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630A -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630A
KR20150035630A KR20130115086A KR20130115086A KR20150035630A KR 20150035630 A KR20150035630 A KR 20150035630A KR 20130115086 A KR20130115086 A KR 20130115086A KR 20130115086 A KR20130115086 A KR 20130115086A KR 20150035630 A KR20150035630 A KR 2015003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terminal
dr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인석
모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2013011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630A/en
Publication of KR2015003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6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tachograph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gital tachograph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The digital tachograph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tachograph (100), a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ata management server (300). The tachograph includes: a vehicle service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0) provided in a vehicle to detect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travels; a temporary database (120) configured to store, in a database,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ervice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0) and to manage the service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outside, and to transmit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12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210)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tachograph (100); and a signal input unit (220) configured to receive, from a user, a request signal for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achograph (100). The data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tachograph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receives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achograph (100), and manages integrally the received service information.

Description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driving recorder using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통해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안전 공단 등의 외부의 데이터 관리 서버로 전달함과 동시에, 차량 운행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riving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To a data management server such as a traffic safety corporation in real time, and to easily store and manage vehicle driving data.

차량의 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으로는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DTG, Digital Tachograph)와 차량용 블랙박스(Car Blackbox)와 같은 차량 안전 시스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Systems for securing the safety of vehicles are mainly car safety systems such as Digital Tachograph (DTG) and Car Blackbox.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는 차량의 속도 정보, 브레이크 및 가속페달 사용 여부 정보, 위치 정보, 운전 시간 정보 등 운전자의 운행 특성을 기록하여 과속, 급가속 및 급감속과 같은 난폭운전의 예방목적으로 의무 장착이 시행 중이다.The digital vehicle operation recorder records the driver's driv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 usage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r is obliged to perform the driving operation It is underway.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영상정보와 위치 정보, 가속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시 분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최근 차량에 장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A vehicle black box has recently been installed in a vehicl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flicts in case of an accident by using driving imag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data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와 차량용 블랙박스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되면 용량이 초과되는 부분의 가장 이전 데이터를 소거하는 방식으로 운영됨으로써 사고를 기준으로 전후에 저장된 데이터에만 근거하여 교통사고 발생 및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gital vehicle running recorder and the vehicle black box store data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and erase the oldest data in a portion where capacity is exceeded when new data is generated And analyzed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and their causes based only on the data stored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따라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만을 감지하여 사고시점을 판단하고, 사고시점 전후의 제한된 데이터만으로 사고원인을 분석하게 되므로,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또는 사람과의 가벼운 접촉사고, 혹은 차량바퀴의 탈거 또는 가벼운 충격사고 등 대형사고로 유도되는 초기 원인의 기록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삭제되어, 차량 충돌 사고의 가장 중요한 단서 중의 하나인 사고의 초기 원인을 알아내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only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accident only with limited data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finding out the initial cause of the accid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ues of a car crash, as the record of the initial cause that led to a major accident such as a light shock accident has been deleted over time.

또한,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받거나,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저장수단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일정 지식을 요구하게 되며, 능숙하지 않는 사용자는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Also, in order to download data stored in a digital vehicle running recorder or a black box for a vehicle or to store the data in a separate storage unit for confirmation, a certain knowledge is required to perform this operation. Or to manage data stored in a vehicle black box.

더불어, 사용자가 디지털 차량 운행 기록계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경우, 해당 저장수단을 분실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수단에 기록된 데이터를 편집할 가능성이 있어, 사고 시 증거자료로서의 지위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tores the data stored in the digital vehicle running recorder or the vehicle black box in a separate storage means, there is a fear that the corresponding storage means is lost, and the user may arbitrarily edit the data recorded in the storage mea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tus as evidence is not secured in case of an accident.

국내공개특허 제2013-0083027호("화물수송안전 시스템 및 그 단말",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단말과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무선 통신기술 및 저전력 3축 가속도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화물 수송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물수송안전 시스템 및 그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3-0083027 ("Cargo Transportation Safety System and its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smart terminal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ow power three- To provide a cargo transportation safety service using the cargo transportation safety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그러나, 선행문헌 1을 통해서는 온도, 습도, 진동 및 압력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 화물수송안전에 특화된 화물수송안전 시스템 및 그 단말이며, 상술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cargo transportation safety system specialized for cargo transportation safety, which is greatly influenced by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and pressure, and the terminal thereof, does not mention the above problems at all.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3-0083027호(공개일자 2013.07.22.)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83027 (Published date 2013.07.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통해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교통 안전 공단 등의 외부의 데이터 관리 서버로 전달함과 동시에, 차량 운행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recorder, To a data management server such as a traffic safety corporation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n external request and to easily store and manage vehicle operation data by using a tethering function of a tethering function And a management system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에 따른 운행 정보들을 감지하는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서 저장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210)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200) 및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that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enses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 temporary database unit 120 for storing and manag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vehicle operation recording apparatus (120) to the vehicle operation recording apparatus (100), and an ope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operation recording apparatus An operation control unit 210 for receiving a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from a user, A wireless terminal 200 including a call input unit 220 and a wireless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nd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a data management server 300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이 때,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와이파이(Wi-Fi)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의 동작 제어을 제어하고, 상기 테더링 기능을 통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using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또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입력부(22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ignal input unit 220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is inputted.

더불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when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300.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백업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a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a backup server 400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기 백업 서버(4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backup server 4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backup server 400 when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from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즉, 디지털 운행 기록계(DTG, Digital Tachograph)를 통해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 기록 장치에서 교통 안전 공단 등의 외부의 데이터 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 vehicle driving recorder installed in a vehicle, that i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a vehicle recorded through a digital tachograph (DT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transmitted from a vehicle driving recorder to an external data management server such as a traffic safety corporation in real time by using a tethering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또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별도의 외부 저장수단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무선 단말기의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백업 서버로 전달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to the user by using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out performing a process of backing up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vehicle operation recording device by a separate external storage means To a wireless terminal, or to an external backup server for storage and management.

이를 통해서,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의 분실 및 무단 편집 우려 없이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예방 수단으로 신뢰성 높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hicle can be reliably used as a preventive measure for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without fear of loss or unauthorized editing of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driving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collection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regularly interact to perform the required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즉, 디지털 운행 기록계(DTG, Digital Tachograph)를 통해서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즉,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이용하여 교통 안전 공단 등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용이하게 전송함으로써,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nstalled in a vehicle, that is, a vehicle running through a digital tachograph (DTG) The information data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that manage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such as the traffic safety corporation using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ossess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age the vehicle driving record apparatus.

이를 통해서, 종래의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이용할 경우, 기록된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다운받는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ventional vehicle driving recorder is us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hassle of downloading by using a separate storage means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recorded vehicle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There are advantages.

이 때, 상기 운행 정보 데이터로는, 차량의 속도 정보, 브레이크 및 가속페달 사용 여부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운전자의 운전 시간 정보 등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includes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 us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r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iver.

또한, 테더링(tethering) 기능이란, 휴대폰을 모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며, 다시 말하자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기기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여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자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200)와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를 연결하여,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서 운행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버(300) 또는, 외부의 백업 서버(400)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ther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utilizing a cellular phone as a modem.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connecting an Internet-enabled device and another device to enable Internet use. In other words, the wireless terminal 200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and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re connected to enable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o use the Internet, and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 Or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n external backup server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와,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와,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동작 제어부(210)와, 신호 입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200) 및 데이터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he system for managing vehicle driving recorder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 temporary database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A mobile terminal 200 and a data management server 300 including a vehicle operation recording apparatus 100, an operation control unit 210 and a signal input unit 220, .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To learn more about each configuration,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에 따른 운행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an sens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not, in which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s installed.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에서 감지하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들은, 상술한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브레이크 및 가속 페달 사용 여부 정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 availability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riving time information.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an store and man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in a database.

이를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는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일차적으로 저장되며,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어 2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is prim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and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stored secondarily.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 apparatus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와이파이(Wi-Fi)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 apparatus 100 can use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의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수단 없이도,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 상기 무선 단말기(200)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without any additional means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o the outside.

이 때,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통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tethering function.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control an ope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r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100.

즉,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서 테더링 기능을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테더링 기능에 따라 인터넷이 가능한 상태, 다시 말하자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 상기 무선 단말기(200)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thering func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uses the WiFi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the tether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 state where the Internet is possible,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Webkit 기반)을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hrough an application (Webkit based) installed in advance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이 경우, 상기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 사용자, 즉,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원거리에 위치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실시간으로 외부의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erform the tethering fun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user, that is, the wireless terminal 200 must be located at a remote distance enough to perform the tethering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ata management server 300 in real time without any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신호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signal input unit 22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receive a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from a user.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입력부(220)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signal input unit 220 from the signal input unit 220,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inputted from the driver,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And may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더불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신호 입력부(220)에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In additio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may stor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only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inpu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220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경우,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the tethering function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every predetermined period,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도,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Even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input from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have.

즉, 다시 말하자면, 종래의 차량 운행 기록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외부 저장 수단으로 직접 운행 정보 데이터를 다운(백업)받은 후,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직접 업로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나,That is, in other words, in order to transfer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stored vehicle to the external management server, the conventional vehicle driving record device must directly download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to the external storage means, Although it is inconvenient to upload directly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 기능을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와이파이 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o access the network using the Wi-Fi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in real time.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다.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a network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했을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하여, 원할 때마다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inpu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Can be received.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의 일 예를 들자면, 교통 안전 공단의 디지털 운행 기록계 분석 시스템(eTAS, e-Digital Tachograph Analysis System)을 들 수 있다.
One example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is an e-Digital Tachograph Analysis System (eTAS) of Traffic Safety Corpo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driving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ckup server 400. FIG.

상기 백업 서버(40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backup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a network. The backup server 400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an be managed.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백업 서버(400)는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했을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하여, 원할 때마다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As with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whe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backup server 400 inpu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can be received.

다시 말하자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경우,In other words, when the radio terminal 2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radio terminal 200,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backup server 400 every predetermined period,

상기 백업 서버(4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도,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backup server 400 even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input from the backup server 400. [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module.

상기 보안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서 저장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고, 조작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만을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 또는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arbitrary manipulation of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hrough the security module and prevent only the unauthorized original data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backup server 400 ). ≪ / RTI >

이를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무결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grity and airtightness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an be enhanced.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와이파이 통신망을 이용하는 상기 통신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 기능을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며,In other words,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30 using the Wi-Fi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이를 통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들을 별도의 외부 저장 수단 또는, 다운, 백업 후 서버 접속하여 업로드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 및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not shown) 10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backup server 400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의 분실 또는 악의적인 가공 등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loss or malicious processing of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차량 운행 기록 장치
110 :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 120 : 임시 데이터베이스부
130 : 통신부
200 : 무선 단말기
210 : 동작 제어부 220 : 신호 입력부
300 : 데이터 관리 서버
400 : 백업 서버
100: vehicle driving recorder
110: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20: temporary database unit
130:
200: Wireless terminal
210: operation control unit 220: signal input unit
300: data management server
400: backup server

Claims (6)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에 따른 운행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와,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서 저장하고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210)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200); 및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 control unit 110 for stor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30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A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compris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a control unit 210 for inputting a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from a user A wireless terminal 200 including a receiving signal input unit 220; And
A data management server (100)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a network for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30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와이파이(Wi-Fi)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테더링(tethering)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테더링 기능을 통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driving record apparatus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using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thering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tethering function. System for managing vehicle driving recorder us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입력부(220)에 의해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ncludes:
When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input by the signal input unit 220,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ncludes:
The radio terminal 2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radio terminal 200,
When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from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data management server (30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백업 서버(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 backup server 400 for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0)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며,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기 백업 서버(4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백업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ehicle driving recorder 100 includes:
The radio terminal 200 performs a tethering func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210 of the radio terminal 200,
When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from the backup server 400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temporary database unit (120) to the backup server (400).
KR20130115086A 2013-09-27 2013-09-27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201500356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086A KR20150035630A (en) 2013-09-27 2013-09-27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086A KR20150035630A (en) 2013-09-27 2013-09-27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30A true KR20150035630A (en) 2015-04-07

Family

ID=5303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086A KR20150035630A (en) 2013-09-27 2013-09-27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63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040A (en)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휴디콤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driving record having function to automatic generate driving-daily
KR20190103858A (en)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아트뷰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Digital Tacho Graph
KR20200013903A (en) * 2018-07-31 2020-02-10 앤엠에스 주식회사 Integration service device for large vehicle
KR102658213B1 (en) 2023-10-30 2024-04-18 주식회사 이노카 Digital Tachograp with Vehicle Control using V2X Messag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040A (en)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휴디콤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driving record having function to automatic generate driving-daily
KR20190103858A (en)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아트뷰 The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Digital Tacho Graph
KR20200013903A (en) * 2018-07-31 2020-02-10 앤엠에스 주식회사 Integration service device for large vehicle
KR102658213B1 (en) 2023-10-30 2024-04-18 주식회사 이노카 Digital Tachograp with Vehicle Control using V2X Mess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476B2 (en) Monitoring device
US11398116B2 (en) Anomaly detection electronic control unit, in-vehicle network system, and anomaly detection method
TWI624816B (en) Driving management system, driving recorder and management method
US20120303177A1 (en) Docking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US20070153802A1 (en) Priority assignment and transmission of sensor data
CN104331947A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and system
JP2010072845A (en) Drive recorder system, drive record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2632685A1 (en) Multi-stage memory buffer and automatic transfers in vehicle event recording systems
CN115136181A (en) Incident data collection for an incident
KR20150035630A (en) Digital Tachograph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US20160093121A1 (en) Driving event notification
US201301731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vehicle
KR102307149B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vehicle,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server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server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20103352A (en) Vehicle drive recorder an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port using the same
US10999394B2 (en) Communication method,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and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5961381B2 (en) In-vehicl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683019C1 (en) Vehicle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JP4541118B2 (en)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terminal, and vehicle side device
JP6540533B2 (en) Vehicle data recording system
KR20140147298A (en) Digital taco graph and method for data transformaing theirof
KR20220077190A (en) System for a smart digital tachograph
KR20130057265A (en) A system for providing video images of a smartphone black-box and the method thereof
WO2013094275A1 (en) Storage network system
WO20211878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nd managing vehicle-generated data
US11122489B2 (en) On-board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