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00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00A
KR20150022600A KR20130100727A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KR 20150022600 A KR20150022600 A KR 20150022600A KR 20130100727 A KR20130100727 A KR 20130100727A KR 20130100727 A KR20130100727 A KR 20130100727A KR 20150022600 A KR20150022600 A KR 2015002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function
chang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미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600A/en
Publication of KR2015002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movement of a terminal, and switching a mode of a function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witching a function in a terminal includes measuring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hen a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in a first mode; and operating the specific function by switching the first mode to a second mode when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satisfies defined movement conditions.

Description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of a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단말기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mode of a function performed in a terminal in response to a motion of the terminal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terminal.

최근 정보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이 발전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시대의 경향(Trand)에 부합하여 하나의 기기나 서비스에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되는 컨버젼스(convergence) 단말기를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통신 기능 등을 부가하거나, 디지털 시계에 통신 기능, 카메라 기능들을 부가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Recently,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are developed, the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convergenc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digital age (Trand), in which various technologies are fused into one device or service.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devic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ad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o a digital camera or ad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to a digital clock.

최근의 단말기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에서 지원하는 특정 기능에 다양한 서브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작음 음량으로 출력하는 속삭임 모드뿐만 아니라, 속삭임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큰 음량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모드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 도중에 사용자 편의에 따라 속삭임 모드와 스피커 출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별도의 모드 변경 키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In order to improve user convenience, recent terminals provide various sub functions to specific functions supported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additionally provides not only a whisper mode for outputting a small volume during a call function but also a speaker output mode for outputt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than a whisper mode. In such a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ust operate a separate mode change key in order to switch between a whisper mode and a speaker output mode in accordance with user's convenience during a c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모드를 전환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movement of a terminal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a mode or a motion of a function being performed in the terminal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조건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된 기능의 모드 전환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mode switching or a function of a function performed in a terminal using a preset motion condition of a terminal in a terminal without a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그리고 중력 가속도 등에 의해 측정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condition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variou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clination, rotation, angle,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통화 모드 또는 특정 기능 실행 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nctio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r a specific function of a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은, 제1 모드로 특정 기능 실행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measuring a change in a motion of a terminal when a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in a first mode; And switching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o operate the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measuring a change in a motion of a terminal;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은,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의 상기 특정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switching a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a movement of a terminal during a specific mode; And changing the specific mode of the terminal if the motion of the terminal satisfies a preset motion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는 단말기의 기울기값을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 및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값을 기 정의된 조건과 비교하여, 기울기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including: a gesture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tilt value of th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slope value of the terminal with a predefined condition and controlling the mode of the executed function 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slope value satisfies a predefined condi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운용 중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의 실행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기능 전환 또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of the executed func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ilt, rotation, angle,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function switching or functio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y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실행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명에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경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having various sensors capable of sensing movement of a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that do not have a proximity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의 움직임(motion)에 따른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를 검출하고, 움직임 변화에 단말기의 모드 전환 또는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여 단말기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motion (e.g., tilt, rotation, angle, gravitational acceleration, etc.) according to a motion of a terminal, Or whether the function is to be executed or not. Meanwhile,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terminal without a proximity senso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제스처 센싱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카메라(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gesture sensing unit 140, an audio processing unit 150, a camera 160, 170, and a control unit 180. [

통신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지원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FR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통신 기능 요청 또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나 외부 요청 등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구동 과정에서 통신 신호를 출력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a sup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an FR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when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function request of a user, schedule information set or an external request.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output or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during the driving process.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작업 기능 실행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웹 브라우징 실행 화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실행 화면, 게임 실행화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의 중첩된 형태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값에 따라 비동작(turn off)) 또는 동작(turn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various types of menu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display unit 120 can output various function execution screen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job func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may output a web browsing execution screen, a social network service execution screen, a game execution screen, a multimedia playback screen, or the like, according to user-selected or set schedule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a superimposed form of a touch panel and a display panel, and thus can operate as an input means.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turn off or operat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terminal (e.g., tilt, rotation, angle, gravitational acceleration, turn on state.

입력부(130)는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 예컨대, 사이드 키, 단축키, 홈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들을 제어한다.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입력부(130)는 가상 터치 패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generates various input signals required for terminal operation.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such as a side key, a shortcut key, a home key, and the like,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Also, the input unit 130 generates a key signal related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When the terminal 100 is supported in the form of a full touch screen, the input unit 130 may be provided as a virtual touch pad.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제스처 센싱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동작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동작은 물리적인 움직임을 의미한다.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tilt, the rotation, the angle,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change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 unit 180 can confirm the operation change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gesture sensing unit. Her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means a physical m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센싱부(140)는 중력 가속도 센서(Gravitational Acceleration Sensor)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sensor. However,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gyroscope sensor,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센싱부(140)는 기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단말기의 중력 가속도 값, 각속도 값을 측정하고, 각의 변화에 대한 방향 정보, 가속도 변경에 대한 기울기 정보, 이동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 놓인 경우, 지구 중심 방향으로만 중력 가속도가 발생한다.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가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있다고 가정하면, z축에 대해서만 중력 가속도 값(예, X: 0, Y:0, Z: 9.8)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중력 가속도의 방향 및 가속도 크기가 일정 기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놓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기울어지면 가속도가 z 축뿐 만 아니라, y, z 축에도 분산되어 측정될 수 있다.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을 수치화할 수 있다.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value and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and calculates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angle change, tilt information on the acceleration change,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may measure the spatial acceleration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is in a horizontal state,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occurs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Assuming that the terminal is in a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values (eg X: 0, Y: 0, Z: 9.8) can be measured only for the z-axis. At this time, if the direction and acceleration magnitude of the gravity acceleration are not chang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terminal is in a horizontal state.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is tilted as moving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the acceleration can be measured not only on the z-axis but also on the y-axis and the z-axis.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can digitize the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according to the gradient of the terminal.

여기서, 제스처 센싱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특정 기능 실행 시 구동되거나, 슬립 모드 또는 표시부 턴 오프 모드 시 구동되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Here,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may be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when a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or in a sleep mode or a display unit turn-off mode to detect a change in movement of the terminal.

오디오 처리부(15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통화 시 마이크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음성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통화 시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에 따라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또는 묵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a speaker SPK for outputting audio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a call, audio data contained in a message, audio data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a microphone SPK for collecting voice or other audio signals (MIC).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during a cal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voice.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peaker output mode, the whisper mode, or the silence mode according to the movement (e.g., tilt, rotation, angle, gravitational acceleration, etc.) Mode.

카메라(16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60)는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에 따라 동작(turn on)또는 비동작(turn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camera 160 is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can convert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The camera 150 may be formed by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method or a CCD (Charge Coupled Device) method. Here, the camera 160 may be omitted if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amera function. The camer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witch to a turn on state or a turn off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e.g., tilt, rotation, angle, gravitational acceleration,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저장부(170)는 단말기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네트워크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운로드 및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The storage unit 170 stores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terminal, user data generated by the user, a messag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network, and data according to application execution. 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ownloading and installed application programs for booting of the terminal,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the like. The data area is an area wher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use of the terminal is stored.

저장부(170)는 움직임 조건(또는 범위)(예컨대, 단말기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의 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조건은 기능의 모드 변경 또는 단말기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특정 움직임 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임 조건을 가속도 값에 대해서만 정의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말기의 움직임(기울임, 회전, 가속 등) 변화에 따른 각도,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a motion condition (or range) (e.g., information such as a terminal slope, a rotation, an angle, and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Here, the motion condition mean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function mode change or a terminal function is executed. For example, the motion con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to include a ± error range based on the acceleration value for the x, y, and z axes in a specific mo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condition is defined only for the acceleration valu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efined by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ngle, direction, etc. according to the motion (tilt, rotation, acceleration, etc.)

또한, 저장부(170)는 움직임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의 모드 전환, 기능 실행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특정 기능 실행 시 모드 전환을 위해 정의된 조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및 묵음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속삭임 모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하여 통화음량의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모드이며, 스피커 출력 모드는 사용자와 단말기가 일정 이격 거리 간격으로 떨어져 통화 음량의 레벨의 상대적으로 높은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 또는 속삭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움직임 조건에 따른 모드 전환 또는 기능 실행 여부는 단말기의 종류, 특성, 및 기능을 기반으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setting information of mode switching and function execution of functions executed according to the motion condition. For example, the motion con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dition defined for switching a mode when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n more detail,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a speaker output mode, a whisper mode, and a silent mode in a call function. The whispe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is close to the ear and the volume of the call volume is relatively low, and the speaker output mode can be understood as a relatively high mode of the volume of the call volume wh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define a motion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speaker output mode or a motion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whisper mode. The mode switching or function execution according to the motion condition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based on the typ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서는 모드 전환 기능에 따라 하나의 움직임 조건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움직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 변경이 가능한 경우, 상술한 움직임 조건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계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motion condition may be stored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fun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various mod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motion conditions, the motion condition may be varied in one or more stag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Can be classified.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terminal,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of processing the data.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to the internal structures.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booting process of the terminal and execut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program area in order to execute function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또는 중력 가속도 변화 등)를 검출하고, 단말기 운용 시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비교부(181) 및 변경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ovement change (e.g., a tilt change, a rotation change, an angle change, or a gravity acceleration 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You can change the mode of a function or support a specific function to be executed. For this,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aring unit 181 and a changing unit 182.

비교부(181)는 제스처 센싱부(14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센싱 정보(움직임 정보: 기울기 정보, 회전 정보, 각도 정보, 중력 가속도 정보 등)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로 변경하거나, 속삼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또는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운용하거나, 표시부(120)가 턴 오프로 운용 중인 경우 표시부(120)를 턴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The comparing unit 181 may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rotation information, angle information, gravity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For example, the motion con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dition for changing to a speaker output mode in a call function or changing the mode to a fast mode. Alternatively, the motion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unit 120 to the turn-on state when the terminal is operating in the sleep mode or the display unit 120 is in the turn-off operation.

변경부(182)는 단말기의 변화된 움직임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경부(182)는 단말기의 움직임이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hanging unit 182 can control to automatically switch the mode of the executed function when the changed motion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The changing unit 182 can automatically control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tion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motion condition for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이하, 구체적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function switching method of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정해진 스케쥴 정보에 따라 단말기 운용에 따른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능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중 모드 변경이 가능한 모든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the terminal ma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or predetermined schedule information. Here, the specific function may include all functions capable of changing modes among the functions supported by the terminal.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특정 기능이 타 단말기와의 호(call) 연결 기능인 경우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호 연결 기능은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bove-described specific function is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another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a call connection to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receives a response signal to permit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another terminal or receive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another terminal And in response to accepting the call connection request.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220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중력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 23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모드로 특정 기능을 운용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실행된 기능의 특성,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In operation 220, the terminal operates a gesture sensing unit 140 (e.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a gravity sensor) 230 to operate a specific function in the first mode set as the default. Here, the first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cuted function and the type of the terminal.

예를 들어, 시계 형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이전 통화 시 설정된 음량 레벨로 통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노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단말기를 사용자의 얼굴 가까이에 근접하므로, 속삭임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clock type terminal, the speaker output mode may be set to default in a call func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call to the volume level set at the time of the previous call. On the other hand, the NORM terminal may be set to the default because the terminal is close to the user's face in the call function.

단계 24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움직임 변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step 240,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sensor value (movement change)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control to measure movement changes (e.g., tilt, rotation, angle, gravitational acceleration, etc.) of th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fixed period and store at least 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movement change.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use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movement of the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the user moves or errors.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to be maintained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 of the designer.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예를 들어,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단말기는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통해 현재의 공간 위치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가속도 센서가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있다고 가정하면, z축에 대한 중력 가속도 값(예, X: 0, Y:0, Z: 9.8)이 측정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가속도가 z 축 뿐만 아니라, y, z 축에도 분산되어 측정될 수 있다. Here,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can define an error range based on, for example, the spatial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The terminal can also calculate the current spatial position through the spatial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value (e.g., X: 0, Y: 0, Z: 9.8) for the z axis can be measured.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clined, the acceleration can be measured not only in the z-axis but also in the y-axis and the z-axis.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에 포함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과 측정된 센싱 값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에 포함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mpares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s with the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included in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and measures the sensed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included in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ncluded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acceleration value.

단계 25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 예컨대, 기준이 되는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250, the terminal may control to operate the specific function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when the measured sensor value is included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acceleration value.

예를 들어, 단말기는 시계 형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모드로 통화 기능 수행 시 단말기의 가속도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속삭임 모드로 통화 기능이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속삭임 모드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call function to operate in the whisper mode when the acceleration value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predefined condition when the call function is performed from the watch type terminal to the speaker output mo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dur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whisper mode, the general portable terminal can control to operate in the speaker output mode.

단계 26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단계 230로 복귀하여 제1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270에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벗어나지 않고, 특정 기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고, 기능이 종료되지 않으면, 단계 250으로 복귀한다. In step 260, if the measured sensor value (movement change) is out of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230 and controls to operate in the first mode.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terminate the specific fun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n step 270, and returns to step 250 if the function is not termina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mod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시계형 단말기인 경우로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3, it is assumed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ck-type terminal.

단계 310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타 단말기와의 호(call)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 기능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타 단말기의 통화 연결 연결을 허용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In step 310, the terminal may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a predetermined schedule. Here, when the user terminal requests a call connection to anoth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allowing a call connection connection of another terminal or receive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another terminal And can be executed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permitted.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320에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각도 변화, 회전 변화 등)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330 에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콜 기능을 운용한다. The terminal operates a gesture sensing unit 140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that detects a motion change (e.g., a tilt change, an angle change, a rotation change, The call function is operated.

상세하게는, 시계형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목에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다. 시계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목을 들어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이격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므로 스피커 출력 모드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이전 통화 시 설정된 음량 레벨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atch-type terminal, the user can mount the terminal on the wrist of the user. The user using the watch type terminal performs the call function while keeping the user's wris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so that the speaker output mode can be set to default.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operate in the speaker output mode at the volume level set in the previous call.

단계 34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등)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에 따른 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예를 들어,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In step 340,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sensor value (movement change)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e.g., an acceleration sensor, etc.) meets predefined motion conditions.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e.g., change of tilt)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store the measured sensor valu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change). Here,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can define an error range based on, for example, the spatial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기 정의된 조건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predefined condition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when the predefined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moving or error.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to be maintained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 of the designer.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 등)과 측정된 센싱 값(움직임 변화)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mpares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e.g.,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with the measured sensing value (motion variation) y, and z axe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motion condition.

단계 350에서 단말기는 센서 로그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350, the terminal may compare the sensor log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movement of the terminal.

예컨대,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측정된 센싱 값의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센싱 로그 정보 즉, 가속도 값의 변경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의 가속도 값 변화를 통해 단말기가 움직임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store a log of sensed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The terminal can check the sensing log information, that is, the change log information of the acceleration value,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moving through the acceleration value change of the terminal.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목을 들어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이격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는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을 들어 사용자 귀에 가까이 근접하게 되면, 단말기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드는 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단말기는 센서 로그 정보를 통해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드는 동작이 발생됐다고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takes a user's wrist and performs a call function while keep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the terminal may be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is case, when the user lifts his / her hand and comes close to the user's ear, the terminal may move in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at the terminal has been moved from the horizontal state to the vertical state through the sensor log information.

한편, 단말기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x, y, z 축에 대한 각속도 값을 계산하고, 각속도 값을 통해 각의 변화를 감지하여 움직이는 방향을 검출할 수 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may calculate the angular velocity values about the x, y, and z axes through the gyro sensor, and may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sensing the angular change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values.

단계 360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 있다고 결정되면,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속삭임 모드로 호 연결 기능을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60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the mobile terminal can control to operate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in the whisper mode when the measured sensor value satisfies the predefined condition.

예컨대, 시계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타 단말기와 전화 통화 시 손목을 들어 스피커 출력 모드로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 음량을 조절해야 할 경우, 손을 들어 시계형 단말기가 사용자 얼굴 가까이 근접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of a watch type terminal needs to adjust the volume of a call while talking on a speaker output mode by wrist during a telephone conversation with another terminal, the watch type terminal can be moved so that the watch type terminal approaches the user's face.

시계형 단말기는 시계형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 놓여 있다가 가속도 값 또는 기울기 값이 기 정의된 조건 이내에 포함됐다고 결정하여, 자동으로 통화 음량을 조절하여 속삭임 모드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lock typ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lock type terminal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at the acceleration value or the slope value is included within the predefined condition and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voice volume to operate in the whisper mode.

단계 36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단계 330로 복귀하여 다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얼굴과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 즉, 사용자가 시계의 시간을 확인하는 듯한 자세로 변경할 경우, 시계형 단말기는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게 되므로, 콜 연결 기능을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In step 360, if the measured sensor value is outside the predefined condition,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330 and controls the speaker to operate in the speaker output mode again. For example, when the user changes the user's hand to a state in which the user's h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a posture in which the user confirms the time of the clock, the sensor value becomes out of predefined condition, Function can be operated in speaker output mode.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380에서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지 않고, 특정 기능이 종료되는지를 결정하고, 기능이 종료되지 않으면, 단계 360으로 복귀한다.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does not deviate from the predefined condition at step 38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function is terminated. If the function is not terminated,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36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실행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witching the func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계 410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초기화가 완료되면, 표시부(120)에 홈 화면, 대기 화면 등 기 정의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부(120) 화면이 비동작(turn off)된 상태로 구동될 수 도 있다. 4,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o initialize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using power supplied when power is supplied at step 410. [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may output a predefined screen such as a home screen or an idl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20 is turned off Lt; / RTI >

단계 420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다양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중력 변화 등)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 430에서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값)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움직임 변화에 따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기 정의된 조건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In operation 420, the terminal operates a gesture sensing unit 140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that detects various motion changes (e.g., tilt change, rotation change, angle change, gravity chan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satisfies a predefined condi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control to measure a movement change (e.g., a slope value) of the terminal at a predefined period and stor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movement chang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a user moves or an error, a predefine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predefined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to be maintained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 of the designer.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하는 센싱 값(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과 측정된 센싱 값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Here,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may define an error range based on a sensing value (for example, a spatial acceleration value for the x, y, and z axes) measured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The terminal compares the measured sensed values with predefined motion conditions (e.g., acceleration values for the x, y, and z axes) and measures the sensed values based on predefined motion conditions (e.g., x, y, Is included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acceleration value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value for the vehicle).

단계 44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 예컨대, 기준이 되는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In step 440, when the measured sensor value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acceleration value, the terminal performs a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예를 들어, 표시부(120)가 비동작 상태(turn off) 또는 슬립 모드일 경우, 단말기는 저전력으로 제스처 센싱부(14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주기적으로 센싱 값을 검출하고,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기는 표시부(120) 턴 온(turn)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in a turn off or sleep mode, the terminal can drive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with low power. In this case, the terminal periodically senses the sensed value through the gesture sensing unit 140. If the sensed value satisfies the predefined condition, the terminal controls the turn-on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20 to be performed .

예를 들어, 시계형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120)가 턴 오프 상태 또는 슬립 모드로 운용 중에 사용자가 시간을 확인하는 것과 같은 자세 즉, 시계형 단말기와 사용자의 눈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마주보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값)가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했다고 결정하고, 표시부(120)를 턴 온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표시부(120)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clock-type terminal,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onfirms the time while operating in the turn-off state or the sleep mode, that is, Can be changed to a viewing state.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change (e.g., tilt value) of the terminal satisfies the predefined condi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to turn on. That is, the user can turn on the display unit 120 without performing any other input oper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기능은 표시부(120) 턴 온 기능에 한정하지 않으며,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단말기의 종류, 기능의 특성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중력 가속도 변화 등)에 따른 카메라 기능 또는 수신된 메시지 출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urn-on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20, and can be applied to all fun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the terminal oper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execute a camera function or a received mess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various movement changes (e.g., tilt change, rotation change, angle change, gravity acceleration change, etc.) And the specific function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 of the designer.

단계 450에서 단말기는 특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는지를 결정하고, 단계 460에서 단말기는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면, 실행된 특정 기능을 종료하고,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지 않으면, 단계 440으로 복귀하여 실행된 기능을 유지한다. In step 450,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ensor value measu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is out of the predefined condition. In step 460, if the sensor value exceeds the predefined condition, the terminal terminates the specific function , And if the sensor value does not exceed the predefined condi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40 to maintain the executed functio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nd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program instructions also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통신부 120: 표시부
130: 입력부 140: 제스처 센싱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카메라
170: 저장부
110: communication unit 120: display unit
130: input unit 140: gesture sensing unit
150: audio processor 160: camera
170:

Claims (18)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로 특정 기능 실행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Determining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hen the specific function is executed in the first mode; And
And switching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o operate the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vement change of the terminal meet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타 단말기와의 호 연결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디폴트로 설정되는 모드를 나타내며,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또는 묵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모드 외의 다른 모드를 나타내며, 속삭임 모드,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묵음 모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function includes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anoth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mode indicates a mode set to a default for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in the terminal, and includes a speaker output mode, a whisper mode, or a silent mode,
Wherein the second mode indicates a mode other than the default mod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hange of the terminal, and includes a whisper mode, a speaker output mode, or a mute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에 따른 로그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로그 변화에 따라 단말기의 움직임이 일정 방향으로 변화된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measuring proc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log information of the measured motion change,
Comparing the lo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change, and switching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chang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g 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은,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measuring the motion change comprises:
A function of a terminal to measure us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gyroscope sensor,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 gravity sensor Conver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의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s set using any one or combination of information of a tilt, a rotation, an angle, and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ncludes an error range based on a specific motion of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 운용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복귀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turning to the first mode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 function of a terminal,
Determining a change in motion of the terminal; And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또는 중력 가속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tion condi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tilt, a rotation, an angle, or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 오프 시 턴 온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may include:
Wherei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performs a turn-on func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의 상기 특정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A method of switching a mode of a terminal,
Determining a movement of the terminal during operation of the specific mode; And
And changing the specific mode of the terminal if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meets a predetermined motion condition.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A gesture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change of the terminal; And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motion change of the terminal with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and controlling the mode of the executed function 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tion change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Function switching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센싱부는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gesture sensing unit
The function switching device of the terminal is composed of any one or combination of the gyroscope sensor, tilt sensor, acceleration sensor, geo-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및 묵음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용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여 운용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other terminal, operates in one of a speaker output mode, a whisper mode, and a silent mode, and when the motion changer satisfies the defined motion condition, Function switching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단말 운용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 또는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운용 시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 온 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rminal operation screen,
Wherei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turn on 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or the terminal is in a sleep mode and the motion change satisfies a predefined motion condi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가 전환되거나 기능이 실행된 후,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환된 모드를 다시 복귀하거나 실행된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mode change or the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motion change does not satisfy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the control unit returns the switched mode back or ends the executed fun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로그 변화에 따라 단말기의 움직임이 일정 방향으로 변화된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log information of the measured motion change,
Wherein,
And comparing the log information of the movement change and switching the mode of the executed function 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changes in a certain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g ch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의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edefined motion condition is set using any one or combination of information of a tilt, a rotation, an angle, and a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terminal.
KR20130100727A 2013-08-23 2013-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KR201500226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00A true KR20150022600A (en) 2015-03-04

Family

ID=5302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en) 2013-08-23 2013-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6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086B2 (en)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086B2 (en)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80249000A1 (en) 2014-07-31 2018-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554807B2 (en) 2014-07-31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53431B2 (en) 2014-07-31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3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tion sensor generated data
EP3100133B1 (en)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US11200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audio data
JP5937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user input detection in a mobile device
US9563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02981B1 (en) Hand-held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micro processor and cellular phone thereof
KR1020670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ath of mobile terminal
CN108055408B (e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973314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11405110B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US202002127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charging,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4123075B (en) The method of control terminal and device
CN110830063B (e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of audio service and terminal
CN111443803A (en) Mode switch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KR2016002613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nding a message using electronic device
KR101955285B1 (en) Method for setting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eri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8683812B (en) Volum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9062534B (en) Sound production control method, sound production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500226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CN110868642A (en) Video play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121409B (en) Game interaction method, flexible scree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10049080A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physical contact and mobi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CN111708669B (en)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system operation
CN114710816A (en)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377208B (en) Audio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