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020A - 영상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020A
KR20150047020A KR1020130126728A KR20130126728A KR20150047020A KR 20150047020 A KR20150047020 A KR 20150047020A KR 1020130126728 A KR1020130126728 A KR 1020130126728A KR 20130126728 A KR20130126728 A KR 20130126728A KR 20150047020 A KR20150047020 A KR 2015004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g
additional
specific
group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진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020A/ko
Priority to US14/915,798 priority patent/US20160241903A1/en
Priority to PCT/KR2014/010014 priority patent/WO2015060665A1/ko
Publication of KR2015004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EPG를 제공하면서, 상기 기본 EPG에서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 EPG를 3차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출력 장치{image outputt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EPG와 기본 EPG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추가 EPG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구할 수 있다. 향후 스마트 TV에서는 사용자가 즐길 수 있는 콘텐츠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EPG를 검색하고, 검색된 EPG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현재 제공되는 EPG는 단순한 2차원 형태로 보여지기 때문에, EPG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EPG의 내용이 많은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획득하고 그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본 EPG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추가적인 EPG를 생성하고, 상기 기본 EPG와 함께 추가 EPG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기본 EPG와 상기 추가 EPG를 3차원적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인 정보 제공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기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추출하여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기본 EPG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추가 레이어를 설정하며, 상기 기본 EPG가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아이템은, 현재 시청 가능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어 있으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은,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과거 방송분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과 관련된 동영상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 관련 기사에 대응되는 EPG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EPG와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을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추가 EPG에 대응되어 기 지정되어 있는 레이어 내에서,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특정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에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기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추출하여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기본 EPG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추가 레이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EPG가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아이템은, 현재 시청 가능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어 있으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은,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과거 방송분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과 관련된 동영상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 관련 기사에 대응되는 EPG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EPG와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기본 EPG와 함께 상기 기본 EPG에서 선택된 아이템 관련 데이터를 추가 EPG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기본 EPG와 상기 추가 EPG.를 3차원적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수행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 생성되는 3차원 EPG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 제공된 3차원 EPG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2는 사용자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의 3차원 EPG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영상 출력 장치에는 TV, PC,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80), 전원부(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영상 출력 장치(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영상 출력 장치(100)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유/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미도시)와 마이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영상 출력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결합된 터치 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는 영상 출력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60), 음향 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영상을 소정의 편광각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가 3차원 입체 영상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광 안경 방식, 셔터 글라스 방식에 따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방식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출력부(170)는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7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70)는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80)에는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그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각각이 특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80)에 저장되고,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통신부(110)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가 수신된다(S100). 상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은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or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mation) 기반의 프로토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비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서비스 정보로부터 기본 EPG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EPG를 기본 레이어에 표시한다(S110). 여기서, 상기 기본 EPG 정보는 현재 시청 가능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것일 수 있고, 특정 서비스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VOD 서비스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본 레이어라 함은, 기준 깊이에 대응되는 가상의 레이어이다. 여기서, 기준 깊이라 함은 향후 언급된 추가 레이어의 깊이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깊이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된 기본 EPG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된다(S120). 상기 특정 아이템의 선택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는 리모콘이나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아이템의 선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6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특정 아이템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는 복수의 추가 레이어를 설정한다(S130).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는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아이템 관련 데이터의 검색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메모리(1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아이템 관련 데이터의 검색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결된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생성되는 기준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잇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기준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상기 기본 레이어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추가 EPG가 상기 기준 EPG보다 멀리 있는 것으로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레이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 각각은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추가 EGP 그룹각각을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에 표시한다(S140).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는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EPG 정보가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것으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EPG를, 본 명세서에서는, 3차원 EPG라 칭한다.
이때, 상기 기본 EPG는 상기 기준 레이어에 표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3차원 EPG는 상기 기본 EPG와 상기 복수의 추가 EPG를 포함하는 EPG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본 EGP는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이 배치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는 사용자에게서 점점 멀어지도록 배치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추가 EPG가 배치되는 순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수행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VOD 서비스나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공간(400)이나 서비스 서버로(300)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EPG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EPG(161)를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 생성되는 3차원 EPG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EPG 그룹들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EPG 그룹의 배열 형태를 살펴보면, 가로 방향은 시간 축에 대응되고, 세로 방향은 채널 축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깊이 방향은 테마축에 대응될 수 있다.
먼저, 제1 레이어는 시청자의 선호 채널에 할당된다. 상기 제1 레이어는 기본 레이어로 디스플레이부(160)의 표면과 동일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어에는 시청자의 선호 채널 중 현재 방송 분에 대응되는 기본 EPG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되는 상기 기본 EPG는 외부로부터 신된 서비스 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제2 레이어는 사용자가 두 번째로 선호하는 테마인 지난 방송 분에 대한 추가 EPG 그룹에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레이어에는 상기 기본 EPG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관련 기사나 동영상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에 할당되어 있고, 제4 레이어에는 시청자의 비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일부를 키워드로 하여 지난 방송 분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난 방송 분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제3 레이어에 표시될 관련 기사 및 동영상을 검색한 다음, 그에 기초하여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비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에 기초하여 비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제공된 3차원 EPG의 일예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60)의 표면에 대응되는 깊이에 설정된 기본 레이어(즉, 제1 레이어)에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채널들과 상기 방송 채널들의 방송 일정을 나타내는 기본 EPG(162)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EPG(162)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EPG(162)에서는 "토이 스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본 레이어보다 사용자에게 더 멀리 보이는(즉, 더 깊은) 제2 레이어에는 상기 기본 EPG(162)에서의 "토이 스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선택에 기초하여 "토이 스토리"의 지난 방송 분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3)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추가 EPG 그룹(163)은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EPG 그룹(162)는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에 탑재된 메모리(180)에서 검색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레이어보다 사용자에게 멀리 보이는(즉, 더 깊은 깊이에 배치된 것으로 보이는) 제3 레이어에는 상기 기본 EPG(162)에서의 "토이 스토리"와 관련된 아이테의 선택에 기초하여 "토이 스토리"와 관련된 동영상이나 기사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4)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추가 EPG 그룹(164)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가 접속한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180)에서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검색 동작은 상기 기본 EPG 그룹(162)에서의 "토이 스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레이어보다 사용자에게 더 멀리 보이는(즉, 더 깊은 깊이에 표시된 것으로 보이는) 제4 레이어에는 비 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5)이 표시된다. 이러한 비 선호 채널은 사용자가 설정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가장 깊은 깊이의 제5 레이어에는 "토이 스토리"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추가 EPG 그룹들의 예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사용자는 추가 EPG 그룹을 저정할 수도 있고, 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들은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서 대응되는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들이 배열되는 순서(즉, 대응되는 레이어 또는 표시되는 깊이) 역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변경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의 예들은 도 5에서 그 표시 형태가 변경된 예들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의 표면과 같은 깊이의 기본 레이어에는 도 5에서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되었던, "토이 스토리"에 대한 지난 방송 분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3)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추가 EPG 그룹(163)의 표시 면적이 도 5에서 보다 증가하여, 지난 방송 분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이 스토리"에 대한 관련 기사나 동영상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4)은 제2 레이어에 표시되고, 비 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5)은 제3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본 레이어에는 "토이 스토리"에 대한 관련 동영상과 기사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4)이 표시되고, 제2 레이어에는 비 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5)가 표시되며, 제3 레이어에는 "토이 스토리"에 대한 지난 방송 분에 대응되는 추가 EPG 그룹(163)이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EPG 그룹의 표시 상태는 도 6에서 변경된 것일 수도 있고, 도 5에서 변경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기본 EPG와 추가 EPG 그룹의 표시 레이어 변경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130)에 대한 조작,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60)에 대한 터치 조작, 그리고 통신부(1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입력 수단에는 리모콘이나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2는 사용자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의 3차원 EPG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8의 (a)는, 기본 EPG를 포함하여 제1, 제2, 및 제3 추가 EPG 그룹이 복수의 레이어 중 대응되는 레이어에 표시된 3차원 EPG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의 (a)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600)의 확인 버튼(610)을 조작하여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한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2에서 원으로 싸인 숫자 1은 기본 EPG를, 숫자 2는 제1추가 EPG 그룹을, 숫자 3은 제2 추가 EPG 그룹을, 숫자 4는 제3 추가 EPG 그룹을 나타낸다.
도 8의 (a)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이 있으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기본 EPG, 제1 추가 EPG 그룹, 제3 추가 EPG 그룹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이 있으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기본 EPG를 제외하고, 제1 추가 EPG 그룹, 제3 추가 EPG 그룹만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이 있으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제3 추가 EPG 그룹, 기본 EPG, 제1 추가 EPG 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에 연결된 마우스(700)를 클릭하여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된 레이어는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는 정보이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의 확장에 따라 그에 대응되어 표시되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추가 EGP를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보다 깊은 레이어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a)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에 연결된 마우스(700)를 클릭하여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a)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에 연결된 마우스(700)를 클릭하여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기본 EPG, 제1 추가 EPG 그룹, 제3 추가 EPG 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디스플레이부(160)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추가 EPG 그룹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도 10의 (b)에 되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만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R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기본 레이어에 표시한 다음 그 뒤로 기본 EPG와 제1 추가 EPG 그룹, 그리고 제3 추가 EPG 그룹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EPG 그룹을 원래 표시된 레이어에 표시하되, 그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d)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3 추가 EPG 그룹은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지 않았다.
도 11의 (a)는 사용자가 제2 추가 EPG 그룹에 커서(5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리모콘(600)의 확인 버튼(610)을 누른 상태에서 리모콘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버튼(610) 누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EPG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추가 EPG의 표시 위치를 기본 레이어로 변경하거나, 상기 제2 EPG 만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제어부(200)가 사용자가 오른손(800)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제스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고, 오른손(800)을 회전 시키는 제스처에 기초여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영상 출력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음향 출력부
180: 메모리 190: 전원부
200: 제어부 300: 서비스 서버
400: 클라우드 공간 500: 커서
600: 리모콘 700: 마우스

Claims (11)

  1.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기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추출하여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기본 EPG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추가 레이어를 설정하며,
    상기 기본 EPG가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템은,
    현재 시청 가능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어 있으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은,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과거 방송분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과 관련된 동영상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 관련 기사에 대응되는 EPG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EPG와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을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추가 EPG에 대응되어 기 지정되어 있는 레이어 내에서,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특정 추가 EPG 그룹의 표시 영역에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중 특정 추가 EPG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8.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기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추출하여 기본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기본 EPG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에 대응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깊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추가 레이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EPG가 상기 기본 레이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을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템은,
    현재 시청 가능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어 있으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은,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과거 방송분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과 관련된 동영상에 대응되는 EPG 그룹,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 관련 기사에 대응되는 EPG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추가 레이어 중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추가 레이어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외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EPG와 상기 복수의 추가 EPG 그룹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KR1020130126728A 2013-10-23 2013-10-23 영상 출력 장치 KR20150047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28A KR2015004702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 출력 장치
US14/915,798 US20160241903A1 (en) 2013-10-23 2014-10-23 Image output apparatus
PCT/KR2014/010014 WO2015060665A1 (ko) 2013-10-23 2014-10-23 영상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28A KR2015004702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20A true KR20150047020A (ko) 2015-05-04

Family

ID=5299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728A KR20150047020A (ko) 2013-10-23 2013-10-23 영상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41903A1 (ko)
KR (1) KR20150047020A (ko)
WO (1) WO2015060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2834A1 (en) * 2021-10-19 2023-04-2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ynamic timeline of related media content based on tagged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8714B1 (en) *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KR20050048980A (ko) * 2003-11-20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에서의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US8613018B2 (en) * 2006-02-17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8555311B2 (en) * 2007-12-19 2013-10-0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guide listings and guidance data in three dimension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KR20100132375A (ko) * 2009-06-09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11087033A (ja) * 2009-10-14 2011-04-28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テンツ再生装置
CN102918857B (zh) * 2010-04-02 2015-11-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用于提供二维和三维内容的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接收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
KR20130030603A (ko) * 2011-09-19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BR112015029994A2 (pt) * 2013-05-29 2017-07-25 Thomson Licensing aparelho e método para exibição de um guia de programaçã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41903A1 (en) 2016-08-18
WO2015060665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US1073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US92473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0921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US105879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US2014033777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polyhedr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3377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40337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90091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contents
KR20140001977A (ko) 문맥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6507159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60007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715482A1 (en) Visual search and recommendation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KR20150051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20150046619A (ko) 영상 출력 장치
KR102019975B1 (ko)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KR201600947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3270473B (zh) 用于定制显示关于媒体资产的描述性信息的方法
JP2012155506A (ja) 情報端末、及び画面部品選択方法
CN107993278B (zh) 显示装置和显示内容的方法
KR20150047020A (ko) 영상 출력 장치
US1133693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