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831A -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831A
KR20150047831A KR1020130127793A KR20130127793A KR20150047831A KR 20150047831 A KR20150047831 A KR 20150047831A KR 1020130127793 A KR1020130127793 A KR 1020130127793A KR 20130127793 A KR20130127793 A KR 20130127793A KR 20150047831 A KR20150047831 A KR 2015004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mart device
unit
extracting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욱
박윤경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831A/ko
Priority to US14/503,484 priority patent/US20150120867A1/en
Publication of KR2015004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2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taking of data from a data transmission channel without auth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데이터 추출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COLLECTED FROM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기 설정한 조건 및 스마트 기기의 상황에 따라 추출하여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SNS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SNS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해 개인이 수집한 정보를 타인과 소통하게 하는 서비스로 최근 스마트 기기의 높은 보급율과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를 통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SNS 어플리케이션은 한국공개특허 2011-005213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간의 콘텐츠 공유 활동,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 기능 및 온라인 이해집단 구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개인 정보 노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이용자 간 피싱 공격, 그리고 개인의 생활에 깊숙이 침투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크 스트레스라는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다.
그래서 SNS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필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나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가 개인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데이터를 배제하고 사용자가 허용한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과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토대로 추출하여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데이터 추출 조건과, 스마트 기기의 상황에 따라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데이터 추출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GPS를 통해 수집하는 위치 데이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통화 기록 데이터, 주소록 데이터 및 이메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 및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이거나 불안정한 통신 환경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제2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이거나 불안정한 통신 환경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과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토대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전송을 허용한 데이터만을 데이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나 통신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기기 상황에 따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 종류와 타입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추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순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구분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크게 데이터 수집부(110), 제1 데이터 추출부(120), 모니터링부(130), 제2 데이터 추출부(140) 및 데이터 전송부(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10)에 내장되어 구성되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스마트 기기(10)와 별도로 도시하였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스마트 기기(1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110)는 스마트 기기(10)의 GPS를 통해 수집하는 위치 데이터, 스마트 기기(10)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 스마트 기기(1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정지영상(사진/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음성 데이터, 통화 기록 데이터, 주소록 데이터 및 이메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1 데이터 추출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스마트 기기(10)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데이터 추출 조건은 데이터 서버(20)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데이터 서버(20)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추출부(120)는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하여 데이터 서버(20)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를 1차적으로 추출한다.
모니터링부(130)는 스마트 기기(1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즉, 모니터링부(130)는 스마트 기기(10)의 배터리와 통신부로부터 배터리 레벨 및 통신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 한다.
제2 데이터 추출부(140)는 제1 데이터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모니터링부(13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10)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조건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데이터 서버(20)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데이터 서버(20)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데이터 추출부(140)는 모니터링 결과 스마트 기기(10)의 배터리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이거나 불안정한 통신 환경인 경우,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하여 데이터 서버(20)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2차적으로 추출한다.
데이터 전송부(150)는 제2 데이터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2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 종류와 타입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수집되는 데이터 종류는 위치 데이터, 센서 데이터, 정지영상(사진/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통화기록 데이터, 주소록 데이터 및 이메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따른 데이터 타입 코드는 위치 데이터는 GPS, 센서 데이터는 SENSOR, 정지영상(사진/이미지) 데이터는 IMAGE, 동영상 데이터는 VIDEO, 음성 데이터는 AUDIO, 문자 메시지 데이터는 SNS, 통화기록 데이터는 PHONE_CALL, 주소록 데이터는 ADDR_BOOK 및 이메일 데이터는 EMAIL로 정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추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추출 조건은 스마트 기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데이터 추출 조건은 데이터 서버에 허용 가능한 또는 허용 가능하지 않은 데이터의 종류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3은 데이터 타입 코드가 IMAGE인 정지영상 데이터와 데이터 타입 코드가 GPS인 위치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허용 가능하지 않고 그 외 나머지 데이터는 허용이 가능하다는 데이터 추출 조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전송 조건은 스마트 기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조건은 조건문과 실행문으로 구성된다. 조건문은 스마트 기기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조건을 의미하고 실행문은 데이터 전송 조건을 의미한다. 도 4는 첫번째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20% 아래로 떨어지면 데이터 타입 코드가 VIDEO인 동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며, 두번째는 스마트 기기의 통신 환경이 불안정한 경우 데이터 타입 코드가 IMAGE인 정지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지 않다는 조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순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앞서 설명한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S100).
다음, 수집된 데이터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한다(S200). 이때, 데이터 추출 조건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을 의미한다.
다음, 데이터가 데이터 추출 조건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0 단계에서, 데이터 추출 조건을 통과한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이고, 데이터 추출 조건을 통과하지 못한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데이터이다.
다음,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를 1차로 추출한다(S400).
다음,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S500).
다음, S400 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에서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한다(S600). 이때, 데이터 전송 조건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을 의미한다.
다음, 데이터가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0). S700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통과한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이고,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통과하지 못한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데이터이다.
다음,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를 2차로 추출한다(S800).
마지막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에 전송한다(S900).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과 데이터 전송 조건을 토대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전송을 허용한 데이터만을 데이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제1 데이터 추출부
130 : 모니터링부 140 : 제2 데이터 추출부
150 : 데이터 전송부

Claims (12)

  1.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데이터 추출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GPS를 통해 수집하는 위치 데이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통화 기록 데이터, 주소록 데이터 및 이메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 및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이거나 불안정한 통신 환경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8.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제2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된 데이터 종류와 데이터 서버에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추출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하지 않는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전송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이거나 불안정한 통신 환경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30127793A 2013-10-25 2013-10-25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47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93A KR20150047831A (ko) 2013-10-25 2013-10-25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US14/503,484 US20150120867A1 (en) 2013-10-25 2014-10-0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93A KR20150047831A (ko) 2013-10-25 2013-10-25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831A true KR20150047831A (ko) 2015-05-06

Family

ID=5299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93A KR20150047831A (ko) 2013-10-25 2013-10-25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20867A1 (ko)
KR (1) KR201500478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747B1 (ko) 2019-01-29 2020-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JP7311631B2 (ja) * 2019-12-25 2023-07-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3781B2 (en) * 2009-01-28 2013-11-12 Headwater Partners I Llc Simplifie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US8695058B2 (en) * 2009-05-20 2014-04-08 Mobile Iron, Inc. Selective management of mobile device data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0867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4061B (zh) 网络通讯录共享系统及方法
US9686217B2 (en) Method to stop cyber-bullying before it occurs
US202202845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8788657B2 (en) Communi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nabling designating a peer
US94602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peer communications
CN104796310B (zh) 社交通信方法和系统
US20180069900A1 (en) Implementing security in a social application
CN101536005A (zh) 在线虚拟机器人安全代理
EP29125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fuscating and anonymizing data and services when using provider services
CN104253714A (zh) 监控方法、系统、浏览器及服务器
CN104811932A (zh) 用于处理移动终端设备中的安全性设置或访问控制的过程
JP2007157005A (ja) オブジェクト行動検知・通知システム、センター装置、コントローラ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行動検知・通知方法並びにオブジェクト行動検知・通知プログラム
US8626121B2 (en)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Rodríguez-Rodríguez et al. How are universiti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face sexual harassment and how can they improve?
KR101792047B1 (ko)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20150047831A (ko) 스마트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Srivastava et al. The smart tapping identification model without installing a control program in modern wireless communication
EP2169992B1 (fr) Détection de comportements anormaux d'utilisateurs de terminaux mobiles dans un réseau de télécommunications
WO2015088244A1 (ko) 파일 에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088758B (zh) 服务器设备、信息管理方法、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WO2015160038A1 (ko)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방법,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험메시지 감시 장치, 보호자 단말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093152A (ko) 해외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 대응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45549B1 (ko) 긴급 신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651931B1 (ko) 녹화차단 기능을 구비한 라이프 로그 기기 및 그 녹화차단 방법
KR102036984B1 (ko)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