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973A -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973A
KR20150035973A KR20150037621A KR20150037621A KR20150035973A KR 20150035973 A KR20150035973 A KR 20150035973A KR 20150037621 A KR20150037621 A KR 20150037621A KR 20150037621 A KR20150037621 A KR 20150037621A KR 20150035973 A KR20150035973 A KR 2015003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umber
unique identification
smartphone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3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업
Original Assignee
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업 filed Critical 박기업
Priority to KR2015003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973A/ko
Publication of KR2015003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스마트폰과 사업장의 AP가 특정 지역에서 Wi-Fi, 3G 및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를 인지하고,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스마트폰 또는 사업장 단말기에서 직접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business promotion and payment services to user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smartphone and AP based on area}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스마트폰과 사업장의 AP가 특정 지역에서 Wi-Fi, 3G 및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를 인지하고,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스마트폰 또는 사업장 단말기에서 직접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사업장이나 대형 할인 마트가 많이 들어서고 사업장 간 또는 대형 할인 마트 간에 매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시 및 홍보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이를 테면, 가맹점이나 대형 할인 마트에서는 특정 할인 상품을 정하여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현장에서 음성으로 알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때로는 이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호객 전담 요원을 별도로 두어야 하는 등 그에 따른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기존에는 할인 행사 상품이나 신상품, 이벤트 등을 알리기 위해서, 일일이 전단지를 제작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렇게 전단지를 제작하는 것은 그 특성상 주로 고급용지와 컬러 인쇄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부담과 자원낭비 더 나아가서는 환경오염의 문제점까지 있다.
또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와 같은 스팸성 데이터를 불특정 다수에게 일괄적으로 발송하는 방식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너무 많은 스팸성 정보로 인해 이용자들이 내용도 보지 않고 삭제하거나 스팸 처리를 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상술한 종래의 홍보 방법들은 정보가 필요한 이용자의 입장에서 자발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일괄적으로 행해지는 일반적인 정보 전달방법이기 때문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해 효율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쇼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wtwork game)을 이용하여 가게를 홍보하는 방식(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77483호, 참조), 특정 지역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예측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방식(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69618호, 참조), 중소규모 사업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마켓팅 및 이용자를 관리하는 방식(국내 등록특허 제10-0829913호, 참조), 계약 체결시 음식점을 방문한 이용자에게 음식 주문시 메뉴정보와 함께 스폰서의 판촉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559호, 참조) 등과 같은 다양한 홍보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특정 사업장이 원하는 이용자에게만 가맹점, 즉 사업주가 원하는 홍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물품의 구매 및 판매에 따른 대금 결제시 대부분 현금을 사용하거나 구매자가 소지한 신용카드를 이용하였는데, 이중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물품 판매점에서 물품을 구입한 뒤 소지한 신용카드를 제시하면, 물품 판매점에서는 자체구비된 신용카드 조회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 서버에 해당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가능 여부에 대해 조회요청한 후, 그 조회 결과에 따라 판매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제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소지해야 하는 신용카드는 분실의 위험이 크고, 더구나 대부분의 신용카드는 소액 거래보다는 고액 거래에 주로 사용되어 그 사용 빈도가 낮기 때문에 분실된 경우에도 분실사실을 쉽게 알 수 없어, 신용카드 소지자가 분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신용카드 습득자가 부정거래 등의 악의적 거래에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신용카드는 마그네틱 스트립방식으로 구매자(이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위변조에 취약하며 이로 인하여 위변조 신용카드에 의한 수천만 원 이상의 피해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용카드를 이용한 물품거래는 판매점에서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소액거래에서는 신용카드가 사용되지 않고 있어서, 신용카드 소지자도 소액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현금을 지니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판매점의 입장에서는 신용카드 판독 및 검증을 위한 별도의 조회단말기를 확보하기 위한 추가비용이 소요되므로, 빈번한 소액거래를 위주로 하는 소규모의 물품판매처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를 수용하기가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에서 더 나아가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폰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결제방법으로는 특허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에는 물품의 구매 및 판매를 위해, 물품 판매자가 결제 요청한 대금의 승인 여부에 대하여,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구매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된 결과를 물품 판매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보하는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대금 결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물품 구매와 판매를 위해,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물품 판매처에 구비된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물품대금을 간단히 결제요청하고, 이에 따른 결제승인 여부를 해당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물품 판매처의 통신단말기에 통보하는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대금 결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IrDA 표준에 따른 적외선 데이터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이나 버스 이용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데이터 통신기능을 이용한 요금결제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가맹점의 고유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은 이용자와 그에 해당하는 가맹점으로부터 거래내용을 입력받아 확인하여 결제를 하는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물품대금이나 요금 및 거래금액을 결제하는 경우, 결제를 위한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이용자가 꺼리는 한편 결제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초정밀 위치 측위시스템을 이용하여 가맹점 진입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가맹점 진입 자동확인 및 자동주문 결제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사용자가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상점 및 식당과 같은 가맹점에서 결제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단말기가 구비한 무선랜 모듈을 통해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인식하고, 결제 완료되면 해당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랜 방식으로 결제결과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결제결과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맥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무선랜 AP를 통해 매장 서버 및 접속단말기와 접속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결제처리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5 내지 7의 경우, 별도의 요청이나 기타 입력없이, 블루투스 비콘이나 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가맹점 등에서의 비용 결제나 각종 정보를 제공받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0325683 호(2002. 02. 25. 공고일자) 국내 등록특허 제 10-0565825 호(2006. 03. 30. 공고일자) 국내 등록특허 제 10-0639320 호(2006. 10. 27. 공고일자) 국내 등록특허 제 10-0403196 호(2003. 10. 30. 공고일자)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101244호(2012. 09. 13. 공개일자)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84001호(2011. 07. 21. 공개일자)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03129호(2012. 01. 10. 공개일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스마트폰 또는 사업장 단말기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소지한 이용자가 사업장을 방문하거나 지나칠 때 해당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를 전송, 즉 지역기반의 쇼셜 네트워크와 소셜 커머스를 결합하여 사업주가 원하는 대상의 이용자, 즉 스마트폰에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 및 현장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는 클라우드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것만으로 각종 가맹점에서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맹점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을 위한 쿠폰 발행, 번호대기표 발행, 입출입 감시, 전단지 살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홍보정보를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홍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을 위한 쿠폰 발행, 번호대기표 발행, 입출입 감시, 전단지 살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홍보정보를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홍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폰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DB에서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사업장 ID로 분류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에 가입자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수신된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가 수신된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폰이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로부터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이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자 단말기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에 제공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AP가 클라우드 서버가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AP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서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에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GCM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가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에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결제정보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가 스마트폰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DB에서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AP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를 분류하여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에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에 가입자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수신된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상기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가 수신된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이 AP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로부터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이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사업장 단말기에 제공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주변으로부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해당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의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AP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서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에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GCM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가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에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결제정보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스마트폰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용자, 즉 가입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업장에서 쉽게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을뿐더러 결제하는 동안 사업장 등은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사업장 및 기타 특정 물품이나 서비스 또는 물품을 판매하는 주체를 홍보하기 위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각종 통신망을 매개로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이벤트나 번호대기정보, 전자메뉴판 및 상품 주문서 등과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카페, 호프집, 은행, 병원 등과 같은 사업장은 사업주가 원하는 이용자에게 해당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은행이나 병원, 커피숍 등과 같은 사업장에서는 대기번호표 발급기를 대신하여 해당 사업장을 찾은 이용자에게 대기번호표를 발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입자는 클라우드 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것만으로 각종 가맹점에서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맹점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a,b 내지 도 5a, b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에 대하여, 각각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하고 그 기능의 일부가 다르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도면으로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다만, 각 실시예마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사업장으로부터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상기 GCM 서버(3)는 특정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를 통해 홍보 서버(8)로부터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GCM 서버(3)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와 홍보 서버(8)는 클라우드 서버(4)의 요청에 따라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으로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폰(2)은 어플 탑재시 GCM ID, 블루투스, Wi-Fi, CDMA, 3G, 4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Address)와 같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자신의 DB에 저장한다.
위와 같은 환경에서, AP(1)는 사업장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고유식별번호를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 AP 단독으로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부하를 줄이게 되고, 스마트폰의 해킹 위험도를 현저하게 줄이게 되므로 기술 안정성이 담보되고, 소비자의 신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인지되었던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즉, AP(1)는 해당 스마트폰(2) 이용자가 새롭게 방문한 이용자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새롭게 방문한 이용자의 스마트폰(2)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서비스 서버(5)를 통해 홍보 서버(8)에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요청한 후,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취득하여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GCM 서버(3)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가 GCM 서버(3)로부터 특정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스마트폰(2)에 전달되므로 사업장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용자에게 해당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사업장으로부터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상기 GCM 서버(3)는 특정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를 통해 홍보 서버(8)로부터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GCM 서버(3)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와 홍보 서버(8)는 클라우드 서버(4)의 요청에 따라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으로 지역기반으로 사업장을 홍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폰(2)은 어플 탑재시 GCM ID, 블루투스, Wi-Fi, CDMA, 3G, 4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Address)와 같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이때 AP(1)는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2)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자신의 DB에 저장한다.
위와 같은 환경에서, 스마트폰(2)은 자신의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인지되었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즉, 스마트폰(2)은 해당 AP(1) 사업장이 새롭게 방문하는 사업장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새롭게 방문한 사업장의 AP(1)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서비스 서버(5)를 통해 홍보 서버(8)에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요청한 후,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취득하여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함께 GCM 서버(3)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업장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가 GCM 서버(3)로부터 특정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스마트폰(2)에 전달되므로 사업장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용자에게 해당 사업장을 홍보할 수 있다.
- 실시예 3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자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사업장으로부터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은 결제 서버(6), 서비스 서버(5), 클라우드 서버(4) 및 GCM 서버(3)를 통해 사업장 단말기(7)에서 결제한 결제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GCM 서버(3)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이용자가 결제한 결제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결제 서비스를 위한 AP(1)의 고유식별번호인 경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는 DB에서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를 분류하여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5)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상기 결제 서버(6)는 스마트폰(2) 이용자가 결제 서비스를 위해 등록한 서버로서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에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POS기기 등)(7)에 가입자 ID를 전송하고,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가입자, 즉 스마트폰(2)을 가지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고, 해당 결제정보와 함께 가입자 ID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2a 및 도 2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을 탑재(다운로드)하는 경우, 스마트폰(2)은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101)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2)의 블루투스 주소는 블루투스, WiFi 및 CDMA, 3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 등)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2)은 AP(1)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S102).
위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되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S103)한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와 연동되는 DB(DataBase)에 저장(S104)하게 된다. 물론, AP(1)에 관련된 고유식별정보 등은 사업장에 AP(1)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위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의 DB에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 등과 같은 관련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AP(1)는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S105)하여, 인지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106)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특정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S107), 즉 해당 스마트폰(2) 이용자가 해당 사업장에 처음 방문한 이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처음 방문한 이용자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108)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를 스마트폰(2) 또는 사업장 단말기(7)에서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결제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2)을 통해 수집되거나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각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가 공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DB에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로 분류하고,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로 분류하여 결제 서버(6)에 전송(S109)하게 된다.
그리하면,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에 등록되어 있는 사업장 단말기(POS 기기 등)(7)에 스마트폰(2)에 대응하는 가입자 ID를 전송(S110)하게 된다.
그 후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단말기(7)에 내장되어 있는 결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S111)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 이용자는 패스워드나 지문인식, 얼굴인식, 싸인 등을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마트폰(2)을 가지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사업장 단말기(7)에서 결제한 후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정보와 함께 가입자 ID를 결제 서버(6)에 전송(S112)하게 된다.
이어서, 결제정보와 가입자ID가 수신되는 결제 서버(6)는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다시 서비스 서버(5)에 전송(S113)하게 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로부터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DB로부터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검색하여, 결제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114)하게 된다.
그리하면, 서비스 서버(5)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로 전송(S115)하게 된다.
이후, GCM 서버(3)가 GCM ID로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폰(2)에 결제정보를 전송(S116)함으로써 이용자는 스마트폰(2)을 통해 결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S117)할 수 있다.
- 실시예 4 -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자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사업장으로부터 쿠폰이나 번호대기표, 입출입 감시, 전단지 등과 같은 홍보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용자는 스마트폰(2)에서 GCM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결제할 수 있으며, 결제 후 스마트폰(2)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상기 GCM 서버(3)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제공되는 사업장정보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P(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결제 서비스를 위한 AP(1)의 고유식별번호인 경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 있는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반대로 서비스 서버(5)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서비스 서버(5) DB에 등록된 사업장 정보와 수신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5)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상기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7)에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요청받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한편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출력하여 사업장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3a 및 도 3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을 탑재(다운로드)하는 경우, 스마트폰(2)은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201)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2)의 블루투스 주소는 블루투스, WiFi 및 CDMA, 3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 등)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2)은 AP(1)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S202).
위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되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S203)한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와 연동되는 DB(DataBase)에 저장(S204)하게 된다. 물론, AP(1)에 관련된 고유식별정보 등은 사업장에 AP(1)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위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의 DB에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 등과 같은 관련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AP(1)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S205)하여, 인지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206)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특정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S207), 즉 해당 스마트폰(2) 이용자가 해당 사업장에 처음 방문한 이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처음 방문한 이용자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208)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를 스마트폰(2) 또는 사업장 단말기(7)에서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결제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2)을 통해 수집되거나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각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가 공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 있는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 및 서비스 정보를 요청(S209)하게 된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5)로부터 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결제 서버(6)는 수신되는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POS 기기 등)(7)에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요청(S210)한다. 그리하면, 사업장 단말기(7)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결제 서버(6)에 전송(S211)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는 사업장 ID와 함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212)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 이용자는 패스워드나 지문인식, 얼굴인식, 싸인 등을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결제 서버(6)로부터 사업장 ID와 함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해당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에서 사업장 ID로부터 상기한 S209 단계에서와 같이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213)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5)로부터 사업장정보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되는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휴대 단말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S214)하게 된다. 그리하면, GCM 서버(3)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수신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S215)함으로써 이용자, 즉 가입자가 스마트폰(2)에서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확인한 후 결제(S216)할 수 있다. 결제 후 결제정보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으로 전송(S217)되게 된다.
위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다시 서비스 서버(5)에 전송(S218)하게 된다.
따라서, 결제정보가 서비스 서버(5)와 결제 서버(6)를 거쳐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S219)(S220)됨으로써 사업장 관리자는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결제정보를 확인(S221)할 수 있다.
- 실시예 5 -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자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주변으로부터 AP(1)를 인지하여 이용자가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 경우, 해당 사업장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은 결제 서버(6), 서비스 서버(5), 클라우드 서버(4) 및 GCM 서버(3)를 통해 사업장 단말기(7)에서 결제한 결제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GCM 서버(3)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이용자가 결제한 결제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결제 서비스를 위한 AP(1)의 고유식별번호인 경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는 DB에서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를 분류하여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5)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상기 결제 서버(6)는 스마트폰(2) 이용자가 결제 서비스를 위해 등록한 서버로서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에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POS기기 등)(7)에 가입자 ID를 전송하고,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가입자, 즉 스마트폰(2)을 가지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고, 해당 결제정보와 함께 가입자 ID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4a 및 도 4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을 탑재(다운로드)하는 경우, 스마트폰(2)은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301)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2)의 블루투스 주소는 블루투스, WiFi 및 CDMA, 3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 등)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후, AP(1)는 스마트폰(2)이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S302).
위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되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S303)한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와 연동되는 DB(DataBase)에 저장(S304)하게 된다. 물론, AP(1)에 관련된 고유식별정보 등은 사업장에 AP(1)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위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의 DB에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 등과 같은 관련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스마트폰(3)은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S305)하여, 인지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306)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특정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S307), 즉 이용자가 해당 사업장에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지를 확인하여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308)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를 스마트폰(2) 또는 사업장 단말기(7)에서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결제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2)을 통해 수집되거나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각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가 공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DB에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로 분류하고,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로 분류하여 결제 서버(6)에 전송(S309)하게 된다.
그리하면,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에 등록되어 있는 사업장 단말기(POS 기기 등)(7)에 스마트폰(2)에 대응하는 가입자 ID를 전송(S310)하게 된다.
그 후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단말기(7)에 내장되어 있는 결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결제(S311)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 이용자는 패스워드나 지문인식, 얼굴인식, 싸인 등을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마트폰(2)을 가지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사업장 단말기(7)에서 결제한 후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정보와 함께 가입자 ID를 결제 서버(6)에 전송(S312)하게 된다.
이어서, 결제정보와 가입자ID가 수신되는 결제 서버(6)는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다시 서비스 서버(5)에 전송(S313)하게 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로부터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314)하게 된다.
그리하면, 서비스 서버(5)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로 전송(S315)하게 된다.
이후, GCM 서버(3)가 GCM ID로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폰(2)에 결제정보를 전송(S316)함으로써 이용자는 스마트폰(2)을 통해 결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S317)할 수 있다.
- 실시예 6 -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자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1), 스마트폰(2), GCM 서버(3), 클라우드 서버(4), 서비스 서버(5), 결제 서버(6), 사업장 단말기(7) 및 홍보 서버(8) 등을 포함한다.
상기 AP(1)는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해당 사업장 단말기(7)에 대응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지속적으로 뿌려준다. 즉, AP(1)는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AP(1)가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AP(1)에 대한 관련정보는 사업장에 AP(1)를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상기 스마트폰(2)은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어플)이 탑재된 단말기로서 어플 탑재시 GCM ID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블루투스나 WiFi, CDMA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를 말한다)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AP(1)로부터 뿌려지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주변으로부터 AP(1)를 인지하여 이용자가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 경우, 해당 사업장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이용자는 스마트폰(2)에서 GCM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결제할 수 있으며, 결제 후 스마트폰(2)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상기 GCM 서버(3)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제공되는 사업장정보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여, DB에 저장(등록)하고, AP(1)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관련정보를 제공받아 DB에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분석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 결제 서비스를 위한 AP(1)의 고유식별번호인 경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5)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 있는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반대로 서비스 서버(5)는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서비스 서버(5) DB에 등록된 사업장 정보와 수신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5)는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한다.
상기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7)에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수신되는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는 서비스 서버(5)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업장 단말기(7)는 결제 서버(6)로부터 요청받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한편 결제 서버(6)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출력하여 사업장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마트폰(2)과 AP(1)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5a 및 도 5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스마트폰(2)에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을 탑재(다운로드)하는 경우, 스마트폰(2)은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401)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2)의 블루투스 주소는 블루투스, WiFi 및 CDMA, 3G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의 고유번호(MAC 어드레스 등)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후, AP(1)는 스마트폰(2)이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S402).
위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되는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S403)한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와 연동되는 DB(DataBase)에 저장(S404)하게 된다. 물론, AP(1)에 관련된 고유식별정보 등은 사업장에 AP(1) 설치시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위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의 DB에 GCM ID,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 등과 같은 관련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스마트폰(3)은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인지되는지를 확인(S405)하여, 인지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406)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특정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S407), 즉 이용자가 해당 사업장에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지를 확인하여 처음 방문한 사업장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는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408)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는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를 스마트폰(2) 또는 사업장 단말기(7)에서 별도의 확인과정 없이 결제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폰(2)을 통해 수집되거나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수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각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스마트폰(2)과 사업장 단말기(7)가 공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 있는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 및 서비스 정보를 요청(S409)하게 된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5)로부터 물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결제 서버(6)는 수신되는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POS 기기 등)(7)에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요청(S410)한다. 그리하면, 사업장 단말기(7)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결제 서버(6)에 전송(S411)한다. 그리고 결제 서버(6)는 사업장 ID와 함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S412)하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결제 서버(6)로부터 사업장 ID와 함께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5)는 해당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에서 사업장 ID로부터 상기한 S409 단계에서와 같이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S413)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5)로부터 사업장정보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되는 클라우드 서버(4)는 해당 휴대 단말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S414)하게 된다. 그리하면, GCM 서버(3)는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수신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S415)함으로써 이용자, 즉 가입자가 스마트폰(2)에서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단가 등)를 확인한 후 결제(S416)할 수 있다. 결제 후 결제정보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로 전송(S417)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 이용자는 패스워드나 지문인식, 얼굴인식, 싸인 등을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한 클라우드 서버(4)는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다시 서비스 서버(5)에 전송(S418)하게 된다.
따라서, 결제정보가 서비스 서버(5)와 결제 서버(6)를 거쳐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S419)(S420)됨으로써 사업장 관리자는 사업장 단말기(7)를 통해 결제정보를 확인(S421)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AP(access point) 2 : 스마트폰
3 : 클라우드 메시지 서버 4 : 클라우드 서버
5 : 서비스 서버 6 : 결제 서버
7 : 사업장 단말기 8 : 홍보 서버

Claims (26)

  1.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을 위한 쿠폰 발행, 번호대기표 발행, 입출입 감시, 전단지 살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홍보정보를 스마트폰(2)에 제공하는 홍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AP(1)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사업장 홍보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을 위한 쿠폰 발행, 번호대기표 발행, 입출입 감시, 전단지 살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홍보정보를 스마트폰(2)에 제공하는 홍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1)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2)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7)가 상기 스마트폰(2)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에 제공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1)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DB에서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사업장 ID로 분류하여 결제 서버(6)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7)에 가입자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수신된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2)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상기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3)가 수신된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이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스마트폰(2)이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이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자 단말기(7)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7)에 제공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AP(1)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AP(1)가 주변으로부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1)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서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7)에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3)가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이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결제정보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7)가 스마트폰(2)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가입자 ID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에 제공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1)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2)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DB에서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가입자 ID를 분류하고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사업장 ID를 분류하여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사업장 ID에 등록된 사업장 단말기(7)에 가입자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수신된 가입자 ID를 확인하고 결제 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2) 이용자가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상기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결제정보와 가입자 ID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가입자 ID로 분류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결제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되는 GCM ID로 결제정보를 GCM 서버(3)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3)가 수신된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이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스마트폰(2)이 자신에 대한 관련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감지하여,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인식단계;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폰(2)이 AP(1)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장 단말기(7)로부터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이 구매한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이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사업장 단말기(7)에 제공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GCM ID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1)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스마트폰(2)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GCM ID, 해당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마트폰(2)의 관련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주변으로부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2)이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수신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해당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일정시간 전에 감지되었던 AP(1)의 고유식별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는,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가 사업장 홍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상기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AP(1)의 고유식별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AP(1)의 고유식별번호로 DB에서 사업장 ID를 확인하고 사업장 ID 및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테이블화한 후 결제 서버(6)에 사업장 ID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사업장 ID로 분류된 사업장 단말기(7)에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사업장 ID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사업장 ID와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에서 사업장 ID로 테이블화되어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를 분류하여 DB에 등록된 사업장정보와 수신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된 GCM ID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GCM 서버(3)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GCM 서버(3)가 GCM ID로 등록된 스마트폰(2)에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2)이 수신된 사업장정보 및 물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스마트폰(2)이 결제정보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를 클라우드 서버(4)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4)가 수신된 스마트폰(2)의 고유식별번호로 결제된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5)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5)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결제 서버(6)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6)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사업장 단말기(7)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단말기(7)가 수신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37621A 2015-03-18 2015-03-18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35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7621A KR20150035973A (ko) 2015-03-18 2015-03-18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7621A KR20150035973A (ko) 2015-03-18 2015-03-18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30A Division KR101543078B1 (ko) 2012-10-25 2013-09-02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973A true KR20150035973A (ko) 2015-04-07

Family

ID=5303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37621A KR20150035973A (ko) 2015-03-18 2015-03-18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9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57A (ko)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얍컴퍼니 비콘 기반의 결제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52863A (ko)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얍컴퍼니 비콘 기반의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결제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성 녹음 방법
KR20230023960A (ko) * 2021-08-11 2023-02-20 강성룡 WiFi를 이용한 광고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57A (ko)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얍컴퍼니 비콘 기반의 결제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52863A (ko)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얍컴퍼니 비콘 기반의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결제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성 녹음 방법
KR20230023960A (ko) * 2021-08-11 2023-02-20 강성룡 WiFi를 이용한 광고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8203C (en) Network-accessible point-of-sale device instance
KR101543078B1 (ko)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140114780A1 (en) Payment Processing Access Device and Method
US201202967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actions with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934132A (zh) 移动电话支付处理方法和系统
US10192213B2 (en) Mobile payment system and method
JP6322383B2 (ja) 決済支援システム、決済支援装置、決済支援プログラム、決済支援方法
KR20070075986A (ko) 한 개의 카드번호를 이용한 복수의 멤버십카드 지원 시스템및 방법
US20160292731A1 (en) Contextual real-time marketing
KR20130036792A (ko)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오픈 마켓형 종합 쇼핑몰 운영시스템
JP2017174047A (ja) 決済支援システム
US20200013031A1 (en) Method for effecting a payment transaction to an actual store, from any location
KR102127431B1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150035973A (ko)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4554A (ko) 정보코드를 이용한 개선형 주문 및 결제 시스템
JP2003168063A (ja) カード決済方法における決済承認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142532A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1930637B1 (ko)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JP2023129285A (ja) 特典付与システム、特典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02623A (ko) 모바일 단말기 간의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KR101499531B1 (ko) 제품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8934B1 (ko) 전자 영수증들의 저장 및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175B1 (ko)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