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067A -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067A
KR20150042067A KR20130120805A KR20130120805A KR20150042067A KR 20150042067 A KR20150042067 A KR 20150042067A KR 20130120805 A KR20130120805 A KR 20130120805A KR 20130120805 A KR20130120805 A KR 20130120805A KR 20150042067 A KR20150042067 A KR 2015004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quest message
cache
address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053B1 (ko
Inventor
이종민
이경준
호용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하여 통신망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캐시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망에 분산 배치된 캐시 장치 별로 서로 다른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각 캐시 장치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면,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해 기 설정된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Method for API of CD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CDN: Contents delivery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의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N 서비스는 영화, 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동영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통상 네트워크상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캐시 장치에 컨텐츠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GLB(Global Load Balance) 서버와 같은 부하 분산 장치를 통해서 다수의 캐시 장치 중에서 최적의 캐시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캐시 장치를 통해 요청된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CDN는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인터넷상에서의 데이터 손실, 병목 현상, 전송 속도 저하, 데이터 끊김과 같은 불안전성 등을 해결하도록 구현되었다.
아울러, 최근에는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구축된 CDN을 연동하고자 CDNi(Contents Delivery Network interconnection)에 대한 표준화가 IETF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성능이 향상된 스마트 폰의 보급과, 이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제공자의 급증으로 인하여, 이동통신망의 트래픽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서, 웹(Web) 다운로드,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영상(Imag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과 같은 컨텐츠의 전송 속도 저하로 인한 서비스 품질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컨텐츠 전송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자의 고품질 서비스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서, VOD(Video On Demand), Live Streaming과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나 음악 스트리밍, 파일 업로드 및 파일 다운로드 등에 있어서, 대용량 컨텐츠 전송이 빈번해 졌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모바일 망에도 CDN 서비스를 접목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다수의 캐시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시스템이 유선망 및 유선망 등에 구축되어 있으나, 기존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는, 컨텐츠의 빠른 전송 및 트래픽 감소만을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타 서비스와의 연동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4186호, 2001년 08월 04일 공개 (명칭: 무선망을 통한 CDN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컨텐츠 전송 서비스의 특정 기능을 다른 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하여 통신망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캐시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망에 분산 배치된 하나 이상의 캐시 장치에 각각 캐시 장치 별로 분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각 캐시 장치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해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어느 하나의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컨텐츠 전송 서비스로 제공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와 함께, 통신망에 분산 배치된 캐시 장치 별로 분배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송수신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수집된 사용자 장치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가 검출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하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을 위한 캐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하여 통신망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캐시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망의 서로 다른 지역을 커버하는 무선 접속망 단위로 배치되는 캐시 장치에 각각 소정의 정보, 예를 들어, 지역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특정 서비스가 상기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상기 지역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지역 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채팅 혹은 게임 서비스 제공자는, 모바일 망의 무선 접속망 단위로 배치된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지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각 사용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을 구분하여 지역 단위의 유저 그룹핑을 수행하거나, 지역 기반 날씨 정보 제공 시,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서버까지 접속하지 않고도 자신이 접속한 무선 접속망에 연결된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지역 기반의 날씨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 구비된 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지원을 캐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기반의 서비스 실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컨텐츠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 통신망과, 다른 외부 망을 구분하기 위하여, 컨텐츠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 통신망을 제1 통신망(10)으로, 상기 제1 통신망을 제외한 다른 망을 제2 통신망(2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통신망(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 통신망이며, 제2 통신망(2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이용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가 연결된 통신망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10)은 사용자 장치(100)와 무선으로 접속된 모바일 망이 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망(20)은 IP 기반의 통신망, 특히 인터넷 망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모바일 망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통신망으로서, 현재 상용화된 LTE(Long term evolution) 망, WCDMA 망과 같은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이외에 Wi-Fi 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망과, 이들의 결합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망(10)은, 다수의 무선 접속망(11)과, 상기 다수의 무선 접속망(11) 간을 연결하거나 외부 망, 구체적으로는 제2 통신망(20)과의 연결을 위한 코어망(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망(11)은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이 모바일 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를 나타낸 사용자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노드B, e노드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 등과 같은 무선 접속 장치(11a)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무선 접속망(11)은 지역적으로 구분되는 통신 커버리지를 가지며, 상기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망(12)은, 호 처리, 무선 접속망(11)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기능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의 설명에 필요한 패킷 코어 장치(EPC: Evolved Packet Core)(12a)와 스위치 장치들(12c~12d) 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패킷 코어 장치(12a)는 제1 통신망(10)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하며, 더불어 제1 통신망(10)과 외부 망, 즉, 제2 통신망(20)과의 연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통신망(20)은 TCP/IP 규약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으로서, 유선, 무선, 광통신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구축될 수 있으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온라인 게임 서비스, 인터넷 포탈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전자상거래 서비스, VOD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서버(300)가 제2 통신망(20)에 연결되어, 제2 통신망(20)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제2 통신망(20)의 서비스 서버(300)에 접근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0)의 소정 서비스 혹은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망(10)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의 캐시 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캐시 장치(200)는 무선 접속망(11) 단위로 배치되는 에지 캐시 장치(210)와, 코어망(12)에 배치되는 코어 캐시 장치(2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는 무선 접속망(11)과 코어망(12)의 연결점에 스위치 장치(12b)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무선 접속망(11)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100)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무선 접속망(11)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캐시 장치(220)는 제1 통신망(10)의 코어망(12), 구체적으로 패킷 코어 장치(12a)와 제2 통신망(20)의 연결점에 스위치 장치(12d)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캐시 장치(220)는 패킷 코어 장치(12a)를 통해서 전달되는 사용자 장치(100)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코어망(12) 및 무선 접속망(11)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1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 및 코어 캐시 장치(220)를 포함하는 다수의 캐시 장치(200)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자를 대신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제1 통신망(10)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와 코어 캐시 장치(220)를 포함하는 다수의 캐시 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수의 캐시 장치(200)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이외에, 캐시 장치(200)별로 분배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는, 지역별로 구분되는 정보 및 지역별 구분없이 제공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무선 접속 장치(11a) 단위로 배치된 에지 캐시 장치(210)에는 지역별로 구분되는 서비스 정보가 각각 저장되고, 모든 무선 접속 장치(11a,11b)와 연결되는 코어망(12)에 배치된 코어 캐시 장치(220)에는 지역별 구분없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에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는, 해당 에지 캐시 장치(210)가 담당하는 지역, 즉,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가 연결된 무선 접속망(11)의 통신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지역별로 구분된 서비스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무선 접속망(11)의 통신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식별 정보,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해당 지역에 대하여 지정된 특정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지 캐시 장치(210)에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의 예를 들면, 지역별 날씨, 지역별 사용자 수, 지역별 관광 정보, 지역별 맛집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코어 캐시 장치(220)에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는 에지 캐시 장치(21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제공되는 디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캐시 장치(220)에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는, 지역별로 구분없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전체 지역의 종합적인 날씨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프리로딩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다수의 캐시 장치(200)에 각각 분배되어 저장되거나, CDN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다수의 캐시 장치(200)는 각각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00)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 특정 주소 정보는, 캐시 장치(200)에 대하여 할당된 IP 주소가 아니라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별로 할당된 IP주소로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는 각각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 중 하나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소 정보를 목적지 주소 정보로 하는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HTTP GET 메시지)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 통신망(10)의 경우, 모든 무선 접속 장치(11a, 11b)에 대하여 에지 캐시 장치(210)가 할당될 수 는 없다. 즉, 에지 캐시 장치(210)가 연결된 무선 접속 장치(11a)도 존재하지만, 에지 캐시 장치(210)가 연결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11b)도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장치(100)가 에지 캐시 장치(210)가 연결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11b)를 통해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는 코어망(12)(더 구체적으로는, 패킷 코어 장치(12a))에 연결된 코어 캐시 장치(220)를 통해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무선 접속 장치(11a)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100a)가 특정 주소 정보를 목적지 주소 정보로 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①), 상기 요청 메시지는 무선 접속 장치(11a)로부터 코어망(12)의 패킷 코어 장치(12a)측으로 전송되며, 이때, 무선 접속 장치(11a)와 연결된 스위치 장치(12b)를 통해서 에지 캐시 장치(210)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는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므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②). 이에, 사용자 장치(100)는 무선 접속 장치(11a)의 통신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지역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에지 캐시 장치(210)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요청 메시지는 코어 캐시 장치(220)가 수신할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다.
반면, 무선 접속 장치(11b)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100b)가 특정 주소 정보를 목적지로 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다른 무선 접속 장치(11b)에는 에지 캐시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스위치 장치(12c)를 통해서 패킷 코어 장치(12a)까지 전달되며, 상기 패킷 코어 장치(12a)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2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코어 캐시 장치(220)를 패킷 코어 장치(12a)에서 제2 통신망(20)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00)의 요청 메시지는 스위치 장치(12d)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③). 이때, 코어 캐시 장치(220)는 수신한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므로, 자신이 저장한 서비스 정보 혹은 해당 지역의 서비스 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00b)로 전송한다.
따라서, 에지 캐시 장치(210)가 배치된 지역의 사용자 장치(100a)에 대해서는 요청에 따라서 지역별로 구분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에지 캐시 장치(210)가 배치되지 않은 지역의 사용자 장치(100b)에 대해서는 요청에 따라서 지역별 구분없이 제공 가능한 일반적인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API 별로 혹은 서비스 정보의 종류 별로 특정 주소 정보를 각각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0)측에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종류를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특정 주소 정보에 대해서는 지역 날씨가 제공되도록 하고, 제2 특정 주소 정보에 대해서는 지역 관광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제3 특정 주소 정보에 대해서는 지역 맛집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선별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캐시 장치(200)를 통해서, 사용자 장치(100)는,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장치(100)는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서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상기 획득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API를 제공하는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주소 정보가 아닌 요청 메시지의 헤더 혹은 페이로드에 포함된 특정 플래그 정보 혹은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특정 플래그 정보 및 특정 태그 정보를 API 별로 혹은 서비스 정보 별로 설정하고, 각 캐시 장치(200)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청메시지의 지정된 위치에 기록된 플래그 정보 또는 태그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설정된 특정 플래그 정보 및 특정 태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정특정 플래그 정보 및 특정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캐시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상기 에지 캐시 장치(210)와 코어 캐시 장치(220)는 배치 위치 및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에지 캐시 장치(210)와 코어 캐시 장치(220)를 구분하지 않고 캐시 장치(200)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시 장치(200)는 저장부(21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210)는 캐시 장치(200)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저장부(210)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해 해당 캐시 장치(200)에서 제공할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컨텐츠는, 별도의 배포 장치를 통해서 배포되거나, 캐시 장치(200)가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저장하는 미러링 방식 또는 캐시 장치(200)가 기 설정된 캐시 정책에 따라서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캐싱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210)는 서비스 서버(300)에서 임의의 서비스(예, 유저 그룹핑 기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혹은 채팅 서비스, 날씨 서비스, 여행 정보 제공 등)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시 장치(200)가 연결된 무선 접속망(11)의 통신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식별 정보,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해당 지역에 대하여 지정된 지역 서비스 정보, 지역 구분 없이 제공되는 디폴트 서비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역 서비스 정보의 경우, 예를 들면, 지역 날씨, 지역 관광 정보, 지역 맛집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해당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배포되어 저장되거나, CDN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마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컨텐츠 및 서비스 정보는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통신망(10)의 스위치 장치(12b, 12d)를 통해서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특히,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수집은, 제1 통신망(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하여 가져오는 미러링 방식, 데이터가 캐시 장치(200)로 거치도록 경로를 조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제어부(230)는 캐시 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1 통신망(1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요청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요청 메시지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지원 기능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장치(200)에 의한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장치(200)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용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105).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용 특정 주소 정보는 API별로 혹은 서비스 정보 별로 할당되는 것으로서, 모든 캐시 장치(200)가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용으로 설정되는 특정 주소는 캐시 장치(200)의 IP 주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특정 장치에 대하여 할당된 IP 주소가 아닌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서비스를 지원하는 용도로 임의로 설정된 주소 정보이다.
그리고, 캐시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서 제1 통신망(10)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00)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요청 메시지가 수신하면(S110),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위하여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 판단한다(S115).
그리고, 비교 판단 결과,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어느 하나의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S120). 특히, 목적지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반대로,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상기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통상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수행한다(S125). 이때, 컨텐츠 전송 서비스는 오리지널 서버를 대신하여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한 컨텐츠를 캐시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한 컨텐츠가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요청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오리지널 서버를 대신하여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요청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지의 여부는 요청 메시지에서 추출된 목적지 주소 정보, 컨텐츠 식별 정보, 상기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한 오리지널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프리픽스(Prefix) 데이터를 저장부(210)에 저장된 컨텐츠와 비교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하여 임의의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장치(200)가 연결된 제1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상기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출력부(130)와,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상기 제1 통신망(1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통신망(10)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표준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는 사용자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서 인접한 무선 접속 장치(11a)를 탐색하고, 탐색된 무선 접속 장치(11a)를 통해서 제1 통신망(10)과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서 컨텐츠 혹은 컨텐츠 전송 기반의 API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HTTP GET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송된 응답 메시지, 컨텐츠 혹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의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하여 구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을 선택하여 실행 요청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및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서, 수신한 컨텐츠 혹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제어부(150)에 의해 실행되는 OS 프로그램, 다양한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이용하여 구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을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통해서 임의의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처리부(310)와, 서비스 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처리부(310)는 서비스 처리부(320)의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용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특정 주소 정보를 목적지로 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캐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부(320)로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며, 서비스 처리부(320)는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처리부(310)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은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실행되어, 캐시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임의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는 온라인 게임 어플리케이션,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 즉,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와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100)를 동작하고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면, O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구축하고, 상기 실행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 혹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하여 구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을 실행하여,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기반의 부가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이용하여 구현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을 실행한 제어부(150)는 도 6과 같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서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서(205), 해당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을 실행하여,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위한 특정 주소 정보가 목적지 주소 정보로 설정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HTTP GET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제1 통신망(10)으로 전송한다(S210). 이때, 제어부(150)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다른 특정 주소 정보를 설정하여 두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대응하는 특정 주소 정보를 목적지 주소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210 단계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의 서비스 처리부(320)가 서비스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 처리부(310)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치(100)가 접속된 무선 접속 장치(11a)를 통해서 제1 통신망(10)의 코어망(12)으로 상향 전송되며, 이때, 스위치 장치(12b)를 통해 그 전송로 상에 연결된 캐시 장치(200)에 의해 검출된다. 특히,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100)가 접속된 무선 접속 장치(11a)에 연결된 에지 캐시 장치(210)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100)가 캐시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무선 접속 장치(11b)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코어망(12)에 연결된 코어 캐시 장치(220)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200)로부터 해당 캐시 장치(200)가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HTTP RESPONSE)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와 같이 전송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통신부(110)를 통해서 수신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로부터 해당 지역의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S215).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추출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추출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 API를 통해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225).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각 사용자 장치(100)가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00)들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사용자 장치(100) 간에 채팅, 게임 등의 소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0a)이 사용자 장치(100)에서만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스탠드 얼론 타입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서비스 서버(300)와의 연동없이 추출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능 및 그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하여 통신망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캐시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망의 서로 다른 지역을 커버하는 무선 접속망 단위로 배치되는 캐시 장치에 각각 소정의 정보, 예를 들어, 지역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특정 서비스가 상기 캐시 장치에 접근하여 상기 지역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지역 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 제1 통신망
20: 제2 통신망
100: 사용자 장치
200: 캐시 장치
300: 서비스 서버

Claims (8)

  1. 통신망에 분산 배치된 하나 이상의 캐시 장치가, 각각 캐시 장치 별로 분배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각 캐시 장치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해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일치하는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해당 캐시 장치에 매핑된 지역과 관련된 지역 식별 정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지역 서비스 정보, 지역 구분 없이 제공되는 디폴트 서비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상기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요청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캐시 장치는 무선 접속망 단위로 할당된 하나 이상의 에지 캐시 장치와, 상기 무선 접속망을 연결하는 코어망에 배치된 코어 캐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지 캐시 장치는 지역별로 달라지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코어 캐시 장치는 지역별로 구분 없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6. 컨텐츠 전송 서비스로 제공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와 함께, 통신망에 분산 배치된 캐시 장치 별로 서로 다르게 분배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송수신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수집된 사용자 장치의 송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장치의 요청 메시지가 검출되면,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를 위하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 주소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특정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을 위한 캐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상기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다른 캐시 장치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하지 않도록, 상기 요청 메시지를 검출한 캐시 장치가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을 위한 캐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정보가 상기 특정 주소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요청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을 위한 캐시 장치.
KR1020130120805A 2013-10-10 2013-10-10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KR10214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05A KR102147053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05A KR102147053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67A true KR20150042067A (ko) 2015-04-20
KR102147053B1 KR102147053B1 (ko) 2020-08-21

Family

ID=5303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805A KR102147053B1 (ko) 2013-10-10 2013-10-10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64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모비젠 Api 게이트웨이 엑셀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86A (ko) 2001-04-06 2001-08-04 한석우 무선망을 통한 cdn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2808A (ko) * 2009-07-02 2011-01-10 (주)에임투지 요청배정장치를 이용한 상호협력캐시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
US20120079115A1 (en) * 2010-09-28 2012-03-29 Richardson David R Request routing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20130095249A (ko) * 2010-06-18 2013-08-27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모바일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의 확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86A (ko) 2001-04-06 2001-08-04 한석우 무선망을 통한 cdn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2808A (ko) * 2009-07-02 2011-01-10 (주)에임투지 요청배정장치를 이용한 상호협력캐시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95249A (ko) * 2010-06-18 2013-08-27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모바일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의 확장
US20120079115A1 (en) * 2010-09-28 2012-03-29 Richardson David R Request routing in a networked enviro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64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모비젠 Api 게이트웨이 엑셀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053B1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5743B2 (en) Optimized content-delivery network (CDN) for the wireless last mile
US8745239B2 (en) Edge-based resource spin-up for cloud computing
US9749403B2 (en) Managing content distribu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9390200B2 (en) Local cac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aching service
US11489941B2 (en) Pre-loading of user applications including skipping of selected launch actions
US9137550B1 (en) Physical location influenced caching
GB2497412A (en) Intelligent pre-caching using location patterns
US20110119388A1 (en) Optimization of Multimedia Service Over an IMS Network
WO2018055506A1 (en) An optimized content-delivery network (cdn) for the wireless last mile
US20120214503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Content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GB2494245A (en) Multi-stream communication
KR101436049B1 (ko)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US1040477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web server in mobile device
KR20140021372A (ko)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 및 로컬 캐싱 장치
CN110178356A (zh) 重定向的方法、控制面网元、聚合用户面网元、内容服务器和终端设备
CN103125108A (zh) 建立发射控制协议连接的系统和方法
KR20140024553A (ko) 라이브 스트리밍 컨텐츠를 위한 컨텐츠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41403B1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그의 장치 및 컨텐츠 전송 서비스 지원 방법
US9549296B2 (en) Optimizing backhaul and wireless link capac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S931361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unsolicited location-based download
KR102147053B1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기반의 api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캐시 장치
KR101867412B1 (ko)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JP5940931B2 (ja) サーバ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69869B1 (ko) 개인형 캐싱 네트워크 시스템 및 개인형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02923B1 (ko) 캐시 장치에 사전 배포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