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511A - Electric car - Google Patents

Electric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511A
KR20150022511A KR20130100507A KR20130100507A KR20150022511A KR 20150022511 A KR20150022511 A KR 20150022511A KR 20130100507 A KR20130100507 A KR 20130100507A KR 20130100507 A KR20130100507 A KR 20130100507A KR 20150022511 A KR20150022511 A KR 2015002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ng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균
Original Assignee
(주)헤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네스 filed Critical (주)헤네스
Priority to KR2013010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511A/en
Publication of KR2015002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additional electric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which enables self-charging and remote control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omprises: a battery (20) which i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a generator (40) which charges the battery; an engine (30) which drives only the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10) which detects the current state including the remaining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and controls the driving of an engine based on the remaining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Also, the electric vehicle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14) which performs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remote controller (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e remote controller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 battery charging signal, which is inputted by a user,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자체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차{Electric car}BACKGROUND ART [0002] Electric vehicles having sel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최소한의 엔진을 구비하고 엔진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minimum engine for charging a battery and configured to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by an engin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환경 문제 및 에너지 활용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연료를 이용하는 자동차가 개발되어 활용화될 수 있는 환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소 가능한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에 대하여, 배터리에서의 전원을 구동원으로 같이 이용하는 하이브리드형식의 자동차도 최근에는 더욱 활발하게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ergy utilization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n environment in which vehicles using various fuel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a combustible fossil fuel, a hybrid type automobile that uses power from a battery as a driving source is also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marketed more actively in recent years.

그러나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도 일정한 환경 하에서는 구동원으로 이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일정 이상의 출력을 내는 대형화된 것만을 이용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엔진이 대형화되면 차체 및 주변 모든 부품이 그에 상응하게 되어 결국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과 유사한 크기 및 무게를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연비 및 설계 및 생산 등에서도 여러 가지 불리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이 단점으로 대두된다. 또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보조적인 수단에 불과하게 되는 점도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in such a hybrid vehicle, since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is also transferred to the driving source under a certain environment, substantially only the engine that can be used can only use the large-sized engine that outputs a certain amount of power. However, when the engine is enlarged in this manner, the vehicle body and all the surrounding part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it is forced to have similar size and weight to th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This causes a disadvantage that the fuel economy and design and production are substantially inferior. In addition, the fact that electricity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is also not desirable.

그리고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전기차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하여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차체 및 구조가 경량화되고, 이로 인하여 설계 및 생산에서의 장점 이외에도 에너지 대비 연비가 상당히 높아지는 장점은 충분히 있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의하여 환경이 주도되어 왔기 때문에, 전기차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환경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차의 상용화에 대한 최대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전기차는 한번의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도 제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that has been commercialized recently has advantages over the hybrid vehicle in many respects. The body and the structure are lightweight, and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in design and production, there is a sufficient advantage that the fuel consumption is considerably higher than energy. However, since the environment has been dominated by automobiles that use fossil fuel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a disadvantage that lack of infrastructure for electric cars. In other words, it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disadvantag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electric car because the environment for charging the battery is not properly constructed. Also, since the distance that the electric car can travel by the charging is limited, the inconvenience is also raised can do.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most efficient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필요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기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so that necessary travel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if necess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는, 전기차의 주행을 위한 구동원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만을 구동시키는 엔진;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포함하는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기초하여 엔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battery as a drive source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A generator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An engine for driving only the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which can detect a current state including a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control whether the engine is driven based on a charg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은 오직 발전기를 구동시키는데만 사용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과 관련되어 요구되는 출력 및 토오크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의 사양을 가지면서도 발전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엔진을 이용하여 충분한 충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ine is used only to drive the generator, the output and torque required in association with the running of the vehicle become unnecessary. Therefore, a sufficient amount of charge will be possible by using an engine that has the minimum specifications and can operate the generator most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에 리모트컨트롤러와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리모트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신되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배터리 충전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displays a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o transmit the charg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터리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엔진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engine.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잔량이 기설정된 충전 기본값 이하이면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 기본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the engine when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less than a preset charging default value, and the charging default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거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기차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engine based on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r may drive the engin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a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an electric vehicle.

또한 제어부가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충전 기본값은, 주행 모드와 정지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charging default for the control unit to drive the engin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raveling mode and the stop mod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기차는, 배터리가 항상 원하는 충전 레벨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설정되어 있는 레벨 이하로 배터리의 잔량이 떨어진 경우 또는 사용자의 확인에 의한 명령에 따라서 배터리는 엔진에 의하여 언제라도 충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충전을 위한 과정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It can be seen that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always have a desired charge level. That is, the battery can be charged at any time by the engine according to a command issued by the user or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rops below the set level,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the process.

예를 들어 배터리의 현재 잔량이 충전 기본값 이하이면, 정지 상태에서도 제어부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 없이도 항상 원하는 충전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과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도 기대된다. For example, if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below the charging default value, the charg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n the stopped state, so that the desired charging level can always be maintain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When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 smart phone is used, it is also expected that a control for charging the battery can be performed at a remote place remote from the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은 오로지 발전기의 구동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주행과 관련하여 어떠한 사양도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소형이면서도 발전기를 동작시키는데 가장 효율적인 사양 및 운전 조건을 가지는 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엔진의 에너지 효율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ine is used solely for driving the generator, no specifications are required in relation to runn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engine can be maximized by using an engine having the most efficient specifications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operating the generator while being compa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방법을 예시한 플로챠트.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는 주행을 위한 구동원인 배터리(20)와, 상기 배터리(20)에 의하여 회전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모터(30),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고 주행모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20)는 충전에 의하여 주행모터(30)를 구동시킬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구동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20 a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a traveling motor 30 for generating an output rotated by the battery 20, and a traveling motor 30 And a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The battery 20 can drive the traveling motor 30 by charging, and substantially acts as a driving source.

그리고 제어부(10)는 배터리(2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현재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0)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외에도, 현재의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 can sense the state of the battery 20, for example, can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and can execute the set command based on the state of the battery.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 can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and know the degree of charge. The control unit 10 can detect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그리고 제어부(10)는 이렇게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하도록 전기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배터리(20)에 의하여 구동되는 주행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모터(30)를 제어함으로써, 전지차의 주행 자체를 제어하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battery 20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0 may control the traveling motor 30 driven by the battery 20. This means that the traveling motor 30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traveling motor 30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of the driver.

상기 주행모터(30)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은 주행계(50)로 전달된다. 여기서 주행계(50)는, 자동차의 주행을 위한 모든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주행계(50)에는, 자동차의 실질적 주행을 위한 휠과, 상기 휠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 그리고 이러한 동력전달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감속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요소 중에서, 배터리(20), 주행모터(30) 그리고 주행계(50)는 실질적으로 현재 전기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When the traveling motor 30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system 50. Here, the traveling system 50 is defined to mean all the components for driving the vehicle. For example, the traveling system 50 may include a wheel for substantially running the automobile, a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heel, and a decelerating device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battery 20, the traveling motor 30, and the traveling system 50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used at present in an electric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는 상기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발전기(40)와 엔진(30)을 포함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종래의 엔진은 실질적으로 조건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동력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차량의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출력 및 토오크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대형화를 피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기차에 적용되는 엔진(30)은 발전기(40)를 충전만 하는 것이고, 주행의 용도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tor (40) and an engine (30) for charging the battery (20). Since the conventional engine used in the hybrid vehicle is substantially used as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a sufficient output and torque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and therefore, the size of the engine can not be avoided. However, the engine 30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charges the generator 40, and is not used at all for the purpose of traveling.

따라서 상기 엔진(30)은 발전기(4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출력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30)은 발전기(40)의 구동에만 동력이 사용되기 때문에, 발전기(40)의 구동에 최적의 회전수 및 토오크를 가지는 것에서 선택되거나, 발전기(40)의 구동에 최적의 회전수 및 토오크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sufficient that the engine 30 has an output capable of driving the generator 40, so that a small-sized engine 30 can be used. Since the engine 30 is powered only by the generator 40, the engine 30 can be selected from those having the optimum rotation speed and torque for driving the generator 40, And torque.

이와 같이 상기 엔진(30)은 발전기(40)의 구동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하거나 설계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40)에서 발전되는 전기에너지는 배터리(20)에 충전된다. 상기 엔진(30)의 구동 여부는 제어부(10)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제어부(10)는 배터리(2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음은 상술하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engine 30 can be selected or designed to have optimal conditions for driving the generator 40, thereby maximizing the energy efficiency.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the generator (40) is charged into the battery (20). Whether the engine 30 is driven or no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ler 10 can sense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2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0)에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12)는 사용자가 엔진(30)의 구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를 통하여 엔진(30)의 구동에 관한 충전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차는 표시부(16)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표시부(16)는 현재의 자동차의 주행 또는 배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입력부(12)를 통한 입력으로 요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6)는 배터리(20)의 현재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입력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6)와 입력부(12)를 하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12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 is provided. The input unit 12 may be an input medium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driving conditions of the engine 30. [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charging reference value for driving the engine 30 through the input unit 12. [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6. The display unit 16 can display driving or battery information of a current car, and can display information required b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art to displa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6 may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20. When a display panel having a touch input function is used, it is natural that the display unit 16 and the input unit 12 can be formed as a single unit.

본 발명의 전기차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신모듈(14)은 리모트컨트롤러(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다. 예를 들어, 리모트컨트롤러(70)를 통하여 사용자가 엔진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무선 통신모듈(14)은 이를 수신한 후, 제어장치(10)에 이를 통지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는 엔진(30)을 구동시키게 되며, 엔진이 구동되면 발전기(40)에서 발전되는 전기는 배터리(20)를 충전시키게 될 것이다.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4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4 i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70.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driving signal of the engin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7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receives the signal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0 of the received signal. The control unit 10 receiving the signal drives the engine 30. When the engine is driven,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40 will charge the battery 20.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제어에 대하여 도 2를 참고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2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기본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충전 기본값은 입력부(12)를 통하여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20)의 충전이 시작되면 어느 정도까지 충전을 진행할 것인가, 즉 충전 레벨을 사용자의 설정으로 변경 가능하다. Hereinafter, control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harging default value for charging the battery 20 is set in advance, and the charging default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0 is start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harging level to the user's setting.

상기 제어부(10)에는 이와 같은 충전 기본값이 저장되어 있다. 즉, 제어부(10)에서 감지되는 배터리(20)의 잔량이, 설정된 기본값 이하인 경우에는 엔진(30)이 구동되면서 일정한 충전 레벨까지 배터리(20)의 충전이 진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20)의 충전 값을 80%라고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에서 감지되는(제110단계) 배터리의 현재 잔량이 80% 이하라고 판단되면(제120단계), 제어부(10)는 엔진(30)을 구동시키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 stores the charging default value. That i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20 sensed by the control unit 10 is less than the preset default value,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0 is set to proceed to a predetermined charging level while the engine 30 is driven. For example, if the charging value of the battery 20 is set to 80% and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sensed by the controller 10 is less than 80% (operation 120) 10 drive the engine 30.

엔진(30)이 구동되면, 엔진의 출력으로 발전기(40)가 회전하게 되고, 발전기에 의하여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는 배터리(20)를 충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엔진의 구동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도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충전 레벨은 제어부(1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감지된다(제140단계). 그리고 배터리(20)의 충전시 충전레벨을 배터리(20)의 만충전, 즉 100%까지 충전되도록 충전 설정값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40단계에서 충전되고 있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100%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0)는 엔진(30)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When the engine 30 is driven, the generator 40 is rotated by the output of the engine, and the electric energy output by the generator charges the battery 20. [ Also, the current charge level of the battery 20 is continuously sensed by the controller 1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operation 140). When the charge level is set so that the charge level of the battery 20 is fully charged, that is, 100%, the current charge level of the battery charged in step 140 reaches 100% The control unit 10 stops driving the engine 30.

이와 같은 배터리의 충전 기본값과 충전 레벨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상기 입력부(12)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충전과정은, 실질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에도 진행될 수 있고, 주행 상태가 아닌 정지상태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The charging default and the charging level of the battery are basically set or can be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 [ The charg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proceed substantial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may proceed even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not in the running state.

즉, 전기차의 충전은 자동차가 주행중인 경우에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고, 주행이 끝난 후 주차장에 파킹된 상태에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행이 완료된 후, 주차장에 파킹된 상태에서도 제어부(10)가 배터리(20)이 잔량이 설정값 이하라고 감지하면, 엔진(30)을 구동시켜서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를 정차중에 충전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차는 항상 원하는 레벨 이상의 배터리 잔량을 가지고 있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at is,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arried out eve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it can proceed even when the vehicle is parked after the running.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controller 10 detects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20 is less than the set value even when the vehicle 10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the engine 30 can be driven to charge the battery 20 Do. When the battery is charged during the stop, it is expected that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ways have a battery residual quantity equal to or higher than a desired level.

그리고 자동차의 주행 중에서 상기와 같은 배터리 충전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에서의 충전 기본값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주행중인 경우에는 충전을 위한 기본값을 예를 들면 50%라고 설정하고, 정지모드에서는 충전을 위한 기본값을 80%라고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가지 충전 기본값은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설정된 기본값에 대하여 입력부(12)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attery char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Her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charging default value in the traveling mode or the stop mode of the vehicle as need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t the default value for charging to, for example, 50% in the case of driving, and to set the default value for charging in the stop mode to 80%. These two charging defaults can be set by default, and the user can directly change the set default values through the input unit 12.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엔진(30)의 가동을 항상 정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에 의하여 자동차가 주행중임이 감지되면, 엔진(30)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주행이 완료되어 전기차가 멈추게 되면 또는 파킹 상태로 되면 제어부(10)는 상기 엔진(30)을 구동시켜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can be se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ngine 30 is always stopped.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it means that the engine 30 is not driven. If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electric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the control unit 10 may be set in advance to drive the engine 30 to charge the battery 20. [

또는 이와 반대로 전기차가 주행 중에는 제어부(10)에서 얻어지는 현재 충전 잔량을 충전 기본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충전을 시작하도록 하고, 정지 또는 파킹 상태에서는 충전이 진행되지 않도록 변경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모드는 주차 중인 장소의 환경에 따라 엔진의 소음이 문제시 될 수 있는 장소에서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traveling, the current charge remaining amount obtained by the control unit 10 may be compared with the charge default value, and charging may be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and the charge may not be changed in the stop or parking state. May be useful in locations where engine noise may be a problem,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parking area.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모드에서 엔진(30)을 구동시켜서 배터리(20)를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여부와 무관하게 배터리(20)의 현재 충전 상태가 충전 기본값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엔진(30)을 구동시키거나,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충전 설정값과 비교하여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engine 30 in various modes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or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 to charge the battery 20 .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20 is below the charging default value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or not, the engine 30 is driven, or the current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is set to the charging set value The engine can be driven by comparison.

그리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또는 정지 상태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충전 기본값을 달리 설정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각 충전 기본값과 현재 충전량을 비교하여, 엔진(30)을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함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충전 제어는 실질적으로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미리 프로그램된 내용에 따라서 제어부(10)가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harging default value differently for each cas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r in the stopped state, and to compare the charging default value with the current charging amount in each situation to drive the engine 30 as described above . It can be seen that such charge control is substantially controlled automatically, which can be said to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 in accordance with pre-programmed contents.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12)를 통하여 사용자가 충전 기본값을 직접 입력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여 배터리(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에서 얻을 수 있는 배터리(2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적어도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포함하고 있고, 이는 제어부(10)에 의하여 표시부(16)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6)에 표시된 배터리의 현재 충전 상태를 보고, 배터리(20)의 충전이 필요하면 입력부(12)를 통하여 엔진(30)의 구동 명령을 입력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input and control the charging default value through the input unit 12. [ That is,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the battery 20 can be charged by controlling the input unit.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20 obtained by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t least the current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by the control unit 10. [ The user views the present charge state of the batter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and inputs a drive command of the engine 30 through the input unit 12 when the battery 20 needs to be charged.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제어부(10)는 엔진(30)을 구동시키게 된다. 엔진(30)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기(40)가 구동하면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는 배터리(20)에 충전될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20)의 충전이 개시되면, 미리 정해진 충전레벨까지, 예를 들면 100%인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이 계속수행된 후, 엔진(30)의 구동이 멈추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배터리(20)의 충전을 입력할 때,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레벨도 같이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배터리가 원하는 레벨까지 입력되면 제어부(10)에 의하여 엔진(30)의 구동이 정지될 것이다. The controller 10 drives the engine 30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as the generator 40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engine 30 will be charged in the battery 20. [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0 is started, the charging is continued up to the predetermined charging level, for example, to the full charging state of 100%, and then the driving of the engine 30 is stopped.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the charge of the battery 20,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e charge level of the desired battery as well. In this case, if the battery is input to a desired level,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engine 30 It will be stopped.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14)을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7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도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20)의 현재 상태 정보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통신모듈(14)을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0)에 송신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의 조작에 의한 요청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mmunication module 14 capable of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20 even from a remote plac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70. [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20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7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performed by a request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70. [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70)를 통하여,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의 배터리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배터리(2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70)를 통하여 그 신호를 통신모듈(14)에 송신한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통신모듈(50)은, 제어부(10)에게 이를 송신하고, 제어부(10)는 엔진(30)을 구동시키게 된다. 엔진(30)의 구동에 의하여 발전기(40)에서 출력되는 전기는 배터리(20)를 충전시키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e user can know the current battery condi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70, for example, through a display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needs to charge the battery 2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4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70. [ The communication module 50 that receives such a signal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engine 30. [ The electric power outputted from the generator 40 by the drive of the engine 30 charges the battery 2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를 원격지에서 조정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70)는 스마트폰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스마트폰에 본원에 의한 전기차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무선 통신모듈(14)과 동조시키게 되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모듈(14)과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신모듈(14)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재 배터리의 상태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엔진의 구동여부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urther, the remote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remote place may be configured as a smart phone. That is, when an application designed to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and is synchroniz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4 can be performed using the smartphone. In a state where the smart phone can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4, it is natural that the status of the battery can be grasped sufficiently by using the smartphone and the operation of the engine can be controlled remotely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기(40)의 구동에만 사용되는 엔진(30)을 장착하고, 이러한 엔진은 미리 설정된 알고리듬에 따라 구동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엔진(30)은 전기차의 주행과는 무관하고 오직 배터리(20)의 충전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발전기(40)가 최고의 발전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사양으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에 사용되는 엔진(30)은 발전기에 대하여 최적의 사양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ngine 30 used only for driving the generator 40 is mounted, and the engine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or can be driven by a user . The engine 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running of the electric vehicle and is used only for charging the battery 20, so that the generator 40 can be selected to have the highest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30 used for charging has the optimum specification for the generator,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ased o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어부
12 ..... 입력부
14 ..... 통신모듈
16 ..... 표시부
20 ..... 배터리
30 ..... 엔진
40 ..... 발전기
50 ..... 주행계
70 ..... 리모트컨트롤러
10,
12 ..... input
14 ..... Communication module
16 ..... Display
20 ..... Battery
30 ..... engine
40 ..... generator
50 ..... Driving system
70 ..... remote controller

Claims (9)

전기차의 주행을 위한 구동원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만을 구동시키는 엔진;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포함하는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기초하여 엔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차.
A battery for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A generator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An engine for driving only the generator;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can detect a current state including a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control whether the engine is driven based on a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리모트컨트롤러와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리모트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신되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배터리 충전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는 전기차.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to a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터리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엔진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차.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engin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잔량이 기설정된 충전 기본값 이하이면 엔진을 구동시키는 전기차.
4.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ler drives the engine when the present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less than a preset charging default valu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엔진을 구동시키는 전기차.
4.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engine based on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을 구동시키는 전기차.
3.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engine based on a signal inpu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충전 기본값은, 주행 모드와 정지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전기차.
5.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default for the control unit to drive the engine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raveling mode and the stop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르롤러는 스마트폰인 전기차.
5.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a smart pho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기본값은 입력부 또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하여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전기차.







5.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default value is user-changeable through an input unit or a remote controller.







KR20130100507A 2013-08-23 2013-08-23 Electric car KR201500225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507A KR20150022511A (en) 2013-08-23 2013-08-23 Electric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507A KR20150022511A (en) 2013-08-23 2013-08-23 Electric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11A true KR20150022511A (en) 2015-03-04

Family

ID=5302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507A KR20150022511A (en) 2013-08-23 2013-08-23 Electric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5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206B1 (en) * 2020-07-28 2021-06-11 조길봉 Vehicles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206B1 (en) * 2020-07-28 2021-06-11 조길봉 Vehicles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1975B2 (en) Hybrid-electric vehicle plug-out mode energy management
CN102923124A (en)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KR101588760B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of hybrid elecric vehicle
KR20140042218A (en)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drogen charging of fuel cell vehicle
CN102745092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extended range type hybrid car generating set
CN10377059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aving a single-wire actuator
CN205468509U (en) Engine helping hand system and car
US20100286856A1 (en) Hybrid vehicle with a body builder equipment circuit and battery set
US20110166734A1 (en) Silent key start climate control demand
CN105857070A (en) Novel travelling and power generation integrated vehicle combined type control system
KR102485229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6627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an energy storage device on a vehicle
CN106080164A (en) A kind of stand-by motor system of hybrid vehicle
CN102358137B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CN103241236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vehicle of hybrid power system is comprised for operation during starting to handle
KR20150022511A (en) Electric car
CN102294947B (en) Air-conditioning system of extended-range type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60762B2 (en) Auxiliary battery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fied vehicles
CN207173319U (en) Distance increasing unit device, increase journey system and vehicle
KR20200091519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2510119A (en) Vehicle-mounted power generat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6564491B (en) Energy management system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CN105082992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vehicle with same
CN105008201A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oscillations of regime of a running gear
CN104169153A (en) Method for managing the speed of a hybri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