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438A -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438A
KR20150029438A KR20130108643A KR20130108643A KR20150029438A KR 20150029438 A KR20150029438 A KR 20150029438A KR 20130108643 A KR20130108643 A KR 20130108643A KR 20130108643 A KR20130108643 A KR 20130108643A KR 20150029438 A KR20150029438 A KR 2015002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clothes
garmen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438A/en
Publication of KR2015002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8/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8Devices for keeping articles together during laundering, e.g. for keeping socks in pairs ; Devices for protecting or shielding certain parts of the articles during laundering, e.g. button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in-on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to perform washing, rinsing, dehydrating, and drying the clothing at o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which a door is installed on a door in the front and forms an appearance; at least one clothing holding unit which is suppli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holds the clothing; multiple water discharging units which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thing holding unit and discharges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he clothing held on the clothing holding unit; and multiple air discharging units which discharges air for drying or dehydrating the clothing held on the clothing holding unit.

Description

의류 관리 장치{CLOTHING MANAGEMENT APPARATUS}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의류의 세탁 및 건조 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올인원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l-in-one apparel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successively performing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of clothes in a single apparatus.

종래의 직립식 또는 드럼식 세탁기는 회전 운동을 통한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옷감들이 서로 엉켜 포손상이나 구김이 발생되므로, 세탁된 옷의 착용을 위하여 다림질이라는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한다.Conventional upright or drum type washing machines perform washing and drying through rotational motion, and the cloths are tangled with each other to cause a bodily injury or wrinkle, so that troublesome work such as ironing is required for wearing the washed clothes.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겉옷을 옷걸이에 걸고 외부에서 물을 분사하며 내조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세탁함에 따라 세탁과정에서의 포손상이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옷장형 세탁 장치가 존재한다.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a wardrobe type wash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bodily damage and creasing in the washing process by washing the clothes by hanging the outerwear on the clothes hanger and spray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rotating the inner tub do.

하지만, 이러한 옷장형 세탁장치는 여전히 회전운동을 통한 세탁을 수행하므로 세탁과정에서의 포손상이나 구김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However, such a wardrobe type washing machine still performs washing through rotational movement,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bodily injury or wrinkling in the washing process.

세탁 및 건조 시 의류의 포손상이나 구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류 거치 수단이나 세탁용 틀에 형성된 물 토출부 및 공기 토출부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회전 운동 없이 의류에 대한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A clothes managing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without physically rotating using a clothes loading means or a water discharging portion 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in a laundry frame in order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damaged or wrinkled during washing and drying Lt; / RTI >

일 양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상측 내부에 제공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과,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물 토출부와,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manag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having a door on a front surface thereof; at least one garment moun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for mounting the garment; A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stuck to the means, 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thes storing means for discharging air for dehydrating or drying to the clothing stuck to the clothes storing means .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 장치는 캐비닛의 하측 내부에 제공되어 급수관을 통해 물 토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와, 캐비닛의 하측 내부에 제공되어 급기관을 통해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inside a lower portion of a cabinet for supplying water to a water discharge portion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n air supply portion provided in a lower side of the cabine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device.

일 양상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one aspect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torso, a torso, a mannequin, a torso or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 lower body mannequin.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은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volume change.

일 양상에 따른 물 공급 장치는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어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밸브와, 의류의 세탁을 위하여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부와 급수된 물 또는 세제가 투입된 물을 펌핑시켜 급수관을 통해 물 토출부로 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water supply valv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detergent input unit for supplying detergent into the water for washing clothes, And a pumping unit for pumping the supplied water and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물 공급 장치는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펌핑부는 발생된 세탁 거품을 펌핑시켜 급수관을 통해 물 토출부로 공급하고, 세탁수 토출부는 거치된 의류에 세탁 거품을 토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oa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oam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to generate a washing foam. At this time, the pumping unit pumps the generated washing foam to supply it to the water discharging uni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ing unit can discharge the laundry foam to the clothes that are stuck.

일 양상에 따른 공기 공급 장치는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구와, 의류의 건조를 위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유입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켜 급기관을 통해 공기 토출부로 공급하는 블로워 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ventilation opening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heater for heating inflow air for drying clothes; And a blower fan for supplying the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일 양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상측 내부에 제공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의류 관리를 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용 틀과, 캐비닛의 상측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용 틀의 내부 공간에서 의류가 관리되도록 의류를 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과, 세탁용 틀의 내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제1 물 토출부와, 세탁용 틀의 내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공기 토출부와, 캐비닛의 하측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수관을 통해 제1 물 토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와, 캐비닛의 하측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기관을 통해 제1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having a door on a front surface; at least one laundry frame provid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 managing clothes; At least one garment moun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frame for mounting the clothes such that the clothes are mana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aundry frame; A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water; a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frame for discharging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mounting means;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art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A may include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일 양상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은 세탁용 틀의 상측과 연결된 옷걸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one aspect may be configured as a hanger sha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frame.

일 양상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one aspect may be configured as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 low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제2 물 토출부와,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물 공급 장치는 제2 급수관을 통해 제2 물 토출부로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더 공급하고, 공기 공급 장치는 제2 급기관을 통해 제2 공기 토출부로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더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garment management devi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and has a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garment mounted on the garment mounting means, And a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clothes mounted on the mounting means.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device further supplies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device supplies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You can supply more.

물리적인 회전 운동이 없는 세탁 및 건조과정을 통해 의류의 포손상이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kin from being damaged or wrinkled by washing and drying process without physical rotation.

또한, 세탁 및 건조 과정을 한번에 수행하는 올인원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각 과정을 위한 의류의 인입, 인출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Also, by providing an all-in-one apparel management apparatus that performs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at on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inconvenience caused by inward and outward garments for each process.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토르소(torso)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마네킹(mannequin)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토르소(torso)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변화가 가능한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g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가 거치된 상태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용 틀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 따른 세탁용 틀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용 틀과 옷걸이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용 틀과 상체 토르소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1A is a schematic view of a garme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A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body torso shaped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B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mannequ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C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 lower body torsion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d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in the form of a lower body mannequ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E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capable of volum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F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G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in a state where a garment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A is a schematic view of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laundry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laundr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A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including a laundry frame and a clothes 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B is an exemplary view of a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including a laundry frame and an upper body torso-shaped garment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a 내지 2g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입체적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FIG. 1A is a schematic view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arment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도 1a 내지 1b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 장치(100)는 캐비닛(110), 의류 거치 수단(130), 물 토출부(131), 공기 토출부(133), 물 공급 장치(150), 공기 공급 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b는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로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1A to 1B,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10, a clothes storage unit 130, a water discharge unit 131, an air discharge unit 133, a water supply unit 150, Device 190 as shown in FIG. Although Figures 1A-1B disclose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one garment mounting means, it is apparent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extended to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garment mounting means.

또한, 의류 관리 장치(100)는 오염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배출시키는 배수 수단(180), 의류 관리 장치의 작동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버튼부(190), 버튼부(1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방법에 따라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수 수단(180), 버튼부(190), 제어부(미도시)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drain unit 180 for discharging polluted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a button unit 190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button unit 19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preset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drainage unit 180, the button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using known techniques,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캐비닛(110)은 의류 관리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도어(11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분리부재에 의해 상측과 하측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cabinet 110 forms an appearanc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nd a door 113 is provided for pulling in and out of the clothes. The cabinet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separating member.

의류 거치 수단(130)은 캐비닛(110)의 내부에 제공되며 관리가 필요한 의류를 거치시킨다. 예를 들어, 의류 거치 수단(130)은 캐비닛(110)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어 의류를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거치 수단(130)의 수량, 배열 방식 등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and mounts garments requiring maintenance. For example,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to mount the clothes.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quantity, arranging manner, etc.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도 2a 내지 2d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130)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토르소(torso)는 목·팔·다리 등이 없는 동체만의 신체 형태의 입체적 형상을 의미하고, 마네킹(mannequin)은 목·팔·다리 등이 있는 신체 형태의 입체적 형상을 의미한다.2a-2d,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one of three-dimensional shapes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n upp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 At this time, the torso means a three-dimensional shape of a body shape without a neck, an arm, and a leg, and a mannequin means a three-dimensional shape of a body shape including a neck, an arm, and a leg.

도 2f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130)은 한 쌍의 상체 및 하체 토르소(torso), 한 쌍의 상체 및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합 및 다양한 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F,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 pair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torso, a pair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mannequ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mbinations and in various numbers.

도 2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130)은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거치 수단(130)은 에어 펌프를 통한 공기 유입에 의하여 부피 팽창이 가능한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130)의 표면을 거치된 의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빠르고 완전하게 적실 수 있어 의류에 대한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E,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a cubic shape capable of volume change. For example,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expanding in volume by air inflow through an air pump, so that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unted garment. As a result, washing water or laundry foam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stored in the mounted clothes, thereby enhancing the washing effect on the clothes.

물 토출부(131)는 의류 거치 수단(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130)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한다. 예를 들어, 물 토출구는 물분사 노즐을 통한 분사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물을 토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에 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물은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 및 헹굼에 사용되는 헹굼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물 토출부(131)는 의류 거치 수단(130)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을 위한 세탁 거품을 토출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3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and discharges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For example, the water outlet may discharge water to the lining of the garment mounted in the spraying manner through the water injection nozz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garment mounted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water is a concept including both wash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e water used for rinsing. 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31 can discharge the washing foam for wash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

공기 토출부(133)는 의류 거치 수단(1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130)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한다. 예를 들어, 공기 토출부(133)는 공기분사 노즐을 통한 분사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공기는 탈수에 사용되는 강풍 및 건조에 사용되는 열풍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air discharging portion 13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and discharges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For example, the air discharging unit 133 may discharge air to the lining of clothes immersed in the spraying method through the air injection nozz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clothes stuck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air is a concept including both strong wind used for dewatering and hot air used for drying.

물 공급 장치(15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제공되어, 급수관(159)을 통해 물 토출부(131)로 물을 공급한다. 일 양상에 따른 물 공급 장치(150)는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어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밸브(151), 의류의 세탁을 위하여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부(153),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부(155), 급수된 물 또는 세제가 투입된 물을 펌핑시켜 급수관(159)을 통해 물 토출부로 공급하는 펌핑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5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an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13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The water supply device 150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151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detergent input part 153 for inputting detergent into the water A foam generating unit 155 for generating a foam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to generate a washing foam, a pumping unit 157 for pumping water into which the water or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water discharging uni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 ≪ / RTI >

공기 공급 장치(170)는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급기관(177)을 통해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일 양상에 따른 공기 공급 장치는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구(171), 의류의 건조를 위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73), 유입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켜 급기관(177)을 통해 공기 토출부로 공급하는 블로워 팬(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7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upplies air to the air discharge unit via the air supply unit 177.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ventilation hole 17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heater 173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for drying the clothes, And a blower fan 175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discharge unit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77.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지만, 이는 다수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lthough the operation of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one garment mounting means is described here, it is clear that this can be extend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garment mounting means.

우선, 사용자는 캐비닛(110)의 도어(113)를 열어 의류 거치 수단(13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113)를 닫는다. First, the user opens the door 113 of the cabinet 110 to mount the clothes on the clothes mounting means 130 and close the door 113.

이 때, 의류 거치 수단(130)이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인 경우, 에어 펌프를 통한 공기 유입 등을 통해 의류 거치 수단(130)의 부피를 팽창시켜 의류 거치 수단(130)의 표면을 거치된 의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물 토출부(131)가 거치된 의류에 밀착된 상태에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의류에 빠르고 완전하게 적실 수 있어 의류의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의류 거치 수단(130)의 부피 변화는 캐비닛(110)의 도어가 닫히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varying the volume, the volum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is expanded through air inflow through an air pump to mount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on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130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clothes. As a result,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31 can be discharged to the clothes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thes to which the water dispensing portion 131 is attached. Therefore,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filled in the clothes, . Here, the volume change of the clothes storage means 13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door of the cabinet 110 is closed, or may be performed as the user presses a separate operation button.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입력되면 물 공급 장치(150)가 동작한다. 즉, 급수 밸브(151)가 동작되어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내부로 물을 급수하고, 세제 투입부(153)가 동작되어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며, 펌핑부(157)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된 물(세탁수)을 펌핑하여 급수관(159)을 통해 물 토출부(131)로 공급한다.Next, when an operation button is input by the user, the water supply device 150 operates. 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151 is operated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from the external water pipe, the detergent dosing unit 153 is operated to inject the detergent into the water supply water, and the pumping unit 157 is operated, (Wash water)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13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

또한, 물 공급 장치(150)에 거품 발생부(155)가 포함되는 경우, 거품 발생부(155)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며, 펌핑부(157)가 동작되어 발생된 세탁 거품을 펌핑하여 급수관(159)을 통해 물 토출구(133)로 공급한다.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150 includes the foam generating part 155, the foam generating part 155 operates to generate foam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troduced to generate the washing foam, and the pumping part 157 And supplies the generated laundry foam to the water discharge port 13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9.

그리고, 물 토출구(131)는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거치된 의류에 분사하여 의류를 충분히 적신다. 이를 통해,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을 통한 세탁이 수행된다. 또한, 세탁 거품을 통한 버블 세탁이 수행되는 경우, 세제 용해도가 향상되어 세탁력을 증가시키고 세탁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n, the water outlet 131 is sprayed on the clothes to be washed with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to sufficiently wet the clothes. Through this, washing through chemical action by detergent is performed. Further, when the bubble washing is performed through the washing foam, the detergent solubility is improved to increase the washing power and shorten the washing time.

이러한 의류 관리 장치(150)는 물리적인 회전 운동을 통한 세탁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실제 세탁기에서의 세탁 효과는 회전 운동에 의한 물리 작용이 아닌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 토출구(131)를 통해 거치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충분히 적셔줌으로써 일반적인 직립식 또는 드럼형 세탁기의 세탁 효과의 70~80% 정도의 세탁 효과를 낼 수 있다.Although the laundry management apparatus 150 does not perform washing through physical rotation, most of the washing effect in a washing machine is caused by a chemical action by a detergent rather than a physical action by rotational movement. Therefore, The laundry immersed in the water discharge port 131 is sufficiently wetted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to achieve a washing effect of about 70 to 80% of the washing effect of a general upright type or drum type washing machine.

다음으로, 급수 밸브(151)가 동작되어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급수하고, 펌핑부(157)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되지 않은 급수된 물(헹굼수)을 펌핑하여 급수관(159)을 통해 물 토출구로 공급한다. 그리고, 물 토출구(131)는 헹굼수를 거치된 의류에 분사한다. 이를 통해, 의류에 적셔진 오염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에 대한 헹굼이 수행된다.Next, the water supply valve 151 is operat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pipe, and the pumping unit 157 is operated to pump the water (rinse water) to which the detergent is not supplied, Supply. Then, the water outlet 131 discharges the rinse water to the mounted clothes. As a result, rinsing is performed on contaminated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soaked in the clothes.

다음으로, 공기 공급 장치(170)가 동작된다. 즉, 블로워 팬(175)이 동작 되어 송풍구(1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강풍을 발생시켜 급기관(177)을 통해 공기 토출구(133)로 공급한다. 그리고, 공기 토출구(133)는 거치된 의류에 공급된 강풍를 분사한다. 이를 통해, 헹굼수에 대한 탈수가 수행된다.Next, the air supply device 170 is operated. That is, the blower fan 175 is operated to b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outlet 171 to generate strong air and supply the air to the air outlet 133 through the air supply port 177. Then, the air outlet 133 emits the strong wind supplied to the stationary clothes. Through this, dehydration is performed on the rinse water.

다음으로, 히터(173)가 동작되어 송풍구(1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블로워 팬(175)이 동작되어 가열된 열풍을 송풍하여 급기관(177)을 통해 공기 토출구로 공급한다. 그리고, 공기 토출구(133)는 거치된 의류에 열풍을 분사한다. 이를 통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수행된다.Next, the heater 173 is operated to he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blowing port 171, and the blower fan 175 is operated to blow the heated hot air and supply it to the air outlet through the air supply port 177. Then, the air outlet 133 emits hot air to the clothes that have been stuck. Through this, drying for clothes is carried out.

상술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 각 단계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어부는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단계의 동작 시간, 세제 투입량, 세탁 거품 발생량, 공기 토출 강도,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washing, rinsing, dewatering, and drying step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each step, the amount of the detergent, the amount of the laundry foam,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like.

이러한 물리적인 회전 운동이 없는 세탁 및 건조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다림질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구김 없이 세탁 및 건조된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한번에 수행되는 세탁 및 건조 과정을 통해, 각 과정을 위한 의류의 인입,출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Through the washing and drying process without the physical rotati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clothes that have been washed and dri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ironing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e washing and drying process performed at one tim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in and out of the clothes for each process can be eliminated.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용 틀과 다양한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FIG. 3A is a schematic view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4A to 4B are views showing a laundr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n illustration of a garmen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garment mounting means. Fig.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의류 관리 장치(300)는 캐비닛(310), 세탁용 틀(320), 의류 거치 수단(330), 제1 물 토출부(321), 제2 공기 토출부(323), 물 공급 장치(350), 공기 공급 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b는 하나의 세탁용 틀(320)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세탁용 틀(320)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로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3A and 3B, the clothes managing apparatus 300 includes a cabinet 310, a laundry frame 320, a clothes storage unit 330, a first water discharging unit 321, a second air discharging unit 323 ), A water supply device 350, and an air supply device 370. 3A and 3B illustrate a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single laundry frame 3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xtended to a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laundry frames 320, Do.

또한, 의류 관리 장치(300)는 오염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배출시키는 배수 수단(380),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부(390), 버튼부(3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방법에 따라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수 수단(380), 버튼부(390), 제어부(미도시)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garment management device 300 includes a drainage unit 380 for discharging polluted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a button unit 390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nd a button unit 39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preset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drainage unit 380, the button unit 39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be implemented using a known technique,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캐비닛(310)는 의류 관리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도어(31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310)은 분리부재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cabinet 3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nd a door 313 is provided for pulling in and out of the clothes. The cabinet 3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separat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a separating member.

세탁용 틀(320)은 캐비닛(310)의 내부에 제공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세탁용 틀(320)은 내부 홈이 구비된 두개의 틀, 즉 제1 틀과 제2 틀이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 틀은 급기관(377) 및 급수관(379)과 직접 연결되어 물(또는 세탁 거품) 및 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제1 틀의 내부면에 형성된 물 토출구(321) 및 공기 토출구(323)를 통해 각각 토출하고, 연결부재는 제1 틀에 공급된 물(또는 세탁 거품) 및 공기를 각각 제2 틀로 공급시켜주는 연결관들을 포함하며, 제2 틀은 연결관들을 통해 각각 공급된 물(또는 세탁 거품) 및 공기를 제2 틀의 내부면에 형성된 물 토출구(351) 및 공기 토출구(371)를 통해 각각 토출할 수 있다.The laundry frame 32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310 and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has an internal space for managing clothes. For example, the laundry frame 320 may include two frames having internal grooves, that i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At this time, the first fram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377 and the water supply pipe 379, and is supplied with water (or washing foam) and air,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321 and the air discharge port 323,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connection pipes for supplying water (or washing foam) and air supplied to the first frame to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frame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s The water (or washing foam) and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351 and the air discharge port 37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세탁용 틀(320)은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세탁용 틀(320)은 닫힌 상태에서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에서 거치된 의류에 대한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세탁용 틀(320)의 수량, 배열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The laundry frame 320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In addition, the laundry frame 320 has a closed inner space in a closed state, so that clothes mounted on the inner space can be washed and dried. Furth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laundry frame 320 are not limited.

의류 거치 수단(330)은 캐비닛(310)의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용 틀(320)의 내부 공간에서 의류가 관리 되도록 의류를 거치한다. 이러한, 의류 거치 수단(330)의 수량, 배열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310 to mount the clothes so that the clothes are mana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aundry frame 32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quantity and arrangement of the clothes storage means 330.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330)은 세탁용 틀(320)의 상측과 연결된 옷걸이 형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in the shape of a hanger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frame 320.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330)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330)은 한 쌍의 상체 및 하체 토르소(torso), 한 쌍의 상체 및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합 및 다양한 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4b, the garment restraining means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one of three-dimensional shapes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n upp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have.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body torso, a pair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mannequin, And various number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거치 수단(330)은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거치 수단(330)은 에어 펌프를 통한 공기 유입에 의하여 부피 팽창이 가능한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을 거치된 의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빠르고 완전하게 적실 수 있어 의류에 대한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volume change. For example,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expanding in volume by air inflow through an air pump, so that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unted garment. As a result, washing water or laundry foam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stored in the mounted clothes, thereby enhancing the washing effect on the clothes.

제1 물 토출부(321)은 세탁용 틀(3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330)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한다. 예를 들어, 제1 물 토출구(321)는 물분사 노즐을 통한 분사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겉감에 물을 토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겉감에 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물은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 및 헹굼에 사용되는 헹굼수,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물 토출부(321)는 의류 거치 수단(330)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을 위한 세탁 거품을 토출할 수 있다. The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32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frame 320 to discharge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fixing means 330. For example, the first water discharging port 321 may discharge wat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that are mounted by the spraying method through the water spraying nozz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 In this case, water is a concept including both wash water used for washing and water used for rinsing. The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321 can discharge the laundry foam for washing to the clothes stored in the clothes storage means 330. [

제1 공기 토출부(323)는 세탁용 틀(3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130)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한다. 예를 들어, 공기 토출부(133)는 공기분사 노즐을 통한 분사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겉감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된 의류의 겉감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공기는 탈수에 사용되는 강풍 및 건조에 사용되는 열풍,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32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frame 320 to discharge the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clothing stuck to the clothes loading means 130. For example, the air discharging unit 133 may discharge ai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stuck in the spraying manner through the air jet nozz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have. In this case, air is a concept including both strong winds used for dewatering and hot wind used for drying.

물 공급 장치(350)는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수관(359)을 통해 제1 물 토출부(321)로 물을 공급한다. 일 양상에 따른 물 공급 장치(350)는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어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밸브(351), 의류의 세탁을 위하여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부(353),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부(355), 급수된 물 또는 세제가 투입된 물을 펌핑시켜 제1 급수관(359)을 통해 제1 물 토출부(321)로 공급하는 펌핑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35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ion 321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59. The water supply device 350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351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detergent input unit 353 for inputting detergent into the water for washing clothes, A foam generating unit 355 for generating a foam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to generate a washing foam, a first water discharging unit 321 for pumping water into which the water or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by way of the first water supplying pipe 359, And a pumping unit 357 for supplying the pumping unit 357 to the pumping unit 357.

공기 공급 장치(370)는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기관(377)을 통해 공기 토출부(323)로 공기를 공급한다. 일 양상에 따른 공기 공급 장치(370)는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구(371), 의류의 건조를 위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373), 유입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켜 제1 급기관(377)을 통해 제1 공기 토출부(323)로 공급하는 블로워 팬(3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 장치(300)는 제2 물 토출부(미도시), 제2 공기 토출부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37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upply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323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377. According to one aspect, the air supply device 370 includes a ventilation hole 37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heater 373 for heating the inflow air for drying clothes, And a blower fan 375 for blowing air to the first air discharge portion 323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377. The clothes managing apparatus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and a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다음으로, 일 양상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300)는 제2 물 토출부(미도시)와 제2 공기 토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 공급 장치(350)는 제2 급수관을 통해 제2 물 토출부로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공기 공급 장치(370)는 제2 급기관을 통해 제2 공기 토출부로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Next, the garment manag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aspec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discharging unit (not shown) and a second air discharging unit (not shown). The water supply device 350 may supply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art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device 370 may drain water to the second air discharge part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pipe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for drying.

제2 물 토출부는 입체적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330)에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한다. 이 때, 입체적 형상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d clothes placing means 330 to discharge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lining of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placing means 330. 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 low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제2 공기 토출부는 입체적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330)에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한다. 이 때, 입체적 형상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d clothes rest means 330 to discharge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lining of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rest means 330. 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 low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다음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는 캐비닛(310)의 도어(313)를 열고 세탁용 틀(320)을 열어 의류 거치 수단(330)에 의류를 거치한 뒤, 세탁용 틀(320)을 닫고 캐비닛(310)의 도어(313)를 닫는다.First, the user opens the door 313 of the cabinet 310 and opens the laundry frame 320 to mount the clothes on the clothes fixing means 330. Then, the user closes the laundry frame 320, (313) is closed.

이 때, 의류 거치 수단(330)이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인 경우, 에어 펌프를 통한 공기 유입 등을 통해 의류 거치 수단(330)의 부피를 팽창시켜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을 거치된 의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물 토출부가 거치된 의류에 밀착된 상태에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의류에 빠르고 완전하게 적실 수 있어 의류의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의류 거치 수단(330)의 부피 변화는 캐비닛(310)의 도어가 닫히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varying the volume, the volum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is expanded through air inflow through an air pump to mount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on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clothes. As a result,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can discharge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to the clothes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clothes to which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is fixed, so that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stored in the clothes. Here,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clothes storage means 330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the door of the cabinet 310 is closed, or may be performed as the user presses a separate operation button.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입력되면 물 공급 장치(350)이 동작된다. 즉, 급수밸브(351)가 동작되어 수도관으로부터 내부로 물을 급수하고, 세제 투입부가 동작되어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며, 펌핑부(357)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된 물(세탁수)을 펌핑하여 제1 급수관(359)을 통해 제1 물 토출구(321)로 공급한다.Next, when an operation button is input by the user, the water supply device 350 is operated. 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351 is operated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from the water pipe, the detergent dispensing section is operated to inject detergent into the water supplied, and the pumping section 357 is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washing water)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 321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59.

또한, 물 공급 장치(350)에 거품 발생부(355)가 포함되는 경우, 거품 발생부(355)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며, 펌핑부(357)가 동작되어 발생된 세탁 거품을 펌핑하여 제1 급수관(359)을 통해 제1 물 토출구(321)로 공급한다.When the foam generator 355 is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device 350, the foam generator 355 operates to generate bubbles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to generate the washing foam, and the pumping unit 357 And supplies the generated laundry foam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 321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59.

그리고, 제1 물 토출구(351)는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거치된 의류의 겉감에 분사하여 의류를 충분히 적신다. 이를 통해, 세탁용 틀(320)이 밀폐된 상태에서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을 통한 세탁이 수행된다. 세탁용 틀(320)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물 토출구가 세탁액을 거치된 의류에 분사하여 세탁을 수행하므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빠르고 완전하게 적실 수 있어 세제에 의한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탁 거품을 통한 버블 세탁이 수행되는 경우, 세제 용해도가 향상되어 세탁력을 증가시키고 세탁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 351 is sprayed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which have been washed with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to wet the clothes sufficiently. In this way, the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hemical action by the detergent in a state where the washing mold 320 is closed. Since the water discharging opening is sprayed on the clothes to which the washing liquid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frame (320) is completely sealed,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can be quickly and completely filled in the clothes, have. Further, when the bubble washing is performed through the washing foam, the detergent solubility is improved to increase the washing power and shorten the washing time.

제2 물 토출부는 입체적 형상의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의류 거치 수단(330)에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한다. 이 때, 입체적 형상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d clothes placing means 330 to discharge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lining of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placing means 330. 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 low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또한, 의류 거치 수단(330)에 제2 물 토출부(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 물 공급 장치(350)는 제2 급수관을 통해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제2 물 공급 장치에 공급한다. 그리고, 의류 거치 수단(330)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물 토출부는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거치된 의류의 안감에 토출한다. 이때, 제1 및 제2 물 토출부가 함께 동작되어 의류의 안감과 겉감을 동시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으로 적실 수 있으므로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clothes storage means 330 includes a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the water supplying device 350 supplies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to the second water supply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ing pipe.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to the lining of the mounted clothes.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s are operated together, so that the lin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can be wetted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washing effect.

이러한 의류 관리 장치(150)는 물리적인 회전 운동을 통한 세탁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실제 세탁기에서의 세탁 효과는 회전 운동에 의한 물리 작용이 아닌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 토출구(131)를 통해 거치된 의류에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을 충분히 적셔줌으로써 일반적인 직립식 또는 드럼형 세탁기의 세탁 효과의 70~80% 정도의 세탁 효과를 낼 수 있다.Although the laundry management apparatus 150 does not perform washing through physical rotation, most of the washing effect in a washing machine is caused by a chemical action by a detergent rather than a physical action by rotational movement. Therefore, The laundry immersed in the water discharge port 131 is sufficiently wetted with the washing water or the washing foam to achieve a washing effect of about 70 to 80% of the washing effect of a general upright type or drum type washing machine.

다음으로, 급수 밸브(351)가 동작되어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급수하고, 펌핑부(357)가 동작되어 세제가 투입되지 않은 급수된 물(헹굼수)을 펌핑하여 제1 급수관(359)을 통해 제1 물 토출구(321)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 물 토출구(321)는 헹굼수를 거치된 의류에 분사한다. 이를 통해, 의류에 적셔진 오염된 세탁수 또는 세탁 거품에 대한 헹굼이 수행된다.Next, the water supply valve 351 is operat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pipe, and the pumping unit 357 is operated to pump the water supply (rinsing water) to which the detergent has not been supplied to supply the water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59 1 water discharge port 321, respectively. Then, the first water discharge port 321 discharges the rinse water to the mounted clothes. As a result, rinsing is performed on contaminated washing water or washing foam soaked in the clothes.

또한, 의류 거치 수단(330)에 제2 물 토출부(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물 토출부(321)과 함께 제2 물 토출부가 동작된다. 제2 물 토출부의 헹굼 동작은 상술한 제1 물 토출부(321)의 동작과 동일하다.In addition, when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includes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321. The rinsing operation of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321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공기 공급 장치(370)가 동작된다. 즉, 블로워 팬(375)이 동작 되어 송풍구(3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강풍을 발생시켜 제1 급기관(377)을 통해 제1 공기 토출구(333)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 공기 토출구(333)는 거치된 의류에 공급된 강풍를 분사한다. 이를 통해, 헹굼수에 대한 탈수가 수행된다.Next, the air supply device 370 is operated. That is, the blower fan 375 is operated to blow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outlet 371 to generate strong air and supply the air to the first air outlet 333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377. Then,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333 emits the strong wind supplied to the stationary clothes. Through this, dehydration is performed on the rinse water.

또한, 의류 거치 수단(330)에 제2 공기 토출부(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 제1 공기 토출부(323)와 함께 제2 공기 토출부가 동작된다. 제2 공기 토출부의 탈수 동작은 상술한 제1 공기 토출부(323)의 동작과 동일하다.Also, when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includes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323. The dewatering operation of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323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히터(373)가 동작되어 송풍구(3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블로워 팬(375)이 동작되어 가열된 열풍을 송풍하여 제1 급기관(377)을 통해 제1 공기 토출구(323)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1 공기 토출구(323)는 거치된 의류에 열풍을 분사한다. 이를 통해, 의류에 대한 건조가 수행된다.Next, the heater 373 is operated to he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blowing port 371, and the blower fan 375 is operated to blow heated hot air to the first air outlet 377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377, (323).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323 blows hot air to the stationary clothes. Through this, drying for clothes is carried out.

또한, 의류 거치 수단(330)에 제2 공기 토출부(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 제1 공기 토출부(323)와 함께 제2 공기 토출부가 동작된다. 제2 공기 토출부의 건조 동작은 상술한 제1 공기 토출부(323)의 동작과 동일하다.Also, when the garment mounting means 330 includes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not shown),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323. The drying operation of the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323 described above.

상술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 각 단계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어부는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단계의 동작 시간, 세제 투입량, 세탁 거품 발생량, 공기 토출 강도,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washing, rinsing, dewatering, and drying step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each step, the amount of the detergent, the amount of the laundry foam,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like.

이러한 물리적인 회전 운동이 없는 세탁 및 건조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다림질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구김 없이 세탁 및 건조된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한번에 수행되는 세탁 및 건조 과정을 통해, 각 과정을 위한 의류의 인입,출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Through the washing and drying process without the physical rotati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clothes that have been washed and dri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ironing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e washing and drying process performed at one tim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in and out of the clothes for each process can be elimina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 관리 장치 150: 물 공급 장치
110: 캐비닛 170: 공기 공급 장치
130: 의류 거치 수단
100: garment management device 150: water supply device
110: cabinet 170: air supply device
130: Clothes mounting means

Claims (11)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물 토출부; 및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 토출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having a door;
At least one garment mounting means provided within the cabinet for mounting the garment;
A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clothes storage means and discharging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storage means; And
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clothes storage means and discharging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storage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토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급기관을 통해 상기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nd
Further comprising an air supply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discharging part through the air supply du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의류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rment mounting means
And at least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n upp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은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입체적 형상인 의류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rment mounting means
A garment management devic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capable of volume chan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어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밸브;
의류의 세탁을 위하여 급수된 물에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부;
급수된 물 또는 세제가 투입된 물을 펌핑시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토출부로 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device
A water supply valv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pipe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 detergent dispenser for dispensing detergent into the water supplied for washing clothes;
And a pumping unit for pumping water supplied with water or detergent and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a water supply pip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세제가 투입된 물에 거품을 생성하여 세탁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상기 급수된 물, 상기 세제가 투입된 물 또는 상기 세탁 거품 중 어느 하나를 펌핑시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물 토출부로 공급하고,
상기 물 토출부는 상기 거치된 의류에 물 또는 세탁 거품을 토출하는 의류 관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oa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oam in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to generate a washing foam,
Wherein the pumping unit pumps any one of the water, the water into which the detergent has been introduced, and the laundry foam to supply the water to the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discharges water or laundry foam to the stationary clothes.
제 2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 장치는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구;
의류의 건조를 위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유입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켜 급기관을 통해 상기 공기 토출부로 공급하는 블로워 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supply
A ventilation hol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heater for heating the inflow air for drying clothes;
And a blower fan for blowing the inflow air or the heated air and supplying the blower fan to the air discharge unit through the air supply unit.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가 설치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의류 관리를 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용 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세탁용 틀의 내부 공간에서 의류가 관리되도록 의류를 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 거치 수단;
상기 세탁용 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제1 물 토출부; 및
상기 세탁용 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공기 토출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1 물 토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제1 급기관을 통해 상기 제1 공기 토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having a door;
At least one laundry fram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managing clothes;
At least one garment mounting means provided within the cabinet for mounting the garment so that the garment is maintain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laundry frame;
A first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frame and discharging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storing means; And
A first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frame and discharging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clothing stuck to the clothes storing means;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a first water supply pipe; And
And an ai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air discharge unit through the first air supply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은
상기 세탁용 틀의 상측과 연결된 옷걸이 형상인 의류 관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arment mounting means
And a hanger sha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undry fram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은
상체 토르소(torso), 상체 마네킹(mannequin), 하체 토르소(torso) 또는 하체 마네킹(mannequin) 형태의 입체적 형상 중 하나인 의류 관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arment mounting means
A garment management device that is on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n upper body torso, a lower body mannequin, a lower body torso or a lower body mannequi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토출하는 제2 물 토출부; 및
상기 의류 거치 수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 거치 수단에 거치된 의류에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 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제2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물 토출부로 세탁 또는 헹굼을 위한 물을 더 공급하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제2 급기관을 통해 상기 제2 공기 토출부로 탈수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를 더 공급하는 의류 관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second wate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clothes storing means for discharging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storing means;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ir discharg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garment mounting means for discharging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garment mounted on the garment mounting means,
The water supply device further supplies water for washing or rinsing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air supply device further supplies air for dewatering or drying to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ion through the second air supply.
KR20130108643A 2013-09-10 2013-09-10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KR201500294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43A KR20150029438A (en) 2013-09-10 2013-09-10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643A KR20150029438A (en) 2013-09-10 2013-09-10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38A true KR20150029438A (en) 2015-03-18

Family

ID=5302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643A KR20150029438A (en) 2013-09-10 2013-09-10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4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50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2364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US1077446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eparate container
CN109477289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5348669B2 (en) Machine for washing, washing, drying and ironing clothes and clothes
EP2061923B1 (en) Washing machine
KR2016003827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8000185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414384B1 (en) Washing machine with drawers and flexible washing compartment
KR20110130091A (en) Laundry machine
KR20110048344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9072526B (en) Washing machine with drawer and flexible washing compartment
JP6253468B2 (en) Washing machine or dryer
KR102110534B1 (en) Control method of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997884B1 (en) Shower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KR101708693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and fabric treating system
CN107130418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336126B1 (en) Washing Machine having Acceptance Ability
KR20100124128A (en)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KR20120079661A (en) 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029438A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KR20100023322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eating clothing
KR20060111127A (en) Refresher
KR20100124126A (en)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KR20100023318A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reating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