KR 20140016216 A KR20140016216 A KR 20140016216A KR 20150051117 A KR20150051117 A KR 2015005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signal
unit
interv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38,77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24286A1/en
Priority to KR1020140147668A priority patent/KR101530053B1/ko
Priority to MX2015009356A priority patent/MX345280B/es
Priority to RU2015135182A priority patent/RU2612947C1/ru
Priority to ES15189633.9T priority patent/ES2682983T3/es
Priority to PL14191219T priority patent/PL2869133T3/pl
Priority to CA2908664A priority patent/CA2908664C/en
Priority to TW106128386A priority patent/TWI635375B/zh
Priority to HUE15189633A priority patent/HUE039069T2/hu
Priority to PT15189633T priority patent/PT3001255T/pt
Priority to ES14191219.6T priority patent/ES2564738T3/es
Priority to EP14191219.6A priority patent/EP2869133B1/en
Priority to PL15189633T priority patent/PL3001255T3/pl
Priority to RU2017104255A priority patent/RU2721893C2/ru
Priority to US14/782,544 priority patent/US9665059B2/en
Priority to CN201611107623.4A priority patent/CN107065471B/zh
Priority to CN201480012807.5A priority patent/CN105027008B/zh
Priority to AU2014340774A priority patent/AU2014340774B2/en
Priority to BR112015016549-4A priority patent/BR112015016549B1/pt
Priority to DK15189633.9T priority patent/DK3001255T3/en
Priority to PCT/KR2014/010335 priority patent/WO2015065081A1/en
Priority to TW103137716A priority patent/TWI600984B/zh
Priority to EP15189633.9A priority patent/EP3001255B1/en
Priority to TR2018/11459T priority patent/TR201811459T4/tr
Publication of KR2015005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17A/ko
Priority to ZA2015/04715A priority patent/ZA201504715B/en
Priority to US15/485,979 priority patent/US100951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이 개시된다. 본 CRUM 유닛은, 소모품 유닛과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를 포함하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도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신호이다. 이에 따라,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에서도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컴퓨터 주변 기기의 보급율도 나날이 향상되고 있다. 컴퓨터 주변 기기란 컴퓨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기들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가 있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들은 용지상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잉크나 토너를 사용한다. 잉크나 토너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잉크나 토너를 저장하는 유닛 자체를 새로이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과정에서 교체할 수 있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을 소모품 유닛 또는 교체 가능 유닛이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소모품 유닛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소모품 유닛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나 토너가 고갈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유닛 이외에,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특성이 변경되어 좋은 인쇄 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로 교체되는 유닛들도 있다. 즉, 컬러별 현상기 이외에도 중간 전사 벨트 등과 같은 부품들도 소모품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같은 소모품 유닛은 적절한 교체시기마다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 교체시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상태지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사용상태지수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써,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하여 출력하는 용지매수, 화상을 형성하는 도트 수(dots) 등이 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매수나 도트 수를 카운팅하여 각 소모품 유닛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각 소모품 유닛별로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소모품 유닛 내에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ing)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만약, 소모품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될 경우, 소모품 유닛을 통해 CRUM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가 통신하게 된다. 소모품 유닛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상기 전원 단자에 전달되며, CRUM 유닛은 전원 단자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볼 때,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단자는 소모품 유닛의 단자 수 또는 CRUM 유닛의 인터페이스의 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단자 수 또는 인터페이스 수의 증가는 소모품 유닛 또는 CRUM 유닛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이는 소모품 유닛 또는 CRUM 유닛의 비용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도 전원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은, 상기 소모품 유닛과 연결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및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제 2 펄스 폭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클럭 신호의 상기 제1 펄스 폭은 상기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 또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제1 펄스 폭을 가지는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을 추출한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CRUM 유닛은 메모리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IC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클럭 신호 중에서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키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에서 패스된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패스된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4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부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제1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제2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4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하이 값 구간 및 로우 값 구간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지며, 상기 하이 값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크기는 0을 초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하이 값 구간 및 로우 값 구간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지며, 상기 로우 값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크기는 상기 하이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소모품 유닛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마련되는 CRUM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를, 상기 소모품 유닛을 통해 상기 CRUM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 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럭 신호의 상기 제1 펄스 폭은 상기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자,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메모리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은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3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부는, 항상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모품 유닛은 추가 데이터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추가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은 상기 소모품 유닛과 연결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로우 값은 0을 초과하고 상기 하이 값 미만이다.
한편,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는 기설정된 제1 시간에 따라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다가 상기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 또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2 로우값 중 어느 하나가 제1 시간보다 길게 유지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1 로우 값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로우 값은 상기 제2 로우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로우 값은 0일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 가능한 소모품 유닛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3 접점부,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 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 가능한 소모품 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3 접점부,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CRUM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는 상기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며, 상기 로우 값은 0을 초과하고 상기 하이 값 미만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모품 유닛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와 소모품 유닛 간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소모품 유닛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태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에 도시된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및 디코딩 신호에 따른 파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0), 본체(100)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110), 본체(100)에 장착 가능한 소모품 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란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팩시밀리, 복사기 등과 같이 용지나 각종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1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탑재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소모품 유닛(200)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탑재되어, 화상형성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닛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이 소모품 유닛이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현상기(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 또는 토너 카트리지 등)와 같이 교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유형의 유닛들이 소모품 유닛(2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모품 유닛(200)에는 각각의 수명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모품 유닛(200)은 CRUM 유닛(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210)을 포함한다.
CRUM 유닛(210)이란 소모품 유닛(200)에 탑재되어,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이다. CRUM 유닛(210)은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드(board) 상에 집적된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CRUM 유닛(210)은 메모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CRUM 유닛(210)은 메모리부, CRUM 유닛 메모리(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ing memory) 등과 같이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CRUM 유닛(210)으로 설명한다.
CRUM 유닛(210)에 마련된 메모리에는 소모품 유닛(200)이나 CRUM 유닛(210) 자체, 화상형성장치 등에 대한 다양한 특성 정보와, 화상형성잡의 수행과 관련된 사용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RUM 유닛(210)에 저장되는 각종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암호화 프로그램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특성 정보에는, 소모품 유닛(200) 제조사에 대한 정보,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장치 명,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전자 서명 정보, 암호화 키, 암호화 키 인덱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정보에는 현재까지 몇 매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다르게는 고유 정보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면, CRUM 유닛(210)에는 다음 표와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General Information
OS Version
SPL-C Version
Engine Version
USB Serial Number
Set Model
Service Start Date
CLP300_V1.30.12.35 02-22-2007
5.24 06-28-2006
6.01.00(55)
BH45BAIP914466B.
DOM
2007-09-29
Option
RAM Size
EEPROM Size
USB Connected (High)
32 Mbytes
4096 bytes
Consumables Life
Total Page Count
Fuser Life
Transfer Roller Life
Tray1 Roller Life
Total Image Count
Imaging Unit/Deve Roller Life
Transfer Belt Life
Toner Image Count
774/93 Pages(Color/mono)
1636 Pages
864 Pages
867 Pages
3251 Images
61 Images/19 Pages
3251 Images
14/9/14/19 Images(C/M/Y/K)
Toner Information
Toner Remains Percent
Toner Average Coverage
99%/91%/92%/100% (C/M/Y/K)
5%/53%/31%/3% (C/M/Y/K)
Consumables Information
Cyan Toner
Magenta Toner
Yellow Toner
Black Toner
Imaging unit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Color Menu
Custom Color Manual Adjust(CMYK : 0,0,0,0)
Setup Menu
Power Save
Auto Continue
Altitude Adj.
20 Minutes
On
Plain
상술한 표에서와 같이, CRUM 유닛(210)의 메모리에는 소모품 유닛(2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소모품의 수명, 정보,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와 별개로 소모품 유닛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마련된 O/S도 저장될 수 있다.
그 밖에, CRUM 유닛(210)에는 메모리를 관리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또는 기타 장치의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CPU(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CRUM 유닛(210)이 탑재된 소모품 유닛(200)이 장착될 경우, CRUM 유닛(210)은 소모품 유닛(200)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10)와 통신하게 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는 3개의 단자(121, 122, 123)를 포함하고, 3개의 단자(121, 122, 123)에 연결된 각 케이블(131, 132, 133)은 메인 컨트롤러(110)에 연결된다.
또한, 소모품 유닛(200) 역시 본체(100)에 포함된 3개의 단자(121, 122, 123)와 상호 접촉하는 3개의 단자(221, 222, 223)를 포함한다. 이 3개의 단자(221, 222, 223)가 CRUM 유닛(210)과 연결되기 때문에, CRUM 유닛(210)은 소모품 유닛(200)에 포함된 3개의 단자(221, 222, 223)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10)와 통신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에 포함된 3개의 단자(121, 122, 123)는 각각 클럭 단자,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모품 유닛(200)에 포함된 3개의 단자(221, 222, 223) 역시 각각 클럭 단자,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소모품 유닛(200)의 클럭 단자(221)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포함된 클럭 단자(121)와 연결되어 클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유닛(200)의 데이터 단자(22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포함된 데이터 단자(122)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소모품 유닛(200)의 접지 단자(223)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포함된 접지 단자(123)와 연결된다.
한편, CRUM 유닛(210)은 클럭 단자(221)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이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전원 추출 방법은 클럭 신호의 파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의 파형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과,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idle) 구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에서 기 설정된 패턴으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의 클럭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즉,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에서도 클럭 파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간에서의 클럭 신호는 제1 펄스 폭을 가지고, 아이들 구간에서의 클럭 신호는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펄스 폭은 제2 펄스 폭보다 크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 구간에서의 클럭 신호의 주기(즉, 제1 클럭 주기)와, 아이들 구간에서의 클럭 신호의 주기(즉, 제2 클럭 주기)도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된다. 여기서, 하이 값은 3V 내지 4V가 될 수 있다. 또한, 로우 값은 0을 초과하되 하이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로우 값은 0이 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신호가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을 포함하기 때문에, CRUM 유닛(210)은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 단위로 반복되기 때문에,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전원의 끊김 없이 CRUM 유닛(210)을 지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신호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된다. 여기서, 하이 값은 3V 내지 4V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우 값은 0을 초과하되 하이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우 값은 제2 로우 값과 같거나, 0이 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신호가 아이들 구간에서는 0을 초과하는 제2 로우 값으로 유지되고,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을 포함하기 때문에,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2 로우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고,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구동될 수 있다.
반면, CRUM 유닛(210)은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해당 구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CRUM 유닛(210)은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에서 추출된 전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CRUM 유닛(210)은 데이터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신호에 따라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RUM 유닛(210)은 클럭 단자(221)를 통해 CRUM 유닛(210)에 수신되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함으로써, 전원 단자 없이도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CRUM 유닛(210)은 전원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CRUM 유닛(210)의 크기 및 인터페이스 수의 감소를 통해 CRUM 유닛(210)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모품 유닛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소모품 유닛(200)은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110)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 유닛(220)을 포함한다. 이 단자 유닛(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단자(221), 데이터 단자(222) 및 접지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단자(221), 데이터 단자(222) 및 접지 단자(223)는 접촉 타입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구비된 3 개의 단자들(121, 122, 123)과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와 소모품 유닛 간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접촉 타입으로 구현된 소모품 유닛(200)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는 단자 유닛(120), 메인 컨트롤러(110)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이 배치되는 메인 보드(140), 그 메인 보드(140)와 단자 유닛(1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130) 등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 유닛(200)이 본체(100) 내에 장착되면, 소모품 유닛(200)에 포함된 단자 유닛(220)과 본체(100)의 단자 유닛(120)이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커넥터 타입으로 이루어진 단자 유닛(220)의 외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는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포트 타입의 단자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 단자 유닛(120)에는 3개의 단자(121, 122, 123)가 포함되어 있다.
소모품 유닛(200)은 커넥터 타입의 클럭 단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럭 단자(221)는 단자 유닛(120)에 마련된 클럭 단자(221)에 삽입된다.
또한, 도면을 통해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소모품 유닛(200)은 커넥터 타입의 데이터 단자(222) 및 접지 단자(223)를 더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단자 유닛(120)에 마련된 데이터 단자(122) 및 접지 단자(123)에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와 소모품 유닛(200)이 각각 3개의 단자(121, 122, 123, 221, 222, 2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와 소모품 유닛(200)은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와 소모품 유닛(200)은 각각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300), 본체(300)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310), 본체(300)에 장착 가능한 소모품 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5에서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CRUM 유닛(410)이 탑재된 소모품 유닛(400)이 장착될 경우, CRUM 유닛(410)은 소모품 유닛(200)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310)와 통신하게 된다.
메인 컨트롤러(310)는 본체(100)에 마련된 4개의 단자(321, 322, 323, 324)와, 각 단자(321, 322, 323)에 연결된 케이블(331, 332, 333, 334)을 통해 소모품 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유닛(400)은 본체(300)에 4개의 단자(321, 322, 323, 324)와 상호 접촉하는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3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321, 322, 323, 324)는 각각 클럭 단자, 데이터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모품 유닛(4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 역시 각각 클럭 단자, 데이터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한편, 소모품 유닛(400)의 클럭 단자(421)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클럭 단자(321)와 연결되어 클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유닛(400)의 데이터 단자(422)는 본체(300)에 포함된 데이터 단자(322)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소모품 유닛(400)의 전원 단자(423)는 본체(300)에 포함된 전원 단자(2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소모품 유닛(400)의 접지 단자(424)는 본체(300)에 포함된 접지 단자(224)와 연결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전원 단자(323)는 항상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전원 단자(323)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아니다.
4개의 단자로 규격화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소모품 유닛(200) 및 CRUM 유닛(210)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10)가 4개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규격에 따르되, 전원 단자(323)를 전기적으로 비도통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유닛(400)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여 4개의 단자로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소모품 유닛(400) 역시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CRUM 유닛(410)은 소모품 유닛(4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소모품 유닛(400)에 포함된 전원 단자(42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인터페이스는 CRUM 유닛(410)과 전기적으로 비도통되어 있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 및 소모품 유닛(400)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전원 단자(323, 423)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원 단자(323, 423)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소모품 유닛의 경우, 각각 클럭 단자, 데이터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지 단자로 구성된 4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에 저장된 클럭 신호와 관련된 프로토콜만을 변경 또는 업데이트할 경우,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41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CRUM 유닛과, CRUM 유닛(410)을 호환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321, 322, 323, 324)는 각각 클럭 단자, 제1 데이터 단자, 제2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모품 유닛(4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 역시 각각 클럭 단자, 제1 데이터 단자, 제2 데이터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될 수 있다.
소모품 유닛(400)의 클럭 단자(421)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클럭 단자(321)와 연결되어 클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유닛(400)의 제1 데이터 단자(42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제1 데이터 단자(322)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소모품 유닛(400)의 제2 데이터 단자(423)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제2 데이터 단자(2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소모품 유닛(400)의 접지 단자(424)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접지 단자(424)와 연결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 및 소모품 유닛(400)은 각각 2개의 데이터 단자(222 및 223, 422 및 423)를 포함함으로써, 메인 컨트롤러(310)와 CRUM 유닛(410)은 상호 접촉된 데이터 단자(222 및 422, 223 및 423)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310)가 CRUM 유닛(410)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1 데이터 단자(322)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같은 동작에 따라, CRUM 유닛(410)은 제1 데이터 단자(322)와 연결된 제1 데이터 단자(422)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CRUM 유닛(410)이 메인 컨트롤러(31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2 데이터 단자(423)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같은 동작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310)는 제2 데이터 단자(423)와 연결된 제2 데이터 단자(323)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CRUM 유닛(410)은 클럭 단자(421)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이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전원 추출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200) 및 소모품 유닛(400)에 전원 단자가 포함되거나, 전원 단자가 미포함된 경우에도, CRUM 유닛(210)은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모품 유닛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소모품 유닛(400)은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메인 컨트롤러(310)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 유닛(420)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포함된 4개의 단자들(321, 322, 323, 324)과 연결되기 위하여, 단자 유닛(420)은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자 유닛(420)은 클럭 단자(421), 데이터 단자(422) 및 클럭 단자(424) 외에 다른 하나의 단자(4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다른 하나의 단자(423)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전원 단자 또는 추가 데이터 단자가 될 수 있다.
이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는 접촉 타입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300)에 구비된 4 개의 단자들(421, 422, 423, 424)과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태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CRUM 유닛(210)은 제1 내지 제3 인터페이스부(211, 212, 213), 전원 추출 회로(214), 인터페이스 제어부(217), 제어부(215) 및 메모리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제어부(217), 제어부(215) 및 메모리부(216)은 제어 유닛(218)에 해당되는 것으로, 하나의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IC에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인터페이스부(211, 212, 213)는 소모품 유닛에 포함된 클럭 단자(221), 데이터 단자(222) 및 접지 단자(223)에 각각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211)는 클럭 단자(221)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인터페이스부(212)는 데이터 단자(222)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부(213)는 접지 단자(223)와 연결된다.
전원 추출 회로(214)는 제1 인터페이스부(211)와 연결되고, 제1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클력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클럭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구간에 따라 다른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 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펄스 폭은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럭 신호는 데이터 구간과 아이들 구간에서의 클럭 신호의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전원 추출 회로(214)는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 값은 3V 내지 4V가 될 수 있다. 또한, 로우 값은 0을 초과하되 하이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로우 값은 0이 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실시예에서,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에서 로우 값이 0을 초과하되 하이 값보다 작은 값일 경우, 이 로우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클럭 신호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주기로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전원 추출 회로(214)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일정하게 유지되는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 값은 3V 내지 4V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우 값은 0을 초과하되 하이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우 값은 제2 로우 값과 같거나, 0이 될 수 있다.
만약, 제2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간에서 제1 로우 값이 제2 로우 값과 같을 경우,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1 로우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전원 추출 회로(214)에 의해 추출된 전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클럭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인터페이스부(211, 212, 2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먼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1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그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거나, 데이터 구간에서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구간 변경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가지면, 데이터 구간에서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2 인터페이스부(212)를 통해 데이터 구간 동안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데이터 구간에서 CRUM 유닛(210)에서 화상형성장치로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5)는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인터페이스 제어부(217)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16)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5)는 인터페이스 제어부(217)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메모리부(216)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216)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화상형성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평소에는, CRUM 유닛(410)과 화상 형성 장치가 대기 상태로 연결되다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활성화 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클럭 신호는 CRUM 유닛(410)에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을 알리기 위한 신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들 구간에서 제1 시간 단위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1 시간을 경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CRUM 유닛(410)과 화상 형성 장치 간의 데이터 신호의 수신 송수신이 완료되면, CRUM 유닛(410)과 화상 형성 장치는 활성화 상태를 종료하고 대기 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클럭 신호는 CRUM 유닛(410)에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을 알리기 위한 신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간에서 제2 시간 단위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2 시간을 초과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2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아이들 구간에서 제1 시간 단위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2 시간을 초과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2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제1 시간보다 길게 유지되다가,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제1 시간을 가지면,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하면, 데이터 구간에서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CRUM 유닛(410)에 수신될 경우, 이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을 알리기 위한 신호 구간 및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보다 길게 유지되다가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면,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우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간에서 제1 시간 단위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을 초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가 제1 로우 값으로 유지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 변경되어 그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할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을 초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CRUM 유닛(210)은 제1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수신된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단자 없이도 동작할 수 있다. 이 같이, CRUM 유닛(210)은 전원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CRUM 유닛(210)의 크기 및 인터페이스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CRUM 유닛(210)은 제1 내지 제3 인터페이스부(211, 212, 213), 전원 추출 회로(214), 인터페이스 제어부(217'), 제어부(215) 및 메모리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도 7에 도시된 CRUM 유닛(210)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추출 회로(214)는 제1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한편,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1 펄스 폭을 가지며,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지며,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2 시간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이 클럭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구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아이들 구간에서는 “0” 및 “1” 중 어느 하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데이터 구간에서는 “0” 및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디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여, 인터페이스 제어부(217)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0” 및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0” 및 “1” 중 어느 하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디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에 도시된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 추출 회로(214)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것으로, 다이오드(214a) 및 커패시터(214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214a)는 제1 인터페이스부(2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인터페이스(221)로부터 클럭 신호를 전달받는다. 다이오드(214a)는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 각각에서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다.
커패시터(214b)는 다이오드(214a)에서 패스된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210)은 커패시터(214b)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다이오드(214a)가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 각각에서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으며,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2 로우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로우 값은 0을 초과하고, 하이 값 미만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우 값은, CRUM 유닛(21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전원을 갖는 것으로, 2.7V 내지 3.0V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추출 회로(214)는 도 9a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전원 추출 회로(214')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것으로, 스위칭 소자 및 캐패시터(214e)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214c) 및 2개의 저항(214d)를 포함한다. 이 스위칭 소자는 제1 인터페이스부(2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인터페이스(221)로부터 클럭 신호를 전달받는다. 스위칭 소자는 클럭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다.
커패시터(214e)는 스위칭 소자에서 패스된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210)은 커패시터(214e)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스위칭 소자가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구간 각각에서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구간에서 온으로 스위칭하여 하이 값을 패스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으며, 아이들 구간에서는 하이 값 또는 제2 로우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CRUM 유닛(410)은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 전원 추출 회로(415), 인터페이스 제어부(418), 제어부(416) 및 메모리부(4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제어부(418), 제어부(416) 및 메모리부(417)는 제어 유닛(419)에 해당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IC로 구성될 수 있다.
소모품 유닛은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로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410)은 소모품 유닛에 대응하여, 4개의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는 소모품 유닛에 포함된 클럭 단자(421), 데이터 단자(422), 전원 단자(423) 및 접지 단자(424)에 각각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411)는 클럭 단자(421)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인터페이스부(412)는 데이터 단자(422)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전원 단자(4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4 인터페이스부(414)는 접지 단자(424)와 연결된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부(411)는 전원 추출 회로(415) 및 인터페이스 제어부(418)와 연결되어, 클럭 신호를 전원 추출 회로(415) 및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부(412)는 인터페이스 제어부(418)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로 전달하며, 제4 인터페이스부(414)는 인터페이스 제어부(418)에 포함된 회로의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CRUM 유닛(410)에 포함된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비도통되는 것으로, 항상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전원 단자(423)와 연결되지만, 전원 단자(423)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CRUM 유닛(410)은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기 때문에, 전원 단자(423)를 통해 전원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 다만,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소모품 유닛(400)의 규격에 맞추어 CRUM 유닛(410)에도 전원 단자(423)와 연결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413)를 마련하되, 이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소모품 유닛(400)의 규격에 맞추기 위한 것일 뿐, CRUM 유닛(410)과 관련하여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전원 추출 회로(415)는 제1 인터페이스부(411)을 통해 수신된 클력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여기서,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 및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 따라 다른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럭 신호의 다양한 실시예와,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방식은 도 7에 설명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는 전원 추출 회로(415)에 의해 추출된 전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는 클럭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인터페이스부(211, 212, 2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는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클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메모리부(417)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는 데이터 구간에서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들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도록 전원 추출 회로(4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RUM 유닛(410)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413)를 포함하여, 4개의 단자로 구성된 소모품 유닛(400)의 규격에 만족될 수 있다.
한편, CRUM 유닛(410)은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4개 단자로 구성된 소모품 유닛에 장착되어 기존의 CRUM 유닛(410)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CRUM 유닛(410')은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 전원 추출 회로(415), 인터페이스 제어부(418), 제어부(416) 및 메모리부(417)를 포함한다.
소모품 유닛은 4개의 단자(421, 422, 423', 424)로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410')은 소모품 유닛에 대응하여, 4개의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411, 412, 413', 414)는 소모품 유닛에 포함된 클럭 단자(421), 제1 데이터 단자(422), 제2 데이터 단자(423') 및 접지 단자(424)에 각각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부(411)는 클럭 단자(421)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인터페이스부(414)는 접지 단자(424)와 연결된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부(412)는 제1 데이터 단자(422)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제2 데이터 단자(423')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화상 형성 장치와 송수신한다. 즉,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2, 413')는 각각 제1 및 제2 데이터 단자(422, 423')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CRUM 유닛(410')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2 인터페이스부(412)는 제1 데이터 단자(422)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CRUM 유닛(410')이 화상 형성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경우, 제3 인터페이스부(413')는 제2 데이터 단자(423')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410')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2, 413')가 각각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2, 4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만약, 데이터 신호의 용량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2, 413) 중 어느 하나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추출 회로(415)는 제1 인터페이스부(411)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클력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 여기서, 클럭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구간에 따라 다른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럭 신호의 다양한 실시예와,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방식은 도 7에 설명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16)는 전원 추출 회로(415)에 의해 추출된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메모리부(417)을 관리한다.
제어부(416)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2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메모리부(417)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6)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제3 인터페이스부(413')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 송신할 수 잇다.
한편, 인터페이스 제어부(418)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도록 전원 추출 회로(4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RUM 유닛(410')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부(423')를 더 포함함으로써, 4개의 단자로 구성된 소모품 유닛의 규격에 만족될 수 있다.
또한, CRUM 유닛(410')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2개의 인터페이스부(412, 413')을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2, 4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및 디코딩 신호에 따른 파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데이터 신호와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 그리고, 클럭 신호를 디코딩한 디코딩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에 따르면, 클럭 신호는 아이들 구간과 데이터 구간에서 서로 다른 클럭 파형을 가지며,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1 펄스 폭을 가지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펄스 폭은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CRUM 유닛은 이 제1 아이들 구간에서 제1 시간 동안 수신되는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로우 값은 0V 이고, 하이 값은 3.3V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로우 값 및 하이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신호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제1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파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신호의 파형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다른 아이들 구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1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가 제1 시간(t1)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t1)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제1 시간(t1)이 초과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A)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A)이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될 것을 알리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수신 시작 시점(A)을 기준으로, 제1 아이들 구간에서 제1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t2)에 따라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여기서, 제2 시간(t2)은 제1 시간(t1)의 2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시간(t2)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한 주기 동안 CRUM 유닛을 구동시키는데 충분한 전원을 추출하는 시간(t)이 될 수 있다. 만약, 제2 시간(t2)이 그 시간(t)보다 짧을 경우, CRUM 유닛은 전원이 소모되어 구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시간(t)과 같거나 긴 시간을 갖도록 제2 시간(t2)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갖는 경우, CRUM 유닛은 제1 시간(t1)이 되는 시점을, 제2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제1 구간 변경 시점(B)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구간에서 제2 시간(t2)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갖는 경우, CRUM 유닛은 제2 아이들 구간 후에, 데이터 구간이 계속될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 주기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2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제1 시간(t1)를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제1 시간(t1)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제2 데이터 구간이 시작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하이 값이 제1 시간(t1)를 초과하는 시점을 제2 구간 변경 시점(C)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2 시간(t2) 주기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도 12a에서는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각각 한 구간씩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수신되는 데이터 용량이 큰 경우,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2회 이상 반복하여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되는 데이터 용량이 작은 경우,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클럭 신호가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시간이 제2 시간(t2)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하이 값이 제2 시간(t2)를 초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D)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시간이 제3 시간(t3)일 경우, 제3 시간(t3)은 제2 시간(t2)를 초과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시간(t1)+제2 시간(t2)"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수신 종료 시점(D)을 기준으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동작이 종료되고 제3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된다. 또한, 제3 아이들 구간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클럭 신호만 수신될 수 있다.
제3 아이들 구간에서는, 다른 아이들 구간에서와 마찬가지로,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클럭 신호로부터 수신 시작 시점(A), 제1 및 제2 구간 변경 시점(B, C) 및 수신 종료 시점(D)을 판단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동작 및 전원 추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CRUM 유닛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 결과로 디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디코딩 동작은 CRUM 유닛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a에 따르면, 제1 아이들 구간, 제2 아이들 구간 및 제3 아이들 구간에서와 같이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 단위로 변화되는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0" 및 "1"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일정한 디코딩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와 같이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하는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 구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하는 각 지점에서 "0"과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된 파형을 갖는 디코딩 신호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디코딩 신호는 제1 아이들 구간, 제2 아이들 구간 및 제3 아이들 구간에서는 "0" 및 "1" 중 하나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2 시간(t2)에 따라 "0" 및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된 파형을 갖는다.
한편, 도 12a에서는 클럭 신호에 포함된 로우 값이 데이터 구간과 아이들 구간에서 0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 구간과 아이들 구간에서 로우 값은 0을 초과하되 하이 값인 3.3V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한 디코딩 신호는 도 1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12a에서 제3 아이들 구간은 필수적인 구간은 아니며, 화상형성시스템 또는 그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밍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3 아이들 구간이 없는 경우, 수신 종료 시점(D)에서 CRUM 유닛은 하나의 데이터 세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데이터 세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1 아이들 구간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서는 제2 데이터 구간 다음에 제3 아이들 구간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구간 다음에 제2 아이들 구간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b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12a에는 제1 아이들 구간 및 제1 데이터 구간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도 1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제2 아이들 구간 역시 도 1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2 시간(t2) 주기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가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갖는 경우, CRUM 유닛은 제2 데이터 구간 후에, 제2 아이들 구간이 이어질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이 되는 시점을, 제2 아이들 구간으로 다시 변경되는 제3 구간 변경 시점(D')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 데이터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 주기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시간이 제2 시간(t2)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하이 값이 제2 시간(t2)을 초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D")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수신 종료 시점(D")을 기준으로, CRUM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는 대기 상태로 연결되며, 데이터 신호의 수신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같이 CRUM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와 대기 상태로 연결될 경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3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된다.
도 12c는 데이터 신호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 신호, 그리고,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한 디코딩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에 따르면, 제1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하이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1 아이들 구간에서, 데이터 신호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으며,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다른 아이들 구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이 제1 시간(t1)보다 긴 제2 시간(t2) 동안 유지되다가,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될 경우, CRUM 유닛은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된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E)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수신 시작 시점(E)에서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CRUM 유닛이 대기 상태를 종료하고, 활성화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 값은 3.1~3.7V가 될 수 있으며, 로우 값은 0보다 크고 하이 값보다 작은 값으로, 2.7~3.0V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하이 값 및 로우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수신 시작 시점(E)을 기준으로, 제1 아이들 구간에서 제1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된다. 제1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제1 시간(t1)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1 시간(t1)는 화상 형성 장치 및 CRUM 유닛 간의 프로토콜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시간(t2)은 별도로 정해진 시간 없이 제1 시간(t1)보다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제1 시간(t1) 단위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로우 값이 제1 시간(t1)를 초과하는 시점을, 제1 데이터 구간에서 제2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제1 구간 변경 시점(F)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로우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2 아이들 구간에서 로우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하이 값으로 변경될 경우, CRUM 유닛은 하이 값으로 변경된 부분을 제2 구간 변경 지점(G)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2 구간 변경 지점(G)을 기준으로, 제2 아이들 구간에서 제2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2c에서는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각각 한 구간씩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수신되는 데이터 용량이 큰 경우,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2회 이상 반복하여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되는 데이터 용량이 작은 경우, 제2 아이들 구간과 제2 데이터 구간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가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하이 값이 제1 시간(t1)를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하이 값이 제1 시간(t1)를 초과하는 부분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H)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종료 시점(H)을 기준으로, CRUM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는 대기 상태로 연결되며, 데이터 신호의 수신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같이 CRUM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와 대기 상태로 연결될 경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3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클럭 신호로부터 수신 시작 시점(E), 제2 및 제2 구간 변경 시점(F, G) 및 수신 종료 시점(H)를 판단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동작 및 전원 추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CRUM 유닛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 결과로 디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c에 따르면, 제1 아이들 구간, 제2 아이들 구간 및 제3 아이들 구간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0" 및 "1"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일정한 디코딩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와 같이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을 갖는 클럭 신호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 구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에 따라 교번적으로 반복되므로, 제1 시간(t1)에 따라 "0"과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된 파형을 갖는 디코딩 신호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디코딩 신호는 제1 아이들 구간, 제2 아이들 구간 및 제3 아이들 구간에서는 "0" 및 "1" 중 어느 하나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제1 데이터 구간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1 시간(t1) 시간에 따라 "0" 및 "1"이 교번적으로 반복된 파형을 갖는다.
한편, 도 12c에서는 제1 내지 제3 아이들 구간에서의 로우 값과,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의 로우 값이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3 아이들 구간에서의 로우 값은 2.7~3.0V가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데이터 구간에서의 로우 값은 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한 디코딩 신호는 도 1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12c에서 제3 아이들 구간은 필수적인 구간은 아니며, 화상형성시스템 또는 그의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밍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3 아이들 구간이 없는 경우, 수신 종료 시점(H)에서 CRUM 유닛은 하나의 데이터 세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데이터 세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1 아이들 구간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에서는 제2 데이터 구간 다음에 제3 아이들 구간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구간 다음에 제2 아이들 구간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d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12d에는 제1 아이들 구간 및 제1 데이터 구간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도 12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제2 아이들 구간 역시 도 12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2 데이터 구간에서, 클럭 신호가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t1) 단위로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로우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제2 데이터 구간 후에 제2 아이들 구간이 이어질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CRUM 유닛은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하는 시점을, 제2 아이들 구간으로 다시 변경되는 제3 구간 변경 시점(H')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 데이터 구간에 후속하는 제2 아이들 구간에서, 클럭 신호는 로우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파형을 갖는다. 제2 아이들 구간에서 로우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하이 값으로 변경되고, 이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할 경우, CRUM 유닛은 하이 값이 제1 시간(t1)을 초과하는 시점을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H")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수신 종료 시점(H")을 기준으로, CRUM 유닛과 화상 형성 장치는 대기 상태로 연결되며, 데이터 신호의 수신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같이 CRUM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와 대기 상태로 연결될 경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3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에서 소정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S1310), 이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S1320).
이후,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S1330), CRUM 유닛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아이들 구간에서와 다른 펄스 폭을 갖는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S1340). 이 경우, 클럭 신호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1 펄스 폭을 가지고, 아이들 구간에서는 제1 펄스 폭과 다른 제2 펄스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의 제1 펄스 폭은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RUM 유닛은 데이터 구간에서 수신된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S1350).
도 13에 따른 전원 추출 방법은 아이들 구간과 데이터 구간 각각에서,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갖는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기 때문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CRUM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따르면,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 단위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1410 단계). 여기서, 아이들 구간이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구간이 될 수 있다.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 동안 수신되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1420). 일 예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은 3.3V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수신되는 제1 시간 동안, 3.3V의 전원을 추출하여 CRUM 유닛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S1430), CRUM 유닛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2 시간 단위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1440 단계). 구체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클럭 신호의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아이들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변경되었다면, 데이터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2 시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의 2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UM 유닛은 데이터 구간 동안 수신되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1450 단계). 이후, 데이터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1460 단계),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어 14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데이터 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1460 단계), S1440을 수행한다.
도 14에 따른 전원 추출 방법은 아이들 구간과 데이터 구간 각각에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기 때문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CRUM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RUM 유닛의 전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따르면,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S1510).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 동안 수신되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S1520). 일 예로,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은 3.1~3.7V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구간 동안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수신될 경우, 3.1~3.7V의 전원을 추출하여 CRUM 유닛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은 2.7~3.0V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구간 동안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수신될 경우, 2.7~3.0V의 전원을 추출하여 CRUM 유닛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S1530), CRUM 유닛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 단위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S1540). 구체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클럭 신호의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아이들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제1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유지되었다면, 데이터 구간에서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제1 시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화상 형성 장치 및 CRUM 유닛 간의 프로토콜에 따라 기 설정된다. 그러나, 제2 시간은 별도로 정해진 시간 없이 제1 시간보다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CRUM 유닛은 데이터 구간 동안 수신되는 클럭 신호의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한다(S1550). 이 경우, 하이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으나, 로우 값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데이터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1560), CRUM 유닛은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어 S15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데이터 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560), S1540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추출 방법은, 각각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화상 형성 장치나 소모품 유닛, CRUM 유닛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장치에서 상술한 인증 방법이나 통신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0: CRUM 유닛 211: 제1 인터페이스부
212: 제2 인터페이스부 213: 제3 인터페이스부
214: 전원 추출 회로 215: 제어부
216: 메모리부 217: 인터페이스 제어부

Claims (33)

  1.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과 연결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및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제 2 펄스 폭을 가지는, CRUM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의 상기 제1 펄스 폭은 상기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클럭 신호의 로우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 또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시간이 초과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제1 펄스 폭을 가지는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을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간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메모리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I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클럭 신호 중에서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키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에서 패스된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추출 회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하이 값을 가지는 클럭 신호를 패스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패스된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충전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4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부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제1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제2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4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하이 값 구간 및 로우 값 구간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지며, 상기 하이 값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크기는 0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2 펄스 폭을 가지는 하이 값 구간 및 로우 값 구간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파형을 가지며,
    상기 로우 값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크기는 상기 하이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16.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소모품 유닛;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마련되는 CRUM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를, 상기 소모품 유닛을 통해 상기 CRUM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 2 펄스 폭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의 상기 제1 펄스 폭은 상기 제2 펄스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자;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메모리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기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전원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전원 단자와 연결된 제3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부는, 항상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추가 데이터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추가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과 연결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는 전원 추출 회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로우 값은 0을 초과하고 상기 하이 값 미만인, CRUM 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는 기설정된 제1 시간에 따라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클럭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다가 상기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1 로우 값으로 변경되는 시점을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 또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2 로우값 중 어느 하나가 제1 시간보다 길게 유지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상기 제1 로우 값이 상기 제1 시간을 가지면, 상기 데이터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의 하이 값 및 제1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다가, 상기 하이 값 및 제2 로우 값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되는 구간이 상기 제1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아이들 구간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클럭 단자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우 값은 상기 제2 로우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우 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UM 유닛.
  32.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 가능한 소모품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3 접점부;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 제 1 펄스 폭을 가지고, 데이터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제1 펄스 폭과 상이한 제 2 펄스 폭을 가지는, 소모품 유닛.
  33.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 가능한 소모품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접점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3 접점부;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CRUM 유닛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미수신되는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클럭 신호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클럭 신호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데이터 구간에서는 하이 값 및 로우 값이 교번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아이들 구간에서는 상기 하이 값 및 로우 값 중 어느 하나로 유지되며,
    상기 로우 값은 0을 초과하고 상기 하이 값 미만인, 소모품 유닛.


KR1020140016216A 2013-11-01 2014-02-12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50051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8,777 US20150124286A1 (en) 2013-11-01 2014-07-23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140147668A KR101530053B1 (ko) 2013-11-01 2014-10-28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탈착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RU2017104255A RU2721893C2 (ru) 2013-11-01 2014-10-31 Блок crum, монтируемый на расходном блоке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демонтируемый с нег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спользующее его
CN201611107623.4A CN107065471B (zh) 2013-11-01 2014-10-31 可更换单元监视器单元和包含该单元的消耗品装置
ES15189633.9T ES2682983T3 (es) 2013-11-01 2014-10-31 Unidad CRUM que se puede montar y desmontar en una unidad consumible de un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que utiliza la misma
PL14191219T PL2869133T3 (pl) 2013-11-01 2014-10-31 Układ CRUM do montażu i demontażu na elemencie eksploatacyjnym urządzenia do tworzenia obrazów oraz urządzenie do tworzenia obrazów wykorzystujące ten układ
CA2908664A CA2908664C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W106128386A TWI635375B (zh) 2013-11-01 2014-10-31 成像裝置之耗材單元中可拆裝的客戶可交換單元監視器單元以及使用上述的成像裝置
HUE15189633A HUE039069T2 (hu) 2013-11-01 2014-10-31 Képalkotó készülék fogyasztásképes egységére fel- és leszerelhetõ CRUM egység és azt alkalmazó képalkotó készülék
PT15189633T PT3001255T (pt) 2013-11-01 2014-10-31 Unidade crum que pode ser montada e desmontada numa unidade consumível num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ns e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ns que a utiliza
ES14191219.6T ES2564738T3 (es) 2013-11-01 2014-10-31 Unidad de CRUM montable y desmontable en una unidad consumible de un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que utiliza la misma
EP14191219.6A EP2869133B1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L15189633T PL3001255T3 (pl) 2013-11-01 2014-10-31 Układ CRUM do montażu i demontażu na elemencie eksploatacyjnym urządzenia do tworzenia obrazów oraz urządzenie do tworzenia obrazów wykorzystujące ten układ
MX2015009356A MX345280B (es) 2013-11-01 2014-10-31 Unidad crum montable y desmontable en unidad de consumible de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que utiliza el mismo.
US14/782,544 US9665059B2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RU2015135182A RU2612947C1 (ru) 2013-11-01 2014-10-31 Блок crum, монтируемый на расходном блоке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демонтируемый с нег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спользующее его
CN201480012807.5A CN105027008B (zh) 2013-11-01 2014-10-31 在图像形成装置的消耗品单元中可安装和可拆卸的客户可更换单元监视器单元以及使用其的图像形成装置
AU2014340774A AU2014340774B2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BR112015016549-4A BR112015016549B1 (pt) 2013-11-01 2014-10-31 Unidade de monitor de unidade substituível pelo cliente (crum) e aparelho de consumo
DK15189633.9T DK3001255T3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WHICH CAN BE ASSEMBLED AND DEMONSTRATED IN CONSUMER UNIT OF IMAGING UNIT AND IMAGING UNIT USING THIS
PCT/KR2014/010335 WO2015065081A1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W103137716A TWI600984B (zh) 2013-11-01 2014-10-31 成像裝置之耗材單元中可拆裝的客戶可交換單元監視器單元以及使用上述的成像裝置
EP15189633.9A EP3001255B1 (en) 2013-11-01 2014-10-31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R2018/11459T TR201811459T4 (tr) 2013-11-01 2014-10-31 Görüntü oluşturma aygıtının sarf edilebilir birimine monte edilip sökülebilen CRUM birimi ve bunu kullanan görüntü oluşturma aygıtı.
ZA2015/04715A ZA201504715B (en) 2013-11-01 2015-06-30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5/485,979 US10095182B2 (en) 2013-11-01 2017-04-12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562 2013-11-01
KR1020130132562 2013-11-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051A Division KR101714721B1 (ko) 2013-11-01 2014-08-25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17A true KR20150051117A (ko) 2015-05-11

Family

ID=5338870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216A KR20150051117A (ko) 2013-11-01 2014-02-12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0111051A KR101714721B1 (ko) 2013-11-01 2014-08-25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0147668A KR101530053B1 (ko) 2013-11-01 2014-10-28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탈착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27794A KR101803907B1 (ko) 2013-11-01 2017-03-03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051A KR101714721B1 (ko) 2013-11-01 2014-08-25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0147668A KR101530053B1 (ko) 2013-11-01 2014-10-28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탈착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27794A KR101803907B1 (ko) 2013-11-01 2017-03-03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665059B2 (ko)
KR (4) KR20150051117A (ko)
CN (2) CN107065471B (ko)
AU (1) AU2014340774B2 (ko)
BR (1) BR112015016549B1 (ko)
CA (1) CA2908664C (ko)
MX (1) MX345280B (ko)
RU (2) RU2721893C2 (ko)
TW (2) TWI635375B (ko)
ZA (1) ZA201504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117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9658644B2 (en) * 2014-10-06 2017-05-23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570679A (zh) * 2014-12-06 2015-04-29 中山鑫威打印耗材有限公司 可拆卸的安装于电子照相成像设备中的处理盒
JP7098929B2 (ja) * 2017-12-27 2022-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375273B1 (en) * 2018-04-13 2019-08-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hip and supply item for imaging device, including communication
KR20190121611A (ko) 2018-04-18 2019-10-2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390147B1 (ko)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JP2021135452A (ja) * 2020-02-28 2021-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06329A (ja) 2021-06-30 2023-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981A (en) 1976-10-21 1979-01-0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f-powered system for measuring and storing consumption of utility meter
US5592415A (en) 1992-07-06 1997-01-07 Hitachi,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JPH10312870A (ja) * 1997-05-12 1998-11-24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3897B1 (ko) 2003-10-31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관리 장치
US7062181B2 (en) 2004-11-02 2006-06-1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ingle wir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JP2006165708A (ja) 2004-12-03 2006-06-22 Canon Inc データ通信回路
JP2006171930A (ja) * 2004-12-14 2006-06-29 Seiko Epson Corp 記憶装置および記憶装置を備える印刷記録材容器
US7650388B2 (en) 2005-01-13 2010-01-19 Xerox Corporation Wireless identification protocol with confirmation of successful transmission
US7231153B2 (en) * 2005-01-13 2007-06-12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placeable units
WO2006131142A1 (en) 2005-06-10 2006-12-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device for frame synchronization
CN102279554B (zh) 2006-11-29 2015-05-20 佳能株式会社 成像设备、通信设备以及墨盒
KR101324186B1 (ko) 2007-01-23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신호 동기화방법
JP2009026047A (ja) 2007-07-19 2009-02-05 Nec Electronics Corp 動作周波数動的自動制御機能を有するオーディオプロセッサ
KR100933290B1 (ko)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KR100997879B1 (ko) * 2008-03-03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교체가능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암호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294215B1 (ko) 2008-07-28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개폐 상황을 고려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방법
KR101240530B1 (ko) 2008-07-31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Crum 유닛, 이를 탑재한 교체가능유닛 및화상형성장치와, 그 유닛 구동 방법
US8265511B2 (en) * 2008-10-29 2012-09-11 Oki Data Corporation Power sour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002771A1 (en) 2009-03-05 2012-01-05 Nec Corporation Receiver, semiconductor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8278782B2 (en) 2009-12-17 2012-10-0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Active parasite power circuit
US8422893B2 (en) * 2010-01-21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359912B2 (ja) 2010-02-09 2013-1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設定情報管理システム、プリンター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11233140A (ja) * 2010-04-08 2011-11-17 Canon Inc 消費電力及びノイズを低減可能な制御装置
JP5720144B2 (ja) 2010-08-24 2015-05-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784320B1 (ko) 2010-09-15 2017-11-0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EP2431812B1 (en) 2010-09-15 2021-05-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sumable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of
KR20120028497A (ko) 2010-09-15 2012-03-23 옥물결 탄성밴드를 구비한 머리띠
CN102173206B (zh) * 2011-01-06 2013-04-10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耗材芯片及耗材容器
KR101780734B1 (ko) * 2011-09-09 2017-09-2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2013218199A (ja) * 2012-04-11 2013-10-24 Murata Mach Ltd 消耗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5065081A1 (en) 2013-11-01 2015-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L3001255T3 (pl) 2013-11-01 2018-10-31 Hp Printing Korea Co., Ltd. Układ CRUM do montażu i demontażu na elemencie eksploatacyjnym urządzenia do tworzenia obrazów oraz urządzenie do tworzenia obrazów wykorzystujące ten układ
KR20150051117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347A (ko) 2017-03-13
AU2014340774B2 (en) 2015-08-27
CN107065471A (zh) 2017-08-18
TWI600984B (zh) 2017-10-01
CA2908664A1 (en) 2015-05-07
CA2908664C (en) 2017-07-11
RU2017104255A3 (ko) 2020-04-24
CN107065471B (zh) 2019-04-05
CN105027008A (zh) 2015-11-04
AU2014340774A1 (en) 2015-07-30
BR112015016549A2 (pt) 2017-07-11
RU2721893C2 (ru) 2020-05-25
US20160033921A1 (en) 2016-02-04
BR112015016549B1 (pt) 2022-06-07
RU2017104255A (ru) 2019-01-18
KR20150051135A (ko) 2015-05-11
US20170219997A1 (en) 2017-08-03
MX345280B (es) 2017-01-24
KR101530053B1 (ko) 2015-06-22
ZA201504715B (en) 2016-06-29
KR20150051152A (ko) 2015-05-11
KR101714721B1 (ko) 2017-03-09
MX2015009356A (es) 2015-09-29
US10095182B2 (en) 2018-10-09
TW201518883A (zh) 2015-05-16
TW201743145A (zh) 2017-12-16
CN105027008B (zh) 2017-05-17
RU2612947C1 (ru) 2017-03-14
KR101803907B1 (ko) 2017-12-04
TWI635375B (zh) 2018-09-11
US9665059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907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9336471B2 (en) CRUM chip,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RUM chip
KR101966417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EP2869133B1 (en)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50124286A1 (en)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105508B (zh) 用于从具有第一和第二周期的时钟信号提取功率的crum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