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00A -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00A
KR20150050100A KR1020130131516A KR20130131516A KR20150050100A KR 20150050100 A KR20150050100 A KR 20150050100A KR 1020130131516 A KR1020130131516 A KR 1020130131516A KR 20130131516 A KR20130131516 A KR 20130131516A KR 20150050100 A KR20150050100 A KR 2015005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riority
forming data
data receive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욱
조병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100A/ko
Priority to US14/471,125 priority patent/US92353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5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3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ased on job priority, e.g. re-arranging the order of jobs, e.g. the printing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 G06F13/2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with priority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고,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METHOD FOR PERFORMING IMAGE FORMING JOB BY USING NETWORK AND IMAGE FORMING APPARU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린터/복합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인쇄잡(print job)이 프린터/복합기에서 쌓여 있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프린터/복합기 근처에서 인쇄 요청을 하게 되는데, 먼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쇄잡이 처리되고 나서야, 비로소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인쇄잡이 처리되기 때문에 인쇄 출력물을 얻기 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인쇄량이 소량인 경우가 많고, 프린터/복합기 근처에서 인쇄잡을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기기들보다 먼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인쇄잡이 처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그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type)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다비이스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상기 할당된 디바이스의 IP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상기 디바이스와 교환된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 할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상기 할당된 디바이스의 IP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상기 디바이스와 교환된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방법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컴퓨터로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화상형성장치를 공유하는 사용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할당한 IP주소와 관련된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옵션을 선택하는 화상형성장치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NFC 태깅을 하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하는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16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화상형성장치를 공유하는 사용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프린터/복합기(110)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여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로 프린터/복합기(11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복합기(110)는 라우터(120)과 유선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라우터(120)는 PC(13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PC(13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PC(130)를 통해 라우터(120)를 경유하여 프린터/복합기(110)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160)은 AP(150)와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되어 있고, AP(150)는 프린터/복합기(110)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노트북(16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노트북(160)을 통해 AP(150)를 경유하여 프린터/복합기(11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여러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100), PC(130) 및 노트북(160)을 통하여 프린터/복합기(110)를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사용자가 프린터/복합기(110)를 사용하는 경우, 여러 인쇄 요청이 여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한꺼번에 들어올 수 있다. 여러 개의 인쇄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프린터/복합기(110)는 바로 모든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고, 처리하지 못한 인쇄 요청이 쌓이게 된다. PC(130) 및 노트북(16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비교적 인쇄 요청이 쌓이더라도 PC(130) 및 노트북(160)을 사용하여 다른 일을 하며 기다리더라도 불편함을 심하게 느끼지 않지만, 모바일 기기(100)는 프린터/복합기(110)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프린터/복합기(110) 근처에 다가가서 프린터/복합기(110)를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쇄 출력물을 얻을 때까지 사용자는 프린터/복합기(110) 근처에서 기다리게 된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는 다른 PC(130), 노트북(160)과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먼저 인쇄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쇄 요청에 따라 인쇄가 끝날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모바일 기기(100)를 이용하여 프린터/복합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쇄 요청을 하는 경우에 프린터/복합기(110)는 모바일 기기(10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요청에 따른 인쇄잡의 우선순위를 다른 인쇄잡의 우선순위보다 높도록 조정한다. 즉, 다른 PC(130)나 노트북(160)의 인쇄잡이 모바일 기기(100)의 인쇄잡보다 먼저 프린터/복합기(110)에 수신되더라도 프린터/복합기(110)는 모바일 기기(100)의 인쇄잡을 먼저 인쇄하여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는 오래 기다릴 필요 없이 원하는 인쇄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부(210), 조정부(220) 및 화상형성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와 유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모바일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PC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PC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는 디바이스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NFC 태깅할 때, 통신부(210)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디바이스와 교환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방식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일 수 있다.
조정부(22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조정부(220)는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늦게 수신되더라도, 우선적으로 화상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미도시)에서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한다. 조정부(220)는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수신된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부(220)는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와이파이-다이렉트 인터페이스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는 방식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방식일 수 있고, 와이파이-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미도시)에서는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가 와이파이-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기초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와이파이-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임을 판단할 수 있고, 조정부(220)는 와이파이-다이렉트로 통해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IP주소 할당부(미도시)는 디바이스가 연결된 후에, 디바이스에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와이파이-다이렉트 환경에서 화상형성장치는 그룹 오너(Group Owner)가 되어, 와이파이(WiFi) 환경에서의 AP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0)는 DHCP 서버를 구동하여, 클라이언트(Client)들에 IP주소를 할당하여 준다. IP 주소 할당부(미도시)가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IP주소 영역으로 클래스 C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IP주소 할당부(미도시)가 직접 연결된 디바이스에 IP주소를 할당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200)는 와이파이-다이렉트로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
판단부(미도시)는 디바이스로부터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IP주소 할당부에서 디바이스에 할당한 IP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조정부(220)는 IP주소가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여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어 대기하고 있는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가 먼저 화상형성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통신부(210)가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할 때, 화상형성데이터를 전송한 소스(source)의 IP 주소를 화상형성데이터로부터 확인하고, 특정 IP 주소 범위의 화상형성데이터일 경우,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다른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먼저 화상형성되도록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판단부(미도시)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고, 조정부(220)는 판단된 디바이스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임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판단부에서 모바일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라고 판단할 수 있고, 조정부(220)는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오는 화상형성데이터는 다른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먼저 화상형성할 수 있게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NFC 태깅을 통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가 제공하는 NFC 방식은 NFC P2P 통신 방식이다. 이 때, 디바이스는 단순히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연결 정보와 같은 정보를 읽어 들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상형성장치(200)에 NFC 핸드오버 규약에 따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와 NFC태깅을 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MAC 주소와 같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 때, 디바이스는 와이파이-다이렉트로 핸드오버를 하여 와이파이-다이렉트로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에 디바이스는 화상형성데이터를 통신부(210)에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형성데이터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판단부(미도시)는 획득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저장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NFC 태깅을 통하여 연결된 디바이스라고 판단하고, 조정부(220)는 디바이스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높여 다른 대기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먼저 화상형성되도록 디바이스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00)가 NFC 태깅을 통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디바이스 연결할 때, 교환된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이후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식별정보와 같은 경우, NFC 태깅을 통하여 연결된 디바이스라고 판단하여,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높여 다른 대기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먼저 화상형성되도록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미도시)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조정부(220)는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미도시)는 통신부(210)에서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서 화상형성데이터 부분이 달라질 수 있고, 그 에뮬레이션 방식마다 다른 화상형성데이터 부분을 판단부(미도시)에서 인식하여 에뮬레이션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서 생성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경우, PWG와 같은 에뮬레이션 방식을 사용하고, 일반 PC에서 생성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경우, PCL6(Printer Command Language 6)와 같은 에뮬레이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다른 디바이스와 에뮬레이션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에뮬레이션 방식을 판단하여 모바일 기기로부터 생성되는 화상형성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미도시)에서는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조정부(220)에서는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정부(220)에서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함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그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참조하여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300 단계에서, 화상형상장치(200)는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S3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한다.
S32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S33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S400 단계 내지 S410 단계 및 S430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내지 S310 단계 및 S330 단계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4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의 타입(type)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S500 단계 내지 S510 단계 및 S540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내지 S310 단계 및 S330 단계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5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S510단계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디바이스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한다.
S5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S600 단계 내지 S610 단계 및 S650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내지 S310 단계 및 S330 단계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6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한다.
S640 단계에서,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의 S700 단계 내지 S710 및 S740 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내지 S310 및 S330 단계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7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S710 단계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한다.
S7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S800 내지 S810 및 S840 단계는 도3의 S300 내지 S310 및 S330단계 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8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한다.
S8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S900단계 및 S920 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내지 S310 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9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는 모바일 기기와 와이파이-다이렉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는 그룹 오너(Group Owner)로 동작하여 DHCP서버를 동작하여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디바이스에 할당된 IP주소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S9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디바이스에 할당된 IP주소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한다.
S95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S940단계에서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화상데이터를 화상형성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디바이스에 할당된 IP주소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화상형성데이터가 수신된 순서대로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S1010단계 및 S1050단계는 도3의 S300단계 및 S330단계에 대응되므로, 설명의 간단을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100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디바이스와의 NFC 태깅을 통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S10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연결할 때 교환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0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연결할 때 교환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디바이스의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한다.
S10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S106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연결할 때 교환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디바이스의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한다.
S105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는 S1040 단계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는 S1060 단계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된 순서대로 화상형성할 수 있다.
도 11a-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110)는 모바일 기기(1100), PC(1130) 및 노트북(1160)과 연결되어있다. 이 때, 모바일 기기(1100)는 화상형성장치(1110)과 와이파이-다이렉트 방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PC(1130)는 화상형성장치(1110)와 라우터(1120)을 경유하여 이더넷(Ethernet)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노트북(1160)은 화상형성장치(110)와 AP(1160)를 경유하여 와이파이(WiFi)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통신방식이 달라 각각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110)는 어떠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기초로 어떠한 디바이스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1110)는 와이파이-다이렉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110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수신된다고 판단하고, 모바일 기기(110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보다 먼저 인쇄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110)는 조정된 인쇄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인쇄하여, 모바일 기기(1100)의 사용자는 인쇄 출력물을 얻을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및 인쇄 대기중인 인쇄잡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UI를 도시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UI는 잡 넘버(Job Number), 잡 이름(Job Name), 상태(Status), 사용자(User), 잡 타입(Job Type) 및 인터페이스(Interface)와 같은 인쇄잡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때, 잡 이름이 Print 1인 인쇄잡이 수신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WiFi Direct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다시 도 11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데이터가 수신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서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잡 이름이 Print 1인 인쇄잡이 비록 다른 인쇄잡보다 늦게 수신되었더라도,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가장 먼저 인쇄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할당한 IP주소와 관련된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라우터(1220), AP(1250)는 DHCP 서버를 구동하여 PC(1230) 및 노트북(1260)의 IP주소를 할당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200)는 와이파이-다이렉트로 화상형성장치(1210)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때, 화상형성장치는 기본 동작 모드로 Autonomous Group Owner로 동작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항상 Group Owner로 동작하여, DHCP 서버를 구동하여 와이파이-다이렉트로 연결된 디바이스에 IP주소를 할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할당된 IP 주소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해둘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로부터 소스 IP 주소를 추출하여, 테이블 내에 저장된 할당된 IP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IP주소를 할당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DHCP서버를 구동하여 할당할 수 있는 IP주소의 범위가 정해져 있고, 그 특정 IP 주소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가 IP주소를 할당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IP주소를 할당한 모바일 기기(1100)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PC(1230) 또는 노트북(1260)으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보다 높여서 모바일 기기(1200)의 화상형성데이터가 먼저 인쇄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1200)의 사용자는 원하는 인쇄 출력물을 얻기 위해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도 13a-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의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는 와이파이-다이렉트 기능이 내장된 프린터라고 가정한다.
프린터(1310)는 주변의 디바이스와 와이파이-다이렉트로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이 때, 무선랜 패킷인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와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통해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린터(1310)에서 주변의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경우, 프린터(1310)에서 프로브 요청을 하고, 주변의 디바이스는 이러한 프로브 요청에 대하여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여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획득되는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는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의 카테고리(Category)가 ID Value가 1인 컴퓨터이고, 모바일 기기의 소카테고리(Sub Category)는 ID Value가 7인 MID(Mobile Internet Device)이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와아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의 ID Value 및 소카테고리의 ID Value을 보고, 해당 와이파이-다이렉트 디바이스가 모바일 기기임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디바이스의MAC 주소와 같은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해당 해당 디바이스가 모바일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연관지어 저장해두고, 후에 인쇄데이터가 해당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고, 수신되는 인쇄데이터에서 MAC주소를 추출하여 비교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다른 인쇄데이터보다 먼저 인쇄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하여, 모바일 기기(1100)의 사용자는 인쇄 출력물을 얻을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옵션을 선택하는 화상형성장치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설정옵션(1410) 및 해제옵션(1420)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인쇄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서 인쇄데이터를 인쇄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옵션(1410) 및 해제옵션(1420)을 이용하여 모바일 인쇄데이터에 대한 옵션을 선택하면 확인버튼(1430)을 눌러 옵션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취소버튼(1440)을 눌러 옵션 설정을 취소할 수 있다. 취소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설정된 모바일 인쇄데이터에 대한 옵션에 따라서 인쇄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NFC 태깅을 하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하는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500)를 이용하여 NFC 태깅(tagging)을 통하여 무선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기기(1500)가 프린터(1510)의 NFC 인터페이스(1520)에 태깅(tagging)하여 프린터(15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정보(MAC 주소, IP주소와 같은 프린터의 식별정보, SSID, 프린터에 연결하기 위한 credential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프린터(1510)가 제공하는 NFC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과정이 상이할 수 있다. NFC 방식으로는 NFC 패시브 태그(passive tag) 방식, NFC 액티브 태그(active tag) 방식 및 NFC p2p 통신 방식이 있다.
NFC 패시브 태그(passive tag) 방식은 프린터의 메인보드와 NFC 태그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프린터의 연결 정보가 NFC 태그에 저장되어 있어, 모바일 기기(1500)가 프린터의NFC 태그의 정보를 읽어가는 방식을 의미한다. NFC 액티브 태그(active tag) 방식은 프린터 메인보드와 NFC 태그가 연결되어 있고, 프린터가 프린터의 연결 정보를 태그에 저장하여, 모바일 기기(1500)가 프린터의 NFC 태그의 정보를 읽어가는 방식을 의미한다. NFC 패시브 태그 방식 및 NFC 액티브 태그 방식은 모두 프린터(1510)에 포함된 NFC 태그(1520)에서 연결 정보를 읽어올 수 있을 뿐, 모바일 기기(1500)가 프린터(151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이 때, 모바일 기기(1500)는 NFC태그에서 읽어 들인 연결 정보를 기초로 와이파이-다이렉트 방식으로 프린터(1510)와 연결한다. 이 때, WSC 방식으로 연결 할 수 있다.
WSC(WiFi Simple Configuration)는 WPS(WiFi Protected Setup)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손쉽게 보안 연결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WSC방식으로는 버튼을 누르는 PBC 방식 또는 PIN번호를 이용하는 PIN 방식이 있다. 사용자는 어떠한 방식을 이용할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프린터에 저장해두고, 그러한 정보를 NFC 태그에 저장해둘 수 있다.
모바일 기기(1500)는 NFC 태깅(tagging)을 통해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지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500)는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연결 방식을 결정하여 프린터(1510)에 연결 요청을 한다.
프린터(1510)에서는 미리 정해진 연결 방식에 따른 연결 요청을 모바일 기기(1500)으로부터 수신하면, 프린터(1510)는 모바일 기기(1500)가 NFC 태깅을 통해 연결 요청을 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1500)의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NFC 태깅(tagging)을 통해 연결 요청을 한 디바이스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기기(1500)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할 때,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NFC 태깅(tagging)을 통해 연결 요청을 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인식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다른 인쇄데이터보다 먼저 인쇄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하여, 모바일 기기(1100)의 사용자는 인쇄 출력물을 얻을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NFC 방식으로 NFC p2p 통신 방식이 있는데, 모바일 기기(1500)는 NFC 통신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연결정보를 수신할 뿐 아니라 정보를 프린터(15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1510)는 모바일 디바이스(1500)가 NFC 통신 인터페이스(1520)를 통하여 연결정보를 읽어가는 경우, 모바일 기기(1500)에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모바일 기기(15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식별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에 모바일 기기(1500)는 와이파이-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프린터(1510)에 연결 요청을 할 수 있고, 이 때, 모바일 기기(15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1510)는 수신된 모바일 기기(1500)의 식별정보를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모바일 기기(1500)가 NFC 태깅을 통하여 프린터(1510)에 연결 요청을 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후에 프린터(1510)가 모바일 기기(1500)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인쇄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판단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NFC 태깅을 통하여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510)가 모바일 기기(1500)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여 모바일 기기(1500)의 화상형성데이터가 먼저 인쇄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1500)의 사용자는 원하는 인쇄 출력물을 얻기 위해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도 16a-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600)와 프린터(1610)가 연결된 후에 모바일 기기(1600)가 프린터(1610)에 인쇄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도 16b를 참조하면, 전송되는 프린터(1610)에 전송된 인쇄데이터에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헤더(Header) 및 PDL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데이터는 모바일 기기(1600)의 드라이버에서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다. PDL 헤더에는 모바일 기기에서 인쇄하려는 문서 파일의 종류,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와 같은 인쇄하려는 문서 내용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PDL 데이터에는 인쇄하려는 문서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모바일 기기(1600)가 인쇄데이터를 생성할 때, PDL 헤더에 생성되는 기기가 어떤 종류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600)는 인쇄데이터의 PDL 헤더에 'TYPE=mobile'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게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1610)에서 수신하여, 인쇄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1610)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데이터에서 PDL 헤더의 'TYPE=mobile'부분을 파싱(parsing)하여 수신된 인쇄데이터가 모바일 기기(160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다. 프린터(1610)는 인식된 모바일 기기(160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다른 인쇄데이터보다 먼저 인쇄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160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인쇄하여, 모바일 기기(1600)의 사용자는 인쇄 출력물을 얻을 때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게 된다.
도 17a-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화상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700)와 프린터(1710)가 연결된 후에 모바일 기기(1700)가 프린터(1710)에 인쇄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도 17b를 참조하면, 전송되는 프린터(1710)에 전송된 인쇄데이터에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헤더(Header) 및 PDL 데이터를 포함한다. PDL 헤더에는 모바일 기기에서 인쇄하려는 문서 파일의 종류,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와 같은 인쇄하려는 문서 내용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PDL 데이터에는 인쇄하려는 문서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디바이스에 포함된 드라이버에서 인쇄데이터를 생성할 때, 인쇄데이터는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에뮬레이션 방식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C와 같은 기기의 경우, PCL6(Printer Command Language 6)와 같은 에뮬레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의 경우 PWG와 같은 에뮬레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1700)는 포함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할 때, PWG 에뮬레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프린터(1710)는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하고, PDL 데이터(1730)부분을 확인하여, 에뮬레이션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즉, PDL데이터(1730)부분은 에뮬레이션 방식마다 달라진다. 따라서 PDL 데이터(1730)의 특정 부분을 보면 어떠한 에뮬레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인쇄데이터가 생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type)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다비이스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상기 할당된 디바이스의 IP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상기 디바이스와 교환된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화상형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데이터를 화상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에뮬레이션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의 타입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디바이스의 타입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 할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에 포함된 IP주소와 상기 할당된 디바이스의 IP주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상기 디바이스와 교환된 상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타입(type)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방식에 따라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31516A 2013-10-31 2013-10-31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KR20150050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16A KR20150050100A (ko) 2013-10-31 2013-10-31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14/471,125 US9235364B2 (en) 2013-10-31 2014-08-28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image forming job by us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16A KR20150050100A (ko) 2013-10-31 2013-10-31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00A true KR20150050100A (ko) 2015-05-08

Family

ID=5299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516A KR20150050100A (ko) 2013-10-31 2013-10-31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5364B2 (ko)
KR (1) KR201500501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308A (ko) * 2015-11-18 2017-05-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70058307A (ko) * 2015-11-18 2017-05-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0316B2 (ja) * 2014-02-06 2018-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57403B2 (ja) * 2014-03-24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98345B2 (ja) * 2014-06-10 2018-10-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50840B2 (ja) * 2015-05-29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73872A (ja) * 2016-03-18 2017-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759650B2 (ja) * 2016-03-24 2020-09-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45310B2 (ja) * 2016-03-28 2020-0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94533B2 (en) * 2016-12-19 2020-06-23 T-Mobile Usa, Inc. Network scheduling in unlicensed spectrums
JP6541715B2 (ja) * 2017-05-12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68533B2 (ja) * 2017-10-17 2021-05-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88024B2 (ja) * 2018-11-29 2022-12-1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4425B2 (en) * 2003-03-05 2009-01-06 Kabushiki Kaisha Toshiba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erver and printing method utilizing wireless communication
US8806023B2 (en) * 2011-05-20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Auto-connect in a peer-to-peer network
KR102006405B1 (ko) 2011-12-12 2019-08-0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308A (ko) * 2015-11-18 2017-05-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70058307A (ko) * 2015-11-18 2017-05-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US10642548B2 (en) 2015-11-18 2020-05-0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10761792B2 (en) 2015-11-18 2020-09-01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relating to determining an owner of prin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6746A1 (en) 2015-04-30
US9235364B2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0100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US115205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in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37448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terminal device
KR20160053594A (ko)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
US10656892B2 (en) Printer registr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er registration
JP5511332B2 (ja) 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065436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method
EP2939494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0626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US9454718B2 (en) Printer, print control device, print system, prin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specific print setting information
JP2006059324A (ja) 無線lan基盤の無線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24182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CN109426469B (zh) 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和记录介质
US108558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performing same
JP71667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93508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6024204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分散処理方法
JP630429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接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05850B2 (ja) 端末装置、サーバ、及びプリンタ
JP2018195268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07315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230185503A1 (en)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inting system
JP661163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20190121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rinting
KR20210088168A (ko) 문서 자동 출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