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657A -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657A
KR20150020657A KR20150019733A KR20150019733A KR20150020657A KR 20150020657 A KR20150020657 A KR 20150020657A KR 20150019733 A KR20150019733 A KR 20150019733A KR 20150019733 A KR20150019733 A KR 20150019733A KR 20150020657 A KR20150020657 A KR 2015002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ode
client
url
uniqu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9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철웅
양우석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기술
Publication of KR2015002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6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 by using a unique identifier of content. The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by using a unique identifier of content includes: (a)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by a delivery node; (b)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URL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quest to a master node by the delivery node; (c) receiving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n the URL of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delivery node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the received unique identifier by the delivery node; and (d) transmit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delivery node to the client by the delivery node when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delivery node, and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lient by the delivery node when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delivery node.

Description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본 발명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마다 고유하게 생성되는 고유 식별자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저장 및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ducing traffi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a content providing service.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Web, Web, 이하 웹) 상에서 유통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사용자는 특정 URL을 자신의 웹 브라우저에 입력함으로써 웹 상에서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는 특정 URL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데, URL은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일뿐 컨텐츠 자체를 특정하는 식별자가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URL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컨텐츠가 대응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여러 개의 URL에 하나의 동일한 컨텐츠가 대응될 수도 있다.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s an indicat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content distributed on the World-Wide-Web (Web). The user can access the contents on the web by inputting a specific URL into his web browser. At this time, the web server provid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RL. Since the URL is not an identifier for specifying the content itself,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ontents in one URL, Multiple identical URLs may be mapped to the same content.

먼저, 전자의 경우로서 "http://news.yahoo.com/"이라는 URL을 통해 현재 시각의 탑 뉴스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제공되는 예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http://news.yahoo.com/"이라는 동일한 URL을 이용하더라도 접근하는 시각에 따라 제공되는 뉴스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URL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컨텐츠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자의 경우로서 "http://www1.youtube.com/fileid=1234"라는 URL, "http://www2.youtube.com/fileid=1234"라는 URL 및 "http://cache1.youtube.com/fileid=1234"라는 서로 다른 3 개의 URL을 통해 식별자가 "1234"인 동일한 동영상이 제공되는 예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여러 개의 URL에 하나의 컨텐츠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First, as an example of the former case, a web page including the top news of the current time is provided through the URL "http://news.yahoo.com/". In this case, "http: // news. yahoo.com/ "even if the same URL is used, the contents of the news provided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of access, so that it is said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contents correspond to one URL. Next, in the latter case, a URL of "http://www1.youtube.com/fileid=1234", a URL of "http://www2.youtube.com/fileid=1234" and a URL of "http: // cache1. quot ;, " youtube.com/fileid=1234 ", and the same video having the identifier "1234" is provided through three different URLs. In this case, one content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URLs .

한편, 일반적으로 웹 상에서 동작하는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서버(Server)에 대하여 컨텐츠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Client)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서버에 과부하가 걸려 컨텐츠 제공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통신망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컨텐츠 제공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in general, a content transmission system operating on the web may be composed of a client requesting a content to a server and a server providing a conten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lient.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clients request content at the same time, the server may be overloaded,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the content is lowered, and a bottleneck occur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server to the client,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전송 경로 상의 클라이언트와 가까운 위치에 소정의 전송 서버(Delivery Server)를 배치시키고 전송 서버가 자주 요청되는 인기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의 요청이 발생했을 때 서버를 대신하여 전송 서버가 자신이 저장해 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여기서, 전송 서버에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관리자 혹은 그에 준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선정된 컨텐츠를 미리 저장해 두는 방법과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컨텐츠가 요청될 때 해당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해 두는 방법(일명, 캐싱(Caching)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적이 있는 컨텐츠가 다시 요청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요청된 컨텐츠를 저장해 두는 방법이 관리자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된 컨텐츠를 저장해 두는 방법보다 트래픽 절감 효과가 크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server (Delivery Serv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a client on a transmission path between a server and a client, and a transmission server stores frequently-requested popular contents, A transmission server transmits content stored therein to a client on behalf of the server when a request of the server is received. Herein, a method of storing contents in a transmission server includes a method of storing contents selected by an administrator or a system equivalent thereto in advance and a method of storing contents received from a server when contents are requested by a client (aka caching (Caching) method. In general, since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lient is highly likely to be requested again, the method of stor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lient is widely used rather than the method of storing contents arbitrarily specified by the administrator.

이하에서는, URL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하고 캐싱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장 및 전송하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dentifying contents using a URL and storing and transmitting contents using a cach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종래 기술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전송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의 URL 정보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의 URL 정보와 비교하여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즉,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컨텐츠가 전송 서버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컨텐츠가 전송 서버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고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한편 자신의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서버의 저장 공간은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 선입선출(FIFO, First Input First Output) 알고리즘 등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transmission server located on a transmission path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can receive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Next, the transmission server compares the URL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client with the URL information of the content stored therei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has (i.e., stores) the corresponding content . 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lient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server, the transmission server can transmit the content stored in the transmission server to the client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client, The transmission server transmits a request from the client to the server and transmits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e client and stores the content in its storage space. Here, the storage space of the transmission server may be managed by a least recently used (LRU) algorithm, a first input first output (FIFO) algorithm, or the like.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하여 URL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URL is used to specify the content existing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먼저, 전송 서버의 저장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로서 URL을 사용하는 전송 서버는 컨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URL이 다르면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 컨텐츠임에도 불고하고 URL마다 컨텐츠를 중복하여 저장해야 하고, 이로 인해 전송 서버의 저장 공간은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파일, 웹 하드와 같은 파일 공유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경우에는 컨텐츠 하나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URL이 대응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First, the storage space of the transmission server may be wasted. In other words, if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s different from the transport server using the URL as the identifier for the content, the content must be stored in duplicate for each URL, which is the content containing the same contents. A problem may ari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tents provided in a file sharing service such as video, audio, application, software update file, and web hard, it is common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URLs correspond to one content.

다음으로, 컨텐츠의 재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동일한 URL를 통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전송 노드에서는 이전에 저장되어 있었던 컨텐츠를 삭제하고 새로 전송 받은 컨텐츠를 저장해야 하는데, 이는 곧 컨텐츠 재사용성의 저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컨텐츠 A 및 컨텐츠 B가 동일한 URL에 의해 특정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A - 컨텐츠 B - 컨텐츠 A - 컨텐츠 B의 순서로 컨텐츠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매번 해당 컨텐츠를 새로 전송을 받아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URL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컨텐츠가 대응되는 경우(예를 들면, 동일한 URL에 의하더라도 브라우저의 종류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의 헤더 값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가 응답되는 경우)에, URL을 식별자로 이용하는 전송 서버로서는 해당 컨텐츠를 정확하게 식별하기가 어렵게 된다. 미리 지정된 헤더의 값과 URL 모두를 식별자로 활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컨텐츠를 식별, 저장 및 전송하는 기술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기는 했지만,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전에 특정 URL과 특정 헤더의 값을 획득해야 한다는 점에서 운용하기가 쉽지 않고, URL과 헤더의 값만으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Next, the reusability of the content may be deteriorated. Specifically, when the user accesses different contents through the same URL, the transmission node deletes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s and stores the newly transmitted contents, which means that the content reusability is lowered. For example, when different contents A and contents B are specified by the same URL, in the case where a conten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order of contents A - contents B - contents A - contents B, inefficiency .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contents correspond to one URL (for example, when different contents are responded to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rowser or the header value of the request from the client, even if they are the same URL)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transmission server used as the identifier to accurately identify the content. Although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solve such a problem by using a technique of identifying, storing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tents by using both the value of a predetermined header and the URL as an identifier,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en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easy to operate because it needs to acquire the header value and the content can not be identified only by the value of the URL and the header.

다음으로, 요청된 컨텐츠가 정확하게 전송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전송 서버가 서버로부터 확인을 받지 않고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로서 URL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요청한 컨텐츠와 URL만 일치하고 내용은 다른 엉뚱한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Next,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requested content is not correctly transmitted.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ssion server located on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transmits content stored in itself to the client by using only the URL as an identifier for the contents without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server In this case, it may happen that the contents match with only the contents actually requested by the client, and other contents are sent to the client.

다음으로, 무선 통신망에서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통신망 상의 특정 지점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유선 통신망과는 달리 무선 통신망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동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통신망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속하는 통신망이 달라지게 되는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핸드오버 이전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던 제1 전송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고 있던 클라이언트는 핸드오버 이후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제2 전송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을 필요가 있는데, 이때 컨텐츠의 식별자로서 URL을 사용하게 되면 제1 전송 서버로부터 전송 받던 컨텐츠와 제2 전송 서버로부터 전송 받게 될 컨텐츠가 동일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2 전송 서버는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감수하면서 제1 전송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었던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거나, 오(誤)전송을 감수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Next, a problem may arise in transmitting cont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pecifically, unlik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client terminal is fixedly located at a specific point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e position of the client terminal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hanges as the client terminal moves in a physical spa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nd-over may occur. When a handover occurs in a client, a client receiving content from a first transmission server connected to a client before handover needs to receive content from a second transmission server connected to the client after handover, At this time, if the URL is used as the identifier of the content, it can not be guaranteed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erver 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server are the same. Accordingly, the second transmission server receives the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erver to the client and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client again while taking charge of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data to the user.

이상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컨텐츠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URL이 해당 컨텐츠를 얻을 수 있는 통신망 상의 주소에 불과할 뿐 해당 컨텐츠 자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는 아니라는 점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he problem with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that the URL used as the means for identifying the content is merely an address on a communication network from which the content can be obtained, and is not an identifier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the content itself .

따라서,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에서 컨텐츠를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accurately and efficiently transmitting cont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handover may occu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전송 및 저장함에 있어서 URL이 아닌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함으로써, 웹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identify contents existing on the web by identifying contents using unique identifiers instead of URLs in transmitting and storing conte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전송 노드(delivery node)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b)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master node)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전송 받은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b)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URL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quest to a master node, (c) transmitting, by the transmitting node, information about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f the content,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and (d) judging that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The transport node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ransport node to the client, If it is determined that not stored in the node, the method in which the transmitting node transmits the contents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comprises transmitting to the clien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마스터 노드(master node)가 전송 노드(delivery node)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마스터 노드가,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송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전송 노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by a master node, information about a URL of a content requested by a client from a delivery node; (B) the master node determin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URL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and the unique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ssion node And (c) when the master node determines that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transport node,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transport n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전송 노드(delivery node)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b)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master node)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마스터 노드(master node)가 상기 전송 노드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마스터 노드가,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송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전송 노드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 노드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b) (C) transmitting, by the master node, information about a URL of the content from the transmission node to the master node, (D) determining, by the master node,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URL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and the unique identifier,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ssion node (E) determining, by the transmitting node,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And (f) if the content is determined to be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the transmission node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to the client, and if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The master node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transmission node and the transmission node transmit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to the client when the master node determines that the master node is not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노드(node)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노드가,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노드가,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드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드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b) Determining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n a URL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quest, with reference to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and the unique identifier; (c)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node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unique identifier; and (d) if the content is determined to be stored in the node, the node is stored in the node If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node, the node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o the clien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transfer site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 및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master node)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전송 받은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system comprising: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And transmitting, to the master node,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URL of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and referring to information on the transmitted unique identifi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transmi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to the client, and if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ter node The system including a content-specific identifier management unit for sending to the clien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transfer Massachusetts.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전송 노드(delivery node)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송 노드에 전송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전송 노드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URL of a content requested by a client from a delivery node; A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ssion node; And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transmission n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not trans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master node)에게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전송 노드 및 상기 전송 노드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전송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전송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전송 노드에게 전송하는 마스터 노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system comprising: a reque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information about a URL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ques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port node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transport node A transmitting node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to the client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to the client when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In the URL of the content Determin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n a URL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ssion node with reference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and the unique identifier, And a master node for transmitting the contents to the transmission n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s are not stored in the transmission n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 요청 처리부, 및 URL 및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가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노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the system comprising: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from a client;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node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n the URL of the cont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node If the content is judged to be stored in the node, the content stored in the node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not stored in the node,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 content unique formula < RTI ID = 0.0 > A system including a distinct management unit is provided.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other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웹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컨텐츠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컨텐츠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ntents existing on the web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using the unique identifi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storage space of the server storing the contents, increase the reusability of the contents, An effect that the contents can be transmitted accurately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내용이 다르면 다른 고유 식별자를 갖도록 관리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컨텐츠가 하나의 URL을 통하여 다운로드되는 경우에도 각 컨텐츠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ifferent contents of data constituting contents are managed to have different unique identifiers, even when various contents are downloaded through one UR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each contents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URL을 식별자로 이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일정 시간(Time To Live, TTL) 동안 특정 URL이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URL이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비하여 컨텐츠의 오전송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기존의 URL을 식별자로 이용하는 경우에 수반되었던 재인증(re-validation) 과정(예를 들면,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특정 URL이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로서 사용되는 것이 아직 유효한지 여부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컨텐츠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using a unique identifier. Therefore, when an existing URL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example, during a certain time (Time To Live, TTL) The URL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the content by setting it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the erroneous transmission of the content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re-validation (re-validation) ) Process (for example, a process of authenticating whether a specific URL is still valid as an identifier for a specific content each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is possible to ensure accurat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Effect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망의 클라이언트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컨텐츠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handover occurs in a cli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ent transmission can be normal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RL과 고유 식별자 사이 맵핑 테이블 또는 URL 및 요청 헤더와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nod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orting handover in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table between a URL and a unique identifier, a URL, and a request header and a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 서버(100), 마스터 노드(Master Node)(200), 전송 노드(Delivery Node)(300) 및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over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0, a server 100, a master node 200, a delivery node 300, and a client 400 And the like.

먼저, 통신망(10)은 유선 및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인터넷(World Wide Web), 공지의 WLAN(Wireless LA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can be configured without regard to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World Wide Web), publicly known WLAN (Wireless LA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Division Multiple Access) or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ommunication network.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마스터 노드(200), 전송 노드(300) 등이 존재하는 통신망(1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4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4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고, 클라이언트(400)에 제공되는 정보는 쿼리에 매칭된 정보,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lient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n which the master node 200 and the transmission node 300 exist and the client 400 )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be an operational server of an Internet search portal site,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lient 400 may b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information matched to the query, a web page, images, video, audio,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200)는 서버(100)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거나 후술할 전송 노드(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컨텐츠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해당 컨텐츠의 URL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mapp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와의 맵핑을 수행함에 있어서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의 요청 헤더, 즉,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포함된 헤더에 관한 정보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URL에 여러 개의 컨텐츠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마스터 노드(200)가 컨텐츠의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와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 사이의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후술할 전송 노드(300)로부터 전송 받은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고 이를 해당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전송 노드(3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해당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하는 경우에 핸드오버 이후에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되는 전송 노드(300B) 또는 핸드오버 이전에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되어 있던 전송 노드(300A)가 특정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해당 전송 노드에게 소정의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node 200 can receive contents from the server 100 and store the contents in its own storage device or transmit the contents to a transmission node 300 to be described later have. 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unique identifier for the content and perform a mapping between the URL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apping with a content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about a URL of a content and a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that is, a header included in a content request from the client 400 More information can be us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 to one URL, the master node 200 can perform mapping between information on a URL of a content and a request header and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er. 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mapping information between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of a content manag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a unique identifier,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is determin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node 300. 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nique identifier to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node 300 at the request of the transmission node 300. 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ssion node 300B connected to the client 400 after the handover when a handover occurs in the client 400, The transmitting node 300A connected to the client 400 before the handover can transmi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nique identifier to the client 400 and transmit the predetermined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ing node Can be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210), 컨텐츠 요청 처리부(220), 핸드오버 처리부(230) 및 송수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210), 컨텐츠 요청 처리부(220), 핸드오버 처리부(230) 및 송수신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마스터 노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마스터 노드(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2, the master node 200 includes a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unit 210, a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20, a handover processing unit 230, and a transceiver unit 240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unit 210,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220, the handover processing unit 230, and the transceiver unit 240 are program modules .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master node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well-known storage devices. Also, at least some of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ster node 200.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는 후술할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마스터 노드(200)로 전송하여 해당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요청하고,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전송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고유 식별자를 참조로 하여 자신이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 받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는, 위의 판단 결과,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고,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면서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오버 이후에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되는 전송 노드(300B) 또는 핸드오버 이전에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되어 있던 전송 노드(300A)가 특정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Next, a transmitting nod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of a content included in a request for content received from a client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master node 200, And receiv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and receiv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ceiving node 300 stores content requested by the client 400 with reference to the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stored therein, the transmitting nod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The master node 200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lient 400 while storing the content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aster node 2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node 300B connected to the client 400 after the handover or the transmission node 300A connected to the client 400 before the handover are connected to a specific unique identifier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nod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노드(300)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310), 컨텐츠 요청 처리부(320), 핸드오버 처리부(330) 및 송수신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310), 컨텐츠 요청 처리부(320), 핸드오버 처리부(330) 및 송수신부(3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전송 노드(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전송 노드(3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3, the transmitting node 300 includes a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r 310, a content request processor 320, a handover processor 330, and a transmitter / receiver 340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ing unit 310, the content request processing unit 320, the handover processing unit 330, and the transceiving unit 340 are program modules .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transport node 3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Also, at least some of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ransmitting node 300.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 PDA, 태플릿 컴퓨터, 스마트폰,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40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400)가 속해 있는 통신망이 바뀌게 되는 핸드오버(Hand-Ov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client 4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e.g.,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or the like, and may be a clien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400 can move in a physical space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us a hand-over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lient 400 belongs is changed .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unique identifier of 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말하는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 혹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Contents Unique IDentifier, CUID)는 컨텐츠마다 고유하게 대응되는 식별자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같으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내용도 같고,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다르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내용도 다르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identifier or a content unique identifier (CUID) of a content refers to an identifier uniquely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If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is the same, the content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is also the same, If they are different, the content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is also differe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는 미리 정의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는 MD4(Message Digest 4), MD5(Message Digest 5) 및 SHA(Secure Hash Algorithm) 등을 예로 들 수 있다.Specifical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can be generated by a predefined algorithm. The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at this time include Message Digest 4 (MD4), Message Digest 5 (MD5) Secure Hash Algorith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관리자가 원하는 오류 허용 수준을 만족하도록 생성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가 해당 컨텐츠와 유일하게 대응될 확률이 기설정된 확률 이상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ent transmission system can be created to satisfy a desired error tolerance level. More specifically, the probability that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uniquely matches the content is a predetermined probability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는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는데,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하여 허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전체 데이터가 아닌 일부 데이터(예를 들면, 기설정된 크기의 최초 데이터)만을 기초로 하여 생성되고 그에 덧붙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전체 데이터의 길이(즉, 크기)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비교 대상이 되는 두 컨텐츠의 일부 데이터가 동일하고 전체 길이가 동일하다면 두 컨텐츠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a part of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If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is permit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ent transmission system, (I.e., size) information of all the data that is generated based on only some data (for example, initial data of a predetermined size) other than data and in addition to the content. That is, in this case, if the partial data of two contents to be compared are the same and the total length is the same, the two contents can be judged to be totally the sam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컨텐츠 고유 식별자 이외에 컨텐츠를 얻을 수 있는 위치를 특정하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for identifying a location where conten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may be supplementarily used as the means for identifying the content, The content can be identified using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when the content can not be identified using the URL.

(1)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400)의 동작(1) Operations of the server 100 and the client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표준 통신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웹 서버로서 외부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may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of content requested from the outside as a web server operating according to a standard commun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는 표준 통신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클라이언트로서 외부에 대하여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400 can request contents using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to the outside as a client operating according to a standard communication technology.

(2) 마스터 노드(200)의 동작(2) Operation of the master node 2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200)는 서버(100)와 클라이언트(400) 사이의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노드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전송 노드(300)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ster node 200 refers to at least one unit node loca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client 400 and includes at least one unit node from the transmitting node 300,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the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100 or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200)는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mapp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전송 노드(300)로부터 전송 받은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결정하여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와의 맵핑을 수행함에 있어서 컨텐츠의 URL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의 요청 헤더, 즉,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포함된 헤더에 관한 정보가 더 이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URL에 여러 개의 컨텐츠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마스터 노드(200)가 컨텐츠의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와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 사이의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nod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unique identifier of a content, and may perform a mapping between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And determines a content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node 300 with reference to the mapp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You can perform th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apping with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about the URL of the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header included in the content request from the client 400 More can be us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 to one URL, the master node 200 can perform mapping between information on a URL of a content and a request header and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RL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테이블 또는 URL 및 요청 헤더와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table or URL between a URL and a unique identifier and a mapping table between a request header and a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URL "http://apple.com/apple"은 고유 식별자 "0x01"과 대응될 수 있고, URL "http://apple.com/banana", "http://apple.com/orange" 및 "http://apple.com/mango"은 모두 동일한 컨텐츠를 가리키는 URL로서 고유 식별자 "0x02"와 대응될 수 있고, URL "http://apple.com/movie/avatar"은 각각의 요청 헤더 "User-Agent=iphone", "User-Agent=ipad" 및 "User-Agent=ipad"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가리키는 URL로서 각각 고유 식별자 "0x03", "0x04" 및 "0x05"에 대응될 수 있다.9, the URL "http://apple.com/apple"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0x01 ", and the URL "http://apple.com/banana "," http: // apple. quot ;, " com / orange ", and "http://apple.com/mango" can all correspond to a unique identifier" 0x02 " 0x04 " and "0x05" as URLs indicating differ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request headers " User-Agent = iphone ", "User-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미리 협의된 컨텐츠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해 두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생성해 둠으로써 이어지는 전송 노드(300)로부터의 고유 식별자를 통한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 노드(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previously negotiated content in its storage device and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so that a unique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stored content to the transmission node 300 in response to the content request through the content server 3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200)는, 전송 노드(300)로부터 요청 받은 컨텐츠를 서버(100)에 대하여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면서 전송 노드(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노드(200)는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유지함으로써 해당 요청 또는 이어지는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 서버(300)에게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ter n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content requested from the transmission node 300 to the server 100, and transmit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as a response to the content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while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transmitting node 300. At this time, the master node 200 generates and maintains a unique identifier for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ereby transmitting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to the transmission server 3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or the subsequent request can do.

다만, 이상의 실시예에서, 마스터 노드(200)는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기능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고 해당 기능이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거나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ster node 200 does not directly perform the function of storing or transmitting the content, but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he server 100. Alternatively, the master node 200 may generat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and the unique identifi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200)는 서버(100)와 전송 노드(300) 사이의 통신 경로 상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서버(100)나 전송 노드(300) 내에 포함된 채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노드(200)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고, 마스터 노드(200)가 서버(100)나 전송 노드(300)에 포함된 채 구성되는 경우에는 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만으로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The master node 200 may exist independently o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transmission node 300 or may be loca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transmission node 300. [ May be included and configured. In general, when the master node 200 exists independently,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speed up the transfer rate of contents. When the master node 200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server 100 or the transfer node 30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tent delivery system can be easily configured with fewer components.

(3) 전송 노드의 동작(3)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n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을 전송 받으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여 클라이언트(4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ent request from the client 400 is received, the transmitting node 300 identifies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client 400 can do.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이 아닌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기준으로 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에 대한 요청에는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전송 노드(300)는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관리하는 마스터 노드(200)에게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 받은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can identify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no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lient 400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and the unique identifier To the master node 200 managing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lient 40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는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즉,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고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nsmitting node 300 h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storing it)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The master node 20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oes not hav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master node 200 receives the corresponding content,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에게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해당 컨텐츠 자체를 모두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해당 컨텐츠 자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모두 전송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노드(300)와 마스터 노드(200)가 HTTP 패킷을 통해 통신을 하는 경우에 컨텐츠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를 먼저 전송 받은 후에 컨텐츠 자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나중에 전송 받을 수 있다. 즉, 전송 노드(300)는 우선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 받아 해당 컨텐츠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만약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와의 세션을 종료한 후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만약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것과 함께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may request the master node 200 to transmit both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tself, The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and the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itself can be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node 300 and the master node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HTTP packets, a header including information on a content unique identifier is transmitted first, and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itself is transmitted later . In other words, the transmitting node 300 firs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own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if it determines that the content has the corresponding content, After the session with the master node 200 is terminated, the master node 200 can transmit its own content to the client 4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ter node 200 does not have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400. [0050] FI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가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전송 받지 못하고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요청에 포함된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만을 전송 받을 수 있는 경우에, 전송 노드(300)는 스스로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tting node 300 does not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the URL included in the request from the client 400 Header), the transmitting node 300 can itself generate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In this cas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정 크기의 최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경우에, 전송 노드(30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와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고 있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이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고 있는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와의 세션을 종료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는데, 이로써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컨텐츠 전체를 전송 받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컨텐츠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is generated based on the initial data of a predetermined size constituting the content,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and the master node 200 can compare the first data constitu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2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aster node 200 has the content being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ster node 200 owns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end the session with the node 200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ent transmission efficienc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ceive the entire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노드(300)는 보조적으로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식별자로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노드(300)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만을 식별자를 사용하여도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컨텐츠(관리자 등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음)에 대하여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식별자로 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전송 노드(300)가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면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컨텐츠 고유 식별자나 컨텐츠 자체를 전송 받을 필요 없이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만을 이용하여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컨텐츠를 바로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node 300 may also function to identify and transmit contents using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s as an identifier. Specifically, the transmitting node 300 can transmit a URL (or URL and / or URL) to content (which can be specified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determined to be able to normally identify the content even if only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Request header) as an identifier. If the transmitting node 300 stores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lient 400, it is not necessary to receive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or the content itself from the master node 200, The contents stored in the apparatus can be identified and the contents thus identified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lient 400, thereby improving the content transmission efficiency.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서, 클라이언트(400)가 컨텐츠를 요청하면(S410), 전송 노드(3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에 전송하면서 대응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S42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컨텐츠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식별하고 이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S430),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중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40).4, when the client 400 requests the content (S410),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lient 400 to the master node 200 (S420). The content-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specific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specific identifier.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refers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manag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S430). The transmitting node 300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300 us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The identifie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400 (S440).

다음으로, 도 5에서, 클라이언트(400)가 컨텐츠를 요청하면(S510), 전송 노드(3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에 전송하면서 대응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S52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컨텐츠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서버(1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여 줄 것으로 요청할 수 있다(S530). 이에 따라, 서버(100)는 마스터 노드(2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해 줄 수 있고(S540), 마스터 노드는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S550),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중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60).5, when the client 400 requests the content (S510),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lient 400 to the master node 200) and request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unique identifier (S520).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refers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manag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It may request the server 100 to transmit the content (S530). Accordingly, the server 10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master node 200 (S540). The master node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e transmitting node 300 may transmit the created content unique identifier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in operation S550 and the transmitting node 300 may identify the content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300 us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200 And transmits the identified content to the client 400 (S560).

다음으로, 도 6에서, 클라이언트(400)가 컨텐츠를 요청하면(S610), 전송 노드(3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에 전송하면서 대응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S62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컨텐츠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식별하고 이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S630),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중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고 만약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S64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해당 컨텐츠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해 줄 수 있고(S650), 전송 노드(200)는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것과 함께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660).Next, in FIG. 6, when the client 400 requests the content (S610),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lient 400 to the master node 200 in step S620 to request a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unique identifier (S620).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refers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manag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S630), and the transmitting node 300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receiving node 300 us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not stored, the master node 200 may request the master node 200 to transmit the content (S640).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S650), and the transmitting node 200 stores the correspond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300 in its own storage device To the client 400 (S660).

다음으로, 도 7에서, 클라이언트(400)가 컨텐츠를 요청하면(S710), 전송 노드(3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에 전송하면서 대응되는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S72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컨텐츠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참조로 하여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서버(1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여 줄 것으로 요청할 수 있다(S730). 이에 따라, 서버(100)는 마스터 노드(2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해 줄 수 있고(S740), 마스터 노드는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S750),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중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고 만약 자신이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스터 노드(2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S760).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200)는 해당 컨텐츠를 전송 노드(300)에게 전송해 줄 수 있고(S770), 전송 노드(200)는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것과 함께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80).Next, in FIG. 7, when the client 400 requests the content (S710), the transmitting node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lient 400 to the master node 200) and request a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unique identifier (S720).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refers to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managed by the master node 200 and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and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It may request the server 100 to transmit the content (S730). Accordingly, the server 10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master node 200 (S740), and the master node generat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us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e generated content ID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in operation S750. The transmitting node 300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content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transmitting node 300 us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not stored, the master node 200 may request the master node 200 to transmit the content (S760). Accordingly, the master node 20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transmitting node 300 (S770), and the transmitting node 200 stores the correspond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master node 300 in its own storage device To the client 400 (S780).

(4) 무선 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지원(4) Handover sup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클라이언트(400)가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선 통신망에서는 클라이언트(400)의 통신망(10) 상에서의 위치가 변하는 현상, 즉,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할 수 있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client 400 can physically move, the position of the client 4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change, that is, a hand-over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함으로써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over can be effectively handled by identifying contents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orting handover in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8을 참조하면, (i)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통신망(20A)에 속해 있던 상태에서 핸드오버된 결과 제2 전송 노드(300B)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통신망(20B)에 속하게 되는 경우와 (ii)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통신망(20A)에 속해 있던 상태에서 핸드오버된 결과 아무런 전송 노드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3 통신망(20C)에 속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 the client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node 300B as a result of being handed ov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0A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Ii) a case in which the client 400 belongs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0A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0A belong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0B,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elongs to the third communication network 20C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third communication network 20C. The process of supporting handover in the above two cas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i) 클라이언트(400)가 핸드오버된 결과 제2 전송 노드(300B)와 연결되는 제2 통신망(20A)에 속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400)는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던 것을 중단하고 제2 전송 노드(300B)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는 것이 전송 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던 컨텐츠와 제2 전송 노드(300B)로부터 전송 받게 될 컨텐츠가 서로 동일하다는 보장을 할 수 없었지만,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가 핸드오버 이전에 연결되었던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핸드오버 이후에 연결되는 제2 전송 노드(300B)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는 제1 전송 노드(300A)와 제2 전송 노드(300B)가 모두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가능한 것이다. 컨텐츠를 전송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it can be assumed that (i) the client 400 belong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0A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node 300B as a result of handover.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ransmission efficiency that the client 400 stops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and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identifying contents using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it is guaranteed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are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400 identifies the content identical to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connected before the handover, 2 transmission node 300B. Of course, this is possible on the assumption that both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and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have corresponding contents. The process of handover occurring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망(20A)에 포함된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에 대하여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제1 전송 노드(300A)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200)에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전송 노드(300A)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이렇게 식별된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송 노드(300A)가 클라이언트(4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에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함에 따라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와 연결되는 제1 통신망(20A)에서 제2 전송 노드(300B)와 연결되는 제2 통신망(30A)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노드(200)는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고,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고 있던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여 줄 것을 제2 전송 노드(300B)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송 노드(300B)가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전송 노드(300B)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제2 전송 노드(300B)가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전송 노드(300B)가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400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0A can request the conten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contents request from the client 400 to the master node 200,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Next,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content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 Meanwhile, when a handover occurs in the client 400 while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when the client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30A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node 300B in the first transmission network 20A. At this time, the master node 200 detects that a handover has occurred in the client 400 and transmit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o the client 400 2 < / RTI > transmission node 300B. Accordingly, when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h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to the client 40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can transmit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may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aster node 200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lient 400 again.

다음으로, (ii) 클라이언트(400)가 핸드오버된 결과 아무런 전송 노드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3 통신망(20C)에 속하게 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노드(200)는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고,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고 있던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노드(200)가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해당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고, 마스터 노드(400)가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스터 노드(200)가 서버(100)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아 이를 다시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Next, it can be assumed that (ii) the client 400 belongs to the third communication network 20C which is not connected to any transmission node as a result of the handover. In this case, the master node 200 detects that a handover has occurred in the client 400, and the client 400 can transmi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o the client 400. [ If the master node 200 h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master node 2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400. If the master node 200 does not have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transmit the content from the server 100 to the client 4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오버된 결과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된 제2 전송 노드(300B)가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고 있던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핸드오버된 결과 클라이언트가 아무런 전송 노드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마스터 노드(200)가 터널링 기술 등의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클라이언트(400)로의 해당 컨텐츠의 전송이 계속해서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node 300B connected to the client 400 receives the handover result, the client 400 does not hav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he master node 2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o the client 400 using the network technology such as the tunneling technique in the case where the client is not connected to any transmission node So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can be continued.

예를 들어 터널링(tunneling)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가 전송되고 있는 중에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고 핸드오버 이후 클라이언트(400)와 연결되는 제2 전송 노드(300B)가 클라이언트(400)가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전송 받고 있던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마스터 노드(200)는 터널링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400)가 핸드오버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제1 전송 노드(300A)에 대한 터널을 열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노드(20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전송 받은 패킷(즉, 컨텐츠 요청에 관한 패킷)이 터널을 통하여 제1 전송 노드(300A)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전송 노드(300A)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는 패킷(즉, 요청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패킷)를 터널을 통해 마스터 노드(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송 노드(300A)와 마스터 노드(200) 사이에 형성된 터널을 통하여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터널링되어 마스터 노드(200)로 전송된 패킷(즉, 컨텐츠를 구성하는 패킷)은 제2 전송 노드(300B) 또는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더라도 클라이언트(400)는 핸드오버가 발생하기 되기 전에 연결되어 있던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계속해서 컨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 case where a tunneling technique is us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which is connected to the client 400 after the handover occurs in the client 400 while the content is being transmitted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node 300A If there is no content, the master node 200 can open a tunnel for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o which the client 400 was connected before the handover using the tunneling technique. At this time, the master node 200 may cause the packet transmitted from the client 400 (that is, the packet related to the content request)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hrough the tunnel, The master node 300A may transmit a packe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lient 400 (i.e., a packet constituting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master node 200 through a tunnel. A packet tunnel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hrough the tu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and the master node 200 and transmitted to the master node 200 To the second transmitting node 300B or the client 400. [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handover occurs in the client 400, the client 400 continuously transmits the content from the connected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before handover occurs You will receive.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전송 노드(300A)로부터 클라이언트(400)로의 컨텐츠의 전송이 계속해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기술이 반드시 터널링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que used for continu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node 300A to the client 4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unneling technology, It should be noted that any other technology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4) 확장적인 실시예(4) Extende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확장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tend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400)가 컨텐츠를 요청함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뿐만 아니라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400)는 URL이 "A"이고 헤더 값이 "B"이며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X"인 컨텐츠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에게 해당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요청할 필요 없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 중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X"인 컨텐츠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전송 노드(300)가 컨텐츠 고유 식별자가 "X"인 컨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마스터 노드(200) 또는 서버(1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전송 받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ient 400 requests content, it may provide not only the URL (or the URL and the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identifier. For example, the client 400 may request that the URL be "A", the header value be "B", and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be "X" Quot; X "content among the contents held by the client 200 without requesting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lient 200 and transmit the identified content to the client 400. [ Of course, if the transmitting node 300 does not have the content hav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X ", the master node 200 or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lie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앞서 설명한 마스터 노드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는 기능, 컨텐츠의 URL(혹은 URL 및 요청 헤더)과 고유 식별자 사이의 맵핑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송 노드(300)는 마스터 노드(200)와 통신할 필요 없이 서버(100)와 직접 통신하여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고유 식별자 또는 컨텐츠 자체를 직접 전송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컨텐츠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master node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generat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ntent, a function of managing mapping information between a URL (or a URL and a request header) of the content and a unique identifier, in addition to a basic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content . In this case, the transmitting node 30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100 without having to communicate with the master node 200, and can directly receive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or the content itself from the server 10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200)의 컨텐츠 전송에 관한 기능을 서버(100)가 수행하도록 하고 마스터 노드(200)의 컨텐츠 고유 식별자 생성 및 관리에 관한 기능을 전송 노드(300)가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별개의 마스터 노드(200)를 이용하지 않고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만으로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content transmission of the master node 200,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managing the content unique identifier of the master node 20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node 300 to perform a content transmission system without using a separate master node 200.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in that a content transmission system can be easily configur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노드(200)와 전송 노드(300)가 계층적인 관계를 가진 채로 서버(100)와 클라이언트(400) 사이의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ster node 200 and the transmission node 300 are loca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client 400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Can be achieved.

먼저, 통신망(10) 상에서 클라이언트(400)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전송 노드(200)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직접 클라이언트(400)에게 전송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컨텐츠는 마스터 노드(200)로부터 전송 받아 클라이언트(400)에게 전달함으로써 컨텐츠 전송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스터 노드(300)의 저장 공간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전송 노드(200)의 저장 공간을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여 복수 개의 전송 노드(300)가 마스터 노드(2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 마스터 노드(200)가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전체 시스템의 저장 공간을 마련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추면서도 컨텐츠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First, the transmitting node 200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lient 4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directly transmits the content held by the transmitting node 200 to the client 400, and contents not owned by the transmitting node 200 are transmitted from the master nod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400, thereby speeding up the content transmission speed. 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space of the master node 300 is set relatively large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transmission node 200 is set relatively small, a plurality of transmission nodes 300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ster node 200 By sharing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ent storage efficiency while reducing the cost of preparing the storage space of the entire system,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aster node 200 is not provided.

다음으로, 서버(100)와 마스터 노드(200) 사이의 통신이나 전송 노드(300)와 클라이언트(400) 사이의 통신에서는 통신 표준에 따라야 하지만, 마스터 노드(200)와 전송 노드(300) 사이의 통신에서는 통신 표준에 따를 필요 없이 독자적인 통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서버(100)와 클라이언트(400) 사이에 병목 구간이 존재한다면 해당 병목 구간의 전단 후단에 각각 마스터 노드와 전송 노드를 위치시키고 마스터 노드와 전송 노드 사이의 통신에 다양한 컨텐츠 압축 기술(예를 들면, 실시간 압축 기술, 딕셔너리 이용한 압축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로써 컨텐츠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Nex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node 200 and the master node 200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node 200 and the master node 400 must be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standard. However, In communication, independent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without having to follow communication standard. For example, if there is a bottleneck section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client 400, the master node and the transmission node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orresponding bottleneck section, (For example, a real-time compression technique, a compression technique using a dictionary,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ntent transmissio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 통신망
20A: 제1 통신망
20B: 제2 통신망
20C: 제3 통신망
100: 서버
200: 마스터 노드
210: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
220: 컨텐츠 전송 처리부
230: 핸드오버 처리부
240: 송수신부
300: 전송 노드
310: 컨텐츠 고유 식별자 관리부
320: 컨텐츠 전송 처리부
330: 핸드오버 처리부
340: 송수신부
300A: 제1 전송 노드
300B: 제2 전송 노드
400: 클라이언트
10: Network
20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0B: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0C: Third communication network
100: Server
200: master node
210: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Unit
220: Content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230: handover processor
240: Transmitting /
300: transmitting node
310: Content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Unit
320: Content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30: handover processor
340: Transmitting /
300A: first transmission node
300B: second transmission node
400: Client

Claims (1)

컨텐츠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a content unique identifier.
KR20150019733A 2012-06-01 2015-02-09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KR201500206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9405 2012-06-01
KR1020120059405 2012-06-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675A Division KR101632068B1 (en) 2012-06-01 2013-04-05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657A true KR20150020657A (en) 2015-02-26

Family

ID=499828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675A KR101632068B1 (en) 2012-06-01 2013-04-05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KR20150019733A KR20150020657A (en) 2012-06-01 2015-02-09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675A KR101632068B1 (en) 2012-06-01 2013-04-05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320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32B1 (en) 2018-10-12 2019-04-26 송점종 A net for the survival of the curta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552A (en)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아라기술 System for providing web page using contents cacheing and method thereof
KR100950011B1 (en) * 2008-08-20 2010-03-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ementing video data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32B1 (en) 2018-10-12 2019-04-26 송점종 A net for the survival of the curt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736A (en) 2013-12-11
KR101632068B1 (en)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550B2 (en) Request management for hierarchical cache
KR10230135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of node and content owner in content centric network
US9390200B2 (en) Local cac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aching service
US875629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ng file data
KR102052520B1 (en) A node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mobility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8175584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downloading data at a mobile wireless device
US8510415B2 (en) Data distribution method,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s in edge network
US9749403B2 (en) Managing content distribu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8812609B2 (en) Methods, circuits,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distributed content caching and delivery
EP2339797B1 (en) Terminal device based on content name, and method for routing based on content name
US9386099B2 (en) Local cac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aching service
JP6601784B2 (en) Method, network component, and program for supporting context-aware content requests in an information-oriented network
KR20140009931A (en) Communication method of contents requester and contents provider for providing contents and real-time streaming contents in a contents centric network based on contents name
US8903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using information of group change in content oriented network environment
US961489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network based on hierarchical name structure
US93506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server to terminal and efficiently delivering messages to the terminal
US2014028278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video distribu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n reduced video data traffic and a method therefor
WO2021007115A1 (e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dynamic compute orchestration
KR20150029913A (en) Content system and Method for Chunk-based Content Delivery
KR10163206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unique indentifier of contents
KR102169717B1 (en) Method for caching of contents and cache apparatus therefor
EP29974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mobile data transmission
WO2018188073A1 (en) Content deployment method and distribution controller
WO2013180398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content using content-specific identifiers
KR20160147861A (en) Information object acquisition method, server and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