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023A -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023A
KR20150039023A KR20130117523A KR20130117523A KR20150039023A KR 20150039023 A KR20150039023 A KR 20150039023A KR 20130117523 A KR20130117523 A KR 20130117523A KR 20130117523 A KR20130117523 A KR 20130117523A KR 20150039023 A KR20150039023 A KR 2015003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protocol
unit
protocol used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5163B1 (en
Inventor
안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63B1/en
Publication of KR201500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n out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one from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s device to carry out communications based on the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an indoor unit communications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s devic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s device uses the same protocol as itself; and a first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one from the plurality of protocol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s device.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통신방법을 상황에 따라서 달리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by discharging cold air to the room to adjust the room temperature and purify the room ai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which is constituted by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 a room, and an outdoor unit which is constituted by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and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Such an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eparately by an indoor unit constituted by a heat exchanger, an outdoor unit constituted by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and controll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to a compressor or a heat exchanger. Also, at least one in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the cooling or heating mode by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requested operation state.

공기조화기는 한 대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와 실내기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실외기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제어 동작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air conditione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can b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can perform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t this time,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nd the protocol of any one of the indoor units, an abnormality may occur in the control operation.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는 공기조화기로서 통신 프로토콜을 스스로 매칭하여 모든 실내기와 원활하게 통신하는 실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ll the indoor units smoothly by match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by itself as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외기 프로세서 및 상기 실외기 프로세서가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실내기 통신장치 및 상기 실내기 통신장치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내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실내기;를 포함한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n out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ased on a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And an indoor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And a first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an indo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외기에 신호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municating a signal to an outdoor unit bas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And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의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실외기의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로 전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for recognizing the protocol of the outdoor unit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y switching to the same protocol as that of the outdoor unit so as to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or indoor unit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실내기 또는 실외기를 함께 운용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various indoor units or outdoor units including an outdoor unit or an indoor unit capable of switching protocol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통신흐름을 도시한 호처리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illustrate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all processing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flow between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such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tact, and likewise, the second contac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tact, It is all contact, but not the same contact.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of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the singular forms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use of an indication may denote either or both of the singular and plural forms of the term and vice versa.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refers to and encompasses any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groups thereof.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 " if,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term" when "or" upon ", 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or" Quot; and "to " Similarly, the phrase " when determined "or" when an " specified condition or event is detected " Quot; or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specified condition or event]. &Quot;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computing devices, user interfaces for such devices, and related processes for utilizing such devices may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120, 130), 실내기(120, 13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 13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ndoor unit 120 and a indoor unit 130, an outdoor unit 110 interlocked with indoor units 120 and 130, 120, and 130. The control unit 140 may be a microcomputer.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The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sucks hot air from a room and heat-exchanges the refrigerant with coolant at a low temperature and then discharges it into the room to cool the room or to heat the room by the opposite action. And an expansion valve-evaporator to form a series of cycles.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10)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120, 130)로 나뉘어지는데 실외기(110)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내기(120, 130)에는 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 130)는 중앙제어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20, 130)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장치(14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mainly divided into an outdoor unit 110 installed outside the room and indoor units 120 and 130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he outdoor unit 110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nd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are provided with an evaporator . The outdoor unit 110 and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may be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ler (not shown) to receive a control signal.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120 and 130 may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and operate correspondingly.

실내기(120, 130)는 연결된 실외기(1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를 열 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 실내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 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The indoor units 120 and 130 include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nnected outdoor unit 110,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of refrigerant,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exposing the indoor unit,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and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실내기(120, 13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실내기(120, 130)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and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can control the air intake and the air discharg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to adjust the air volume.

실내기(120, 130)는 제어장치(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120, 130)는 제어장치(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20, 130)는 제어장치(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했음을 제어장치(140)에 알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indoor units 120 and 130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140 by wire or wirelessly.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device 140.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140, the indoor devices 120 and 130 may notify the control device 140 that the control device 140 has received the control sig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내기(120, 130)는 운전상태를 제어장치(14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120, 130)는 온/오프 여부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되는 경우, 이를 제어장치(140)에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120, 130)는 이벤트 발생시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제어장치(140)과 통신할 수 있다.The indoor units 120 and 130 can transmit the operation state to the control device 140. [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can transmit the on / off status or the operation status to the controller 140 when the status changes.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140 when an event occurs or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공기조화기는 제어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각각의 실내기(120,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실내기(120, 130)의 운전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공기청정 또는 난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140. The control device 140 can control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respectively. The control device 140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indoor units 120 and 130. [ The operating mode may include cooling, dehumidifying, air cleaning or heating, and the like.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외기 프로세서(210) 및 실외기 프로세서(210)가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통신장치(230)를 포함하는 실외기(110) 및 실외기 통신장치(230)와 통신하여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실내기 통신장치(330) 및 실내기 통신장치(330)의 판단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내기 프로세서(310)를 포함하는 제1 실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air conditioner of one embodiment includes an outdoor unit processor 2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3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ased on a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An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and an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that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and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And a first indoor unit 120 including an indoor unit processor 310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110)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실외기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outdoor unit 110 and may execute or execute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 / or sets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outdoor unit memory 220 for processing data.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process signals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outdoor unit memory 220.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메모리(22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에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retriev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rotocols stored in the outdoor unit memory 220.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조사한 복수의 실내기 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실내기 중에서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실내기를 검색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실내기 중에서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based o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nspected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search indoor units that can not switch protocols amo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recognize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the protocol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실내기 중에서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내기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select a protocol to be used by an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protocols amo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select a protocol and have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using the protocol.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실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신호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실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신호를 송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cause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to transmit a signal in response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can determine whether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indoor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accordingly.

실외기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memory 220 may includ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The outdoor unit memory 220 may also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but not limited to,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olid state memory devices.

예를 들어, 실외기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실외기 프로세서(210)의 동작 중, 실외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실외기(11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door unit memory 2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The EEP-ROM can be written and eras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The EEP-ROM may be a storage device in which information stored therein is not erased eve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outdoor unit 110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is stopped.

실외기 메모리(220)는 실외기 프로세서(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외기 메모리(220)는 실내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programs or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The outdoor unit memory 22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tocols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unit.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실내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실외기 프로세서(210)가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내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120.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120 based on the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실내기(120)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실내기(1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실외기 프로세서(2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receive various signals from the indoor unit 120.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transmi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120 to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실내기(120)는 복수 대일 수 있다. 실내기(120)는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는 제1 실내기 및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제2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는 제1 실내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제2 실내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s 120 may be plural units. The indoor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indoor unit capable of switching protocols and a second indoor unit unable to switch protocols.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rst indoor unit capable of switching protocols.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cond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the protocol.

실외기 통신장치(230) 또는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제2 실내기의 존재를 파악한 경우, 제2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파악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제2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실외기 프로세서(210)가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or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second indoor unit, it can grasp the protocol used by the second indoor unit. The outdoor processor 210 may select a protocol used by the second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communicate based on the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perform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which are electromagnetic signals. The RF circui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and electromagnetic signals to each other,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electromagnetic signals.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F circuitry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Lt; / RTI > circu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door unit 120 for air conditioning the room.

실내기(12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와 통신하여 실외기 통신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실내기 통신장치(330) 및 실내기 통신장치(330)의 판단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내기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30 and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330 And may include an indoor unit processor 310 that sele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based on the protocol.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실외기(110)와 통신한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determine the protocol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110. [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실외기(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실외기(110)에 탐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송신한 탐지신호에 대응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has received the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110. [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may cause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to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to the outdoor unit 110. [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is received.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일정한 시간 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일정한 시간 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detect whether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switch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when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의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실외기(110)와 계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실외기(110)의 신호에 대응하는 탐지신호의 프로토콜을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가 수신한 실외기(110)의 신호에 대응하는 탐지신호의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change the protocol of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and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recognize the protocol of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outdoor unit 110 receiv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select the protocol of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outdoor unit 110 receiv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실내기 통신장치(330)로부터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수신한 경우, 그를 승인할 수 있다.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선택완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protocol selection request from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When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receives the protocol selection request, it can approve the protocol selection request.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output a selection completion signal.

실내기 메모리(3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메모리(3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memory 320 may includ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The indoor unit memory 320 may also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olid state memory devices, but may include readable storage media.

예를 들어, 실내기 메모리(3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실외기 프로세서(210)의 동작 중, 실내기 프로세서(3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실내기(12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ndoor unit memory 3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In the EEP-RO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write and erase information. The EEP-ROM may be a storage device in which information stored therein is not erased eve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indoor unit 120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is stopped.

실내기 메모리(320)는 실내기 프로세서(3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내기 메모리(320)는 실외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memory 320 may store various programs or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The indoor unit memory 32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tocols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외기(110)에 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외기(110)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determine whethe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door unit 110. [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탐지신호에 대응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bas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recognize the protocol on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based.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switch the protocol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한 신호가 실외기(110)에 수신되었음을 파악하지 못한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실외기 통신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전환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재차 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탐지신호의 기초인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230 by switching the protocol when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not recognize that the transmitted signal has been received by the outdoor device 1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again based on the switched protocol. When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receive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recognize what protocol is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실외기 통신장치(230)와 통신하여,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파악한 경우,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switches the protocol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has received the signal,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transmit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and the protocol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For example, when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t can determine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실내기 프로세서(310)에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may transmit a protocol selection request to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when it determines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내기 프로세서(310)로부터 프로토콜 선택완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 이후로 실내기 프로세서(310)가 승인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receives the protocol selec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based on the protocol approved by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thereafter.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perform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which are electromagnetic signals. The RF circui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and electromagnetic signals to each other,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electromagnetic signals.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 통신장치(230)와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RS-485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RS-485 통신방법은 다자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RS-485 통신방법은 송신과 수신을 분리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F circuitry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Lt; / RTI > circuit.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and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communicate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may be capable of multi-party communication.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is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실내기(130)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340) 및 입력을 받는 입력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출력장치(34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350)는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13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output unit 340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n input unit 350 for receiving an input. The output device 340 may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or a display that emits light to provide a visual indication. The input device 350 may include means for receiving inputs from the outside such as physical buttons, dials, slider switches, click wheels, and the like.

출력장치(340)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output device 340 may be a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장치(34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고, 촉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put device 34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touch sensitive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visual output to a user and accepts input from a user based on the tactile contact.

도 3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통신흐름을 도시한 호처리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flow between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을 참조하면, 실외기(110)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저장할 수 있다. 실외기(11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내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outdoor unit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protocols. The outdoor unit 110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120.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 통신규약이다. 프로토콜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전송제어와 오류관리를 위한 제어정보, 두 기기간의 통신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토콜은 통신속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1200bps의 속도이고, 제2 프로토콜은 960bp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 protocol is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facilitates the exchange of data between different devices. The protocol may include th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control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control and error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peed between the two devices. The plurality of protocols may have different communication speeds. For example, the first protocol may be at a rate of 1200 bps and the second protocol may be at 960 b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의 프로토콜은 전송방식이 각기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로토콜은 데이터 형식 부호화와 신호레벨들을 규정하는 구문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그 내용에는 한정하지 아니한다.Multiple protocols may have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ocol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data format coding and signal level defining specific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외기(110)는 실내기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가 실내기로부터 수신한 실내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내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S420).The outdoor unit 110 can grasp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unit.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indoor unit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S410).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select a protocol to be us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unit (S420).

예를 들어, 실외기(110)는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제2 실내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외기(110)는 제2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S420). 실외기 프로세서(21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에 선택된 프로토콜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30).For example, the outdoor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cond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the protocol. The outdoor unit 110 can select a protocol used by the second indoor unit (S420). The outdoor unit processor 210 may provide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30 with information on what protocol is selected (S430).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실외기(110)는 두 가지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전원을 인가하고 실외기 프로세서(21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횟수 이상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장치(230)는 전원을 인가하고 실외기 프로세서(21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횟수 이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utdoor unit 110 can use any one of the two protocols.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select a first protocol when a power is applied and a signal is not receiv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outdoor processor 210 at regular intervals.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select the second protocol when a power is applied an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door processor 210 a certain number of times at regular interva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실외기(110)는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내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제2 실내기가 제2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경우, 실외기(110)는 제2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10 can communicate with the indoor unit 120 based on the selected protocol. 3, if the second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the protocol communicates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the outdoor unit 110 can select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rotocol.

도 4 를 참조하면, 실외기(110)는 실내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10)는 프로토콜을 확인하기 위한 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outdoor unit 110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indoor unit 120.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110 may receive a detection signal for confirming the protocol.

실외기(110)는 실내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10)는 실내기(120)가 송신한 탐지신호의 프로토콜이 자신이 선택한 프로토콜과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서, 대응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indoor unit 120, the outdoor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o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ocol of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indoor unit 120 is the same as the protocol selected by the indoor unit 120.

실내기 통신장치(230)는 실외기 통신장치(230)에 신호를 요청하는 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40).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requesting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230 (S440).

도 4 에 도시된 실내기(12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제1 실내기일 수 있다. 실내기(12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기초하여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120 shown in FIG. 4 may be a first indoor unit capable of selecting any of a plurality of protocols for communication. The indoor unit 120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based thereon.

실내기(120)는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12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한 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120 can recognize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120 can output a detection signal bas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도 5 를 참조하면, 실내기(12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실내기(120)는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S442).Referring to FIG. 5, the indoor unit 120 may wait fo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ction signal. The indoor unit 120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and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be received (S442).

실내기(120)는 제1 시간 이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내기(120)는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실외기(110)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상이하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20)는 제1 시간 이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S444).The indoor unit 120 may determine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120 when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ime. When the indoor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120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120 can switch the protocol. For example, i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ime, the indoor unit 120 may switch the protocol (S444).

도 6 의 (a) 를 참조하면, 실내기(120)는 전환한 프로토콜에 기초한 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46). 실내기(12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실내기(120)는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indoor unit 120 can output a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switched protocol (S446). The indoor unit 120 may wait fo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he indoor unit 120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and wait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to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도 6 의 (b) 를 참조하면, 실내기(120)는 실외기(110)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50). 실내기(120)는 실외기(110)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실내기(120)는 실외기(110)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indoor unit 120 can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110 (S450). When the indoor unit 12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120 can recognize what protocol is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indoor unit 12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unit 120 can select a protocol that is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실내기(120)는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내기(120)는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120 can finally select the protocol on which the detection signal is based. The indoor unit 120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based on the selected protocol.

예를 들어,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실외기(110)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을 선택해야 한다는 프로토콜 선택요청(S460)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110,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330 may output a protocol selection request (S460) indicating that the protocol to be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should be selected.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S470). 실내기 프로세서(310)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였다는 선택완료신호를 실내기 통신장치(330)에 송신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may select a protocol (S470). The indoor unit processor 310 can transmit the selec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protocol is selected to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

실내기 통신장치(330)는 선택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선택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외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330 receives the selection completion signal,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 110 based on the selected protocol.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 및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tep S510 of communicating with an outdoor unit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and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according to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S530).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는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외기에 프로토콜을 확인하기 위한 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step S510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for confirming the protocol to the outdoor unit based on any one of the protocols.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에 임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는 실외기와의 통신결과에 따라서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step S510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ing may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ocols. The step S510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may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by switching the protoc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는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 이후에 재차 반복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에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하다고 판단된 경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는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다시 실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 S510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ocol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S520) after the step S520.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0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by the indoor unit, The step S510 of selecting on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ng may be performed again by switching the protocol.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an determine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depends on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I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Can be judged to be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예를 들어,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ncludes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nd output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may wait for a corresponding signal to be received.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제1 시간 이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may be such that i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ime, It can be judged that the protocol used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it uses.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상이하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제1 시간 이내에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S520) can switch the protocol when determining that the protocol to be used is different. The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may be such that if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ime, can do.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에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할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S51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0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S510) may be performed again.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탐지신호를 송신하고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may wait for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he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n response to the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includes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You can wait to be received.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에서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탐지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탐지신호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In the step S5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when the indoor unit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utdo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Which is the protocol to be used.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520)는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실외기 통신장치가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파악한 경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5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by switching the protocol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the signal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S530)는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S530)는 프로토콜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완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step S530 of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can do. In step S530 of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 step S530 may output a selec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protocol conversion is completed.

선택완료신호가 출력된 경우, 실내기는 실외기와 선택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completion signal is outputted, the indoor unit can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the outdoor unit and the selected protocol.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s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 one oper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ll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rovide a computer having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실외기
120, 130 : 실내기
140 : 제어장치
110: outdoor unit
120, 130: indoor unit
140: Control device

Claims (14)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외기 프로세서 및 상기 실외기 프로세서가 선택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실내기 통신장치 및 상기 실내기 통신장치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내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 outdoor unit including an out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and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ased on a protocol selected by the outdoor unit processor; And
An indoor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And a first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unit processor for selecting the indoor unit proc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장치는 송신한 신호가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tted signal is received by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한 신호가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에 수신되었음을 파악하지 못한 경우, 상기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by switching the protocol when the indoor communication device fails to recognize that the transmitted signal has been received by the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장치는 상기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가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파악한 경우, 상기 실내기 프로세서에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송신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by switching the protocol and sends a protocol selection request to the indoor unit proces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has received th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토콜을 전환하지 못하는 제2 실내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door processor recognizes whether or not a second indoor unit that can not switch the protocol exis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실내기의 존재를 파악한 경우,
상기 제2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outdoor unit processor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second indoor unit,
And an air conditioner for recognizing a protocol used by the second indo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는 상기 제2 실내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communication by selecting a protocol used by the second indoor unit.
복수의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ommunicating with an outdoor unit bas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protocols;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unit; And
And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according to whether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송신한 신호가 상기 실외기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d signal is received by the outdoo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한 신호가 상기 실외기에 수신되었음을 파악하지 못한 경우,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nd judges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different from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when it is not recognized that the transmitted signal has been received in the outdoor uni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할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determining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different from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nd again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by switching the protocol to be u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실외기 통신장치가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파악한 경우,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Determining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When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apparatus has received the signal by switching the protocol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etermines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프로토콜 선택 요청을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Selecting the protocol to be used,
And outputting a protocol selection reque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the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Selecting a protocol to be used according to whether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is the same as a protocol used by the outdoor unit,
And outputs a selec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protocol switching is completed.
KR1020130117523A 2013-10-01 2013-10-01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KR102205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523A KR102205163B1 (en) 2013-10-01 2013-10-01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523A KR102205163B1 (en) 2013-10-01 2013-10-01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23A true KR20150039023A (en) 2015-04-09
KR102205163B1 KR102205163B1 (en) 2021-01-19

Family

ID=5302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523A KR102205163B1 (en) 2013-10-01 2013-10-01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323A (en) * 2018-05-30 2021-02-25 리니지 로지스틱스, 엘엘씨 Heat control system
US12000649B2 (en) 2023-03-10 2024-06-04 Lineage Logistics, LLC Thermal control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18B1 (en) * 2005-12-31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20070072263A (en) * 2005-12-31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airconditioner system and communicationg method thereof
KR20090078637A (en) * 2008-01-1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20033746A (en)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20120085118A (en) * 2011-01-21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control points of the same
JP2012149801A (en) * 2011-01-18 2012-08-09 Daikin Industries Ltd Overall control board of air conditioner
KR20130037116A (en) 2011-10-05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18B1 (en) * 2005-12-31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20070072263A (en) * 2005-12-31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airconditioner system and communicationg method thereof
KR20090078637A (en) * 2008-01-1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20033746A (en)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JP2012149801A (en) * 2011-01-18 2012-08-09 Daikin Industries Ltd Overall control board of air conditioner
KR20120085118A (en) * 2011-01-21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control points of the same
KR20130037116A (en) 2011-10-05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323A (en) * 2018-05-30 2021-02-25 리니지 로지스틱스, 엘엘씨 Heat control system
US11181316B2 (en) 2018-05-30 2021-11-23 Lineage Logistics, LLC Thermal control system
US11629908B2 (en) 2018-05-30 2023-04-18 Lineage Logistics, LLC Thermal control system
US12000649B2 (en) 2023-03-10 2024-06-04 Lineage Logistics, LLC Thermal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163B1 (en)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12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236166B1 (e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97659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US20140216078A1 (en) Reduced energy heat pump defrost for unoccupied space
KR101972038B1 (en) An controller and a system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KR101972039B1 (en) System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CN110140015B (en) Central control device, indoor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140129779A (en)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KR101963615B1 (en) An controller and a system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KR102205163B1 (en)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KR20140134872A (en) An air conditioner and a system thereof
US2021028567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140039874A (en) An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KR1019720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1942522B1 (en) An controller and a system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KR102163857B1 (en)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KR102224633B1 (en)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KR102143347B1 (en) An remote controller and an air conditioner system thereof
KR102566857B1 (en) Home Automation System Device Power Optimization
KR102010389B1 (en) An controller
KR20140115788A (en) An air conditioner
KR102000064B1 (en) An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KR102203429B1 (en) An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KR20140132187A (en) An controller
KR102063631B1 (en) An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