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463A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Housing for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463A
KR20150042463A KR20130121135A KR20130121135A KR20150042463A KR 20150042463 A KR20150042463 A KR 20150042463A KR 20130121135 A KR20130121135 A KR 20130121135A KR 20130121135 A KR20130121135 A KR 20130121135A KR 20150042463 A KR20150042463 A KR 2015004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side plate
support
extend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7395B1 (en
Inventor
남긍현
안명준
장상민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1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395B1/en
Publication of KR2015004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otecting the battery module against a vibration or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which receives the battery module which is combined to electrically conduct one or more battery cells.

Description

전지모듈 하우징{Housing for battery module}[0001] Housing for battery module [0002]

본 발명은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지모듈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housing capable of protecting a battery module from vibrations or shocks externally applied from the inside of a housing accommodating therein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housing.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how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anode / separator / cathode structure is formed. Typically, the jelly roll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ong sheet type are woun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cut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stacked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redetermined unit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tacked A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tacked bi-cells or full cells are wound.

이러한 이차전지 중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셀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전지팩으로 제조된다. 특히, 파우치형 전지셀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약한 기계적 강성을 보완하고 PCM 등의 소자를 탑재할 수 있도록, 대다수의 경우 팩 케이스에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mong these secondary batteries, the prismatic or pouch type battery cells are built in a pack case and are made of a battery pack. Particularly,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has a structure built in the pack case to compensate for the weak mechanical stiffness of the laminate sheet and to mount an element such as PCM.

그러한 전지팩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팩 케이스는 체결은 용이하지만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팩 케이스의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립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특허출원 공개 제2006-65385호에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전극군과 전해액이 밀봉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장방형의 코어 팩, 상기 코어 팩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코어팩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 위에 결합되어 코어 팩을 밀봉하는 상부 덮개로 구성된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The pack case gener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such a battery pack has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fasten but is not easy to separate, or is firmly assembled using an adhesiv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ack case. For example, conventionall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65385 discloses a battery pack having an electrode assembly of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 rectangular core pack in which an electrolyte is sealed in a sealed state, and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re pack And a top cover coupled to the case main body and the case main body accommodating the core pack to seal the core pack.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지팩은 얇은 두께를 갖는 케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전지셀로 이루어진 전지모듈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지모듈의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battery cells as a case having a small thickness and a protection circuit for the battery module in the case.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취약하여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case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as described above is vulnerable to vibrations or shocks externally applied thereto, resulting in frequent failur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battery cell absorbs and mitigates vibrations and shock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a housing housing the battery module,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protec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회로기판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 및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바닥부의 상면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측에서 체결되어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module in which one or mor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ircuit board; And a battery module housing which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inside the battery module housing,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cludes a side portion that forms an upright wall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portion, a cover that is tighten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to seal the inner space,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inside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절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절연체를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insulator that insulates the battery module from the in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별로 직립형성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means formed upright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portion at both si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기 전지모듈의 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양측과 회로기판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sid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ch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elastic body fixed at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to elastically support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호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면과 제2내측면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body may include a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inner side surface that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측부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배면과 하우징의 내측을 지향하는 전면을 갖고 직립되는 탄성본체;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측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단; 및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astic body includes: an elastic body having a rear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and a front surface orient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 elastic supporting end protru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elastically support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a substrate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insert an end of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직립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에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 상기 바닥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블럭; 및 연결탭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탭삽입홈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comprises a support body erected at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A first connection block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rim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 second connecting block extending along the oth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ab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connection tab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블럭은 상기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중 어느 하나가 밀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끝단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제1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block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to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is closely contacted, an extended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And a first spaced groove formed as a spaced space between the extended surfac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부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외면과 단을 이루는 안착단을 더 포함한다.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means further includes a seating end which forms an end face with the outer face so that both ends of the side face are se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블럭은 상기 지지본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면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면과,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이격홈과, 상기 제2이격홈과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절개홈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includes a second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 the other side and formed of an inner surface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utout groove that is cu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d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전원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단자구를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 power terminal through which a power source having a different polarity is input and output, and the side portion includes a terminal port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power terminal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외면에서 상기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단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includes a polarity display terminal for indicat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ource terminal on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원단자를 탄성력으로 고정시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시키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럭은 상기 측판의 내면에서 밀착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과 하측 수평면중에서 어느 하나가 타 수평면과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lock for fixing the power terminal on the inner surface by elastic force and exposing the power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hole, wherein the fastening block includes a vertical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 front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urface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both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horizontal surface to form an opening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직립되는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측판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의 양측 끝단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includes first to fourth side plates erected along the rim of the bottom portion, the first side plate being fixed at mutually opposed positions of the first to fourth side plates, And both side ends of the third side plate are seated on the seating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측판과 제4측판은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내면에 밀착되는 연장절곡편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ourth side plate are bent inwar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ourth side plate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rim of the bottom por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plate is bonded to a first insulator for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on the inn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insulator for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is adhered on the top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는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고정된 벽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절연시키는 제3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insulator for inserting an electrical signal is adhered on a wall surface fixed at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with one side where the circuit board is located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판형상으로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 a plate shape; A pressure plate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to press and fix the battery module; And one or more support rods exten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support the pressure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홈을 구비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 receiving plate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by an inwardly facing groove in the cover body; And a handle rotatably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성을 구비함에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mitigate and absorb vibrations and impacts externally a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protected from vibration or impact, And the lifetime is prolonged.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절연체를 구비함에 따라서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도 및 수명연장의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ulat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전지모듈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측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1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2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제2탄성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nd a housing in a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sid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body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elastic body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the second elastic body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전지모듈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nd a housing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은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의 전지셀(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20)을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지모듈(20)은 편평한 판형으로서 제작되는 바닥부(300)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200)와,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에서 각각 상방으로 직립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200)와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부(400)와, 상기 지지부(400)와 측부(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공간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0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60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500)를 포함한다. 1 and 3,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module 2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battery cell 21. For this, the battery module 20 includes a bottom part 300 formed as a flat plate, a side part 200 forming a wall surface that is uprigh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art 300, A cover 400 that hermetically seals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upport parts 400 and the side parts 200, An elastic support part 60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20 inside the housing 10 and an insulation part 500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battery module 20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전지모듈(20)은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21)과, 상기 전지셀(21)에서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지탭(25)이 돌출 및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통전시키는 회로기판(22)과, 상기 회로기판(22)의 일면에서 보호회로에서 상기 전지셀(21)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23)와, 상기 회로기판(2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측부(200)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단자(24)를 포함한다. The battery module 2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21 connec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attery tab 25 through which power is input and output from the battery cell 21 to be protrud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or 23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battery cell 21 in a protection circuit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22 and a connector 23 projecting from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2, And one or more power terminals 24 which are fastened to the base 200.

상기 회로기판(22)은 상기 전지셀(21)의 전지탭(25)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회로패턴과,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22)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은 상기 커넥터(23)에 연결된다. The circuit board 22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not numbered) through which the battery tab 25 of the battery cell 21 protrude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ough- And a power supply terminal 24 through which a power source of different polarity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is input and output. Here, the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3.

상기 전원단자(24)는 상기 회로기판(22)에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도록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후술되는 제1측판(210)에 형성되는 체결블럭(2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측판(210)의 단자구(214)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다. The power terminal 24 is inserted into a fastening block 212 formed on a first side plat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ower terminals 24 protrudes from the circuit board 22 so as to input /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port 214 of the terminal block 210.

상기 바닥부(300)는 상면이 편평한 바닥판으로서 모서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나사공(310~33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310~330)은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의 절곡편(211, 231)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되는 제1나사공(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20)에 형성되는 탭삽입홈(413, 423)(도 5 및 도 8참조)에 연통되는 제2나사공(320)과,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의 만곡편(221a, 241a)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일치되는 제3나사공(330)을 포함한다. The bottom portion 300 is a flat bottom plate having one or more screw holes 310 to 330 formed along corners. The screw holes 310 to 330 include a first screw hole 310 that conforms 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bending pieces 211 and 231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 second screw hole 320 communicating with the tab insertion grooves 413 and 423 (see FIGS. 5 and 8) 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ans 410 to 420,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And a third screw hole 330 which coincides with a screw hole formed in th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of the side plate 240. [

상기 커버(100)는 편평한 상면과 배면을 갖는 상부판(160)과, 상기 상부판(160)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110)와, 내향된 홈으로서 상기 손잡이(11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및 수용하는 수용홈(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수용판(120)과,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나사공(130)과, 반대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140)과, 상기 가압판(14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150)을 포함한다. The cover 100 includes a top plate 160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a rear surface, a handle 110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in a vertical direction, (Not shown) for fixing and accommodating the housing 10 in a rotatable manner, a screw hole 130 in which at least one is formed along the rim, and the housing 10 A pressure plate 140 protruding inwardly of the battery module 20 to press and fix the battery module 20 and at least one support rod 150 supporting the pressure plate 140.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커버(100)의 수용판(120)에 형성된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및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10)를 잡고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버(100)의 상면에서 돌출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후에는 상기 손잡이(110)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판(120)의 수용홈에 안착시킨다. The handle 110 is fixed and seated in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receiving plate 120 of the cover 100 so as to be rotatable. Accordingly, the user grips the handle 110 and rotates the handle 110 upwar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00. After the user uses the handle 110, the handle 110 is rotated to be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120.

상기 수용판(120)은 상기 커버(100)의 상면에서 내향 되어 상기 손잡이(110)와 일치된 형상을 갖는 수용홈을 상기 커버(100)의 상부판(160)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10)는 양 끝단에서 상기 수용판(120)의 수용홈 내측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The receiving plate 120 supports a receiving groove having a shape that is inwardly dir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00 and coincident with the handle 110, on the upper plate 160 of the cover 100. Here, the handle 110 is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120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지지봉(150)은 상기 상부판(160)의 배면에서 하나 이상이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140)을 지지한다. At least one support rod 150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to support the pressure plate 140.

상기 가압판(140)은 상기 상부판(160)의 배면에서 상기 지지봉(1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일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140)은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20)의 일면을 가압하되, 상면에서는 회로기판(22)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보호회로가 설치됨도 가능하다. The pressure plate 1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150 at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plate 160 and is drawn into the housing 10 to press and fix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 Here, the pressure plate 140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circuit that presses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 on the back surface and connects wires extending from the circuit board 22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측부(200)는 상기 바닥부(300)의 상방에서 고정되어 전후좌우측에서 각각 벽면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측판(210~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The side part 200 includes first to fourth side plates 210 to 240 which are fixed above the bottom part 300 and form a wall surface at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은 상측과 하측 중앙에서 'ㄱ'자 형으로 절곡 되어 각각 나사공(211a)이 형성되는 결합편(211, 231)과, 상기 지지부(400)에 밀착되는 양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나사공(213)이 각각 형성된다.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re composed of engaging pieces 211 and 231 which are bent in a shape of an upper and a lower center to form a screw hole 211a, And one or more screw holes 213 are formed along both side edges thereof.

상기 결합편(211, 231)은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의 내측면에서 상단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면이 내측면에 밀착되고 수평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을 지향한다. 여기서 하측에 위치된 결합편(211, 231)은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되는 나사공(211a, 231a)을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결합편(211, 231)은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130)에 일치되는 나사공(211a, 231a) 형성되어 상기 커버(100)와 나사결합된다. The coupling pieces 211 and 231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have a vertic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rient to the inside. The coupling pieces 211 and 231 located at the lower side are formed with screw holes 211a and 231a which are aligned with the first screw hole 310 of the bottom part 300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300 And the engagement pieces 211 and 231 located on the upper side are formed with screw holes 211a and 231a which are aligned with the screw holes 130 of the cover 100 and are screwed to the cover 100. [

또한 상기 제1측판(210)은 상기 전원단자(24)를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블럭(212)과, 상기 전원단자(2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자구(214)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side plate 21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lock 212 for fixing the power terminal 24 by an elastic force and a terminal hole 214 for exposing the power terminal 24 to the outside.

상기 체결블럭(212)은 상기 전원단자(24)측을 지향하는 전면의 일부에서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는 개구(212c)와, 상기 제1측판(21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수직면(212d)과, 상기 수직면(212d)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면(212a, 212e)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면(212a, 212e)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212c)가 형성되는 전면(212b)을 포함한다. The fastening block 212 includes an opening 212c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24 is inserted i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power terminal 24 and a vertical surface 212c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210. [ And a horizontal surface 212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horizontal surfaces 212a and 212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212a and 212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212a and 212e, (212b).

이중에서 상기 전면(212b)은 상측의 수평면(212a) 또는 하측의 수평면(212e)에 이격 되도록 끝단이 연장되어 그 사이에 개구(212c)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212c)는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면, 상측의 수평면(212a) 또는 하측의 수평면(212e)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단자(24)를 고정시킨다. The front surface 212b is exten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212a or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212e to form an opening 212c therebetween. The opening 212c fixes the power supply terminal 2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212a or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212e when the power supply terminal 24 is inserted.

따라서 상기 개구(241c)는 상기 전원단자(24)가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24)를 탄성력으로 고정시킨다. Accordingly, the opening 241c is elastically fixed to the power terminal 24 as the power terminal 24 is inserted and expa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단자구(214)는 상기 제1측판(210)에서 개구 형성되어 상기 전원단자(24)가 상기 체결블럭(212)의 개구(212c)를 통하여 삽입되는 전원단자(24)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노출시킨다. 이는 상기 전지모듈(20)의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하거나 또는 상기 전지모듈(20)과 타 전지모듈(20)과의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이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자구(214)는 상기 제1측판(210)의 외면에서 극성표시단(214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표시단(214a)은 '+'와 '-'로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한다. The terminal opening 214 is formed in the first side plate 210 so that the power source terminal 24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212c of the coupling block 212 can be visually Exposure is possible. A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es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module 20 or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 20 to another battery module 20 or to supply power to the load. For this, the terminal opening 214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olarity indication terminal 214a at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210. The polarity indication terminal 214a indicates '+' and '-', and indicates the polarity of the power terminal exposed through the terminal port.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기에 상기 제4측판(240)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제1측판(210)에서 체결블럭(21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일치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회로기판(2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블럭(212)이 구비됨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3측판(230)은 상기 전원단자(24)가 상기 제3측판(230)을 향하도록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전원단자(24)와 연결되도록 체결블럭(212)이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변형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herein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Description of the four side plates 240 is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third side plate 230 is the same as the remaining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0 except for the fastening block 21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third side plate 230 may be provided with the fastening block 21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22.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are seated on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such that the power terminal 24 faces the third side plate 230 The connection block 212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4 when the power supply terminal 24 is formed. This corresponds to one of various variation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the design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에서 측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sid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직립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벽면을 형성하는 측판본체(223, 243)와 상기 측판본체(223, 243)에서 하나 이상이 절개형성되는 방열구(222, 242)와, 상측과 하측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300)와 커버(100)에 밀착되는 절곡단(221, 241)과, 양 끝단에서 하우징(10)의 절곡 및 수평으로 연장하는 절곡연장편(224)을 포함한다. 4 and 5,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are mounted on the side plate bodies 223 and 243, which form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side plate bodies 223, 243 which are bent horizontal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300 and the cover 100, And a bending elongate piece 224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ousing 10 to bend and horizontally extend.

상기 절곡단(221, 241)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그 중심부에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만곡편(221a, 241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상단에 형성된 절곡단(221, 241)은 상면에서 상기 커버(100)의 배면측 테두리가 안착되고,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단(221, 241)은 배면이 상기 바닥부(300)의 제3나사공(330)이 형성되는 상면에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단(221, 241)의 만곡편(221a, 241a)은 그 중심부에 상기 커버(1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하단의 만곡편(221a, 241a)은 상기 바닥부(300)의 나사공에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The bent ends 221 and 241 project inward and includ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screw holes coinciding with the screw holes of the cover 100. [ The folding ends 221 and 241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 bodies 223 and 243 have a rear edge of the cover 10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bent edges formed on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 bodies 223 and 243, The first and second screw holes 221 and 241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00 where the third screw hole 330 is formed. Th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of the bent ends 221 and 241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 main bodies 223 and 243 are formed with screw holes in the center of th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in correspondence with the screw holes of the cover 100, Th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of the bottom part 300 are formed with screw holes coinciding with the screw holes.

상기 방열구(222)는 상기 측판본체(223, 243)에서 하나 이상이 절개형성되어 내측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내측으로 유입시켜 내측의 온도를 낮춘다.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holes 222 are formed in the side plate bodies 223 and 243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r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to lower the inside temperature.

상기 절곡연장편(224)은 상기 측판본체(223, 243)의 양 끝단에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절곡된 이후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연장편(224)은 끝단에서 절곡됨에 따라서 상기 절곡단(221, 241)의 끝단과 이격되는 이격공간(225)을 갖는다. The bending extension piece 224 is bent at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10 at both ends of the side plate main bodies 223 and 243 and horizontally ex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400. The bent extension piece 224 has a spacing space 225 that is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bent ends 221 and 241 as it is bent at an end.

즉,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양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연장편(224)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40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That is,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have bending elongated pieces 224 which are bent at both ends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400.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형상으로서 고정되어 상기 제1내지 제4측판(210~240)을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00)는 일측에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1지지수단(410)과,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의 끝단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2지지수단(420)과, 상기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에 위치되는 제3지지수단(430)과, 상기 제4측판(240)과 제2측판(220) 사이에 위치되는 제4지지수단(440)을 포함한다.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s 400 is fixed to the bottom portion 300 in an upright shape at an edge thereof to support the first to fourth side plates 210 to 240. That is, the support unit 400 includes a first support unit 410 positioned at a corner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at one side, and a second support unit 410 positioned at a corner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20. [ (430)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and a second supporting means (420) positioned at an edge between the third side plate And fourth supporting means 440 positioned between the side plate 24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

여기서 상기 제1측판(210)과 제3측판(230)은 양 끝단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면을 이루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40)의 안착단(415, 도 8참조)에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연장편(224)이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re seated on the seating end 415 (see FIG. 8)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means 440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extend vertically . The bending extension pieces 2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are tightly fix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ans 410 to 440.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기에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2지지수단(4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means 410 to 44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supporting means 420 shown in FIGS. 4 and 5. FIG.

상기 제2지지수단(420)은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의 테두리를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지지본체(424)와, 상기 지지본체(424)에서 상기 바닥부(300)의 양측 테두리로 연장되어 각각 직립 형성되어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을 지지하는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 상기 지지본체(424)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탭 또는 나사(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상기 제1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을 바닥부(300)에 고정시키는 탭삽입홈(423)과, 상기 제1연결블럭(421)과 상기 지지본체(424) 사이에서 단을 이루어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의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단(415)을 포함한다. The second support means 420 includes a support body 424 exten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300 and a support body 422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424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300 A first connecting block 421 and a second connecting block 422 extending in both sides and extending upright to support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Not show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tab insertion grooves 423 (423) to fix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ans 410 to 440 to the bottom portion 300 And a seating end 415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block 421 and the support main body 424 and on which the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are seated.

상기 지지본체(424)는 상기 바닥부(300)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300)에서 직립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본체(424)는 바닥면(42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426)은 상기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The support body 424 extends in both side edges around the edge of the bottom part 300 and is fixed upright in the bottom part 300. The support body 424 has a bottom surface 426 and the bottom surface 426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irst connection block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즉, 상기 지지본체(424)와 제1연결블럭(421) 및 제2연결블럭(422)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support body 424, the first connection block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are formed upright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제1연결블럭(421)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지지부(600)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421a), 상기 제1지지면(421a)의 양 끝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연장면(421c)과, 상기 연장면(421c)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갖는 제1이격홈(421d)을 포함한다. The first connection block 421 includes a first support surface 421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424 and protruding inwardly of the housing 10 to support the elastic support 600, 1 includes an extended surface 421c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421a and forming an upright wall surface and a first spaced groove 421d having a space spaced between the extended surface 421c .

상기 연장면(421c)은 상기 제1이격홈(421d)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형성되는 직립된 벽면으로서 상기 지지면(421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면(421c)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일측의 벽면과, 상기 제1이격홈(42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 벽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1지지면(421a)에서 연장되는 타측 벽면으로 이루어진다. The extended surface 421c is an upright wall sur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rst spacing groove 421d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421a. The extended surface 421c has a wall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upport body 424 and a first support surface 421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421b with the first gap 421b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상기 제1이격홈(421b)은 상기 연장면(421c)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서 양측의 연장면(421c)에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 및 완화시킨다. 즉, 상기 제1이격홈(421b)은 상기 커버(100)가 상측을 밀폐하고, 외측에서 제1측판(210) 및/또는 제3측판(230)의 양 끝단이 상기 안착단(415)에 안착되면서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격홈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격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first spacing grooves 421b absorb and reliev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xtending surfaces 421c on both sides as spaced spaces between the extending surfaces 421c. That is, the first spacing groove 421b closes the upper side of the cover 100, and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 or the third side plate 230 are positioned at the seating end 415 It is seated while being seated. Therefore, the first spacing groove can be utilized as a spaced space capable of absorbing external impact.

상기 제2연결블럭(422)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벽면으로서 상기 제2측판(220)의 연장절곡편(224)이 밀착되는 제2지지면(422a)과, 상기 제2지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이격홈(422b)과,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일면에 상기 제2이격홈(422b)에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홈(422c)을 포함한다.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is a wall surfac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ody 424 and protruding inwardly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bending piece 224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has a support surface 422a, a second spacing groove 422b penetrating the second suppor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groove 422b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ing groove 422b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And an incision groove 422c inci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지지면(422a)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타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부(300)의 테두리측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면(422a)은 상기 제2측판(2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장절곡편(224)이 밀착되도록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support surface 422a is formed as a wall surface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ody 424 and extends toward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300. [ The second support surface 422a is formed as an upright wall surface so that the extension bending piece 224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is closely contacted.

상기 제2이격홈(422b)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2지지면(422a)의 양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 second spacing grooves 422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block 422 and can contract when the impact is applie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422a to absorb the impact.

상기 절개홈(422c)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일면에서 절개되어 상기 제2이격홈(422b)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개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422c)은 상기 제2이격홈(422b)에 연통되도록 절개됨에 따라서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지지면 양측에서 힘이 가해지면 절개된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축되어 충격을 완화시킨다. The incision groove 422c is cut a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and is cut so that the second spacing groove 422b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orce is applie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as the incision groove 422c is cut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ing groove 422b, the incision gap narrows and contracts to relieve the impact, .

따라서 상기 절개홈(422c)과 제2이격홈(422b)은 상기 제2연결블럭(422)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힘이나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중간의 이격된 공간에 의하여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이격홈(421b) 역시 상기 제1연결블럭(421)을 양측으로 분할시킴으로서 제1연결블럭(421)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a force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cutout groove 422c and the second spacing groove 422b from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22, it is possible to mitigate shock and vibration by the intermediate spaced space have. In addition, the first separating groove 421b can divide the first connecting block 421 on both sides, thereby alleviating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ng block 421 from the outside or inside.

상기 탭삽입홈(423)은 상기 지지본체(424)의 내측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구(423a)를 통하여 내측이 노출된다. 상기 탭삽입홈(423)은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421)과 제2연결블럭(422) 사이에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탭삽입홈(423)을 통하여 삽입되는 연결탭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은 상기 바닥면(426)의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상기 바닥부(300)의 제2나사공(320)에 연통된다. The tab insertion groove 42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main body 424 and the inside is exposed through a cutout 423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The tab inserting groove 423 is formed as an inward groov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lock 421 and the second connecting block 422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s around the corner and communicates with the screw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do. A fixing means such as a connection tab or a screw inserted through the tab insertion groove 42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crew hole 320 of the bottom portion 300 through a screw hole .

상기 탄성지지부(6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각 모서리별로 설치되어 상기 전지모듈(20)를 탄성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지지부(600)는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1탄성체(610)와, 상기 제4측판(240)과 제1측판(210),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제2탄성체(620)를 포함한다. The elastic supporting part 600 is made of rubber or plastic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housing 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ttery module 20. The elastic supporter 60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ody 610 provided at each corner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between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And a second elastic body 620 installed at the edges between the fourth side plate 240 and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상기 제1탄성체(6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에서 제1탄성체(6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first elastic body 6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body 610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체(610)는 'ㄱ'자 형의 직립된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상기 회로기판(22)이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 위치에 해당되는 전지모듈(20)의 모서리부분을 탄성지지한다. 6, the first elastic body 610 is formed in an upright shape and has an edge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2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astic body 610 elastically supports the edg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2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pposite to a position where the circuit board 22 is installed in the battery module 20.

따라서 상기 제1탄성체(610)는 전지모듈(20)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을 포함하고, 제1연결블럭(411, 421)과 제2연결블럭(412, 422)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외측면(613)과 제2외측면(614)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body 610 has a first inner side surface 611 and a second inner side surface 611.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611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61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inner side so that the corners of the battery module 20 can be seated, 2 inner side surfaces 612 and includes a first outer side surface 613 and a second outer side surface 614 extending toward the first connection blocks 411 and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blocks 412 and 422, do.

상기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은 상호 절곡된 형상으로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바닥면과 일측면을 각각 탄성지지한다.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61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612 extend in mutually bent shap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 respectively.

상기 제1외측면(613)은 상기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에 밀착되고, 제2외측면(614)은 상기 제2연결블럭(412, 422)의 제2지지면에 밀착되는 절곡연장판에 밀착된다.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6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lock 411 and 421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61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1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bending extension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즉,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상기 회로기판(22)과 반대측에 위치되는 양측 모서리를 지지한다. That is, the first elastic body 610 supports both side edges of the battery module 2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it board 22.

상기 제2탄성체(620)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에서 제2탄성체(620)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확대 사시도이다. The second elastic body 6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lastic body 620 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전지모듈(20)에서 결합된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탄성체(620)는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본체(624)와, 상기 탄성본체(624)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단(621)과, 상기 탄성지지단(621)에서 단을 이루는 연결단(622)과, 상기 연결단(622)에서 내향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2)의 끝단이 삽입 및 안착되는 기판삽입홈(62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econd elastic body 620 elastically supports the circuit board 22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20. The second elastic body 620 includes an elastic body 624 hav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body 624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624, A connecting end 622 which forms an end of the elastic supporting end 621 and a groove which is inwardly directed from the connecting end 622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ing end 621 of the circuit board 22, And a substrate insertion groove 623 into which an end is inserted and seated.

상기 탄성본체(624)는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전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을 지향하는 면이며, 배면은 지지수단(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수단(410)의 제2연결블럭(412)의 제2지지면)에 밀착되는 측부(200)(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판)의 외면에 밀착된다. 양 측면중 일측면은 상기 지지수단(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제1지지수단(410)의 제1연결블럭(411)의 제1지지면)에 밀착된다. The elastic body 624 forms a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is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rear surface is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block 412 of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 bending extension plate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shown in Fig. 8)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the support surface). One side surface of both sid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ans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lock 411 of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shown in Fig. 8).

상기 탄성지지단(621)은 상기 탄성본체(624)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지모듈(20)의 측면을 탄성지지한다. The elastic supporting end 62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624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

상기 연결단(622)은 상기 탄성지지단(621)에서 단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기판삽입홈(623)은 상기 연결단(622)에서 내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삽입홈(623)은 상측이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2)은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The connection end 622 is formed to end at the elastic support end 621 and the substrate insertion recess 623 is formed to be inward at the connection end 622. Here, the circuit board 22 is inserted from above as the upper side of the board insertion groove 623 is opened.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지지수단에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에서 각각 형성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한다. The second elastic body 62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ans installed between the circuit boards 22, respectively.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corners formed by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and the fourth supporting means 440, respectively.

상기 절연부(510~530)는 상기 제1측판(210) 내지 제4측판(240)중에서 회로기판(22)이 위치되는 제1측판(210)에 설치되는 제1절연체(510)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절연체(520)와,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중 회로기판(22)이 위치되는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411a, 421a)에 각각 접착된다. The insulators 510 to 530 may include a first insulator 510 disposed on the first side plate 210 on which the circuit board 22 is located among the first side plate 210 to the fourth side plate 240, A second insulator 520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300 and a second insulator 520 mounted on the first connection block 411 and 421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units 410 to 440, And are bonded to the first support surfaces 411a and 421a, respectively.

도 2는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30)를 일예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제1절연체(510)는 상기 회로기판(22)과 근접한 제1측판(210), 제2절연체(520)는 바닥부(300), 제3절연체(530)는 상기 회로기판(22)을 사이에 두고 대향된 위치의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1지지면(411a, 421a)에 각각 접착되었다. The first insulator 510 has a first side plate 210 close to the circuit board 22 and a second insulator 520 is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ircuit board 22. [ The first insulator 300 and the third insulator 5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surfaces 411a and 421a of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and the fourth supporting means 440 at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circuit board 22 therebetween. Respectively.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10~530)는 외측 또는 상기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절연하여 쇼트를 방지한다. The first to third insulators 510 to 530 insulate electricity a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to prevent a short circu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조립공정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clud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먼저 작업자는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제2절연체(520)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을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각 모서리에 고정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에서 각각 형성되는 탭삽입홈(413, 423)에 연결탭 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40)의 바닥면(426)에 형성되는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을 연통시켜 상기 바닥부(300)의 제2나사공(320)에 고정시킨다.First, the operator attaches the second insulator 5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00. Then, the operator fixes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means 410 to 440 to the respective corn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00. At this time, the operator inserts connection tabs or screws into the tab insertion grooves 413 and 423 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ans 410 to 440, respectively,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ans 440 (Not shown)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300 and the second screw hole 320 of the bottom portion 300. [

이때 상기 제1지지수단(410) 내지 제4지지수단(440)은 상기 제1연결블럭(411)의 전면에서 단을 이루어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안착단(415, 425)이 각각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to the fourth supporting means 440 are arranged such that the seating ends 415 and 425, which are formed by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lock 411 and have inward grooves,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수단(410~440)이 고정되면, 상기 제2내지 제4측판(240)을 각각 고정시킨다. When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means 410 to 440 are fix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econd to fourth side plates 240 are fixed.

즉, 작업자는 상기 제3측판(230)에서 하측에 위치되는 결합편(211, 231)의 나사공을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시킨 뒤에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연통시켜 상기 제3측판(23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3측판(230)의 양측 끝단은 상기 제2지지수단(420)과 제3지지수단(430)의 안착단(415)에 각각 밀착된다. That is, the operator aligns the screw holes of the engaging pieces 211 and 23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side plate 230 with the first screw hole 310 of the bottom portion 300, So that the third side plate 230 is fixed. 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third side plate 23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ends 415 of the second supporting means 420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430,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제2측판(220)은 상기 제2지지수단(420)과 제3지지수단(430) 사이의 상측에서 하향시켜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측판(220)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연장편(224)이 상기 제3지지수단(430)의 제1지지면(411a)과 제2지지수단(420)의 제1지지면(421a)에 전면이 밀착되고, 하측의 만곡편(221a)에 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바닥부(300)의 제3나사공(330)에 일치되어 안착된다. The second side plate 220 is downwardly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means 420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43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00. At this time, a bent extension piece 2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411a of the third supporting means 430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411b of the second supporting means 420, And is seated on the surface 421a in tight contact with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lower curved piece 221a and the third screw hole 330 in the bottom portion 300. [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만곡편(221a)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부(300)에 상기 제2측판(220)을 고정시킨다. Therefore, the operator inserts a screw in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curved piece 221a to fix the second side plate 220 to the bottom portion 300. [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4측판(240)을 상기 제3지지수단(430)과 제4지지수단(440) 사이에 설치한다. Then, the operator installs the fourth side plate 240 between the third supporting means 430 and the fourth supporting means 44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에서 상기 제2 내지 제4측판(240)이 조립되며, 상기 제1측판(210)의 설치되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제1 및 제2탄성체(610, 620)를 설치한다. 즉, 상기 제1탄성체(610)는 상기 제2측판(220)과 제3측판(230) 사이의 모서리와 제3측판(23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제1측판(210)과 제4측판(240)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is assembled with the second to fourth side plates 240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3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210 is opened. Then, the operator installs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610 and 620. That is, the first elastic body 610 is installed at the corner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at the corner between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respectively. The second elastic body 620 is installed at an edge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at an edge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the fourth side plate 240.

여기서 상기 제1탄성체(610)는 제1내측면(611)이 상기 제3측판(230)과 동일방향을 지향하고, 제2내측면(612)이 제2측판(220)측을 지향하도록 설치되고, 제1외측면(613)이 상기 제3지지수단(430)의 제1연결블럭(411, 421)의 제1지지면(411a), 제2외측면(614)이 제2연결블럭(412, 422)에 밀착되는 상기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편(224)에 밀착된다. The first elastic body 610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611 is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hird side plate 230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612 is oriented toward the second side plate 220 side And a first outer surface 613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411a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614 of the first connecting blocks 411 and 421 of the third supporting means 430, 412, and 422 of the first side plate 220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탄성본체(624)의 배면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2연결블럭(412, 422)의 지지면(422a)에 밀착된 상기 제2측판(220)의 절곡연장편(224)과 상기 제4측판(240)의 절곡연장편(224)에 밀착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지지수단(410)과 제4지지수단(440)의 제1연결블럭(411, 421)의 지지면에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체(620)는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전면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The second elastic body 620 is fixed to the support surface 422a of the second connection block 412, 422 of the first support means 410 and the fourth support means 440, Of the second side plate 220 and the bending extension piece 224 of the fourth side plate 24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ing means 410 and the fourth supporting plate 240, Are resp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locks 411 and 421 of the supporting means 440.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members 620 are install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전지모듈(20)에 상기 회로기판(22)을 고정시킨 뒤에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상기 전지모듈(20)을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2)은 상기 제2탄성체(620)의 기판삽입홈(623)을 통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20)은 상기 회로기판(22)의 반대쪽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제1탄성체(610)의 제1내측면(611)과 제2내측면(612)에 안착되고, 상기 제2탄성체(620)의 탄성지지단(621)에 의하여 탄성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22)은 일측에서 돌출되는 전원단자(24)가 상기 제1측판(210)이 설치되는 전면의 외측을 향한다. After the operator fixes the circuit board 22 to the battery module 20, the operator pulls the battery module 20 into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22 is pu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through the substrate insertion groove 623 of the second elastic body 620. A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20 located opposite to the circuit board 22 is seated o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61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612 of the first elastic body 610, 2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ing end 621 of the elastic body 620.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22 faces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first side plate 210 is mounted, with the power terminal 24 projecting from one side.

작업자는 이와 같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전지모듈(20) 및 회로기판(22)이 안착되면, 상기 제1측판(210)을 조립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1측판(210)의 양측 끝단을 상기 안착단(415)에 밀착시키고, 하측에 위치된 절곡편(211)의 나사공(211a)을 상기 바닥부(300)의 제1나사공(310)에 일치시킨 뒤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2)의 전원단자(24)는 상기 제1측판(210)의 체결블럭(212)에 형성되는 개구(212c)로 삽입되어 탄성 고정되면서 상기 제1측판(210)의 단자구(214)를 통하여 노출된다. The operator assemble the first side plate 210 when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are seated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That is, the worker closely contacts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0 to the seating end 415 and presses the screw hole 211a of the lower bent piece 211 into the first After screwing it into the screw hole 310, a screw is inserted and fixed. The power terminal 24 of the circuit board 2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12c formed in the fastening block 212 of the first side plate 210 and is elastically fixed, (Not shown).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전지모듈(20)과 회로기판(22)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면만이 개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상기 커버(100)를 상기 안착시켜 조립한다.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is assembled in a state that only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while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are accommodated. Therefore, the operator puts the cover 100 in place.

이때 상기 커버(100)는 상부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나사공(130)중에서 상기 절곡편(211, 231)의 나사공(211a, 231a)과, 상기 제2측판(220)과 제4측판(240)에서 상측의 만곡편(221a, 241a)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각각 일치되도록 안착된다.At this time, the cover 10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screw holes 211a and 231a of the bending pieces 211 and 231 and the second side plate 220 among the screw holes 130 formed along the rim of the top plate, Are fitted to the screw holes formed in the upper curved pieces (221a, 241a) in the fourth side plate (240).

그리고 상기 커버(100)는 상기 가압판(140)이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10)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는 전지모듈(20)의 일면에 밀착되어 안착된다. The cover 100 is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20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이후 작업자가 상기 커버(100)와 제1 내지 제4측판(210~240)의 절곡편(211, 231) 및 만곡편(221a, 241a)에 각각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140)은 상기 전지모듈(20)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전지모듈(20)이 이동 및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and fixes the screws into the bending pieces 211 and 231 and the curved pieces 221a and 241a of the cover 100 and the first to fourth side plates 210 to 24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ressure plate 140 presses the battery module 20 and fixes the battery module 20 so that the battery module 20 does not move or shake in the housing 10.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10)은 상기 커버(100)의 가압판(140)을 이용하고 상기 전지모듈(20)을 내측에서 고정시키고, 제1탄성체(610)와 제2탄성체(620)를 구비하여 상기 전지모듈(20)과 회로기판(22)을 탄성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고장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20)은 상기 제1 내지 제3절연체(530)를 통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전됨이 차단됨에 따라 쇼트와 같은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battery modul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essure plate 140 of the cover 100 to fix the battery module 20 from the inside, and the first elastic body 61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620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ircuit board 22 to prevent a failure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module 20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o third insulators 530, a failure such as a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전지모듈 하우징 20 : 전지모듈
21 : 전지셀 22 : 회로기판
23 : 커넥터 24 : 전원단자
100 : 커버 110 : 손잡이
120 : 수용홈 130 : 나사공
140 : 가압판 150 : 지지봉
200 : 측부 210 ~ 240 : 제1 내지 제4측판
211, 231 : 절곡편 212 : 체결블럭
213 : 나사공 214 : 단자구
221, 241 : 절곡단 221a, 241a : 만곡편
222 : 방열구 223, 243 : 측판본체
300 : 바닥부 310~330 : 제1나사공 내지 제3나사공
400 : 지지부 410~440 : 제1 내지 제4지지수단
411, 421 : 제1연결블럭 412, 422 : 제2연결블럭
413, 423 : 탭삽입홈 414, 424 : 지지본체
415 : 안착단 426 : 바닥면
500 : 절연부 510~530 : 제1절연체 내지 제3절연체
600 : 탄성지지부 610 : 제1탄성체
611 : 제1내측면 612 : 제2내측면
613 : 제1외측면 614 : 제2외측면
620 : 제2탄성체 621 : 탄성지지단
622 : 연결단 623 : 기판삽입홈
624 : 탄성본체
10: battery module housing 20: battery module
21: battery cell 22: circuit board
23: connector 24: power terminal
100: cover 110: handle
120: receiving groove 130:
140: pressure plate 150: support rod
200: side portions 210 to 240: first to fourth side plates
211, 231: bending piece 212: fastening block
213: screw hole 214:
221, 241: folding ends 221a, 241a:
222: heat dissipation holes 223, 243: side plate body
300: bottom portion 310 to 330: first screw hole to third screw hole
400: supports 410 to 440: first to fourth supporting means
411, 421: first connection block 412, 422: second connection block
413, 423: tab insertion grooves 414, 424:
415: seat end 426: bottom surface
500: insulator 510 to 530: first to third insulators
600: elastic support portion 610: first elastic member
611: first inner side 612: second inner side
613: first outer surface 614: second outer surface
620: second elastic body 621: elastic supporting end
622: connection end 623: substrate insertion groove
624: elastic body

Claims (20)

하나 이상의 전지셀이 회로기판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 및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바닥부의 상면에서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측에서 체결되어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A battery module in which one or mor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ircuit board; And a battery module housing form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from the inside,
Where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portion thereof, a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to seal the inner space,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Module hous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내측에서 상기 전지모듈을 절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nd at least one insulator for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inside the battery modul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별로 직립형성되어 양측에서 상기 측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nd one or more support means formed upright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portion at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기 전지모듈의 측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양측과 회로기판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silient support
A first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sid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ch is located opposite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ixed at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to elastically support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호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면과 제2내측면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elastic body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inner side surface extending in mutually bent dir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측부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배면과 하우징의 내측을 지향하는 전면을 갖고 직립되는 탄성본체;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측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단; 및
상기 탄성본체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5.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elastic body
An elastic body having a rear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and a front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An elastic supporting end protru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elastically support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And a substrate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body to insert an end of the circuit bo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직립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에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블럭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블럭과, 연결탭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내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탭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connection block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rim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 second connection block extending along the oth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tab insertion groov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블럭은
상기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중 어느 하나가 밀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끝단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제1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lock
A supporting surface on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is closely contacted, an extended surfac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ing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rst spacing groove formed as a spaced-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module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부의 양 끝단이 안착되도록 외면과 단을 이루는 안착단을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nd a seating end that is formed at an outer side and an end so that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are se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블럭은
상기 지지본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면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면과,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이격홈과, 상기 제2이격홈과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block
A second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 the other side and formed of an inner surface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a second spacing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spac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includes a cutout groove that is cut so as to cover the battery modul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출력되는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부는 상기 전원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단자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The circuit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a power terminal to which a power source of different polarity is input and output,
And the side portion includes a terminal hol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power terminal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외면에서 상기 전원단자의 극성을 표시하는 극성표시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olarity indication terminal for indicating a polarity of the power source terminal on the outer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원단자를 탄성력으로 고정시켜 상기 단자구를 통하여 노출시키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럭은 상기 측판의 내면에서 밀착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양 끝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과 하측 수평면중에서 어느 하나가 타 수평면과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nd a fastening block for fixing the power terminal by an elastic force and exposing the power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hole,
Wherein the fastening block includes a vertical surface that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ower terminal is inserted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urfaces extending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horizontal surface, A battery module housing comprising a front surface forming the battery module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직립되는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측판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1측판과 제3측판의 양측 끝단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전지모듈 하우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first to fourth side plates erected along the rim of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third side plate are fixed 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side plates,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third side plate are seated on the seating en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판과 제4측판은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내면에 밀착되는 연장절곡편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전지모듈 하우징.
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ourth side plate
And extending bent inwardly from both ends to exten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rim of the bottom portion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a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내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Wherein a first insulator for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및 회로기판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second insulator for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circuit boar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는 일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에서 고정된 벽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절연시키는 제3절연체가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a third insulator for inserting an electrical signal at a wall surface fixed at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with one side where the circuit board is located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판형상으로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모듈을 가압 및 고정시키는 가압판;
상기 커버본체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A cover body for sea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A pressure plate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module housing to press and fix the battery module;
And at least one support bar extending from a back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support the pressure plat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홈을 구비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0. The device of claim 19, wherein the cover
A receiving plate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f an inwardly facing groove in the cover body; And
And a handle that is rotatably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KR1020130121135A 2013-10-11 2013-10-11 Housing for battery module KR101547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en) 2013-10-11 2013-10-11 Housing for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en) 2013-10-11 2013-10-11 Housing for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63A true KR20150042463A (en) 2015-04-21
KR101547395B1 KR101547395B1 (en) 2015-08-25

Family

ID=5303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135A KR101547395B1 (en) 2013-10-11 2013-10-11 Housing for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395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709A1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7061707A1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7146395A1 (en)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ical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ructure using same
KR20170116408A (en)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Storage Device and Making Method
KR20170116404A (en)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Storage Device
WO2018030787A1 (en) * 2016-08-12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including strap-type frame, and frame assembly for same
KR20190007745A (en)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CN109309180A (en) * 2017-07-27 2019-02-05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 comprising it
CN110098363A (en) * 2019-05-15 2019-08-06 苏州蓝石新动力有限公司 Battery control module, battery pack structure and delivery vehicle
US10944135B2 (en) 2016-06-09 2021-03-09 Lg Chem,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cooling/buffering member having porous structure
WO2021065160A1 (en) * 2019-09-30 2021-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745B1 (en) 2016-04-25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2017781B1 (en) 2016-11-29 2019-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improved in fixing structure of cell lead
KR102317506B1 (en) * 2017-04-10 2021-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2179788B1 (en) * 2018-11-28 2020-1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35B1 (en) * 2008-01-15 2011-05-06 노형준 Tube fixing rack
JP5931376B2 (en) * 2011-09-01 2016-06-08 株式会社東芝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1606B2 (en) 2015-10-05 2019-08-1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7061707A1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70040636A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70040638A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7061709A1 (en)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0355255B2 (en) 2015-10-05 2019-07-16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7146395A1 (en)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ical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ructure using same
KR20170099670A (en)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ic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ructure using thereof
US10396323B2 (en) 2016-02-24 2019-08-27 Lg Chem, Ltd. Electrical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ructure using same
KR20170116408A (en)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Storage Device and Making Method
KR20170116404A (en)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Storage Device
US10944135B2 (en) 2016-06-09 2021-03-09 Lg Chem,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cooling/buffering member having porous structure
US10700319B2 (en) 2016-08-12 2020-06-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strap-type frame, and frame assembly therefor
WO2018030787A1 (en) * 2016-08-12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including strap-type frame, and frame assembly for same
KR20190007745A (en)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US11094987B2 (en) 2017-07-13 2021-08-17 Lg Chem, Ltd. Battery pack to support and fix battery module
CN109309180A (en) * 2017-07-27 2019-02-05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 comprising it
CN113745737A (en) * 2017-07-27 2021-12-03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13745737B (en) * 2017-07-27 2023-11-10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10098363A (en) * 2019-05-15 2019-08-06 苏州蓝石新动力有限公司 Battery control module, battery pack structure and delivery vehicle
WO2021065160A1 (en) * 2019-09-30 2021-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395B1 (en)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395B1 (en) Housing for battery module
EP2562843B1 (en) Battery module
JP6117308B2 (en) Secondary battery device
US9083030B2 (en) Battery module
US8974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EP2615663B1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ource unit
US9153806B2 (en) Power source unit
KR102344362B1 (en) Battery Module
KR102394688B1 (en) Battery module
US20110097614A1 (en) Battery pack
WO2009107557A1 (en) Cell container and battery
KR101671371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Non-Protruded Connector
TW200933959A (en) Battery pack
WO2013011836A1 (en) Battery module
JP2018067485A (en) Battery pack
KR20100064667A (en) Battery pack
EP3089237A1 (en) Power source unit comprising a circuit board
KR20160091124A (en) A battery module
KR101657394B1 (en) A battery module
JP623307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JP2014229725A (en) Power storage unit and power storage device used thereon
KR2017002864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of battery module assembly
JP2010097723A (en) Battery pack
JP5475633B2 (en) Battery assembly
KR20160004545A (en) Jig Having Mounting Grooves and Protrusions for Assembling Battery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