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942A -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942A
KR20150046942A KR1020130126560A KR20130126560A KR20150046942A KR 20150046942 A KR20150046942 A KR 20150046942A KR 1020130126560 A KR1020130126560 A KR 1020130126560A KR 20130126560 A KR20130126560 A KR 20130126560A KR 20150046942 A KR20150046942 A KR 2015004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nic document
customer
document data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영
최명규
김창권
허승균
최혜랑
조상진
손용철
박상곤
이준협
이창용
이지은
공용준
곽당종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13012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942A/ko
Publication of KR2015004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전자 문서를 이용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인감 스캐너를 이용함으로써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에 관리 서버를 통해 각각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ELECTRONIC DOCU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사 창구를 통한 대면 거래시 PPR 단말을 활용하여 전자 문서를 처리하는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제생활 구조가 다양화되고,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과 동시에 각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출시하면서, 은행 지점(또는 영업점)에 구비된 창구를 통한 창구거래 업무량이 폭주하고 있다.
이에, 각 은행들은 창구거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금입출금과 같은 단순 금융 거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 현금 자동 지급기(Cash Dispenser; CD)를 통해 거래하도록 유도하고, 공과금 납부와 같이 대면 거래를 반드시 요구하지 않는 창구 거래는 공과금 자동화기기를 통해 납부하도록 유도하며, 계좌 조회 또는 계좌 이체(타행환 포함)와 같이 대면 확인이 불필요한 금융거래는 인터넷뱅킹, 무선뱅킹, 텔레뱅킹과 같은 비대면 채널을 통해 거래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대면 확인 및 직원 상담을 필요로 하는 거래만을 창구를 통해 거래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창구 거래 업무량은 여전히 감소하지 않고 일정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창구 거래는 입금 전표, 출금 전표, 외화 예금(금적립) 거래표, 환전/송금/금매매 거래표와 같은 다양한 종이 전표에 거래 요청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에 각 은행들은 창구업무가 종료된 후, 각 창구에서 발생한 종이 전표들을 일괄 수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 보관함과 동시에, 상기 종이 전표들을 스캐닝하여 종이 전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를 법률이 정하는 기간 동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창구 거래에 따른 종이 전표 관리 업무는 종이 전표의 수거와 보관 업무, 및 대량의 스캐닝 작업과 종이 전표 이미지 관리 업무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 종이 전표 관리 업무는 종이 전표의 수거와 보관, 및 대량의 스캐닝 작업과 종이 전표 이미지 관리를 위한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종이 전표 이미지를 사후 검토 및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 파일명에 종이 전표 관련 정보를 모두 포함하도록 저장한 후, 상기 파일 이름을 통해 상기 종이 전표 이미지를 관리(또는 검색)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종이 전표 이미지 방식을 통해 은행별로 하루에도 수십만 건씩 쌓이는 종이 전표 이미지를 관리한다는 것은 매우 난해하고 복잡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전자 문서를 이용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인감 스캐너를 이용함으로써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에 관리 서버를 통해 각각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은행원 단말기는 인감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감 스캐너는, 일면에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광학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상기 인감 스캐너의 실리콘은 고객이 인감 또는 지문을 찍을 경우, 상기 인감 또는 지문의 누르는 압력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상기 광학 카메라는 고객이 실리콘에 찍는 인감 또는 지문을 촬영함과 아울러 촬영된 상기 인감 또는 지문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복수의 서명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을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에 고객 서명을 1회 수행하면,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에 각각 상기 고객 서명이 서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은, 상기 서명란에서 서명을 수행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입력하고, 상기 인감란에서 상기 서명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여 고객의 서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가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S200)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0)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4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은 운영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S10)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단계(S20)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S40)하되,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은 운영자 단말기가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에 관리 서버를 통해 각각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은행원 단말기는 인감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감 스캐너는, 일면에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광학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상기 인감 스캐너의 실리콘은 고객이 인감 또는 지문을 찍을 경우, 상기 인감 또는 지문의 누르는 압력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상기 광학 카메라는 고객이 실리콘에 찍는 인감 또는 지문을 촬영함과 아울러 촬영된 상기 인감 또는 지문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상기 제 2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복수의 서명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을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에 고객 서명을 1회 수행하면,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에 각각 상기 고객 서명이 서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상기 서명란에서 서명을 수행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입력하고, 상기 인감란에서 상기 서명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여 고객의 서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사 창구 대면 거래시 종이 문서 대신 전자 문서를 이용함으로써 법적으로도 유효하고, 인감 스캐너를 이용함으로써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은행원 단말기의 전자 업무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제 2 단말기의 고객 업무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은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대기 번호와 함께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10)와,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30)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20)와,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30)와,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40)와,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20)를 통해 제 1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은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50)와,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제 2 단말기(30)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20)와,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30)와,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40)와, 전자 문서 서식을 제 1 단말기(10)와, 제 2 단말기(30)와, 은행원 단말기(40)에 관리 서버(20)를 통해 각각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60)를 포함한다.
우선, 제 1 단말기(10)는 고객으로부터 전자 문서 데이터가 입력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그 대기 번호와 함께 고객으로부터 입력 생성된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단말기(10)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는 PC급의 전자 필경대이며,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금융 거래를 위하여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필수 입력 항목이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은 입금 전표, 출금 전표, 외화 예금(금적립) 거래표, 환전/송금/금매매 거래 전표와 같은 종이 서식과 디자인을 동일시하여 고객의 혼란과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관리 서버(20)는 은행원 단말기(40)에서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제 1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전자 문서 데이터 중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창구 DID 단말기(50)는 은행원 단말기(40)로부터 호출되는 대기 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창구 DID 단말기(50)에는 호출한 은행원 단말기(40)의 창구 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창구 DID 단말기(50)에 디스플레이된 대기 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이 해당 창구 DID 단말기(50) 쪽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제 2 단말기(30), 은행원 단말기(40), 창구 DID 단말기(50)는 각각 인접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단말기(30)는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전자 문서 데이터에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단말기(30)는 창구에 배치되어 필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펜을 포함하는 태블릿 PC이고, 인접 배치된 은행원 단말기(40)로 출력창을 공유한다.
즉, 제 2 단말기(30)를 사용하는 고객은 은행원의 도움을 받아 전자 문서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이라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필수 항목에 대해, 은행원 단말기(40)가 입력창을 강제로 노출시켜 고객이 입력해야 할 항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 입력시 누락된 항목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 문서 처리 장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별 고객 필수 입력 항목을 정리하고, 이 중 고객이 제 1 단말기(10)에서 작성할 항목과 은행 창구의 제 2 단말기(30)에서 작성할 항목을 분리함으로써, 고객 편리성과 업무 효율성을 도모한다.
은행원 단말기(40)는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은행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 서버(20)는 은행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저장하여, 연계 시스템(70)이나 연계 기관(8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2 단말기(3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 생성된 업무 만족도 조사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는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업무 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업무 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전송한 제 2 단말기(30)와 인접 배치된 은행원 단말기(40)의 해당 은행원 업무능력 점수를 산출하고, 은행원별 업무 순위를 통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 의하면 은행 창구 거래시 사용되던 종이 서식을 전자 문서로 대체함과 동시에 창구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빠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업점 창구업무(신규, 입금, 지급 등)를 전자 문서 기반으로 전환하여 업무 처리가 완료된 전자 문서의 보관 및 검색이 용이하며, 유지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혁신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제 2 단말기(30)의 고객 업무 UI 화면(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1000)의 은행원 단말기(40)에서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2와 같은 전자 업무 UI 화면(100)이 실행된다. 또한, 제 2 단말기(30)에서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3과 같은 고객 업무 UI 화면(200)이 실행된다. 이러한 전자 업무 UI 화면(100)과, 고객 업무 UI 화면(200)의 차이점은 고객 업무 UI 화면(200)에서는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전자 문서 데이터에 추가 입력할 사항만 입력할 수 있도록 UI 화면이 제공되지만,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는 전자 문서 데이터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더 구비하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의 기본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고객의 기본 정보는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고객 정보가 관리 서버(20)에 의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기존 고객이 아닌 최소 신규 고객일 경우, 제 1 단말기(10)에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한 후,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고객 정보 기입란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기(10)에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과 고객의 기본 정보를 함께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제 1 단말기(10)에서 고객의 입력 정보만을 제공받은 후, 관리 서버(20)를 통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받은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고객의 기본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고객의 기본 정보에 대한 데이터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단말과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는, 하단에 고객이 제 1 단말기(10)에서 선택한 다양한 거래 업무 모두를 탭으로 표시(예를 들면, 거래 신규, 제신고, 입금 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100) 화면 우측에는 고객 정보 조회 표시 버튼(121)과, 고객 정보 변경 표시 버튼(122)과, 창구 서류 안내 표시 버튼(123)과, 형광펜 설정 표시 버튼(124)과, 형광펜 지우개 표시 버튼(125)과, 메모 작성 표시 버튼(126)과, 모아 쓰기 표시 버튼(127)과, 작업 진행 현황 조회 표시 버튼(128)과, BPR 이미지 조회 표시 버튼(129)과, 부가 서류 BPR 스캔 표시 버튼(130)과, 커버 페이지 출력 표시 버튼(131)과, 환경 설정 표시 버튼(132)이 전자 업무 UI 화면(100)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바(bar) 형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바 형상의 표시 버튼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20)로부터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게 된다.
이에 대해 각각 살펴보면, 고객 정보 조회 표시 버튼(121)을 선택하면, 고객의 기본 정보가 팝업창을 통해 팝업되어 표시된다. 또한, 고개 정보 변경 표시 버튼(122)을 선택하면, 고객의 기본 정보가 팝업창을 통해 팝업되어 표시되고, 이러한 고객의 기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한편, 창구 서류 안내 표시 버튼(123)을 선택하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이 선택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안내되며, 이와 같이 고객이 선택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의 작성이 필요한 영역이 안내됨으로써, 고객이 확인할 수 있는 제 2 단말기(30)를 통해, 고객이 작성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형광펜 설정 표시 버튼(124) 및 형광펜 지우개 표시 버튼(125)에 대해 살펴본다. 형광펜 설정 표시 버튼(124)을 선택하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작성 지원을 위한 형광펜을 제공하고, 형광펜 지우개 표시 버튼(125)을 선택하면, 형광펜으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작성시 잘못된 기재를 삭제하기 위한 지우개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고객 데이터 입력 영역은 은행원 단말기(40)에 의해 형광펜으로 언더라인(밑줄)이 기재되며, 데이터 입력 영역에 형광펜으로 언더라인(밑줄)이 기재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관리 서버(20)에 의해 제 2 단말기(30)에 제공됨으로써, 고객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형광펜이 기재된 영역을 작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모 작성 표시 버튼(126)을 선택하면, 메모를 할 수 있는 메모장이 팝업된 팝업창이 제공되며, 텔러는 이러한 팝업창에 특정 고객에 대한 메모 내용을 기재하고, 이러한 메모 내용을 특정 고객에 대한 부가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모아 쓰기 버튼(127)을 선택하면, 제 2 단말기(30)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영역을 잘라서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이 표시된다. 이때, 팝업된 팝업창은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 및 제 2 단말기(30)의 고객 업무 UI 화면(200) 각각에 표시되며, 고객은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된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영역을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을 선택하게 된다. 서명란을 선택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정자로 입력하고, 인감란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객의 서명 또는 고객의 인감이 선택되면,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된 팝업창의 고객 서명이 필요한 영역에 모두 고객 서명이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모아 쓰기 기능은 고객의 서신 작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고객 서명은 전자 이미지 서명으로 수행되며, 예를 들면 전자펜을 이용하여 전자 서식 화면 양식에 서명할 수도 있고, 인체의 생체나 지문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에 인체의 생체나 지문 등을 인식시키는 생체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에 의해 고객의 도장을 즉시 스캔한 후, 스캔한 도장 스캔 이미지를 통해 서명하는 인장 스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작업 진행 현황 조회 표시 버튼(128)을 선택하면, 전자 업무의 작업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식 장성이나, 결재나, 결재 완료나, 계정 처리와 같은 업무 진행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BPR 이미지 조회 표시 버튼(129)을 선택하면, 운영자 단말기(60)에서, 신규 거래 신청서 등과 같이 텔러의 확인이 필요한 고객의 정보를 조회하도록 기존 서식이 제공된다.
다음,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부가 서류 BPR 스캔 표시 버튼(130)을 선택하면, 개인 정보 동의서, 고객 거래 확인서, 금융 거래 목적 확인서, 미성년자 예금계좌 개설 동의서, 재형저축 계약대상자 확인서, 청약저축 신규거래 신청서, 입주자 저축가입 신청서, 주택청약 종합저축 무주택확인서, 급여 이체 등록 및 해제 신청서, 공동명의예금 전자 금융 출금계좌 등록동의서, 전자금융신청 법정대리인 동의서 등과 같은 부가 서식들이 BPR 스캔본으로 제공된다.
한편,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환경 설정 표시 버튼을 선택(131)하면, 은행원 단말기(40)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이 팝업됨으로써,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 고객이 선택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작성이 완료될 경우에는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서식 작성 완료 버튼(119)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거래 종료 완료 버튼(120)을 선택하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입력된 고객의 입력 정보와 서식의 서명 이미지(예를 들면, 인감 또는 서명이 기재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 제 2 단말기(30)의 고객 업무 UI 화면(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단말기(30)의 고객 업무 UI 화면(200)은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과 달리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만이 표시된다. 이러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고객 정보 기재란(210) 및 고객 서명란(220)만을 고객이 기재하게 된다.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통해 은행 거래를 하고자 하는 고객이 기존 고객일 경우에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기존 고객의 기본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기존 고객의 기본 정보는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고객 정보가 관리 서버(20)에 의해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기존 고객이 아닌 최소 신규 고객일 경우, 제 1 단말기(10)에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한 후,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고객 정보 기입란(210)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제 2 단말기(30)에서 신규 고객이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자필로 신규 고객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하는 신규 고객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고객의 성명, 주민 번호, 주소, 전화 번호 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객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재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고객이 고객 서명란(220)을 선택하면 고객 서명란(220)이 활성화되며, 이러한 고객 서명란(220)에 고객의 인감을 스캔하거나,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이 직접 자필로 서명을 입력하게 된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화면(100)에서, 모아 쓰기 버튼(127)이 선택되면, 제 2 단말기(30)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영역을 잘라서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이 표시된다. 이때, 팝업된 팝업창은 은행원 단말기(40)의 전자 업무 UI 및 제 2 단말기(30)의 고객 업무 UI 화면(200) 각각에 표시되며, 고객은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된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해당 영역을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을 선택하게 된다. 서명란을 선택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정자로 입력하고, 인감란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객의 서명 또는 고객의 인감이 선택되면,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된 팝업창의 고객 서명이 필요한 영역에 모두 고객 서명이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모아 쓰기 기능은 고객의 서신 작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먼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00).
이때, 관리 서버(20)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제 1 단말기(10)에 배포하고, 제 1 단말기(10)는 전자 문서 작성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관리 서버(20)로부터 배포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저장되며, 고객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표시된다.
즉, 제 1 단말기(10)에 저장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내용이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어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은 입금 전표, 출금 전표, 외화 예금(금적립) 거래표, 환전/송금/금매매 거래전표와 같은 종이 서식과 디자인을 동일시하여 고객의 혼란과 거부감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자세히는,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기 저장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표시하는데 이때,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선택에 따라 확대 및 축소하여 표시한다.
즉,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종이 서식(전표)과 유사한 형태로 표시하고 확대 및 축소하여 제공함에 따라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의 혼란과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남녀 노소 누구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제 1 단말기(10)에 표시되면,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데 정보 입력 요청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따라 설정된 필수 입력 항목 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한다.
필수 입력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이상이 입력되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항목을 표시하여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전자 문서 데이터 생성시 대기 번호를 발행하여, 발행된 대기 번호와 함께 생성된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그 다음, 관리 서버(20)는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한다(S200).
이때, 창구 DID 단말기(50)는 은행원 단말기(40)로부터 호출되는 대기 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창구 DID 단말기(50)에는 호출한 은행원 단말기(40)의 창구 번호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창구 DID 단말기(50)에 표시된 대기 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이 해당 창구 DID 단말기(50) 쪽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제 2 단말기(30), 은행원 단말기(40), 창구 DID 단말기(50)는 각각 인접배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 2 단말기(30)는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한다(S300).
이때, 제 2 단말기(30)는 창구에 배치되어 필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펜을 포함하는 태블릿 PC이고, 인접 배치된 은행원 단말기(40)로 출력창을 공유한다. 즉, 제 2 단말기(30)를 사용하는 고객은 은행원의 도움을 받아 전자 문서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이라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30)에서 입력이 요구되는 필수 항목에 대해, 은행원 단말기(40)가 입력창을 강제로 노출시켜 고객이 입력해야 할 항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 입력시 누락된 항목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전자 문서 서식 별 고객 필수 입력 항목을 정리하고, 이 중 고객이 제 1 단말기(10)에서 작성할 항목과 은행 창구의 제 2 단말기(30)에서 작성할 항목을 분리함으로써, 고객 편리성과 업무 효율성을 도모한다.
그 다음, 은행원 단말기(40)는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S400).
이때, 관리 서버(20)는 은행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저장하여, 연계 시스템(70)이나 연계 기관(8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기(3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 생성된 업무 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20)는 제 2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업무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업무 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전송한 제 2 단말기(30)와 인접 배치된 은행원 단말기(40)의 해당 은행원 업무 능력 점수를 산출하고, 은행원별 업무 순위를 통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문서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고객은 은행을 내방하여 제 1 단말기(10)에서 원하는 업무를 선택한다. 업무가 선택되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관리 서버(20)에 의해 호출되어 제 1 단말기(10)에 표시되고, 고객은 표시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필요 항목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제 1 단말기(10)는 본 발명에서의 전자 문서 작성 단말기를 지칭하며,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는 PC급으로, 전자 문서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고객에 의해 선택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생성한다.
입력이 완료되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됨과 동시에 대기 번호가 발행되고, 은행원 단말기(40)에 의해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창구 DID 단말기(50)에 해당 대기 번호가 표시되고, 창구에 구비된 제 2 단말기(30)에는 제 1 단말기(10)에서 입력한 전자 문서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때, 제 2 단말기(30)에서 표시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다수의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중 고객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의 기본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고객의 기본 정보는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고객 정보가 관리 서버(20)에 의해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기존 고객이 아닌 최소 신규 고객일 경우, 제 1 단말기(10)에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의 기본 정보를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한 후,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의 고객 정보 기입란에 자동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기(10)에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과 고객의 기본 정보를 함께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제 1 단말기(10)에서 고객의 입력 정보만을 제공받은 후, 관리 서버(20)가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받은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고객의 기본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즉, 제 1 단말기(10)에서 운영자 단말기(60)에서 제공된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고객이 고객 정보를 작성한 후,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을 제외한 고객의 고객 정보만이 전자 문서 데이터로서 관리 서버(20)에 송신되고, 관리 서버(20)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제공받은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제 1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고객 정보를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고객의 기본 정보에 대한 데이터량을 감소(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 및 고객 정보가 아닌 고객 정보만을 전송)시킴과 아울러 단말과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고객은 제 1 단말기(10)에서 입력하지 않은 추가 내용을 은행원과 협업하여 입력하고 서명 등이 추가로 기재되어 입력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입력 완료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는 은행원 단말기(40)에 표시되고, 은행원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는 관리 서버(20)에 저장되어 보관된다.
또한, 은행원 단말기(40)는 업무 처리 내역을 인쇄하여 해당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창구 거래가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방법에 의하면 은행 창구 거래시 사용되던 종이 서식을 전자 문서로 대체함과 동시에 창구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빠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업점 창구 업무(신규, 입금, 지급 등)를 전자 문서 기반으로 전환하여 업무 처리가 완료된 전자 문서의 보관 및 검색이 용이하며, 유지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업무 혁신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처리 방법은,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S10)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단계(S20)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4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은 운영자 단말기(60)가 상기 제 1 단말기(10)와, 제 2 단말기(30)와, 은행원 단말기(40)에 관리 서버(20)를 통해 각각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문서 서식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관리 서버(20)를 통해 제 1 단말기에 제공되어, 고객이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 정보를 기재하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전자 문서 데이터가 관리 서버(20)로 송신되고, 관리 서버(20)는 이러한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30)에 제공하며,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다시 관리 서버(20)가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20) 및 각각의 단말기 사이를 전자 문서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데, 이러한 전자 문서 데이터는 고객 정보뿐만 아니라 전자 문서 서식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문서 서식이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관리 서버(20)를 통해 제 1 단말기(10)와, 제 2 단말기(30)와, 은행원 단말기(40)에 각각 제공되며, 고객이 제 1 단말기(10)에 제공된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에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 정보만을 송신하게 된다. 이렇게 관리 서버(20)에 수신된 고객 정보는 다시 제 2 단말기(30)에 송신되며, 제 2 단말기에서는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관리 서버(20)를 통해 제공받은 전자 문서 서식에, 관리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고객 정보를 불러오게 된다. 즉, 운영자 단말기(60)로부터 관리 서버(20)를 통해 제공받은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1000)은 5개의 주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1000)은 모아 쓰기의 기능을 구비한다.
운영자 단말기(60)가 모아 쓰기를 위한 대상 필드를 지정하면, 관리 서버(20)는 해당 서식과 대상 필드의 좌표를 기억하게 된다. 한편, 운영자 단말기(60)는 모아 쓰기 대상 필드에 대한 정보를 서식 정보 XML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서식 정보 XML이란, 서식 폰트 정보나, 필드 정보 등을 저장하는 XML 형식의 파일을 말한다.
다음, 관리 서버(20)는 운영자 단말기(60)에 모아 쓰기 형식에 맞게 디자인된 거래 신청서 서식의 원본을 저장한다. 이렇게 디자인된 거래 신청서 서식을 관리 서버(20)는 필요시 제 2 단말기(30)에 배포하게 된다.
다음, 은행원 단말기(40)는 운영자 단말기(60)에서 디자인된 거래 신청서 서식을 불러오게 된다. 이후, 은행원 단말기에서 모아 쓰기 버튼(127)을 클릭하여 창을 팝업시키면, 서명 및 성명 창이 모아서 표시된다. 한편, 모아 쓰기 팝업 창은 은행원 단말기(40) 및 제 2 단말기(30)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동기화되어 있게 된다.
다음, 제 2 단말기(30)에서, 고객이 모아 쓰기 항목을 판독 후 동의를 할 경우, 체크란에 동의 체크를 수행하게 된다. 동의 체크가 완료되면 성명을 자필로 기재하고, 서명을 자필 또는 인감으로 날인하게 된다.
이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모아 쓰기 팝업 창이 닫히고, 거래 신청서 서식의 해당 성명, 서명란에 한번에 입력된다. 여러 번의 성명, 서명 등을 기재하는 단계를 한번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식 작성을 완료하면, 거래 정보 XML에 모아 쓰기 필드로 작성한 내역이 각각의 필드에 저장된다. 여기서, 거래 정보 XML이란 고객이 작성한 거래 정보가 저장되는 XML 형식의 파일을 지칭한다.
다음, 전자 서식 상의 입력 부문에 작성 항목 순서 부여 기능에 의해 고객에게 고지하고, 고객이 작성 항목 순서에 따라 작성할 수 있도록 전산적으로 유도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은행원 단말기(40)는 운영자 단말기(60)에서 제공하는 서식 위에 고객이 작성해야될 항목을 작성 순서대로 표시 부재로 선택하게 된다. 관리 서버(20)는 표시 부재로 선택된 항목의 작성 순서를 운영자 단말기(60)의 메모리 또는 전자 서식 XML 파일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제 2 단말기(30)에서, 운영자 단말기(60)에 저장되어 있는 항목의 작성 순서를 판독하게 되면, 상기 항목의 작성 순서대로 서식이 팝업 창 형태로 활성화되게 된다. 다음, 고객이 제 2 단말기(30)에서 테블릿 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 항목을 각각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은행원 단말기(40)에서 텔러가 전자 서식 상의 고객 입력 부분에 표시 부재로 작성 순서를 선택하게 되면, 제 2 단말기(30)에서는 은행원 단말기(40)에 의해 순서대로 선택된 전자 서식이 그 선택된 순서대로 팝업 창 형식으로 활성화됨으로써, 고객이 용이하게 전자 서식의 고객 입력란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 1 단말기(10) 및 제 2 단말기(30)에서 복수의 전자 서식을 연속으로 작성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고객이 제 1 단말기(10)에서 복수의 은행 거래를 선택할 경우, 제 1 단말기(10)는 고객이 선택한 복수의 거래 정보와, 그 복수의 거래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자 서식과, 복수의 전자 서식에 대한 처리 순서를 XML 형태로 저장한 후, 저장한 XML 파일을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관리 서버(20)는 수신한 XML 파일을 자체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해당 고객의 순번을 호출하게 된다. 또한, 해당 고객의 호출 후, 관리 서버(20)는 임시 저장한 XML 파일을 제 2 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되고, 제 2 단말기(30)는 수신한 XML 파일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후, XML 형태인 고객이 선택한 복수의 거래 정보와, 그 복수의 거래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자 서식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후, 복수의 전자 서식에 대한 처리 순서대로 고객을 호출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 1 단말기(10) 및 제 2 단말기(30)에서 복수의 전자 서식을 고객이 연속으로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 1 단말기(10)에서 기재된 고객의 서식 작성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제 2 단말기(30)에서 그대로 불러들여서 연속으로 서식 작성이 가능하다.
다음, 은행 거래 신규 시 고객 정보를 선 조회하고 은행 내부에 정보가 없는 신규 고객인 경우, 은행 거래 신청서의 고객 입력 정보란을 자필로 작성하도록 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고객이 제 1 단말기(10)를 통해 은행 거래 신규 요청을 하게 되면, 운영자 단말기(60)의 고객 관계 관리부(CRM)에서 제 1 단말기(10)에 입력된 고객의 정보를 관리 서버(20)가 검색한 결과, 신규 고객이 아닌 경우에는 고객 관계 관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정보를 전자 서식에 자동으로 입력시키고, 신규 고객일 경우에는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자필로 고객 입력 정보란에 고객 정보를 작성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고객의 고객 정보는 제 2 단말기(20)에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운영자 단말기(60)에서는 고객이 작성할 고객 정보 관련 전자 서식을 제공하게 되며, 고객이 작성한 고객 입력 정보를 디지털 이미지화하게 된다. 디지털 이미지는 BMP, JPEG, JPEG2000, TIF 등의 이미지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운영자 단말기(60)는 고객이 작성한 전자 문서에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디지털 이미지를 삽입 후, 병합하여 운영자 단말기(60)에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은행 거래 신규 시 고객 정보를 선 조회하고 은행 내부에 정보가 없는 신규 고객인 경우, 은행 거래 신청서의 고객 입력 정보란을 자필로 작성하도록 하는 기능에 의해, 신규 고객의 정보가 고객 관계 관리부에 저장되면, 추후 고객이 방문할 경우, 고객 정보를 전자 문서에 자동으로 입력하게 됨으로써, 고객의 은행 업무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인감 및 지문을 스캔하여전자 서식을 작성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시스템은 인감 스캐너(도시 생략)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인감 스캐너는 제 2 단말기(30) 또는 은행원 단말기(4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단말기(3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객이 인감 또는 지문을 인감 스캐너의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 위에 찍게 된다. 이렇게 실리콘 위에 찍어서 인감 또는 지문의 누르는 압력을 표현하게 된다. 즉, 실리콘 위에 찍어서 누르는 느낌을 고객이 느끼게 되면, 올바르게 인감 또는 지문을 찍은 것이며, 실리콘 위에 찍어서 누르는 느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감 또는 지문을 잘못 찍은 것이다. 다음,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의 반대 측에는 광학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객이 실리콘에 찍는 인감 또는 지문을 촬영하게 된다. 이후, 촬영된 정보를 제 2 단말기(30)는 운영자 단말기(60)에 전송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하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는 BMP, JPEG, JPEG2000, TIF 등의 형식으로 디지털 이미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디지털 이미지화된 이미지는 고객이 작성한 전자 문서에 삽입된 후 병합되어 운영자 단말기(60)에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0 : 제 1 단말기
20 : 관리 서버
30 : 제 2 단말기
40 : 은행원 단말기
50 : 창구 DID 단말기
60 : 운영자 단말기
1000 : 전자 문서 시스템

Claims (14)

  1.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로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2.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말기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은행원 단말기와,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을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에 관리 서버를 통해 각각 제공하는 운영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은행원 단말기는 인감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감 스캐너는,
    일면에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광학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 스캐너의 실리콘은 고객이 인감 또는 지문을 찍을 경우, 상기 인감 또는 지문의 누르는 압력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카메라는 고객이 실리콘에 찍는 인감 또는 지문을 촬영함과 아울러 촬영된 상기 인감 또는 지문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복수의 서명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을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에 고객 서명을 1회 수행하면,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에 각각 상기 고객 서명이 서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란에서 서명을 수행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입력하고, 상기 인감란에서 상기 서명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여 고객의 서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시스템.
  8.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가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S200)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에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0)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4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은 운영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9.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에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가 입력되어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대기 번호를 발행하고, 상기 대기 번호와 함께 입력된 상기 고객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S10)와,
    상기 대기 번호가 호출되면, 상기 호출된 대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단계(S20)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중간 전자 문서 데이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추가 정보가 추가 입력되어 생성된 최종 고객 정보를 은행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와,
    상기 대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최종 고객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자 문서 서식에 적용하여 표시된 최종 전자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생성된 완료 전자 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S40)하되,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은 운영자 단말기가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은행원 단말기에 관리 서버를 통해 각각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문서 데이터는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전자 문서 서식 위에 상기 고객 정보가 겹쳐서 작성된 후 상기 전자 문서 서식이 제외된 고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 또는 상기 은행원 단말기는 인감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감 스캐너는,
    일면에 실리콘이 부착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광학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 스캐너의 실리콘은 고객이 인감 또는 지문을 찍을 경우, 상기 인감 또는 지문의 누르는 압력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카메라는 고객이 실리콘에 찍는 인감 또는 지문을 촬영함과 아울러 촬영된 상기 인감 또는 지문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 문서 데이터 서식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복수의 서명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팝업시킨 팝업창에서 고객 서명이 필요한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을 각각 선택한 후, 서명란 또는 인감란에 고객 서명을 1회 수행하면, 상기 복수의 서명 영역에 각각 상기 고객 서명이 서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란에서 서명을 수행시에는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성명을 입력하고, 상기 인감란에서 상기 서명을 선택시에는 인감을 스캔하여 고객의 서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문서 처리 방법.
KR1020130126560A 2013-10-23 2013-10-23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50046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60A KR20150046942A (ko) 2013-10-23 2013-10-23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60A KR20150046942A (ko) 2013-10-23 2013-10-23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42A true KR20150046942A (ko) 2015-05-04

Family

ID=5338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560A KR20150046942A (ko) 2013-10-23 2013-10-23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69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876B1 (ko) 터치스크린 가상 종이문서를 이용한 금융기관의 접객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8284985B2 (en) Interactive device for processing documents
US8510221B2 (en) Intelligent ATM check image deposit engine
US10861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l-time ap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US6845366B1 (en) Method of processing a check and an apparatus therefor
US20040083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storage and processing of receipts and related data
US20070094296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sales
US103542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point of entry deposit
KR100981189B1 (ko) 창구업무자동화시스템
KR101787145B1 (ko) 은행원 서포트형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창구 처리 방법
KR20150046941A (ko) 신규 고객의 고객 입력 정보를 자필로 작성가능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40055697A (ko) 원격 화상 금융거래처리 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KR101484300B1 (ko) 은행 업무를 위한 전자문서 처리 장치
KR101597307B1 (ko) 모아 쓰기를 이용한 은행 업무용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P6464440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574290U (zh) 互動櫃台系統
KR20150046939A (ko) 전자 서식 작성 순서를 제공하는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A317276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ed image capture of documents
KR101606788B1 (ko) 전자문서 기반의 업무처리를 위한 서식정보 관리방법
KR20150046942A (ko) 인감 스캐너를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50046940A (ko) 복수의 전자 서식을 연속으로 작성가능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30001460A (ko) 전자 문서 양방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17341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TWM541071U (zh) 用於金融開戶或進件的自助服務櫃台系統
KR101679295B1 (ko) 복합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