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397A - Medicine dispensing device - Google Patents

Medicine dispen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397A
KR20150042397A KR20130120969A KR20130120969A KR20150042397A KR 20150042397 A KR20150042397 A KR 20150042397A KR 20130120969 A KR20130120969 A KR 20130120969A KR 20130120969 A KR20130120969 A KR 20130120969A KR 20150042397 A KR20150042397 A KR 2015004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ispensing
medicament
receiving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7197B1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12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97B1/en
Priority to EP20140187963 priority patent/EP2860711A1/en
Priority to US14/511,300 priority patent/US9598222B2/en
Priority to CA 2866906 priority patent/CA2866906A1/en
Priority to JP2014209403A priority patent/JP2015073908A/en
Priority to CN201410533008.4A priority patent/CN104555209B/en
Publication of KR2015004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mprises: a medicine placing unit changing the location of a placed medicine; a dispensing unit turning between a collection location in which the medicine where the loca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placing unit is collected and a dispensing location in which the collected medicine is dispensed; and a location movement blocking unit blocking location movement of the medicine which will be collected next time when the medicine is collected on the dispensing unit.

Description

의약품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device}Medicin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that dispenses medicines accurately according to requests for dispensing medicines (e.g. prescription of a patient).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In general, a single-dose medication according to a patient's prescription may include various kinds and forms of medicines, and a medication for a single dose will be delivered to the patient in a basket.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A variety of medicines to be contained in one basket are collected from a box containing each medicament into one basket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the medicines described in the patient's prescription and the basket in which the medicines are collected is delivered to the patient, You will take the medicines collected in the basket.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llect various medicines in one basket, in the past, medicinal experts such as pharmacists needed to take out the medicines manually from the bottles containing the medicine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of the patients, It was absolutely necessary to perform a confirmation operation to judge the situation again.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 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This makes it difficult to ensure the correctness of the medication and always implies the possibility of causing an attrition. In addition, not only the possibility of weakness but also the complexity of the collection process itself, it takes a long time to collect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of the patient, which also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working efficiency.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For this reason,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to automatically collect various medicines from boxes containing medicin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atisfy the accuracy and efficiency until now,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정확하게 의약품을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s accurately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or dispensing medicines (for example, a prescription of a patient), and improving dispens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불출부; 및 상기 불출부에 의약품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cament mounting part for changing a position of a medicament placed on the medicament; A dispenser for rotating the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medicament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is received and the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received medicament is dispensed; And a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for block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medicine to be received at the next time when the medicine is received in the dispens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을 수취한 후 회동되어 의약품의 수취방향과 불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ed after receiving the medicine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so that the receiving direction and the dispensing direction of the medicine are implemented differently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동일한 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수취할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medicines placed on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arran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단일개의 의약품을 수취하도록 상기 의약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ament so as to receive a single medicament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의 외면의 일부는 포위하고 나머지는 노출시키도록 하는 포위부를 구비하며, 수취된 의약품은, 상기 불출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포위부로 인하여 노출된 부분으로 불출될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rounding portion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e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exposes the remainder, To the exposed portion due to the surround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을 수취한 후 수취된 의약품이 안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취된 의약품을 불출시킬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edicine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Can be dispen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부에 수취된 의약품의 불출 시기는, 상기 불출부가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한 시점 또는 그 이전일 수 있다.The dispensing time of the medicine dispensed to the dispensing por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ispensing portion reaches the dispensing position or the time before the dispensing portion reaches the dispens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차단부는, 차회에 상기 불출부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ortion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ed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to be received on the dispenser at the nex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for moving the medicine placed on the medicine receiving par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단일개씩 통과되어 상기 수취위치에 위치한 상기 불출부에 단일개의 의약품이 수취될 수 있다.The medicines placed on the medicament mounting portion of the medicines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eived by a single outwar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so that a single medicament can be received at the dispensing portion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의 단일개의 의약품의 통과 여부는, 상기 위치이동차단부의 회동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assage of a single medicament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is tur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과 접촉하여 접촉된 의약품을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guide part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ct rotation part that rotates in an endless track so as to move the medicinal substance in contact with and contact with the medicine placed on the medicine placement part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의약품이 접촉되는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guide part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edicine, may be incl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의약품이 안착되고 무한궤도로 위치 이동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ug deposit unit of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t portion on which a medicine is placed and moves in an endless track,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belt portion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seated medicine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의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의약품을 기립된 상태로 정렬되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seat can be seated in a state where the medicine is standing up.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cessary medicines can be dispensed accurately and quickly in response to dispensing requests (e.g. prescription of a patient).

또한, 의약품 불출 시 의약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medicines when the medicines are dispensed.

또한, 한정된 공간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의약품의 수를 극대화하여 해당 의약품의 보충 시기를 늦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medicines that can be stored in a limited space can be maximized, thereby delaying the replenishment timing of the medici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방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FIGS. 3 to 5 are inter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drug dispensing and neg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illustrat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의약품(M)이 안착되고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110), 수취위치와 불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불출부(120) 및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drug dispen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receiving unit 110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drug M on which a drug M is seated and seated, A dispensing part 120 for rotating the dispensing position between the dispensing position and the dispensing position, and a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130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M.

여기서, 상기 의약품(M)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알(Vial)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약품(정제, 산제, 파우치형 약제 등)이나 주사기 등의 의료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medicine M may be a vial as shown in FIG.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dicine M may be a medicine (tablets, powders, pouches, etc.)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medical instru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카트리지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가 의약품 불출 설비의 층별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복수의 층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a plurality of cartridges, and as the cartridges are installed in layers of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의약품 불출 장치(100)는 상기 의약품 불출 설비 내에서 의약품 불출 요청, 즉,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의약품(M)을 보관하고 있다가 불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의약품안착부(110), 불출부(120) 및 위치이동차단부(13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100 can store and dispense the necessary medicines M in accordance with a dispensing request, that is, a prescription of a patient, in the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ines, 110, the dispensing part 120, and the movement blocking part 130.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는 본체부(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면에 의약품(M)이 기립된 상태로 정렬된 채 안착될 수 있고, 불출이 요구되는 경우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의약품(M)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50, and may be seated while being aligned in a state where the medicine M is standing on one side. If the dispensing is required, The medicine M can be moved forward.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전방측은 의약품(M)이 불출부(12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방측은 상기 전방측과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 if the term is defined as a direction, the front side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dicine M is directed toward the dispensing portion 120, and the rear side may refer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상기 의약품안착부(110)는 의약품(M)이 안착되고 무한궤도로 위치 이동하는 벨트부(114) 및 상기 벨트부(114)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된 의약품(M)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110 includes a belt portion 114 on which the medicine M is seated and moves in an endless track and a belt portion 114 disposed on the belt portion 114, Prevention part 112. [0034] FIG.

상기 이탈방지부(112)는 상기 벨트부(114)에 체결되어 연동될 수 있으나, 상기 벨트부(114)의 일면에 단순히 안착될 수도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12 may be fastened to the belt portion 114 and interlocked with the belt portion 114, but may be simply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belt portion 114.

상기 이탈방지부(112)는 벨트부(114)가 이동되다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관성에 의한 의약품(M)의 후방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의 정렬을 도모하여 순차적인 의약품(M)의 불출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12 can prevent falling of the medicine M to the rear side due to inertia when the belt part 114 is suddenly stopped after the movement of the belt part 114. Accordingly, The dispensing accuracy of the drug M can be realized.

한편, 본체부(150)는 의약품안착부(110)를 외부로 노출시켜 의약품(M)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1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5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150 may include a cover part 160 for exposing the medicine rest part 110 to the outside so that the medicine M can be replenished. And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50 as shown in FIG.

다만, 상기 덮개부(160)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본체부(15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cover 160 may be mount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side of the main body 150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불출부(120)는 의약품안착부(1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M)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M)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The dispensing portion 120 can rotate between the receiving position where the medicine M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received medicine M is dispensed.

여기서, 상기 수취위치는 상기 불출부(120)가 회동되기 전,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불출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출부(120)의 회동이 완료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position may be a position before the dispensing part 120 is rotated, that is, a state shown in FIG. 2, and the dispensing position may be a position of the dispensing part 120,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of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mpleted.

상기 불출부(120)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M)을 수취한 후 회동되어 상기 의약품(M)의 수취방향과 불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취방향은 의약품(M)이 세워진 상태의 방향이고 불출방향은 의약품(M)의 눕혀진 상태의 방향일 수 있다.The dispensing unit 120 is rotated after receiving the medicine M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unit 110 at the receiving position so that the receiving direction and the dispensing direction of the medicine 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receiving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medicine M is standing and the dispensing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medicine M is laid down.

다시 말하면, 상기 불출부(120)는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동일한 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수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단일개의 의약품(M)을 수취하도록 상기 의약품(M)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penser 120 can receive the medicines M placed on the medicament receiving unit 110 at the receiving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arrangement state. In the receiving position, the medicines receiving unit 110 And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al product M so as to receive a single medicinal product M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al product M.

상기 불출부(120)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M)의 외면의 일부는 포위하고 나머지는 노출시키도록 하는 포위부(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취된 의약품은, 상기 불출부(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포위부(122)로 인하여 노출된 부분으로 불출될 수 있다.The dispensing part 120 may include a surrounding part 122 for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e M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exposing the rest of the medicine M to the receiving part 120 To the exposed portion due to the surrounding portion 122 by the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122.

구체적으로, 상기 불출부(120)는 속이 빈 원통에 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절개 후 남아있는 측면이 포위부(122)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ensing portion 1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is cut in a hollow cylinder, and the side surface remaining after the cutting may be the surrounding portion 122.

상기 불출부(120)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M)을 수취한 후 수취된 의약품(M)이 안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취된 의약품(M)이 자동적으로 중력에 의해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ensing unit 120 receives the medicine M whose position has been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unit 110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n rotates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portion of the received medicine M to receive the received medicine M, (M)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gravity.

이 경우, 상기 불출부(120)에 수취된 의약품(M)의 불출 시기는 상기 불출부(120)가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한 시점 또는 그 이전일 수 있으며, 이는 불출부(120)와 의약품(M)의 접촉 관계(마찰계수 등), 불출부(120)의 회동 속도 및 포위부(122)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ensing time of the medicines M received in the dispensing part 120 may b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ispensing part 120 reaches the dispensing position or the time before the dispensing part 120 reaches the dispensing position, M), the rotating speed of the dispensing portion 120, the size of the surrounding portion 122, and the like.

위치이동차단부(130)는 상기 불출부(120)에 의약품(M)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M)이 단일개씩 상기 불출부(120)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unit 130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M to be received on the next time when the medicine M is received in the dispensing unit 120. As a result, (120).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차단부(130)는 회동여부에 따라 의약품(M)이 불출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종의 셔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있다.Specifically,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130 can control the introduction of the medicine M into the dispensing part 120 according to whether the medicine M is pivoted or not, and can perform a function as a kind of shutter.

즉, 상기 위치이동차단부(130)는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의약품(M)의 통과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회동 여부로 구현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unit 130 can control whether the medicine M is pas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unit 140,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rotating or not.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의약품안착부(110)에 안착된 의약품(M)을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안내부재로,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안착된 의약품(M)과 접촉하여 접촉된 의약품(M)을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guide unit 140 is a kind of guide member that can move the medicine M placed on the medicine receiving unit 1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sition. The medicine receiving unit 110, And a contact rotation part 142 that rotates in an endless track so as to move the medicine M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rt M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140. [

상기 접촉회전부(142)는 탄성을 구비하는 일종의 고무링일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안착된 의약품(M)은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단일개씩 통과되어 상기 수취위치에 위치한 상기 불출부(120)에 단일개의 의약품(M)이 수취되도록 할 수 있다.The medicines M placed on the medication receiving unit 110 are passed through the guide unit 140 to the outside of the guide unit 140 and are positioned at the receiving position. So that a single medicines M can be received in the dispenser 120.

결국, 상기 가이드부(140)의 일측단과 본체부(150) 사이에는 의약품(M)이 하나만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개폐 여부는 위치이동차단부(130)의 회동 여부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a space through which only one medicines M can pass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140 and the main body portion 150. Whether the space M is opened or closed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ortion 130 is rotated .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폭은 수취위치과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여 좁아질 수 있으며, 이는 접촉회전부(142)와 의약품(M)이 접촉되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140 as viewed from above may be narrowed towar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is may be realized by forming one side of the contact rotation portion 14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edicine M, .

다만,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부(140)의 일 부분은 상기 접촉회전부(142)와 의약품(M)이 접촉되는 일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a part of the guide part 140 formed to be incline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not limited to one surface where the contact rotation part 142 and the medicine M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수취위치과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부(140)의 폭이 좁아지게 하기 위해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일면을 경사지게 하여 구현할 필요는 없으며,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order to narrow the width of the guide part 140 towar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sition,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inclined at least one side, and the guide part 140 may be rounded.

상기 접촉회전부(142)와 접촉하는 의약품(M)은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을 향하여 전진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접촉회전부(142)와 접촉되는 의약품(M)의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medicine M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otation part 142 can advance toward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140. As a result, the positions of the medicines M contacting the contact rotation part 14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한편, 의약품안착부(110), 위치이동차단부(130) 및 불출부(120)의 위치 이동과 접촉회전부(142)의 회전은 본체부(150)의 내부에 배치가능한 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rotation of the contact rotation part 142 and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receiving part 110, the movement blocking part 130 and the dispensing part 120 can be realized by a motor which can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n external force externally provided.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불출 방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FIGS. 3 to 5 are internal structur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dispensing medic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의약품(M)의 불출을 위해 의약품안착부(110)의 벨트부(114)가 회전하게 되며, 가이드부(140)의 접촉회전부(1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의약품안착부(110)에 안착된 의약품(M)은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유입되게 된다.3, the belt portion 114 of the medicine receiving portion 110 is rotated to dispense the medicine M, and the rotation of the contact rotating portion 142 of the guide portion 140 causes the medicine The medicine M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flows in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140.

이때, 위치이동차단부(130)는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단일개의 의약품(M)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40)의 외측으로 통과한 의약품(M)은 수취위치에 위치한 불출부(120)에 그대로 유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130 is rotated to allow a single medicines M to pass outside the guide part 140. The medicines M that have passed outside the guide part 140 And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dispensing portion 120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출부(120)에 단일개의 의약품(M)이 수취되면, 상기 위치이동차단부(130)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M)의 위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의약품(M)을 불출시킬 수 있다.4, when a single medicines M are received in the dispenser 120, the position movement interceptor 1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edicines M to be received next The drug M can be dispensed sequentially one by one.

도 5를 참조하면, 의약품(M)을 수취한 불출부(120)는 수취위치에서 불출위치로 회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의약품(M)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불출부(120)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불출될 수 있다.5, the dispenser 120 receiving the medicines M can be rotated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to the dispensing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medicines M are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dispenser 120 by gravity,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의약품(M)의 불출이 완료되면, 상기 불출부(120)는 수취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위치이동차단부(130)의 회동 및 의약품(M)의 가이드부(140) 외측으로의 통과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나씩 의약품(M)을 불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dispensing of the medicine M is completed, the dispensing part 120 can be returned to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rot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130 and the passage of the medicine M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140 The medicines M can be dispensed sequentially one at a tim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의약품 불출 장치
110: 의약품안착부
120: 불출부
130: 위치이동차단부
140: 가이드부
100: Drug dispenser
110:
120:
130:
140: guide portion

Claims (15)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의약품안착부;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이 수취되는 수취위치와 수취된 의약품이 불출되기 위한 불출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불출부; 및
상기 불출부에 의약품이 수취되는 경우 차회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동차단부;
를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A medicament seating portion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ated medicament;
A dispenser for rotating the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medicament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is received and the dispensing position where the received medicament is dispensed; And
A position movement blocking part for blocking position movement of the medicine to be received at the next time when the medicine is received in the dispensing part;
Th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을 수취한 후 회동되어 의약품의 수취방향과 불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ine dispensing unit is rotated after receiving the medicine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unit at the receiving position, so that the receiving direction and the dispensing direction of the medicine are realized differ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동일한 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수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receives the medicines settled on the medicament mount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arrangement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단일개의 의약품을 수취하도록 상기 의약품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내면을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medicament so as to receive a single medicament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의 외면의 일부는 포위하고 나머지는 노출시키도록 하는 포위부를 구비하며,
수취된 의약품은, 상기 불출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포위부로 인하여 노출된 부분으로 불출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nsing portion has a surrounding portion for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e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exposing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received medicament is dispensed to a portion exposed due to the surrounding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dispens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는,
상기 수취위치에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 의약품을 수취한 후 수취된 의약품이 안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취된 의약품을 불출시키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ine dispensing unit receives the medicine whose position has been changed by the medicine receiving unit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n rotates based on the received portion of the received medicine to dispense the received medic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에 수취된 의약품의 불출 시기는,
상기 불출부가 상기 불출위치에 도달한 시점 또는 그 이전인 의약품 불출 장치.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nsing unit is at or before the dispens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차단부는,
차회에 상기 불출부에 수취될 의약품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도록 회동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ine dispenser is rotated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to be received in the dispensation portion to be moved to the next se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을 상기 수취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part for moving the medicine placed on the medicine receiving par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drug dispens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단일개씩 통과되어 상기 수취위치에 위치한 상기 불출부에 단일개의 의약품이 수취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dicines settled on the medicament mounting portion are passed through the guides one by one to receive a single medicament in the dispenser positioned at the receiving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의 단일개의 의약품의 통과 여부는,
상기 위치이동차단부의 회동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의약품 불출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ther or not a single medicament is allowed to pass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wherein the medicine dispensing devic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vement block is rota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의약품안착부에 안착된 의약품과 접촉하여 접촉된 의약품을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접촉회전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nd a contact rotation part that rotates in an endless track so as to move the medicines in contact with and contact with the medicines placed on the medicament moun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의약품이 접촉되는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의약품 불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contacting the medicine is formed obliqu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의약품이 안착되고 무한궤도로 위치 이동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된 의약품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The med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belt portion on which medicines are placed and moved in an endless track;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belt portion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seated medic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안착부는,
상기 의약품을 기립된 상태로 정렬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의약품 불출 장치.
2. The med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ines are seated in a standing state to be seated.
KR1020130120969A 2013-10-11 2013-10-11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102147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969A KR102147197B1 (en) 2013-10-11 2013-10-11 Medicine dispensing device
EP20140187963 EP2860711A1 (en) 2013-10-11 2014-10-07 Medicine dispensing device
US14/511,300 US9598222B2 (en) 2013-10-11 2014-10-10 Medicine dispensing device
CA 2866906 CA2866906A1 (en) 2013-10-11 2014-10-10 Medicine dispensing device
JP2014209403A JP2015073908A (en) 2013-10-11 2014-10-10 Medicine dispensing device
CN201410533008.4A CN104555209B (en) 2013-10-11 2014-10-10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969A KR102147197B1 (en) 2013-10-11 2013-10-11 Medicine dispen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397A true KR20150042397A (en) 2015-04-21
KR102147197B1 KR102147197B1 (en) 2020-08-25

Family

ID=5303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969A KR102147197B1 (en) 2013-10-11 2013-10-11 Medicine dispen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879A (en) * 2020-05-25 2021-12-03 (주)제이브이엠 Medicine dispens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563A (en) * 1997-06-23 1999-01-19 Scriptpro, Llc Medicine vial dispenser
JP3677076B2 (en) * 1995-05-16 2005-07-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Plastic ampoule dispensing device
JP4104723B2 (en) * 1998-03-11 2008-06-18 高園産業株式会社 Plastic ampoule dispensing device
JP2009011457A (en) * 2007-07-02 2009-01-22 Yuyama Manufacturing Co Ltd Ampule storage container
US20090254214A1 (en) * 2008-04-03 2009-10-08 Scriptpro Llc Vial dispensing mechanism
KR101300385B1 (en) * 2012-03-30 2013-08-26 백경율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ing of liquid storage bott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076B2 (en) * 1995-05-16 2005-07-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Plastic ampoule dispensing device
US5860563A (en) * 1997-06-23 1999-01-19 Scriptpro, Llc Medicine vial dispenser
JP4104723B2 (en) * 1998-03-11 2008-06-18 高園産業株式会社 Plastic ampoule dispensing device
JP2009011457A (en) * 2007-07-02 2009-01-22 Yuyama Manufacturing Co Ltd Ampule storage container
US20090254214A1 (en) * 2008-04-03 2009-10-08 Scriptpro Llc Vial dispensing mechanism
KR101300385B1 (en) * 2012-03-30 2013-08-26 백경율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ing of liquid storage bott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879A (en) * 2020-05-25 2021-12-03 (주)제이브이엠 Medicine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97B1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222B2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EP3300044B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101261265B1 (en) Medicine discharge device and discharging method,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the device
KR102049273B1 (en) Drug dispensing unit and drug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33495B1 (en) Medicine discharge device and medicine discharging method using the medicine discharge device
JP2021016598A (en) General-purpose medicament supply device and medicament packing device
JP6310932B2 (en) Drug filling device
KR20150042398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20140057945A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KR20150042397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20160068769A (en) Medicine filling device
KR20190039068A (en) Pharmaceutical division packing device
KR101356965B1 (en) Medicine discharge device and medicine discharging method using the medicine discharge device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50145859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20190036810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102051801B1 (en)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medicine discharge devices
KR101982600B1 (en)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medicine discharge devices
KR101896910B1 (en)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medicine discharge devices
KR101652172B1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US11096869B2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KR20170049785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101862544B1 (en)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including medicine discharge devices
KR20140112680A (en) Drug dispensing apparatus
CA3077941A1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