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165A -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 Google Patents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165A
KR20150045165A KR20130124514A KR20130124514A KR20150045165A KR 20150045165 A KR20150045165 A KR 20150045165A KR 20130124514 A KR20130124514 A KR 20130124514A KR 20130124514 A KR20130124514 A KR 20130124514A KR 20150045165 A KR20150045165 A KR 2015004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wireless terminal
request signal
waiting time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금
신종화
허시영
차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3012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165A/en
Publication of KR2015004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band stee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identifying whether a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using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dual band wireless terminal, setting waiting time for delaying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f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be longer than waiting time for delaying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f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wherein the waiting time is set to be variable according to a channel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Description

밴드 스티어링 방법 및 무선 액세스 장치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steer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밴드 스티어링 방법 및 무선 액세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밴드 스티어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steering method and a radio access apparatus in a wireless LA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d steering method for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and a radio access apparatus using the same.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국제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라는 단체 내 LAN/MAN 표준 위원회(IEEE 802) 의 11번째 워킹 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IEEE 802.11 워킹그룹에서 개발된 Wireless LAN 기술을 Wi-Fi 라고 지칭하기도 하며, WLAN 은 IEEE 802.11 의 상표명이다. 하지만 좀 더 엄밀히 말하자면, Wi-Fi는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만들어진 제품으로, IEEE 802.11 Wireless LAN 기술에 대해 “Wi-Fi Alliance 에서 인증”을 받은 제품을 Wi-Fi 라고 지칭한다.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refers to a standard technology developed in the 11th Working Group of the LAN / MAN Standards Committee (IEEE 802) in an organization called International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Generally, the wireless LAN technology developed in the IEEE 802.11 working group is referred to as Wi-Fi, and the WLAN is a trademark of IEEE 802.11. However, to be more precise, Wi-Fi is a product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and refers to a product that is "certified by the Wi-Fi Alliance" for IEEE 802.11 wireless LAN technology as Wi-Fi.

WLAN의 장점은 사무실, 가정 등의 옥내환경이나 빌딩주변, 학교캠퍼스 등의 옥외 환경에서 LAN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은 장비로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집 혹은 사무실에서, 이동 전화 혹은 컴퓨터 등의 장치로 케이블 없이, 인터넷과 연결된 컨텐츠를 보거나 통신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1층 사무실에서 2층 사무실로 이동 할 때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사용하던 컨텐츠나 통신을 계속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간단히 말해서, 전파를 매개로 사용하는 WLAN 의 특성상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에 대한 자유로움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고, 빈번하게 이동이 많은 사무실 공간과 같은 특성을 지닌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The advantage of the WLAN is that it provides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data can be exchanged with other devices that are not connected by a LAN cable in an indoor environment such as an office or a home, a building, or an outdoor environment such as a school campus. In a home or office,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computer can be used to view content connected to the Internet without a cable, or to use it for communication. Of course, even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floor office to the second floor office, the contents and communication used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can be continuously serviced. In shor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LAN using radio wav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eedom of movement within a certain distance is ensured, and it is usefully used in a place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a frequently moving office space.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Since the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a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of WLAN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80, many standardization works have been performed.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Since the initial WLAN technology supports a speed of 1 ~ 2Mbps through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and infrared communication using 2.4GHz frequency through IEEE 802.11, recently it has applied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peed can be supported. In IEEE 802.11, IEEE 802.11 has been improved to improve QoS (Quality of Service), access point protocol compatibility, security enhancement, radio resource measurement, wireless access vehicle environment for vehicle environment, , Fast Roaming, Mesh Network, 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Management are being put into practical use or development.

2.4GHz 대역은 1997년 802.11 표준으로 처음으로 확정된 이후 지금껏 주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모든 나라에서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라이센스가 필요치 않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13번 채널을 사용하고, 허용된 대역폭은 2400~2483.5GHz로 총 83.5MHz가 가능하다. 그러나 2.4GHz 대역은 와이파이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전자레인지 등 산업과학, 의료용, 가전 등 다양한 기기들이 같은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이 빈번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와이파이는 인접 채널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채널을 20MHz 대역이 겹치지 않는 1, 6, 11번 채널 뿐이다. 이 대역에서는 802.11b/g/n 무선랜이 운영되며 서로 다른 모듈레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The 2.4 GHz band is the frequency band that we have used since it was first established as the 802.11 standard in 1997, and it is an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band that is available in all countries and does not require a license. In Korea, channels 1 ~ 13 are used, and the allowed bandwidth is 2400 ~ 2483.5GHz, which is 83.5MHz in total. 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e 2.4GHz band is that frequent interference is caused by various devices such as Bluetooth, microwave, and industrial science, medical, and household appliances, as well as Wi-Fi. Therefore, Wi-Fi is only available on channels 1, 6, and 11 that do not overlap in the 20 MHz band. In this band, 802.11b / g / n wireless LAN is operated and uses different modulation.

이러한 2.4GHz 대역의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802.11a/n에 의해 운용되는 5GHz 대역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802.11n 표준이 완료되며 간섭이 없는 5GHz에 대한 사용이 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2.4 GHz band, the 5 GHz band currently being operated by 802.11a / n is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the 802.11n standard has been completed and the use of interference free 5 GHz has begun to expand around the enterprise.

한편, 무선랜 벤더들은 이미 2000년대 중반부터 2.4GHz와 5GHz를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 단말(이하에서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라고도 한다)들을 출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2.4GHz 및 5GHz 대역의 주파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Meanwhile, wireless LAN vendors have introduced wireless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al-band wireless terminals") that simultaneously support 2.4GHz and 5GHz since the mid-2000s. As a result, network operators have found that 2.4GHz and 5GHz Frequency management became important.

현재 이와 같은 무선 주파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밴드 스티어링(Band Steering)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비선호 주파수(예를 들어 2.5GHz) 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간 간섭이나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무선 단말에 대해 선호 주파수(예를 들어 5GHz) 대역으로 먼저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Currently, a typical technique used for such a radio frequency management is band steering, which uses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for example, 2.5 GHz) more efficiently to reduce inter-user interference and radio frequency spectru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a connection is firstly guided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for example, 5 GHz) for the wireless terminal.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802.11표준에서는 무선 단말에 대해 특정 대역의 무선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밴드 스티어링 방법에 대해서 현재까지 어떠한 메커니즘도 정의되지 않고 있다. However, in the 802.11 standard as described above, no mechanism is currently defined for the band-steering method for connecting a wireless signal of a specific band to a wireless terminal.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의 경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시 비선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된 요청 신호는 무시하거나, 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시간 보다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신호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일정 시간 지연시켜 응답함으로써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Further, in the band-ste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requesting connection from a wireless terminal, a request signal transmitted using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ignored, or a request signal of a non- A method of inducing a connection to a preferred frequency band by 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delay is consider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부하나 접속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를 단순히 무시하거나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해 일률적으로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듀얼 밴드 무선 단말에 대해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유도를 도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simply ignored 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uniformly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admittance or connection environment.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designing the connection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듀얼 밴드 무선 단말에 대한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which can more effectively connect a preferred frequency band to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밴드 스티어링 방법은,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보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nd-steering method for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wireless terminal to transmit a signal using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it i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an acc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a delay time than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Wherein the waiting time is variably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channel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여기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longer than the waiting time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Can be set.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없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set such that when there is no channel margi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re is a channel margi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set to be shorter than when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both of the second frequency bands.

또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는 해당 채널의 Channel Utilization Field의 값이 미리 정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value of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exceeds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밴드 스티어링 방법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강도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더욱 길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Can be set.

또한,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벤더 특정 지시자(vendor specific indicator)의 값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value of a vendor specific indicator included in an access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장치는, 무선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접속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 식별부; 및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보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황을 식별하는 채널 상황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access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access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erminal,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verify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And a response to an acc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n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access request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A waiting time determiner configured to set a waiting time for delaying signal transmission to be longer; And a channel state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channel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such that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variably set .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의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유도를 도모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radio frequency resources by inducing the connection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of the dual-band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WLA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황에 따라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 강도에 따라 대기 시간을 재선정하는 방법을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밴드 스티어링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LAN (WLAN) system to which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ariably setting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an access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status of a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re-determining a waiting time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adio access apparatus that performs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유닛"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unit,"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 / RTI >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WLA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LAN (WLAN) system to which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WLAN 시스템은 무선 단말(11), 네트워크(13)에 대한 AP로서 동작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12) 및 일반적으로 AP들의 유선망인 네트워크(13)를 포함한다. A WLA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s shown in Figure 1,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1, a wireless access device 12 acting as an AP for the network 13, and a network 13, .

상기 무선 단말(11)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서의 제 1 주파수 대역(21) 및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서의 제 2 주파수 대역(22) 모두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에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11)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과 같은 여하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11 includes wireless interfaces for using both the first frequency band 21 as a preferred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22 as a non-preferred frequency band,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And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 The wireless terminal 11 may include any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a PDA, and the like.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11)을 상기 네트워크(13)에 연결시키기 위한 AP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includes a processor and the like for applying the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later, and is used as an AP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11 to the network 13 It plays a role.

상기 네트워크(13)는 일반적으로 무선랜 환경에서 AP가 접속되는 유선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network 13 includes a wired network to which an AP is connected in a wireless LAN environ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13 will be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티어링 방법은 먼저 단계 S21에서 무선 액세스 장치(12)가 무선 단말(11)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접속 요청 신호는 무선단말(11)로부터 무선 액세스 장치(12)로 전송되는 probe request 신호, authentication request 신호, association request 신호 등의 802.11 표준에 규정된 임의의 요청 신호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by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wireless terminal 11 in step S21.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ny request signal specified in the 802.11 standard such as a probe request signal,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 association request signal, etc.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1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

다음 단계 S22에서 무선 액세스 장치(12)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단말(11)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한다.  In step S22,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confirm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11 that transmitt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u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상기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는,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장치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13)로의 접속 이력(history)을 참조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이력은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13)에 연결된 다른 제어 장치(미도시)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Whether or not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n be determined based on a connection histor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network 13 via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or another wireless access device Can be judged by reference. Such connection history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of the radio access device 12 or another control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network 13 to control the radio access device.

또한,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의 경우인 경우 접속 요청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무선 단말(11)의 접속 요청 신호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전송되었는지의 감지하여 상기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since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or each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1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보다 바람직하게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알려주는 듀얼 밴드 지시자(dual-band indicator) 정보를 1비트 포함시킨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11)이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가 상기 지시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듀얼 밴드 지시자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11)이 무선 액세스 장치(12)로 전송하는 신호 프레임 내의 벤더 특정 필드(vender specific field)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 단말(11)은 상기 벤더 특정 필드에 1로, 그렇지 않은 경우 0을 포함된 접속 요청 신호를 무선 액세스 장치(12)에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11 transmits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one bit of dual-band indicato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The access device can confirm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by checking the indicator information. The dual band indicator information may for example be included in a vendor specific field in a signal frame that the wireless terminal 11 transmits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 In this case, if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the wireless terminal 11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1 to the vendor specific field, and otherwise,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는 단계 S22에서 상기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임을 확인한 경우, 접속 요청 신호가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3),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대기 시간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적으로 설정하게 된다(단계 S24). 단계 22에서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 아니라고 판단되거나 단계 S23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무선 액세스 장치(12)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지 아니하고 바로 해당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해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11)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장치(12)가 무선 단말(11)로 전송하는 응답 신호는 상기 무선 단말(11)의 접속 요청 신호의 종류에 따른 probe response 신호, authentication response 신호, association response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 request signal is a signal of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step S23) The waiting time f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variably set as described later (step S2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o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 that the wireless access terminal 12 is not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11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without separately setting the waiting time. Here,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access device 12 to the wireless terminal 11 may include a probe response signal, an authentication response signal, an associ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11 It will be self-evid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황에 따라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ariably setting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an access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status of a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설정 방법에 따르면, 도 2의 단계 S24에서 무선 단말(11)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고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함을 확인되면, 먼저 단계 S31에서 무선 액세스 장치(12)는 선호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선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 of FIG. 2 that the wireless terminal 11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and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n step S31, The access device 12 confirms the channel state of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nnel of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s available (step S32).

이후 상기 단계 S32에서 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면,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의 응답 지연 시간에 제 1 대기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무선 단말(11)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which is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 response delay time of the first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access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which is the non- And reflects the waiting time to transmit the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11 (step S35).

한편 상기 단계 S32에서 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면,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상태를 확인한다(단계 S33).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at is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the channel state is confirm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the non-preferred frequency band (step S33).

이후 단계 S34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에는 채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대기 시간보다 작은 제 2 대기 시간을,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의 응답 지연 시간에 반영하여 상기 무선 단말(11)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 second waiting time is shorter than the first waiting time,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11 (step S36).

한편, 단계 S34에서, 예를 들어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에도 채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대기 시간보다는 큰 제 3 대기 시간을, 비선호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의 응답 지연 시간에 반영하여 지연시킨 후 상기 무선 단말(11)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7). 여기서 제 1 대기 시간과 제 3 대기 시간은 제 2 대기 시간보다 크다는 조건만을 만족하면 동일한 값을 가져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 third waiting time larger than the second waiting time is allocated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terminal 11 (step S37) after delaying the response delay time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Here, the first waiting time and the third waiting time may have the same value if they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y are larger than the second waiting time.

선호 주파수 대역 또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채널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 판단은 예를 들어 BSS Load element의 Channel Utilization Field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BSS Load element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무선 액세스 장치인 AP가 무선 단말인 STA로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로서, 상기 IEEE 802.11 표준에 의하면 상기 BSS Load element는 현재의 station population, 트래픽 레벨 및 서비스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SS Load element에는 Length field, Station Count field, Channel Utilization field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중 Channel Utilization field는 채널 비지 타임(channel busy time)의 백분율(percentage)로 정의되며, 255로 정규화되어 표시되도록 규정되어 있다(정규화 값이 255인 경우가 가장 busy한 경우이다). Whether or not there is room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or the non-preferred frequency band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checking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BSS Load element.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the BSS Load element is a component included in a beacon frame signal transmitted by an AP serving as a wireless terminal to a STA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The BSS Load element includes a current station population, a traffic level And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level. Specifically, the BSS Load element may include a Length field, a Station Count field, and a Channel Utilization field.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is defined as a percentage of a channel busy time and is normalized to 255 (The case where the normalization value is 255 is the most busy cas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설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 상황이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는,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12)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Channel Uitlization filed를 체크하여 그 값이 예를 들어 50%와 같이 미리 정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channel condition used for setting the waiting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 can be determined by the radio access device 12 checking the channel allocation filed of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b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room in the channel if the value does not exceed the preset value, for example, 50%. If the value exceeds the preset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ne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대기 시간의 설정은, 선호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여유가 있을 때에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기 시간을 보다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 전송 시간을 보다 지연시켜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의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유도가 더 효과적으로 도모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및 제 3 대기 시간의 설정은, 선호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여유가 없을 경우에,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에 비해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 전송 시간을 상대적으로 덜 지연시킴으로써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연결을 보다 더 잘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etting of the first and second waiting time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aiting time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o be longer when the channel is available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The transmission time is further delayed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radio access device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In addition, the second and third wait time settings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nd when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non- To delay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sponse in the band relatively less, thereby leading to better connection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대기 시간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wait times as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using, for example,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 [Equation 1]

제 1 대기 시간 = 처리 시간*αFirst waiting time = processing time * [alpha]

제 2 대기 시간 = 처리시간*rand[0, α] Second waiting time = processing time * rand [0,?]

여기서 '처리시간"이란 무선 액세스 장치가 의도적인 응답 지연이 없는 경우 무선 단말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내부 프로세서 등에 의한 신호 처리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부터 무선 액세스 장치가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까지의 응답 지연 시간은 처리 시간과 대기 시간의 합이 될 것이다.
Here, the term " processing time "may mean the minimum time generally required for signal processing by an internal processor or the like in order to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a request signal from a wireless terminal when there is no intentional response delay. Therefore, the response delay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time when the wireless access device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will be the sum of the processing time and the waiting time.

상기 수학식 1 및 2에서, α는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면 그 디폴트 값을 예를 들어 2로 설정하고,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그 디폴트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만을 이용하여 무선 액세스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위의 수학식에 관계없이 처리 시간 후에 즉시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In the equations (1) and (2),? Sets the default value to 2, for example, if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band wireless terminal, and sets the default value to 1 i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a dual-band wireless terminal. That is, when the wireless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not a dual-band wireless terminal, the access request is requested using only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refore, a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ing time regardless of the above- As shown in FIG.

도 3과 관련하여 상기 수학식들의 적용 방법을 이하에 설명하면, 우선 단계 S31 및 S32에서 선호 주파수 대역의 BSS Load element의 Channel Utilization Field를 확인하여, 그 값이 예를 들어 50%와 같이 미리 정한 제 1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고, 수학식 1에 의한 대기 시간을,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대기 시간으로 결정한다.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applying the above equations will be described. First, in steps S31 and S32,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BSS Load element of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s checked. If the value is equal to 50% And determines a waiting time according to Equation (1) as a first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또한, 단계 S31 및 S32에서 선호 주파수 대역의 Channel Utilization Field 값이 미리 정한 제 1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호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후 단계 S33 및 단계 S34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BSS Load element의 Channel Utilization Field를 확인한다.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Channel Utilization Field 값이 예를 들어 50%와 같이 미리 정한 제 2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아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면, 수학식 2에 의한 대기 시간을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 2 대기 시간으로 결정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s S31 and S32 that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value of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first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Then, in steps S33 and S34, Check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BSS Load ele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value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does not exceed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50%, and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 waiting time according to Equation (2) And determines a second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한편 단계 S34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BSS Load element의 Channel Utilization Field의 값이 상기 제 2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도 채널에 여유가 없는 경우이므로,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대기 시간을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 3 대기 시간으로 결정한다(즉 이 경우에는 제 1 대기 시간과 제 3 대기 시간이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이다).
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BSS Load element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exceeds the second set value in step S34, there is no room for the channel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refore, (I.e., the first waiting time and the third waiting time have the same value) in order to delay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request signal.

이와 같이 비선호 주파수 대역 및 선호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채널에 여유가 없을 경우보다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는 채널 여유가 존재하고 선호 주파수 대역에는 채널 여유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상대적으로 덜 지연시키는 이유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 및 선호 주파수 대역이 모두 채널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 및 선호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황이 비슷한 것으로 추정하여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을 더 잘 유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nd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nd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latively The reason for the delay is that if both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nd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can not afford the channel,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conditions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nd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re similar and the connection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s better guided to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수신신호 강도에 따라 대기 시간을 재선정하는 방법을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re-determining a waiting time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non-favorabl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단계 S35, 단계 S36 및 단계 S37에서 대기 시간들이 결정된 이후, 단계 S41에서는 무선 단말로부터의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수신신호 강도를 확인하고,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미리 결정된 대기 시간을 보다 증가시켜 증가된 대기 시간을 새로운 대기 시간으로 결정한다(단계 S42 및 단계 S43). 반면,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미리 결정된 대기 시간을 그대로 유지시킨다(단계 S42 및 S44). 이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신신호 세기가 크면 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상태 역시 좋을 것으로 예상될 것이므로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을 더욱 지연시킴으로써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의 연결을 보다 더 도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4, after the waiting times are determined in steps S35, S36 and S37 of FIG. 3, in step S41,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checked, (Step S42 and step S43), the increased waiting time is determined as a new waiting time by increas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more than the preset waiting time. On the other hand, if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not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maintained (steps S42 and S44). This is because, if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large, it is expected that the channel condition in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s also good, so that the response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further delayed so as to further improve the connection to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to be.

단계 S43 및 단계 S44의 대기 시간 재선정에 대한 과정을, 상술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수학식들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reselecting the wait time in steps S43 and S4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mathematical formulas.

단계 S43은 상기 수학식 1 및 2에 의해 결정된 α의 디폴트 값에, 현재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는 예를 들어 α를 2만큼 증가시킨 대기 시간을 새로운 대기 시간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4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에서의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문턱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α를 증감시키지 않고 이전에 결정된 대기 시간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In step S43,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in the current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value of alpha by 2 by the default value of [alpha] And the waiting time is determined as a new waiting time. On the other hand, step S44 may correspond to a case where the previously determined waiting time is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or decreasing?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is not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특정 수학식이나 특정 수학식 내의 각종 변수(α 크기나 α의 증감의 크기)에 대해 특정한 값을 적용하였으나, 다른 수학식 및 다른 각종 변수 또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exemplary embodiment, although specific values are applied to various variables (magnitude of increase or decrease of alpha size or alpha) in a specific mathematical expression or a specific mathematical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apply other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various other variables Bu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또한, 이제까지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선호 주파수 대역이 5GHz 주파수 대역이고 비선호 주파수 대역이 2.4.GHz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즉, 5GHz 주파수 대역의 경우에는 2.4GHz 주파수 대역보다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통신 거리가 중요한 응용례에서는 2.4 GHz 주파수 대역이 선호 주파수 대역이 되고 5GHz 주파수 대역이 비선호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far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is the 5 GHz frequency band and the non-preferred frequency band is the 2.4 GHz frequency band,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That is, in the 5 GHz frequency b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2.4 GHz frequency band. For example, in the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important, the 2.4 GHz frequency band becomes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nd the 5 GHz frequency band becomes the n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밴드 스티어링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adio access apparatus that performs a band ste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장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부(52),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1)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장치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 식별부(54), 대기 시간 결정부(55), 주파수 대역 식별부(56), 채널 상황 판단부(57) 및 수신 강도 식별부(5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 the radio access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unit 52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 network interface unit 51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 control unit 53 for controlling all the components of the radio access device. The radio acces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54, a waiting time determination unit 55, a frequency band identification unit 56, a channel status determination unit 57, Part 58 and the like.

상기 듀얼 밴드 무선 단말 식별부(54)는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능력이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장치로의 접속 이력 또는 제 1 주파주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접속 요청 신호가 전송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임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를 기초로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지시자가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것은 상기 무선 액세스 장치를 운영하는 네트워크 운영자와 상기 무선 단말과의 내부 규약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The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54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u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ther or not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a connection history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wireless access apparatus or another wireless access apparatus or a connection history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both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Or may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indicator is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an be determined by an internal protocol of the network operator operating the wireless access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55)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가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인 경우 그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기까지의 시간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대기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 주파수 대역과 비선호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황 및/또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the non-favorable frequency band, the waiting time determination unit 55 intentionally delays the time until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waiting time is determined. The waiting time can be vari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nel conditions of the preferred frequency band and the non-preferred frequency band and / or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s described above.

상기 주파수 대역 식별부(56)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가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서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지 또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The frequency band identification unit 56 identifies whethe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as a preferred frequency band or a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as a non-preferred frequency band.

상기 채널 상황 판단부(57)는 상기 대기 시간을 가변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가 전송된 제 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상황을 판단한다. 상기 채널 상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BSS Load element의 Channel Utilization Field를 확인하여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된다. The channel status determination unit 57 determines channel conditions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which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variably determine the waiting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hannel status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channel margin exist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for example, by checking the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BSS Load element.

상기 수신 강도 식별부(58)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시간을 더욱 가변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전송한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ception strength identification unit 58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reception signal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rminal in order to more variably determine the waiting tim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상기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시스템, 방법 및 양태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코드(즉, 명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코드는, 플로피 디스켓, CD-ROM, CD-RW,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은 자기, 전기, 또는 광 저장 매체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머신에 로딩되어 에이 의해 실행되는 경우, 머신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또는 케이블과 같은 몇몇 전송 매체 상으로, 광섬유를 통해,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전송을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머신에 수신 및 로딩되어 이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머신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가 된다. 범용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그램 코드는 특정 논리 회로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고유 장치를 제공하도록 프로세서와 결합한다.
A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regoing, all or part of various systems, method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i.e., instructions). The program code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but not limited to a floppy diskette, CD-ROM, CD-RW,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or any other machine- , Electrical, or optical storage medium, and when the program code is loaded into and executed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or a server, the machine becomes an apparatus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that is transmitted over some transmission medium, such as wire or cable, through fiber optics, over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n intranet, or via any other form of transmission, When the code is received and loaded into and executed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the machine becomes an apparatus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plemented on a general purpose processor, the program code combines with the processor to provide a unique device that operates similarly to a particular logic circuit.

54: 듀얼 밴드 무선 단말 식별부
55: 대기 시간 결정부
56: 주파수 대역 식별부
57: 채널 상황 식별부
58: 수신 강도 식별부
54: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55: waiting time determining section
56: Frequency band identification unit
57: Channel status identification unit
58: reception strength identification unit

Claims (12)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보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u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for an acc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n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o be longer,
Wherein the waiting time is variably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channel conditio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case where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a channel margi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Wherein the band stee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없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horter than the waiting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Wherein the frequency band is set to be shorter than a case where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both frequency bands.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는 해당 채널의 Channel Utilization Field의 값이 미리 정한 설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nel margi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value of a channel utilization field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강도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크면 더욱 길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t to be longer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Steer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의 여부는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벤더 특정 지시자(vendor specific indicator)의 값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스티어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s based on a value of a vendor specific indicator included in an access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무선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접속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듀얼 밴드 무선 단말 식별부; 및
상기 무선 단말이 듀얼 밴드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보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황을 식별하는 채널 상황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for verify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u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A response signal for an acc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n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access request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 dual band wireless terminal, A waiting time determiner configured to set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to be longer; And
And a channel state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channel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such that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variably set The wireless access device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접속 요청신호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인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주파수 대역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requency band ident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or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식별하는 수신 강도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reception strength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reception signal strength of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aiting tim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waiting time for delaying a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o a time when a channel margi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s more than that when there is no channel margi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radio access device is set to be lo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한 대기 시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없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채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 채널 여유가 없는 경우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iting tim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waiting time for delaying transmission of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 channel margi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s not available and the channel margi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vailable Is set to be shorter than a case where there is no channel margin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수신 강도를 식별하는 수신 신호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received sig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KR20130124514A 2013-10-18 2013-10-18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KR201500451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514A KR20150045165A (en) 2013-10-18 2013-10-18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514A KR20150045165A (en) 2013-10-18 2013-10-18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65A true KR20150045165A (en) 2015-04-28

Family

ID=5303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514A KR20150045165A (en) 2013-10-18 2013-10-18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1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44A (en)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selecting an operation frequency of an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52321A (en)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44A (en)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selecting an operation frequency of an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52321A (en)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7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amping cell
CN112087788B (en)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TWI727018B (en) Method for d2d communication and d2d device
WO2017195471A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TWI461075B (en) Methods of optimizing scanning parameters for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wireless band
EP3108694B1 (en) Traffic steering between wlan and cellular networks
US1049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JP6912458B2 (en) Radio unit (RU) and interference wave power reporting method
US20190342893A1 (en)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US9743361B2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interference and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interfering channels
CN110177384B (en) Access method, device, wireless access poi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00050876A (en) Reduced power consumption by obtaining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patterns in advance via additional signaling
CN113556824A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US20240057127A1 (en) Pscch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50045165A (en) Band Steering Method and Wireless Access Apparatus
WO2020070840A1 (en) User device
WO2020054041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2020150418A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9036873A (en) base station
CN106535244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3015127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7199358A1 (en) Wireless relay device, wireless contro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32275B2 (en) Intelligent wireless channel selection
KR1017901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icense-assisted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7911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esting of inter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