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044A -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044A
KR20150033044A KR20130112505A KR20130112505A KR20150033044A KR 20150033044 A KR20150033044 A KR 20150033044A KR 20130112505 A KR20130112505 A KR 20130112505A KR 20130112505 A KR20130112505 A KR 20130112505A KR 20150033044 A KR20150033044 A KR 2015003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terminal
im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파트너스
Priority to KR2013011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044A/ko
Publication of KR2015003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1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중 제1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바탕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A RELAY SERVER,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공하며,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활용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기술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모바일 결제시장도 급성장 하고 있다.
모바일 결제는 그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에 의하여 그 사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결제를 위해, 온라인상에서 카드를 발급하는 기술인 스마트카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등의 전자상거래, 교통, 자판기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현행 모바일 결제 방식은 결제를 위한 온라인 카드 또는 온라인 코드 발급이 선행된 이후 이를 이용한 결제가 진행되는 방식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복수의 카드 발급 및 그 사용시에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현재 카드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사들이 매우 다양해지고, 결제 방식의 종류도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기프트카드, 포인트 카드 등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카드를 등록 및 사용할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기술적인 호환 및 업체간 연계 문제 등으로 원활하게 지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현행 모바일 결제 방식은 온라인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오프라인을 통해 이미 발급된 실물 카드와의 연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복수의 카드들을 효과적으로 등록 및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을 통해 획득된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카드사 서버간 온라인 중계를 수행함으로써 실물 카드와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사용에 대해 안정성을 높이고,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1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중 제1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바탕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정보 처리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중계 서버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등록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카드 정보를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카드 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카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와 상기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1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카드사 서버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중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는 카드사 식별부;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바탕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바탕 이미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복수의 카드들을 효과적으로 등록 및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을 통해 획득되는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와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카드 이미지를 단말기에서 표시하기 위한 바탕 이미지를 수신하고, 단말기에서 카드 정보와 합성함으로써 오프라인의 실물 카드가 모바일에 등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 이용시 카드 색인의 불편함 및 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등록된 실물 카드를 모바일 결제에서 사용하는 경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카드 이미지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고, 적절하게 정렬함으로써 모바일 결제의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서버 및 카드사 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오프라인 카드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되는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포함한 전체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중계 서버(200) 및 복수의 카드사 서버(300)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오프라인 카드의 온라인 등록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등록된 카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카드사나 카드 종류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200)는 단말기(100) 및 복수의 카드사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300)간의 카드 정보 및 결제 정보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갱신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카드사 서버(300)는 실물 카드 및 모바일 카드에 대한 발급을 승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발급된 카드에 따른 카드 종류별 바탕 이미지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카드사 서버(300)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카드 정보에 따라 이미지 전송을 수행하거나,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중계 서버(200)와 카드사 서버(300)가 독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계 서버(200)가 카드사 서버(300)에 포함되거나, 중계 서버(200)가 카드사 서버(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실물 카드는 오프라인을 통해 발급되는 플라스틱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물 카드에는 IC칩에 PIN 번호, 신용정보가 암호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물 카드는 근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와 인터랙션 가능한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 (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카드 바탕 이미지, 혜택 정보 또는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카드 정보 또는 결제 관련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잠금 화면(lock screen)을 표시한다. 그리고, 잠금 화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160)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카드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카드 정보 저장부는 중계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카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푸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중계 서버(200)로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되는 등록 카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카드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제1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카드 바탕 이미지 및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획득된 카드 정보, 수신된 카드 바탕 이미지 및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 는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 카드 바탕 이미지 및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아이템을 생성하고 이를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카드 아이템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중 NFC(Near Field Communications)를 이용하여 실물 카드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술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물 카드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릿을 리드할 수 있다. 이 때 실물 카드의 물리계층에서는 RF를 통해 ISO/IEC 14443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RFID 기술을 확장한 개념으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NFC가 탑재된 기기 간에 단거리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고대역폭 통신뿐만 아니라 RF 통신이 가능한 후불교통 신용카드나 티머니 등에 쓰이는 ISO/IEC 14443 접근 카드 표준, 기존 펠리카(Felica), 마이페어(Mifare) 태그와 호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텍스트로부터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오프라인으로 발급된 실물 카드의 카드번호, 카드의 유효기간, CVC(Card Validation Code), PIN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획득된 카드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200)는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제1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하고, 카드 정보를 제1 카드사 서버(300)로 전달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력 조회 및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중계 서버(200) 및 카드사 서버(300)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관리부(210),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 카드 유효성 판단부(240), 카드사 식별부(250), 혜택 정보 처리부(260), 등록카드 관리부(270), 결제 정보 처리부(280) 및 통신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300)는 통신부(310), 카드 정보 관리부(320), 바탕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30) 및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 서버(200)와 카드사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 서버(200)의 통신부(290)와 카드사 서버(300)의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중계 서버(200)와 카드사 서버(300)가 독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계 서버(200)가 카드사 서버(300)에 포함되거나, 중계 서버(200)가 카드사 서버(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 관리부(210)는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식별번호, 주소 정보, 성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정보는 단말기(100)의 시리얼 번호 또는 전화 번호 등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별 또는 단말별로 등록되는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카드 정보는 사용자 정보 또는 단말 정보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의 카드 정보에 대해, 등록 카드 관리부(270)는 저장, 삭제 및 업데이트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 정보는 오프라인을 통해 발급된 실물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일련 번호, 유효 기간, PIN 정보, 이름 정보, 카드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바탕 이미지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바탕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는 URL 또는 RSS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는 각 카드의 종류별 바탕 이미지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는 각 카드의 종류별 바탕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는 URL 또는 RSS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유효성 판단부(24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 여부를 출력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카드 유효성 판단부(240)는 카드사 서버(300)와의 인증을 이용하거나, 중계 서버(200) 자체적인 유효성 판단 방법을 이용하여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유효성 판단부(240)는 카드 정보에 대한 암호화 블록에 접근 가능한 KEY를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관리부(210) 또는 등록 카드 관리부(270)는 카드사 서버(300)에 보관된 실물 카드의 발급이력이나 해당 카드별 서비스 내역, 이용정보 등의 사용 이력 또는 혜택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식별부(25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의 일부에 기초하여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한다. 통신부(290)는 카드사 식별부(250)에서 식별된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정보를 수신한 카드사 서버(300)는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바탕 이미지 또는 혜택 정보를 다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 식별부(25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번호를 추출하고, 카드 번호의 일부를 선택하여 미리 저장된 카드사 서버의 주소 리스트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식별부(250)는 카드 번호의 일부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하고, 이를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 또는 혜택 정보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는 식별된 카드사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바탕 이미지(또는 바탕 이미지)를 바탕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수신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혜택 정보 처리부(260)는 식별된 카드사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정보를 혜택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수신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카드사 서버(300)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발급된 카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인증 수행을 처리하는 카드 정보 관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정보 관리부(32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카드 발급 정보, 카드 사용 이력 또는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중계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정보 관리부(320)는 중계 서버(200)의 결제 정보 처리부(28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과금 처리를 수행하며, 통신부(310)를 통해 결제 정보의 처리 결과 메시지를 중계 서버(200) 또는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이와 같이 중계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바탕 이미지 정보 및 혜택 정보를 수신하여 카드 이미지를 합성하고,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의 카드 이미지는 서로 다른 복수의 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록된 카드들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카드사나 카드 종류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6 내지 도 2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카드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0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중계 서버(200)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 서버(200)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기(100)로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치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푸시 메시지에 의해서도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와 연관된 결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결제 정보에 대응하여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어할 수 있다.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중계 서버로 전송된다(S200).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동안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의 고유 번호, 전화 번호 또는 USIM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정보, 암호화된 비밀번호 정보, 아이디 정보, 주소 정보, 이메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는 메모리(160)의 일부에 별도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특정 시점에 중계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중계 서버(200)는 수신된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관리부(210)를 통해 단말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등록 카드 관리부(270)는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카드 정보를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 서버(200)는 현재 단말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등록 카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획득된 등록 카드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가 기존에 등록한 카드 목록을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카드 목록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등록 카드를 표시한다(S11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등록 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등록 카드 정보는 사용자가 기존에 등록한 오프라인 실물 카드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카드 이미지는 예를 들어, 바탕 이미지에 카드 정보가 합성된 실물 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실물 카드 이미지는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실물 카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하여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등록 카드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된 복수의 카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카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선택된 카드에 대한 주 카드 설정, 비밀번호 설정 또는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새 카드 등록 명령이 있는지 판단한다(S113). 새 카드 등록 명령이 있는 경우, 단말기(100)는 입력 방법을 선택하고(S115), 선택된 입력 방법에 따라 카드 정보를 획득한다(S117).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새 카드 등록 명령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새 카드 등록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 방법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드 정보 획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카드 정보 획득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카드 정보 획득 방법 또는 영상 정보를 이용한 카드 정보 획득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카드 정보 획득 방법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오프라인 실물 카드의 접근 유도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물 카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물 카드의 접근이 감지되면, 실물 카드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드 일련 번호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영상 정보를 이용한 카드 정보 획득 방법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오프라인 실물 카드의 촬영 유도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카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추출된 카드 영역에 대하여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카드 일련 번호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카드 정보가 획득되면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로 카드 정보를 전송한다(S119).
제어부(180)는 앞서 선택된 입력 방식에 따라 획득되는 카드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200)의 통신부(290)를 통해 수신된 카드 정보는 카드사 식별부(2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수신된 카드 정보의 일부에 기초하여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한다.
카드사 식별부(25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일련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식별부(250)는 추출된 카드 일련 번호의 제1 부분에 기초하여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 식별부(250)는 카드사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카드 일련 번호 전단 6자리의 숫자로부터 BIN(bank identifier number)를 식별하고, 카드사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카드사 서버(3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정보 테이블 은 각 카드사 서버(300)에 대응되는 접속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사 서버(300)가 식별되면, 중계 서버(200)는 통신부(290)를 통해 카드 정보를 식별된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한다(s123).
이후, 카드사 서버(300)는 수신된 카드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125), 검색 결과 획득되는 카드 바탕 이미지 정보 및 기본 혜택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한다(s12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사 서버(300)는 카드 바탕 이미지 정보 및 각 카드별 기본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300)는 수신된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바탕 이미지 정보와 기본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중계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카드 바탕 이미지 및 기본 혜택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131).
본 과정에서, 중계 서버(200)는 카드 바탕 이미지 정보 및 기본 혜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200)의 바탕 이미지 관리부(230) 는 카드 바탕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바탕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고, 다운로드된 바탕 이미지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실물 카드 이미지를 표시한다(S133).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S117단계에서 획득된 카드 정보 및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바탕 이미지에 기초하여 카드 이미지 형태의 실물 카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물 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표시된 실물 카드 이미지에 기본 혜택 정보를 매핑하여 표시한다(S135).
이에 따라,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오프라인을 통해 발급받았던 실물 카드가 단말기(100)에 등록될 것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실물로 보유하던 카드와 동일한 실물 카드 이미지를 단말기(1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직관적인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 혜택 정보를 중계 서버(200)를 통해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실물 카드 이미지에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혜택 정보를 반영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카드사 서버(300)와 인증을 수행한다(S137). 그리고 중계 서버(200) 인증 수행에 따라 오프라인 실물 카드를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139). 등록 카드 관리부(270)는 인증된 카드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카드 정보로 등록하고, 등록 카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등록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갱신함으로써 등록된 실물 카드 이미지를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결제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구매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s201), 이에 대응하여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03).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구매 수단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매 수단으로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결제정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구매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수단으로서 단말기(100)를 선택한 경우, 쇼핑몰 서버로부터 구매정보 메시지가 생성되어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구매 정보 메시지가 무선 통신부(110)로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수신된 구매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구매 정보를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100) 사용 중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구매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 수단으로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정보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기(100)는 실물 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s205), 기본 혜택 정보를 매핑한다(s20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등록 카드 정보 및 카드 바탕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실물 카드 이미지를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정보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등록 카드 정보와 카드 바탕 이미지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에서 미리 수신되어 저장 관리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실물 카드 이미지는 복수 개의 실물 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실물 카드 이미지에 기본 혜택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기본 혜택 정보 또한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에서 미리 수신되어 저장 관리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물 카드 이미지는 수직 또는 수평 리스트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크롤 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로 구매 정보를 전송한다(s209).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용자 입력 또는 구매정보 메시지로부터 제공된 구매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정보는 예를 들어, 가맹점 정보, 상품명, 결제 금액 정보, 주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중계 서버(200)는 구매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00)의 등록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고(s213), 식별된 카드사 서버 각각에 구매 정보 및 카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카드사 식별부(250)는 등록 카드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정보(또는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카드사 서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통신부(290)를 통해 앞서 식별된 각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 정보는 가맹점 정보, 상품명, 결제 금액 정보, 주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 정보는 카드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각 카드사 서버(300)는 수신된 카드 정보 및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혜택 정보를 검색하고(s215), 실시간 혜택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며(s217), 중계 서버(200)는 각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혜택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9).
이후, 단말기(100)는 수신된 실시간 혜택 정보를 실물 카드 이미지에 매핑하고(s211), 구매 정보에 카드별 혜택 정보를 적용하며(s225), 혜택 적용 결과를 표시한다(s225).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각각의 실물 카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실시간 혜택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실시간 혜택 정보 및 기본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카드별 혜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혜택 적용된 결과를 구매 정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품 금액에 대해 카드별 할인율을 적용하고, 각 실물 카드 이미지에 대응하여 카드별 할인 적용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품 금액에 대한 카드별 포인트 적립율을 적용하고, 각 실물 카드 이미지에 대응하여 카드별 포인트 적립 금액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드별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혜택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실시간 혜택 정보가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실물 카드 이미지와 함께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s227), 단말기(100)는 선택된 카드 및 구매 정보에 기반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중계 서버(200)로 전송한다(s229).
이후, 중계 서버(200)는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카드사 서버(300)로 결제 요청을 전송하며, 카드사 서버(300)는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승인 메시지를 중계 서버(200)로 전달한다(s233).
그리고, 중계 서버(200)는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235).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물 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결제가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오프라인 실물 카드의 기본 혜택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 상품에 따라 카드별 실시간 혜택이 함께 적용된 결과를 즉시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드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500)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500)의 초기 화면은 사용자 정보에 따른 등록 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500)의 초기 화면은 상술한 실물 카드 이미지(510), 결제 수단 추가 탭(520) 및 주 카드 정보(511)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물 카드 이미지(51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카드 바탕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현재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 카드 이미지(510)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500)는 카드목록 탭, 카드를 등록하기 위한 결제수단 탭, 카드 결제내역 관리를 위한 사용내역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결제 수단 추가를 선택한 경우의 결제 수단 선택 화면(530)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결제 수단으로서의 실물 카드를 입력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결제 수단 선택 화면(530)에서 수동 입력을 선택하거나, NFC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수단 화면(530)에는 휴대폰 결제 등록 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물 카드의 등록 외에도,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여 휴대폰 과금 결제 방식을 결제 수단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은 결제 수단 선택 화면(530)에서 사용자가 수동 입력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수동 입력 화면(531)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카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입력된 카드 정보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9은 결제 수단 선택 화면(530)에서 사용자가 NFC 입력을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NFC 입력 화면(531)을 도시하고 있다. NFC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실물 카드의 접근을 유도하는 접근 유도 화면(53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접근 유도 화면(532)에 도시된 정보를 참조하여 실물 카드를 단말기(100)에 접근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근접한 실물 카드의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카드 정보는 중계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를 생성하고,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실물 카드 이미지(54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카드 정보에 따라 전송되는 카드 바탕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카드사 서버(300)에서는 출시된 카드들에 대한 카드 바탕 이미지를 바탕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 및 갱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200)를 통해 이와 같이 각 카드사 서버(300)에서 관리되는 바탕 이미지를 수신하고,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에는 카드 정보가 매핑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카드가 입력되었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예를 들어, 카드 번호, 유효 기간, 해외 결제 정보(예를 들어, 비자 또는 마스터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실물 카드 이미지(540)에는 별명 정보(541) 및 기본 혜택 정보(542)가 매핑될 수 있다. 별명 정보(54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실물 카드 이미지(540) 상단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기본 혜택 정보(5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사 서버(30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중계 서버(20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기본 혜택 정보(542) 또한 실물 카드 이미지(54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본 혜택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기본 혜택 정보(543)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물 카드 이미지(540)가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카드 등록을 위해 수행하는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인증을 위해, 단말기(100)는 도 11과 같이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중계 서버(200)를 통해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로서, 주민번호 뒷자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자체 정보로서 단말 고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고유 번호 인증의 경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와 함께 도 12와 같은 기기 인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결제 내역과 같은 푸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eviceid, 단말기의 휴대번호, 제조사, 국가, 단말기 모델, usim 정보, 통신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값은 차후 해당 단말기의 수집된 고유의 정보를 통해 조합된 hash 알고리즘을 적용한 단말기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증이 완료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의 카드 설정 화면(550)에서 카드 결제 비밀번호가 추가로 입력되면, 중계 서버(200)로 등록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는 단말기(100) 및 중계 서버(200) 상호간 공유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카드가 등록된 경우의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카드가 등록된 경우, 복수의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물 카드 이미지(540a)와 제2 실물 카드 이미지(540b)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는 스크롤 가능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일정 조건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일정 조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실물 카드를 주 카드로 설정한 경우, 제1 실물 카드 이미지(540a)가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으며, 주 카드 마크(511)가 제1 실물 카드 이미지(540a)에 매핑될 수 있다.
도 16은 사용자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카드를 선택한 경우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등록 카드 설정 화면(56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대한 세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즐겨찾기 버튼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카드가 주 카드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등록 카드 설정 화면(560)에서 선택된 카드의 비밀번호 설정 또는 삭제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7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쇼핑몰 앱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정보가 표시된 화면(570)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호출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호출 버튼 선택에 대응하여,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8과 같이 구매 정보 메시지(572)의 수신에 따라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의 사용자는 가맹점 웹 페이지에서 결제수단을 단말기(100)의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웹 팝업창이 다른 컴퓨터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웹 팝업창을 통해 단말기(100)로 구매 정보 메시지(572)를 전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가 웹 팝업창을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evice id에 기반하여 단말기(100)를 식별하고, 그 단말기(100)로 구매 정보 메시지(572)를 데이터 망을 통해 푸시하거나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에서 결제가 진행되어 완료가 되면 웹 팝업창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며, 웹 팝업창으로부터 가맹점 웹 페이지로 결제 완료 메시지 및 결제 완료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00)에서의 결제 진행을 위해, 구매정보 메시지(572)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구매 정보에 기반한 결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9는 구매 정보에 기반하여 실행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 결제 화면(58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화면(580)에는 가맹점명, 상품명, 할부개월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결제 화면(580)에는 결제 금액 정보(581), 카드 리스트 색인 정보(582),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 및 결제 위치 정보(58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위치 정보는 추가적인 보안을 위해 결제 화면(580)에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GPS 정보를 수신하고, GPS 정보의 위경도 값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 위치를 결제 화면(280)에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만약 GPS 정보를 읽어오지 못할 경우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유지된 상태에서 GPS 설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결제 화면(580)에 표시되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는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카드 리스트 색인 정보(582)는 현재 표시되는 실물 카드 이미지의 리스트 내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에 대한 스크롤 입력(600) 방향에 따라 결제 화면(580)에 표시되는 실물 카드 이미지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카드 리스트 색인 정보도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 배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리스트의 배열은 사용자 선택 및 특정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스트에는 주 카드로 설정된 실물 카드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주 카드는 할인률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 서버(300)에서 제공된 혜택 정보에 기반한 특정 가맹점별 할인율에 따라 할인 폭이 제일 큰 카드로 주 카드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결제 금액 정보(581)는 현재 선택된 실물 카드 이미지에 따라 서로 다른 혜택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물 카드 이미지가 변경되거나, 다른 카드가 선택되는 경우, 결제 금액 정보(581)에는 변경된 카드에 대응되는 혜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결제 금액 정보(581)는 변경된 혜택 정보가 적용된 결제 금액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금액 정보(581)는 결제 금액 55000원에서 특정 카드에 대한 가맹점 할인이 적용된 20%가 차감된 40000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결제 금액 정보(581)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카드가 변경되는 경우 다른 할인 10%가 적용된 49500원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각 실물 카드 이미지(540a, 540b)에는 카드 혜택 보기 버튼(58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드 혜택 보기 버튼(583)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가맹점에 대응되는 상세 혜택 정보가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의 별도 팝업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결제가 완료된 경우의 결제 완료 화면(590)을 나타낸다. 단말기(100)로부터 결제 정보가 전송되고, 중계 서버(200)를 통해 카드사 서버(300)의 승인이 이루어지면, 단말기(100)는 중계 서버를 통해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결제 완료 화면(59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을 통해 획득된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카드사 서버간 온라인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물 카드 이미지를 이용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모바일을 이용한 카드 사용에 대해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성을 높이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1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중 제1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바탕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혜택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바탕 이미지에 매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 또는 상기 혜택 정보는 상기 바탕 이미지에 매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이미지가 제2 실물 카드에 대한 바탕 이미지와 함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형식의 배열은 각 카드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주 카드 설정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관계 없이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혜택 정보를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혜택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9.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카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중계 서버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등록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카드 정보를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카드 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카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와 상기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혜택 정보를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방식은 수동 입력 또는 자동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실물 카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실물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물 카드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 아이템은 리스트로 표시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각 카드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결제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실시간 혜택 정보를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혜택 정보가 적용된 결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정보 처리 방법.
  17. 휴대용 단말기와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1 실물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카드사 서버로 상기 카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사 서버 중 상기 제1 카드사 서버를 식별하는 카드사 식별부; 및
    상기 수신된 카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물 카드를 나타내는 바탕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바탕 이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중계 서버.
  18.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30112505A 2013-09-23 2013-09-23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150033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505A KR20150033044A (ko) 2013-09-23 2013-09-23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505A KR20150033044A (ko) 2013-09-23 2013-09-23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44A true KR20150033044A (ko) 2015-04-01

Family

ID=5303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505A KR20150033044A (ko) 2013-09-23 2013-09-23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04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70A1 (ko) * 2015-10-29 2017-05-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패턴 인식 기반 모바일 카드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7094945A1 (ko) *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23069A1 (ko) * 2016-01-15 2017-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제 수단의 인디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21100A (ko) * 2017-10-19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카드 등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WO2017209324A1 (ko) * 2016-05-31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31878A (ko) * 2017-06-01 2018-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88475B1 (ko) * 2020-11-10 2021-08-10 소프트런치주식회사 결제 기준 데이터와 구매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403506B1 (ko) * 2021-01-28 2022-05-30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간편결제사 서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70A1 (ko) * 2015-10-29 2017-05-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패턴 인식 기반 모바일 카드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762493B2 (en) 2015-10-29 2020-09-01 Sk Planet Co., Ltd.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searching mobile card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17094945A1 (ko) *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475367B (zh) * 2016-01-15 2022-01-0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支付方式的指示的方法和装置
WO2017123069A1 (ko) * 2016-01-15 2017-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제 수단의 인디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475367A (zh) * 2016-01-15 2018-08-3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支付方式的指示的方法和装置
US11068877B2 (en) 2016-01-15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dication of payment
WO2017209324A1 (ko) * 2016-05-31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31878A (ko) * 2017-06-01 2018-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121100A (ko) * 2017-10-19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카드 등록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KR102288475B1 (ko) * 2020-11-10 2021-08-10 소프트런치주식회사 결제 기준 데이터와 구매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22102849A1 (ko) * 2020-11-10 2022-05-19 소프트런치주식회사 결제 기준 데이터와 구매 상품 정보를 매칭시켜 표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403506B1 (ko) * 2021-01-28 2022-05-30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간편결제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4342B (zh) 基于nfc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设备
KR20150033044A (ko)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2461042B1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8660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543041B (zh) 一种模拟卡的选择方法及移动设备
CN113630380B (zh) 用于支付服务的卡片注册方法和实施该方法的移动电子设备
US201602536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10287204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Based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US20140149198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payment service
CN107077671B (zh) 使用安全模块的支付装置和方法
KR20160105279A (ko) 전자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706127A (zh) 在电子设备上提供并认证凭据
KR20120039371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통합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112569A (ko) 상품 결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706131A (zh) 使用通过已验证的信道传送的密码在电子设备上提供凭据
US11394671B2 (en)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history-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60260080A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107418A (ko) 전자 지갑을 활용한 결제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
KR201700119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330363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related to car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KR20150033046A (ko)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61592A1 (en) Method for payment using membership car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473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EP3065101A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20156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홈 쇼핑환경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홈 쇼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